KR101958668B1 - 블록형 분류기 및 이의 적용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형 분류기 및 이의 적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668B1
KR101958668B1 KR1020180078608A KR20180078608A KR101958668B1 KR 101958668 B1 KR101958668 B1 KR 101958668B1 KR 1020180078608 A KR1020180078608 A KR 1020180078608A KR 20180078608 A KR20180078608 A KR 20180078608A KR 101958668 B1 KR101958668 B1 KR 101958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eel
pair
block type
re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강열
Original Assignee
최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강열 filed Critical 최강열
Priority to KR1020180078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6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블록형 분류기가 제공된다. 하부에 다수의 고정블록이 형성되고, 상부에 고정구가 형성된 바디 프레임; 한 쌍의 고정블록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암; 바디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일정 간격 이격 되어 배치되고, 한 쌍의 고정암에 의해 관통되어 바디 프레임과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받침부재; 제 2 받침부재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지지부재; 고정구를 관통하여 지지부재에 안착되어 회전되는 상기 릴 축; 릴 축의 외측면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블록형 릴; 복수개의 블록형 릴들 사이에 배치되며, 블록형 릴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는 분리판; 릴 축에 끼워진 복수개의 블록형 릴 중, 가장 외측에 배치된 블록형 릴 내측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베어링; 한 쌍의 베어링 측부에 각각 배치되어 블록형 릴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한 쌍의 스냅링을 포함하되, 블록형 릴은, 전면부에 스톱퍼가 돌출 형성되고, 후면부에 스톱퍼에 대응되는 인입부가 형성되며, 한 쌍의 베어링은, 릴 축 및 블록형 릴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결속되는 블록형 분류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블록형 분류기 및 이의 적용 방법{Block type rolling device and applic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블록형 분류기 및 이의 적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절단이 완료된 금속판재를 분류하기 위한 블록형 분류기 및 이의 적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기계장치의 외관이나 실내외의 마감재, 가구나 자동차 등 수많은 제품들의 소재로서 얇은 금속판재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얇은 금속판재는 필요에 따라, 원하는 크기와 폭으로 절단 가공되어 사용된다. 이후, 원하는 폭으로 절단된 상기 금속판재를 분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금속판재를 절단하는 장치를 슬리터(Slitter)라 한다.
상기 슬리터는 롤 형태로 감겨 있는 강판, 필름 또는 원단 등을 이송롤러로 이송시키면서 임의의 폭으로 절단(Slitting) 가공한 후, 절단된 소재를 다시 롤 형태로 권취시켜 제품화하는 장치이다.
상기 슬리터를 이용하여 절단 가공된 소재를 분류 및 재권취 시키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1316654호가 출원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슬리팅 권취기의 권취롤 언로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리프팅 포스트; 상기 리프팅 포스트의 상하를 따라 리프팅하고, 상기 리프팅 포스트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링 암; 권취롤의 권취축 양단측을 받치도록 상기 핸들링 암에 설치되는 일측 받침부와 타측 받침부를 포함하되, 상기 리프팅 포스트에는 상기 권취축에 끼워진 궈취롤이 옮겨져 거치되는 권취롤 거치암이 더 설치되고, 상기 타측 받침부는 상기 핸들링 암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리프팅 포스트에는 상기 권취롤이 제거된 상기 권취축에 보빈을 채우는 보빈 거치암이 더 설치되는 슬리팅 권취기의 권취롤 언로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권취롤 언로드 장치는 상기 가공된 금속판재가 권취되는 권취릴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기 설정된 금속판재의 폭일 경우에만 권취가 가능하다.
