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446B1 - Continuous Ship Unloader - Google Patents

Continuous Ship Unloa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446B1
KR101958446B1 KR1020170075899A KR20170075899A KR101958446B1 KR 101958446 B1 KR101958446 B1 KR 101958446B1 KR 1020170075899 A KR1020170075899 A KR 1020170075899A KR 20170075899 A KR20170075899 A KR 20170075899A KR 101958446 B1 KR101958446 B1 KR 101958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ging
vertical
frame
angle
conveyo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8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36755A (en
Inventor
김동주
이성열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5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446B1/en
Publication of KR20180136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7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4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6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2Central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26General arrangements for moving bulk material upwards or horizontally
    • B65G2814/0328Picking-up means
    • B65G2814/0331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4/0332Bucket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9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연속식 하역장치가 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는, 다수의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고, 하방에 동일한 높이에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메인 구동 휠을 장착하는 본체부; 상기 메인 구동 휠에 탑재되어 순환 구동하는 컨베이어 라인; 상기 메인 구동 휠 중 하나의 휠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어 설치되고, 컨베이어 라인의 상방 구동을 지지하는 수직인양 지지부; 상기 컨베이어 라인에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다수 장착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적재물을 내부공간에 수용할 수 있고 거꾸로 뒤집어지면 개방된 상부를 통해 수용된 적재물을 쏟아낼 수 있는 구조의 버킷;을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면 버킷이 하역물을 담아서 올라갈 때 기울어짐으로써 하역물의 일부가 쏟아져 하역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하역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 continuous handling device is presented. The continuous type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unit having a plurality of frame structures and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same height to mount the main driving wheel; A conveyor line mounted on the main drive wheel and circulatingly driven; A vertical lifting supporter extending from a wheel of the main driving wheel by a predetermined heigh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supporting the upward driving of the conveyor line; A plurality of buckets spaced apart from the conveyor lin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apable of receiving the load in the inner space by opening the upper portion and pouring the loaded load through the opened upper portion when the upside is inverted;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inuous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including a structure capable of increasing the unloading efficiency by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unloading efficiency is lowered due to a part of the unloading object being poured by inclining the bottom bucket when the loading bucket is loaded .

Description

연속식 하역장치{Continuous Ship Unloader}[0001] Continuous Ship Unloader [0002]

본 발명은 연속식 하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역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inuous type unload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inuous unloading apparatus including a structure capable of increasing the unloading efficiency.

일반적으로 선박에 적재된 원료 등의 적재물을 지상의 벨트컨베이어로 이송하는 설비로 연속식 하역장치가 사용된다.In general, continuous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is used as a facility to transport loads such as raw materials loaded on a ship to a belt conveyor on the ground.

이같은 연속식 하역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부(11)에 체인을 따라 회전하는 버킷(16, Bucket)이 구비되며 버킷(16)의 회전에 의해 선박의 적재부에 있는 적재물이 버킷(16) 내측에 담겨져서 상측으로 이동된 후, 붐(18, Boom)에 구비된 벨트컨베이어를 따라 지상으로 이송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shown in Fig. 1, such a continuous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bucket 16, which rotates along the chain, on the excavating portion 11, and the load on the loading portion of the vessel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bucket 16, (16), is moved upward, and then transported to the ground along a belt conveyor provided on the boom (18, Boom).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부두(21)에 석탄이나 철광석 같은 연원료(30)를 적재한 선박이 정박하면, 연속식 하역장치(10)를 이용해 선박에 적재된 연원료(30)를 하역하게 되는데, 이러한 연속식 하역장치(10)는, 부두(21)를 따라 이동하는 주행부(19)의 상측에 수평 방향으로 붐(18)이 연결되며, 붐(18)의 하측으로 엘리베이터 포스트(17)가 설치된다.First, when a ship loaded with a raw material 30 such as coal or iron ore is poured into the wharf 21, the raw material 30 loaded on the ship is unloaded using the continuous cargo handling device 10, The loading device 10 is connected to a boom 18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a running part 19 moving along the wharf 21 and an elevator post 17 is installed below the boom 18.

