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780B1 - 일회용 비닐장갑 - Google Patents

일회용 비닐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780B1
KR101957780B1 KR1020170113110A KR20170113110A KR101957780B1 KR 101957780 B1 KR101957780 B1 KR 101957780B1 KR 1020170113110 A KR1020170113110 A KR 1020170113110A KR 20170113110 A KR20170113110 A KR 20170113110A KR 101957780 B1 KR101957780 B1 KR 101957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s
finger
degrees
wearer
cent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6346A (ko
Inventor
정성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드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드그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드그린
Priority to KR1020170113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780B1/ko
Publication of KR20190026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41D19/0068Two-dimensional gloves, i.e. obtained by superposition of two sheet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64Producing wearing apparel
    • B29D99/0067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52Dispos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A41D2500/52Synthetic resins or rubbers in sheet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25LLDPE, i.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자의 손 크기에 관계없이 우수한 착용감과 작업성이 제공되는 개량된 일회용 비닐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2매 이상의 비닐 필름지의 가장자리가 서로 융착되어 이루어지고,
착용자의 다섯 손가락이 각각 장입되는 엄지부, 검지부, 중지부, 약지부 및 소지부를 포함하는 손가락부와, 손바닥과 손등을 감싸는 몸통부, 팔목 부위를 감싸는 손목부, 및 손목부의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일회용 비닐장갑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부의 엄지부의 중심선과 소지부의 중심선 사이의 각도는 80~95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회용 비닐장갑{Disposable plastic gloves}
본 발명은 일회용 비닐장갑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손 크기에 관계없이 우수한 착용감과 작업성이 제공되는 개량된 일회용 비닐장갑에 관한 것이다.
주로 가정에서 요리 등을 할 때 손에 음식물 등이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일회용 비닐장갑은 오늘날 생활필수품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일회용 비닐장갑은, 통상 얇은 소재의 비닐 필름지를 상하 2겹 또는 2겹 이상의 복수겹으로 포개서 장갑형상을 재단하고, 재단된 비닐 필름지의 가장자리를 열융착시킨 후, 일정 길이 단위로 커팅함으로써 성형된다.
그런데, 이러한 일회용 비닐장갑은 상술한 것과 같이 신축성이 거의 없는 비닐필름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착용하고 벗기 편하도록 전체적으로 사람의 손보다 훨씬 크게 만들어져 있어 일회용 비닐장갑을 착용하여 작업을 하기에는 정교함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시판중인 대개의 일회용 비닐장갑은 손의 크기와 상관없이 손이 아주 큰 사람도 착용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큰 크기로 제작되기 때문에, 손이 작거나 보통인 사람은 손가락 길이나 손가락 둘레 등에서 여유가 너무 많아서 실제 착용하여 작업시에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시판중인 종래의 일회용 비닐장갑은 그 형태에 있어서, 힘을 주지 않고 자연스럽게 펼친 손모양에 맞춘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일회용 비닐장갑을 착용하여 손목 부위를 당기더라도 일회용 비닐장갑의 손가락부의 형태는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당긴 힘을 제거하면 원래대로 돌아가고 착용자의 손에 맞추어 손가락부의 길이가 조절되지 않는다.
KR 10-2010-0023589 A KR 20-2010-0005331 U KR 20-2013-0006793 U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일회용 비닐장갑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착용자의 손 크기가 다르더라도 우수한 착용감과 뛰어난 작업성을 줄 수 있는 일회용 비닐장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해결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구성은,
2매 이상의 비닐 필름지의 가장자리가 서로 융착되어 이루어지고,
