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757B1 - Combustion furnace for analyzing volatile nuclide from radioactive wastes - Google Patents

Combustion furnace for analyzing volatile nuclide from radioactive wast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757B1
KR101956757B1 KR1020160175557A KR20160175557A KR101956757B1 KR 101956757 B1 KR101956757 B1 KR 101956757B1 KR 1020160175557 A KR1020160175557 A KR 1020160175557A KR 20160175557 A KR20160175557 A KR 20160175557A KR 101956757 B1 KR101956757 B1 KR 101956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volatile
tube
samp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55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72224A (en
Inventor
김현철
임종명
최상도
지영용
이완로
정근호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75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757B1/en
Publication of KR20180072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2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7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9/00Separation of different isotopes of the same chemical element
    • B01D59/28Separation by chemical exchange
    • B01D59/32Separation by chemical exchange by exchange between fl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1/00Details of nuclear power plant
    • G21D1/003Nuclear facilities decommission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Abstract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분석을 위한 연소로 및 포집장치가 소개된다.
본 발명의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포집장치는, 3H, 14C, 99Tc, 129I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휘발성 방사성 핵종을 포함하는 시료를 연소시켜 상기 휘발성 방사성 핵종을 추출하되, 상기 시료의 이동 방향으로 온도 구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시료의 이동 방향으로 동일한 온도를 유지하는 연소부; 및 상기 연소부에서 발생한 상기 휘발성 방사성 핵종을 포집할 수 있도록 상기 연소부와 연결되며, 항상 동일한 온도를 유지하는 가스 포집부를 포함한다.
Combustion furnaces and collectors for volatile radionuclide analysis included in nuclear facility dismantling wastes are introduced.
The volatile radionuclide collection apparatus included in the nuclear facility dismantling was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olatile radionuclide collection apparatus for extracting the volatile radionuclides by burning a sample containing volatile radionuclides of any one of 3 H, 14 C, 99 Tc and 129 I, A combustion unit that maintains the same temperature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sample so as to prevent a temperature gradient from being generated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sample; And a gas collecting part connected to the combustion part so as to collect the volatile radionuclides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art and always maintaining the same temperature.

Description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분석을 위한 연소로 {Combustion furnace for analyzing volatile nuclide from radioactive wastes}Combustion furnace for analyzing volatile nuclides from radioactive wastes for volatile radionuclide analysis in nuclear facility dismantling waste.

본 발명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3H, 14C, 99Tc, 129I 등의 휘발성 방사성 핵종을 동시에 포집할 수 있는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분석을 위한 연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ustion furnace for volatile radionuclide analysis included in a nuclear facility dismantling waste which can simultaneously collect volatile radionuclides such as 3 H, 14 C, 99 Tc and 129 I contained in the nuclear facility dismantled waste.

방사성 핵종 중 100℃ 또는 고온에서 휘발하는 3H, 14C, 99Tc, 129I 등은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 중 반드시 분석해야 하는 방사성 핵종이다.Among radioactive nuclides, 3 H, 14 C, 99 Tc, and 129 I, which are volatilized at 100 ° C or higher, are radioactive nuclides that must be analyzed among the decommissioning wastes of nuclear facilities.

토양, 콘크리트, 금속 등 다양한 고체형 매질에 존재하는 이러한 휘발성 핵종은 고온 연소과정을 통해 시료에서 추출된다. 국내에서 수입해 사용하고 있는 기존의 연소로는 3H, 14C만을 추출하기 위해 설계된바, Pyrolizer(Raddec, Great Britain)라 불리는 이러한 장비는 시료를 연소시킨 후, 0.1M HNO3 용액이 담긴 포집기에서 3H 포집하고, carbosorb이라 불리는 CO2 흡수섬광용액이 담긴 포집기에서 14C를 순서대로 포집한다.These volatile nuclides present in a variety of solid mediums such as soil, concrete, and metals are extracted from the sample through high temperature combustion processes. This equipment, which is called Pyrolizer (Raddec, Great Britain), was designed to extract only 3 H and 14 C from existing domestic combustion furnaces. After burning the sample, the equipment was filled with 0.1 M HNO 3 solution collecting from 3 H, and collected in a 14 C contained in the CO 2 absorbing solution, called scintillation carbosorb collector order.

시료를 보트(boat) 형상으로 제작된 석영용기(이하 "보트"라 한다)에 넣고, 이러한 보트를 석영 연소관에 놓은 후, 연소로 안으로 투입한다.The sample is placed in a quartz contain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boat") made in the form of a boat, placed in a quartz combustion tube, and then put into a combustion furnace.

