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435B1 - 피처리물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피처리물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435B1
KR101866435B1 KR1020150053962A KR20150053962A KR101866435B1 KR 101866435 B1 KR101866435 B1 KR 101866435B1 KR 1020150053962 A KR1020150053962 A KR 1020150053962A KR 20150053962 A KR20150053962 A KR 20150053962A KR 101866435 B1 KR101866435 B1 KR 101866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processed
heat
dry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4306A (ko
Inventor
정두찬
김고환
신기업
윤희철
정현태
한영록
나은수
신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신우산업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신우산업개발(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50053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435B1/ko
Publication of KR20160124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F26B17/2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the axis of rotation being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00Preliminary treatment of solid materials or objects to facilitate drying, e.g. mixing or backmixing the materials to be dried with predominantly dry solids
    • F26B1/005Preliminary treatment of solid materials or objects to facilitate drying, e.g. mixing or backmixing the materials to be dried with predominantly dry solids by means of disintegrating, e.g. crushing, shredding, milling the material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처리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처리된 상기 피처리물이 유출되는 유출구를 구비하는 건조하우징; 상기 건조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피처리물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 상기 건조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열풍공급부에 의해 건조된 상기 피처리물에서 배출된 함습가스를 배기시키는 함습배기부; 및, 상기 건조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피처리물을 분쇄하고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류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공급부는, 상기 건조하우징의 내부에 유출입되는 상기 피처리물의 하측에서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는 제1 공급부; 및, 상기 건조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상기 피처리물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열풍을 분사하는 제2 공급부;를 구비하는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피처리물 건조장치{DRYING APPARATUS FOR METERIAL TO BE TREATED}
본 발명은 피처리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장치로 연속적으로 투입되는 피처리물의 건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피처리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화공, 철강산업분야에서는 저함수율의 원료를 대량으로 건조하는 시스템이 상당수 필요하다.
특히, 철강과 비철금속 제련과정의 경우에 소요되는 건조처리능력은 시간당 600톤에 달하는 등 일반산업에서 소요되는 시간당 처리능력 2톤 수준에 비하면 상상을 초월하는 규모이다.
규모가 초대형화되면 열전달과 물질전달이 매우 다르게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기계구조에 대한 설계 및 제작 관련 핵심기술은 일본, 독일, 미국, 유럽 기술선진국의 전유물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하수처리슬러지, 산업폐수슬러지 등에 소요되는 건조설비는 처리능력이 큰 대형설비의 경우 시간당 30톤 수준이지만, 고함수율(80% 내외)이고 고점성(1,000,000CP 수준)이므로 화공 및 철강 산업에 소요되는 건조설비와는 달리 기술적 요구조건이 매우 달라, 규모면에서 건조설비가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2003년 유기성 슬러지 직매립 금지조치 이후, 슬러지는 정부의 강력한 자원화정책에 힘입어 시멘트원료, 연료화(2500~4000kcal/kg-DS) 등이 추진되어 왔다.
이러한 슬러지의 모든 처리공정에서 가장 핵심적이면서 필수적인 공정은 건조이며 건조설비의 성능이 설비비와 운영비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매우 효율적이며 콤팩트화된 건조장치의 출시가 시기적으로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규모 있는 건조장치는 기술선진국에서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지만 산업과 물성별로 맞춤식이기 때문에 범용화하는데 제한이 많아 공급자 수요자가 요구하는 기계형식과 처리방식에 적합한 설비를 시공하는데 인적, 물적 제원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분야의 피처리물을 처리 가능하도록, 상이한 처리용량과, 물성을 가지는 피처리물을 건조처리 할 수 있는 범용화되고 처리능력의 수용범위가 넓은 건조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고함습 슬러지 건조처리에서는 적층된 상태에서 건조되므로 슬러지의 처리량이 제한되며, 처리효율이 낮고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스크류 방식을 적용하는 슬러지 건조장치는 스크류를 통해 슬러지의 분쇄와 이송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이송되는 슬러지의 표면은 건조되지만 내측의 슬러지는 건조되지 않고 점착성인 슬러지가 스크류블레이드와 축에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하여 실질적으로 분쇄작용은 거의 기대할 수 없고, 결국 스크류에 과부하가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건조장치에서 발생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피처리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공간에서 피처리물로의 열전달과, 피처리물의 이송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피처리물의 건조효율이 극대화된 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피처리물의 이송과 동시에 피처리물을 교반 및, 파쇄하여 피처리물과 열풍의 비표면적을 최대로 하면서 열전달할 수 있어 건조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피처리물의 건조와 이송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서, 고함수율 및, 고점성의 대형슬러지 등의 다양한 종류의 피처리물을 건조할 수 있는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피처리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처리된 상기 피처리물이 유출되는 유출구를 구비하는 건조하우징; 상기 건조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피처리물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 상기 건조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열풍공급부에 의해 건조된 상기 피처리물에서 배출된 함습가스를 배기시키는 함습배기부; 및, 상기 건조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피처리물을 분쇄하고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류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공급부는, 상기 건조하우징의 내부에 유출입되는 상기 피처리물의 하측에서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는 제1 공급부; 및, 상기 건조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상기 피처리물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열풍을 분사하는 제2 공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공급부는, 상기 건조하우징에 유입된 상기 피처리물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피처리물이 이송되는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열풍유도주관 및, 상기 열풍유도주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피처리물을 향해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분사지관을 포함하는 열풍분사관을 구비하며,
