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507B1 - 변속기 인터락 발생에 따른 학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변속기 인터락 발생에 따른 학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507B1
KR101957507B1 KR1020160168955A KR20160168955A KR101957507B1 KR 101957507 B1 KR101957507 B1 KR 101957507B1 KR 1020160168955 A KR1020160168955 A KR 1020160168955A KR 20160168955 A KR20160168955 A KR 20160168955A KR 101957507 B1 KR101957507 B1 KR 101957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
solenoid valve
hydraulic pressure
combination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7343A (ko
Inventor
이존하
정성욱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8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507B1/ko
Publication of KR20180067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2061/0075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trol method
    • F16H2061/0087Adaptive control, e.g. the control parameters adapted by lear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8Preventing unintentional or unsafe shift, e.g. preventing manual shift from highest gear to reverse gear
    • F16H2061/185Means, e.g. catches or interlocks, for preventing unintended shift into reverse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일반적인 자동변속기 차량에서의 인터락 발생에 따른 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 단별 솔레노이드 밸브 인가 조합을 학인하여 조합과 맞지 않는 경우 또는 댐퍼 개방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급격한 엔진과 터빈속도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를 인터락으로 판단하고, 인터락으로 판단시에는 각 단별 솔레노이드 밸브 인가 조합이 아닌 솔레노이드를 감지하여 인터락이 발생한 해당 변속타입 및 페이즈에 인터락을 방지하는 학습을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는 각 마찰요소의 정밀하고 안정된 제어로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정해지지 않은 잘못된 조합으로 마찰요소가 작동될 개연성을 배제하며, 자동변속기의 클러치 소손을 방지하는 등 자동변속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변속기 인터락 발생에 따른 학습 방법 및 장치{Learning Method and Device for Interlock in Auto Transmission}
본 발명은 일반적인 자동변속기 차량에서의 인터락 발생에 따른 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 단별 솔레노이드 밸브 인가 조합을 학인하여 조합과 맞지 않는 경우 또는 댐퍼 개방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급격한 엔진과 터빈속도의 차이가 발생할 경우를 인터락으로 판단하고, 인터락으로 판단시에는 각 단별 솔레노이드 밸브 인가 조합이 아닌 솔레노이드를 감지하여 인터락이 발생한 해당 변속타입 및 페이즈에 인터락을 방지하는 학습을 적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탑재되는 자동변속기는 엔진 등과 같은 동력 발생장치로부터의 동력을 차량의 주행상태에 적합한 토크와 회전수로 자동적으로 변화시켜서, 원활한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이다.
자동변속기가 내부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변속비가 다양할수록, 동력 발생장치로부터의 동력을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서 보다 적합한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어서, 차량의 연비 및 동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변속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마찰요소를 제어해야 하며, 각 마찰요소들이 정밀하고 안정되게 제어되어 변속 충격 등이 발생하지 않고 좋은 변속감을 형성하여야 한다.