연소로는 세 개의 영역(zone)으로 설계되어 있는데, 첫 번째 영역은 시료가 놓인 곳의 온도를 목표 온도까지 상승시키는 영역이고, 두 번째 영역은 온도 상승 완충 구역에 해당하며, 세 번째 영역은 고온의 환경에서 촉매와 반응하는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소로를 빠져나온 가스는 유리관-실리콘 튜브를 거쳐 3H와 14C 포집기로 이어진다. The combustion furnace is designed in three zones: the first zone is the zone where the sample is raised to the target temperature, the second zone is the temperature rising buffer zone, the third zone is the high temperature zone Lt; RTI ID = 0.0 > of < / RTI > the catalyst. The gas exiting the furnace passes through a glass tube-a silicon tube and leads to 3 H and 14 C collectors.

그러나 이러한 연소로는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바, 그 문제점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However, these combustion furnaces have various problems, and the problems are summarized as follows.

첫째, 기존의 연소로에서는 아래와 같은 이유로 다양한 휘발성 핵종 중 3H와 14C만이 추출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존재한다.First, in the existing combustion furnace, only 3 H and 14 C of various volatile nuclides are inevitably extracted because of the following reasons.

방사성 핵종 중 휘발성 핵종은 3H, 14C, 99Tc, 129I 등이 존재하는데, 기존 연소로에서 99Tc는 두 번째 영역에 해당하는 완충구역에 이르러 대부분 연소관 내에서 재승화하게 되는바, 두 번째 영역이 상대적으로 온도가 매우 낮아 기화했던 99Tc가 다시 고체로 승화되어 유리관 내에 침착하게 되므로 99Tc를 추출할 수 없다.The volatile nuclides in the radionuclides are 3 H, 14 C, 99 Tc, and 129 I. In the existing combustion furnace, 99 Tc reaches the buffer zon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zone, can not extract the 99 Tc 99 Tc which second area the temperature is relatively so low that the evaporation is re-sublimation of a solid, so that deposited in the glass tube.

또한, 연소로에서 빠져나온 가스는 실리콘 튜브와 유리관을 지나 3H 포집기로 이동하게 되는데, I 가스는 그 특성상 실리콘 튜브에 잘 흡착되므로, 129I 역시 추출되기 어렵다.In addition, the gas that has escaped from the combustion furnace passes through the silicon tube and the glass tube and moves to the 3 H collector. Due to the nature of the I gas, the 129 I is difficult to be extracted because it is well adsorbed on the silicon tube.

둘째, 3H 가스 포집기에서 기화된 수분 중 일부가 14C 포집 용액으로 월류(overflow)하는 단점이 존재한다.Seco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some of the vaporized water in the 3 H gas collector is overflowed into the 14 C collection solution.

연소로 세 번째 영역의 온도는 약 800℃이며, 기화된 가스는 0.1M HNO3 용액이 들어있는 3H 포집기를 거쳐 14C 포집용액을 지나간다. 시료에서 기화되어 고온으로 유입된 3H 가스는 3H 가스 포집기에서 증발하여 14C 포집용액으로 월류하게 되는바, 이에 따라, 3H를 100% 포집하지 못 하게 되는 것은 물론, 14C를 포집하는 carbosorb의 CO2 포집 능력이 저하된다.The temperature of the third region of the combustion furnace is about 800 ° C. The vaporized gas is passed through a 3 C trap containing a 0.1 M HNO 3 solution and a 14 C trapping solution. Depending vaporized in the sample of 3 H-gas inlet at a high temperature is a bar that is to overflow to 14 C trapping solution was evaporated in a 3 H gas collector, and thus, It is normally not collecting 3 H 100% as well as, for collecting the 14 C the CO 2 capture ability of carbosorb is lowered.

실제로 기존의 연소로를 운영할 때, 3H 포집용액을 지나 14C 포집용액으로 연결하는 유리관 내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는데, 분석 기술 측면에서 시료 중 3H의 100%가 3H 포집용액에 포집된다는 가정하에 3H를 정량분석하고 있다.In fact, when operating a conventional furnace, it is observed that water droplets are formed in the glass tube connected to the 14 C trapping solution through the 3 H trapping solution. In terms of the analysis technique, 100% of the 3 H in the sample is trapped in the 3 H trapping solution 3 H is quantitatively analyze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t is trapped in the medium.