상기 열풍분사지관은, 선단부가 상기 스크류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피처리물에 매립될 수 있도록, 상기 열풍유도주관으로부터 복수 개의 상기 스크류컨베이어 사이의 공간 또는, 상기 건조하우징의 측벽과 상기 스크류컨베이어의 사이의 공간까지 연장되어 배치된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제1 공급부는, 열풍을 공급하는 열공급실; 상기 열공급실과 상기 건조하우징의 사이에 구비되고, 열풍이 공급되는 복수개의 분공구를 구비하는 열유동판; 및, 상기 열유동판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분공구로 상기 피처리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일체식분공판;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열유동판은, 상기 유입구 방향에서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분공구의 설치밀도가 줄어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일체식분공판은, 상기 열유동판의 상측에 이격 설치되는 분공덮판; 및, 상기 열유동판과 상기 분공덮판 사이에 구비되어, 적어도 상기 피처리물이 이송되는 방향은 폐쇄되도록 구비되는 분공가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분공덮판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판상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분공가이드는 상기 피처리물이 이송되는 유출방향 면을 개방하고, 나머지 3면을 폐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분공구를 통해 하측에서 유입된 열풍이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난류상으로 분사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스크류컨베이어는, 상기 피처리물이 이송되는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크류축; 상기 스크류축의 둘레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분절형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류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블레이드가 접합되는 외경접합부와, 인접한 상기 외경접합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공간인 공동부가 교번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스크류컨베이어는, 상기 블레이드에 구비되어, 상기 피처리물을 교반하는 리프트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스크류컨베이어는, 상기 스크류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상기 스크류축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건조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하우징 내부의 산소농도를 조절하는 산소농도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소농도조절부는, 상기 건조하우징 내부의 산소농도를 감지하는 산소센서; 및, 상기 산소센서에 의해 검출된 산소농도가 12%를 초과할 경우, 상기 건조하우징에서 배출되는 배기를 상기 열풍공급부로 공급하여 상기 건조하우징 내부의 산소농도를 낮추는 배기순환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건조하우징의 내부로 질소를 공급하여 상기 건조하우징 내부의 산소농도를 낮추는 질소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처리물을 건조시키는 건조하우징 내부에서 열풍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열풍에서 피처리물로의 열전달과, 스큐류컨베이어에 의해 피처리물의 이송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피처리물의 건조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건조대상인 피처리물을 이송과 동시에 피처리물을 교반 및, 파쇄하여 피처리물과 열풍의 비표면적을 최대로 하면서 열전달할 수 있어 건조효율이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피처리물을 분쇄하고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류컨베이어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스크류컨베이어에 의해 파쇄 및, 교반되는 피건조물로 열풍이 균일하게 분사되면서 건조장치의 건조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건조대상인 피처리물을 이송과 동시에 피처리물을 교반 및, 파쇄함으로써, 고함수율 및, 고점성의 대형슬러지 등의 다양한 종류의 피처리물을 건조할 수 있어 건조장치의 가동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피처리물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는 제1 공급부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피처리물로의 열전달을 극대화하여 피처리물의 수분제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열유동판의 상측에 이격 설치되는 분공덮판 및,상기 열유동판과 상기 분공덮판 사이에 구비되어, 적어도 상기 피처리물이 이송되는 방향은 폐쇄되도록 구비되는 분공가이드를 구비하는 일체식분공판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난류(swirl) 상으로 피처리물로 분사된 열풍에 의해 피처리물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이 촉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건조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상기 피처리물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열풍을 분사하는 제2 공급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제1 공급부에서 하측에서 피처리물로 공급된 열풍과, 제2 공급부에서 상측에서 피처리물로 공급되는 열풍이 난류간섭을 일으키면서 피처리물 건조장치(10)의 건조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피처리물 건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부분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피처리물 건조장치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열풍의 공급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피처리물 건조장치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공급부의 열유동판의 평면도와 횡방향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스크류컨베이어와 제2 공급부의 열풍분사지관의 배치를 도시한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공급부의 열풍분사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스크류컨베이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우선, 건조장치의 건조효율과 관련하여 간단히 살펴본 후 본 발명의 피처리물 건조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건조장치의 건조효율은 크게 열전달 효율과 물질전달 효율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열전달 효율은 피처리물로의 열전달 속도 즉, 피처리물이 열전도매체와 얼마나 빠르게 열전달이 이루어지는가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열풍 건조방식에서는 피처리물이 고온의 건조가스와 얼마나 빠르게 열전달이 이루어지는지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열전도 건조방식에서는 피처리물이 고온의 금속판과 얼마나 빠르게 열전달이 이루어지는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건조에서 요구되어지는 온도를 무시하고 단순히 건조 측면만 본다면 열전도매체가 고온일수록 효과적이고 건조과정에서 증발된 수분을 함유하는 배기를 얼마나 빨리 배출하느냐에 따라 건조효율이 결정될 수 있다.
