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071B1 - 휴대용, 재충전가능한 직류 저장 장치용 용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재충전가능한 직류 저장 장치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071B1
KR101958071B1 KR1020167009238A KR20167009238A KR101958071B1 KR 101958071 B1 KR101958071 B1 KR 101958071B1 KR 1020167009238 A KR1020167009238 A KR 1020167009238A KR 20167009238 A KR20167009238 A KR 20167009238A KR 101958071 B1 KR101958071 B1 KR 101958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tact
cathode
anod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9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4561A (ko
Inventor
한스-피터 콘스티엔
Original Assignee
그린팩 모바일 에너지 솔루션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팩 모바일 에너지 솔루션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그린팩 모바일 에너지 솔루션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54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4Housing; 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1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01G4/008Selection of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58Temperature compensation means
    • H01M2/100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6Carrying devices, e.g. be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02T10/708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위치면(100)를 구비한 하우징 하부측(10), 하우징 상부측(15), 하우징 측벽들(11, 12, 13, 14) 및 하우징 내부를 구비한 하우징(1), 전기적 애노드 접촉(2) 및 전기적 캐소드 접촉(3)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하부측(10)은 상호 대향하는 에지상에서, 하우징 위치면(100)에 의해 규정된 위치평면(AE)으로부터 하우징 상부측(15) 방향으로 연장되는 셋백 가이드 수단(101, 102)을 갖도록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셋백 가이드 수단(101, 102) 중의 상기 애노드 접촉(2) 및 캐소드 접촉(3)은 위치평면으로부터 적어도 5 밀리미터 거리를 두고 하우징(1) 상에 배치되며, 애노드 접촉(2) 및 캐소드 접촉(3)에 인접하는 각 하우징 측벽 영역이 위치평면(AE)으로부터 적어도 5 밀리미터 거리를 두고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재충전가능한 직류 저장 장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재충전가능한 직류 저장 장치용 용기{CONTAINER FOR A PORTABLE, RECHARGEABLE DIRECT CURRENT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hand-portable), 재충전가능한(rechargeable) 직류(direct current) 저장 장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용기를 연결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연결 장치와 조합된 상기 유형의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특징을 갖는 상기 유형의 용기는 예를 들어, US 2008/0053716 A1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하우징 위치면(housing set down surface)을 갖는 하우징 하부측(underside), 하우징 상부측(upper side), 하우징 측벽(side walls) 및 하우징 내부, 전기적 애노드 접촉(anode contact) 및 전기적 캐소드 접촉(cathode contact)을 구비한 하우징이 제공되며, 상기 하우징 하부측은 하우징 내, 상호 대향하는 에지 상에, 하우징 위치면에 의해 규정된 위치 평면으로부터 하우징 상부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셋백(set-back) 가이드 수단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용기의 애노드 접촉 및 캐소드 접촉은 셋백 가이드 수단 내에 수 밀리미터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 위치면은 하우징 하부측의 면적에 의해 규정되며, 평면 표면 위에 용기를 위치시킬 때 용기는 상기 평면 표면과 기계적 접촉을 한다. 가장 간단한 완전 평면 배치에서, 하우징 위치면은 전체 하우징 하부측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어, 흙, 모래 또는 습윤 표면 위에 용기를 위치시킬 때, 용기 내에 하우징된 직류 저장 장치에 대한 단락(short circuit) 형성의 우려가 있을 정도로 전극 접촉에 대한 손상 및/또는 전극 접촉의 오염의 우려가 있다.
DE102010048756A1, US4588938A, 및 US3665285A로부터 휴대용, 재충전가능한직류 저장 장치용 용기들이 공지되어 있다. 이들 용기들은 위치평면을 규정하는 하우징 위치면이 구비되어 있다. 각각의 용기는 전기적 애노드 접촉, 및 전기적 캐소드 접촉이 구비되어 있다. 이들 접촉들은 하우징 위치면에 중심적으로 위치한 오목부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람직하지 않은 주위 조건하에서도 전극 접촉이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되는 개선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제1항에 기재된 특징을 갖는 용기에 의해 충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셋백 가이드 수단 내의 애노드 접촉 및 캐소드 접촉은 위치면으로부터 적어도 5 밀리미터 거리를 두고 하우징 상에 배치되며, 그에 의해 애노드 접촉 및 캐소드 접촉에 인접한 각 하우징 측벽 영역은 위치면으로부터 적어도 5 밀리미터 거리를 두고 종료된다. 8 밀리미터를 초과하는 간격이 바람직하고, 또 10 밀리미터를 초과하는 간격이 특히 바람직하다. 애노드 접촉 및 캐소드 접촉은 하우징 하부측 방향으로 또는 하우징 측벽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셋백 가이드 수단의 구조적 배치는 지속적으로 오염된 및/또는 수분-보유하는 위치면으로부터 전극 접촉이 멀어지게 할 뿐만 아니라 전극 접촉에 대한 접속 목적으로 위치면으로부터 제공된 하우징 하부측 내의 개구를 통하여 먼지, 슬러지 또는 눈의 침투를 방지한다.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폐색되기 쉬운 개구 대신, 하우징 위치면으로부터 생각할 때 하우징 하부측은 적어도 하우징의 주변에 단차면 프로파일(stepped surface profile) 부분을 구비한다. 따라서 위치 평면으로부터 멀어진 상기 단차면 프로파일 부분은 하우징 측벽 세그먼트(segments)에 의해 측면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용기가 슬러지 상에 위치되더라도, 이 단차 배치에서 오목한 하우징 하부측 영역에 침투한 어떠한 먼지도 측면 수용되지 않을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먼지의 부착이 억제되거나, 또는 완전히 방지된다. 단차 배치에서 오목한 하우징 하부측 영역에 먼지가 부착된 경우에서도, 상방으로 오목한 하우징 측벽에 의해 측면 접근이 보증되기 때문에 오염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하우징의 외부 프로파일은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로 구현된다. 이러한 기하는 4개의 하우징 측벽과 조합된 적어도 하우징 하부측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직육면체 형상 외에, 하우징 상부측은 외방으로 아치형이거나 또는 구불어질 수 있다.