그러나 실제로 연소로 운영 과정에서 시료의 3H 일부가 14C 포집용액으로 넘어가게 되는바, 이로 인해 3H 100%가 포집될 수 없고, 14C 포집용액의 carbosorb가 넘어온 수분에 의해 CO2 포집 능력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액체섬광계수기를 이용하여 14C를 분석할 때 월류된 3H의 영향으로 피크 겹침 현상이 나타나 그 농도가 과대평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bar in fact to go beyond the 3 H portion of the sample is 14 C trapping solution during the operation by the combustion, whereby 3 H No 100% can be collected, 14 C trapping solution CO 2 absorption capacity carbosorb is by passed moisture And the peak overflow phenomenon occur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overflow 3 H when the liquid is scavenged at 14 C using a liquid scintillation counter.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art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adhering to the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KR 1999-0083814 A(1999.12.06)KR 1999-0083814 A (1999.12.06)

본 발명은 고체 매질의 해체 폐기물 중 휘발성 방사성 핵종에 해당하는 3H, 14C, 99Tc, 129I 를 동시에 추출하되, 3H의 월류를 방지하여, 3H 및 14C를 완벽하게 회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기존 연소로 대비 그 크기를 약 1/2 수준으로 줄일 수 있어서 공간 활용성이 개선된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분석을 위한 연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invention but extract 3 H, 14 C, 99 Tc, 129 I for the volatile radionuclide of dismantled wastes in solid medium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verflow of 3 H, can completely recover the 3 H and 14 C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bustion furnace for volatile radionuclide analysis included in a nuclear facility dismantled waste having improved space utilization by reducing the size of the conventional combustion furnace to about 1/2 level.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분석을 위한 연소로는, 3H, 14C, 99Tc, 129I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휘발성 방사성 핵종을 포함하는 시료를 연소시켜 상기 휘발성 방사성 핵종을 추출하되, 상기 시료의 이동 방향으로 온도 구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시료의 이동 방향으로 동일한 온도를 유지하는 연소부; 및 상기 연소부에서 발생한 상기 휘발성 방사성 핵종을 포집할 수 있도록 상기 연소부와 연결되며, 항상 동일한 온도를 유지하는 가스 포집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mbustion furnace for volatile radionuclide analysis included in a nuclear facility dismantling was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bustion furnace for combusting a sample containing volatile radionuclides of any one of 3 H, 14 C, 99 Tc, and 129 I, A combustion unit for extracting the volatile radionuclides and maintaining the same temperature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sample so as to prevent a temperature gradient from occurring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sample; And a gas collecting part connected to the combustion part so as to collect the volatile radionuclides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art and always maintaining the same temperature.

상기 연소부는, 상기 시료의 이동 방향으로 그 내부 온도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하우징; 시료를 담은 보트가 투입될 수 있도록 그 일단이 상기 하우징 외측에 결합된 투입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투입관과 내통하는 연소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관에서 발생한 가스를 이송시키되, 상기 연소관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가스 포집부와 연결되는 유리관을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combustion unit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internal temperature maintain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ample; An inlet pip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so that a boat containing the sample can be injected; A combustion tub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communicating with the injection tube; And a glass tube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transfers the gas generated from the combustion tube,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mbustion tube, and is connected to the gas collecting part.

상기 연소관 및 유리관은 내열 재질의 연결부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유리관은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combustion tube and the glass tube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nnection portion of a heat resistant material, and the glass tube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상기 연결부는,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으로 상기 유리관 일단이 삽입 결합되며, 그 타단에는 상기 연소관이 삽입 결합되는 피팅과, 상기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피팅의 변형을 방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includes a fitting to which the one end of the glass tube is inserted and coupled at one end and a fitting to which the combustion tube is inserted at the other end and a spring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fitting .

상기 피팅은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은 인코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tting may be formed of a ceramic material, and the spring may be formed of an inconel material.

상기 시료에는 바나듐 촉매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ample is preferably mixed with a vanadium catalyst.

상기 가스 포집부는, 상기 하우징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관과 연결되는 가스 포집관; 항온 수조; 상기 항온 수조에 내장되어 상기 가스 포집관으로부터 상기 휘발성 방사성 핵종을 공급받아 포집하는 가스 포집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gas collecting unit may include a gas collecting pipe installed outside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glass tube; A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And a gas collecting tank incorporated in the constant temperature water tank for collecting and collecting the volatile radionuclides from the gas collecting pipe.

상기 가스 포집부는, 온도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항온 수조는 펠티어 소자를 이용하여 제조되어, 20℃ 이하로 유지될 수 있다.The gas collecting unit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controller, and the constant temperature water tank is manufactured using a Peltier element, and can be maintained at 20 DEG C or lower.

본 발명의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분석을 위한 연소로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urner for volatile radionuclide analysis included in the nuclear dismantlement was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첫째, 고체 매질의 해체 폐기물 중 휘발성 방사성 핵종에 해당하는 3H, 14C, 99Tc, 129I 를 동시에 추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rst, there is an advantage of extracting 3 H, 14 C, 99 Tc, and 129 I, which are volatile radionuclides, from the disposal waste of the solid medium at the same time.

둘째, 항온 수조를 이용하여 3H, 14C를 완벽하게 회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econd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3 H and 14 C can be completely recovered by using a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셋째, 기존 연소로 대비 그 크기를 약 1/2 수준으로 줄일 수 있어서 공간 활용성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Third, since the size of the conventional combustion furnace can be reduced to about 1/2 level, the space utilization is improved.