그리고 엘리베이터 포스트(17)의 하부에는 굴삭부(11)가 위치하며, 굴삭부(11)를 따라 이동하는 버킷(16)이 선박의 저장고로 진입하여 철광석 또는 석탄 등의 연원료(30)를 굴삭하여 붐(18)에 구비된 벨트컨베이어로 전달한다. 이후 붐(18)을 따라 이송되는 연원료(30)는 붐(18)을 통해 주행부(19)의 하측에 구비된 지상벨트컨베이어(20)로 이동되어 야적장으로 이동된다.The excavator 11 is positioned below the elevator post 17 and the bucket 16 moving along the excavator 11 enters the ship's reservoir and digests the raw material 30 such as iron ore or coal To the belt conveyor provided in the boom (18). Thereafter, the raw material 30 transported along the boom 18 is moved to the yard by the ground belt conveyor 20 provided below the running portion 19 through the boom 18.

종래 기술에 따른 굴삭부(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의 서스펜션 롤러(14)와 10개의 가이드 롤러(15)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의 굴삭부(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원료를 담아 올라가는 버킷(12)이 기울어져 하역물의 일부가 쏟아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The excavating portion 11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 structure including four suspension rollers 14 and ten guide rollers 15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3, the excavating portion 11 having such a structure has a problem in that a portion of the unloaded material is poured by tilting the bucket 12 which holds the raw material.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의 경우, 하역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기고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continuous unloa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nloading efficiency is lowered.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연속식 하역장치에 대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for a continuous handling device capable of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대한민국등록특허 10-0530664 (2005년 11월 16일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530664 (registered on November 16, 2005)

본 발명의 목적은, 배면 버킷이 하역물을 담아서 올라갈 때 기울어짐으로써 하역물의 일부가 쏟아져 하역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하역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inuous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including a structure capable of increasing the unloading efficiency by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unloading efficiency is lowered due to a part of the unloading object being poured by tilting when the bottom bucket holds the unloading object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는, 다수의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고, 하방에 동일한 높이에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메인 구동 휠을 장착하는 본체부; 상기 메인 구동 휠에 탑재되어 순환 구동하는 컨베이어 라인; 상기 메인 구동 휠 중 하나의 휠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어 설치되고, 컨베이어 라인의 상방 구동을 지지하는 수직인양 지지부; 상기 컨베이어 라인에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다수 장착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적재물을 내부공간에 수용할 수 있고 거꾸로 뒤집어지면 개방된 상부를 통해 수용된 적재물을 쏟아낼 수 있는 구조의 버킷;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inuous type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frame structures and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at a same height; A conveyor line mounted on the main drive wheel and circulatingly driven; A vertical lifting supporter extending from a wheel of the main driving wheel by a predetermined heigh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supporting the upward driving of the conveyor line; A plurality of bucket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the conveyor line, the buckets being capable of receiving the load in the inner space and opening the upper portion and pouring the loaded load through the upper portion opened upside down;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 구동 휠은, 본체부의 하단에 둘 이상 동일한 높이로 장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drive wheel may be mounted at the same height as two or more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경우에 따라서, 상기 연속식 하역장치는, 메인 구동휠의 높이를 변경하는 높이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some cases, the continuous load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height changing portion for changing a height of the main driving wheel.

또한, 상기 연속식 하역장치는, 메인 구동휠의 수평 방향 이격 거리를 변경하는 이격거리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inuous load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istance changing unit for changing the horizontal distance of the main driving whe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인양 지지부는 본체부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lifting support portion may extend from a lower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down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이 경우, 상기 수직인양 지지부의 하단부에 메인 구동 휠이 장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in drive wheel may be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lifting support.

