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7579A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27579A KR20150027579A KR20130106194A KR20130106194A KR20150027579A KR 20150027579 A KR20150027579 A KR 20150027579A KR 20130106194 A KR20130106194 A KR 20130106194A KR 20130106194 A KR20130106194 A KR 20130106194A KR 20150027579 A KR20150027579 A KR 201500275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race
- region
- insulating tape
- circuit module
- protection circui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86 organic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2 cathode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9 copper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2 electrical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4 liquid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50 lithium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18 polymer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01M50/12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with two or more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8—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out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terminals or busba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5—Tap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회로모듈을 절연시키면서 안정적으로 배터리 셀에 고정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탭이 돌출되는 테라스가 형성된 외장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상기 테라스 위에 위치된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극탭이 접속되는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보호회로모듈;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감싸며,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상기 테라스의 상면에 위치시키는 제 1 절연 테이프; 및 상기 외장재의 양측면을 감싸는 제 2 절연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는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테라스를 감싸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몸체부를 외장재에 고정시키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개시한다.
일례로,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탭이 돌출되는 테라스가 형성된 외장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상기 테라스 위에 위치된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극탭이 접속되는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보호회로모듈;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감싸며,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상기 테라스의 상면에 위치시키는 제 1 절연 테이프; 및 상기 외장재의 양측면을 감싸는 제 2 절연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는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테라스를 감싸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몸체부를 외장재에 고정시키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팩은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셀과, 배터리 셀의 과충전 또는 과방전을 방지하는 보호회로모듈을 포함한다. 최근의 배터리 셀은 주로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또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일 수 있다. 또한 보호회로모듈은 과충전이나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회로 소자를 갖는다.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는 유기 전해액이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은 완전 고체형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와, 유기 전해액을 함유하고 있는 겔(gel)형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로 분류할 수 있다.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의 경우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 전지와 비교할 때 전해액의 누출 현상이 작거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에서는 금속 캔 대신 금속 포일과 절연층으로 이루어진 파우치를 외장재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호회로모듈을 절연시키면서 안정적으로 배터리 셀에 고정시킬 수 있는 배터리 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팩은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탭이 돌출되는 테라스가 형성된 외장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상기 테라스 위에 위치된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극탭이 접속되는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보호회로모듈;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감싸며,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상기 테라스의 상면에 위치시키는 제 1 절연 테이프; 및 상기 외장재의 양측면을 감싸는 제 2 절연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는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테라스를 감싸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몸체부를 외장재에 고정시키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하면과 상기 테라스의 하면을 감싸는 제 1 영역;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과 상기 테라스의 상면을 감싸는 제 2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 사이에 형성된 절곡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 1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영역의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 1 영역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 1 영역의 상부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탭은 상기 테라스로부터 돌출되어 ‘ㄷ’자 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절곡된 전극탭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테라스 사이에 위치하며, ‘ㄷ’자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는 ‘ㅗ’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는 부직포 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과 상기 테라스의 상면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절연 테이프는 상기 테라스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절연 테이프는 상기 날개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팩은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탭이 돌출되는 테라스가 형성된 외장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상기 테라스 위에 위치된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극탭이 접속되는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보호회로모듈;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감싸며,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상기 테라스의 상면에 위치시키는 제 1 절연 테이프; 및 상기 외장재의 양측면과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의 양측면을 감싸는 제 2 절연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는 상기 회로 기판의 하면과 상기 테라스의 하면을 감싸는 제 1 영역;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과 상기 테라스의 상면을 감싸는 제 2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 사이에 형성된 절곡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탭은 상기 테라스로부터 돌출되어 ‘ㄷ’자 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절곡된 전극탭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테라스 사이에 위치하며, ‘ㄷ’자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는 부직포 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과 상기 테라스의 상면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보호회로모듈을 감싸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를 고정시키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제 1 절연 테이프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절연시키면서 배터리 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Ⅰ-Ⅰ’선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제 1 절연 테이프 및 제 2 절연 테이프를 부착하는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Ⅰ-Ⅰ’선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제 1 절연 테이프 및 제 2 절연 테이프를 부착하는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Ⅰ-Ⅰ’선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배터리 셀(110), 보호회로모듈(120), 제 1 절연 테이프(130) 및 제 2 절연 테이프(140)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셀(110)은 양극(111a), 음극(111c) 및 양극(111a)과 음극(111c)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11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극 조립체(110)와, 상기 전극 조립체(111)의 양극(111a)에 연결된 양극탭(112)과, 상기 전극 조립체(111)의 음극(111c)에 연결된 음극탭(113)과, 상기 전극 조립체(111)를 수용하며 상기 양극탭(112) 및 음극탭(113)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외장재(114)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외장재(114)에는 상기 전극 조립체(110)와 함께 전해액(도면부호 미도시)이 수용된다. 또한, 상기 외장재(114)는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테라스(115)와, 양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후 절곡된 절곡부(116)를 포함한다.