즉, 상기 금속판재를 다양한 폭으로 절단 및 권취해야 될 경우, 이에 대응되도록 권취폭을 변경하여 다시 장치를 제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로 인해, 제작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되고, 상기 슬리터와의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16654호(등록일; 2013.10.02)
본 발명은, 절단된 금속판재를 분류하기 위한 릴을 블록화 함으로써, 재권취 하고자 하는 금속판재의 권취폭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블록형 분류기 및 이의 적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부에 다수의 고정블록이 형성되고, 상부에 고정구가 형성된 바디 프레임; 상기 한 쌍의 고정블록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암; 상기 바디 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일정 간격 이격 되어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암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바디 프레임과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받침부재; 상기 제 2 받침부재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지지부재; 상기 고정구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안착되어 회전되는 상기 릴 축; 상기 릴 축의 외측면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블록형 릴; 상기 복수개의 블록형 릴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블록형 릴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는 분리판; 상기 릴 축에 끼워진 상기 복수개의 블록형 릴 중, 가장 외측에 배치된 상기 블록형 릴 내측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베어링; 상기 한 쌍의 베어링 측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블록형 릴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한 쌍의 스냅링을 포함하되, 상기 블록형 릴은, 전면부에 스톱퍼가 돌출 형성되고, 후면부에 상기 스톱퍼에 대응되는 인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베어링은, 릴 축 및 블록형 릴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결속되는 블록형 분류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록형 릴은 플라스틱(Plastic)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고정암으로부터 좌, 우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횡형 이송 절단장치는 절단부를 횡형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여 절단부의 절단 집중을 예방함으로써 절단날의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권취롤 언로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분류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분류기 중, 블록 보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분류기를 이용해 금속판재를 분류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블록형 분류기를 이용해 금속판재를 분류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 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들은 다소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음을 알려 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분류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내지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분류기는 바디 프레임(110), 고정암(120), 제 1, 2받침부재(130, 140), 지지부재(141), 릴 축(150), 블록형 릴(160), 분리판(170), 베어링(180) 및 스냅링(1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디 프레임(110)은 하부에 다수의 고정블록(111, 112)이 형성되고, 상부에 고정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디 프레임(110) 하부 전면부에 고정블록(111) 한 쌍이 형성되고, 후면부에는, 측부가 개폐된 형상의 고정블록(112)이 한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바디 프레임(110)의 조립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고정암(120)과 관련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고정블록(111, 112)에는 한 쌍의 고정암(120)이 관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바디 프레임(110)은 고정암(120)을 따라 좌, 우로 이동될 수 있으며, 고정블록(111) 측면에는 고정볼트(미도시)와 같은 고정수단이 체결될 수 있다.
즉, 재권취 하고자 하는 금속판재(P)의 폭이나 개수에 따라 바디 프레임(110)의 위치가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 1, 2 받침부재(130, 140)는 바디 프레임 하부 양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의 고정암(120)에 의해 관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받침부재(130)는 바디 프레임 하부측 좌측(도 2의 좌측방향)에 배치되고, 제 2 받침부재(140)는 바디 프레임 하부측 우측(도 2의 우측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2 받침부재(140)는 상부에 지지부재(141)가 탈착 가능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이는, 릴 축(15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릴 축(150)은 고정구(113)를 관통하여 지지부재(141)에 안착될 수 있다.
릴 축(150)은 별도의 구동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릴 축(150)의 외측면에는 블록형 릴(160)이 복수개 끼워질 수 있다.
블록형 릴(16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4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분류기 중, 블록형 릴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블록형 릴(160)은 플라스틱(Plastic)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블록형 릴(160)은 전면부에 스톱퍼(160a)가 돌출 형성되고, 후면부에는 스톱퍼(160a)에 대응되도록 인입부(160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블록형 릴(160)이 릴 축(150)에 끼워질 때, 각각의 블록형 릴(160)에 형성된 스톱퍼(160a)가 인입부(160b)에 서로 끼워질 수 있다.