또한, 상기 수직인양 지지부에는, 수직인양 지지부의 하단부에 장착된 메인 구동 휠의 수직 높이 및 수평 위치를 변경시키는 위치변경부가 장착될 수 있다.The vertical lifting support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position changing portion for changing the vertical height and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ain driving wheel mounted on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vertical lifting support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속식 하역장치는, 수직인양 지지부의 하단부에 장착된 메인 구동 휠에 의해 순환 구동하는 컨베이어 라인의 상하 높이방향 이동 각도를 검출하는 각도검출부; 및 상기 각도검출부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컨베이어 라인의 상하 높이방향 이동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위치변경부를 구동시켜 메인 구동 휠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inuous loading device includes: an angle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moving angle of the conveyor line circulatingly driven by the main driving wheel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lifting support unit; And a control unit driving the position changing unit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main driving wheel so that the moving angle of the conveyor line in the up-and-down height direction can be adjusted with a predetermined angle based on the data detected from the angle detecting unit.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속식 하역장치는, 수직인양 지지부의 측면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는 컨베이어 라인에 장착된 버킷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기울기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울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컨베이어 라인의 상하 높이방향 이동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위치변경부를 구동시켜 메인 구동 휠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inuous load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tilt detector for detecting a tilt of a bucket mounted on a conveyor line moving upward along a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lifting support, The position changing unit can be driven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main driving wheel so that the moving angle of the conveyor line in the up-and-down height direction can be adjusted at a predetermined angle based on the detected dat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양단에 메인 구동 휠을 각각 하나씩 장착하고, 수평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연장된 구조의 수평방향 프레임; 및 상기 수평방향 프레임의 일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수직방향 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includes: a horizontal fram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one main driving wheel is mounted at each end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is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frame having a structure extending upward from the on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by a predetermined heigh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속식 하역장치는, 상기 수평방향 프레임과 수직방향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고, 일단부는 수직방향 프레임의 일측면에 힌지구조에 의해 장착되고, 타단부는 수평방향 프레임의 상부면에 힌지구조에 의해 장착되며, 길이가 변경되어 수평방향 프레임과 수직방향 프레임이 이루는 각도를 변경시키는 각도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inuous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connects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to each other, one end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by a hinge structure, And an angle changing unit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inge structure to change the angle formed by the horizontal direction frame and the vertical direction frame with the changed lengt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속식 하역장치는, 상기 수평방향 프레임과 수직방향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고, 일단부는 수직방향 프레임의 일측면에 힌지구조에 의해 장착되고, 타단부는 수평방향 프레임의 상부면에 힌지구조에 의해 장착되며, 일단부 또는 타단부의 위치가 변경되어 수평방향 프레임과 수직방향 프레임이 이루는 각도를 변경시키는 각도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inuous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connects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to each other, one end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by a hinge structure, And an angle changing unit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inge structure for changing the angle between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one end or the other en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속식 하역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본체부, 컨베이어 라인, 수직인양 지지부 및 버킷을 구비함으로써, 배면 버킷이 하역물을 담아서 올라갈 때 기울어짐으로써 하역물의 일부가 쏟아져 하역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하역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tinuous unloa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main body portion of a specific structure, the conveyor line, the vertical lifting support portion and the bucket, the rear bucket can be inclined when lifting the unloading wat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inuous cargo handling device including a structure 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 of lowering the unloading efficiency and increasing the unloading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의 연속식 하역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본체부, 컨베이어 라인, 수직인양 지지부 및 버킷을 구비함으로써, 서스펜션 롤러의 수량을 감소시켜 연속식 하역장치의 자체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어, 운용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continuous unloa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in body portion of a specific structure, the conveyor line, the vertical lifting support portion and the bucket are provided, the number of suspension rollers can be reduced to reduce the self- The operating efficienc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연속식 하역장치에 따르면, 메인 구동 휠의 높이를 변경하는 높이변경부, 메인 구동 휠의 수평 방향 이격 거리를 변경하는 이격거리 변경부를 구비함으로써, 메인 구동휠에 의해 구동되는 컨베이어 라인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컨베이어 라인에 장착된 버킷의 위치를 운용자에 의해 손쉽게 조정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배면 버킷이 하역물을 담아서 올라갈 때 기울어짐으로써 하역물의 일부가 쏟아져 하역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inuous unloa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height changing portion for changing the height of the main driving wheel and the separation distance changing portion for changing the horizontal separation distance of the main driving wheel, The position of the line on the conveyor line can be adjusted easily by the operator, and as a result, the rear bucket is tilted when lifting the unloading water, resulting in a part of the unloading water being poured, Can be solved.

또한, 본 발명의 연속식 하역장치에 따르면, 수직인양 지지부의 하단부에 메인 구동 휠의 수직 높이 및 수평 위치를 변경시키는 위치변경부를 장착함으로써, 컨베이어 라인에 장착된 버킷의 위치를 운용자에 의해 손쉽게 조정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배면 버킷이 하역물을 담아서 올라갈 때 기울어짐으로써 하역물의 일부가 쏟아져 하역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inuous cargo hand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the position changing portion for changing the vertical height and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ain drive wheel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vertical lifting support portion, the position of the bucket mounted on the conveyor line is easily adjusted by the operator As a result, when the rear bucket is inclined when lifting up the unloaded water, a part of the unloaded water is poured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unloading efficiency is lowered.