특히, 이들 마찰요소들이 항상 정해진 적절한 조합으로 작동되는 것이 요구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각 마찰요소들로 유압을 공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압 인가 조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자동변속기의 구조적인 원인 등으로 인하여 차량 주행 중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압 인가 조합이 잘못되는 경우가 생기며, 그러한 경우에 인터락(Interlock) 즉, 변속기에 의한 휠락(Wheel Lock)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인터락은 차량의 구동휠을 정지시키며, 결국 변속기의 파손을 야기 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휠락이 발생하게 되면 차속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어 차량 탑승자에게 심각한 위험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다운사이징 화 및 원가 절감차원에서 차량에 구비된 safety valve가 없어지는 추세를 보인다. 이러한 추세에서 현재 직접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는 변속기에 있어서, 그에 대한 학습로직은 마련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터락 발생을 감지하는 로직 및 감지시에 대응할 수 있는 학습 로직의 개발이 시급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변속기에서 인터락(Interlock) 발생을 효과적으로 감지하고, 이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유압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변속기의 유압 인가된 솔레노이드 밸브 조합과 기 설정된 각 변속단별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압 인가 조합표를 비교하는 비교단계;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조합과 상기 유압 인가 조합표를 비교한 결과값에 기반하여 상기 변속기의 인터락(Interlock) 여부를 판정하는 인터락 판정 단계; 인터락이 판정된 경우, 상기 인터락의 발생과 관련된 인터락 관련정보를 학습하는 인터락정보 학습단계; 상기 인터락 학습값을 적용하는 학습값 적용단계를 포함하는 변속기 인터락 발생에 따른 학습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인터락 관련정보는 1) 인터락을 유발한 솔레노이드 밸브 관련정보, 2) 인터락이 감지된 변속타입 관련정보, 3) 인터락이 감지된 위치 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학습값 적용단계는 상기 인터락 관련정보와 대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음의 유압 학습값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유압인가된 2개의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인가솔레노이드밸브 해방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해방솔레노이드 밸브에 음의 유압 학습값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터락정보 학습단계는 인터락 관련정보를 취합 및 저장하는 인터락정보 취합저장단계; 및 상기 취합 및 저장된 인터락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인터락정보 업데이트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변속기의 유압 인가된 솔레노이드 밸브 조합과 기 설정된 각 변속단별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압 인가 조합표를 비교하는 비교 단계;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조합과 상기 유압 인가 조합표를 비교한 결과값에 기반하여 상기 변속기의 인터락(Interlock) 여부를 판정하는 제1 인터락 판정 단계; 인터락이 판정된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조합 중 상기 유압 인가 조합표에 해당하지 않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감지하고, 변속타입을 감지하며, 상기 변속타입 내의 변속 시점을 감지하는 인터락 대응단계; 및 상기 인터락이 감지된 변속 타입의 해당 변속 시점 동안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음의 유압 학습값을 적용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릴리즈하는 밸브 릴리즈 단계;를 포함하는 변속기 인터락 발생에 따른 학습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인터락 판정 단계에서 인터락이 판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댐퍼 클러치가 직결 모드인지 판정하는 직결모드 판정 단계와, 상기 댐퍼 클러치가 직결 모드인 경우, 엔진 속도와 터빈 속도의 차이값 또는/및 상기 차이값의 변화율에 기반하여 상기 변속기의 인터락 여부를 판정하는 제2 인터락 판정 단계를 수행한 뒤에, 상기 인터락 대응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변속기의 유압 인가된 솔레노이드 밸브 조합과 기 설정된 각 변속단별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압 인가 조합표를 비교하여 인터락 발생을 감지하는 인터락 감지부; 상기 인터락이 감지된 경우, 상기 인터락의 발생과 관련된 인터락 관련정보를 학습하는 인터락 학습부; 및 상기 인터락 학습부로부터 학습값을 전송받아 계산하고 이를 저장하는 인터락 학습저장부;를 포함하는 인터락 학습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변속기에서 인터락(Interlock) 발생을 효과적으로 감지하고, 이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유압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 발생을 감지 및 대응하는 로직의 적용을 통해 변속기의 클러치 소손 등 기계적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회성 로직이 아닌 학습을 통한 영구적인 인터락 보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유압 제어장치의 각 변속단별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압 인가 조합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3의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로직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 인터락 발생에 따른 학습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은 인터락이 발생한 지점 정보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 인터락 발생에 따른 학습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 인터락 발생에 따른 학습 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장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장치(100)는 변속기의 유압 인가된 솔레노이드 밸브 조합과 기 설정된 각 변속단별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압 인가 조합표를 비교하여 상기 변속기의 인터락(Interlock) 여부를 판정하는 제1 인터락 판정부(110);
상기 제1 인터락 판정부(110)로부터 인터락이 판정된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조합 중 상기 유압 인가 조합표에 해당하지 않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릴리즈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인터락 제어부(130); 및
상기 인터락 제어부(130)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릴리즈하는 밸브 릴리즈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장치(100)는 유압을 공급받아 각 변속단별로 서로 다르게 정해진 복수 개가 작동됨으로써 해당 변속단을 각각 형성하도록 된 다수의 마찰요소와, 이들 다수의 마찰요소 각각에 공급할 유압을 제어하는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변속기의 마찰요소는 실시예적으로 클러치,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유압이 인가되면 각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하는 구동부가 해당 유압을 제어하도록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동시키며, 유압이 인가된 솔레노이드 밸브 조합이 유압을 제어함으로써 마찰요소를 작동시켜 해당 변속단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유압 인가된 솔레노이드 밸브 조합은 차량 운행시 마찰요소가 운전자로부터 요구된 해당 변속단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마찰요소에 실제로 유압을 공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각 변속단별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압 인가 조합표는 기 설정된 것일 수 있으며, 해당 차량에 설치되는 전자제어유닛(ECU), 변속기 제어유닛(TCU) 등에 메모리되어 저장된 맵 값일 수 있다.