상술한 이유로, 하우징의 대향하는 에지 상에 구성된 셋백 가이드 수단 사이의 영역 내에 있는 하우징 하부측이 위치면으로부터 5 밀리미터를 초과하는 거리를 두고 존재한다면 특히 유리할 것이다. 8 밀리미터를 초과하는 간격이 특히 바람직하고, 10 밀리미터를 초과하는 간격이 더욱 더 바람직하다. 상기 오목한 단차 영역은 하우징 하부측의 폭보다 많이 연장된다.
상기 셋백 가이드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중앙 부분을 구비하며, 이들 중앙 부분은 상기 애노드 접촉 및/또는 캐소드 접촉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들 중앙 컷-아웃(cut-outs)은 상응하게 역-프로파일의 중앙 돌출부를 연결 장치 위에 삽입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배치는 연결 장치와 용기 사이에 소정 위치를 허용하므로, 용기 상의 전극 접촉 및 연결 장치 상의 비교적 필라멘트성의 가느다란 전극 접촉 장치 사이에서 확실하고 규정된 전기적 접촉을 확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애노드 접촉 및 캐소드 접촉은 2개 측면 위의 중앙 돌출부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여, 용기 및 그와 관련된 연결 장치 사이에 있을 수 있는 부정합(misalignment)이 안전하게 방지될 수 있다. 취급이 아주 용이한 이점 면에서, 셋백 가이드 수단은 직류 저장 장치가 고정된 용기의 중력 중심 아래에 배치되어야 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용기 내의 중앙 컷-아웃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하부측 관점에서, 애노드 접촉에 인접하게 배치된 중앙 컷-아웃이 캐소드 접촉에 인접하게 배치된 중앙 컷-아웃에 대하여 상이한 단면 프로파일을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여, 관련 연결 장치를 이용한 애노드 접촉 및 캐소드 접촉의 반대 극성 결합이 용이하고 안전하게 방지될 수 있다.
용기와 연결 장치의 특히 간단하고 안전한 결합의 측면에서, 상기 중앙 컷-아웃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애노드 접촉 및/또는 캐소드 접촉 위로 하우징 상부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상기 중앙 컷-아웃은 하우징 상부측 방향에서 하우징 하부측의 단차있는 오목한 영역보다 더 깊게 연장된다. 하우징을 관련 연결 장치에 접속할 때, 중앙 컷-아웃에 대하여 상응하는 반대 구성을 갖는 가이드 러그(guide lugs)는 하우징의 대향하는 에지 영역에서 상기 중앙 컷-아웃과 체결된다. 연장 방향에서, 중앙 컷-아웃과 조합되어, 상기 가이드 러그는 하우징과 연결 장치의 결합을 위한 긍정적 작용을 발휘한다.
상술한 용기 변형에서, 상기 셋백 가이드 수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 측벽 내에서 오목부(recesses)로 구성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의 하우징과 연결 장치에 의해, 연결장치는 상기 하우징 측벽의 평면 표면에서의 하우징 측벽에서 오목부를 점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여, 상기 유형의 복수의 하우징과 이들의 관련 연결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하우징 측벽들과 서로에 대해 동일 높이로 접속(flush-fitted)되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실질적인 공간의 양을 절약할 수 있다.
상기 기재한 모든 형태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애노드 접촉과 캐소드 접촉은 서로 대향하게 위치된 상호 대향하는 셋백 가이드 수단 내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렇게 하여, 하우징 하부측의 표면 프로파일 부분을 통한 누설 전류의 도전 통로가 최대화된다.