상기 양극(111a)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포일을 중심으로 그 양면에 양극 활물질(리튬 금속 산화물)이 코팅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음극(111c)은 예를 들면 구리 포일을 중심으로 그 양면에 음극 활물질(탄소)이 코팅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상기 양극(111a) 또는 음극(111c)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상기 세퍼레이터(111b)는 리튬 이온이 양호하게 양극(111a)과 음극(111c)으로 서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다공성 폴리프로필렌(PP) 또는 다공성 폴리에틸렌(P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상기 세퍼레이터(111b)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극탭(112)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고, 상기 음극탭(113)은 니켈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양극탭(112) 및 음극탭(113)은 각각 상기 테라스(115)를 통하여 외부로 일정 길이 연장된다. 더불어, 상기 양극탭(112) 및 음극탭(113)은 각각 절연 테이프(112a, 113a)로 감싸여, 상기 테라스(115)와 전기적으로 쇼트되지 않도록 된다.
상기 외장재(114)는 상기 전극 조립체(110)를 수납하여 밀봉할 수 있도록 파우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장재(114)는 실질적으로 금속 포일과, 상기 금속 포일 상, 하면에 각각 형성된 절연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금속 포일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그 등가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포일의 하면에 형성된 절연층은 변성 폴리프로필렌(CPP) 또는 그 등가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 포일의 상면에 형성된 절연층은 나일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그 등가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상기 금속 포일 및 절연층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테라스(115)와 절곡부(116)는 상기 외장재(114)에 전극 조립체(110)를 수납하고 나서 상기 외장재(114)의 가장자리를 압착하여 형성된 부분이다. 여기서, 양극탭(112) 및 음극탭(113)이 돌출되는 부분이 테라스(115)이고, 나머지 부분이 절곡부(116)이다. 상기 테라스(115)는 하면(115b)이 상기 전극 조립체(110)를 감싸고 있는 외장재(114)의 하면(114b)과 동일한 면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테라스(115)는 상면(115a)이 상기 전극 조립체(110)를 감싸고 있는 외장재(114)의 상면(114a)보다 낮은 면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테라스(115) 위에는 보호회로 모듈(12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다.
상기 보호회로모듈(120)은 외장재(114)에 구비된 테라스(115)의 상면(115a)에 위치된다. 상기 보호회로모듈(120)은 상기 배터리 셀(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셀(110)의 충/방전을 제어한다. 상기 보호회로모듈(120)은 회로 기판(121), 양극 단자(122), 음극 단자(123) 및 전원선(124)을 포함한다.
