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498B1 - 도어 록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498B1
KR101956498B1 KR1020180008171A KR20180008171A KR101956498B1 KR 101956498 B1 KR101956498 B1 KR 101956498B1 KR 1020180008171 A KR1020180008171 A KR 1020180008171A KR 20180008171 A KR20180008171 A KR 20180008171A KR 101956498 B1 KR101956498 B1 KR 101956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key
coupled
lock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2931A (ko
Inventor
김갑식
Original Assignee
김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갑식 filed Critical 김갑식
Priority to PCT/KR2018/00496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203630A1/ko
Priority to JP2020512345A priority patent/JP6925515B2/ja
Priority to CN201890000808.1U priority patent/CN211900102U/zh
Publication of KR20180122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498B1/ko
Priority to JP2021030725A priority patent/JP7098009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47Locks having a key withdrawable in different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4Ca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6Clutches, couplings or brak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를 열 수 있는 열림위치와 상기 도어를 잠그는 잠금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며,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줄이는 감속부와, 상기 감속부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을 변환시키는 운동변환부를 포함하여 상기 도어의 일측에 결합된 록본체와; 상기 도어키를 지지하고, 상기 운동변환부와 결합되어 연동하는 거치대캠을 포함하여 상기 도어의 타측에 결합된 키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키거치대는 상기 거치대캠의 작동에 따라 상기 열림위치에서 상기 도어키는 상기 키거치대에서 분리되지 않게 걸린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도어키는 상기 키거치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록본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도어를 잠그고 여는 동작을 하면서도 밴드 형상의 키를 포함하는 도어키도 도어 록 장치에 걸림 및 해제할 수 있어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두 가지 동작을 동시에 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록 장치 {Door Lock Device}
본 발명은, 도어 록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작동 구조를 개선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도어 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우나, 피트니스 센터, 찜질방 등의 다중 이용 시설을 이용하는 경우 이용자는 통상 신발, 옷, 휴대한 가방 등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을 이용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도어를 번호, 지문 등을 포함하는 입력부로 개폐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다중 이용 시설에서는 보관함을 개폐하는 도어와 도어를 잠그고 열고 할 수 있는 키(열쇠)를 포함하는 도어 록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예가 등록특허공보 제10-2006-0105825호 (2006.10.11. 공개), 제10-2015-0028218호 (2015.03.13. 공개)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키의 인식 방법을 RF 방식으로 하고 있어 RF 키를 인식하기 위하여 많은 전류가 소비되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소형 배터리의 소모가 많을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전동식으로 작동하는 과정에서 특히 잠긴 상태에서 고장이 나는 경우 도어 록 장치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도어 록 장치를 파손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전동으로 작동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두 개의 구동 모터를 구비하여 하나는 도어를 보관함의 예를 들면 브래킷에 걸리게 하여 도어를 열지 못하게 잠그고 브래킷에 걸리지 않게 하여 도어를 열며 다른 하나는 사용자가 손목 등에 착용할 수 있는 밴드 형상의 키를 걸면 밴드 키를 도어 록 장치에 록킹할 수 있도록 작동시킨다. 이러한 두 개의 구동 모터가 있는 경우 회로가 복잡하고 부품 수가 많아 구조가 간단하지 않으며 전력 소모도 많아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단축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도어를 잠그고 열면서도 밴드 형상의 키를 포함하는 도어키도 도어 록 장치에 걸림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작동시킬 수 있는 도어 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작업하는 과정에서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전기 납땜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친환경적인 도어 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도어 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를 잠근 상태에서 제품을 파손시키지 않으면서 도어의 잠근 상태를 수동으로 열린 상태로 작동시킬 수 있는 도어 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동 구조를 일원화하고 도어키의 감지 방법을 개선하여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도어 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록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함에 지지되어 개폐되는 도어를 열 수 있는 열림위치와 상기 도어를 잠그는 잠금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며,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줄이는 감속부와, 상기 감속부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을 변환시키는 운동변환부를 포함하여 상기 도어의 일측에 결합된 록본체와;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키를 지지하고, 상기 운동변환부와 결합되어 연동하는 거치대캠을 포함하여 상기 도어의 타측에 결합된 키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키거치대는 상기 거치대캠의 작동에 따라 상기 열림위치에서 상기 도어키는 상기 키거치대에서 분리되지 않게 걸린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도어키는 상기 키거치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록본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키거치대는,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작동 불능시 상기 거치대캠을 수동으로 작동시켜 상기 열림위치와 상기 잠금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키거치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 캡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키거치대에는 상기 도어키가 거치되어 분리되지 않는 걸림위치와 분리되는 분리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거치대캠의 회전 운동이 직선 운동으로 변환 가능하게 상기 거치대캠과 맞물린 도어키걸림부가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키걸림부는, 상기 걸림위치에서 상기 도어키와 맞물리도록 돌출 형성된 걸림훅과; 상기 걸림훅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훅이 상기 걸림위치와 상기 분리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대캠과 맞물린 캠 접촉부와; 상기 걸림훅과 상기 캠 접촉부가 시소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걸림힌지축과; 상기 걸림훅을 상기 분리위치로 탄성가압 가능하게 상기 걸림힌지축과 상기 캠 접촉부 사이에 상기 걸림힌지축에 근접되게 마련된 걸림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록본체에는 상기 잠금위치와 상기 열림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고,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보관함에 결합된 브래킷측을 향하여 출입되는 변환슬라이드가 포함되며, 상기 변환슬라이드는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변환슬라이드가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는 도어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클램프는, 클램프본체와, 상기 클램프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상기 변환슬라이드가 결합되어 걸림유지되는 걸림위치와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상기 변환슬라이드가 걸림 해제되는 분리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클램프힌지와, 상기 클램프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브래킷과 결합되어 상기 걸림위치와 상기 분리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클램프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클램프본체를 상기 분리위치로 탄성가압 가능하게 상기 클램프본체의 타측을 탄성가압하는 클램프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록본체에 지지되어 상기 잠금위치와 상기 열림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보관함에 결합된 브래킷측을 향하여 출입되는 변환슬라이드의 일측에 마련된 슬라이랙과; 상기 록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랙의 직선 운동을 상기 거치대캠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 가능하게 일측은 상기 슬라이딩랙과 맞물려 회전하는 거치대변환피니언을 포함하고 타측은 상기 거치대캠과 결합된 거치대변환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록 장치에 있어서, 브래킷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물품을 수용하는 보관함에 지지된 도어의 일측에 결합된 록본체에 결합되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록본체에 지지되어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고 도어를 열 수 있는 열림위치와 상기 도어를 잠그는 잠금위치를 감지하는 개폐스위치를 포함하는 운동변환부와; 상기 록본체가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었는지를 감지 가능하게 상기 록본체에 결합된 브래킷감지부와; 상기 구동모터, 상기 개폐스위치 및 상기 브래킷감지부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 가능하게 관통 형성된 구동모터접속부, 개폐스위치접속부 및 브래킷감지부접속부를 구비하여 상기 록본체에 지지된 본체PCB;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 상기 개폐스위치 및 상기 브래킷감지부와 상기 본체PCB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수단은, 스프링 재질을 포함하여 코일 형상 또는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고 스프링 재질의 탄성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상기 본체PCB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스위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코일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스위치의 일측은 상기 운동변환부에 지지되며 타측은 상기 개폐스위치접속부에 접촉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개폐스위치접속부는 상기 열림위치와 상기 잠금위치를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 형성되어 상기 개폐스위치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개폐스위치와 전기적 연결이 되지 않는 폭을 갖는 PCB슬롯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PCB슬롯의 양 단부에는 상기 열림위치 및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개폐스위치와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점점 폭이 좁아지는 PCB슬롯넥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특징은, 도어 록 장치에 있어서, 브래킷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물품을 수용하는 보관함에 지지된 도어의 일측에 결합된 록본체에 결합되어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고 전원을 공급 가능하게 마련된 본체PCB와; 상기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키를 지지하고 상기 도어의 타측에 결합된 키거치대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키가 거치되었는지는 감지하는 도어키스프링과; 상기 키거치대에 지지되고 상기 본체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거치대PCB와; 상기 본체PCB와 상기 거치대PC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키거치대가 상기 록본체에 결합되면 상기 본체PCB와 상기 거치대PCB의 판면을 향하여 탄성 가압하여 상기 본체PCB와 상기 거치대PC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커넥터핀은, 상기 본체PCB의 관통 형성된 커넥터핀접속부에 결합되는 하핀과, 상기 거치대PCB의 관통 형성된 커넥터핀접촉부에 결합되는 상핀과, 상기 상핀과 상기 하핀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 가능하게 상기 상핀 및 상기 하핀에 결합되는 상하연결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록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함에 지지되어 개폐되는 도어를 열 수 있는 열림위치와 상기 도어를 잠그는 잠금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며,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줄이는 