착용자의 다섯 손가락이 각각 장입되는 엄지부, 검지부, 중지부, 약지부 및 소지부를 포함하는 손가락부와, 손바닥과 손등을 감싸는 몸통부, 팔목 부위를 감싸는 손목부, 및 손목부의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일회용 비닐장갑에 있어서,
손가락부의 형태가 손가락에 힘을 주어 손가락 사이를 한껏 벌렸을 때의 손 모양으로 이루어져서, 비닐장갑의 손가락부에 착용자의 손가락 끝을 넣은 상태에서 손목부분을 당기면, 착용자의 손에 맞춰 비닐장갑의 손가락부의 각 손가락의 각도가 서서히 변경되면서 각 착용자의 손가락 길이에 맞게 비닐장갑의 손가락부의 손가락들의 길이가 변경되고, 여분의 길이는 각 손가락 사이에 끼어 고정되고 손가락부의 선단부는 착용자의 손가락 끝에 맞게 밀착되도록 구성되고,
손가락부의 엄지부의 중심선과 소지부의 중심선 사이의 각도가 80~90도 사이이고,
상기 손가락부의 중지부의 중심선과 소지부의 중심선 사이에 이루는 각도가 38도 ~ 42도 사이이고, 중지부와 엄지부의 중심선 사이에 이루는 각도가 40도 ~50도 사이이며,
상기 손가락부는 손가락 선단에서부터 몸통부와 연결되는 하단까지가 점차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검지부와 중지부 및 약지는, 선단에서부터 30mm 이격된 지점의 폭이 34mm 이하이고, 하단에서의 폭은 상기 선단에서 30mm 이격된 지점의 폭보다 15~22% 사이로 증가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닐 필름지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50~60중량%,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25~35중량%, 슬립제 4~8중량% 및 탈크 8~13중량%를 포함한 수지조성물을 20~27㎛의 두께로 압출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일회용 비닐장갑은, 손가락 사이의 각도를 힘을 주어 벌렸을 때의 각도로 설정함으로써, 착용자의 손의 크기나 손가락 굵기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손이 작은 사람이나 손이 큰 사람의 손에 공히 맞게 변형되어 우수한 착용감과 작업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원발명에 따른 일회용 비닐장갑은 손가락부의 선단이 좁고 하단으로 갈수록 자연스럽게 넓어지도록 폭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최적의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서, 섬세한 작업시에 여분의 비닐에 의해 방해받는 일이 적으면서도, 손가락에 끼어 땀이 차이거나 착탈시에 불편을 초래하는 현상이 방지되어, 최적의 착용감과 작업성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비닐장갑의 정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비닐장갑의 착용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3은 종래의 일회용 비닐장갑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비닐장갑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비닐장갑(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일회용 비닐장갑들과 마찬가지로, 착용자의 다섯 손가락이 각각 끼워지는 손가락부(10)와, 손바닥과 손등을 감싸는 몸통부(20), 팔목 부위를 감싸는 손목부(30)를 갖춘 형상으로 재단된 2매의 비닐 필름지의 가장자리를 열 또는 초음파 등의 수단으로 서로 융착하여 이루어진 형태이다.
비닐 필름지는 통상 손바닥쪽과 손등쪽에 배치되는 각 1매씩을 사용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손바닥쪽과 손등쪽의 어느 한 쪽 또는 양쪽 모두를 2매 이상씩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손가락부(10)는 다섯 손가락이 각각 장입되는 엄지부(11), 검지부(12), 중지부(13), 약지부(14) 및 소지부(15)로 구성되며, 융착되지 않은 손목부(30)의 하단부는 개방된 개구부(40)를 형성하여, 이 개구부(40)를 통해 착용자는 손을 넣어 일회용 비닐장갑을 착용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비닐장갑(1)에 있어서는, 손가락부(10)를 구성하는 각각의 손가락들 사이의 각도를 종래의 일회용 비닐장갑에서보다 크게 하여, 착용자의 손 크기와 상관없이 일회용 비닐장갑의 손가락의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우수한 착용감과 함께 정밀한 작업성을 갖게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비닐장갑은 손가락부의 형태를 손가락에 힘을 주어 손가락 사이를 한껏 벌렸을 때의 손 모양을 감안하여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비닐장갑의 착용과정에서 도 2a 내지 도 2c에 나타낸 것과 같이, 비닐장갑의 손가락부에 착용자의 손가락 끝을 넣은 상태에서 손목부분을 당기면, 착용자의 손에 맞추어 비닐장갑의 손가락부의 각 손가락의 각도가 서서히 변경되면서 각 착용자의 손가락 길이에 맞게 비닐장갑의 손가락부의 손가락들의 길이가 변경되고, 여분의 길이는 각 손가락 사이에 끼어 고정되고 손가락부의 선단부는 착용자의 손가락 끝에 맞게 밀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비닐장갑(1)의 손가락부(10)의 엄지부(11)의 중심선(11A)과 소지부(15)의 중심선(15A) 사이의 각도는 80~90도 사이이며, 이는 대략 50~70도 사이인 종래의 일회용 비닐장갑의 그것과 대비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가락부(10)의 중지부(13)의 중심선(13A)과 소지부(15)의 중심선(15A) 사이에 이루는 각도는 38도 ~ 42도 사이이고, 중지부의 중심선(l3A)과 엄지부(11)의 중심선(11A) 사이에 이루는 각도는 40도 ~ 50도 사이이다.
