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192B1 - 파티클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웨이퍼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파티클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웨이퍼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192B1
KR101958192B1 KR1020170174984A KR20170174984A KR101958192B1 KR 101958192 B1 KR101958192 B1 KR 101958192B1 KR 1020170174984 A KR1020170174984 A KR 1020170174984A KR 20170174984 A KR20170174984 A KR 20170174984A KR 101958192 B1 KR101958192 B1 KR 101958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transfer
particle
detection sensor
transf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석
김동주
황명환
Original Assignee
(주)에스티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티글로벌 filed Critical (주)에스티글로벌
Priority to KR1020170174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1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42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10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 H01L22/12Measuring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structural parameters, e.g. thickness, line width, refractive index, temperature, warp, bond strength, defects, optical inspection, electrical measurement of structural dimensions, metallurgic measurement of diffusion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파티클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웨이퍼 가공장치는, 웨이퍼를 가공하는 웨이퍼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가 안착되는 이송 암과, 상기 이송 암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웨이퍼를 가공하기 위한 가공공간을 포함하는 코터부로 상기 이송 암을 이송시키는 이송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웨이퍼 이송유닛 및 상기 웨이퍼 이송유닛의 기 설정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웨이퍼 이송유닛에 거치된 웨이퍼의 이송 경로 상에 파티클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파티클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티클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웨이퍼 가공장치{Wafer Processing Apparatus Having Particle Sensor}
본 발명은 웨이퍼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웨이퍼 가공 공정 중 유입되는 파티클을 감지하여 웨이퍼의 가공 과정에서의 오염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파티클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웨이퍼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산업은 전자, 통신, 정보사업 부문과 함께 두드러진 발전과 성장을 기록하고 있는 산업으로, 정보화 사회 진입과 첨단산업 발전의 핵심요소일 뿐만 아니라 재래산업의 생산성 향상과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필수적인 요소부품으로서 그 수요가 급속히 확대, 다양화되고 있다.
반면 막대한 설비투자가 요구되며, 기술자체의 개발에도 많은 연구개발 투자가 소요되어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 투자가 타 산업보다 현저히 높은 특징을 가지는데 이것은 반도체 자체가 그 제조과정이 아주 민감한 제품이기 때문이다. 또한 기술혁신의 속도가 빠르며 제품의 수명 주기가 타 산업에 비해 매우 짧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반도체는 최초 웨이퍼 제작에서부터 최종 완제품에 이르기까지 크게 웨이퍼 제조공정, 웨이퍼 가공공정, 패키지 조립공정 및 모듈 조립공정, 4가지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중 웨이퍼 가공공정의 경우, 일반적으로 자동화가 적용된 웨이퍼 가공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웨이퍼 가공장치는 웨이퍼 상에 감광액을 도포하거나, 또는 웨이퍼의 식각 등 다양한 웨이퍼의 가공을 수행하게 된다.