용기의 바람직한 변형은 하우징 하부측이 애노드 개구 및 캐소드 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에 의해, 애노드 개구에서부터 애노드 접촉까지, 셋백 가이드 수단 중의 하나의 부분이 애노드 가이드 채널 오목부를 갖는 애노드 가이드 채널(channel)로서 구성되고, 또 캐소드 개구로부터 캐소드 접촉까지, 셋백 가이드 수단 중의 하나의 부분은 캐소드 가이드 채널 오목부를 갖는 캐소드 가이드 채널로서 구성된다.
단차있는 오목한 영역 이외에, 하우징 하부측의 이들 영역은 개구를 구비하고 있고, 그를 통하여, 개구로부터 더 이격되어 있는 전극 접촉은 가이드 채널에 의하여 접근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애노드 접촉 및 캐소드 접촉의 원하지 않는 오염이나 단락으로부터 보호에서 추가적 개선을 제공한다.
상기 유형의 가이드 채널은, 애노드 가이드 채널 및/또는 캐소드 가이드 채널이 하우징 측벽을 따라 연장하는 4개의 하우징 측벽들 중의 하나에 인접하게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의 실시양태에서, 하우징 측벽들은 전극 접촉을 위한 측면 보호를 제공한다.
가이드 채널을 포함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애노드 접촉 및 캐소드 접촉이 각 가이드 채널 내부에 및/또는 하우징 측벽 위에 배치되어서, 애노드 접촉 및 캐소드 접촉 사이에 최대 간격이 존재하게 하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여, 전극 사이에 누설 전류와 관련된 원하지 않는 영향이 최소화된다.
각 가이드 채널의 애노드 개구 및 캐소드 개구는 상이한 개구 프로파일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 상기 가이드 채널은 중앙 컷-아웃의 상술한 기능을 맡을 것이다.
애노드 가이드 채널 및/또는 캐소드 가이드 채널은 하우징 내부에 대하여 밀폐 밀봉(hermetically sealed)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여, 하우징이 물 아래에 위치되더라도, 가이드 채널을 통한 전극 접촉으로의 물의 급증 및 그의 단락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용기의 모든 형태의 실시양태에서, 애노드 접촉 및/또는 캐소드 접촉은 커버 장치를 기계적으로 회전(pivoting)하는 것에 의해 덮어진다. 하우징을 연결 장치에 접속할 때, 이들 커버 장치는 예를 들어 하우징 고유 중량에 의해 깨끗하게 제거된다. 슬러지 또는 눈과 같이 압축될 수 있는 매질의 경우, 하우징 설치시 슬러지 또는 눈에 의해 가해지는 힘은 커버 장치를 제거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르게는, 하우징을 연결 장치에 접속할 때 예를 들어, 연결 장치에 제공된 특이적으로 설계된 구조가 커버 장치의 방출 및 개방을 동작시키는 메카니즘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는 전극 접촉에 대한 부가적 보호를 제공한다.
상술한 모든 형태의 실시양태에서, 셋백 가이드 수단에 인접하게 및/또는 셋백 가이드 수단 내부에, 공조 인터페이스(air-conditioning interfaces)가 하우징 내부의 공조를 위해 제공되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 하우징을 연결 장치에 접속할 때, 전기적 결합 및 하우징을 관련 공조 장치에 연결하기에 앞서 커플링 공정이 선행한다.
상술한 셋백 가이드 수단을 구비한 하우징의 모든 변형에서, 상기 시스템은 용기를 연결 장치에 접속할 때 용기의 애노드 접촉 및 캐소드 접촉의 전기적 결합을 위해 적합하게 설계된 연결 장치로 구성된다.
예시적 목적으로만, 하우징 및 적절한 연결 장치의 다양한 형태의 실시양태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면은 다음을 나타낸다.
도 1은 관련 연결 장치(4)를 갖는 하우징(1)의 제1 형태의 실시양태의 개략적 투시도이다;
도 2는 도 1로부터 하우징(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로부터 하우징(1)의 하우징 하부측(10)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우징 하부측(10)의 도면의 확대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 중의 V-V선에서 단면도로서, 연결 장치(4)의 요소들이 도시되어 있음;
도 6은 하우징 내부의 공조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하우징(1)의 제2 형태의 실시양태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확대된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관련 연결 장치를 갖지 않는 하우징(1)의 제3 형태의 실시양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적절한 연결 장치(4)에 고정된, 도 8에 도시된 하우징(1)을 도시한다;
도 10 은 도 9로부터 하우징(1)의 하우징 하부측(10)을 도시한다;
도 11은 도 8로부터 하우징(1)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8로부터 하우징(1)의 투시도이다;
도 13은 도 9로부터 하우징(1)의 투시도이다;
도 14는 하우징(1)의 제3 형태의 실시양태에 대한 연결 장치(4)의 투시도이다;
도 15 는 도 14로부터 연결 장치(4)의 전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4로부터 연결 장치(4)의 상부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9 중의 XVII-XVII선에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8 중의 XVIII- XVIII 선에서 단면도이다; 및
도 19는 도 13으로부터의 연결 장치(4)를 갖고 또 하우징 측벽(10)은 갖지 않는 하우징(1)의 확대된 부분도의 투시도이다.