제1 인터락 판정부(110)는 입력신호로서 현재 변속단 정보, 솔레노이드 동작전류 정보 등을 입력 받고, 또한 각 입력신호의 정상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은 뒤에, 실제 유압 인가된 솔레노이드 밸브 조합과 기 설정된 각 변속단별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압 인가 조합표를 비교할 수 있으며,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변속기의 인터락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인터락은 실제 유압 인가된 솔레노이드 밸브 조합과 기 설정된 각 변속단별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압 인가 조합표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인터락 판정부(110)는 실제 유압 인가된 솔레노이드 밸브 조합 중 적어도 하나가 유압 인가 조합표에 해당되지 않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경우에 인터락으로 판정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유압 제어장치의 각 변속단별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압 인가 조합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여 인터락의 의미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서 가로 축은 마찰요소가 해당 변속단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서 유압이 인가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나타내고, 세로 축은 변속단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8속의 변속단을 나타낸다.
예컨대, 2속 변속단의 작동요소인 S1 솔레노이드 밸브와 S4 솔레노이드 밸브에 유압이 인가됨으로써 2속 변속단을 형성할 수 있고, 3속 변속단의 작동요소인 S1 솔레노이드 밸브와 S5 솔레노이드 밸브에 유압이 인가됨으로써 3속 변속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예에서 각 변속단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2 개가 작동한다. 즉, 2속 변속단에서는 S1과 S4 솔레노이드 밸브가 작동하고, 3속 변속단에서는 S1과 S5 솔레노이드 밸브가 작동한다. 그런데 2속에서 3속으로 또는 3속에서 2속으로 변속단이 변속될 때 변속기의 구조적인 원인 등에 기인하여 S4 솔레노이드 밸브와 S5 솔레노이드 밸브가 동시에 작동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며, 이 경우 인터락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는 7속에서 8속으로 또는 8속에서 7속으로 변속단이 변속될 때에도 마찬가지다.
즉, 2속에서 3속으로 변속단이 변속된 경우 3속 변속단에서 S1 솔레노이드 밸브가 작동하면서, S4 솔레노이드 밸브와 S5 솔레노이드 밸브가 동시에 작동하는 것이다.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장치(100)의 정상적인 작동 중에 이렇게 마찰요소가 정해지지 않은 부적절한 조합으로 작동되는 것이 방지되기 위하여 3속 변속단에서 S4 솔레노이드 밸브는 작동이 정지되어야 하므로 인터락을 해소하기 위한 제어가 필요하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렇게 제1 인터락 판정부(110)로부터 인터락이 판정된 경우, 인터락 제어부(130)는 솔레노이드 밸브 조합 중 유압 인가 조합표에 해당하지 않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릴리즈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밸브 릴리즈부(140)는 인터락 제어부(13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를 릴리즈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예에서 인터락 제어부(130)는 S4 솔레노이드 밸브를 릴리즈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밸브 릴리즈부(140)는 S4 솔레노이드 밸브를 릴리즈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밸브 릴리즈부(140)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인가된 유압을 제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밸브 릴리즈부(140)는 예컨대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이거나 솔레노이드 밸브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일 수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계적 또는 전기적인 방법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를 릴리즈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인터락 판정부(110)는, 인터락 판정의 수행을 개시하기 위한 수행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수행조건이 충족된 경우, 인터락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수행조건은 실시예에 따라서 이그니션 신호, 엔진 크랭킹 신호, 변속기 유온 신호 및 차속 신호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충족 여부가 판정될 수 있다.
