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412B1 - 땀에 의하여 스포츠웨어가 피부에 부착함을 방지하는 파일을 갖는 스포츠웨어용 포 - Google Patents

땀에 의하여 스포츠웨어가 피부에 부착함을 방지하는 파일을 갖는 스포츠웨어용 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412B1
KR101958412B1 KR1020170113215A KR20170113215A KR101958412B1 KR 101958412 B1 KR101958412 B1 KR 101958412B1 KR 1020170113215 A KR1020170113215 A KR 1020170113215A KR 20170113215 A KR20170113215 A KR 20170113215A KR 101958412 B1 KR101958412 B1 KR 101958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sportswear
ground
sweat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7037A (ko
Inventor
윤길중
권은순
Original Assignee
권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은순 filed Critical 권은순
Priority to KR1020170113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412B1/ko
Publication of KR20190027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04B1/04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 중 흘리는 땀이 스포츠웨어에 흡수됨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땀을 흘려도 스포츠웨어가 피부에 잘 붙지 않도록 하여 땀을 흡수한 스포츠웨어로 인한 불편함과 찝찝함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별도의 추가 공정없이 제포과정에서 스포츠웨어와 파일을 동시에 제포하되, 스포츠웨어에 일체로 형성된 강성(剛性; 뻣뻣한 성질)의 파일에 의하여 스포츠웨어와 피부간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한 스포츠웨어용 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파일의 밀도는 10개 내지 30개/6.5㎠, 파일 높이는 2㎜ 내지 5㎜, 파일사의 굵기는 20de 내지 400de의 모노필라멘트로 파일을 형성 할 수 있다.
또한 스포츠웨어용 포의 그라운드와 파일에 사용되는 섬유는 용도와 원하는 기능에 따라 다양한 소재의 섬유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땀에 의하여 스포츠웨어가 피부에 부착함을 방지하는 파일을 갖는 스포츠웨어용 포{Textile for sportswear having file to prevent sportswear to stick to the skin}
본 발명은 착용자가 운동 중에 땀이 발생하여도 그 땀에 의하여 스포츠웨어가 신체에 부착되지 않아 쾌적하고, 운동부하가 없는 신체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파일(돌기)을 갖는 스포츠웨어용 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 향상, 주 5일제 근무와 고령화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 웰빙 분위기 확산 및 매스미디어 영향과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 분위기 등으로 인해 생활체육으로서의 스포츠에 대한 참여가 전 연령층에 확대되고 있다. 스포츠 참여가 증가함에 따라 스포츠웨어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스포츠웨어의 시장규모는 2016년 6조9807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최근에는 애슬레틱(Atheletic)과 레저(Leisure)의 합성어인 애슬레저룩이 세계적인 트렌드로 부상하면서 일상에서 착용 가능한 스포츠웨어의 매출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애슬레저 시장은 2018년 2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더불어 일반인들의 생활체육 참여 종목이 과거에 비해 다양화됨에 따라 스포츠웨어의 아이템 또한 다양해지고 있으며, 다양한 유형의 스포츠 활동 시 요구되는 신체보호, 착용감, 내구성, 기능성 및 심미성, 패션성 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다.
본 발명은 그러한 요구 중에서도 착용자가 운동중에 땀이 발생하여도 그 땀에 의하여 스포츠웨어가 신체에 부착되지 않아 쾌적한 신체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스포츠웨어용 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스포츠웨어는 운동중에 땀 발생이나 체온상승에 의하여 끈적거리거나 착용감이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 스포츠웨어가 땀에 의하여 피부에 들러붙어 쾌적성이 저하하고, 운동부하가 많이 걸리고 쉽게 피로감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운동 중 발생하는 땀을 처리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20-0347053호에는 안감을 사용하지 않고도 착용시 피부에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하고, 까실까실한 촉감을 발현할 수 있어 가볍고 부피가 적은 레져, 스포츠 의류 소재로 유용한 원단으로, 투습방수성 원단의 일면에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이 도트(dot) 형태로 프린팅된 투습방수성원단이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원단과 별도로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별도로 제조하고 수지조성물을 별도로 프린팅해야 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며, 제포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도트프린팅되기 때문에 자주 세탁을 해야하는 불편, 시간이 흐르면 탈락되는 문제점이 있고, 플라스틱 구슬을 포에 부착하기 때문에 플라스틱이 피부에 닿아 끈적거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단순히 플라스틱 구슬 형태로 원단에 프린팅되기 때문에 원단이 피부에 직접 접촉되어 땀이 원단에 흡수되는 현상을 피할 수 없었다. 그리고 플라스틱 구슬의 크기가 제한을 받는 한계점이 있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 구슬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포에 대한 부착력이 작아서 사용중에 탈락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플라스틱 구슬이 크면 피부와의 접촉면적이 크게 되기 때문에 끈적거리는 결점이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구슬을 부착하기 위하여 그라운드의 포면에 다량의 접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라운드에 접착제 피복층이 형성되어 얻고자 하는 기능 즉, 땀을 흡수하는 기능, 땀을 발산하는 기능, 체온을 발산하는 기능 등이 현저히 약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등록실용신안 20-0415951호는 고무옷에 돌기를 형성하여 통풍이 원활하게 하여 땀이 차지 않게 하며, 착용자가 몸을 움직임으로서 마찰을 유도하여 마사지효과로 다이어트 효과를 제공하는 다이어트 고무옷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재질이 고무옷이기 때문에 패션성과 사교성을 중시하는 야외 스포츠웨어로 사용하기에는 적당하지 않을 뿐 아니라, 돌기가 마찰을 유도하는 강도를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자극이 오히려 불편하고, 또한 고무재질의 특성상 통풍이 되지 않아 사용후 고무장갑을 벗기가 매우 힘든 문제점과, 땀이나 노폐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성능이 약하여 사용후 피부에 발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무재질은 소재 자체가 무거워서 의류로 사용하거나, 스포츠웨어로 사용하기에는 적당하지 않다.