도 1은 관련 연결 장치(4)를 갖는 휴대용, 재충전가능한 직류 저장 장치용 하우징(1)의 제1 형태의 실시양태의 개략적 투시도이다. 하우징(1)의 외부 프로파일은 본질적으로 하우징 상부측(15), 4개의 하우징 측벽(11, 12, 13, 14) 및 하우징 하부측(10)을 갖는 직육면체로서 구성된다. 엄밀한 직육면체 형태 이외에, 하우징 상부측(15)은 상방으로 약간 아치 형태이고 또 중앙에 배치된 핸들(16)을 포함한다. 핸들(16) 아래인 하우징 하부측(10) 영역에서, 전면 셋백 가이드 수단(101)이 보일 수 있다. 후자는 전면 하우징 측벽(11)에서 오목부로 특이적으로 구성된다. 이는, 셋백 가이드 수단(101) 영역에서, 상기 하우징 측벽(11)은 인접 영역에서와 동일한 깊이로 하방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셋백 가이드 수단(101)에 대향하는 하우징 하부측(10)의 후방 에지는 유사하게 구성된 추가의 셋백 가이드 수단(102)을 포함하며, 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전면 셋백 가이드 수단(101)의 영역에서, 애노드 접촉(2)은 하우징 측벽(11) 뒤에 배치된다. 애노드 접촉(2)은 양쪽 측면 상에서 중앙 컷-아웃(104)에 의해 둘러싸인다. 후자는 또한 하우징 측벽(11)에 의해 덮이고 또 측면으로 보호된다. 측면 상의 애노드 접촉(2) 및 중앙 컷-아웃(104)은 셋백 가이드 수단(101)을 통하여 아래로부터만 접근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셋백 가이드 수단(102)에 의하여, 양쪽 측면 상에서 중앙 컷-아웃(104)에 의해 둘러싸인 캐소드 접촉(3)이 아래로부터 접근될 수 있다.
하우징(1) 아래에 연결 장치(4)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결 장치(4)는 한 측면 상에서 2개의 가이드 러그(44)에 의해 둘러싸인 애노드 접촉 커넥터(42)를 포함한다. 상기 애노드 접촉 커넥터(42)의 가이드 러그(44)는 하우징(1)을 연결 장치(4)에 접속시킬 때, 이들이 애노드 접촉(2)의 2개의 중앙 컷-아웃(104)과 체결하도록 이격(spaced)되어 있다. 애노드 접촉(2)과, 이 경우 도시되어 있지 않은, 하우징(1) 내의 캐소드 접촉(3) 사이의 간격을 매칭하면 애노드 접촉 커넥터(42) 이외에 연결 장치(4) 상에 캐소드 접촉 커넥터(43)가 제공된다. 상기 캐소드 접촉 커넥터(43)는 한 측면 상에서 2개의 가이드 러그(44)에 의해 둘러싸인다. 하우징(1)을 연결 장치(4)에 접속할 때, 전체 4개의 가이드 러그(44)는 하우징 내의 상응하는 중앙 컷-아웃(104)과 체결한다. 이로써 연결 장치(4)와 하우징(1)의 안전하고 규정적으로 실시된 전기적 결합을 보증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1)의 측면도이다. 동일 부품은 동일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셋백 가이드 수단(101)의 좌측 및 우측에 대하여, 하우징 하부측(10)은 2개의 하우징 위치면(100)을 형성함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들 하우징 위치면(100)에서, 상기 하우징(1)은 위치평면(AE) 상에 배치된다. 애노드 접촉(2) 및 주변의 중앙 컷-아웃(104) 영역에서, 전면 셋백 가이드 수단(101)은 위치평면(AE)으로부터 보아 상방 및 후방으로 지나는 하우징 측벽(11)을 갖는다. 후방으로부터 볼 때, 상기 셋백 가이드 수단(101)은 위치평면(AE) 방향으로 하방으로 지나지만, 위치평면(AE)에는 도달하지 않는다. 위치평면(AE)에 도달하기 직전에, 셋백 가이드 수단(101)의 상기 영역에 형성된 하우징 하부측(10)의 아웃라인이 후방으로 구불어져 들어가서, 위치평면(AE)에 대하여 평행하고, 또 하우징(1) 내의 케이블 격실(17)을 에워싼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하우징(1)의 하우징 하부측(10)을 도시한다. 이 경우, 2개의 셋백 가이드 수단(101, 102)이 하우징 하부측(10)의 대향하는 에지 상에서 보일 수 있다. 2개의 셋백 가이드 수단(101, 102)은 서로 맞물린다. 2개의 에지 사이의 완전한 영역과 위치평면(AE) 사이의 간격은 서로 맞물리는 셋백 가이드 수단(101, 102)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유형의 하우징(1)의 하우징 하부측(10)이 눈이나 슬러지 위에 설치되면, 눈이나 슬러지는 하우징 위치면(100)과 먼저 접촉될 것이고 그 후 케이블 격실(17)의 하부측과 접촉될 것이다. 