또한, 본 발명의 연속식 하역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성의 각도검출부, 기울기 검출부 및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배면 버킷이 하역물을 담아서 올라갈 때 기울어짐으로써 하역물의 일부가 쏟아져 하역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continuous cargo hand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ar bucket is inclined when the rear bucket is lifted up with the bottom load, by provid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angle detecting portion, the tilt detecting portion and the control portion, a part of the cargo is poured, Can be solved.

또한, 본 발명의 연속식 하역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수평방향 프레임 및 수직방향 프레임 및 각도변경부를 구비함으로써, 컨베이어 라인에 장착된 버킷의 위치를 운용자에 의해 손쉽게 조정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배면 버킷이 하역물을 담아서 올라갈 때 기울어짐으로써 하역물의 일부가 쏟아져 하역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continuous unloa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bucket mounted on the conveyor line can be easily adjusted by the operator by providing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nd the angle changing portion having a specific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unloading efficiency is lowered due to a part of the unloading water being poured by tilting when loading and unloading the unloading materia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속식 하역장치의 풋(foot)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속식 하역장치의 버킷이 하역 도중 기울어져 하역물의 일부를 쏟아내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4의 일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tinuous type unloa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Fig. 2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the foot portion of the continuous cargo handling device of Fig. 1; Fig.
3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ucket of the continuous cargo handling device shown in Fig. 2 is tilted during unloading and a part of the unloading material is poured out.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ustion furn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tinuous cargo handl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Prior to the description,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on "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when the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when there is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소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일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ustion furn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100)는, 특정 구조의 본체부(110), 컨베이어 라인(120), 수직인양 지지부(130) 및 버킷(14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figures, the continuous cargo handl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110 having a specific structure, a conveyor line 120, a vertical lifting support portion 130, and a bucket 140 Lt; / RTI >

본 발명의 연속식 하역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본체부, 컨베이어 라인, 수직인양 지지부 및 버킷을 구비함으로써, 배면 버킷이 하역물을 담아서 올라갈 때 기울어짐으로써 하역물의 일부가 쏟아져 하역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하역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inuous unloa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having the main body portion of a specific structure, the conveyor line, the vertical lifting support portion and the bucket, the rear bucket can be inclined when lifting the unloading wat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inuous cargo handling device including a structure 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 and increasing the unloading efficiency.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다수의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고, 하방에 동일한 높이에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메인 구동 휠(151, 152)을 장착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main body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frame structures and may be structured such that the main drive wheels 151 and 152 are mounted at the same heigh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수직인양 지지부(130)는, 메인 구동 휠(151, 152) 중 하나의 휠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어 설치되고, 컨베이어 라인(120)의 상방 구동을 지지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vertical lifting support 130 may be a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wheel of one of the main driving wheels 151 and 152 by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supporting the upward driving of the conveyor line 120.

컨베이어 라인(120)은, 본체부(110)에 장착되어 있는 메인 구동 휠(151, 152)에 탑재되어 순환 구동될 수 있다.The conveyor line 120 may be mounted on the main drive wheels 151 and 152 mounted on the main body 110 and circulated.

또한, 컨베이어 라인(120)에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다수 장착되는 버킷(140)은, 상부가 개방되어 적재물을 내부공간에 수용할 수 있고 거꾸로 뒤집어지면 개방된 상부를 통해 수용된 적재물을 쏟아낼 수 있는 구조임이 바람직하다.The bucket 140, which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nveyor line 120 and is mounted in a large number, is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load in the inner space by opening the upper portion and pouring the loaded load through the opened upper portion, Structur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 구동 휠(151, 152)은, 본체부의 하단에 둘 이상 동일한 높이로 장착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4,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drive wheels 151 and 15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mounted at the same height of two or more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경우에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구동휠(151, 152)과 인접하여 높이변경부(161)를 장착하여, 메인 구동휠(151, 152)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6, the height of the main drive wheels 151 and 152 can be changed by attaching the height changing portion 161 adjacent to the main drive wheels 151 and 152. In this case,

이 경우, 하역물의 종류 및 하역물의 적재 상태 등에 따라 메인 구동휠(151, 152)의 위치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하역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sitions of the main drive wheels 151 and 152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argo and the loading state of the cargo, and as a result, the cargo efficienc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더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구동휠(151, 152)의 수평 방향 이격 거리를 변경하는 이격거리 변경부(162)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6, the continuous cargo handl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separation distance changing unit 162 for changing the horizontal separation distance of the main driving wheels 151 and 152 May be included.