등록실용신안 20-0189052호는 브래지어, 숄더 등에 이용되는 의류부재에 지압돌기를 구성시켜 지압효과와 돌기로 인한 통기성과 함께 상기 돌기를 인체자극물질로 구성함으로서 자극물질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에 의한 각종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의류부재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고안의 적용대상은 의류 자체가 아닌 의류부재로서 스포츠웨어로 사용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인체에 자극을 주기 때문에 스포츠웨어로는 적당하지도 않다. 또한 돌기가 스포츠웨어 자체와 일체가 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로 접착되는 것이어서 별도의 추가공정이 필요하고, 평상시가 아니라 운동으로 땀 발생시 의류부재가 쉽게 땀에 젖는 등의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10-1418893호는 포의 표면에 크고 작은 사마귀 형태의 돌기 구조를 가지는 포를 제공함으로서 침구나 의자나 신발 등과 같이 사용 중에 신체와 접촉함에 있어 돌기 층과 피부 층간에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하여 쾌적하고 안락한 환경을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용도를 갖는 돌기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미 착용한 의복 위에 덮어지는 이불 등 침구이므로 땀이 직접 돌기포에 접촉하는 구조가 아니어서 스포츠웨어와는 무관하다. 뿐만 아니라 운동을 하는 중에 발생하는 땀을 염두에 두고 있지 않아 돌기의 크기가 어른들의 젓꼭지 크기만한 것으로 구성되어 점접촉하지 않으며, 돌기를 구성하는 방법도 그라운드를 구성하는 사를 사용하거나 면섬유를 여러가닥 합사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스포츠웨어로 사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20-0367787호는 의류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 중에서 어느 한 면 또는 양쪽 면에 복수개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통풍의 증대와 쿠션을 제공하는 기능성 의류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의류는 땀냄새 제거에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운동시 발생하는 땀이 의류에 흡수되는 것을 피할 수 없어 스포츠웨어로는 적당하지 않고, 돌기부를 접착하기 위한 별도의 접착제층을 구비해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하여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며, 돌기부도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코팅되는 것이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잔털을 포의 한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일반적인 포에 비하여 땀을 더욱 다량으로 흡수하는 문제점과 그에 따라 운동부하가 심하게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돌기가 있는 종래의 기술은 돌기를 별도의 공정으로 의류에 부착시켜 공정이 복잡하거나, 인위적으로 부착된 것이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돌기가 의류에서 떨어지거나, 돌기가 너무 납작하거나, 너무 작거나, 너무 간격이 넓거나, 또는 땀을 흡수하기 위한 목적이거나, 부피를 크게 하기 위한 목적이어서 운동 중 흘리는 땀이 스포츠웨어에 부착되지 않도록 한다는 인식이 없는 것이어서 땀이 부착되지 않는 스포츠웨어로는 부적합하였다.
KR 20-0347053 B1 KR 20-0415951 B1 KR 20-0189052 B1 KR 10-1418893 B1 KR 20-0367787 B1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운동 중 흘리는 땀이 스포츠웨어에 흡수됨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땀을 흘려도 스포츠웨어가 피부에 잘 붙지 않도록 하여 땀을 흡수한 스포츠웨어로 인한 불편함과 찝찝함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별도의 추가 공정없이 제포과정에서 스포츠웨어와 파일을 동시에 제포하여 공정을 단축하고, 원가를 절감하며, 스포츠웨어에 일체로 형성된 강성(剛性; 뻣뻣한 성질)의 파일에 의하여 스포츠웨어와 피부간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스포츠웨어로 땀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몸에 붙지 않는 스포츠웨어용 포를 제공하는 한편, 스포츠웨어에 형성된 파일에 의하여 스포츠웨어와 피부간에 공기 흐름을 용이하게 하고, 운동중 발생하는 체온을 용이하게 외부로 발산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 중 땀을 흘리더라도 쾌적함을 유지하고 청량감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땀이 흡수된 스포츠웨어의 무게로 인한 불쾌감과 운동부하가 걸리지 않아 피로감을 감소시키는 쾌적 환경을 위한 스포츠웨어용 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최근에 들어서서 합성섬유 방사기술이 장족의 발전을 이루어 기능성물질을 함유한 합성섬유사가 출시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제직업자의 요구에 의하여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섬유를 생산하여 주기도 한다. 그리고 방사시에 방사구금(紡絲口金; nozzle)의 형태도 다양하게 이루어져 사의 단면형상도 그만큼 다양화 되고 있어 그에 따른 합성섬유의 성질 또한 다양화 되어 직물업자의 선택의 폭이 넓어 졌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다양한 섬유를 제직업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환경으로 발전함으로써 지금은 원사 자체가 가지고 있는 성질의 기능성이나 단면구성에 따른 기술은 이미 일반화 되어 있다고 보아야 한다.