감속부와, 상기 감속부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을 변환시키는 운동변환부를 포함하여 상기 도어의 일측에 결합된 록본체와; 상기 록본체에 지지되어 상기 잠금위치와 상기 열림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고,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보관함에 결합된 브래킷측을 향하여 출입되는 변환슬라이드와; 상기 변환슬라이드에는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변환슬라이드가 상기 브래킷에 걸려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상기 록본체가 상기 록본체의 이동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는 시건위치와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열림위치로 이동하거나 상기 열림위치에서 상기 잠금위치로 이동시 상기 변환슬라이드가 상기 브래킷에 걸림 해제되어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상기 록본체가 상기 록본체의 이동방향으로 분리되는 시건해제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도어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클램프는, 클램프본체와, 상기 클램프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상기 변환슬라이드가 결합되어 걸림유지되는 시건위치와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상기 변환슬라이드가 걸림 해제되는 시건해제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클램프힌지와, 상기 클램프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브래킷과 결합되어 상기 시건위치와 상기 시건해제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클램프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클램프본체를 상기 시건해제위치로 탄성가압 가능하게 상기 클램프본체의 타측을 탄성 가압하는 클램프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건위치에서 상기 클램프본체에 작용하는 상기 클램프복귀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기 시건위치와 상기 시건해제위치 사이를 상기 클램프힌지를 중심으로 시소 운동 기능하게 상기 클램프걸림부에 대향하여 상시 클램프본체에 마련된 클램프스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록 장치에 있어서, 브래킷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물품을 수용하는 보관함에 지지된 도어의 일측에 결합된 록본체에 결합되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록본체에 지지되어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고 도어를 열 수 있는 열림위치와 상기 도어를 잠그는 잠금위치를 감지하는 개폐스위치를 포함하는 운동변환부와; 상기 개폐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관통 형성된 개폐스위치접속부를 구비하여 상기 록본체에 지지된 본체PCB;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스위치와 상기 본체PCB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수단은, 스프링 재질을 포함하여 코일 형상 또는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고 스프링 재질의 탄성력에 의해 본체PCB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스위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코일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스위치의 일측은 상기 운동변환부에 지지되며 타측은 상기 개폐스위치접속부에 접촉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개폐스위치접속부는 상기 열림위치와 상기 잠금위치를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 형성되어 상기 개폐스위치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개폐스위치와 전기적 연결이 되지 않는 폭을 갖는 PCB슬롯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스위치는 상기 개폐스위치접속부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점점 외경이 커지는 코일 형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도어를 잠그고 열면서도 밴드 형상의 키를 포함하는 도어키도 키거치대에 분리위치 및 걸림위치로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는 도어 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작업하는 과정에서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전기 납땜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친환경적인 도어 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도어 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어를 잠근 상태에서 제품을 파손시키지 않으면서 도어의 잠근 상태를 수동으로 열린 상태로 작동시킬 수 있는 도어 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작동 구조를 일원화하고 도어키의 감지 방법을 개선하여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도어 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적은 힘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시건위치나 시건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도어 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록 장치를 부분적으로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주요 구성인 록본체와 브래킷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주요 구성인 키거치대와 도어키의 분해사시도,
도 5a는 본체와 브래킷이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커버를 제거한 평면도,
도 5b는 도 5a에서 5b-5b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c는 도 5a에서 5c-5c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6a는 키거치대의 거치대본체에서 일부 구성을 제거한 평면도,
도 6b는 본체하우징에서 일부 구성을 제거한 사시도,
도 7a는 도 6a에서 7a-7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 도어키가 키거치대에서 분리 가능한 분리위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7b는 도 7a에서 도어키가 키거치대에서 분리되지 않는 걸림위치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7c는 수동으로 도어키의 걸림위치에서 분리위치로 도어의 잠금위치에서 열림위치로 동시에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도 6a의 8-8 선을 따라 절단하여 키거치대에 거치된 도어키를 감지하여 본체로의 전기적 연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9는 하나의 구동부가 도어를 열림위치와 잠금위치로 도어키를 해제위치에서 걸림위치로 동시에 작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0a는 도어가 열린 상태인 열림위치에서 브래킷을 언클램핑 (unclamping)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b는 도어가 잠김 상태인 잠금위치에서 브래킷을 클램핑 (clamping)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1a는 브래킷감지부에서 도어가 열림위치인지를 감지하기 위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1b는 브래킷감지부에서 도어가 잠금위치인지를 감지하기 위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1c는 브래킷감지부의 전기적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측단면도 및 정단면도,
도 12는 본체PCB와 전기적 연결을 필요로 하는 주요 구성의 전기적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및 요부확대단면도,
도 13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열린 상태인 열림위치에서 브래킷을 언클램핑 (unclamping)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3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잠김 상태인 잠금위치에서 브래킷을 클램핑 (clamping)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 장치(100)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록 장치를 부분적으로 분해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주요 구성인 록본체와 브래킷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주요 구성인 키거치대와 도어키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a는 본체와 브래킷이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커버를 제거한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서 5b-5b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5c는 도 5a에서 5c-5c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6a는 키거치대의 거치대본체에서 일부 구성을 제거한 평면도이며, 도 6b는 본체하우징에서 일부 구성을 제거한 사시도이고, 도 7a는 도 6a에서 7a-7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 도어키가 키거치대에서 분리 가능한 분리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b는 도 7a에서 도어키가 키거치대에서 분리되지 않는 걸림위치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7c는 수동으로 도어키의 걸림위치에서 분리위치로 도어의 잠금위치에서 열림위치로 동시에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a의 8-8 선을 따라 절단하여 키거치대에 거치된 도어키를 감지하여 본체로의 전기적 연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9는 하나의 구동부가 도어를 열림위치와 잠금위치로 도어키를 해제위치에서 걸림위치로 동시에 작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도 10a는 도어가 열린 상태인 열림위치에서 브래킷을 언클램핑 (unclamping)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0b는 도어가 잠김 상태인 잠금위치에서 브래킷을 클램핑 (clamping)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11a는 브래킷감지부에서 도어가 열림위치인지를 감지하기 위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1b는 브래킷감지부에서 도어가 잠금위치인지를 감지하기 위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11c는 브래킷감지부의 전기적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측단면도 및 정단면도이고, 도 12는 본체PCB와 전기적 연결을 필요로 하는 주요 구성의 전기적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및 요부확대단면도이며, 도 13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열린 상태인 열림위치에서 브래킷을 언클램핑 (unclamping)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3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가 잠김 상태인 잠금위치에서 브래킷을 클램핑 (clamping)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 장치(100)는 대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예를 들면, 다중 이용시설인 목욕탕, 피트니스 센터 등에 사용자의 물건을 보관하는 보관함(20)과 보관함(20)을 개폐하는 도어(10)를 포함한다. 후술하는 록본체(1100)는 도어(10)의 내측에 결합되어 있고 키거치대(1300)는 도어(10)를 관통하여 도어키거치아암(1311) 부분이 도어(10)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도어(10)와 도어키거치아암(1311) 사이에 예를 들면 밴드 형상의 도어키(1700)가 거치될 수 있는 구조로 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 장치(100)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도어를 번호, 지문 등을 포함하는 입력부로 개폐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 경우에는 후술하는 키거치대(1300) 대신에 입력부로 대체되고 별도의 도어키(1700)는 불필요할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과 같이 도어(10) 외측에서 록본체(1100)가 결합된 도어(10)의 내측으로 ‘Z’축 방향(도면의 앞에서 뒤로), 변환슬라이더(1155)가 보관함(20)의 브래킷(1500)에 결합된 도어(10)가 잠긴 상태에서 도어(10)가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X’축 방향(도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경사진 방향), Y-Z 평면에 수직 방향으로 도어키(1700)가 키거치대(1300)에 결합된 걸림위치에서 분리되는 방향을 ‘Y’축 방향(도면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각각 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 장치(100)는, 도어(10)를 열 수 있는 열림위치와 상기 도어(10)를 잠그는 잠금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며, 구동모터(1130)와, 상기 구동모터(1130)의 회전속도를 줄이는 감속부(1140)와, 상기 감속부(1140)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을 변환시키는 운동변환부(1150)를 포함하여 상기 도어(10)의 일측에 결합된 록본체(1100)와; 상기 도어키(1700)를 지지하고, 상기 운동변환부(1150)와 결합되어 연동하는 거치대캠(1340)을 포함하여 상기 도어(10)의 타측에 결합된 키거치대(1300);를 포함하며, 상기 키거치대(1300)는 상기 거치대캠(134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열림위치에서 상기 도어키(1700)는 상기 키거치대(1300)에서 분리되지 않게 걸린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도어키(1700)는 상기 키거치대(1300)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록본체(1100)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 록 장치(1000)는, 보관함(20)에 결합되어 록본체(1100)의 작동에 의해 도어(10)를 개폐할 수 있는 브래킷(15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록본체(1100)는 도어(10)를 관통하여 통과한 키거치대(1300)와 볼트를 포함하는 거치대고정부재(1390)에 의해 결합되고 미도시된 볼트를 포함하는 체결수단에 의해 도어(10)의 내측에 고정된다.