넷째, 하나의 시료로부터 동시에 다수의 방사성 핵종을 추출, 분리할 수 있는바, 시료 분석 비용이 절감되는 것은 물론, 원전 해체 폐기물 분석 시장에서 다양한 수요를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Fourth, since a large number of radionuclides can be extracted and separated at the same time from one sample, the cost of sample analysis can be reduced,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various demands can be expected in the nuclear dismantling waste analysis market.

도 1은 본 발명의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분석을 위한 연소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분석을 위한 연소로의 일요부인 연소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분석을 위한 연소로의 일요부인 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분석을 위한 연소로의 정면도 및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rnace for volatile radionuclide analysis included in the nuclear facility dismantling was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combustion unit, which is a part of a combustion furnace for analysis of volatile radionuclides included in the nuclear facility dismantlement was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part which is a sun part of a combustion furnace for volatile radionuclide analysis included in the nuclear dismantlement waste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a front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the furnace for volatile radionuclide analysis included in the nuclear facility dismantling waste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bjects, particular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xample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lso,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분석을 위한 연소로를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combustion furnace for volatile radionuclide analysis included in the nuclear dismantlement was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도 2 및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분석을 위한 연소로는, 연소부(100) 및 가스 포집부(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2 and 4 to 5, the combustion furnace for volatile radionuclide analysis included in the nuclear dismantlement was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bustion unit 100 and a gas collecting unit 200 .

본 발명자는 고체 매질의 해체 폐기물 중에 포함된 3H, 14C, 99Tc, 129I 등의 다양한 휘발성 방사성 핵종을 동시에 포집하고, 포집 시 3H의 월류(overflow)를 방지하며, 장치의 크기를 줄여 공간 활용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연소부(100) 및 가스 포집부(200)를 구성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simultaneously collected various volatile radionuclides such as 3 H, 14 C, 99 Tc and 129 I contained in the disposal waste of the solid medium, prevented the overflow of 3 H during collection, The combustion unit 100 and the gas collecting unit 200 are constructed so as to reduce space utilization.

본 발명의 일요부인 연소부(100)는 3H, 14C, 99Tc, 129I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휘발성 방사성 핵종을 포함하는 시료를 연소시켜 휘발성 방사성 핵종을 동시에 추출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연소부(100)의 내부 공간은 시료의 이동 방향으로 동일한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기화된 99Tc의 재승화를 방지하여 99Tc를 추출 가능하도록 하였다.The combustion unit 100 serving as a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unctions to simultaneously extract volatile radionuclides by burning a sample containing any one of volatile radionuclides such as 3 H, 14 C, 99 Tc, and 129 I. The inner space of such a combustion unit (100) has to be possible by maintaining the same temperatur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ample, extract the 99 Tc to prevent sublimation of vaporized material 99 Tc.

이와 같이, 연소부(100)의 내부 온도는 시료의 이동 방향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고 동일하게 유지되어야 하는바, 기존과 달리 온도 상승 영역, 완충 영역, 촉매 영역을 별도로 구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종래기술 대비 연소부(100)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unit 100 must be maintained unaffected by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ample, and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configure the temperature rising region, buffer region, and catalyst region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The combustion unit 100 can be made compact in comparison with the technique.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분석을 위한 연소로는 기존 장치에 비하여 약 1/2 정도 크기로 제조 가능하므로 공간 활용성이 개선된다.As a result, the furnace for volatile radionuclide analysis included in the nuclear facility dismantling was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to have a size of about 1/2 of that of the existing apparatus, thereby improving the space utilization.

본 발명은 종래 시료의 불완전 연소를 방지하고, 완전 연소를 위해 필요하였던 촉매 영역을 생략한바,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불완전 연소로 인한 14C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시료에 바나듐을 촉매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14C 손실을 최소화하였다.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incomplete combustion of the conventional sample and omits the catalyst area required for complete combustion. In order to prevent the loss of 14 C due to incomplete combustion that may occur due to the incomplete combustion, vanadium is mixed with the catalyst and used 14 C losses were minimiz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연소부(100) 및 가스 포집부(200)의 구성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s of the combustion unit 100 and the gas collecting unit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연소부(100)는 하우징(110), 투입관(120), 연소관(130), 유리관(1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bustion unit 100 may include a housing 110, a charging tube 120, a combustion tube 130, and a glass tube 140.

하우징(11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가능하며, 그 내부는 빈 공간으로 형성되되,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내부 공간의 온도는 시료의 흐름 방향에 따라 서로 달라지지 않고, 동일하게 유지된다.The housing 110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is formed as an empty space. As described above,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10 is not changed according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sample, and is kept the same.