본 발명의 내용은 이와 같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소재에 의한 발명이 아니라 포의 구성에서 스포츠웨어용 포가 땀 등에 의하여 피부에 부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스포츠웨어의 내측에 강성(剛性; 뻣뻣한 성질)의 파일을 구성하여 스포츠웨어를 기둥처럼 받치고 있어서 피부에 붙지 않도록 하는 것을 본 발명의 기본으로 하고, 운동중 발생하는 땀이나 분비물 등을 처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포와 파일을 어떻게 조합하여야 우수한 스포츠웨어가 될 것인가를 고심한 끝에 완성한 것이다. 따라서 파일과 그라운드간에 역학적 상관관계를 제포업에서의 오랜 경험을 통한 체험으로 고려하여 섬유소재를 선택 사용하거나 연사, 열처리 등의 제포와 가공공정에서 처리하는 방법 등을 통하여 소비자의 용도에 맞게 제포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별도의 추가 공정없이 제포과정에서 스포츠웨어의 그라운드(바닥)포와 파일을 동시에 제포하되, 그라운드포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피부에 점접촉(點接觸; 극히 작은 면적의 접촉)하는 강성의 파일을 형성하여 땀을 흘려도 피부에 스포츠웨어가 잘 붙지 않도록 한 스포츠웨어용 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스포츠웨어의 포면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지 않고 견디는 강도(剛度)를 가진 파일을 형성하여 피부면과 스포츠웨어 면이 면(面)으로 접촉하지 않고 스포츠웨어에 형성된 파일에 의하여 점으로 접촉하도록 하면서 아울러 땀이 흐르더라도 강성의 파일이 기둥역할을 하여 스포츠웨어가 피부에 붙지 않도록 한 것이다.
그라운드에 사용할 수 있는 섬유 소재로는 그라운드에 부여하려는 성능에 따라 1) 흡한속건성 섬유를 사용하여 땀을 용이하게 외부로 발산할 수 있는 성능을 부여 할 수 있고, 2) 폴리우레탄 섬유나 또는 잠재권축사를 사용하여 그라운드에 신축성을 부여 할 수 있고, 3) 냉감섬유를 사용하여 시원한 감을 부여할 수 있고, 4) PP(폴리프로필렌)섬유를 사용하여 경량감을 부여할 수 있고, 5) PE(폴리에틸렌)섬유를 사용하여 오염을 줄일 수 있는 등 원하는 기능에 따라 기능성섬유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이들 섬유를 복합하여 필요한 기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아울러 파일에 사용할 수 있는 섬유 소재로는 1) 땀을 전혀 흡수하지 않는 로우 카운트(low count yarn) 또는 모노(mono; 한 가닥)로 된 PP사를 사용할 수 있고, 2) 흡한속건성사를 사용하여 피부의 땀을 빠르게 그라운드로 이송하여 피부외층으로 발산하게 할 수 있고, 3)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성섬유를 사용하여 피부의 열을 쉽게 외부로 발산하도록 할 수 있고, 4) 금속성섬유의 외층을 피복한 압출 피복한 코팅사를 사용할 수도 있는 등 여러 방법이 있을 수 있으므로 적당한 섬유 소재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파일을 구성하는 방법으로는 1) 모노 데니어의 굵기가 굵은 로우 카운트사로서 20de 내지 400de 정도의 굵기의 사를 사용하여 파일을 형성하거나 2)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성사를 심사로 사용하고 표면을 PE(폴리에틸렌)이나 PU(폴리우레탄) 또는 PVC(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합성수지로 압출피복한 200de 내지 800de 정도의 코팅사를 사용하거나 3)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성사와 흡한속건성이 있는 합성섬유를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성 사의 표면을 감아 피복하여 이루어진 코어 커버링사를 사용하는 방법 등에 의하여 선택하여 파일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소비자가 요구하는 기능 또는 설계자가 목적하는 기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각각 다른 기능을 가진 사를 스포츠웨어의 그라운드와 파일부분 등으로 구분하여 선택하여 사용하되 임의의 섬유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여러 섬유를 혼섬(混纖)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로 그라운드포와 파일은 열 전도성 섬유일 수 있다.
파일의 형상은 파일이 꼬아지거나, 루프파일 형태이거나, 루프끝을 절단한 것이거나, 끝이 둥근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파일의 밀도는 10개 내지 30개/6.5㎠, 파일 높이는 2㎜ 내지 5㎜, 파일사의 굵기는 20de 내지 400de의 모노필라멘트로 파일을 형성 할 수 있다.