다만, 이와 같은 웨이퍼의 가공 공정 중에는 외부의 파티클이 상기 웨이퍼 가공장치 내로 유입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극히 오염도가 낮은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 웨이퍼 가공장치에 치명적인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이퍼 가공장치 내로 외부의 파티클이 유입되지 않는 환경이라고 하더라도, 웨이퍼가 암(Arm)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다른 물체 또는 설비 등에 부딪힐 경우 파티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파티클이 적시에 처리되거나 해소되지 않으면 제품 불량이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웨이퍼 가공 공정 중 유입되거나 발생하는 파티클을 미연에 감지하여 신속한 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웨이퍼 가공장치를 클린룸 환경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티클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웨이퍼 가공장치는, 웨이퍼를 가공하는 웨이퍼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가 안착되는 이송 암과, 상기 이송 암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웨이퍼를 가공하기 위한 가공공간을 포함하는 코터부로 상기 이송 암을 이송시키는 이송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웨이퍼 이송유닛 및 상기 웨이퍼 이송유닛의 기 설정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웨이퍼 이송유닛에 거치된 웨이퍼의 이송 경로 상에 파티클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파티클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는 상기 파티클이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홀이 상기 이송 암 방향으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이송플레이트 내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플레이트에는 적어도 상기 유입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홀의 단면적 이상의 단면적을 가지는 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는 무선 통신 가능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되어 상기 무선통신부에 의해 송신된 측정데이터를 수신하고, 모니터링하는 중앙처리모듈을 포함하는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모듈은, 상기 측정데이터가 기 설정된 제한기준을 만족할 경우, 파티클 대응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웨이퍼의 이송 경로에 인접하여 배치된 배출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모듈은 상기 측정데이터가 기 설정된 제한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배출팬을 작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웨이퍼의 이송 경로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촬상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모듈은 상기 측정데이터가 기 설정된 제한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촬상모듈을 통해 획득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송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모듈은, 상기 파티클의 입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한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모듈은, 상기 파티클의 단위공간 당 밀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한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티클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웨이퍼 가공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웨이퍼 가공 공정, 특히 이송 과정 중 유입되거나 발생하는 파티클을 효과적으로 감지하고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이에 따라 웨이퍼 가공장치 내부를 클린룸 환경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파티클 발생 원인에 따라 다양한 후속 처리를 수행하여 원인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최종 제품의 품질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가공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가공장치에 있어서, 웨이퍼 이송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가공장치에 있어서, 이송플레이트 및 파티클 감지센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가공장치에 있어서, 이송플레이트 및 파티클 감지센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가공장치에 있어서, 이송플레이트 및 파티클 감지센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가공장치에 있어서, 이송플레이트 및 파티클 감지센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가공장치에 있어서, 이송플레이트 및 파티클 감지센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가공장치에 있어서, 이송플레이트 및 파티클 감지센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가공장치에 있어서, 이송플레이트 및 파티클 감지센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가공장치(1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가공장치(100)에 있어서, 웨이퍼 이송유닛(2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웨이퍼 가공장치(100)는 코터부(110) 및 웨이퍼 이송유닛(200)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유체공급부(120)와, 감광액수용부(130)와, 솔벤트수용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터부(110)는 내측에 하나 이상의 가공공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공공간은 웨이퍼 가공장치(100)의 측면에 형성된 코터도어(112)를 조작하여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공급부(120)는 코터부(1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감광액수용부(130)와 솔벤트수용부로부터 감광액 및 솔벤트를 전달받아 상기 코터부(110) 측으로 유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유체공급부(120)는 내측에 다양한 구조의 배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광액수용부(130)는 감광액이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감광액이 수용된 감광액수용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광액수용탱크에 수용된 감광액은 전술한 유체공급부(120)를 통해 코터부(11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솔벤트수용부는 솔벤트가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솔벤트가 수용되는 솔벤트수용탱크가 내측에 구비된 케미컬박스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솔벤트수용탱크에 수용된 솔벤트 역시 전술한 유체공급부를 통해 코터부(11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웨이퍼 이송유닛(200)은 상기 웨이퍼 가공장치(100)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퍼(W)가 안착되는 이송 암(210)과, 상기 이송 암(210)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웨이퍼(W)를 가공하기 위한 가공공간을 포함하는 코터부(110)로 상기 이송 암(210)을 이송시키는 이송플레이트(212)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이송 암(210)은 상기 웨이퍼(W)가 안착되는 안착부(216) 및 상기 안착부(216)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후이동부(21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플레이트(212)는 상기 이송 암(210)의 하부에 구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웨이퍼 이송유닛(200)은 상기 이송플레이트(212)가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 액추에이터(240)와, 상기 전후이동부(215)가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부(230)를 통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 액추에이터(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가공장치(100)에 있어서, 이송플레이트(212) 및 파티클 감지센서(3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웨이퍼 이송유닛(200)의 기 설정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웨이퍼 이송유닛(200)에 거치된 웨이퍼(W)의 이송 경로 상에 파티클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파티클 감지센서(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300)는 상기 이송플레이트(212)에 형성된 통과홀(213)에 삽입되어 체결부재(302)에 의해 체결된 상태로 상기 이송플레이트(212) 내에 내장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300)는 상기 파티클의 감지가 용이한 곳이라면 상기 웨이퍼 이송장치(200)의 어느 곳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300)는 파티클이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홀(3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입홀(310)은 상기 이송 암(210) 방향으로 노출된 상태를 가진다.