투입관(120)은 시료가 담긴 보트가 투입되는 곳으로, 그 일단이 하우징(110) 외측에 결합되어 하우징(110)과 내통한다.One end of the inlet pipe 120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and communicates with the housing 110.

투입관(120)을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진입한 시료가 연소될 수 있도록 하우징(110) 내부에는 연소관(130)이 설치되며, 이러한 연소관(130)은 투입관(120)과 내통한다. 연소관(130)은 석영 재질로 제조되는바, 하우징(110)의 폭 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시료는 투입관(120)을 통해 연소관(130)으로 이동하면서 하우징(110) 내부 공간에서 연소되며, 상술한 시료로부터 휘발성 방사성 핵종이 가스 형태로 추출된다.A combustion tube 130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0 so that the sample that has entered the housing 110 through the injection tube 120 can be burned. The combustion tube 130 communicates with the injection tube 120. The combustion tube 130 is made of quartz, and is installed lo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110. The sample is burnt in the space inside the housing 110 while moving to the combustion tube 130 through the injection tube 120, and the volatile radionuclides are extracted from the sample in the form of gas.

유리관(140)은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어 연소관(130)에서 발생한 휘발성 방사성 핵종 가스를 가스 포집부(200)로 이송시키며, 연소관(130)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유리관(140)의 일단은 연소관(130)과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그 타단은 하우징(110) 내벽에 결합되어 가스 포집부(200)와 연결되는 것이다.The glass tube 140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0 to transfer the volatile radionuclide gas generated in the combustion tube 130 to the gas collecting unit 200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mbustion tube 130. That is, one end of the glass tube 14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mbustion tube 13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10 and connected to the gas collecting unit 200.

본 발명에서는 종래기술과 달리 유리관(140)을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하되, 이러한 유리관(140)을 연소관(13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기화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가스가 유리관(140) 통과 시 그 내벽에 침적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설령 그 내벽에 침적된다고 하더라도 연소관(130)으로부터 유리관(140)을 분리함으로써, 승화되어 그 내벽에 침적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을 추출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prior art, a glass tube 140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10, and the glass tube 14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mbustion tube 130 so that the vaporized volatile radionuclide gas passes through the glass tube 140 It is possible to extract the volatile radionuclides sublimated in the inner wall by minimizing the deposition on the inner wall of the tube and separating the glass tube 140 from the combustion tube 130 even if it is deposited on the inner wall.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종래기술과 달리 유리관(140)과 연결되는 별도의 실리콘 재질의 튜브에 관한 구성을 생략함으로써, 휘발성 방사성 핵종 가스 중 하나인 129I 를 효율적으로 추출 가능하도록 하였다.In addition, unlike the prior art, in the present invention, 129 I, which is one of the volatile radionuclide gases, can be efficiently extracted by omitting the constitution relating to a separate tube of silicon material connected to the glass tube 140.

본 발명의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분석을 위한 연소로는 연소관(130) 및 유리관(140)이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내열 재질의 연결부(150)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연결부(150)는 내열 재질을 갖고, 유리관(140) 및 연소관(130)을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구조, 형상 및 재질은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The combustion furnace for volatile radionuclide analysis included in the nuclear facility disassembly wast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by using the heat-resistant connection unit 150 so that the combustion tube 130 and the glass tube 140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structure, shape, and material of the connecting portion 150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designer's intention as far as the glass tube 140 and the combustion tube 130 can be detachably connected.

일 예로, 연결부(150)는 피팅(152) 및 스프링(154)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connection portion 150 may be embodied as a fitting 152 and a spring 154.

피팅(152) 및 스프링(154)은 각각 세라믹, 인코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바, 피팅(152)은 유리관(140) 및 연소관(130)을 매개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피팅(152)은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일단에는 상술한 유리관(140)이 삽입 체결되고, 그 타단에는 연소관(130)이 삽입 체결될 수 있다.The fitting 152 and the spring 154 may be formed of ceramics or inconel respectively and the fitting 152 serves as a mediator between the glass tube 140 and the combustion tube 130. The fitting 152 may be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the glass tube 140 may be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fitting 152 and the combustion tube 130 may be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fitting.

세라믹 재질의 피팅(152)과, 이러한 피팅(152)에 삽입 체결되는 유리관(140)은 그 재질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열팽창율을 가지고 있는바, 고온에서 열팽창율 차이로 인하여 유리관이 파손될 수도 있다. 스프링(154)은 피팅 내주면에 설치되어, 고온에서 피팅이 열 팽창함으로써 유리관(140)을 압박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리관(14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Since the ceramics fittings 152 and the glass tubes 140 to be inserted into the fittings 15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have different thermal expansion rates, the glass tubes are broken due to the difference in thermal expansion rate at high temperatures It is possible. The spring 154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tting to prevent the glass tube 140 from being damaged by preventing the fitting from being pressed by the thermal expansion of the fitting at a high temperature.