물질전달 효율은 피처리물을 얼마나 정확하고 빠르게 교반 및 파쇄하여 이송되는지에 의해 주로 결정된다.
피처리물이 건조열원과 잘 접촉할 수 있도록 쪼개고 뒤집어 건조열원과 접촉할 수 있는 비표면적을 최대로 하는 것이 열효율과 건조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건조장치의 규모를 줄일 수 있는 엔지니어링의 기초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조장치의 열전달 효율의 관점에서 열풍공급부의 세부구성을 도입하고, 물질전달 효율의 관점에서 스크류컨베이어의 세부구성을 도입하여 건조장치의 건조효율을 극대화시키고자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처리물 건조장치(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처리물 건조장치(10)는 건조하우징(100), 열풍공급부(200), 함습배기부(300) 및, 스크류컨베이어(40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산소농도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장치는 건조하우징(100), 열풍공급부(200), 함습배기부(300) 및, 스크류컨베이어(400)를 포함할 수 있다.
피처리물 건조장치(10)는 피처리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처리된 상기 피처리물이 유출되는 유출구(120)를 구비하는 건조하우징(100)과, 상기 건조하우징(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피처리물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200)와, 상기 건조하우징(100)에 구비되어, 상기 열풍공급부(200)에 의해 건조된 상기 피처리물에서 배출된 함습가스를 배기시키는 함습배기부(300) 및, 상기 건조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피처리물을 분쇄하고 상기 유출구(120)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류컨베이어(400)를 포함할 수 있다.
피처리물 건조장치(10)는 유입구(110)를 통해 투입된 피처리물을 열풍공급부(200)에서 공급된 고온의 열풍과의 열교환시키면서, 건조된 피처리물을 스크류컨베이어(400)에 의해 이송시켜 유출구(120)로 배출시킨다.
건조하우징(100)은 내부에서 투입된 피처리물을 열풍공급부(200)에서 공급된 고온의 열풍과의 열교환시키고, 유입구(110)로 투입된 피처리물을 연속적으로 이송 및 교반하는 공간이다.
건조하우징(100)의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피처리물은 스크류컨베이어(400)에 의해 유출구(120)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0)의 상부에는 유입슈트(111)가 설치되고, 유입슈트(111)로 피처리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이송스크류(112)가 설치될 수 있고, 유출구(120)의 하부에는 유출슈트(121)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하우징(10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폭커버(140)가 설치될 수 있다. 방폭커버(140)는 건조하우징(100)의 상측에는 건조장치의 유지보수 및, 정비 작업시 맨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방폭커버(140)는 건조하우징(100) 내부의 피처리물에서 발생된 분진 등에 의한 폭발시 사용되는 안전장치이다.
방폭커버(140)는 힌지에 의해 건조하우징(100)의 상부에 고정된 자중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방폭커버(140)와 건조하우징(100)의 접합부에는 내열성 고무실링이 형성될 수 있다.
방폭커버(140)는 건조하우징(100)의 내부에서 분진 등에 의한 폭발이 발생할 경우, 방폭커버(140)가 급격하게 개방될 경우, 방폭커버(140)의 힌지에 설치된 리미트스위치에 접촉되고, 리미트스위치에 연계된 개방구동부(미도시)가 작동되면서 방폭커버(140)는 일정한 시간동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방구동부와 방폭커버(140)의 상판은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고, 개방구동부가 와이어를 와인딩하여 방폭해지의 상판을 건조하우징(100)의 맨홀이 개방되도록 회동시켜 방폭커버(140)는 개방될 수 있다.
물롤, 방폭커버(140)는 피처리물 건조장치(10)의 유지보수를 위해 별도의 스위치에 의해 수동 조작으로 개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열풍공급부(200)는 건조대상인 피처리물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열풍공급부(200)는 피처리물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이 증발할 수 있도록 피처리물의 현열상승과 증발잠열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공급부(200)는 고온의 열풍을 발생시키는 열풍발생기(250)와, 열풍발생기(250)에 생성된 열풍의 공급을 가속화하는 부스터블러워(260)를 구비할 수 있고, 부스터블러워(260)에 의해 가속된 열풍은 공급배관(211)을 통해 열공급실(210)로 공급될 수 있다.
열풍발생기(250)에 의해 발생된 열풍은 열공급실(210)로 공급될 수 있고, 열공급실(210) 내부의 열풍은 열유동판(220)의 분공구(221)를 통해 건조하우징(100) 내부의 피처리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공급실(210)을 다수의 열공급격실(212)로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격실 내부의 열풍은 온도는 상이하게 유지될 수 있다.