이 경우 역시, 하역물의 종류 및 하역물의 적재 상태 등에 따라 메인 구동휠(151, 152)의 위치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하역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as well, the positions of the main drive wheels 151 and 152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argo and the loading state of the cargo, and as a result, the cargo efficiency can be remarkably improv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직인양 지지부(130)는 본체부(110)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설치된 구조임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vertical lifting support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10 down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이때, 수직인양 지지부(130)의 하단부에 메인 구동 휠(152)이 장착되고, 메인 구동 휠(152)의 수직 높이 및 수평 위치를 변경시키는 위치변경부(도시하지 않음)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a main drive wheel 152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lifting support 130, and a position change unit (not shown) for changing the vertical height and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ain drive wheel 152 may be additionally mounted have.

따라서, 본 발명의 연속식 하역장치(100)에 따르면, 수직인양 지지부(130)의 하단부에 메인 구동 휠(152)의 수직 높이 및 수평 위치를 변경시키는 위치변경부를 장착함으로써, 컨베이어 라인(120)에 장착된 버킷(140)의 위치를 운용자에 의해 손쉽게 조정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배면 버킷이 하역물을 담아서 올라갈 때 기울어짐으로써 하역물의 일부가 쏟아져 하역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Thus, according to the continuous cargo handl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the position changing portion for changing the vertical height and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ain drive wheel 152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vertical lifting support portion 130, The operator can easi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bucket 140 mounted on the rear bucket 140. As a result, the rear bucket can be inclined when the bucket is lifted up.

경우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100)는, 특정 구성의 각도검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some cases, the continuous cargo handl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angle detecting portion and a control portion of a specific configuration.

구체적으로, 각도검출부는, 수직인양 지지부의 하단부에 장착된 메인 구동 휠에 의해 순환 구동하는 컨베이어 라인의 상하 높이방향 이동 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ngle detecting section can detect the vertical moving angle of the conveyor line circulatingly driven by the main drive wheel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lifting support section.

제어부는, 각도검출부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컨베이어 라인의 상하 높이방향 이동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위치변경부를 구동시켜 메인 구동 휠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main drive wheel by driving the position changing unit so that the angle of movement of the conveyor line in the up-and-down height direction can be adjusted with a predetermined angle based on the data detected from the angle detection unit.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100)는, 수직인양 지지부의 측면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는 컨베이어 라인에 장착된 버킷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기울기 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inuous cargo handl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tilt detecting portion that detects a tilt of the bucket mounted on a conveyor line moving upwar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lifting support portion.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는, 특정 구성의 각도검출부, 기울기 검출부 및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컨베이어 라인(120)에 장착된 버킷(140)의 위치를 운용자에 의해 손쉽게 조정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배면 버킷이 하역물을 담아서 올라갈 때 기울어짐으로써 하역물의 일부가 쏟아져 하역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inuous 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easi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bucket 140 mounted on the conveyor line 120 by the operator by having the angle detection portion, the tilt detection portion and the control portion of a specific configuration, As a result, the rear bucket can be tilted when loading and unloading the unloading water, thereby solving the problem that a part of the unloading water is poured and the unloading efficiency is lowered.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tinuous cargo handl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특정 구조의 수평방향 프레임(111) 및 수직방향 프레임(112)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main body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orizontal direction frame 111 and a vertical direction frame 112 having a specific structure.

구체적으로, 수평방향 프레임(111)은, 양단에 메인 구동 휠(151, 152)을 각각 하나씩 장착하고, 수평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수직방향 프레임(112)은, 수평방향 프레임(111)의 일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horizontal direction frame 111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main driving wheel 151 and one vertical driving wheel 152 are provided at both ends, respectively, and extend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the vertical direction frame 112 may have a structure extending upward from the one end of the horizontal direction frame 111 by a predetermined height.

이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장치(100)는, 수평방향 프레임(111)과 수직방향 프레임(112)이 이루는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는 각도변경부(17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inuous type cargo handl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n angle changing unit 170 capable of changing the angle formed by the horizontal direction frame 111 and the vertical direction frame 112 .

구체적으로, 각도변경부(170)는, 수평방향 프레임(111)과 수직방향 프레임(112)을 서로 연결하고, 일단부는 수직방향 프레임(112)의 일측면에 힌지구조에 의해 장착되고, 타단부는 수평방향 프레임의 상부면에 힌지구조에 의해 장착되는 구조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angle changing portion 170 connects the horizontal direction frame 111 and the vertical direction frame 112, and one end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direction frame 112 by a hinge structure, May be a structure that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frame by a hinge structure.