투입관(120), 연소관(130), 유리관(140), 연결부(150)는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여 하우징(110)에 설치되는바, 이러한 모듈은 하우징(110)에 복수 개가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복수 개의 시료로부터 동시에 다양한 휘발성 방사성 핵종을 추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plurality of modules are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housing 110 is formed of a single module such as the inlet tube 120, the combustion tube 130, the glass tube 140, Direction so that various volatile radionuclides can be simultaneously extracted from a plurality of samples.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요부인 가스 포집부(200)는 가스 포집관(210), 항온 수조(220), 가스 포집조(23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gas collecting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gas collecting pipe 210, a constant temperature water tank 220, and a gas collecting tank 230.

가스 포집부(200)는 연소부(100)로부터 추출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을 냉각하여 종류별로 포집하기 위한 구성으로, 그 내부에는 항온 수조(220)가 설치된다. The gas trapping unit 200 is configured to cool the volatile radionuclides extracted from the combustion unit 100 and to collect the volatile radionuclides by type. A constant temperature water tank 220 is installed in the gas trapping unit 200.

항온 수조(220) 내부에 설치된 항온 수조(220)는 다양한 가스를 포집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항온 수조(220)에는 휘발성 방사성 핵종을 포집할 수 있는 용액이 내장된다.The fixed-temperature water tank 220 installed inside the fixed-temperature water tank 22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ter collecting units for collecting various gases, and each of the constant-temperature water tanks 220 has a solution capable of collecting volatile radionuclides.

0.1M HNO3 용액이 담긴 항온 수조(220)에서 연소부(100)로부터 추출되는 휘발성 방사성 핵종 중 3H을 1차적으로 포집하고, 2차적으로 14C를 포집하는 용액이 담긴 별도의 항온 수조(220)에서 14C를 포집하되, 3H 포집 시 3H 가 증발하여 14C를 포집하는 용액으로 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항온 수조(220)는 20℃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0.1M HNO separate water bath containing a solution to the third solution, collecting 3 H volatile radionuclides that are extracted from a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containing the combustion unit 100, in 220 primarily and secondarily collecting 14 C ( 220) a collection of 14 C in, so that when 3 H 3 H trapping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vaporated to overflow into the solution for collecting the 14 C water bath 220 it may be kept below 20 ℃.

항온 수조(220)의 온도 유지를 유지할 수 있다면, 항온 수조(220)는 구조, 형상, 재질의 제한을 받지 않고,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If the temperature of the constant temperature water tank 220 can be maintained, the constant temperature water tank 220 can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designer's intention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structure, shape, and material.

일 예로, 항온 수조(220)를 펠티어 소자를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항온 수조(220) 내부를 냉각 영역으로 설계할 수도 있으며, 온도 컨트롤러(미도시)를 통해 자동적으로 가스 포집조(230)가 설치된 항온 수조(220) 내부 온도를 20℃ 이하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For example, the constant temperature water tank 220 may be manufactured using a Peltier element to design the inside of the constant temperature water tank 220 as a cooling region, and the gas trap tank 230 may be automatically installed through a temperature controller (not shown) It is also possible to maintai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stant temperature water tank 220 at 20 DEG C or lower.

또한, 항온 수조(220)에 설치되는 항온 수조(220)를 복수 개 더 설치하여 상술한 99Tc, 129I를 순차적으로 포집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nstant temperature water tanks 220 installed in the constant temperature water tank 220 may be provided to sequentially collect the above described 99 Tc and 129 I.

본 발명의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분석을 위한 연소로를 이용하여 휘발성 방사성 핵종을 추출, 분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A process for extracting and separating volatile radionuclides using a furnace for volatile radionuclide analysis included in the nuclear facility dismantling was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바나듐 촉매와 혼합된 시료를 보트에 담아 투입관(120)을 통해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된 연소관(130)으로 공급하면, 연소관(130) 내부에서 시료가 연소되면서 3H, 14C, 99Tc, 129I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휘발성 방사성 핵종 가스가 발생한다.When the sample mixed with the vanadium catalyst is supplied to the combustion tube 130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through the inlet pipe 120 by the boat, the sample is burned in the combustion tube 130 and the 3 H, 14 C, 99 Tc , And 129 I are generated in the volatile radionuclide gas.