건조하우징(100)의 유입구(110) 측의 열공급격실(212) 내부의 열풍의 온도는 건조하우징(100) 유출구(120) 측의 열공급격실(212) 내부의 열풍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될 수 있다.
이는 유출구(120) 방향으로 갈수록 피처리물의 함수율은 감소되는 바, 유출구(120)에 인접한 열공급격실(212)로 과도하게 높은 온도의 열풍이 공급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열공급격실(212) 간의 온도차이는 열공급격실(212)로 공급되는 열풍의 공급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일 예로, 각각의 열공급격실(212)로 공급되는 열풍의 공급유량은 공급배관(211)에 설치된 개폐밸브의 오픈정도에 의해 유입구(110) 측의 열공급격실(212) 내부의 열풍의 온도를 유출구(120) 측의 열공급격실(212) 내부의 열풍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조절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입구(110) 측의 열공급격실(212)로 열풍을 공급하는 공급배관(211)의 직경을 유출구(120) 측의 공급배관(211)의 직경에 비해 크게 구성함으로써, 유입구(110) 측의 열공급격실(212) 내부의 열풍의 온도를 유출구(120) 측의 열공급격실(212) 내부의 열풍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열풍공급부(200)는 상기 건조하우징(100)의 내부에 유출입되는 상기 피처리물의 하측에서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는 제1 공급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급부는 건조하우징(1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열풍공급부(200)의 제1 공급부는 열공급실(210), 열유동판(220) 및, 일체식분공판(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급부는 열풍을 공급하는 열공급실(210)과, 상기 열공급실(210)과 상기 건조하우징(100)의 사이에 구비되고, 열풍이 공급되는 복수개의 분공구(221)를 구비하는 열유동판(220) 및, 상기 열유동판(2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분공구(221)로 상기 피처리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일체식분공판(2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유동판(220)에는 3개 이상의 분공구(221)가 10 ~ 15 mm의 간격으로 두고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유동판(220)은 건조하우징(100)과 열공급실(210)의 사이에 구비되어 건조하우징(100)과 열공급실(210)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고, 열유동판(220)은 적어도 건조하우징(100)의 하면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열유동판(220)은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소재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공급부는 열풍이 분공구(221)를 통해 직접 피처리물과 접촉하여 건조시키는 열풍건조방식과, 건조하우징(100)과 열공급실(210) 사이의 열유동판(220)를 매개로 피처리물로 열이 간접적으로 전달되면서 건조되는 열전도건조방식이 중첩적으로 적용되어 피처리물의 건조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유동판(220)은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부재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만곡진 'W자'형의 단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스크류컨베이어(400)는 상기 만곡진 'W자'형의 단면의 공간상에 배치될 수 있고, 만곡진 'W자'형의 단면의 공간상에 배치된 스크류컨베이어(400) 방향으로 피처리물이 유도되면서 이동될 수 있다.
건조하우징(100)의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피처리물은 스크류컨베이어(400)에 의해 유출구(120)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건조하우징(100)의 유입구(110) 측에서 유출구(120) 방향으로 이송되는 피처리물이 분공구(221)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일체식분공판(230)은 적어도 상기 피처리물이 이송되어 오는 유입구(110) 방향이 폐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일체식분공판(230)은 피처리물이 이송되어 오는 유입구(110) 방향과 열유동판(220)에 형성된 분공부가 설치된 영역에 대응되는 측면방향은 분공가이드(232)에 의해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공구(221)를 통해 피처리물이 유입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서는 분공가이드(232)가 상기 피처리물이 이송되는 유출구(120) 방향 면을 개방하고, 나머지 3면을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분공구(221)로 상기 피처리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피처리물에 의해 분공구(221)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열유동판(220)은, 상기 유입구(110) 방향에서 상기 유출구(120)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분공구(221)의 설치밀도가 줄어들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피처리물이 열풍공급부(200)에서 공급된 열풍에 의해 건조하우징(100)의 내부에서 건조됨에 따라, 유출구(120) 방향으로 갈수록 피처리물의 함수율은 감소되는 바, 열풍을 공급하는 분공구(221)가 과다하게 설치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오히려 분공구(221)가 과다하게 설치될 경우, 과도하게 건조된 피처리물이 분진 등의 형상으로 함습배기부(30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식분공판(230)은 분공덮판(231)과, 분공가이드(232)를 구비할 수 있다.
일체식분공판(230)은 상기 열유동판(220)의 상측에 이격 설치되는 분공덮판(231) 및, 상기 열유동판(220)과 상기 분공덮판(231) 사이에 구비되어, 적어도 상기 피처리물이 이송되는 방향은 폐쇄되도록 구비되는 분공가이드(232)를 구비할 수 있다.