록본체(1100)는 다양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록본체(1100)는, 구동모터(1130), 감속부(1140), 운동변환부(1150), 거치대변환부재(1157), 배터리, 본체PCB(1180) 등을 수용하여 지지하도록 일측을 개방한 도 5a와 같은 본체하우징(1110)과, 본체하우징(1110)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본체커버(1120)를 포함한다.
본체하우징(1110)은 내측에 주요 구성을 수용하도록 수용하는 구성의 형상에 대응한 모양으로 돌출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다. 본체하우징(1110)은 배터리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배터리수용부(1111), 배터리수용부(1111)에 배터리를 착탈하도록 배터리수용부(1111)를 개폐하는 배터리수용부커버(1111a)와, 구동모터(1130)가 결합되는 구동모터수용부(1112), 감속부(1140)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감속부수용부(1113), 운동변환부(1150)가 수용되어 슬라이딩 안내되는 변환부수용부(1114), 브래킷감지부(1160)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브래킷감지부수용부(111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체하우징(1110)은, 운동변환부(1150)의 변환슬라이드(1155)가 브래킷(1500)측으로 출입할 수 있는 슬라이드관통홀(1116)과, 브래킷감지부(1160)의 감지아암(1163)이 돌출되어 브래킷(1500)을 감지하는 과정에서 회전 운동할 수 있는 감지아암관통홀(1117)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커버(1120)는 본체하우징(1110)의 개방된 영역을 덮고 본체하우징(1110)의 내측에 수용된 구성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볼트를 포함하여 본체커버(1120)의 고정홀(1123)을 관통하는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본체하우징(1110)과 결합된다. 본체커버(1120)는 다양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를 포함하여 본체하우징(1110)과 동일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커버(1120)의 슬라이드관통홀(1116)에 결합되는 영역에 후술하는 도어클램프(1170)의 클램프스커트(1177)가 잠금위치에 근접한 위치에서 접촉될 수 있는 클램프걸림턱(1120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모터(1130)는 배터리나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하여 회전력을 필요로 하는 구성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구동모터(1130)는 일반적으로 본체PCB(1180)와 전기적으로 암, 수 커넥터 등으로 연결되고 본체PCB(1180)와 납땜이 되는 것과 달리 높은 도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모터전원공급스프링(1133)에 의해 본체PCB(1180)와 전기적으로 결합한다.
구동모터(1130)에는 양극 및 음극의 모터스프링용핀(1131)이 마련되어 있다. 모터전원공급스프링(1133)은 코일 형상으로 감겨 모터스프링용핀(1131)과 억지끼워맞춤이 되는 모터스프링본체(1133a)와 모터스프링본체(1133a)에서 연장되어 구동모터수용부(1112)에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PCB(1180)의 구동모터접속부(1182)에 전기적으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절곡된 모터스프링통전부재(1133b)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PCB(1180)의 구동모터접속부(1182)는 모터전원공급스프링(1133)의 직경보다 약간 큰 폭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로 관통된 PCB슬롯(1186b)과 PCB슬롯(1186b)의 단부에 모터전원공급스프링(1133)의 직경보다 적게 형성되도록 PCB슬롯(1186b)에서 점점 폭이 줄어든 형태의 PCB슬롯넥(1186b)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구동모터접속부(1182)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본체PCB(1180)를 관통하는 PCB슬롯(1186b)과 PCB슬롯넥(1186b)의 상측, 하측의 일정한 폭(예를 들면, 2mm) 및 관통 두께에 걸쳐 도전성 및 마모성이 양호한 금도금으로 도금된 도금영역(coat)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모터전원공급스프링(1133)의 구조에 의하여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을 갖도록 절곡된 모터스프링통전부재(1133b)가 길쭉한 형상의 PCB슬롯(1186b)에 결합되어 탄성력에 의해 직경이 더 적은 PCB슬롯넥(1186b)에 견고하게 접촉 유지되어 본체PCB(1180)와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이러한 전기적 연결에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사용하던 전기적 납땜 및 암, 수 커넥터와 같은 수단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고 납땜 등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유해한 작업환경을 제거할 수 있다.
감속부(1140)는 구동모터(1130)에서 발생된 회전속도를 줄이며, 감속부수용부(1113)에 지지되고 감속기브래킷(1500)에 지지된다.
감속부(1140)는 구동모터(1130)와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감속부재(1143)와 제1감속부재(1143)와 결합되어 회전력을 운동변환부(1150)로 전달하는 제2감속부재(114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감속부재(1143)는, 구동모터(1130)의 회전축에 결합된 모터기어(미도시)와 맞물려 구동되는 제1구동기어(1143b)와. 제1구동기어(1143b)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축(1143a)과, 제1축(1143a)에 결합되어 제1구동기어(1143b)와 함께 회전하면서 제2감속부재(1145)와 맞물리는 제1종동기어(1145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축(1143a)은 감속기브래킷(15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2감속부재(1145)는, 제1종동기어(1145b)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구동기어(1145b)와, 제2구동기어(1145b)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축(1145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축(1145a)은 감속기브래킷(15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림직하다.
운동변환부(1150)는 변환부수용부(1114)에 결합되고, 감속부(1140)에서 전달되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본체하우징(1110)으로 출입하면서 브래킷(1500)과 결합하여 도어(10)가 열리는 열림위치(도 10a 참조)와 도어(10)가 잠기는 잠금위치(도 5a, 도 5b, 도 5c, 도 10b 참조) 사이를 움직일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이 과정에서 운동변환부(1150)는 본체하우징(1110)이 브래킷(15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시건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기능도 하며 후술하는 도어키(1700)가 키거치대(1300)에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고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인 걸림위치(도 7b 참조)와 도어키(1700)가 키거치대(1300)에 분리될 수 있는 상태인 분리위치(도 7a 참조) 사이로 이동되는 운동에너지를 키거치대(1300)측으로 전달하기도 한다.
운동변환부(1150)는,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축(1145a)과 동일한 축선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변환바(1151)와, 변환바(1151)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일정한 피치로 변환바(1151)의 외주측에 결합되어 변환슬라이드(1155)에 고정 가능하게 결합된 변환가이드스프링(1153)과, 변환가이드스프링(1153)과 함께 ‘X’ 축선 방향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변환부수용부(1114)를 따라 열림위치와 잠금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운동하는 변환슬라이드(115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변환부(1150)는, 변환슬라이드(1155)의 일측과 결합하여 변환슬라이드(1155)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 가능하게 마련된 거치대변환부재(1157)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변환바(1151)는, 제2축(1145a) 단부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억지끼워맞춤을 포함하는 체결수단인 제2축(1145a) 단부에 대응한 형상으로 마련된 변환바축공(1151a)과, 외주측에 돌출되어 외주측에 결합된 변환가이드스프링(1153)의 나선형 피치를 따라 회전할 수 있는 변환바핀(1151b)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2축(1145a)이 회전하면 변환바(1151)가 회전하고 변환바(1151)의 회전에 따라 외주측에 돌출된 변환바핀(1151b)이 회전하면 제2축(1145a)에 견고하게 결합된 변환바(1151)는 회전만 하게 되고, 변환바핀(1151b)이 변환슬라이드(1155) 내측에 고정 결합된 변환가이드스프링(1153)의 피치를 따라 돌면서 변환슬라이드(1155)가 변환부수용부(1114)에 의해 슬라이딩 안내되어 변환슬라이드(1155)는 ‘X’축선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변환가이드스프링(1153)은 변환슬라이드(1155) 내측에 회전되지 않게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변환바(1151)외주측에 결합되며 일정한 피치의 코일 형상으로 감겨져 있어 일정한 피치 사이에 변환바핀(1151b)을 위치시킬 수 있다.