휘발성 방사성 핵종 가스는 유리관(140)을 통해 연소부(100) 외부에 설치된 가스 포집부(200)로 이동하며, 1차적으로 가스 포집부(200) 내부에 설치된 항온 수조(220)를 통과하면서 1차포집구(211)에 의해 3H, 99Tc 및 129I가 포집되고, 1차포집구(211) 후방에 위치한 2차포집구(212)에 의해 14C가 순차적으로 포집된다.The volatile radionuclide gas travels through the glass tube 140 to the gas trapping unit 200 installed outside the combustion unit 100. The volatile radionuclide gas passes through the constant temperature water tank 220 installed in the gas trapping unit 200, 3 H, 99 Tc and 129 I are collected by the hopper magazine 211 and 14 C is sequentially collected by the binoculars 212 located behind the primary hopper 211.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분석을 위한 연소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mbustion furnace for volatile radionuclide analysis included in the nuclear facility dismantling was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연소부 110 : 하우징
120 : 투입관 130 : 연소관
140 : 유리관 150 : 연결부
152 : 피팅 154 : 스프링
200 : 가스 포집부 210 : 가스 포집관
220 : 항온 수조 230 : 가스 포집조
100: burner 110: housing
120: input tube 130: combustion tube
140: Glass tube 150: Connection
152: Fitting 154: Spring
200: gas collecting part 210: gas collecting tube
220: constant temperature water tank 230: gas collecting tank

Claims (8)

3H, 14C, 99Tc, 129I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휘발성 방사성 핵종을 포함하는 시료를 연소시켜 상기 휘발성 방사성 핵종을 추출하되, 상기 시료의 이동 방향으로 온도 구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시료의 이동 방향으로 동일한 온도를 유지하는 연소부; 및
상기 연소부에서 발생한 상기 휘발성 방사성 핵종을 포집할 수 있도록 상기 연소부와 연결되며, 항상 동일한 온도를 유지하는 가스 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부는 상기 시료의 이동 방향으로 그 내부 온도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하우징; 시료를 담은 보트가 투입될 수 있도록 그 일단이 상기 하우징 외측에 결합된 투입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투입관과 내통하는 연소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소관에서 발생한 가스를 이송시키되, 상기 연소관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가스 포집부와 연결되는 유리관을 포함하는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분석을 위한 연소로.
3 H, 14 C, 99 Tc, combusting the sample containing the 129 I which at least one volatile radionuclides from to, but extracting the volatile radionuclide, preventing the temperature gradient occurs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sample wherein A combustion section for maintaining the same temperatur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ample; And
And a gas collecting part connected to the combustion part so as to collect the volatile radionuclides generated in the combustion part and always maintaining the same temperature,
Wherein the combustion unit comprises: a housing in which a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unit is kept the same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sample; An inlet pip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so that a boat containing the sample can be injected; A combustion tub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communicating with the injection tube; And a glass tube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transfers gas generated from the combustion tube, the glass tube being detachably coupled to the combustion tube, the glass tube being connected to the gas collecting part, and burning for volatile radionuclide analysis i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소관 및 유리관은 내열 재질의 연결부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유리관은 상기 연결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분석을 위한 연소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bustion tube and the glass tube are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part of a heat resistant material and the glass tub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onnection par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으로 상기 유리관 일단이 삽입 결합되며, 그 타단에는 상기 연소관이 삽입 결합되는 피팅과,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피팅의 변형을 방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분석을 위한 연소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in a hollow shape and has one end thereof inserted into the glass tube at one end thereof and at the other end thereof a fitting to which the combustion tube is inserted and coupled and a spring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fitting, Combustion furnace for the analysis of volatile radionuclides contained in decomposition wast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피팅은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은 인코넬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분석을 위한 연소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tting is formed of a ceramic material and the spring is formed of an inconel material. The burning furnace for volatile radionuclide analysis included in the nuclear facility dismantling wast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시료에는 바나듐 촉매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분석을 위한 연소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ample is mixed with a vanadium catalyst. The burning furnace for volatile radionuclide analysis included in the nuclear facility dismantling waste.
청구항 1 및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포집부는 상기 하우징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리관과 연결되는 가스 포집관; 항온 수조; 및 상기 항온 수조에 내장되어 상기 가스 포집관으로부터 상기 휘발성 방사성 핵종을 공급받아 포집하는 가스 포집조를 포함하는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분석을 위한 연소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3 to 6,
A gas collecting pipe installed outside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glass tube; A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And a gas collecting tank built in the constant temperature water tank for collecting and collecting the volatile radionuclides from the gas collecting pipe. The combustion furnace for volatile radionuclide analysis included in the nuclear facility dismantling wast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스 포집부는 온도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항온 수조는 펠티어 소자를 이용하여 제조되어 20℃ 이하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시설 해체 폐기물에 포함된 휘발성 방사성 핵종 분석을 위한 연소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gas collecting part further comprises a temperature controller,
Wherein the constant temperature water tank is manufactured using a Peltier element and maintained at 20 캜 or lower.
KR1020160175557A 2016-12-21 2016-12-21 Combustion furnace for analyzing volatile nuclide from radioactive wastes KR1019567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557A KR101956757B1 (en) 2016-12-21 2016-12-21 Combustion furnace for analyzing volatile nuclide from radioactive wast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557A KR101956757B1 (en) 2016-12-21 2016-12-21 Combustion furnace for analyzing volatile nuclide from radioactive was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224A KR20180072224A (en) 2018-06-29
KR101956757B1 true KR101956757B1 (en) 2019-05-29