상기 회로 기판(121)은 수지로 이루어진 플레이트로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셀(110)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회로(미도시), 또는 과방전 및 과충전을 방지하는 회로와 같은 보호 회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 기판(121)의 상면(121a)에는 양극 단자(122)와 음극 단자(123)가 형성된다. 상기 양극 단자(122)는 대략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양극 단자(122)에는 상기 양극탭(112)이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극 단자(122)에는 상기 양극탭(112)이 용접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상기 양극탭(112)은 상기 테라스(115)로부터 대략 ‘ㄷ’자 형태로 절곡된 후, 끝단이 상기 양극 단자(122)에 접속된다. 상기 음극 단자(123)는 대략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음극 단자(123)에는 상기 음극탭(113)이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음극 단자(123)에는 상기 음극탭(113)이 용접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상기 음극탭(113)은 상기 테라스(115)로부터 대략 ‘ㄷ’자 형태로 절곡된 후, 끝단이 상기 음극 단자(123)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전원선(124)은 회로 기판(121)의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전원선(124)의 일단은 상기 회로 기판(1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선(124)의 타단에는 커넥터(124a)가 연결된다. 이러한 전원선(124)은 실질적으로 외부 셋트 또는 충전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130)는 상기 보호회로모듈(120)을 감싼다.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130)는 몸체부(131)와 상기 몸체부(131)의 양측으로 돌출된 날개부(13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130)는 대략 ‘ㅗ’자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130)는 전기 절연성이 우수한 부직포 테이프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130)는 보호회로모듈(120)과 외장재(114) 사이의 전기적인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31)는 상기 보호회로모듈(120)을 감싸고, 상기 날개부(132)는 상기 보호회로모듈(120)을 상기 배터리 셀(110)에 고정시킨다. 상기 몸체부(131)는 상기 보호회로모듈(120)을 감싼 뒤 상기 보호회로모듈(120)을 테라스(115)의 상면(115a)에 위치시키고, 상기 날개부(132)는 상기 몸체부(131)에 접착되어 상기 보호회로모듈(120)을 상기 배터리 셀(1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부(131)는 상기 회로 기판(121)의 하면(121b)과 테라스(115)의 하면(115b)을 감싸는 제 1 영역(131a)과, 회로 기판(121)의 상면(121a)과 테라스(115)의 상면(115a)을 감싸는 제 2 영역(131b) 및 제 1 영역(131a)과 제 2 영역(131b) 사이에 위치하는 절곡 영역(131c)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영역(131a)은 실질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이다. 상기 제 2 영역(131b)과 절곡 영역(131c)은 보호회로모듈(120)과 외장재(114)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제 2 영역(131b)은 대략 ‘ㄷ’자 형태로 절곡된 양극탭(112) 및 음극탭(113)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영역(131b)도 대략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영역(131b)은 상기 양극탭(112) 및 음극탭(113)이 절곡될 때 함께 절곡되므로, 2겹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영역(131b)은 상기 양극탭(112) 및 음극탭(113)과 외장재(114) 사이의 쇼트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개부(132)는 상기 몸체부(131)의 제 1 영역(131a)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영역(131a)의 양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날개부(132)는 상기 제 1 영역(131a)의 하부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영역(131a)의 상부를 감싸도록 부착된다.
상기 제 2 절연 테이프(140)는 상기 외장재(114)의 양측면을 감싼다. 상기 제 2 절연 테이프(140)는 상기 외장재(114)의 절곡부(116)를 외장재(114)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 2 절연 테이프(140)는 상기 외장재(114)의 상면(114a)과 절곡부(116) 및 외장재(114)의 하면(114b)을 감싸도록 대략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절연 테이프(140)는 외장재(114)의 측면을 감싸되, 테라스(115)를 넘도록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제 2 절연 테이프(140)는 일반적인 비닐 테이프로 형성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제 1 절연 테이프 및 제 2 절연 테이프를 부착하는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상기 외장재(114)에 제 1 절연 테이프(130) 및 제 2 절연 테이프(140)를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130)를 테라스(115)의 하면(115b)에 접촉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130)의 제 1 영역(131a)이 테라스(115)의 하면(115b)과 회로 기판(121)의 하면(121b)을 감싸도록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날개부(132)는 외장재(114)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130)를 절곡시켜,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130)가 회로 기판(121)의 상면(121a)을 감싸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130)를 절곡시켜, 제 1 절연 테이프(130)의 제 2 영역(131b)이 회로 기판(121)의 상면(121a)과 테라스(115)의 상면(115a)을 감싸도록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회로모듈(120)을 테라스(115)의 상면(115a)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보호회로모듈(120)에 접속된 양극탭(112) 및 음극탭(113)이 절곡되며 제 1 절연 테이프(130)도 함께 절곡된다. 