변환슬라이드(1155)는 변환부수용부(1114)에서 ‘X’축선을 따라 이동하는 예를 들면 길고 중앙이 빈 육면체 형상으로 상측은 개방되어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변환슬라이드(1155)는 중앙이 빈 육면체 형상의 슬라이드본체(1155a)와, 본체PCB(1180)의 개폐스위치접속부(1183)에 대응한 위치에 열림위치와 잠금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스프링 형상의 개폐위치스프링(1155c)과, 개폐위치스프링(1155c)이 결합되는 개폐스프링홀(1155b)과, 클램프복귀스프링(1178)의 판 형상인 클램프스프링고정부재(1178a)가 결합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클램프스프링결합슬롯(1155f)과, 측면에 랙 형상으로 마련되어 거치대변환부재(1157)의 거치대변환피니언(1157b)과 맞물리는 슬라이드랙(1155e)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대변환부재(1157)는, 회전 가능하게 본체하우징(1110)에 결합되는 거치대변환축(1157c)과, 거치대변환축(1157c)에서 연장된 외주측에서 돌출되어 슬라이드랙(1155e)과 맞물려 슬라이드랙(1155e)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거치대변환피니언(1157b)과, 상측에 거치대변환축(1157c)과 동일한 ‘Z’방향 회전축선 상에 다각형 형상으로 구비된 거치대캠레그홀(1157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운동변환부(1150)의 구조에 의하여 후술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구동모터(1130)에 의해 도어(10)가 보관함(20)에 잠기고 열리는 하나의 작동과 도어키(1700)가 키거치대(1300)에 걸리고 분리될 수 있는 다른 하나의 작동이라는 두 가지 작동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즉, 구동모터(1130)에서 발생되어 전달되는 하나의 동력에서 도어(10)의 열림과 잠금이라는 제1운동 내지 제1작동과 도어키(1700)가 키거치대(1300)에 분리와 걸림이라는 제2운동 내지 제2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종래기술에서 제1운동 및 제2운동을 위하여 각각 하나씩 총 두 개의 모터를 포함하는 동력원이 필요하여 전력소비가 많으며, 구조가 복잡하고, 전기적 회로로 복잡하며 부품도 많아 경제적으로 비교적 고가이고, 제작 등이 용이하지 않으며 고장의 우려가 많은 등의 문제점 내지 단점을 본 발명에서는 해소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동모터(1130)에서 변환슬라이드(1155)로 동력이 전달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모터(1130)의 모터전원공급스프링(1133)으로 본체PCB(1180)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모터(1130)가 회전되면 구동모터(1130)의 회전력은 미도시된 모터기어 제1구동기어(1143b) - 제1종동기어(1145b) - 제2구동기어(1145b) - 제2축(1145a)을 통해 변환바(1151)로 회전력이 전달된다. 변환바(1151)가 회전하면 변환바핀(1151b)이 회전하면서 변환바핀(1151b)은 일정한 피치로 변환슬라이드(1155)에 고정결합된 변환가이드스프링(1153)을 밀어내게 된다. 이러한 변환가이드스프링(1153)을 밀어내는 힘에 의해 본체하우징(1110)의 변환부수용부(1144)에 수용된 변환슬라이드(1155)는 ‘X’축선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되어 본체하우징(1110)의 슬라이드관통홀(1116)을 출입하면서 열림위치와 잠금위치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열림위치와 잠금위치에 도달하였다는 감지 정보는 변환슬라이드(1155)의 개폐스프링홀(1155b)에 결합하여 본체PCB(1180)로 돌출되어 개폐스위치접속부(1183)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개폐위치스프링(1155c)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개폐위치스프링(1155c)은 탄성력을 구비하고 전기적으로 양호한 전도성을 구비하고 있다. 개폐위치스프링(1155c)의 개폐스위치접속부(1183)와 접촉되는 부분인 개폐위치스프링(1155c)의 직경(도 12(c)의 ‘d spring-upper’ 참조)은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스위치접속부(1183)의 PCB슬롯(1186b) 폭(도 12(c)의 ‘Wslot’ 참조)보다 작다. 다만, 개폐위치스프링(1155c)이 열림위치와 잠금위치에 도달하는 개폐스위치접속부(1183)의 PCB슬롯넥(1186b) 부분의 폭(도 12(c)의 ‘Wcontack’ 참조)은 개폐위치스프링(1155c)의 직경((도 12(c)의 ‘d spring-upper’ 참조))보다 작다.
다른 한편, 본체PCB(1180)에는 개폐위치스프링(1155c)과 접촉되는 개폐스위치접속부(1183)의 테두리 네 개 영역에는 금도금을 포함하는 도금영역(coat)이 네 군데 형성되어 있다(도 12(c)의 ‘coat1-1’ ‘coat1-2’ ‘coat2-1’ 및 ‘coat2-2’ 참조).
즉, ‘X’축선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개폐스위치접속부(1183)를 따라 개폐위치스프링(1155c)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변환슬라이드(1155)가 다소 흔들리더라도 개폐스위치접속부(1183)의 폭이 개폐위치스프링(1155c)의 직경보다 커서 본체PCB(1180)에 신호를 전달하지 못한다.
그러나, 열림위치에서는 변환슬라이드(1155)가 다소 흔들리더라도 탄성력을 가진 개폐위치스프링(1155c)의 변형에 의해 열림위치에서는 두 개의 개폐스위치접속부(1183)의 두 개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도금영역(도 12(c)의 ‘coat2-1’ ‘coat2-2’ 참조)을 모두 접촉할 수 있어 본체PCB(1180)에 변환슬라이드(1155)가 열림위치에 도달하였다는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러한 신호에 의하여 본체PCB(1180)에서는 구동모터(113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거치대PCB(1380)의 표시부(1383)에 ‘열림(OPEN)’표시를 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잠금위치에서도 동일하고 이 때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두 개의 도금영역(도 12(c)의 ‘coat1-1’ ‘coat1-2’ 참조)을 개폐위치스프링(1155c)에 의해 접촉할 수 있어 본체PCB(1180)에 변환슬라이드(1155)가 잠금위치에 도달하였다는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러한 신호에 의하여 본체PCB(1180)에서는 구동모터(113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거치대PCB(1380)의 표시부(1383)에 ‘잠금(CLOSE)’표시를 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개폐위치스프링(1155c)의 좌우측에 위치한 도금영역 한 쌍(예를 들면 ‘coat1-1 및 coat1-2’한 쌍 또는 ‘coat2-1 및 coat2-2’ 한 쌍)이 모두 접촉되어야 열림위치 및 잠금위치라는 것을 개폐위치스프링(1155c)에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위치스프링(1155c)은 상측으로 갈수록 점점 더 외경이 커지는 구조(도 12의 확대도 및 section d-d 참조)로 되어 있다. 즉, 상측의 외경은 ‘d spring-upper’이고, 변환슬라이드(1155)에 결합되는 부분과 대략적으로 중앙부분까지의 하측 외경은 ‘d spring-lower’로 되어 있어 하측 외경에서 상측 외경으로 갈수록 점점 더 스프링 코일 외경이 커진다.
이러한 구조는 section d-d에서와 같이 개폐위치스프링(1155c)이 PCB슬롯넥(1186b)에 위치하여 변환슬라이드(1155)가 이동하는 방향의 힘에 의해 다소 기울어지게 변형(도 12의 ‘section d-d’의 수직축인 ‘k1’과 ‘k0’를 중심으로 기울우진 축인 ‘k2’와의 각도 ‘k’ 참조)되는 경우 개폐위치스프링(1155c)의 감겨진 코일의 많은 접촉면이 코팅된 영역(‘coat1-1’과 ‘coat1-2’는 잠금위치에서, ‘coat2-1’와 ‘coat2-2’는 열림위치에서 각각 동시에 접촉)에 효과적으로 접촉될 수 있어 전기적 연결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변환슬라이드(1155)가 잠금위치와 열림위치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변환슬라이드(1155) 등의 움직임이 다소 진동이 있고 흔들리더라도 안정적으로 본체PCB(1180)에 변환슬라이드(1155)의 작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어 감지된 정보를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브래킷감지부(1160)는, 도어(10)가 잠금위치에 위치하였는지를 감지한다. 브래킷감지부(1160)에서는, 브래킷(1500)에 형성된 감지아암수용부(1540)의 감지아암걸림턱(1541)에 접촉되었는지를 판단하도록 록본체(1100)로부터 돌출되어 회전 운동의 기준이 되는 감지아암힌지(1163a)를 포함하는 감지아암(1163)과, 록본체(1100)의 브래킷감지부수용부(1115)에 지지된 감지지지부재(1161)와, 일측은 감지지지부재(1161)의 감지스프링수용홈(1161a)에 탄성가능하게 수용되어 감지아암(1163)을 탄성가압하는 감지스프링(1165)이 구비되어 있다.