또한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300)는 흡입팬(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팬은 회전에 따라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유입홀(310)을 통해 파티클을 유입시킬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300)의 일측에는 내부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열홀(32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300)가 상기 이송플레이트(212)에 구비됨에 따라, 특히 웨이퍼(W)의 이송 과정 중 유입되거나 발생하는 파티클을 효과적으로 감지하고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3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300)를 통해 측정된 측정데이터의 흐름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다.
도 4와 같이,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300)에 의해 측정된 측정데이터는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300)의 메인보드(10)를 통해 동적위치제어(20, Dynamic Positioning) 시스템 및 중앙처리모듈(30)에 전송된다.
상기 중앙처리모듈(30)은 측정데이터를 수신하고, 모니터링 작업을 수행하는 동시에 상기 측정데이터가 기 설정된 제한기준을 만족할 경우, 파티클 대응처리를 수행하도록 각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한기준은 환경에 적합하도록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예컨대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중앙처리모듈(30)은 상기 파티클의 입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그리고 상기 파티클의 단위공간 당 밀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한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모듈(30)은 상기 측정데이터가 기 설정된 제한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다양한 파티클 대응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웨이퍼 가공장치(100)는 웨이퍼(W)의 이송 경로에 인접하여 배치된 배출팬(미도시)과, 웨이퍼(W)의 이송 경로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촬상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중앙처리모듈(30)은 상기 측정데이터가 기 설정된 제한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배출팬을 작동시켜 파티클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촬상모듈을 통해 획득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송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중앙처리모듈(30)은 시청각에 의한 경보, 공조장치 제어 등 다양한 파티클 대응처리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이송 암(210)은 기 설정된 프로그램(스케쥴)에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어느 시각에 어느 장소에 위치하는지를 핀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중앙처리모듈(30)은 현재의 시각을 통해 상기 이송 암(21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앙처리모듈(30)은 상기 측정데이터가 기 설정된 제한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감지된 시각에 따른 상기 이송 암(210)의 위치를 추적하여, 파티클 발생위치를 추적 및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300)가 이송플레이트(212)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외에도 상기 웨이퍼 이송유닛(200)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되거나 코터부(110, 도 1 참조) 등 웨이퍼 가공장치(100)의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가공장치에 있어서, 이송플레이트(212) 및 파티클 감지센서(3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300)가 이송플레이트(212)에 내장되어 있다는 점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이송플레이트(212)에 형성된 통과홀(213)이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300)의 상기 유입홀(310)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홀(310)의 단면적과 동일하게 형성된다는 점이 다르다.
즉 본 실시예는 상기 통과홀(213)의 크기를 최소로 하여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300)의 상기 유입홀(310) 외의 다른 부분 또는 상기 이송플레이트(212)의 내측으로 파티클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가공장치에 있어서, 이송플레이트(212) 및 파티클 감지센서(3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300)가 이송플레이트(212)에 내장되며, 상기 통과홀(213)이 상기 유입홀(310)의 단면적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이송플레이트(212)의 내면과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300)의 상면 사이가 다소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그 사이에는 밀봉부재(214)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밀봉부재(214)는 상기 통과홀(213)과 상기 유입홀(310)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플레이트(212)의 내면과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300)의 상면 사이로 파티클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가공장치에 있어서, 이송플레이트(212) 및 파티클 감지센서(3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300)가 이송플레이트(212)에 내장되며, 상기 이송플레이트(212)의 내면과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300)의 상면 사이가 다소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그 사이에 밀봉부재(214)가 더 구비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통과홀(213)의 폭(d2)이 상기 유입홀(310)의 폭(d1)보다 크게 형성되는 점이 다르다.