즉, 수행조건은 이그니션이 온된 경우, 엔진 크랭킹이 시작된 경우, 변속기 유온이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및 차속이 일정치 이상인 경우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충족된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장치(100)는 제1 인터락 판정부(110)와는 별개의 제2 인터락 판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인터락 판정부(120)는 차량의 유체 클러치 내부에 설치된 댐퍼 클러치가 직결 모드인 경우에, 슬립값 또는/및 슬립변화율값에 기반하여 변속기의 인터락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인터락 판정부(120)는 입력신호로 댐퍼 클러치 체결 상태정보, 슬립값, 슬립변화율값을 입력 받고, 각 입력신호의 정상 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은 뒤에, 슬립값이 제1 설정값보다 크며, 슬립변화율값이 제2 설정값보다 큰 경우에는 인터락으로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슬립값은 차량의 엔진 속도와 유체 클러치의 터빈 속도의 차이값일 수 있으며, 슬립변화율값은 전술한 차이값의 변화율을 의미할 수 있다. 유압 클러치 및 댐퍼 클러치의 구조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 인터락 판정부(120)는 제1 인터락 판정부(110)로부터 인터락이 판정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변속기의 인터락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즉, 제1 인터락 판정부(110)로부터 인터락이 판정된 경우에는 인터락 제어부(130)는 유압 인가 조합표에 해당하지 않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릴리즈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1 인터락 판정부(110)로부터 인터락이 판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비로서 제2 인터락 판정부(120)가 변속기의 인터락 여부를 판정할 수 있으며, 제2 인터락 판정부(120)로부터 인터락이 판정된 경우 인터락 제어부(130)가 유압 인가 조합표에 해당하지 않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릴리즈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제2 인터락 판정부(120)는, 인터락 판정의 수행을 개시하기 위한 수행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여 수행조건이 충족된 경우, 인터락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수행조건의 충족 여부는 실시 예에 따라서 이그니션 신호, 엔진 크랭킹 신호, 변속기 유온 신호 및 차속 신호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판정될 수 있다. 여기서 수행조건의 설명은 제1 인터락 판정부(110)에서의 수행조건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방법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압 제어방법은 변속기의 유압 인가된 솔레노이드 밸브 조합과 기 설정된 각 변속단별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압 인가 조합표를 비교하는 비교 단계(S220);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조합과 상기 유압 인가 조합표를 비교한 결과값에 기반하여 상기 변속기의 인터락(Interlock) 여부를 판정하는 제1 인터락 판정 단계(S230);
인터락이 판정된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조합 중 상기 유압 인가 조합표에 해당하지 않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릴리즈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인터락 대응 단계(S240); 및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릴리즈하는 밸브 릴리즈 단계(S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비교 단계 이전에, 인터락 판정의 수행을 개시하기 위한 수행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수행조건 판단 단계(S210)를 수행하고, 판단 단계에서 수행조건이 충족된 경우, 비교 단계(S220)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수행조건은 이그니션 신호, 엔진 크랭킹 신호, 변속기 유온 신호 및 차속 신호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충족 여부가 판정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1 인터락 판정 단계(S230)에서 인터락이 판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댐퍼 클러치가 직결 모드인지 판정하는 직결모드 판정 단계와,
상기 댐퍼 클러치가 직결 모드인 경우, 엔진 속도와 터빈 속도의 차이값 또는/및 상기 차이값의 변화율에 기반하여 상기 변속기의 인터락 여부를 판정하는 제2 인터락 판정 단계를 수행한 뒤에, 상기 인터락 대응 단계(S240)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로직의 순서도이다.