감지스프링(1165)은, 도전성을 가지며 코일 형상으로 감아져 감지스프링수용홈(1161a)에 수용되는 감지스프링본체(1165a)와, 감지스프링본체(1165a)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감지아암(1163)에 결합되어 감지스프링본체(1165a)의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본체PCB(1180)의 접촉부재수용부(1184a)에 접촉되어 본체PCB(1180)와 접촉되면(이 경우에 감지스프링(1165)의 탄성력이 감지아암(1163)을 가압하는 상태임, 도 11b 참조) 감지아암(1163)이 브래킷(1500)과 접촉되지 않아(이 경우에 감지스프링(1165)의 탄성력이 감지아암(1163)이 브래킷(1500)과 접촉하여 가압하는 힘을 이기지 못하는 상태임. 도 11a 참조) 도어(10)를 잠그는 위치에 도달하지 않았다는 것으로 판단하고 본체PCB(1180)와 접촉되었다 떨어지면 감지아암(1163)이 브래킷(1500)과 접촉되어 도어(10)를 잠그는 위치에 도달하였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감지스프링온오프접촉부재(1165b)와, 감지스프링본체(1165a)의 타측에서 연장되어 절곡된 형상을 가지고 본체PCB(1180)의 감지통전부재수용부(1184b)와 전기적 연결도 우수하면서 탄성력을 가지고 견고하게 지지되는 감지스프링통전부재(1165c)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감지스프링통전부재(1165c)가 본체PCB(1180)의 감지통전부재수용부(1184b)와 결합되는 구조는 전술한 모터스프링통전부재(1133b)가 구동모터접속부(1182)에 결합하는 구조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브래킷감지부(1160)의 작동 과정을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1b는 도어(10)가 열려진 상태이면서 감지스프링(1165)이 감지아암(1163)에 탄성 가압을 한 상태이고 이러한 탄성가압력에 따라 회전은 감지아암힌지(1163a)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는 감지스프링(1165)의 감지스프링온오프접촉부재(1165b)는 접촉부재수용부(1184a)의 도금영역(coat)에 접촉되어 본체PCB(1180)에 감지아암(1163)이 브래킷(1500)에 위치하지 않아 도어(10)가 잠금위치에 있지 않다고 본체PCB(1180)에서 판단할 수 있다.
다음, 사용자가 도어(10)를 닫게 되면, 감지아암(1163)이 브래킷(1500)의 감지아암수용부(1540)에 수용되어 감지아암걸림턱(1541)과 접촉하는 힘인 접촉력이 감지스프링(1165)이 감지아암(1163)을 탄성가압하는 탄성력을 이기고 감지아암(1163)을 감지아암힌지(1163a)에 대하여 회전시킨다. 이에 감지스프링(1165)의 감지스프링온오프접촉부재(1165b)는 감지아암(1163)이 회전함에 따라 접촉부재수용부(1184a)의 도금영역(coat)과 접촉되지 않아 본체PCB(1180)에 감지아암(1163)이 브래킷(1500)에 위치하여 도어(10)가 잠금위치에 있다고 본체PCB(1180)에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브래킷감지부(1160)의 구조에 의해 도어(10)가 잠금위치에 있는지를 확인, 판단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어클램프(1170)는, 도 3, 도 5c,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판재 형상의 클램프본체(1171)와, 클램프본체(1171)의 일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브래킷(1500)의 클램프걸림부재(1520)에 걸리는 클램프걸림부(1173)와, 클램프본체(1171)의 타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절곡되어 본체커버(1120)의 클램프걸림턱(1120a)에 걸리고 클램프복귀스프링(1178)의 탄성가압력이 제공되는 클램프스프링탄성부재(1178b)와 접촉되는 클램프스커트(1177)와, 클램프본체(1171)의 클램프걸림부(1173)와 클램프스커트(1177)가 절곡된 영역이 아닌 다른 변의 중간영역에 외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변환슬라이드(1155)의 힌지수용부(1155d)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클램프힌지(1175)를 구비하고 있다.
클램프복귀스프링(1178)은 변환슬라이드(1155)의 클램프스프링결합슬롯(1155f)에 결합되어 클램프걸림부(1173)가 브래킷(1500)의 클램프걸림부(1173)에 걸리지 않도록 클램프걸림부(1173)의 클램프스커트(1177)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중앙에 변환바(1151)를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다.
클램프복귀스프링(1178)은 사각형 판 형상으로 양 단부가 클램프스프링결합슬롯(1155f)에 결합되는 클램프스프링고정부재(1178a)와, 클램프스프링고정부재(1178a)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어 변환바(1151)가 지지될 수 있는 클램프스프링관통홀(1178c)과, 클램프스프링고정부재(1178a)에서 연장 절곡되어 클램프스커트(1177)를 가압하여 클램프스커트(1177)를 브래킷(1500)의 클램프걸림부재(1520)에 걸리지 않는 언클램프위치로 탄성가압하는 클램프스프링탄성부재(1178b)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클램프복귀스프링(1178)과 클램프걸림부(1173)에 작용하는 힘은 중력 방향인 상하 방향인 ‘X’축선 방향이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클램프걸림부(1173) 자체의 중력 등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매우 적은 힘으로도 시건 위치(도 10b의 ‘CLAMPING’참조)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변환슬라이드(1155)가 브래킷(1500)에 분리가 어려운 시건위치와 변환슬라이드(1155)가 브래킷(1500)으로부터 분리가 용이한 시건해제위치(도 10a의 'UNCLAMPING' 참조) 사이를 작동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잠금위치와 열림위치는 도어가 보관함에 대하여 열리고 닫히는 위치를 의미하며 시건위치는 도어가 닫힌 위치에서 도어가 보관함과의 관계에서 판면 방향으로 분리되는지에 대한 것이다. 즉, 브래킷과 록본체 사이의 틈새에 공구를 넣어 보관함으로부터 도어를 분리 내지 파손시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 시건위치이다. 또한, 이 위치에서는 클램프본체(1171)의 판면과 클램프걸림부재(1520) 및 턱슬라이드관통홀(1116)이 접촉하여 커거치대(1300)를 잡고 도어(10)를 여는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 당겨도 판면이 상호 접촉되어 외부로 이동하지 않고 시건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먼저, 도 10a 상태는 변환슬라이드(1155)가 브래킷(1500)에 근접하지 않아 도어(10)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클램프복귀스프링(1178)의 탄성가압력이 도어클램프(1170)의 클램프걸림부(1173)측 후방에 작용하여 클램프힌지(1175)를 중심으로 클램프걸림부(1173)가 상측으로 향하도록 작용하여 클램프걸림부(1173)와 클램프힌지(1175)를 중심으로 반대측에 있는 클램프스커트(1177)는 시소처럼 하측으로 내려오게 되어 브래킷(1500)의 슬라이드수용부(1530)를 출입시 클램프스커트(1177)가 클램프걸림부재(1520)에 걸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변환슬라이드(1155)가 전진하여 도 10b와 같이 잠금위치에 오게 되면 클램프걸림부(1173)가 본체커버(1120)의 클램프걸림턱(1120a)에 접촉되어 가압되는 힘이 양(+)의 ‘X’축선방향으로 작용하면 클램프걸림턱(1120a)의 접촉가압력이 음(-)의 ‘X’축선방향으로 클램프걸림부(1173)에 작용하는 클램프복귀스프링(1178)의 탄성가압력을 이기고 클램프힌지(1175)를 중심으로 클램프걸림부(117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이러한 시계방향 회전에 따른 시소 작용에 의해 클램프힌지(1175)를 중심으로 좌측에 위치한 클램프스커트(1177)는 시계방향으로 올라오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만약 부적절한 외력(강제로 브래킷(1500)과 록본체(1100)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 ‘X’축선방향으로 작용하더라도 도어(10)의 본체에 부착된 도어클램프(1170)의 클램프스커트(1177)가 브래킷(1500)의 클램프걸림턱(1120a)에 걸리게 되어 도어(10)가 벌어지지 않아 도어(10)를 부적절하게 개폐하는 행위(예를 들면 강제적으로 잠금위치에서 도어(10)를 열어 보관함(20) 내부의 내용물을 절취하기 위한 행위 등)로부터 도어(10)의 잠금 상태를 확실하게 하여 도어(10) 개폐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변환슬라이드(1155)가 잠금위치에서 열림위치로 이동하면 클램프스커트(1177)가 클램프걸림턱(1120a)에 접촉되어 발생한 가압력은 점점 적어져 없어지고 클램프복귀스프링(1178)의 탄성력이 클램프스커트(1177)에 작용하여 상측으로 올라가게 되고 시소 동작에 의해 클램프걸림부(1173)가 아래로 내려가 열림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클램프걸림부(1173)는 클램프걸림턱(1120a)에 걸리지 않고 변환슬라이드(1155)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시건위치와 시건해제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과정의 다른 실시예는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되어 있다. 다른 부분은 전술한 예와 거의 동일하나, 클램프복귀스프링 대신에 클램프복귀자석(2178)과 클램핑위치 탄성부재(2179)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상이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클램프(1170)의 클램프본체(1171)가 시건해제위치에서는 클램프복귀자석(2178)이 클램프본체(1171)를 하측으로 당기고 있는 상태이다. 한편, 클램핑위치 탄성부재(2179)는 클램프스커트(1177)와 접촉하지 않아 탄성변형되지 않고 벌어져 있는 상태(이 때의 벌어진 길이는 도 13a의 'L1' 참조)이다.