눈이나 슬러지는 애노드 접촉(2) 및 캐소드 접촉(3)을 구비한 셋백 가이드 수단(101, 102)의 최상위 영역으로 침투할 수 없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우징 하부측(10)의 확대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V-V선에서 단면도이며, 연결 장치(4)의 요소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다시, 동일 부품은 동일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이 도면에서, 애노드 개구(20)는 좌측에서 보일 수 있고, 그 위에 애노드 개구 채널(21)이 배치되어, 애노드 개구(20)로부터 애노드 접촉(2)까지 연장된다. 하우징 측벽(11)은 환경 영향으로부터 애노드 접촉(2)에 대한 측면 보호를 제공한다. 애노드 개구(20)는 커버 장치(22)에 의해 닫힐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물질의 플랩(flap)일 수 있다. 하우징(1)을 연결 장치(4)에 접속시킬 때, 이 플랩은 애노드 접촉 커넥터(42) 및 캐소드 접촉 커넥터(43)에 의해 측면까지 굽어져서, 접촉 커넥터(42, 43)가 관련 접촉(2, 3)과 체결되게 허용한다. 캐소드 개구(30)에 관련된 커버 장치(22)의 굽어진 부분은 우측에 도시된다. 에너지 저장 셀(C)이 순전히 개략적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커패시터로서 사용된 전기화학적 모든 유형의 이차 전지 형태의 재충전가능한 직류 저장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하우징 내부의 공조를 위한 인터페이스(200)를 갖는 하우징(1)의 제2 형태의 실시양태의 측면도이다. 제1 형태의 실시양태와 비교하여, 동일 부품은 동일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기재된 실시양태는 상응하게 적용될 것이다.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차이점들을 이후에 주로 기재할 것이다. 전면 셋백 가이드 수단(101)에 인접하게, 개구로 구성된 공조 인터페이스(200)는 각 경우에서 하우징 하부측(10) 내에 배치된다. 하우징(1)의 내부는 부분적 컷-어웨이(cut-away) 하우징 측벽(11)을 통하여 볼 수 있다. 복수의 상호 이격되고 전기적으로 상호연결된 에너지 저장 셀(C)이 여기에 배치된다. 하우징(1)의 전기적 커플링과 동시에 하우징(1)이 연결 장치(4)에 접속되면, 하우징 내부는 공기 흡입 라인(ZL) 및 배기공기 라인(AL)에 결합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여, 하우징 내부는 소망하는 작업 온도에서 유지될 수 있다. 소화(fire-extinguishing) 장치(F)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종래 기술의 리튬 이온 축전기의 경우에서, 충방전 동안 제어 결함이 있는 경우, 불이날 급성 위험이 있는 정도로 고온이 생길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확대된 부분 단면도이며, 도 6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커버 플랩(201)이 도시되어 있고, 이는 공조 인터페이스(200) 영역 내의 하우징(1) 을 중심으로 회전(pivot on)되도록 배치된다. 닫힌 상태에서, 상기 커버 플랩(201)은 공조 인터페이스(200)를 덮는다. 피봇팅 메카니즘은 스프링(202)에 의한 스프링 소요되는 것으로, 하우징(1)이 이 경우에 도시된 배기공기 라인(AL)에 접속될 때, 커버 플랩(201)은 스프링(202)의 힘을 거슬려 하우징 내부로 회전하여 들어간다. 하우징(1)이 제거되면, 스프링(202)은 커버 플랩(201)을 공조 인터페이스(200) 위로 민다. 소화 장치(F) 이외에, 소화 그래뉼레이트(FG: fire-extinguishing granulate)도 하우징(1) 내부에 부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관련 연결 장치를 갖지 않는 하우징(1)의 제3 형태의 실시양태의 측면도이다. 제1 형태의 실시양태와 비교하여, 동일 부품은 동일 참조 번호로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기재된 실시양태가 상응하게 적용될 것이다.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차이점을 주로 이하에서 기재할 것이다. 이 형태의 실시양태에서, 하우징 하부측(10), 4개의 하우징 측벽(11, 12, 13, 14) 및 하우징 상부측(15)을 구비한 하우징(1)은 주로 직육면체로 구성된다. 도 9는 하우징(1)이 적절한 연결 장치(4)에 접속될 때의 도 8에 도시된 하우징(1)을 도시한다. 도 10은 상기 하우징(1)의 하우징 하부측(10)을 도시한다. 상기 연결 장치(4)는 셋백 가이드 수단(101, 102)을 구비한 하우징(1)이 연결 장치(4)에 접속될 때 외부 에지가 하우징 하부측(10), 및 전면 하우징 측벽(11) 및 후방 하우징 측벽 (13)과 동일 높이로 끝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하우징(1)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 11로부터도 또한 기인한다.
