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559B1 - 폐 알루미늄 재활용 처리 시스템의 폐 알루미늄 수분 저감을 위한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폐 알루미늄 재활용 처리 시스템의 폐 알루미늄 수분 저감을 위한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559B1
KR101958559B1 KR1020170109586A KR20170109586A KR101958559B1 KR 101958559 B1 KR101958559 B1 KR 101958559B1 KR 1020170109586 A KR1020170109586 A KR 1020170109586A KR 20170109586 A KR20170109586 A KR 20170109586A KR 101958559 B1 KR101958559 B1 KR 101958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case
aluminum
drying
waste alumin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3599A (ko
Inventor
정진호
Original Assignee
가산자원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산자원산업(주) filed Critical 가산자원산업(주)
Priority to KR1020170109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559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26B3/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 F26B3/08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tributing fluidising gas, e.g. gri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with non-enclosed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26B15/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65G2812/0544Houses or frames
    • B65G2812/0561Houses or fram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77Screw-conveyors for bulk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캔이나 알루미늄 스크랩 등과 같은 폐 알루미늄의 재 활용 과정에서 폐 알루미늄의 수분 저감을 위한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이송 컨베이어의 케이스(11) 내부에 설치된 이송 스크류(15) 회전에 의해 폐 알루미늄을 이송하면서 상기 케이스 하부와 측방으로 관통 형성된 열풍 구멍(12)들을 통해 열풍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열풍을 내부로 분사하는 것에 의해 폐 알루미늄의 수분을 건조 처리하므로 이송과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져 건조 과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건조 효율이 종래보다 월등히 우수하게 제공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폐 알루미늄 재활용 처리 시스템의 폐 알루미늄 수분 저감을 위한 건조장치{drying apparatus for aluminium waste recycling system}
본 발명은 알루미늄 캔이나 알루미늄 스크랩 등과 같은 폐 알루미늄의 재 활용 과정에서 폐 알루미늄의 수분 저감을 위한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폐 알루미늄을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 스크류에 의해 회전 이송하면서 열풍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열풍을 이송 컨베이어의 케이스 하부와 측방으로 형성된 열풍 구멍들을 통해 내부로 분사하여 폐 알루미늄을 건조 처리하므로 이송과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져 건조 과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건조 효율이 우수한 폐 알루미늄의 수분 저감을 위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캔이나 알루미늄 스크랩 등과 같은 폐 알루미늄은 경제적인 잇점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 방지, 자원 고갈을 막는 측면에서 매우 유용하기 때문에 산업용 원자재로 재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폐 알루미늄의 재 활용은 폐 알루미늄을 수집하고, 수집된 폐 알루미늄을 이송하여 자력 선별기, 와전류 선별기 등에 의해 폐 알루미늄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류 및 비금속류 이물질을 분리하여 알루미늄을 선별한 후 압착 또는 분쇄한 다음 건조 과정을 거쳐 압축기에 의해 압축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 공급된 폐 알루미늄은 반사로나 도가니로 등의 알루미늄 용융로에 넣고 가열 용해 및 냉각시켜 알루미늄 탄산제, 잉곳(Ingot) 등으로 가공하거나 용융 방식이 아닌 가열 이송하면서 저 산소 조건에서 알루미늄 이외 불순물을 탄화시키는 방식으로 분리 제거한 후 알루미늄 탈산제, 퍽(Puck), 브리켓(Briquette) 등으로 가공하여 재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상기 폐 알루미늄을 재 활용 처리하는 과정에서 폐 알루미늄의 수분을 건조 가공하게 되는데, 주로 건조실 내부로 전기 히터 열이나 열풍을 불어 폐 알루미늄의 남아 있는 수분을 건조 처리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폐 알루미늄에 전기 히터 열이나 열풍이 고르게 분사되지 못하면서 건조 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건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우기, 상기 폐 알루미늄을 재 활용 처리하는 과정에서 이송 과정과 별도로 건조 과정을 수행하면서 폐 알루미늄의 건조 처리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어 건조 효율이 더욱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특허등록 제10-726873호 특허문헌 2: 공개특허 제10-1428507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폐 알루미늄을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 스크류에 의해 회전 이송하면서 열풍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열풍을 이송 컨베이어의 케이스 하부와 측방으로 형성된 열풍 구멍들을 통해 내부로 분사하여 폐 알루미늄을 건조 처리하므로 이송과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져 건조 과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건조 효율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폐 알루미늄을 재 활용 처리하는 과정에서 폐 알루미늄의 수분 저감을 