각도변경부(170)는, 길이가 변경되어 수평방향 프레임(111)과 수직방향 프레임(112)이 이루는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The angle changing unit 170 may change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horizontal direction frame 111 and the vertical direction frame 112 by changing the length.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변경부(170)는, 일단부 또는 타단부의 위치가 변경되어 수평방향 프레임(111)과 수직방향 프레임(112)이 이루는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6, the angle changing unit 170 changes the angle between the horizontal direction frame 111 and the vertical direction frame 112 by changing the position of one end or the other end,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속식 하역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본체부, 컨베이어 라인, 수직인양 지지부 및 버킷을 구비함으로써, 배면 버킷이 하역물을 담아서 올라갈 때 기울어짐으로써 하역물의 일부가 쏟아져 하역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하역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연속식 하역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tinuous unloa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main body portion of a specific structure, the conveyor line, the vertical lifting support portion and the bucket, the rear bucket can be inclined when lifting the unloading wat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inuous cargo handling device including a structure capable of solving the problem of lowering the unloading efficiency and increasing the unloading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의 연속식 하역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본체부, 컨베이어 라인, 수직인양 지지부 및 버킷을 구비함으로써, 서스펜션 롤러의 수량을 감소시켜 연속식 하역장치의 자체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어, 운용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continuous unloa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in body portion of a specific structure, the conveyor line, the vertical lifting support portion and the bucket are provided, the number of suspension rollers can be reduced to reduce the self- The operating efficienc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연속식 하역장치에 따르면, 메인 구동 휠의 높이를 변경하는 높이변경부, 메인 구동 휠의 수평 방향 이격 거리를 변경하는 이격거리 변경부를 구비함으로써, 메인 구동휠에 의해 구동되는 컨베이어 라인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컨베이어 라인에 장착된 버킷의 위치를 운용자에 의해 손쉽게 조정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배면 버킷이 하역물을 담아서 올라갈 때 기울어짐으로써 하역물의 일부가 쏟아져 하역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inuous unloa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height changing portion for changing the height of the main driving wheel and the separation distance changing portion for changing the horizontal separation distance of the main driving wheel, The position of the line on the conveyor line can be adjusted easily by the operator, and as a result, the rear bucket is tilted when lifting the unloading water, resulting in a part of the unloading water being poured, Can be solved.

또한, 본 발명의 연속식 하역장치에 따르면, 수직인양 지지부의 하단부에 메인 구동 휠의 수직 높이 및 수평 위치를 변경시키는 위치변경부를 장착함으로써, 컨베이어 라인에 장착된 버킷의 위치를 운용자에 의해 손쉽게 조정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배면 버킷이 하역물을 담아서 올라갈 때 기울어짐으로써 하역물의 일부가 쏟아져 하역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inuous cargo hand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the position changing portion for changing the vertical height and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ain drive wheel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vertical lifting support portion, the position of the bucket mounted on the conveyor line is easily adjusted by the operator As a result, when the rear bucket is inclined when lifting up the unloaded water, a part of the unloaded water is poured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unloading efficiency is lowered.

또한, 본 발명의 연속식 하역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성의 각도검출부, 기울기 검출부 및 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배면 버킷이 하역물을 담아서 올라갈 때 기울어짐으로써 하역물의 일부가 쏟아져 하역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continuous cargo handl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ar bucket is inclined when the rear bucket is lifted up with the bottom load, by provid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angle detecting portion, the tilt detecting portion and the control portion, a part of the cargo is poured, Can be solved.

또한, 본 발명의 연속식 하역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수평방향 프레임 및 수직방향 프레임 및 각도변경부를 구비함으로써, 컨베이어 라인에 장착된 버킷의 위치를 운용자에 의해 손쉽게 조정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배면 버킷이 하역물을 담아서 올라갈 때 기울어짐으로써 하역물의 일부가 쏟아져 하역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continuous unloa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bucket mounted on the conveyor line can be easily adjusted by the operator by providing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nd the angle changing portion having a specific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unloading efficiency is lowered due to a part of the unloading water being poured by tilting when loading and unloading the unloading material.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thereof, which are to be considered as being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intention is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 and descrip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such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연속식 하역장치
110: 본체부
111: 수평방향 프레임
112: 수직방향 프레임
120: 컨베이어 라인
130: 수직인양 지지부
140: 버킷
151: 메인 구동 휠
152: 메인 구동 휠
161: 높이변경부
162: 이격거리 변경부
170: 각도변경부
100: Continuous handling device
110:
111: Horizontal frame
112: vertical direction frame
120: Conveyor line
130: vertical lifting support
140: Bucket
151: main drive wheel
152: main drive wheel
161:
162:
170:

Claims (12)

연속식 하역장치(100)에 있어서,
다수의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고, 하방에 동일한 높이에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메인 구동 휠(151, 152)을 장착하는 본체부(110);
상기 메인 구동 휠(151, 152)에 탑재되어 순환 구동하는 컨베이어 라인(120);
하단부에 메인 구동휠(152)이 장착되고, 메인 구동 휠(152)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어 설치되고, 컨베이어 라인(120)의 상방 구동을 지지하는 수직인양 지지부(130);
상기 컨베이어 라인(120)에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다수 장착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적재물을 내부공간에 수용할 수 있고 거꾸로 뒤집어지면 개방된 상부를 통해 수용된 적재물을 쏟아낼 수 있는 구조의 버킷(140);
수직인양 지지부의 하단부에 장착된 메인 구동 휠에 의해 순환 구동하는 컨베이어 라인의 상하 높이방향 이동 각도를 검출하는 각도검출부;
수직인양 지지부의 측면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는 컨베이어 라인에 장착된 버킷의 기울기를 검출하는 기울기 검출부; 및
상기 각도검출부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컨베이어 라인의 상하 높이방향 이동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위치변경부를 구동시켜 메인 구동 휠의 위치를 변경시키고, 기울기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컨베이어 라인의 상하 높이방향 이동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위치변경부를 구동시켜 메인 구동 휠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인양 지지부(130)에는,
수직인양 지지부(130)의 하단부에 장착된 메인 구동 휠(152)의 수직 높이 및 수평 위치를 변경시키는 위치변경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
In the continuous cargo handling device (100)
A main body 110 having a plurality of frame structures and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t the same height in the downward direction to mount the main drive wheels 151 and 152;
A conveyor line 120 mounted on the main drive wheels 151 and 152 and circulatingly driven;
A vertical lifting support 130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main driving wheel 152 and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main driving wheel 152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supporting the upward driving of the conveyor line 120;
A plurality of buckets 140 spaced apart from the conveyor line 1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to allow the load to be received in the inner space and to be pour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pened when the portion is turned upside down, ;
An angle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vertical moving angle of the conveyor line circulatingly driven by the main driving wheel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lifting support unit;
A tilt detector for detecting a tilt of the bucket mounted on a conveyor line moving upward along the side of the vertical lifting support; And
The position changing unit is driven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main drive wheel so as to adjust the moving angle of the conveyor line in the up-and-down height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based on the data detected from the angle detecting unit, and based on the data detected from the tilt detecting unit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position changing unit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main driving wheel so as to adjust the moving angle of the conveyor line in the up-and-down height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Lt; / RTI >
In the vertical lifting support 130,
And a position changing unit for changing the vertical height and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main drive wheel (152)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lifting support unit (1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구동 휠(151, 152)은, 본체부의 하단에 두 개가 동일한 높이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wo main driving wheels (151, 152) are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at the same heigh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식 하역장치(100)는, 메인 구동휠(151, 152)의 높이를 변경하는 높이변경부(16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inuous cargo handling device (100) further comprises a height changing portion (161) for changing the height of the main driving wheels (151, 15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식 하역장치(100)는, 메인 구동휠(151, 152)의 수평 방향 이격 거리를 변경하는 이격거리 변경부(16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inuous cargo handling device (100) further comprises a separation distance changing part (162) for changing a horizontal separation distance of the main driving wheels (151, 15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양단에 메인 구동 휠(151, 152)을 각각 하나씩 장착하고, 수평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연장된 구조의 수평방향 프레임(111); 및
상기 수평방향 프레임(111)의 일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수직방향 프레임(11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110 includes:
A horizontal frame 111 having a structure in which one main driving wheel 151 and one vertical driving wheel 152 are installed at both ends and is extend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frame 112 extending upward from the on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11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식 하역장치(100)는,
상기 수평방향 프레임(111)과 수직방향 프레임(112)을 서로 연결하고, 일단부는 수직방향 프레임(112)의 일측면에 힌지구조에 의해 장착되고, 타단부는 수평방향 프레임의 상부면에 힌지구조에 의해 장착되며, 길이가 변경되어 수평방향 프레임(111)과 수직방향 프레임(112)이 이루는 각도를 변경시키는 각도변경부(1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inuous cargo handling device (100)
The horizontal frame 111 and the vertical frame 1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n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11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112 by a hinge structure.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11 is connected to a hinge structure An angle changing unit 170 mounted by the angle changing unit 170 and changing the angle between the horizontal direction frame 111 and the vertical direction frame 112;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load-carrying unit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load-receiving unit.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식 하역장치(100)는,
상기 수평방향 프레임(111)과 수직방향 프레임(112)을 서로 연결하고, 일단부는 수직방향 프레임(112)의 일측면에 힌지구조에 의해 장착되고, 타단부는 수평방향 프레임(111)의 상부면에 힌지구조에 의해 장착되며, 일단부 또는 타단부의 위치가 변경되어 수평방향 프레임(111)과 수직방향 프레임(112)이 이루는 각도를 변경시키는 각도변경부(1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inuous cargo handling device (100)
The horizontal frame 111 and the vertical frame 1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n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111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112 by a hinge structure, An angle changing unit 170 mounted by a hinge structure and changing the position of one end or the other end to change the angle formed by the horizontal frame 111 and the vertical frame 112;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load-carrying unit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load-receiving unit.
KR1020170075899A 2017-06-15 2017-06-15 Continuous Ship Unloader KR1019584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899A KR101958446B1 (en) 2017-06-15 2017-06-15 Continuous Ship Unloa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899A KR101958446B1 (en) 2017-06-15 2017-06-15 Continuous Ship Unloa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755A KR20180136755A (en) 2018-12-26
KR101958446B1 true KR101958446B1 (en) 2019-03-14