또한 스포츠웨어용 포의 그라운드와 파일에 사용되는 섬유는 용도와 원하는 기능에 따라 다양한 소재의 섬유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렇듯 피부면과 스포츠웨어 면이 점접촉함으로서 스포츠웨어로 땀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피부에 붙지 않는 스포츠웨어용 포를 제공하는 한편, 스포츠웨어에 형성된 파일에 의하여 스포츠웨어와 피부간에 형성된 공간에 의하여 통풍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하고, 운동중 발생하는 체온을 용이하게 외부로 발산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 중 땀을 흘리더라도 쾌적함을 유지하고 청량감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땀이 흡수된 스포츠웨어의 무게로 인한 부하가 걸리지 않아 불쾌감과 피로감을 감소시키는 쾌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그라운드의 포면에 파일을 형성한 구조의 스포츠웨어용 포를 나타낸다. [도1]의 [가]는 직물로 된 포에서 포위에 파일을 형성한 구조의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파일 부분이 피부에 접촉하는 부분이 된다.
[도2]의 [가]는 편물로 된 포에서 포위에 파일을 형성한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3]은 양면으로 파일을 형성한 구조의 스포츠웨어용 포를 나타낸다.
[도4]의 [가]는 파일의 형태가 루프 파일형인 것이고, [도4]의 [나]는 루프(loop) 파일의 루프 끝을 절단한 형태도이다
[도5]는 파일의 끝을 둥글게 만든 형태도이다
[도6]은 파일의 기둥에 꼬임이 들어간 형태도이다
[도7]은 스날사(snarl yarn) 구조를 나타내는 형태도이다
[도8]은 부클레얀사(boucle yarn) 구조를 나타내는 형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스포츠웨어’라 함은 운동경기, 개인적 운동과 취미로 하는 운동 등에 착용하는 피복류의 총칭을 말하고, 피복류에는 몸을 감싸거나 걸친 일체의 것, 즉 옷, 모자, 장갑, 양말, 신, 머플러 등을 말한다. 그리고 ‘스포츠웨어용 포’라함은 그 스포츠웨어에 사용되는 포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파일’이란 용어는 통상 섬유업계에서 돌기, 루프, 또는 코라는 명칭으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의 파일의 형태는 벨크로테이프 또는 매직테이프로 불리는 것에서 후크에 해당하는 루프파일 또는 루프파일 첨단부를 절단한 커트(cut)루프파일 형태의 것과 유사하다.
본 발명의 파일은 스포츠웨어의 일측 또는 양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1 및 도2는 스포츠웨어의 일측에 파일을 형성한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파일이 스포츠웨어의 일측에 형성되고, 스포츠웨어를 맨 몸 위에 바로 입는 경우, 파일은 피부와 점접촉하게 되고, 맨 몸에 내복 등 속옷을 입은 후 그 위에 스포츠웨어를 입는 경우에는 파일은 속옷과 점접촉하게 된다. 도3은 스포츠웨어의 양측에 파일을 형성한 것을 나타낸다. 본발명의 스포츠웨어를 맨 몸에 입고, 그 위에 다른 의류를 입는 경우 파일은 안쪽으로는 피부와, 그리고 바깥 쪽으로는 다른 의류와 점접촉하게 된다.
기본적인 파일을 형성하기 위한 소재는, 설계자의 목적이나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시중에서 구득 가능한 소재중에서 사를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혼섬하여 사용하거나 소재를 맞춤형으로 제조하여 제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스포츠웨어용 포에서 그라운드는 운동하는 자가 요구하는 환경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가) 발생한 땀이 피부와 스포츠웨어 간의 공간을 통하여 아래로 흘러내리게 하거나, (나) 파일을 통하여 땀이 그라운드에 옮겨지고, 외부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땀을 용이하게 배출하거나, (다) 스포츠웨어와 신체간에 공간을 형성하여 몸에 붙지 않도록 하여 운동중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거나, (라) 운동중 발생하는 체온을 용이하게 외부로 발산하는 등의 소비자가 원하는 방향 또는 설계자가 의도하는 방향으로 스포츠웨어용 포를 제공한다.
스포츠웨어의 그라운드와 파일에 사용되는 섬유는 용도와 원하는 기능에 따라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다양한 소재의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스포츠웨어 산업의 확대 및 세분화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의 스포츠웨어용 포는 등산, 여행, X-game, 서핑, 암벽등반, 래프팅, 스노우보드, 스케이트보드, 인라인스케이트, 자전거스턴트(BMX: bicycle motocross), 산악자전거(MTB), 플라이 낚시 등 다양한 레저스포츠용에서부터 골프, 승마, 윈드서핑, 스키, 마라톤 등 고급 스포츠용으로도 적용 가능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포를 구성하는 바탕의 그라운드용 소재는, 예를 들어, (가) 가벼운 스포츠웨어를 원할 경우에는 비중이 낮은 섬유, 예를 들면 PP섬유 또는 중공(中空)섬유를 가연가공(撚加工) 후 사용하여 제포하고, (나) 신축성이 있는 스포츠웨어를 원할 경우에는 소재자체에 신축성이 있는 사 또는 신축성 가공을 한 사를 사용하여 제포한다. 즉 폴리우레탄섬유나, 잠재권축성사(潛在捲縮性), PTT사 등 소재 자체가 신축성을 가진 소재를 사용하거나 또는 스트레치 가공한 사를 사용한다. 이러한 섬유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종섬유 등을 혼섬하여 사용 할 수도 있다. 스포츠용도의 포의 종류로는 직물과 편물이 있으나, 직물은 형태안정면에서 유리하고, 편물은 신축성 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스포츠용 포의 용도에 따라 선택하도록 한다.