이 각도는 사람이 손에 힘을 주어 손가락 사이를 벌렸을 때의 손가락 사이의 각도에 대략 대응하는 수치이다. 이 각도가 너무 좁으면, 손가락부의 길이 조절 효과가 작으며, 너무 각도가 크면 사람의 손가락 형태와 많이 상이하여 비정상적인 형태가 되고 착용시에 손가락 사이에 주름이 너무 많이 형성되어 자연스럽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비닐장갑(1)은 손가락부(10)의 엄지부(11)와 검지부(12), 중지부(13), 약지부(14) 및 소지부(15)의 각부는 손가락 선단에서부터 몸통부와 연결되는 하단까지가 점차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지부(12)와 중지부(13) 및 약지부(14)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선단에서부터 30mm 이격된 지점의 폭이 34mm 이하이고, 하단에서의 폭은 상기 선단에서 30mm 이격된 지점의 폭보다 15~22% 사이로 증가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엄지부(11)는 선단에서부터 30mm 이격된 지점의 폭이 36mm 이하이고, 말단에서의 폭은 상기 선단에서 30mm 이격된 지점의 폭보다 15~22% 사이로 증가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0mm 이격지점의 폭이 중지부(13)는 33mm, 검지부(12)는 34mm, 약지부(14)는 33.7mm로 비슷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소지부(15)는 좀 작은 31mm, 엄지부(11)는 좀 더 폭이 큰 35mm로 이루어져 있다.
하단부에서의 폭은, 중지부(13)와 검지부(12), 약지부(14)는 40mm이고, 엄지부는 42mm로서, 30mm 지점에서의 폭에 비해, 20% 정도 증가한 수치를 보여준다.
다만, 소지부(15)는 하단부의 폭이 35mm로서, 30mm 지점에 비해 12%만 증가한 값으로 굵기의 변화가 크지 않은 새끼손가락의 형태에 맞게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손가락부의 선단부는 좁게 하고, 하단부는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함으로써, 좀 더 세밀함을 요구하는 손가락 끝에서는 일회용 비닐장갑의 손가락부가 착용자의 손에 최대한 밀착하고, 하단부에는 여유가 있어서 장갑을 끼거나 벗기 쉽게 된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일반적인 일회용 비닐장갑의 손가락부의 각 손가락들이 선단만 둥글고 전체적으로 선단부에서 하단부까지가 거의 동일한 폭으로 이루어져 있고, 선단부와 하단부의 폭에 큰 변화가 없는 것과 대비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비닐장갑(1)을 구성하는 비닐 필름지는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25~35중량%의 탄성체를 포함하여 유연성과 신축성을 향상시킨 합성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필름지를 사용할 경우에 손에 부드럽게 밀착되어 착용감과 작업성이 더욱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주로 사용되던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대신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을 주성분으로 하여,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와, 슬립제, 개구제를 혼합한 수지조성물로 20~27㎛의 두께로 압출한 비닐 필름지를 이용하여 일회용 비닐장갑을 제조하였다.
LLDPE는 LDPE에 비해 인장강신도와 충격강도, 신도, 유연성 등이 뛰어나고, 신축성이 우수한 엘라스토머 성분이 배합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비닐장갑은 종래의 일회용 비닐장갑에 비해 얇은 두께로 제조하더라도 충분한 내구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얇은 두께로 인하여 더욱 향상된 유연성과 착용감 및 작업성을 제공하게 된다.