제어로직이 시작되면 우선 인터락 판정 수행조건을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확인단계(S310)를 거친다. 여기서 수행조건이 충족 여부는 실시예에 따라서 입력된 이그니션 신호, 엔진 크랭킹 신호, 변속기 유온 신호 및 차속 신호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판정될 수 있다.
즉, 수행조건은 실시예에 따라서 이그니션이 온된 경우, 엔진 크랭킹이 시작된 경우, 변속기 유온이 설정된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및 차속이 일정치 이상인 경우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충족된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확인단계(S310)에서 수행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는 다시 시작으로 돌아가고, 충족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변속단별 솔레노이드 밸브 유압 인가 표와 실제 인가된 솔레노이드 밸브 조합이 서로 다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1 판정단계(S320)를 거친다.
제1 판정단계(S320)에서 인가 표와 조합이 서로 다르다고 판정되는 경우는 인터락 대응 로직을 작동시켜서 유압인가 조합표에 해당하지 않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릴리즈시키는 릴리즈 단계(S340)를 거친다.
한편, 제1 판정단계(S320)에서 인가 표와 조합이 서로 다르지 않다고 판정되는 경우는 댐퍼 클러치가 직결 모드인지 여부와 댐퍼 클러치의 슬립값 및 슬립변화율값에 기반하여 변속기의 인터락 여부를 판정하는 제2 판정단계(S330)를 거친다. 여기서 슬립값과 슬립변화율값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엔진 속도와 터빈 속도의 차이값 또는/및 상기 차이값의 변화율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판정단계(S330)에서 댐퍼 클러치가 직결 모드가 아닌 경우, 슬립값이 제1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및 슬립변화율값이 제2 설정값보다 작은 경우 중 하나 이상에 해당되면 인터락은 미감지된 것으로 판정한다(S350).
그러나 제2 판정단계(S330)에서 댐퍼 클러치가 직결 모드이고, 슬립값이 제1 설정값보다 크며, 슬립변화율값이 제2 설정값보다 큰 경우에는 인터락으로 판정하고, 인터락 대응 로직을 작동시켜서 유압인가 조합표에 해당하지 않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릴리즈시키는 릴리즈 단계(S340)를 거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 인터락 발생에 따른 학습 방법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의한 변속기 인터락 발생에 따른 학습 방법은 변속기의 유압 인가된 솔레노이드 밸브 조합과 기 설정된 각 변속단별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압 인가 조합표를 비교하는 비교단계(S400);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조합과 상기 유압 인가 조합표를 비교한 결과값에 기반하여 상기 변속기의 인터락(Interlock) 여부를 판정하는 인터락 판정단계(S410); 인터락이 판정된 경우, 상기 인터락의 발생과 관련된 인터락 관련정보를 학습하는 인터락정보 학습단계(S420); 및 상기 인터락 학습값을 적용하는 학습값 적용단계(S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비교단계(S400)와 인터락 판정 단계(S41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인터락정보 학습단계(S420)는 인터락 판정단계(S410)에서 인터락의 발생으로 판정한 경우 상기 인터락의 발생과 관련된 인터락 관련정보를 학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인터락 관련정보는 1) 인터락을 유발한 솔레노이드 밸브 관련정보, 2) 인터락이 감지된 변속타입 관련정보, 3) 인터락이 감지된 위치 관련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터락 관련정보를 학습한다는 것은 1) 인터락을 유발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인식하고, 2) 해당 솔레노이드 밸브가 속하는 밸브 조합이 나타내는 변속타입을 인식하며, 3) 인터락이 발생한 지점 정보를 입수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지점 정보는 페이즈(phase)의 개념이 해당할 수 있다.