즉, 상기 양극탭(112) 및 음극탭(113)이 ‘ㄷ’자 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제 2 영역(131b)도 ‘ㄷ’자 형태로 절곡된다. 또한,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130)의 제 2 영역(131b)은 절곡되어 서로 접촉된다. 더불어, 상기 회로 기판(121)의 상면(121a)과 테라스(115)의 상면(115a)이 서로 마주보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132)를 접어서 몸체부(131)를 테라스(115)에 고정시키고, 제 2 절연 테이프(140)를 외장재(114)의 측면에 부착하여 절곡부(116)를 외장재(114)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130)는 상기 보호회로모듈(120)을 절연시키면서, 상기 보호회로모듈(120)을 배터리 셀(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보호회로모듈(120)을 감싸는 몸체부(131)와 상기 몸체부(131)를 고정시키는 날개부(132)를 포함하는 제 1 절연 테이프(13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보호회로모듈(120)을 절연시키면서 배터리 셀(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배터리 팩(200)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팩(100)과 비교할 때 제 2 절연 테이프(240)의 형상만 다를 뿐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에 대한 도시 및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제 2 절연 테이프(240)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200)은 배터리 셀(110), 보호회로모듈(120), 제 1 절연 테이프(130) 및 제 2 절연 테이프(240)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절연 테이프(240)는 상기 외장재(114)의 양측면을 감싼다. 상기 제 2 절연 테이프(240)는 상기 외장재(114)의 절곡부(116)를 외장재(114)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 2 절연 테이프(240)는 상기 외장재(114)의 상면(114a)과 절곡부(116) 및 외장재(114)의 하면(114b)을 감싸도록 대략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절연 테이프(240)는 외장재(114)의 측면을 감싸며, 외장재(114)에 형성된 테라스(115)를 넘어서 연장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절연 테이프(240)는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130)의 날개부(132)를 덮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절연 테이프(240)는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130)에 의해 고정된 보호회로모듈(120)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배터리 팩(300)은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팩(100)과 유사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300)은 배터리 셀(110), 보호회로모듈(120), 제 1 절연 테이프(330) 및 제 2 절연 테이프(3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330)는 도 2에 도시된 제 1 절연 테이프(130)에서 날개부(132)가 없는 형태이다.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330)는 상기 보호회로모듈(120)을 감싼다.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330)는 대략 평평한 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330)는 상기 회로 기판(121)의 하면(121b)과 테라스(115)의 하면(115b)을 감싸는 제 1 영역(330a)과, 회로 기판(121)의 상면(121a)과 테라스(115)의 상면(115a)을 감싸는 제 2 영역(330b) 및 제 1 영역(330a)과 제 2 영역(330b) 사이에 위치하는 절곡 영역(330c)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영역(330a)은 실질적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이다. 상기 제 2 영역(330b)과 절곡 영역(330c)은 보호회로모듈(120)과 외장재(114)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제 2 영역(330b)은 대략 ‘ㄷ’자 형태로 절곡된 양극탭(112) 및 음극탭(113)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영역(330b)도 대략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영역(330b)은 상기 양극탭(112) 및 음극탭(113)이 절곡될 때 함께 절곡되므로, 2겹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영역(330b)은 상기 양극탭(112) 및 음극탭(113)과 외장재(114) 사이의 쇼트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절연 테이프(340)는 상기 외장재(114)의 양측면을 감싼다. 상기 제 2 절연 테이프(340)는 상기 외장재(114)의 절곡부(116)를 외장재(114)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 2 절연 테이프(340)는 상기 외장재(114)의 상면(114a)과 절곡부(116) 및 하면(114b)을 감싸도록 대략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절연 테이프(340)는 외장재(114)의 측면을 감싸며, 외장재(114)에 형성된 테라스(115)를 넘어서 연장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절연 테이프(340)는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330)를 덮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절연 테이프(340)는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330)에 의해 외장재(114)와 절연된 보호회로모듈(120)을 배터리 셀(1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팩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10: 배터리 셀 111: 전극 조립체
112: 양극탭 113: 음극탭
114: 외장재 115: 테라스
116: 절곡부 120: 보호회로모듈
130: 제 1 절연 테이프 131: 몸체부
132: 날개부 140: 제 2 절연 테이프
112: 양극탭 113: 음극탭
114: 외장재 115: 테라스
116: 절곡부 120: 보호회로모듈
130: 제 1 절연 테이프 131: 몸체부
132: 날개부 140: 제 2 절연 테이프
Claims (17)