구성성분들의 배합비는 LLDPE 50~60중량%,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25~35중량%, 슬립제 4~8중량% 및 개구제인 탈크(talc) 8~13중량%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다른 기능성 첨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1: 일회용 비닐장갑
10: 손가락부
20: 몸통부
30: 손목부
40: 개구부

Claims (4)

  1. 2매 이상의 비닐 필름지의 가장자리가 서로 융착되어 이루어지고,
    착용자의 다섯 손가락이 각각 장입되는 엄지부, 검지부, 중지부, 약지부 및 소지부를 포함하는 손가락부와, 손바닥과 손등을 감싸는 몸통부, 팔목 부위를 감싸는 손목부, 및 손목부의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일회용 비닐장갑에 있어서,
    손가락부의 형태가 손가락에 힘을 주어 손가락 사이를 한껏 벌렸을 때의 손 모양으로 이루어져서, 비닐장갑의 손가락부에 착용자의 손가락 끝을 넣은 상태에서 손목부분을 당기면, 착용자의 손에 맞춰 비닐장갑의 손가락부의 각 손가락의 각도가 서서히 변경되면서 각 착용자의 손가락 길이에 맞게 비닐장갑의 손가락부의 손가락들의 길이가 변경되고, 여분의 길이는 각 손가락 사이에 끼어 고정되고 손가락부의 선단부는 착용자의 손가락 끝에 맞게 밀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손가락부의 엄지부의 중심선과 소지부의 중심선 사이의 각도는 80~90도 사이이고,
    상기 손가락부의 중지부의 중심선과 소지부의 중심선 사이에 이루는 각도가 38도 ~ 42도 사이이고, 중지부와 엄지부의 중심선 사이에 이루는 각도가 40도 ~ 50도 사이이며,
    상기 손가락부는 손가락 선단에서부터 몸통부와 연결되는 하단까지가 점차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검지부, 중지부 및 약지부는, 선단에서부터 30mm 이격된 지점의 폭이 34mm 이하이고, 하단에서의 폭은 상기 선단에서 30mm 이격된 지점의 폭보다 15~22% 사이로 증가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비닐 필름지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50~60중량%, 올레핀계 열가소성 탄성체 25~35중량%, 슬립제 4~8중량% 및 탈크 8~13중량%를 포함한 수지조성물을 20~27㎛의 두께로 압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비닐장갑.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113110A 2017-09-05 2017-09-05 일회용 비닐장갑 KR101957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110A KR101957780B1 (ko) 2017-09-05 2017-09-05 일회용 비닐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110A KR101957780B1 (ko) 2017-09-05 2017-09-05 일회용 비닐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346A KR20190026346A (ko) 2019-03-13
KR101957780B1 true KR101957780B1 (ko) 2019-03-14

Family

ID=65759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110A KR101957780B1 (ko) 2017-09-05 2017-09-05 일회용 비닐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7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9120A (ja) * 2002-02-15 2003-08-27 Okamoto Ind Inc 手 袋
US20110289653A1 (en) * 2010-05-25 2011-12-01 Inteplast Group, Ltd. Disposable gloves and glove material compositions
US20130067635A1 (en) 2011-09-15 2013-03-21 Inteplast Group, Ltd. Disposable gloves and glove material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3104A (ja) * 1987-05-29 1988-12-09 ペー.ブレステ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使い捨て手袋
KR20100023589A (ko) 2008-08-22 2010-03-04 주식회사 크린ŽN 벌림부가 형성된 일회용장갑 및 일회용장갑 금형
KR20100005331U (ko) 2008-11-14 2010-05-25 이정인 비닐장갑
KR20130006793U (ko) 2012-05-17 2013-11-27 박종덕 일회용 비닐장갑
KR20170008544A (ko) * 2015-07-14 2017-01-24 한윤석 일회용 장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9120A (ja) * 2002-02-15 2003-08-27 Okamoto Ind Inc 手 袋
US20110289653A1 (en) * 2010-05-25 2011-12-01 Inteplast Group, Ltd. Disposable gloves and glove material compositions
US20130067635A1 (en) 2011-09-15 2013-03-21 Inteplast Group, Ltd. Disposable gloves and glove material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346A (ko)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919B1 (ko) 개선된 커브 부착수단을 지닌 장갑
US10750802B2 (en) Patterned medical glove for use when taking a pulse
US4884300A (en) Glove having improved cuff securing features
EP2773281B1 (en) Elastomeric articles having a welded seam made from a multi-layer film
US4881277A (en) Protective glov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159246B2 (en) Glove with high tactile portion
US20110030121A1 (en) Slip-resistant medical grip glove
US20080282446A1 (en) Hand Covering With Tactility Features
JP2004285528A (ja) 作業用手袋
US20110239349A1 (en) Medical gown with a secondary sleeve for extending over a surgical glove
SE531956C2 (sv) Operationsklädesplagg med organ för att fästa en handske därtill
JPWO2010029614A1 (ja) 手袋及びその付属品
JP4928353B2 (ja) 貼付材
KR101957780B1 (ko) 일회용 비닐장갑
JP2009136339A (ja) 野球またはソフトボール用捕球具
US20120204318A1 (en) Personal apparel garment particularly for health conscious three-finger-glove hand cover prophylactics
KR200273060Y1 (ko) 일회용 비닐 장갑
JP6560100B2 (ja) 手袋
JP3179565U (ja) 手首サポータ
US200100475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application and removal of gloves, such as dive gloves
JP3057440U (ja) 指先滑り止めラベル
US20160037838A1 (en) Expandable and retractable disposable glove
JP3138506U (ja) 作業用手袋
JP6614703B2 (ja) 化粧用瞼整形テープ
JP3083971U (ja) 耐溶剤性およびガスバリアー性二重手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