다음 변환슬라이드(2155)가 이동하면 클램프스커트(1177)가 클램핑위치탄성부재(2179)와 접촉하여 가압하여 클램핑위치탄성부재(2179)를 탄성변형(도 13b의 'L2' 참조)시키고 이러한 탄성변형력에 의해 도어클램프(1170)는 클램프힌지(1175)를 중심으로 시소 작용과 같이 클램프걸림부(1173)가 음(-)의 Z 축선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클램프걸림부(1173)가 클램프걸림부재(1520)에 걸려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시건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클램프(1170) 또는 클램프본체(1171)가 자석에 의하여 자력이 발생될 수 있는 강판을 포함하는 자성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클램프복귀자석(1178)은 예를 들면 직경 3mm에 길이 3mm의 자석이 한 개 또는 두 개 배치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뒤집어지거나 눕혀진 상태에서 도어클램프(1170)의 자중 등에 의해서 시건위치와 시건해제위치 사이를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12 및 중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체PCB(118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본체PCB(11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단은 도전성이 우수하고 탄성과 변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모터전원공급스프링(1133)과 구동모터접속부(1182), 감지스프링(1165)과 접촉부재수용부(1184a) 및 감지통전부재수용부(1184b), 개폐위치스프링(1155c)과 개폐스위치접속부(1183)에 의해 보다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PCB(1180)에 관통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수용부 내지 접속부(1181, 1182, 1183, 1184, 1185)의 주위에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도금영역(coat, coat1-1 등)을 구비하여 스프링들과의 전기적 연결과 접촉에 따른 마모에 대한 내마모성을 증대시켰다. 여기서, 참조번호 ‘1181’은 배터리수용부(1111)에 수용된 배터리의 전원과 본체PCB(118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영역이다.
즉,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종래기술에서 전기적 신호나 전원의 인가 수단으로 전기선 및/또는 센서 및/또는 인쇄회로기판(PCB)과 전기적 연결을 커넥터 및/또는 납땜으로 이루어졌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커넥터 및/또는 납땜 구조가 아니라 도전성과 탄성이 우수한 코일 내지 스프링 형상의 소재를 활용하여 전원 공급 및/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므로 납땜 등에 따른 작업환경 저해, 오염 등을 예방할 수 있고 커넥터 연결 등에 따른 회로 구조의 복잡 등과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키거치대(1300)는 도어(10)의 내부에 결합된 록본체(1100)와 도어(10)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도어키(1700)를 거치할 수 있다. 또한, 키거치대(1300)는 도어키(1700)가 거치된 상태 내지 도어키거치아암(1311)에 결합되었는지를 파악한 후 도어키(1700)의 아이디가 도어(10)의 아이디와 일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도어키(1700)를 도어키거치아암(131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걸림위치(도 7b 참조)와 분리될 수 있는 분리위치(도 7a 참조) 사이를 움직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분리위치와 걸림위치의 작동은 전술한 하나의 회전력인 구동모터(1130)의 작동에 의하여 잠금위치와 열림위치의 작동과 동시에 진행된다.
키거치대(1300)는, 록본체(1100)에 결합되어 도어(10)를 관통하고 도어(10)의 관통홀(미도시)로부터 돌출되어 절곡 연장되어 도어(10)의 판면 사이에서 도어키(1700)를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도어키거치아암(1311)을 구비하고 수용된 구성요소를 지지할 수 있도록 ‘Z’축선방향의 외부측으로 개방된 거치대본체(1310)와, 개방된 거치대본체(1310)를 개폐하는 거치대커버(1320)를 포함한다.
키거치대(1300)는 후술하는 도어키걸림부(1330), 거치대캠(1340), 도어키접지스프링(1350), 커넥터핀(1360), 거치대내측고정부(1370), 거치대PCB(1380), 거치대고정부재(139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거치대(1300)를 구성하는 부품의 재질은 전기적 연결을 필요로 하는 부분(도어키접지스프링, 커넥터핀, 거치대PCB 등)과 견고한 결합을 필요로 하는 부분(거치대고정부재 강재 등)을 제외하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대본체(1310)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커버(1320)를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거치대커버(1320)에서 돌출된 리브와 볼트 등의 체결수단(미도시)이 지지되거나 관통될 수 있는 거치대커버체결홀(1310a)과, 후술하는 도어키걸림부(1330)의 시소 작동 시 작동의 지지점이 되도록 주위보다 돌출된 도어키걸림부힌지축(1312)과, 본체PCB(1180) 및/또는 도어키(1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핀(1360)이 결합되도록 관통 형성된 복수의 커넥터핀홀(1313)과, 볼트를 포함하는 체결수단과 결합되어 록본체(1100)와 키거치대(1300)를 결합할 수 있는 거치대고정부재(1390)가 결합되는 체결부재홀(1314)과, 도어키접지스프링(1350)의 돌출된 부분인 접지스프링돌출부(1352)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도어키거치아암(1311)측에 관통 형성된 접지스프링홀(1315)과, 도어키(1700)와 맞물리도록 걸림훅(1332)이 출입할 수 있도록 도어키거치아암(1311)측에 관통 형성된 도어키걸림부홀(1316)과, 거치대캠(1340)이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는 거치대캠홀(1317)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대커버(1320)는 거치대본체(1310)의 개방된 영역을 개폐하고 ‘Z’축선 방향으로 최외측에 노출되어 외관의 일부를 거치대본체(1310)와 함께 형성한다.
거치대커버(1320)에는 거치대캠(1340)과 동일한 축선 상에 캡홀(1321)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이 캡홀(1321)에는 캡(1323)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캡(1323)은 캡홀(132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복수의 다리 형상의 캡걸림부(1325)가 구비되어 있고, 캡(1323)은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어 캡(1323)을 통해 거치대PCB(1380)의 표시부(1383)가 보일 수 있다. 캡(1323)은 거치대캠(1340)과 동일한 축선 상에 캡홀(1321)과 결합되어 있으므로 캡(1323)을 제거하는 경우, 도어(10)를 잠그거나 열도록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10)가 잠긴 상태에서 도어키(1700)를 도어키거치아암(1311)에 거치하여도 구동모터(1130)가 작동하지 않아 도어(10)가 열리지 않은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캡(1323)을 캡홀(1321)로부터 제거한 후 스크류드라이버(screwdriver), 육각렌치 등을 포함하는 지그(도 7c의 ‘JIG’ 참조)를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캠(1340)의 캠수동작동홀(1344)과 ‘Z’축선 방향으로 동일한 축선(도 7c의 ‘Z1’ 참조) 상에 모두 관통되어 있는 캡홀(1321), 거치대내측고정부(1370), 거치대PCB(1380), 도어키걸림부(1330)를 차례로 통과시켜 캠수동작동홀(1344)과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지그를 회전시키면 회전력은 위쪽(음(-)의 ‘Z’ 축선 방향)으로 거치대캠(1340) - 도어키걸림부(1330)로 전달되어 도어키걸림부(1330)가 분리위치에서 걸림위치로 이동되고, 아래쪽(양(+)의 ‘Z’ 축선 방향)으로 거치대캠(1340) - 거치대변환부재(1157) - 변환슬라이드(1155)로 회전력이 전달되어 변환슬라이드(1155)가 잠금위치에서 열림위치로 이동함과 동시에 도어클램프(1170)도 시건위치에서 시건해제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도어(10)가 열릴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과 같이 수동으로 조작하는 수단이 없는 경우 도어(10)를 파손하거나 도어 록 장치(100)의 구성을 강제로 파손, 훼손시킬 수밖에 없으므로 매우 불편함을 알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수동 조작 시에는 표시부(1383)에서 무조건 소리로 알람을 울리고 동시에 경고등이 점멸되도록 본체PCB(1180)에서 제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어키걸림부(1330)는, 다소 구부러진 형상으로 긴 형상을 갖는 본체(미도시)와,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측으로 돌출되어 도어키걸림부홀(1316)을 출입하면서 도어키(1700)의 걸림훅수용홈(1790)에 맞물리고 맞물림이 해제되는 걸림훅(1332)과, 본체의 타측에 구비되어 거치대캠(1340)의 회전하면서 높이(‘Z’ 축선 방향)가 변하는 상캠부재(1343)와 맞물려 걸림훅(1332)이 도어키걸림부홀(1316)을 출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 캠접촉부(1331)와, 거치대캠(1340)의 회전에 따른 높이 변화를 걸림훅(1332)이 도어키걸림부홀(1316)을 출입하는 시소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시소 운동의 지지점이 되도록 도어키걸림부힌지축(1312)에 결합되는 걸림힌지축(1333)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어키걸림부(1330)는, ‘Z’축선 방향으로 보아 걸림훅(1332), 걸림힌지축(1333), 캠접촉부(1331)와 대향되는 걸림힌지축(1333)과 캠접촉부(1331) 사이의 도어키걸림부(1330) 본체에 결합되어 도어키걸림부(1330)의 걸림훅(1332)이 도어키거치아암(1311)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분리위치를 향하여 도어키걸림부(1330)를 탄성 가압하는 걸림복귀스프링(1334)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도어키걸림부(1330)의 구성에 의해 도어키(1700)를 키거치대(1300)에 걸리고 분리되도록 작용하는 힘과 거리 등을 도 7a 및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어키걸림부(1330)의 캠접촉부(1331)와 접촉되어 거치대캠(1340)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작용하는 음(-)의 ‘Z’축선 방향으로 캠접촉부(1331)를 들어 올리는 힘(도 9의 ‘Fcam’ 참조)은 시소 운동의 지지점에 되는 걸림힌지축(1333)을 중심으로 우측인 걸림훅(1332)에서 양(+)의 ‘Z’축선 방향으로 누르는 힘(도 9의 ‘Fhook’ 참조)으로 작용하여 도어키(1700)를 걸림위치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들어 올리는 힘 ‘Fcam’과 누르는 힘 ‘Fhook’의 작용은 각 힘이 걸림힌지축(1333)의 중심축선(도 7a의 ‘Z0’ 참조) 으로부터의 작용하는 힘들의 중심축선(도 7a의 ‘Z1’ ‘Z2’ ‘Z3’ 참조)거리(도 7a의 ‘L1’ ‘L2’ ‘L3’ 참조)와 관련이 있다. 즉, 거리 ‘L2’보다 ‘L3’을 짧게 하는 것이 유리하므로 변형을 할 수 있는 범위에서 가능하면 ‘L2’보다 ‘L3’을 짧게 위치시켰다.