-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탭이 돌출되는 테라스가 형성된 외장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상기 테라스 위에 위치된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극탭이 접속되는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보호회로모듈;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감싸며,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상기 테라스의 상면에 위치시키는 제 1 절연 테이프; 및
상기 외장재의 양측면을 감싸는 제 2 절연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는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테라스를 감싸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몸체부를 외장재에 고정시키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하면과 상기 테라스의 하면을 감싸는 제 1 영역;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과 상기 테라스의 상면을 감싸는 제 2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 사이에 형성된 절곡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 1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영역의 양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 1 영역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 1 영역의 상부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은 상기 테라스로부터 돌출되어 ‘ㄷ’자 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절곡된 전극탭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테라스 사이에 위치하며, ‘ㄷ’자 형태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는 ‘ㅗ’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는 부직포 테이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과 상기 테라스의 상면은 서로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연 테이프는 상기 테라스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절연 테이프는 상기 날개부를 덮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전극 조립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탭이 돌출되는 테라스가 형성된 외장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상기 테라스 위에 위치된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극탭이 접속되는 전극 단자를 포함하는 보호회로모듈;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감싸며,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상기 테라스의 상면에 위치시키는 제 1 절연 테이프; 및
상기 외장재의 양측면과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의 양측면을 감싸는 제 2 절연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는
상기 회로 기판의 하면과 상기 테라스의 하면을 감싸는 제 1 영역;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과 상기 테라스의 상면을 감싸는 제 2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 사이에 형성된 절곡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은 상기 테라스로부터 돌출되어 ‘ㄷ’자 형태로 절곡되고, 상기 제 2 영역은 절곡된 전극탭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테라스 사이에 위치하며, ‘ㄷ’자 형태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연 테이프는 부직포 테이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의 상면과 상기 테라스의 상면은 서로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6194A KR102030111B1 (ko) | 2013-09-04 | 2013-09-04 | 배터리 팩 |
US14/132,246 US9209493B2 (en) | 2013-09-04 | 2013-12-18 | Battery pa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6194A KR102030111B1 (ko) | 2013-09-04 | 2013-09-04 | 배터리 팩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27579A true KR20150027579A (ko) | 2015-03-12 |
KR102030111B1 KR102030111B1 (ko) | 2019-10-08 |
Family
ID=52583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06194A KR102030111B1 (ko) | 2013-09-04 | 2013-09-04 | 배터리 팩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209493B2 (ko) |
KR (1) | KR102030111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69099A (ko) * | 2017-12-11 | 2019-06-1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지 팩 |
KR20210073889A (ko) * | 2019-12-11 | 2021-06-2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KR20210124761A (ko) | 2020-04-07 | 2021-10-15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파우치 셀들 사이의 유연한 연결 구조를 가진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
US11158895B2 (en) | 2017-06-16 | 2021-10-26 | Lg Chem, Ltd. |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battery pack |
US11271275B2 (en) | 2016-10-31 | 2022-03-08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pack |
WO2022092765A1 (ko) * | 2020-10-29 | 2022-05-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방열 테이프를 이용한 보호회로 모듈 방열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팩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8675B1 (ko) * | 2017-09-28 | 2020-10-2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보호회로모듈을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