분공덮판(231)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판상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분공가이드(232)는 상기 피처리물이 이송되는 유출구(120) 방향 면을 개방하고, 나머지 3면을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공덮판(231)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판상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분공가이드(232)는 상기 피처리물이 이송되는 유출방향 면을 개방하고, 나머지 3면을 폐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분공구(221)를 통해 하측에서 유입된 열풍이 상기 유출구(120) 방향으로 난류상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분공가이드(232)는 모서리부분이 용접 접합되면서, 유출구(120)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3면은 폐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유동판(220)은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부재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만곡진 'W자'형의 단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부재의 사이에 평행한 판상의 부재인 중앙돌출부가 형성되어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부재가 이격되어 형성되고, 2 개의 스크류컨베이어(400)가 구획될 수 있다.
분공덮판(231)은 열유동판(220)의 반원형의 단면 부분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분공덮판(231)은 열유동판(220)의 반원형 단면 부분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판상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스크류컨베이어(400)는 상기 만곡진 'W자'형의 단면의 공간상에 배치될 수 있고, 만곡진 'W자'형의 단면의 공간상에 배치된 스크류컨베이어(400) 방향으로 피처리물이 유도되면서 이동될 수 있다.
도 2의 확대된 A부분을 참조하면, 열풍공급부(200)에 의해 열공급실(210)에 저장된 열풍은 열유동판(220)의 분공구(221)를 통해 건조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열풍은 분공구(221)를 통해 수직방향으로 상승하였다고, 분공덮판(231)과 분공가이드(232)에 의해 진행방행이 90도 각도로 전환되면서 난류(swirl) 상으로 피처리물을 향해 분출될 수 있고, 이와 같은 열풍의 난류효과에 의해 피처리물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이 촉진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형성된 난류화된 열풍이 건조하우징(100) 내부에서 회전하는 스크류컨베이어(400)에 의해 파쇄 및, 교반되는 피건조물로 균일하게 분사되면서 피처리물 건조장치(10)의 건조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분공덮판(231)은 열유동판(220)의 만곡진 'W자형' 단면의 반원형 공간부가 가지는 열유동판(220)의 곡률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분공가이드(232)는 상기 분공덮판(231)의 하부에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분공구(221)를 통해 배출된 열풍을 유도할 수 있다.
분공덮판(231)은 열유동판(22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고, 분공덮판(231)관 열유동판(220)의 이격된 공간상으로 분공구(221)를 통해 공급된 열풍이 유도될 수 있다.
일체식분공판(230)은 적어도 피처리물이 이송되는 유입방향을 폐쇄하여 스크류컨베이어(400)에 의해 이송되는 피처리물이 분공구(22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분공구(221)를 통해 배출된 열풍을 유도하는 커버형의 부재이다.
분공덮판(231)은 분공구(221)의 상측의 공간을 밀폐하여 분공구(221)를 통해 피처리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분공구(221)가 피처리물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이다.
분공가이드(232)는 열유동판(220)과 분공덮판(231)의 사이에 구비되어 분공덮판(231)을 지지하는 부재이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공급부(200)는, 상기 건조하우징(100)의 내부에 유입된 상기 피처리물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는 제2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급부는 건조하우징(100)의 내부로 유입된 피처리물을 사이에 두고 제1 공급부와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급부는 피처리물의 하부에 설치되어 피처리물의 하측에서 열풍을 공급하고, 제2 공급부는 피처리물의 상측에 설치되어 피처리물의 상측에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공급부에서 하측에서 피처리물로 공급된 열풍과, 제2 공급부에서 상측에서 피처리물로 공급되는 열풍이 난류간섭을 일으키면서 피처리물 건조장치(10)의 건조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급부는 공급된 열풍을 상기 건조하우징(100)에 저장된 상기 피처리물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분사하는 열풍분사관(240)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분사관(240)은, 상기 건조하우징(100)에 유입된 상기 피처리물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피처리물이 이송되는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열풍유도주관(241) 및, 상기 열풍유도주관(241)에서 분기되어 상기 피처리물을 향해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분사지관(242)을 구비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분사지관(242)은 인접한 상기 스크류컨베이어(400)의 사이의 공간 또는, 상기 건조하우징(100)의 측벽(130)과, 상기 스크류컨베이어(400)의 사이의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열풍분사지관(242)은 스크류컨베이어(400)의 설치영역을 벗어난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열풍분사지관(242)이 스크류컨베이어(400)와의 간섭없이 스크류컨베이어(400)에 의해 이송되는 피처리물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면서, 제1 공급부와 제2 공급부에 의해 피처리물이 용이하게 건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처리물로 열전달이 보다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열풍분사지관(242)의 선단부는 피처리물에 매립될 수 있다.