즉 본 실시예는 상기 통과홀(213)의 면적을 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파티클의 유입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보다 정밀한 측정데이터를 얻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가공장치에 있어서, 이송플레이트(212) 및 파티클 감지센서(3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300)가 이송플레이트(212)에 내장되며, 상기 이송플레이트(212)의 내면과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300)의 상면 사이가 다소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그 사이에 밀봉부재(214)가 더 구비되는 동시에 상기 통과홀(213)의 폭이 상기 유입홀(31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통과홀(213)의 둘레 및 상기 밀봉부재(214)의 내주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점이 다르다.
이와 같이 함에 따라 본 실시예는 제4실시예에서 상기 이송플레이트(212)와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300)의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던 직각 단차를 전면 삭제할 수 있으며, 따라서 파티클은 상기 통과홀(213) 및 상기 밀봉부재(214)의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져 상기 유입홀(310) 측으로 보다 원활히 유입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가공장치에 있어서, 이송플레이트(212) 및 파티클 감지센서(3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300)가 이송플레이트(212)에 내장되되, 상면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구비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300)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이송플레이트(212)에 복수 개 형성된 통과홀(213)마다 구비된다는 점이 다르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상기 이송플레이트(212)의 서로 다른 영역으로부터 파티클을 수집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각각의 측정데이터를 통해 보다 정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웨이퍼 가공장치에 있어서, 이송플레이트(212) 및 파티클 감지센서(3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경우,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300)가 상기 이송플레이트(212) 내에서 X축 및 Y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는 점이 전술한 실시예들과 다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이송플레이트(212)의 내부에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1이송레일(420)과, 상기 한 쌍의 제1이송레일(42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이송레일(4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이송레일(4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이송레일(430)에는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300)를 거치하는 거치부재(410)가 구비되며, 상기 거치부재(410)는 상기 제2이송레일(4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는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300)가 상기 이송플레이트(212) 내에서 X축 및 Y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황에 따라 상기 이송플레이트(212)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된 복수 개의 통과홀(213, 미도시) 사이를 이동하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웨이퍼 가공장치
110: 코터부
200: 웨이퍼 이송유닛
210: 이송 암
212: 이송플레이트
213: 통과홀
214: 밀봉부재
300: 파티클 감지센서
310: 유입홀
W: 웨이퍼

Claims (9)

  1. 웨이퍼를 가공하는 웨이퍼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가 안착되는 이송 암과, 상기 이송 암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웨이퍼를 가공하기 위한 가공공간을 포함하는 코터부로 상기 이송 암을 이송시키는 이송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웨이퍼 이송유닛;
    상기 웨이퍼 이송유닛의 기 설정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웨이퍼 이송유닛에 거치된 웨이퍼의 이송 경로 상에 파티클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무선 통신 가능한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파티클 감지센서;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되어 상기 무선통신부에 의해 송신된 측정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이송 암이 어느 시각에 어느 장소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중앙처리모듈;
    웨이퍼의 이송 경로에 인접하여 배치된 배출팬; 및
    웨이퍼의 이송 경로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촬상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모듈은,
    상기 측정데이터가, 상기 파티클의 입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및 상기 파티클의 단위공간 당 밀도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상황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제한기준을 만족할 경우, 감지된 시각에 따른 상기 이송 암의 위치를 추적하여 파티클 발생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이송 경로에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배출팬을 작동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이송 경로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촬상모듈을 통해 획득한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송출하도록 하는 파티클 대응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는,