스포츠웨어의 그라운드(바닥)를 구성하고 있는 포는 땀이 흡수축적되지 않도록 비흡수성 섬유를 사용하면 운동 부하면과 포의 중량면에서 더욱 유리하다.
또한 그라운드(바닥)를 구성하는 포면에 듬성듬성 구멍조직을 형성하여 스포츠웨어와 신체 사이에 있는 공기, 땀과, 체온을 외부로 배출하기 쉽도록 할 수 있다. 포면에 듬성듬성 구멍을 형성하는 조직은 이미 여러 가지 방법이 공개되어 있어 구멍조직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스포츠웨어의 그라운드와 파일에 사용하는 섬유를 같은 재질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열전도성이 큰 섬유, 예를 들면 은, 구리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성섬유와 수분 흡수가 적은 섬유를 단독 또는 혼섬 사용하여 제포함이 바람직하다.
체온 발산을 위한 파일을 구성하는 소재로는 은섬유나 구리섬유가 바람직하며 스테인리스섬유를 사용하거나 열전도성 물질을 함유하여 방사한 열전도성 섬유를 사용할 수도 있다.
파일 형성용 사를 위한 또 다른 소재로는, 방사할 때에 열전도성 물질을 함유시켜 방사하여 제조된 사를 파일 형성용으로 사용하거나, 단사(短絲)로 된 열전도성사를 단독방적하거나 또는 열전도성사와 타섬유를 혼방(混紡)한 사를 사용하여 파일을 형성할 수 있다.
파일 형성용 사와 그라운드용 사는 전도성 물질을 방사시에 투입하여 열전도성사를 방사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사공정으로 전도성 물질과 기능성이 있는 물질을 투입하여 방사한 사는 이미 생산공급하고 있다. 열전도성 물질을 투입한 가장 대표적인 원사로는 은사(銀絲)가 있다. 다만 은사는 제포 후에 냄새 제거용이나 충해방지용으로 더욱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열전도성 금속섬유인 스테인리스 단사와 면섬유를 혼방한 면/스테인리스방적사 역시 시장에서 구득가능하다.
이하 스포츠웨어의 용도와 기능에 따른 그라운드사와 파일사의 조합의 경우를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대표적인 경우일 뿐,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 분야의 기술자에겐 필요에 따라 적의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스포츠웨어의 그라운드에 사용하는 섬유의 일 실시예로, (가) 중량이 가벼운 스포츠웨어용 포를 제조하려면 수분흡수가 적은 섬유소재와 가벼운 섬유를 선택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PP섬유를 스트레치(가연가공)한 것을 사용하여 제포할 수 있다. 비중이 0.91로 매우 적고, 수분율이 0%인 PP사 100de 내지 200de를 스트레치하여 스포츠웨어용 포를 제포하면 신축성이 우수하고, 가볍고, 수분율이 0%이기 때문에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고, 흡습이 되지 않아 동일규격의 타섬유와 비교하여 10% 내지 30%정도 가볍고, 몸에 붙지 않기 때문에 가벼운 스포츠웨어가 가능하다. 이때 파일사로는 모노필라멘트 PP사 20de 내지 400de를 사용하여 파일을 형성한다.
(나) 체온방출을 위한 스포츠웨어용 포의 경우를 설명하면, 금속성 섬유/면 또는 구리/비스코스 혼방사 40수 내지 60수를 파일사로 하고, 흡한속건성사 150de 내지 200de를 가연가공하여 그라운드로 구성하면 금속성 섬유 또는 구리로 된 파일을 통하여 또는 피부에서 발생한 체온이 곧바로 그라운드로 이동하여 체외로 발산하는 스포츠웨어가 가능하다
(다) 또 다른 실시예로 피부에서 그라운드 층으로 땀을 빨리 이송하려면 흡한속건성사 100de 내지 500de를 꼬임수 500t/m 내지 1000t/m을 가한 후 사용하여 파일을 형성하고, 흡한속건성사 100de 내지 200de를 스트레치한 후 200t/m 내지 400t/m 연사를 가한 후 그라운드를 이루면 피부의 땀을 파일이 빨아드리고, 빨아드린 땀을 흡한속건사가 그라운드로 땀을 이송하여 흡한속건성사로된 그라운드를 통하여 땀이 쉽게 외부로 발산하는 스포츠웨어가 제조된다.