위한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 알루미늄의 이송 방향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는 케이스 내부 길이 방향으로 이송 스크류를 축 설치하여 폐 알루미늄을 회전시키며 이송하되, 케이스 하부 및 측방에 열풍이 분사되는 열풍 구멍들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건조 구간을 형성하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케이스 하부에 건조 구간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체와, 상기 커버체 하부에 수직의 열풍 배관으로 연결되고 전기 히터와 송풍기에 의해 열풍을 발생시켜 공급하는 열풍 공급부로 구성하여 건조 구간에서 이송되는 폐 알루미늄을 열풍 구멍을 통해 사방으로 분사되는 열풍에 의해 건조시키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의 건조 구간은 U자형 단면 구조로 형성하되, 양 측방 보다 하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열풍 구멍들을 더 촘촘히 형성하여 양 측방 보다 하부로 더 많은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열풍 배관은 하부 일측에 분기관을 형성하여 상기 분기관에 열풍 발생부를 연결하고 상기 열풍 배관의 하부에는 열풍 배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는 폐 알루미늄의 수분이나 그 밖의 이물질을 하부로 배출하도록 배출공을 관통 형성하여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송 컨베이어의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이송 스크류 회전에 의해 폐 알루미늄을 이송하면서 상기 케이스 하부와 측방으로 관통 형성된 열풍 구멍들을 통해 열풍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열풍을 내부로 분사하는 것에 의해 폐 알루미늄의 수분을 건조 처리하므로 이송과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져 건조 과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건조 효율이 종래보다 월등히 우수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폐 알루미늄을 이송하면서 열풍에 의해 건조 처리함과 동시에 폐 알루미늄의 수분이나 이물질을 열풍 구멍들을 통해 하부로 배출시켜 별도 수거하도록 하므로서 폐 알루미늄의 건조 과정이 더욱 효과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 정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이송 컨베이어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건조 구간을 보여주는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케이스를 보여주는 요부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장치의 작동 상태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 캔이나 알루미늄 스크랩 등과 같은 폐 알루미늄에서 금속류, 비금속류 등을 선별하고 압착 또는 파쇄한 후 수분 저감을 위한 건조 과정을 거쳐 압축기에 압축하여 재 활용하는 과정에서 폐 알루미늄의 수분 저감을 위한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 폐 알루미늄 재활용 처리 시스템의 폐 알루미늄 수분 저감을 위한 건조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컨베이어(10), 커버체(20) 및 열풍 공급부(3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10)는 폐 알루미늄의 이송 방향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는 케이스(11) 내부 길이 방향으로 이송 스크류(15)를 축 설치하여 폐 알루미늄을 회전시키며 이송하되, 케이스 하부 및 측방에 열풍이 분사되는 열풍 구멍(12)들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건조 구간(A)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의 건조 구간(A)은 U자형 단면 구조로 구성하되, 양 측방 보다 하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열풍 구멍(12)들을 더 촘촘히 형성하여 양 측방 보다 하부로 더 많은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성하는데, 이는 상기 케이스(11)의 내부 하부 쪽으로 폐 알루미늄이 많이 뭉쳐 이송되기 때문이다.
상기 커버체(20)는 케이스 하부에 건조 구간(A)을 감싸도록 설치하는데, 상기 케이스와 같이 경사를 이루고 내부에 열풍이 케이스 하부 외측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이격 형성하도록 설치 구성한다.
상기 열풍 공급부(30)는 커버체 하부에 수직의 열풍 배관(31)으로 연결되고 전기 히터(35)와 송풍기(36)에 의해 열풍을 발생시켜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열풍 배관(31)은 하부 일측에 분기관(32)을 형성하여 상기 분기관에 열풍 발생부(30)를 연결하고 상기 열풍 배관(31)의 하부에는 열풍 배관을 통해 배출될 수 있는 폐 알루미늄의 수분이나 그 밖의 이물질을 하부로 배출하는 배출공(33)을 관통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미 설명부호로서, 16은 이송 스크류(15)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38은 조작 패널, 50은 폐 알루미늄 공급호퍼, 60은 건조 과정을 거친 배출구(14)로 배출되는 폐 알루미늄을 수집하여 이송하는 수집부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알루미늄 캔이나 알루미늄 스크랩 등과 같은 폐 알루미늄에서 금속류, 비금속류 등을 선별하고 압착 또는 파쇄한 후 폐 알루미늄 공급호퍼(50)를 통해 이송 컨베이어(10)의 케이스(11) 상부 일측으로 낙하 공급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케이스(11) 상부 일측으로 낙하 공급된 폐 알루미늄은 케이스 내부 길이 방향으로 축 설치되어 있는 이송 스크류(15)의 회전에 의해 케이스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전진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이송 스크류(15)에 의해 폐 알루미늄을 회전시키면 이송하면서 건조 구간(A)에서 케이스(11) 내부로 분사되는 열풍에 의해 폐 알루미늄의 수분을 건조시키는 건조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열풍 발생부(30)의 전기 히터(35)와 송풍기(36)에 의해 열풍을 발생시켜 분기관(32)- 수직의 열풍 배관(31)을 통해 건조 구간(A)에서 케이스(11) 하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있는 커버체(20) 내부로 열풍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체(20) 내부로 공급된 열풍은 건조 구간(A)에 위치하는 케이스(11)의 하부와 측면에 관통 형성된 열풍 구멍(12)을 통해 케이스 내부로 열풍을 분사하여 케이스 내부에서 회전하며 이송되는 폐 알루미늄을 건조시키게 되는 것이다.