    상기 파티클이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홀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홀이 상기 이송 암 방향으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이송플레이트 내에 내장되되, 상면이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내면과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이송플레이트는,
    적어도 상기 유입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홀의 단면적 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통과홀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내면과 상기 파티클 감지센서의 상면 사이에는 밀봉부재가 더 구비되되, 상기 통과홀의 둘레 및 상기 밀봉부재의 내주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감소하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웨이퍼 가공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70174984A 2017-12-19 2017-12-19 파티클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웨이퍼 가공장치 KR101958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984A KR101958192B1 (ko) 2017-12-19 2017-12-19 파티클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웨이퍼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984A KR101958192B1 (ko) 2017-12-19 2017-12-19 파티클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웨이퍼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192B1 true KR101958192B1 (ko) 2019-03-18

Family

ID=65949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984A KR101958192B1 (ko) 2017-12-19 2017-12-19 파티클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웨이퍼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1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8447A (ja) * 2002-10-30 2004-05-27 Sankyo Seiki Mfg Co Ltd 産業用ロボット
JP2005243776A (ja) * 2004-02-25 2005-09-08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基板搬送装置
KR20060127663A (ko) * 2005-06-08 2006-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설비의 파티클 센서를 갖는 로봇암
KR20130029882A (ko) * 2011-09-16 2013-03-26 유영선 반도체 장비용 파티클 측정장치
KR20160044259A (ko) * 2014-10-15 2016-04-25 주식회사 알에프디 반도체 제조용 감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8447A (ja) * 2002-10-30 2004-05-27 Sankyo Seiki Mfg Co Ltd 産業用ロボット
JP2005243776A (ja) * 2004-02-25 2005-09-08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基板搬送装置
KR20060127663A (ko) * 2005-06-08 2006-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설비의 파티클 센서를 갖는 로봇암
KR20130029882A (ko) * 2011-09-16 2013-03-26 유영선 반도체 장비용 파티클 측정장치
KR20160044259A (ko) * 2014-10-15 2016-04-25 주식회사 알에프디 반도체 제조용 감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7108B2 (en) Wafer carrier purge apparatuses, automated mechanical handling system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s of handling a wafer carrier during integrated circuit fabrication
CN109786283B (zh) 感测系统、监测晶圆传送盒的系统及监测其环境的方法
JP3218425B2 (ja) 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TWI496228B (zh) 半導體晶圓監視裝置及方法
KR100583730B1 (ko) 기판 이송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의 프레임 내 압력을조절하는 방법
US6287023B1 (e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3513437B2 (ja) 基板管理方法及び半導体露光装置
EP2031638A2 (en) A method of automatically resetting a processing apparatus
US200700625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Particulate Contamination In Wafer Carriers
TWI821293B (zh) 基板收納容器管理系統、裝載埠、基板收納容器管理方法
KR101915464B1 (ko) 파티클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웨이퍼 가공장치
JP2006351751A (ja) 基板処理装置及び基板処理方法
KR100862702B1 (ko) 기판 정렬 감지장치
US6928892B2 (en) Configuration for determining a concentration of contaminating particles in a loading and unloading chamber of an appliance for processing at least one disk-like object
US20220199446A1 (en) System for determining whether transfer robot is normal,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transfer robot is normal, and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US11662373B2 (en) Substrate storage container management system, load port, and substrate storage container management method
KR101958192B1 (ko) 파티클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웨이퍼 가공장치
TWI757473B (zh) 晶圓檢查裝置
JP5007053B2 (ja) 試料搬送システム、試料搬送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070093696A (ko) 반도체 제조설비의 진공 시스템
TWI626462B (zh) 機台診斷工具、晶圓處理機台載入埠診斷工具及其診斷方法
WO2020187473A1 (en) A substrate container, a lithographic apparatus and a method using a lithographic apparatus
TW202107599A (zh) 具有粒子感測器的晶圓處理設備
KR20060127663A (ko) 반도체 설비의 파티클 센서를 갖는 로봇암
JP6801574B2 (ja) 半導体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