(라) 신축성을 가진 스포츠웨어용 포의 경우를 예를 들면, 그라운드용 사로는 스판덱스사 20de 내지 30de를 3배 내지 3.5배 정도 드라프트(연신)하여 심사로 사용하고, 흡한속건성사 150de 내지 200de를 600t/m 내지 1200t/m 정도의 꼬임을 가한 싱글커버링사로 제조하거나 S방향으로 600t/m 내지 1200t/m 커버링하고, Z방향으로 600t/m 내지 1200t/m을 커버링한 더블코어커버링사를 제조한 후 그라운드용 사로 사용하여 제포한다. 파일용사로는 구리철사의 직경이 0.035㎜ 내지 0.03㎜를 심사로 하고, 150de 내지 200de의 흡한속건성사를 스트레치하여 커버링사로 제조한 코어 커버링사를 제조 후에 파일을 형성한다. 이 경우에 구리철사를 심사로 하고 PU나 PVC수지를 압출코팅한 코팅사를 파일사로 형성할 수 있다. 이 실시방법으로 제조된 스포츠용 포는 땀과 함께 체온을 쉽게 배출 할 수 있다.
그리고 파일의 밀도, 높이, 굵기는 스포츠웨어 착용후 피부와의 접압에 의하여 파일이 무너지지 않고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정도이면 족하다. 바람직하기는 파일의 밀도는 10개 내지 30개/6.5㎠, 파일 높이는 2㎜ 내지 5㎜, 파일사의 굵기는 20de 내지 400de의 모노필라멘트로 파일을 형성 할 수 있다
포에 파일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테리타월 방법(테리용 직기를 통한 제포방법과)과 모켓직기를 통한 방법이 있고, 견고한 파일을 형성하고자하는 면에서 바람직한 방법으로는 일반적인 직기를 사용하여 제포중에 파일을 형성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파일의 크기에 맞춘 굵기의 철사를 삽입하여 파일을 형성한다. 예를 들면 파일의 크기가 2㎜라 하면 2㎜되는 굵기의 철사를 파일 형성 위치에서 삽입하거나 또는 파일의 크기에 맞춘 굵기를 가진 강성이 있는 사를 삽입하거나, 또는 물에 녹는 수용성 섬유인 저밀도 PVA사를 파일의 굵기에 맞추어 파일형성하려는 위치에서 위사로 삽입한 후 물로 녹여내는 공정을 통하여 파일을 가진 스포츠용 포를 제조할 수 있다.
편물의 경우 루프를 가진 조직으로 제편하는 방법과 루프를 가진 의장사 즉, 예를 들면 스날사(snarl yarn)나 부클레얀(boucle yarn)을 사용하여 파일 형태를 가진 포를 제편하거나 제직할 수 있다. 스날사와 부클레얀의 루프형성사는 금속성사나 또는 열전도성이 있는 사로 루프를 형성하여야 한다. 그리고 루프를 형성하는 소재로는 멀티필라멘트보다는 로우카운트(low count, 가닥수가 적은)사 또는 모노필라멘트사 또는 강성의 사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의장사의 파일(또는 루프)에 의하여 스포츠웨어와 피부간에 공간을 형성하고 의장사의 파일(또는 루프)이 기둥역할을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종래의 파일 또는 루프를 갖는 포는 가정에 사용하고 있는 타월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포의 부피를 크게 하려는 목적이나 땀이나 물기를 흡수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지만, 본 발명의 파일은 종래의 땀을 흡수하기 위한 단순목적과 달리 그 반대로 땀을 흡수하지 않고, 파일과 피부간의 공간에서 공기가 이동함을 통하여 땀이나 체온을 공기중으로 발산하기 위한 것과 스포츠웨어와 피부간에 공간을 이루어 운동중에 스포츠웨어가 피부에 들러 붙지않게 하여 운동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파일이 눕지 않고 스포츠웨어를 기둥처럼 받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종래의 파일의 개념과는 기술사상이 전혀 상이하다.
아울러 파일의 모양은 루프형 파일, 또는 의장사형 파일, 절단한 파일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착용중에 파일 형태가 쭈그러지지 않고 형태가 유지되도록 강성(剛性;뻣뻣한 성질)이면서 형태안정성이 높은 성질을 가진 섬유를 사용함이 필요하다.
파일용으로 사용하는 섬유를 복합하는 예를 들면 구리섬유와 폴리에스텔 100de 내지 200de를 100t/m 내지 200t/m 합연하여 파일용으로 사용하거나, 구리철사를 심사로 하고 피복사에 100de 내지 300de를 사용하여 300t/m 내지 800t/m 정도의 연사를 가한 코어커버링사를 제조후 파일용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파일을 통하여 체온이 신체 외부로 발산하여야 하는 경우로는 열전도성 섬유를 사용함이 유리하며, 체온과 함께 땀을 외부로 방출하려면 파일을 구성하는 섬유에서 열전도성이 양호한 금속섬유 또는 열전도성이 양호한 섬유와 땀흡수성이 양호하고 쉽게 건조되는 사, 이른바 흡한속건성사(吸汗速乾性絲)를 합연하여 파일로 사용하거나, 또는 금속성사를 심사로 하고 피복사에 흡한속건성사를 사용한 코어커버링사를 제조 후 사용하거나 열전도성이 큰 금속성섬유 예를 들면 구리철사를 심사로 하고 PVC수지 또는 PU수지 또는 PE수지의 예와 같이 인체에 무해한 수지들 중에서 선택하여 압출 피복한 코어압출사를 0.1㎜ 내지 0.5㎜ 굵기의 코어압출사를 제조 후 이들 사를 사용하여 파일을 형성할 수 있다.