도 12는 연결 장치(4)가 접속되지 않은, 도 8에 도시된 하우징(1)의 투시도이고, 또 도 13은 연결 장치(4)가 접속된 동일 투시도이다.
도 14는 하우징(1)의 제3 형태의 실시양태에 대한 연결 장치(4)의 투시도이다. 애노드 접촉 커넥터(42) 및 캐소드 접촉 커넥터(43) 이외에, 연결 장치는 또한 복수의 데이터 접촉 커넥터(41)를 포함한다. 4개의 데이터 접촉 커넥터(41)는 각각 애노드 접촉 커넥터(42) 및 캐소드 접촉 커넥터(43)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애노드 접촉 커넥터(42) 및 캐소드 접촉 커넥터(43)는 누설 전류 통로가 상응하게 크도록 최대로 가능한 대각선 공간을 두고 배치된다.
연결 장치(4)의 전방 측면을 도시하는 도 15로부터, 가이드 러그(44)가 접촉 커넥터(41, 42, 43) 약간 위로 돌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하우징(1)을 연결 장치(4)에 접속시킬 때, 적절한 단면 표면에 의해 제공된, 가이드 러그(44)와 중앙 컷-아웃(104) 사이에 초기 적용된 기계적 접촉은 전기적 결합을 위해 하우징(1)을 연결 장치(4)에 대해 바른 위치에 있게 한다. 이후, 이 위치로부터, 하우징(1) 및 연결 장치(4)는 함께 가이드 러그(44)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접촉 커넥터(41, 42, 43)는 하우징(1)내의 관련된 전기적 접촉(2,3)과 체결된다. 도 16은 연결 장치(4)의 상부측을 도시한다. 접촉 커넥터(41, 42, 43)는 나이프-블레이드 접촉으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7은 도 9 중의 XVII-XVII선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18은 도 8 중의 XVIII-XVIII 선에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3에 도시된 연결 장치(4)를 갖고, 하우징 측벽(10)이 생략된 하우징(1)의 확대된 부분도의 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하우징 측벽(11)의 생략의 결과로서, 에너지 저장 셀(C) 및 결합된 접촉 커넥터(41, 42, 43)를 볼 수 있다.
1 하우징 2 애노드 접촉 3 캐소드 접촉
4 연결 장치 10 하우징 하부측 11 하우징 측벽
12 하우징 측벽 13 하우징 측벽 14 하우징 측벽
15 하우징 상부측 16 핸들 17 케이블 격실
20 애노드 개구 21 애노드 가이드 채널 22 커버 장치
30 캐소드 개구 31 캐소드 가이드 채널
41 데이터 접촉 커넥터 42 애노드 접촉 커넥터
43 캐소드 접촉 커넥터 44 가이드 러그 100 하우징 위치면
101 셋백 가이드 수단 102 셋백 가이드 수단 104 중앙 컷-아웃
200 공조 인터페이스 201 공조 인터페이스용 커버플랩
202 커버 플랩용 스프링 C 에너지 저장 셀 F 소화 장치
FG 소화 그래뉼레이트 AE 위치평면 ZL 공기 흡입 라인
AL 배기공기 라인

Claims (15)

  1. 하우징 위치면(100)을 구비한 하우징 하부측(10), 하우징 상부측(15), 하우징 측벽들(11, 12, 13, 14) 및 하우징 내부를 구비한 하우징(1),
    전기적 애노드 접촉(2), 및
    전기적 캐소드 접촉(3)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하부측(10)은 상호 대향하는 에지상에서, 하우징 위치면(100)에 의해 규정된 위치평면(AE)으로부터 하우징 상부측(15) 방향으로 연장되는 셋백 가이드 수단(101, 102)을 갖도록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셋백 가이드 수단(101, 102) 중의 애노드 접촉(2) 및 캐소드 접촉(3)은 위치평면으로부터 적어도 5 밀리미터 거리를 두고 하우징(1) 상에 배치됨으로써 애노드 접촉(2) 및 캐소드 접촉(3)에 인접하는 각각의 하우징 측벽 영역이 위치평면(AE)으로부터 적어도 5 밀리미터 거리를 두고 종료되며,
    하우징 위치면(100)으로부터 고려될 때 상기 하우징 하부측(10)은 적어도 하우징(1)의 주변에 단차가 있는(stepped) 표면 프로파일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차가 있는 표면 프로파일부는 위치평면(AE)으로부터 제거되어 하우징 측벽들(11, 12, 13, 14)에 의해 측면으로 제한되지 않으므로 용기가 슬러지(sludge) 상에 위치하더라도 단차 배치에 리세스된 하우징 하부측(10)의 영역들을 관통하는 어떠한 먼지도 측면 잡기(lateral purchase)를 달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재충전가능한 직류 저장 장치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대향 에지 상에 구성된 셋백 가이드 수단(101, 102) 사이의 영역 내의 하우징 하부측(10)은 위치평면(AE)으로부터 적어도 5 밀리미터 거리를 두고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재충전가능한 직류 저장 장치용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셋백 가이드 수단(101, 102)은 애노드 접촉(2) 및/또는 캐소드 접촉(3)과 인접하게 배치된 중앙 컷-아웃(10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재충전가능한 직류 저장 장치용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하우징 하부측(10)에서 볼 때, 애노드 접촉(2)과 인접하게 배치된 중앙 컷-아웃(104)이 캐소드 접촉(3)과 인접하게 배치된 중앙 컷-아웃(104)에 대하여 상이한 단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재충전가능한 직류 저장 장치용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컷-아웃(104)은 하우징 상부측(10) 방향으로 애노드 접촉(2) 및/또는 캐소드 접촉(3)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재충전가능한 직류 저장 장치용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셋백 가이드 수단(101, 10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 측벽들(102, 104) 내의 오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재충전가능한 직류 저장 장치용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접촉(2) 및 캐소드 접촉(3)은 상호 대향하는 셋백 가이드 수단(101, 102)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재충전가능한 직류 저장 장치용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 하부측(10)은 애노드 개구(20) 및 캐소드 개구(30)를 구비함으로써 애노드 개구(20)로부터 애노드 접촉(2)까지, 셋백 가이드 수단(101, 102) 중의 하나의 부분이 애노드 가이드 채널 오목부를 갖는 애노드 가이드 채널(21)로서 구성되고,