Family

ID=62780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5557A KR101956757B1 (en) 2016-12-21 2016-12-21 Combustion furnace for analyzing volatile nuclide from radioactive wast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75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401B1 (en) 2022-01-11 2022-07-11 (주) 비앤비 Multi-tube type Furnace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833B1 (en) * 2018-07-31 2023-01-06 한국원자력연구원 Radionuclide Analyzing System
KR102068200B1 (en) 2018-10-17 2020-01-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Decontamination Frame for Bioshield Constructure
KR101958261B1 (en) 2018-11-21 2019-03-15 (주) 비앤비 Column for Automated Sequential Radionuclides Separator
KR102118569B1 (en) 2019-02-21 2020-06-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Decontamination Frame for Bioshield Constructure
KR102213769B1 (en) 2020-02-28 2021-02-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Mortar separation device attached to the aggregate of waste concrete and method for recycling waste concrete using the same
KR102335536B1 (en) 2020-12-16 2021-12-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olidified material for radioactive waste using fine powder of waste concrete and treatment method of radioactive waste using the same
KR102649044B1 (en) * 2022-04-11 2024-03-1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Volatile nuclide separation system and separation method of solid waste of nuclear power pla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7662A (en) 2001-06-01 2002-12-13 Mitsubishi Heavy Ind Ltd Recovering system of concrete internal radioactive volatile nuclide and radiation measuring system
JP2004536308A (en) 2001-07-17 2004-12-02 ブリティッシュ・ニュークリア・フューエルズ・パブリック・リミテッド・カンパニー Analysis technology
JP2012233749A (en) 2011-04-28 2012-11-29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Nuclear facility, and waste water treating apparatus and waste water treat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238B1 (en) 1999-08-12 2001-11-07 김세종 Buner for analysis of radioactivity 14C and 3H
KR19990078837A (en) * 1999-08-12 1999-11-05 김세종 Buner for analysis of radioactivity 14C and 3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7662A (en) 2001-06-01 2002-12-13 Mitsubishi Heavy Ind Ltd Recovering system of concrete internal radioactive volatile nuclide and radiation measuring system
JP2004536308A (en) 2001-07-17 2004-12-02 ブリティッシュ・ニュークリア・フューエルズ・パブリック・リミテッド・カンパニー Analysis technology
JP2012233749A (en) 2011-04-28 2012-11-29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Nuclear facility, and waste water treating apparatus and waste water treat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401B1 (en) 2022-01-11 2022-07-11 (주) 비앤비 Multi-tube type Furnac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224A (en)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757B1 (en) Combustion furnace for analyzing volatile nuclide from radioactive wastes
KR101448868B1 (en) Pyrolyzer for Emulsification Apparatus
WO2009136694A2 (en) Teflon container for sample decomposition using gas condensation by air cooling
JP2016522742A (en) Soil box for evaporative desorption process
CN103143184B (en) Distillation apparatus
RU2008136688A (en) METHOD FOR THERMAL PROCESSING OF SOLID ORGANIC WASTE AND INSTALLATION FOR ITS IMPLEMENTATION
CN203758808U (en) Rare gas extraction and purification device
KR100369612B1 (en) System and Treatment Method for Low-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Hippe et al. The current performance of the in situ 14C extraction line at ETH
JP2014132247A (en) Cesium decontamination method
De Lorenzo et al. Tank characterization reference guide
KR102043680B1 (en) A separation device for tritium and a method for separating tritium
CN103261793A (en) Reverse flow regenerative apparatus and method
RU2007131674A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PROCESSING OF WASTE FUEL
JPS629171B2 (en)
RU2244692C2 (en) Glass-furnace regenerator
Tosti et al. Design and manufacture of an oven for high temperature experiments of erosion–corrosion of SiCf/SiC into LiPb
GB802247A (en) Improvements in gas-sampling apparatus
CN105385856A (en) Novel alkali metal purifying filter and purifying method
KR102649044B1 (en) Volatile nuclide separation system and separation method of solid waste of nuclear power plant
Petkus et al. A complete history of the high-level waste plant at the West Valley Demonstration Project
CN104198251A (en) Test tube assembly for low-temperature quick ashing of organic matter sample
CN116665942B (en) Spent fuel nuclide pre-separation method
US3041261A (en) Art of cooling and moderating neutronic reactors
Stoyer et al. Collection of solid and gaseous samples to diagnose inertial confinement fusion implo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