도 6은 인터락이 발생한 지점 정보를 나타내는 일 실시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X축은 위상을 나타내고 Y축은 터빈 속도를 나타내는데, 변속되는 과정 중 준비단계(A)에서는 현재의 터빈속도는 현재의 동기속도를 유지하고 있다가 실변속단계(B)에서는 현재의 동기속도가 급격하게 목표점 동기속도로 낮아지며, 완료단계(C)는 목표점 동기속도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인터락은 준비단계(A), 실변속단계(B), 완료단계(C) 각각의 단계에서 독립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준비단계와, 실변속단계, 완료단계 각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터락의 요인으로는 휴먼 에러(human error), 전자장치의 소손 등 다양한 실시예가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 인터락 발생에 따른 학습 방법의 핵심은 준비단계(A), 실변속단계(B), 완료단계(C) 중 어느 하나에서 인터락이 발생되었을 때, 그 지점을 정확히 학습하여 해당 지점에서 인터락을 유발한 솔레노이드 밸브를 인식하고 해당 솔레노이드 밸브가 속하는 밸브 조합이 나타내는 변속타입을 기억하여, 다음 변속과정에서는 인터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압을 제거해주는 것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 인터락 발생에 따른 학습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로직이 시작되면 차량의 제어부는 우선 솔레노이드 학습 테스트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체크(S510)하는 과정을 거친다. 여기서 학습 테스트 조건은 이그니션 및 엔진 크랭킹이 온이고. 변속기 유온 일정 범위 이내이며, 차속이 일정값 이상이고, 솔레노이드 상태가 정상인 경우에 학습 테스트 조건을 충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솔레노이드 학습 테스트 조건을 만족했으면, 인터락을 감지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S520). 인터락이 감지됐으면 인터락 학습과정을 수행한다(S530). 인터락 학습과정(S530)은 1) 인터락에 해당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감지하고, 저장하며, 2) 인터락 감지된 변속타입을 저장하고, 3) 인터락이 감지된 지점을 저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락이 감지된 지점은 변속단이 변환되는 과정의 준비단계(A), 실변속단계(B), 완료단계(C) 중 어느 지점에서 인터락이 감지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인터락 학습과정이 완료되었으면, 인터락 학습값을 적용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540). 즉, 전술한 변속타입 및 해당 지점에 인가솔 또는 해방솔(솔레노이드를 의미함)에 음의 유압 학습값을 적용하여 릴리즈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속기 인터락 발생에 따른 학습 방법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의한 변속기 인터락 발생에 따른 학습 방법은 변속기의 유압 인가된 솔레노이드 밸브 조합과 기 설정된 각 변속단별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압 인가 조합표를 비교하는 비교 단계(S600);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조합과 상기 유압 인가 조합표를 비교한 결과값에 기반하여 상기 변속기의 인터락(Interlock) 여부를 판정하는 제1 인터락 판정단계(S610); 인터락이 판정된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조합 중 상기 유압 인가 조합표에 해당하지 않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감지하고, 변속타입을 감지하며, 상기 변속타입 내의 변속 시점을 감지하는 인터락 대응단계(S620); 및
상기 인터락이 감지된 변속 타입의 해당 변속 시점 동안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음의 유압 학습값을 적용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릴리즈하는 밸브 릴리즈 단계(S6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터락 학습장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터락 학습장치(700)는 변속기의 유압 인가된 솔레노이드 밸브 조합과 기 설정된 각 변속단별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압 인가 조합표를 비교하여 인터락 발생을 감지하는 인터락 감지부(710); 상기 인터락이 감지된 경우, 상기 인터락의 발생과 관련된 인터락 관련정보를 학습하는 인터락 학습부(720); 및 상기 인터락 학습부로부터 학습값을 전송받아 계산하고, 이를 저장하는 인터락 학습저장부(730);를 포함하는 인터락 학습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락 학습부(720)와 인터락 학습저장부(730)는 인터락이 감지된 경우, 1) 인터락에 해당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감지하고, 저장하며, 2) 인터락 감지된 변속타입을 저장하고, 3) 인터락이 감지된 지점을 저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락이 감지된 지점은 변속단이 변환되는 과정의 준비단계(A), 실변속단계(B), 완료단계(C) 중 어느 지점에서 인터락이 감지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장치
110: 제1 인터락 판정부
120: 제2 인터락 판정부
130: 인터락 제어부
140: 밸브 릴리즈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변속기의 유압 인가된 솔레노이드 밸브 조합과 기 설정된 각 변속단별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압 인가 조합표를 비교하는 비교단계;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조합과 상기 유압 인가 조합표를 비교한 결과값에 기반하여 상기 변속기의 인터락(Interlock) 여부를 판정하는 제1 인터락 판정단계;