    캐소드 개구(30)로부터 캐소드 접촉(3)까지, 셋백 가이드 수단(101, 102) 중의 하나의 부분이 캐소드 가이드 채널 오목부를 갖는 캐소드 가이드 채널(31)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재충전가능한 직류 저장 장치용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가이드 채널(21) 및/또는 캐소드 가이드 채널(31)은 4개의 하우징 측벽들(11, 12, 13, 14) 중의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하우징 측벽들(11, 12, 13, 14)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재충전가능한 직류 저장 장치용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접촉(2) 및 캐소드 접촉(3)은 각각의 가이드 채널(21, 31) 내부 및/또는 하우징 측벽들(11, 12, 13, 14) 위에 배치되어, 상기 애노드 접촉과 캐소드 접촉 사이에 최대의 간격이 존재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재충전가능한 직류 저장 장치용 용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개구(20) 및 캐소드 개구(30)는 상이한 개구 프로파일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재충전가능한 직류 저장 장치용 용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가이드 채널(21) 및/또는 캐소드 가이드 채널(31)은 하우징 내부에 대하여 밀폐적으로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재충전가능한 직류 저장 장치용 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접촉(2) 및/또는 캐소드 접촉(3)은 커버 장치(22, 32)를 기계적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덮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재충전가능한 직류 저장 장치용 용기.
  14. 제1항에 있어서, 셋백 가이드 수단(101, 102)과 인접하게 및/또는 셋백 가이드 수단(101, 102) 내에, 하우징 내부의 공조를 위해 공조 인터페이스(20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재충전가능한 직류 저장 장치용 용기.
  15.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1)을 연결 장치(4)에 접속시킬 때 하우징(1)의 애노드 접촉(2) 및 캐소드 접촉(3)의 전기적 결합을 위해 연결 장치(4)를 포함하는 휴대용, 재충전가능한 직류 저장 장치용 용기.
KR1020167009238A 2013-09-11 2014-09-11 휴대용, 재충전가능한 직류 저장 장치용 용기 KR1019580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310110002 DE102013110002A1 (de) 2013-09-11 2013-09-11 Behälter für eine per Hand tragbare, wieder aufladbare Gleichstrom-Energie-Speichervorrichtung
DE102013110002.3 2013-09-11
PCT/DE2014/100333 WO2015035984A1 (de) 2013-09-11 2014-09-11 Behälter für eine per hand tragbare, wieder aufladbare gleichstrom-energie-speicher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561A KR20160054561A (ko) 2016-05-16
KR101958071B1 true KR101958071B1 (ko) 2019-03-13

Family

ID=51845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9238A KR101958071B1 (ko) 2013-09-11 2014-09-11 휴대용, 재충전가능한 직류 저장 장치용 용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062510B2 (ko)
EP (1) EP3044844B1 (ko)
JP (1) JP6254287B2 (ko)
KR (1) KR101958071B1 (ko)
CN (1) CN105794014B (ko)
CA (1) CA2960855A1 (ko)
DE (1) DE102013110002A1 (ko)
PH (1) PH12016500661B1 (ko)
WO (1) WO20150359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39148A (zh) * 2020-08-21 2020-12-04 缙云县锐普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充电柜保护系统以及电池充电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5285A (en) 1970-05-27 1972-05-23 Gen Electric Polarity-mated rechargeable battery and charging unit
JP2006066289A (ja) 2004-08-27 2006-03-09 Sanyo Electric Co Ltd パック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08219B1 (ko) * 1999-02-17 2007-04-1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배터리 팩, 배터리 장착 장치, 전력 공급 장치 및, 전자기기
JP2008257877A (ja) 2007-03-30 2008-10-23 Sony Corp バッテリパック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8938A (en) * 1983-09-06 1986-05-13 James P. Liautaud Battery charger
US5378556A (en) * 1993-04-05 1995-01-03 Dual Voltage Co. Ltd. Battery pack
CH690888A5 (de) * 1994-10-17 2001-02-15 Ascom Ag Handapparat eines Mobilfunkdienstes oder Schnurlostelefons.