즉, 유입된 피처리물에 의해 열풍분사지관(242)의 선단부가 매립된 상태에서 설비를 가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열풍분사지관(242)은, 상기 유입구(110) 방향에서 상기 유출구(120)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열풍분사지관(242)의 설치밀도가 줄어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피처리물이 열풍공급부(200)에서 공급된 열풍에 의해 건조하우징(100)의 내부에서 건조됨에 따라, 유출구(120) 방향으로 갈수록 피처리물의 함수율은 감소되는 바,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분사지관(242)이 과다하게 설치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컨베이어(400)는, 상기 피처리물이 이송되는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크류축(410)과, 상기 스크류축(410)의 둘레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분절형 블레이드(420)를 구비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스크류축(410)이 건조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스크류컨베이어(400)는 스크류축(410)의 둘레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분절형 블레이드(420)가 상호 간섭되지 않으면서 인접한 스크류컨베이어(400)의 블레이드(420)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피처리물의 이송의 관점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하우징(100)에 제2 공급부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열풍분사관(240)은 열풍분사지관(242)이 인접한 스크류컨베이어(400)의 블레이드(4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바, 인접한 스크류컨베이어(400)의 블레이드(420) 사이의 간격은 열풍분사지관(242) 직경의 2.5 ~ 7 배의 범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스크류축(410)에 설치된 분절형 블레이드(420)는 피처리물의 이송기능과 피처리물의 교반 및 분절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축(410)은 중공강관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스크류축(410)의 외주면에는 상기 블레이드(420)가 접합되는 외경접합부(411)와, 인접한 상기 외경접합부(411)의 사이에 구비되는 공간인 공동부(412)가 교번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절형 블레이드(420)는 스크류축(410)의 외경접합부(411)에 설치될 수 있고, 분절형 블레이드(420) 사이에는 공동부(4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피처리물이 점도가 높은 고함수율 상태인 경우, 블레이드(420)에 의해 피처리물이 분쇄 내지 분산되기 어렵고, 스크류컨베이어(400) 상에서 피처리물이 압착되면서 스크류컨베이어(400)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이 종종 발생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피처리물 건조장치(10)의 조업중단을 방지하기 위해 스크류컨베이어(400)에는 분절형 블레이드(42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컨베이어(400)는 상기 블레이드(420)에 구비되어, 상기 피처리물을 교반하는 리프트(4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리프트(430)는 블레이드(420)면에 수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리프트(430)는 피처리물의 교반능력을 배가하여, 고온의 열풍이 슬러지층의 통과압력 강하를 보다 크게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석탄이나 철광석 같은 비점착성이면서 대용량 처리에서는 교반능력을 배가하여 건조열풍의 슬러지층 통과 압력강하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리프트(430)는 상기 피처리물이 이송되는 유입방향 측에 구비되는 블레이드(420) 중 적어도 어느 일부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리프트(430)는 블레이드(420) 전체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컨베이어(400)의 적어도 어느 일단부에는 스크류축(410)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연계되어 설치될 수 있다.
스크류컨베이어(400)는 상기 스크류축(410)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상기 스크류축(410)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스크류컨베이어(400)는 고온의 공간에서 노출되는 점에서 열팽창 및 수축이 발생할 수 있고, 스크류컨베이어(400)가 5m 이상의 장축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비틀림응력에 의해 심하게 손상이 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스크류축(410)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스크류축(410)의 일단부에만 구동수단이 결합될 경우 스크류축(410)에 가해지는 비틀림 응력에 의해 발생된 스크류축(410)의 변형이나 파손으로 인한 피처리물 건조장치(10)의 조업이 중단될 수 있는바, 스크류축(410)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스크류축(410)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상기 스크류축(410)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하여 조업중단으로 인한 피처리물 건조장치(10)의 가동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피처리물 건조장치(10)는 건조하우징(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하우징(100) 내부의 산소농도를 조절하는 산소농도조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산소농도조절부는, 상기 건조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하우징(100) 내부의 산소농도를 감지하는 산소센서(미도시) 및, 상기 산소센서에 의해 검출된 산소농도가 12%를 초과할 경우, 상기 건조하우징(100)에서 배출되는 배기를 상기 열풍공급부(200)로 공급하여 상기 건조하우징(100) 내부의 산소농도를 낮추는 배기순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산소농도조절부는 건조하우징(100)의 내부로 질소를 공급하여 상기 건조하우징(100) 내부의 산소농도를 낮추는 질소공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로, 산소농도조절부가 필요한 경우는, 피처리물 건조장치(10)에서 건조되는 피처리물이 석탄, 유기용매 등의 가연성 또는 휘발성 물질인 경우이다.
건조실하우징 상부에 설치된 산소센서에서 발생된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시켜 배기의 재순환양을 제어하는 배기순환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기순환부는 산세센서에서 발생된 전기적인 신호를 증폭시켜 배기의 재순환양을 제어하는 엑츄에이터가 장착된 배기재순환밸브를 개방하여 건조하우징(100) 내부의 산소농도를 낮출 수 있다.
하지만, 배기순환부를 통해 건조하우징(100)에서 배출된 배기를 열풍공급부(200)를 통해 건조하우징(100)으로 공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산소농도가 충분히 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질소공급부에서 건조하우징(100)의 내부로 질소를 공급하여 산소농도를 2차적으로 낮출 수 있다.