뻣뻣한 섬유나 폴리에스텔 섬유와 같은 형태안정성 섬유를 사용하여 파일을 형성한 경우에 절단된 부분의 끝이 피부를 찌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일의 끝부위를 가열하든지 또는 파일을 가진 면을 열판(熱板)에 접촉하여 절단한 파일 끝을 둥글게(도 5) 만들 필요가 있다.
파일의 형태가 안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파일의 기둥에 꼬임(도 6)이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꼬임이 들어간 파일을 이루고자 하면 파일용 사에 꼬임을 가한 후에 제포하고, 다음 가공 공정에서 꼬임 발현 가공을 함으로써 가능하다. 꼬임 발현가공법으로는 제포된 포를 70도 내지 120도 에서 100분 내지 120분간 윈스(wince)에서 축소가공을 통하여 얻는다.
파일을 형성하려는 열전도성섬유가 금속성필라멘트 형태로 된 경우에는 금속성필라멘트를 심사로 한 압출코팅사로 제조하여 파일을 형성할 수도 있다.

Claims (12)

  1. 제포과정에서 스포츠웨어의 그라운드포와 강성의 파일사를 동시에 제포하되, 파일사 밀도는 10개 내지 30개/6.5㎠, 파일사 높이는 2㎜ 내지 5㎜, 파일사 굵기는 20de 내지 400de로 되도록 그라운드포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피부에 점접촉하는 파일사를 형성하여 땀을 흘려도 스포츠웨어가 피부에 잘 붙지 않도록 한 스포츠웨어용 포
  2. 제1항에 있어서, 그라운드포로 PP사 100de 내지 200de를 사용하고, 파일사로는 모노필라멘트 PP사 20de 내지 400de를 사용하여서 된 스포츠웨어용 포
  3. 제1항에 있어서, 금속성섬유/면 또는 구리/비스코스의 혼방사 40수 내지 60수를 파일사로 하고, 흡한속건성사 150de 내지 200de를 가연가공하여 그라운드포로 구성하여서 된 스포츠웨어용 포
  4. 제1항에 있어서, 흡한속건성사 100de 내지 500de로 파일사를 형성하고, 흡한속건성사 100de 내지 200de로 그라운드포를 구성하여서 된 스포츠웨어용 포
  5. 제1항에 있어서, 그라운드포로 스판덱스사 20de 내지 30de와 흡한속건성사 150de 내지 200de를 각각 심사와 코어커버링사로 하여 제포하고, 파일사로는 구리철사와 흡한속건성사를 각각 심사와 커버링사로 구성하여서 된 스포츠웨어용 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포와 파일사가 열전도성 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웨어용 포
  8. 제7항에 있어서, 파일사가 꼬아지거나, 루프파일 형태이거나, 루프끝을 절단한 것이거나 끝이 둥근 형태인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웨어용 포
  9. 제포과정에서 스포츠웨어의 그라운드포와 강성의 파일사를 동시에 제포하되, PP사 100de 내지 200de를 스트레치하여 그라운드포를 제포하고, 파일사로는 모노필라멘트 PP사 20de 내지 400de를 사용하고, 파일사 밀도는 10개 내지 30개/6.5㎠, 파일사 높이는 2㎜ 내지 5㎜, 파일사 굵기는 20de 내지 400de로 되도록 그라운드포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피부에 점접촉하는 파일사를 형성하여 땀을 흘려도 스포츠웨어가 피부에 잘 붙지 않도록 한 스포츠웨어용 포의 제조방법
  10. 제포과정에서 스포츠웨어의 그라운드포와 강성의 파일사를 동시에 제포하되, 금속성섬유/면 또는 구리/비스코스의 혼방사 40수 내지 60수와 흡한속건성사 150de 내지 200de를 각각 심사와 피복사로 하여 그라운드포와 파일사를 구성하되, 그라운드포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피부에 점접촉하는 파일사를 형성하여 땀을 흘려도 스포츠웨어가 피부에 잘 붙지 않도록 한 스포츠웨어용 포의 제조방법
  11. 제포과정에서 스포츠웨어의 그라운드포와 강성의 파일사를 동시에 제포하되, 흡한속건성사 100de 내지 500de를 꼬임수 500t/m 내지 1000t/m을 가한 후 사용하여 파일사를 형성하고, 흡한속건성사 100de 내지 200de를 스트레치한 후 200t/m 내지 400t/m 연사를 가한 후 그라운드를 구성하되, 파일사 밀도는 10개 내지 30개/6.5㎠, 파일사 높이는 2㎜ 내지 5㎜, 파일사 굵기는 20de 내지 400de로 되도록 그라운드포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피부에 점접촉하는 파일사를 형성하여 땀을 흘려도 스포츠웨어가 피부에 잘 붙지 않도록 한 스포츠웨어용 포의 제조방법
  12. 제포과정에서 스포츠웨어의 그라운드포와 강성의 파일사를 동시에 제포하되, 그라운드포로 스판덱스사 20de 내지 30de와 흡한속건성사 150de 내지 200de를 각각 심사와 커버링사로 하여 그라운드포를 제포하고, 파일사로는 구리철사를 심사로 하고, 150de 내지 200de의 흡한속건성사를 커버링사로 하여 그라운드포의 일측 또는 양측에 피부에 점접촉하는 파일사를 형성하여 땀을 흘려도 스포츠웨어가 피부에 붙지 않도록 한 스포츠웨어용 포의 제조방법
KR1020170113215A 2017-09-05 2017-09-05 땀에 의하여 스포츠웨어가 피부에 부착함을 방지하는 파일을 갖는 스포츠웨어용 포 KR101958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215A KR101958412B1 (ko) 2017-09-05 2017-09-05 땀에 의하여 스포츠웨어가 피부에 부착함을 방지하는 파일을 갖는 스포츠웨어용 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215A KR101958412B1 (ko) 2017-09-05 2017-09-05 땀에 의하여 스포츠웨어가 피부에 부착함을 방지하는 파일을 갖는 스포츠웨어용 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037A KR20190027037A (ko) 2019-03-14