US6427070B1 (en) * 1999-03-04 2002-07-30 Black & Decker Inc. Heavy-duty audio equipment
JP3553835B2 (ja) * 1999-10-26 2004-08-11 株式会社マキタ 充電器
JP3925120B2 (ja) * 2001-07-24 2007-06-06 ソニー株式会社 本体側機器に対する装着部品の誤装着防止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装着部品
CN1276525C (zh) 2001-07-24 2006-09-20 索尼公司 用于防止将待装器件错误地装入主体侧设备的方法、待装器件以及电池组
US20060113956A1 (en) * 2003-05-07 2006-06-01 Bublitz Scott D Battery charger and assembly
US20050024021A1 (en) * 2003-05-07 2005-02-03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Battery charger and assembly
US8026698B2 (en) 2006-02-09 2011-09-27 Scheucher Karl F Scalable intelligent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JP4600415B2 (ja) 2007-03-30 2010-12-15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DE102010048756A1 (de) * 2010-10-16 2012-04-19 Audi Ag Mehrfachladestation und damit ausgerüstetes Prüfsystem
EP3044838A4 (en) * 2013-09-09 2017-04-19 Nokia Technologies Oy Battery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6058760B2 (ja) * 2015-07-28 2017-01-11 株式会社マキタ 工具用バッテリ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5285A (en) 1970-05-27 1972-05-23 Gen Electric Polarity-mated rechargeable battery and charging unit
KR100708219B1 (ko) * 1999-02-17 2007-04-1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배터리 팩, 배터리 장착 장치, 전력 공급 장치 및, 전자기기
JP2006066289A (ja) 2004-08-27 2006-03-09 Sanyo Electric Co Ltd パック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57877A (ja) 2007-03-30 2008-10-23 Sony Corp バッテリパ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44844B1 (de) 2020-08-05
JP6254287B2 (ja) 2017-12-27
CA2960855A1 (en) 2015-03-19
EP3044844A1 (de) 2016-07-20
US10062510B2 (en) 2018-08-28
DE102013110002A1 (de) 2015-03-12
JP2016535420A (ja) 2016-11-10
KR20160054561A (ko) 2016-05-16
CN105794014A (zh) 2016-07-20
PH12016500661A1 (en) 2016-06-13
PH12016500661B1 (en) 2016-06-13
CN105794014B (zh) 2019-02-15
US20160225529A1 (en) 2016-08-04
WO2015035984A1 (de)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43468B2 (ja) 蓄電モジュールおよび蓄電モジュールの固定構造
US9023497B2 (en) Secondary battery
EP2450982B1 (en) Battery module
KR101146363B1 (ko) 배터리 팩
JP6157460B2 (ja) 蓄電モジュール
CN210467893U (zh) 二次电池及电池包
CN112350002A (zh) 二次电池及电池包
KR101944957B1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20150027579A (ko) 배터리 팩
KR102066198B1 (ko) 배터리 팩
KR20160062625A (ko) 보호 테이프를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1808307B1 (ko) 단자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958071B1 (ko) 휴대용, 재충전가능한 직류 저장 장치용 용기
KR102306443B1 (ko) 이차 전지
KR20150069898A (ko) 절연 케이스를 갖는 이차 전지
KR20210067888A (ko) 배터리 팩, 전자 디바이스, 및 자동차
CN111164792B (zh) 蓄电装置
KR20170123889A (ko) 케이블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JP6172212B2 (ja) 蓄電装置および二次電池
CN110612179A (zh) 拆卸工具及使用拆卸工具的电池模块
EP4297145A1 (en) Battery pack having improved safety
KR102164010B1 (ko) 이차 전지
CN217155604U (zh) 红外热像仪
EP4383408A1 (en) Battery pack with improved safety
EP4336650A1 (en) Battery pack with fire-fighting water storage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