더우기, 상기 커버체(30)의 열풍 구멍(12)은 양 측방 보다 하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더 촘촘히 형성하고 있어 주로 케이스(11)의 내부 하부 쪽으로 뭉쳐 이송되는 폐 알루미늄에 더 많은 열풍을 공급하게 되면서 폐 알루미늄의 건조 효율을 더욱 높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 컨베이어(10)의 케이스(11)와 커버체(20)는 폐 알루미늄의 이송 방향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고 있어 폐 알루미늄의 수분이나 미세 이물질 등이 열풍 구멍(12)들을 통해 자연스럽게 낙하된 후 커버체(20)의 경사를 통해 열풍 배관(31)으로 낙하하도록 유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열풍 배관(31)으로 낙하되는 폐 알루미늄의 수분이나 이물질들은 열풍 배관 하부의 배출공(33)을 통해 별도 수거되어 폐 알루미늄의 건조 효율을 더더욱 높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송 컨베이어의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이송 스크류 회전에 의해 폐 알루미늄을 이송하면서 상기 케이스 하부와 측방으로 관통 형성된 열풍 구멍들을 통해 열풍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열풍을 내부로 분사하는 것에 의해 폐 알루미늄의 수분을 건조 처리하므로 이송과 건조가 동시에 이루어져 건조 과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건조 효율이 종래보다 월등히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10: 이송 컨베이어 11: 케이스
12: 열풍 구멍 15: 이송 스크류
20: 커버체 30: 열풍 공급부
31: 열풍 배관 32: 분기관
33: 배출공 35: 전기 히터
36: 송풍기

Claims (3)

  1. 폐 알루미늄을 재 활용 처리하는 과정에서 폐 알루미늄의 수분 저감을 위한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 알루미늄의 이송 방향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는 케이스(11) 내부 길이 방향으로 이송 스크류(15)를 축 설치하여 폐 알루미늄을 회전시키며 이송하되, 케이스(11) 하부 및 측방에 열풍이 분사되는 열풍 구멍(12)들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건조 구간(A)을 형성하는 이송 컨베이어(10)와,
    상기 케이스(11) 하부에 건조 구간(A)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커버체(20)와,
    상기 커버체(20) 하부에 수직의 열풍 배관(31)으로 연결되고 전기 히터(35)와 송풍기(36)에 의해 열풍을 발생시켜 공급하는 열풍 공급부(30)로 구성하여 건조 구간에서 이송되는 폐 알루미늄을 열풍 구멍(12)을 통해 사방으로 분사되는 열풍에 의해 건조시키도록 구성하고,
    상기 케이스(11)의 건조 구간(A)은 U자형 단면 구조로 형성하되, 양 측방 보다 하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열풍 구멍(12)들을 더 촘촘히 형성하여 양 측방 보다 하부로 더 많은 열풍을 공급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열풍 배관(31)은 하부 일측에 분기관(32)을 형성하여 상기 분기관(32)에 열풍 공급부(30)를 연결하고 상기 열풍 배관(31)의 하부에는 열풍 배관(3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는 폐 알루미늄의 수분이나 그 밖의 이물질을 하부로 배출하도록 배출공(33)을 관통 형성하여 구성하고,
    상기 커버체(20)는 상기 케이스(11)와 같이 경사를 이루고 내부에 열풍이 케이스 하부 외측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이격 형성하도록 설치 구성하되, 양 단부의 위치가 내측에 위치하는 이송스크류(15) 보다 높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알루미늄 재활용 처리 시스템의 폐 알루미늄 수분 저감을 위한 건조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70109586A 2017-08-29 2017-08-29 폐 알루미늄 재활용 처리 시스템의 폐 알루미늄 수분 저감을 위한 건조장치 KR101958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586A KR101958559B1 (ko) 2017-08-29 2017-08-29 폐 알루미늄 재활용 처리 시스템의 폐 알루미늄 수분 저감을 위한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586A KR101958559B1 (ko) 2017-08-29 2017-08-29 폐 알루미늄 재활용 처리 시스템의 폐 알루미늄 수분 저감을 위한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599A KR20190023599A (ko) 2019-03-08