    상기 제1 인터락 판정단계에서 인터락이 판정된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 조합 중 상기 유압 인가 조합표에 해당하지 않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감지하고, 인터락이 감지된 변속타입 정보를 감지하며, 상기 변속타입 내의 변속 시점을 감지하는 인터락 대응단계; 및
    상기 인터락이 감지된 변속 타입의 해당 변속 시점 동안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음의 유압 학습값을 적용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릴리즈하는 밸브 릴리즈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인터락 판정단계에서 인터락이 판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댐퍼 클러치가 직결 모드인지 판정하는 직결모드 판정 단계와,
    상기 댐퍼 클러치가 직결 모드인 경우, 엔진 속도와 터빈 속도의 차이값 및 상기 차이값의 변화율에 기반하여 상기 변속기의 인터락 여부를 판정하는 제2 인터락 판정 단계를 수행한 뒤에, 상기 인터락 대응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 인터락 발생에 따른 학습 방법.
  8. 삭제
KR1020160168955A 2016-12-12 2016-12-12 변속기 인터락 발생에 따른 학습 방법 및 장치 KR101957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955A KR101957507B1 (ko) 2016-12-12 2016-12-12 변속기 인터락 발생에 따른 학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955A KR101957507B1 (ko) 2016-12-12 2016-12-12 변속기 인터락 발생에 따른 학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343A KR20180067343A (ko) 2018-06-20
KR101957507B1 true KR101957507B1 (ko) 2019-03-12

Family

ID=62770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955A KR101957507B1 (ko) 2016-12-12 2016-12-12 변속기 인터락 발생에 따른 학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5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9703A (ja) 2008-06-10 2009-12-24 Jatco Ltd 有段自動変速機
JP2011196348A (ja) * 2010-03-23 2011-10-06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061B1 (ko) * 2002-04-26 2004-08-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9703A (ja) 2008-06-10 2009-12-24 Jatco Ltd 有段自動変速機
JP2011196348A (ja) * 2010-03-23 2011-10-06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車両用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343A (ko) 2018-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422B1 (ko)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JP4607040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CN106286812A (zh) 用于学习双离合变速器的离合器扭矩的装置和方法
US8359135B2 (en) Control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
KR20120026621A (ko) 차량용 제어장치
US20080167783A1 (en) Motor vehicle transmission and method for monitoring frictional engagement in same in a preset neutral or parking position
JP2007218271A (ja)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CN114454887A (zh) 车辆控制方法、装置及车辆
JPH0665907B2 (ja) 変速機制御装置
KR20150105409A (ko)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CN104006149A (zh) 自动变速装置
KR101957507B1 (ko) 변속기 인터락 발생에 따른 학습 방법 및 장치
JP4508850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US20090312922A1 (en) Clutch control device and clutch control method
US10962105B2 (en) Control device for vehicle
KR20120077737A (ko) 차량용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변속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80136782A (ko) 변속기 인터락 방지방법
JP2001268711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KR101995952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파워 온 다운 쉬프트 학습 방법
KR101704997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방법 및 그 제어장치
WO2019031177A1 (ja) 自動変速機のインターロック判定装置および判定方法
KR20110011438A (ko) 클러치의 유압제어 방법
CN110173563B (zh) 用于具有dct的车辆的控制方法
JP6700115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007218318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