이 과정에서 음(-)의 ‘Z’축선 방향으로 캠접촉부(1331)를 들어 올리는 힘(도 9의 ‘Fcam’ 참조)과 대향하는 힘인 걸림복귀스프링(1334)의 힘(도 9의 ‘Fspring’ 참조)이 도어키걸림부(1330)에 작용하여 들어 올리는 힘(Fcam)을 상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 걸림복귀스프링(1334)의 복귀 탄성력을 유지하면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들어올리는 힘 ‘Fcam’을 최소로 상쇄시키기 위하여 걸림힌지축(1333)의 중심축선으로부터 걸림복귀스프링(1334)의 거리(도 7a의 ‘L1’ 참조)를 최소화하여 보다 적은 힘을 사용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도어키(1700)가 걸림위치에서 걸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매우 적은 힘으로 도어키걸림부(1330)의 걸림위치와 분리위치를 작동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함을 할 수 있다.
거치대캠(1340)은, ‘Z’축선 방향으로 키거치대(1300)의 거치대캠홀(1317)에 결합되어 하측(양의 ‘Z’ 축선방향)으로 거치대변환부재(1157)와 결합되어 회전하여 상측(음의 ‘Z’ 축선방향)으로 도어키걸림부(1330)와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거치대캠(1340)은, ‘Z’축선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막대 형상의 캠본체(1341)와, 하측에 거치대변환부재(1157)의 거치대캠레그홀(1157a)과 결합되어 맞물려 회전하도록 거치대캠레그홀(1157a)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을 구비한 캠레그(1342)와, 상측에 회전함에 따라 맞물린 부분의 높이가 변하도록 Z’축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접촉면을 갖는 상캠부재(1343)와, 거치대본체(1310)의 거치대캠홀(1317)에 걸려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캠걸림턱(1345)과, 수동 조작을 할 수 있는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지그(JIG)가 맞물릴 수 있도록 상단에서 회전 중심축선(도 7a 및 도 7b의 ‘Z7’ 참조)을 따라 예를 들면 육각형 단면 등으로 일정 깊이만큼 관통된 캠수동작동홀(1344)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키걸림부(1330)와 거치대캠(1340)의 작동 과정을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a는 변환슬라이드(1155)가 잠금위치에 있어 도어(10)가 닫혀 있는 상태이고 이 때의 거치대캠(1340)과 도어키걸림부(1330)가 맞물린 높이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H1’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도어키걸림부(1330)가 걸림복귀스프링(1334)의 힘에 의해 도어키거치아암(1311)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도어키(1700)는 분리할 수 있어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어키(1700)를 분리하여 손목이나 팔목 등에 보관하여 소지할 수 있다.
다음, 사용자가 도어키(1700)를 도어키거치아암(1311)에 거치하여 이를 감지한 후 구동모터(1130)가 회전하여 거치대캠(1340)이 회전하면 상측의 상캠부재(1343) 경사면과 도어키걸림부(1330)의 캠접촉부(1331, 이 때 캠접촉부도 상캠부재의 경사면과 맞물려 높이 차이를 상캠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호 높이 차이(도 7a의 ‘H1’과 ‘H2’의 차이)를 크게 하기 위하여 경사된 형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의 맞물림 높이가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의 ‘Z’ 축선 방향으로 높아진 ‘H2’로 된다. 이러한 높이 차이(H2-H1, 높이의 상승)로 인해 걸림힌지축(1333)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도어키걸림부(1330)의 시소 동작에 의해 걸림훅(1332)은 도어키(1700)의 걸림훅수용홈(1790)측으로 하강하도록 도어키거치아암(1311)의 판면으로부터 돌출하여 맞물리게 되어 도어키(1700)를 걸림위치에서 걸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걸림위치에서 도어키(1700)가 걸려서 사용자가 도어키(1700)를 분리할 수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어(10)를 열어 보관함(20) 내부의 옷 등을 꺼내거나 옷 등을 넣을 수 있다.
즉, 이러한 작동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구동력인 구동모터(1130)에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에, 종래기술에서 도어(10)의 열림위치 및 잠금위치 이동을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제1동력원과 도어키(1700)의 걸림위치 및 분리위치 이동을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제2동력원의 두 가지 동력원을 필요로 하였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동력원으로 도어(10)의 열림위치 및 잠금위치 이동과 도어키(1700)의 걸림위치 및 분리위치 이동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모터(1130)를 포함하는 동력원이 하나로 되어 전력소비가 줄어들고 관련 부품, 회로 구성, 센서 감지 구조 등의 절감으로 인해 재료비, 제조비 등의 감소, 고장률 감소 등을 통해 경제성, 효율성, 안전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인은 동일한 조건에서 배터리의 소모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두 개의 모터 및 RF방식의 도어키와 본 발명의 하나의 모터 및 후술하는 접지방식으로 각각 매우 빠른 속도로 테스트한 결과 본 발명에 따라 작동을 하는 경우에는 종래기술에 따라 작동하는 것에 비하여 약 3배 이상의 배터리 수명이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어키접지스프링(1350)은, 도어키거치아암(1311)의 접지스프링홀(1315)에서 부분적으로 돌출하여 도어키거치아암(1311)에 거치된 도어키(170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거치된 도어키(1700)의 키아이디부재(1770)의 정보와 도어키(1700)가 도어키거치아암(1311)에 거치되었다는 정보를 전기적으로 연결된 커넥터핀(1360)을 통해 거치대PCB(1380)와 본체PCB(1180)로 보낼 수 있다.
이러한 도어키접지스프링(1350)도 전술한 전기적 연결을 하는 모터전원공급스프링(1133), 개폐위치스프링(1155c), 감지스프링(1165) 등과 재질과 전기적 특성은 동일하다.
도어키접지스프링(1350)은,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핀(1360)에 결합되는 코일 형상의 접지스프링본체(1351)와, 접지스프링본체(1351)로부터 연장되어 도어키거치아암(1311)의 판면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절곡된 접지스프링돌출부(1352)와, 접지스프링돌출부(1352)에서 연장되어 접지스프링홀(1315) 내측에 지지되는 접지스프링걸림부(1353)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도어키(1700)가 도어키거치아암(1311)에 위치하면 도어키(1700)의 접지부재(1750)와 접촉하여 키아이디부재(1770)에 입력되어 있는 도어키(1700)의 정보를 읽음과 동시에 도어키(1700)가 도어키거치아암(1311)에 거치되어 있는 상태라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이러한 정보는 커넥터핀(1360)을 통해 본체PCB(1180)와 거치대PCB(1380)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과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도어키(1700)의 정보를 RF(Radio Frequency)방식으로 통신을 않고 본 발명에서는 도어키(1700)와 도어키접지스프링(1350)의 전기적 접촉 내지 근접된 접촉에 의해 상호 전기적 통신 내지 연결이 이루어지는 접지방식으로 도어키(1700)의 정보를 읽을 수 있다.
즉, RF방식은 주파수를 이용한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접지방식보다 많은 전력이 소비되고 회로도 복잡하고 관련 부품의 원가도 많이 소요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라 도어키(1700)의 통신 방식을 종래기술과 달리 접지방식으로 할 수 있는 구조여서 통신에 따른 전력소비도 훨씬 감소되고 회로도 간단하고 부품의 원가도 절감될 수 있다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커넥터핀(1360)은,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키접지스프링(1350) 및/또는 거치대PCB(1380)와 본체PCB(1180) 사이의 전기적 연결 내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연결을 한다.