Family

ID=65006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899A KR101958446B1 (en) 2017-06-15 2017-06-15 Continuous Ship Unloa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44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2112Y2 (en) * 1991-03-14 1997-04-09 大和製衡株式会社 Article supply device
JP3910661B2 (en) * 1996-05-24 2007-04-25 石川島運搬機械株式会社 Quantitative scraping device for continuous unloader
KR101572371B1 (en) * 2014-04-29 2015-11-27 현대제철 주식회사 Continuous ship unload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5056A (en) * 1997-03-21 1998-10-0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Bucket elevator scraping device for coal hoist
KR100530664B1 (en) 2004-04-02 2005-11-2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Continuous Ship Unloader with Rotary Transfer Chut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2112Y2 (en) * 1991-03-14 1997-04-09 大和製衡株式会社 Article supply device
JP3910661B2 (en) * 1996-05-24 2007-04-25 石川島運搬機械株式会社 Quantitative scraping device for continuous unloader
KR101572371B1 (en) * 2014-04-29 2015-11-27 현대제철 주식회사 Continuous ship unloa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755A (en) 201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35843B2 (en) Tripper support structure for traveling stacker and traveling cargo handling device
US4268204A (en) Continuous ship unloader
CN106660720B (en) Bulk storage
US676075A (en) Means and mechanism for unloading ore, coal, &c., from vessels to docks, cars, &c.
KR101958446B1 (en) Continuous Ship Unloader
US10689198B2 (en) Conveyor apparatus
KR101167129B1 (e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bucket of continuous ship unloader
US1895939A (en) Article handling machine
KR101167130B1 (en) Continuous ship unloader
JP2003012260A (en) Skip device
US4310278A (en) Mobile delivery flow unifier
KR101298765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swerving of belt conveyor
JP2017137139A (en) Collision prevention device for continuous unloader
KR102057780B1 (en) Apparatus for sensing separation of bucket
KR20150061557A (en) Continuous unloader
KR101695420B1 (en) Dumping device for container
KR101760988B1 (en)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Continuous ship unloader
KR100350780B1 (en) An apparatus for preventing swing of container crane
CN220131372U (en) Turning type vertical shaft blanking device
US9216865B2 (en) Equipment for unloading bulk freighter and bulk carrier
JP5733619B2 (en) On-board detachable transporter
JP3643543B2 (en) Downward conveying method and apparatus
FI127366B (en) METHOD FOR MOVING THE PIECES TO A FINISHING MILL
KR102299559B1 (en) Continuous ship unloader
KR20200092085A (en) Chain release prevention device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