이때, 질소공급부는 질소탱크의 질소를 공급할수 있도록 역시 엑츄에이터가 장착된 질소제어밸브을 개방함으로써 적정량의 질소가 공급되어 건조하우징(100) 내부의 산소농도를 낮춰 피처리물의 건조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석탄 또는 유기용매가 포함된 물질을 건조할 경우에는 건조실에서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건조하우징(100) 내부의 산소농도를 12% 이하로 유지하여야 하는바, 산소센서에 의해 측정된 건조하우징(100) 내부의 산소농도가 12%를 초과할 경우, 배기순환부가 건조하우징(100)에서 배출된 배기를 열풍공급부(200)를 통해 건조하우징(100)으로 공급하여 산소농도를 1차적으로 낮출 수 있다.
배기순환부를 통해 건조하우징(100)에서 배출된 배기를 열풍공급부(200)를 통해 건조하우징(100)으로 공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건조하우징(100) 내부의 산소농도가 12%를 초과할 경우, 건조하우징(100)의 내부로 질소를 공급하여 산소농도를 2차적으로 낮출 수 있다.
먼저,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피처리물 건조장치 100: 건조하우징
110: 유입구 111: 유입슈트
112: 이송스크류 120: 유출구
121: 유출슈트 130: 측벽
140: 방폭커버 200: 열풍공급부
210: 열공급실 211: 공급배관
212: 열공급격실 220: 열유동판
221: 분공구 230: 일체식분공판
231: 분공덮판 232: 분공가이드
240: 열풍분사관 241: 열풍유도주관
242: 열풍분사지관 250: 열풍발생기
260: 부스터블로워 300: 함습배기부
400: 스크류컨베이어 410: 스크류축
411: 외경접합부 412: 공동부
420: 블레이드 430: 리프트

Claims (14)

  1. 피처리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처리된 상기 피처리물이 유출되는 유출구를 구비하는 건조하우징; 상기 건조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피처리물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 상기 건조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열풍공급부에 의해 건조된 상기 피처리물에서 배출된 함습가스를 배기시키는 함습배기부; 및, 상기 건조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피처리물을 분쇄하고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류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공급부는, 상기 건조하우징의 내부에 유출입되는 상기 피처리물의 하측에서 고온의 열풍을 공급하는 제1 공급부; 및, 상기 건조하우징 내부로 유입된 상기 피처리물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열풍을 분사하는 제2 공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공급부는, 상기 건조하우징에 유입된 상기 피처리물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피처리물이 이송되는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열풍유도주관 및, 상기 열풍유도주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피처리물을 향해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분사지관을 포함하는 열풍분사관을 구비하며,
    상기 열풍분사지관은, 선단부가 상기 스크류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피처리물에 매립될 수 있도록, 상기 열풍유도주관으로부터 복수 개의 상기 스크류컨베이어 사이의 공간 또는, 상기 건조하우징의 측벽과 상기 스크류컨베이어의 사이의 공간까지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공급부는,
    열풍을 공급하는 열공급실;
    상기 열공급실과 상기 건조하우징의 사이에 구비되고, 열풍이 공급되는 복수개의 분공구를 구비하되 3개 이상의 분공구가 10 ~ 15 mm의 간격으로 두고 설치되어 상기 건조하우징의 하면을 감싸도록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부재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만곡진 'W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열유동판; 및
    상기 열유동판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열유동판에 설치된 3개 이상의 분공구로 상기 피처리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일체식분공판;을 포함하고,
    상기 일체식분공판은, 상기 열유동판의 상측에 이격 설치되는 분공덮판; 및 상기 열유동판과 상기 분공덮판 사이에 구비되어, 적어도 상기 피처리물이 이송되는 방향은 폐쇄되도록 구비되는 분공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분공덮판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판상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분공가이드는 상기 피처리물이 이송되는 유출방향 면을 개방하고, 나머지 3면을 폐쇄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분공구를 통해 하측에서 유입된 열풍이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난류상으로 분사되고,
    상기 열공급실에는 다수의 열공급격실 및 공급배관을 구비하여, 각 공급배관에 개폐밸브를 설치하고, 유입구 측의 열공급격실로 열풍을 공급하는 공급배관의 직경을 유출구 측의 공급배관의 직경에 비해 크게 형성하여, 개폐밸브의 오픈정도와 공급배관의 직경 크기에 의해 열풍의 공급유량을 조절하여 유입구 측의 열공급격실 내부의 열풍의 온도가 유출구 측의 열공급격실 내부의 열풍의 온도 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스크류컨베이어는, 상기 피처리물이 이송되는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크류축; 및 상기 스크류축의 둘레방향으로 이격 형성되는 분절형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류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블레이드가 접합되는 외경접합부와, 인접한 상기 외경접합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공간인 공동부가 교번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컨베이어는, 상기 블레이드에 수직으로 부착되어 상기 피처리물을 교반하는 리프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유동판은, 상기 유입구 방향에서 상기 유출구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분공구의 설치밀도가 줄어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컨베이어는, 상기 스크류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이 상기 스크류축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우징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하우징 내부의 산소농도를 조절하는 산소농도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소농도조절부는,
    상기 건조하우징 내부의 산소농도를 감지하는 산소센서; 및,
    상기 산소센서에 의해 검출된 산소농도가 12%를 초과할 경우, 상기 건조하우징에서 배출되는 배기를 상기 열풍공급부로 공급하여 상기 건조하우징 내부의 산소농도를 낮추는 배기순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하우징의 내부로 질소를 공급하여 상기 건조하우징 내부의 산소농도를 낮추는 질소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비하는 건조장치.