분리판(170)은 블록형 릴(160)들 사이에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분리판(170)은 스톱퍼(160a)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미표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톱퍼(160a)가 분리판(170)을 관통하여 인입부(160b)에 끼워짐으로써, 각각의 블록형 릴(160)과 분리판(170)이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분리판(170)은 블록형 릴(160)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금속판재(P)의 재권취 시, 서로 다른 금속판재(P)를 구분하여 권취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복수개의 블록형 릴(160) 및 분리판(170)은 재권취하고자 하는 금속판재(P)의 폭이나 분류 개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릴 축(150)에 끼워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금속판재(P)의 권취폭 이나 분류할 개수를 변경시켜야 될 경우, 사용자는 블록용 릴(160) 및 분리판(170)의 개수를 변경시킴으로써 금속판재(P)의 권취폭 및 분류할 개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3을 참고하면, 베어링(180)은 릴 축(150)에 끼워진 복수개의 블록형 릴(160) 중, 가장 외측에 배치된 블록형 릴(16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어링(180)은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가장 외측에 배치된 두 개의 블록형 릴(160) 내측에 각각 장착되어 릴 축(150)에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어링(180)은, 릴 축(150) 및 블록형 릴(160)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베어링(180)이 릴 축(150) 및 블록형 릴(160)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결합됨으로써, 블록형 릴(160)이 릴 축(15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블록형 릴(160)의 움직임을 추가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베어링(180) 측부에 스냅링(190)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분류기의 적용 및 금속판재의 분류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분류기를 이용해 금속판재를 분류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블록형 분류기를 이용해 금속판재를 분류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6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가공된 금속판재(P)의 폭이나 분류할 개수를 파악한 후, 블록형 릴(160) 및 분리판(170)의 개수를 선택하여 릴 축(150)에 조립한다.
예를 들면, 분류할 금속판재(P)의 개수가 4개의 경우, 분리판(170) 5개를 릴 축(150)에 조립하고, 분류할 금속판재(P)의 개수가 2개의 경우, 분리판(170) 3개를 릴 축(160)에 조립한다.
이때, 본 실시예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금속판재(P)의 폭은 블록용 릴(160) 3개가 연결된 두께와 유사하고, 도 6에 도시된 금속판재(P)의 폭은 블록용 릴(160) 6개가 연결된 두께와 유사하다고 가정하였으나, 블록용 릴(160)의 두께는 사용자의 제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블록용 릴(160)의 개수 또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음을 알려둔다.
블록형 릴(160) 및 분리판(170)의 조립이 완료되면, 분류할 금속판재(P)를 각 블록용 릴(160) 위에 안착시키고, 릴 축(150)과 연결된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릴 축(150)을 회전시킨다.
릴 축(150)이 회전되면, 금속판재(P)가 분리판(170)에 의해 분류되어 권취롤(미도시)에 재권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형 분류기 및 이의 적용방법은, 금속판재를 분류하기 위한 릴을 블록화하여 블록형 릴 및 분리판의 개수를 선택적으로 변경 및 적용시키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금속판재의 권취폭 및 분류 개수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블록형 분류기 110: 바디 프레임
111, 112: 고정블록 113: 고정구
120: 고정암 130: 제 1 받침부재
140: 제 2 받침부재 141: 지지부재
150: 릴 축 160: 블록형 릴
160a: 스톱퍼 160b: 인입부
170: 분리판 180: 베어링
190: 스냅링 P: 금속판재

Claims (4)

  1. 금속판재(P)의 재권취를 위한 블록형 분류기(100)를 적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블록형 분류기(100)는,
    하부에 다수의 고정블록(111)이 형성되고, 상부에 고정구(113)가 형성된 바디 프레임(110);
    상기 한 쌍의 고정블록(111)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암(120);
    상기 바디 프레임(110)의 하부 양측에 일정 간격 이격 되어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암(120)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바디 프레임(110)과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받침부재(130, 140);
    상기 제 2 받침부재(140)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지지부재(141);
    상기 고정구(113)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재(141)에 안착되어 회전되는 릴 축(150);