KR102479721B1 (ko) * | 2017-12-04 | 2022-12-2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KR102384153B1 (ko) * | 2018-01-09 | 2022-04-06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이형지 커버를 포함하는 전지팩 |
KR20220135525A (ko) * | 2021-03-30 | 2022-10-0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EP4462587A1 (en) * | 2023-05-12 | 2024-11-13 | Tiala Design Oy | Battery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82598A (ja) * | 2009-02-09 | 2010-08-19 | Sony Corp | 電池パック |
KR20110038914A (ko) * | 2009-10-09 | 2011-04-1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
KR20130065291A (ko) * | 2011-12-09 | 2013-06-1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49422A (ja) * | 1992-07-29 | 1994-02-22 | Sekisui Chem Co Ltd | 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
GB0029625D0 (en) * | 2000-12-05 | 2001-01-17 | Danionics As | Electrochemical cells and their packaging |
KR20040056414A (ko) | 2002-12-23 | 2004-07-01 | 주식회사 에스엠시 | 배터리 셀 절연테이프 자동부착장치 |
KR100947972B1 (ko) * | 2007-12-14 | 2010-03-1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KR20130025165A (ko) | 2011-09-01 | 2013-03-1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 팩 |
-
2013
- 2013-09-04 KR KR1020130106194A patent/KR10203011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12-18 US US14/132,246 patent/US9209493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182598A (ja) * | 2009-02-09 | 2010-08-19 | Sony Corp | 電池パック |
KR20110038914A (ko) * | 2009-10-09 | 2011-04-1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
KR20130065291A (ko) * | 2011-12-09 | 2013-06-19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271275B2 (en) | 2016-10-31 | 2022-03-08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pack |
US11158895B2 (en) | 2017-06-16 | 2021-10-26 | Lg Chem, Ltd. |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battery pack |
KR20190069099A (ko) * | 2017-12-11 | 2019-06-19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지 팩 |
KR20210073889A (ko) * | 2019-12-11 | 2021-06-2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US11817541B2 (en) | 2019-12-11 | 2023-11-14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pack |
KR20210124761A (ko) | 2020-04-07 | 2021-10-15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파우치 셀들 사이의 유연한 연결 구조를 가진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
WO2022092765A1 (ko) * | 2020-10-29 | 2022-05-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방열 테이프를 이용한 보호회로 모듈 방열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50064502A1 (en) | 2015-03-05 |
US9209493B2 (en) | 2015-12-08 |
KR102030111B1 (ko) | 2019-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30111B1 (ko) | 배터리 팩 | |
KR101075304B1 (ko) |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 |
US10388915B2 (en) | Rechargeable battery | |
KR100867928B1 (ko) | 보호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 |
KR102279223B1 (ko) | 보호 테이프를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 |
KR101438439B1 (ko) | 신규한 구조의 내장형 전지셀 | |
US10211446B2 (en) | Rechargeable battery | |
KR20150031724A (ko) | 이차 전지 | |
KR20160109428A (ko) | 배터리 팩 | |
KR20130118232A (ko) | 이차 전지 | |
KR101985762B1 (ko) | 단자의 연결 구조가 개선된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 |
KR102257676B1 (ko) | 이차 전지 | |
EP2337108B1 (en) | Secondary battery | |
KR20110128483A (ko) | 배터리 팩 | |
US20160218345A1 (en) | Electrode assembly and rechargeable battery having electrode tab | |
KR20160013758A (ko) | 배터리 팩 | |
KR101156331B1 (ko) |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
KR20160103255A (ko) | 보호회로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팩 | |
KR102258087B1 (ko) | 리드 탭을 갖는 이차 전지 | |
KR101763265B1 (ko) | 계단 구조의 전극조립체에 대응하는 트리밍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지셀 | |
KR20130090956A (ko) | 신규한 구조의 내장형 전지셀 | |
KR101373218B1 (ko) | 적층형 이차전지 | |
US8765299B2 (en) |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
KR20070097144A (ko) | 이차전지 | |
KR102341400B1 (ko) | 베터리 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