KR1020150053962A 2015-04-16 2015-04-16 피처리물 건조장치 KR101866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962A KR101866435B1 (ko) 2015-04-16 2015-04-16 피처리물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962A KR101866435B1 (ko) 2015-04-16 2015-04-16 피처리물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306A KR20160124306A (ko) 2016-10-27
KR101866435B1 true KR101866435B1 (ko) 2018-06-12

Family

ID=57247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962A KR101866435B1 (ko) 2015-04-16 2015-04-16 피처리물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4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632B1 (ko) * 2018-12-26 2019-12-05 김주섭 폐배지 건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8559B1 (ko) * 2017-08-29 2019-03-14 가산자원산업(주) 폐 알루미늄 재활용 처리 시스템의 폐 알루미늄 수분 저감을 위한 건조장치
KR102322930B1 (ko) * 2020-02-27 2021-11-09 최정은 열풍식 건조기의 열풍공급구 폐색 방지장치 및 폐색 방지장치가 장착된 열풍식 건조기
EP4019870A1 (en) * 2020-12-22 2022-06-29 Andritz Gouda B.V. Method of operating a paddle dryer and paddle dryer
KR102592819B1 (ko) * 2023-08-03 2023-10-20 최현수 폐기물 건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887B1 (ko) * 2006-04-07 2007-03-30 이동완 소각장치에서 발생하는 폐열(스팀)을 이용하는 슬러지건조장치
JP2014202434A (ja) * 2013-04-05 2014-10-27 三菱重工環境・化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間接加熱式乾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7194A (ja) * 1993-05-26 1994-12-06 Toho Gas Co Ltd 高温熱風乾燥装置
KR20090001350A (ko) * 2007-06-29 2009-01-08 나은수 파쇄·교반·이송 기능을 가진 스크루, 이 스크루가 장착된스크루건조기 및 다단 스크루건조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887B1 (ko) * 2006-04-07 2007-03-30 이동완 소각장치에서 발생하는 폐열(스팀)을 이용하는 슬러지건조장치
JP2014202434A (ja) * 2013-04-05 2014-10-27 三菱重工環境・化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間接加熱式乾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632B1 (ko) * 2018-12-26 2019-12-05 김주섭 폐배지 건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306A (ko) 2016-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6435B1 (ko) 피처리물 건조장치
US9683779B2 (en) Indirectly heated rotary dryer
KR101326856B1 (ko) 슬러지 건조장치
UA95288C2 (ru) Сушильное (варианты) и испар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ушки зернистого материала, испар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ия летучих веществ из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способ высушивания зернистого материала,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летучих веществ из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KR100852024B1 (ko) 열풍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용 건조장치
KR101610751B1 (ko) 슬러지의 자원화 시스템 및 자원화 방법
US8298475B2 (en) High temperature and economizing furnace system
CN204727933U (zh) 一种金属固体废料回收处理设备
CN101396168A (zh) 提高有机植物材料的膨胀和干燥处理效率的方法和供给器
CN101408368A (zh) 具有热量再生单元的粒状材料处理单元
JP2001272169A (ja) 連続式回転乾燥機
CN105953575A (zh) 一种自检测间接加热式回转炉
CN207797635U (zh) 一种烘干设备及烘干系统
KR102180289B1 (ko) 하이브리드 벨트식 다단건조기를 갖춘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US11650013B2 (en) Conveying a material to be conveyed
KR101857012B1 (ko) 가스의 순환을 이용한 연속적인 폐플라스틱 유화 시스템
CN102445064B (zh) 叠片式连续驱溶干燥机
US20220203299A1 (en) Waste Gas Separation and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8740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bulk material, especially bark, sawdust, pretreated sludge or a mixture thereof
CN108503186B (zh) 一种污泥热泵干燥系统
CN202873111U (zh) 一种微波焙烧设备
US5864964A (en) Longitudinal continuous kiln for drying and vulcanizing rubber profiles
KR101957718B1 (ko) 저온기류와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융합형 건조장치 및 그 건조방법
KR102631363B1 (ko) 고효율 슬러지 건조기, 에너지 절감형 ai 슬러지 건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04513942U (zh) 一种粉料干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