KR101958559B1 true KR101958559B1 (ko) 2019-03-14

Family

ID=65759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586A KR101958559B1 (ko) 2017-08-29 2017-08-29 폐 알루미늄 재활용 처리 시스템의 폐 알루미늄 수분 저감을 위한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5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0350A (zh) * 2019-04-23 2019-08-23 蚌埠市鼎荣科技信息咨询有限公司 一种全自动烘干生产线
CN111578666A (zh) * 2020-05-22 2020-08-25 苏州科牧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5g产品清洗烘干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5346A (ja) 2004-03-19 2005-09-29 Tomohiro Tofun 加熱蒸気を使用する乾燥装置
KR101333646B1 (ko) 2012-09-21 2013-12-16 주식회사 하원 이 가스화 공정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293B1 (ko) * 2004-11-08 2006-08-16 조찬기 유기성 폐기물의 급속건조장치
KR100726873B1 (ko) 2006-02-08 2007-06-14 김기태 스크루 이송장치용 소제구와 이를 구비한 스크루 건조장치
KR101428507B1 (ko) 2014-01-13 2014-08-12 현대자원산업 주식회사 폐 알루미늄캔 및 알루미늄 칩을 이용한 제강용 탈산제 제조방법
KR101866435B1 (ko) * 2015-04-16 2018-06-12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피처리물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5346A (ja) 2004-03-19 2005-09-29 Tomohiro Tofun 加熱蒸気を使用する乾燥装置
KR101333646B1 (ko) 2012-09-21 2013-12-16 주식회사 하원 이 가스화 공정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0350A (zh) * 2019-04-23 2019-08-23 蚌埠市鼎荣科技信息咨询有限公司 一种全自动烘干生产线
CN111578666A (zh) * 2020-05-22 2020-08-25 苏州科牧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5g产品清洗烘干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599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9390B2 (en) Metal recovery system and method
CN104998715B (zh) 一种干式选煤方法
US6527206B1 (en) Method for processing mixed waste, processing plant and buffer silos therefor
KR101958559B1 (ko) 폐 알루미늄 재활용 처리 시스템의 폐 알루미늄 수분 저감을 위한 건조장치
CN108823412B (zh) 再生铝加工处理生产工艺
KR101781588B1 (ko) 저온 슬러지 건조기의 협잡물 제거장치
CN109277168B (zh) 一种多功能选矿设备
HU210451B (en) Method and apparatus recycling of wastes
KR101768096B1 (ko) 슬래그 처리장치
CN116716443A (zh) 一种热态钢渣综合利用的方法及综合分离系统
KR101364057B1 (ko) 괴성화 설비의 집진 장치
CN210966065U (zh) 一种多功能选矿设备
KR101737068B1 (ko) 협잡물 제거수단을 구비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JP4776211B2 (ja) スラグ中の異物除去方法及び装置
JP2007290254A (ja) 再利用可能なプラスチックとリサイクル不適異物の振り分け処理方法
JP2017074561A (ja) 複合廃棄物中の電子基板から非鉄金属を回収する方法
CN105170611A (zh) 一种工业塑料垃圾的破碎方法
CN105256142B (zh) 一种废旧电路板中铜金属的回收工艺
KR101909193B1 (ko) 탈산제 제조 장치 및 그에 의한 탈산제 제조 방법
KR101667271B1 (ko) 금속포일 표면의 코팅제거 시스템
KR101859632B1 (ko) 불순물 탄화 제거방식을 이용한 폐알루미늄의 재 활용 처리장치
CN103816981A (zh) 一种干式选煤机
JP2742670B2 (ja) 使用済みスチール缶の処理方法
KR20190000600U (ko) 폐 알루미늄 재 활용 처리 시스템의 폐 알루미늄 이송 경로 절환장치
JP2006194511A (ja) 熱分解ガス化溶融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