    릴 축(150)의 외측면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블록형 릴(160);
    상기 복수개의 블록형 릴(160)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블록형 릴(160)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는 분리판(170);
    릴 축(150)에 끼워진 상기 복수개의 블록형 릴(160) 중, 가장 외측에 배치된 상기 블록형 릴(160) 내측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베어링(180);
    상기 한 쌍의 베어링(180) 측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블록형 릴(160)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한 쌍의 스냅링(190)을 포함하고,
    상기 블록형 릴(160)은, 전면부에 스톱퍼(160a)가 돌출 형성되고, 후면부에 상기 스톱퍼(160a)에 대응되는 인입부(160b)가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베어링(180)은, 릴 축(150) 및 블록형 릴(160)에 억지 끼워맞춤으로 결속되되,
    상기 블록형 릴(160)은 플라스틱(Plastic)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바디 프레임(110)은 상기 한 쌍의 고정암(120)으로부터 좌, 우로 이동되며,
    상기 블록형 릴(160) 및 상기 분리판(170)의 개수를 선택적으로 변경하여 적용하는 블록형 분류기(100)의 적용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78608A 2018-07-06 2018-07-06 블록형 분류기 및 이의 적용 방법 KR101958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608A KR101958668B1 (ko) 2018-07-06 2018-07-06 블록형 분류기 및 이의 적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608A KR101958668B1 (ko) 2018-07-06 2018-07-06 블록형 분류기 및 이의 적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668B1 true KR101958668B1 (ko) 2019-07-02

Family

ID=67258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608A KR101958668B1 (ko) 2018-07-06 2018-07-06 블록형 분류기 및 이의 적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66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543Y1 (ko) * 1994-09-10 1997-06-27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유동타입 후프의 분리장치
KR20030053742A (ko) * 2001-12-22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권취기의 스트립 유도장치
KR200336088Y1 (ko) * 2003-09-25 2003-12-18 우민테크주식회사 부직포 권취장치
KR100842416B1 (ko) * 2006-09-26 2008-07-01 (주)코스탯아이앤씨 반도체 패키지 포장에 사용되는 캐리어 테이프용 권취릴
KR101316654B1 (ko) 2011-12-22 2013-10-10 주식회사 바코텍 슬리팅 권취기의 권취롤 언로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543Y1 (ko) * 1994-09-10 1997-06-27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유동타입 후프의 분리장치
KR20030053742A (ko) * 2001-12-22 2003-07-02 주식회사 포스코 권취기의 스트립 유도장치
KR200336088Y1 (ko) * 2003-09-25 2003-12-18 우민테크주식회사 부직포 권취장치
KR100842416B1 (ko) * 2006-09-26 2008-07-01 (주)코스탯아이앤씨 반도체 패키지 포장에 사용되는 캐리어 테이프용 권취릴
KR101316654B1 (ko) 2011-12-22 2013-10-10 주식회사 바코텍 슬리팅 권취기의 권취롤 언로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23677A1 (en) Rotating log clamp
KR101958668B1 (ko) 블록형 분류기 및 이의 적용 방법
JP6039386B2 (ja) 切断装置用ユニット、切断装置およびシート加工物の製造方法
US10682783B2 (en) Light-weight spacer for a slitting machine
US4909455A (en) Method and device for winding magnetic tape using magnetic alignment
KR101936711B1 (ko) 보호필름 자동 배출장치
CN107444960B (zh) 带有独立收卷臂的薄膜分切机
US7261253B2 (en) Rewind arms for plastic film slitting apparatus
KR101924688B1 (ko) 차량용 핸들 조작식 코일 적재 받침대
CN209988828U (zh) 一种光学膜分条机
EP1245519B1 (en) A device for longitudinally slitting a continuous weblike material and a rewinder comprising said device
CN220261188U (zh) 一种聚乙烯薄膜分切机的压边机构
JPH0454992Y2 (ko)
CN219885276U (zh) 一种卷材分切装置
CN110802130B (zh) 一种带钢连续酸洗工艺线的切边卷取装置
US1574682A (en) Machine for calendering and cutting sheets formed from plastic materials
JP3202182B2 (ja) 段ボール切断設備
US5127296A (en) Device for holding a cutting tool
JP2003236790A (ja) 帯状材料のための支持装置
JP2008087120A (ja) シート状部材の切断装置
CN110788161A (zh) 一种汽车制造用冷轧带钢的废边卷取装置
JP2004217398A (ja) スリッターの巻取装置ならびに巻取方法
KR20160006105A (ko) 코드 밴드 절단용 슬리터
JP3850987B2 (ja) ウエブロール端末コーナーカット装置
JP2003266235A (ja) スリッタ−におけるカッタ−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