KR101958412B1 true KR101958412B1 (ko) 2019-03-15

Family

ID=65759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215A KR101958412B1 (ko) 2017-09-05 2017-09-05 땀에 의하여 스포츠웨어가 피부에 부착함을 방지하는 파일을 갖는 스포츠웨어용 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4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3336B (zh) * 2020-12-08 2023-02-24 江苏新凯盛企业发展有限公司 一种皮毛一体布及生产工艺
CN112626689B (zh) * 2020-12-08 2022-12-02 江苏新凯盛企业发展有限公司 一种皮毛一体布及其生产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296Y1 (ko) * 2002-12-14 2003-07-28 주식회사 효성 고흡수성 수건
JP2003293244A (ja) * 2002-03-29 2003-10-15 Mizuno Corp 接触冷感及び抗菌性を有する生地
JP2015193940A (ja) * 2014-03-31 2015-11-05 東洋紡Stc株式会社 衣料用編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000539T2 (de) * 1989-02-15 1993-07-08 Finex Handels Gmbh Gegen elektro-magnetische strahlung abschirmender textilstoff und daraus hergestellte kleidung.
KR200189052Y1 (ko) 2000-01-25 2000-07-15 류래현 인체자극물 돌기를 구성한 의류부재
KR100517824B1 (ko) * 2003-11-07 2005-09-28 노귀영 Pp사를 이용한 담요원단
KR200347053Y1 (ko) 2003-12-17 2004-04-09 재호화성주식회사 쾌적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성 원단
KR200367787Y1 (ko) 2004-08-09 2004-11-17 김경옥 기능성 의류
KR200415951Y1 (ko) 2006-02-08 2006-05-10 김재식 돌기가 형성된 다이어트 고무옷
KR101418893B1 (ko) 2012-12-14 2014-07-18 (주)풍전티.티 돌기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3244A (ja) * 2002-03-29 2003-10-15 Mizuno Corp 接触冷感及び抗菌性を有する生地
KR200321296Y1 (ko) * 2002-12-14 2003-07-28 주식회사 효성 고흡수성 수건
JP2015193940A (ja) * 2014-03-31 2015-11-05 東洋紡Stc株式会社 衣料用編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037A (ko)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ÖZDİL et al. Recent Developments in Textile Materials and Products Used for Activewear and Sportswear.
Chinta et al. Significance of moisture management for high performance textile fabrics
US20130042380A1 (en) Garment having moisture absorbing regions
Venkatraman Fabric properties and their characteristics
KR101958412B1 (ko) 땀에 의하여 스포츠웨어가 피부에 부착함을 방지하는 파일을 갖는 스포츠웨어용 포
Jhanji Sportswear: acumen of raw materials, designing, innovative and sustainable concepts
Harlin et al. Sports textiles and comfort aspects
Kejkar et al. Active sportswear fabrics
KR102504400B1 (ko) 돌기가 형성되는 의복
Duru et al. Innovation in the comfort of intimate apparel
CN214071803U (zh) 一种舒适保暖卫衣
CN208035580U (zh) 一种运动服装面料
CN217117562U (zh) 一种吸汗快干针织背心
CN215360303U (zh) 一种硬挺户外服装面料
CN220192245U (zh) 一种一体式透气吸汗的运动瑜伽服
CN110682627A (zh) 一种运动袜织袜面料
CN213733825U (zh) 一种透气强的服装面料
WO2019100401A1 (zh) 一种防脚臭的袜子
CN110077075A (zh) 一种具有吸湿排汗的纤维面料
CN211960946U (zh) 一种带肌腱保护功能的运动裤
CN210652143U (zh) 一种用于户外运动服饰的单向导湿面料
CN212088134U (zh) 一种运动背心
CN217390033U (zh) 一种具备防辐射性能的带帽防寒服
CN211794345U (zh) 一种植物纤维内裤
CN218790647U (zh) 一种便于散热的衣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