커넥터핀(1360)은, 복수로 마련된 커넥터핀홀(1313)에 결합되며, 상측인 거치대PCB(1380)측과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상접촉부재(1361a)를 구비한 상핀(1361)과, 하측인 본체PCB(1180)측과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하접촉부재(1363a)를 구비한 하핀(1363)과, 상핀(1361)과 하핀(136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핀(1361)과 하핀(1363)에 각각 결합되어 상핀(1361)과 하핀(1363)이 거치대PCB(1380) 및 본체PCB(1180)에 견고하게 접촉 유지시킬 수 있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상하연결스프링(1365)을 구비한다.
각 상하핀(1361, 1363)은 중앙에 다른 영역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상하걸림턱(1361b, 1363b)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종래기술에서 록본체(1100)와 키거치대(1300)의 전기적 연결이 와이어 내지 전선과 암수커넥터 및 납땜으로 이루어지던 것을 간단한 전술한 바와 같은 조립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거치대내측고정부(1370)는 거치대본체(1310)의 체결부재홀(1314)에 결합된 거치대고정부재(1390)와, 커넥터핀홀(1313)에 결합된 커넥터핀(1360)과, 도어키걸림부홀(1316)에 결합된 도어키걸림부(1330)와, 일측은 접지스프링홀(1315)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핀(1361)에 결합된 도어키접지스프링(1350)과, 커넥터핀(1360)과 결합 가능하게 커넥터핀(1360)에 결합된 거치대PCB(1380)를 거치대본체(1310)에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걸림스프링수용부재(1371)를 구비하여 걸림복귀스프링(1334)을 상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거치대본체(1310)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결합하는 과정에서 예를 들면, 딸깍하는 소리가 나는 스냅온(snap on) 방식을 포함하는 다양한 공지의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대PCB(1380)는, 커넥터핀(1360)의 상측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핀접촉부(1381)와, 현재의 작동 상태 예를 들면 ‘열림(OPEN)’ 또는 ‘잠금(CLOSE)’ 상태 또는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38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핀접촉부(1381)는 전술한 본체PCB(1180)의 구동모터접속부(1182)와 같이 관통홀 주위로 도금영역(coat)을 구비하여 하핀(1363)과의 전기적 접촉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상핀(1361) 및 하핀(136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상핀(1361)과 하핀(1363)을 각 PCB(1180, 1380)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상하연결스프링(1365)에 의해 커넥터핀접촉부(1381) 및 본체PCB(1180)의 커넥터핀접속부(1185)와 각 핀(1361, 1363)의 전기적 연결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래킷(1500)은 개폐되는 도어(10)를 잠금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도록 도어(10)가 마련된 보관함(20)측에 결합된다.
브래킷(1500)은, 보관함(20)에 견고하게 볼트를 포함하는 체결수단으로 결합되는 브래킷본체(1510)와, 브래킷본체(15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잠금위치에서 변환슬라이드(1155)가 돌출되어 수용되고 클램프걸림부(1173)가 걸릴 수 있는 클램프걸림부재(1520)를 갖는 슬라이드수용부(1530)와, 브래킷본체(1510)의 타측에 마련되어 브래킷감지부(1160)의 감지아암(1163)이 수용되어 접촉되는 감지아암걸림턱(1541)을 갖는 감지아암수용부(1540)를 구비하고 있다.
도어키(1700)는, 사용자가 휴대하여 도어(10)를 개폐할 수 있는 수단이며, 키본체(1710)와, 키본체(17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옷을 포함하는 물건을 보관한 보관함(20) 내지 도어(10)에 대한 ID 정보를 내장한 키아이디부재(1770)와, 키본체(1710)의 타측에 결합되어 도어키거치아암(1311)에 도어키(1700)를 거치하는 경우 도어키접지스프링(1350)과 접지될 수 있는 접지부재(1750)와, 키본체(1710)와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며 걸림훅(1332)이 맞물리는 걸림훅수용홈(1790)을 갖는 키커버(17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가 도어키(1700)를 키거치대(1300)에 거치하는 경우 도어키접지스프링(1350)을 통해 도어키(1700)가 도어(10)의 아이디와 일치하는지를 키아이디부재(17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어키접지스프링(1350)으로부터 파악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키거치대(1300)에 도어키(1700)가 거치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접지부재(17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도어키접지스프링(1350)으로부터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참조번호 1184는 브래킷감지부접속부로 접촉부재접속부(1184a)와 감지통전부재접속부(1184b)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 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거나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본체PCB(1180)와 거치대PCB(1380)는 작동 준비를 한다.
사용자가 다중 이용시설인 목욕탕을 들어가는 경우 비용을 지불하고 관리자로부터 도어키(1700)를 받아서 해당하는 키거치대(1300)에 도어키(1700)를 거치시킨다.
이 경우 도어(10)가 열림위치에 있을 수도 있고, 도어(10)가 잠금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
열림위치에 있는 경우 브래킷감지부(1160)가 열림위치에 있으므로 별도로 도어(10)를 여는 과정을 본체PCB(1180)에서 수행하지 않고 사용자가 도어(10)를 연 상태에서 옷을 포함하는 물건을 보관함(20)에 넣고 도어(10)를 닫아 브래킷감지부(1160)가 잠금위치에 도어(10)가 위치하였다는 정보를 대기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 때에도 사용자는 도어키(1700)를 키거치대(1300)에 거치시켜 도어(10)의 아이디 정보가 일치하는지를 본체PCB(1180)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처음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어(10)가 잠금위치에 있는 경우로 변환슬라이드(1155)는 잠금위치에, 개폐위치스프링(1155c)도 잠금위치에, 클램프걸림부(1173)는 클램프위치에, 도어키걸림부(1330)는 분리위치에, 브래킷감지부(1160)도 잠금위치에 각각 위치하거나 그러한 위치를 감지하고 있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처음에 도어키(1700)를 키거치대(1300)에 거치시키는 경우 본체PCB(1180)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도어(10)를 열기를 원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거치된 도어키(1700)의 정보를 도어키(1700)의 키아이디부재(1770) 및 접지부재(17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어키접지스프링(1350)을 통해 통신을 하여 통신한 정보는 거치대PCB(1380) 및/또는 본체PCB(1180)로 전달된다. 전달되어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본체PCB(1180)에서 도어키(1700)와 도어 록 장치(100)의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한 결과 일치하지 않으면 점멸이나 경보음을 울리거나 표시부(1383)에 일치하지 않는다는 표시 내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판단한 결과 도어키(1700)와 도어 록 장치(100)의 정보가 일치하면 본체PCB(1180)에서 구동모터(1130)에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모터(1130)를 회전되도록 제어한다.
구동모터(1130)의 회전에 의해 회전력이 제1감속부재(1143) - 제2감속부재(1145) - 변환바(1151)로 전달된 후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가이드스프링(1153)과 변환바핀(1151b)에 의해 변환되어 변환슬라이드(1155)는 양(+)의 ‘X’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드수용부(1530)를 지나 슬라이드관통홀(1116)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개폐위치스프링(1155c)은 PCB슬롯넥(1186b)의 열림위치의 양측 도금영역(도 12(c)의 ‘coat2-1’ ‘coat2-2’ 참조)과 접촉하여 열림위치에 도달하였음을 알린다. 이러한 개폐위치스프링(1155c)이 열림위치에 도달함을 인식한 본체PCB(1180)에서는 구동모터(1130)의 작동을 멈추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이동 과정에서 잠금위치에서 열림위치로 조금 이동하면 클램프걸림부(1173)는 클램프걸림부재(1520)로부터 이탈되어 클램프복귀스프링(1178)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클램프스커트(1177)가 변환슬라이드(1155)의 중앙측으로 하강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클램프걸림부재(1520)에 걸리지 않게 된다.
다른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에 변환슬라이드(1155)의 직선 운동에 의해 슬라이드랙(1155e)과 맞물린 거치대변환피니언(1157b)의 작동에 의해 거치대변환부재(1157)는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거치대변환부재(1157)의 회전 운동에 따라 거치대변환부재(1157)와 맞물린 거치대캠(1340)이 회전하게 되고 거치대캠(1340) 상측에 경사진 캠 형상의 상캠부재(1343)도 회전하게 되고 상캠부재(1343)의 회전에 따라 경사진 캠 부재의 특성에 의해 높이 차이(도 7b의 ‘H1’ 및 ‘H2’ 참조)가 발생하게 되고 이와 맞물린 도어키걸림부(1330)의 캠접촉부(1331)가 상승하게 된다.
도어키걸림부(1330)의 캠접촉부(1331)의 상승에 의해 걸림힌지축(1333)을 지지점으로 시소 운동을 하는 대향된 측의 걸림훅(1332)이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하강에 의해 걸림훅(1332)이 도어키거치아암(1311)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도어키거치아암(1311)의 판면과 도어(10)의 판면 사이에 거치되어 있는 도어키(1700)의 걸림훅수용홈(1790)에 맞물려 도어키(1700)는 키거치대(130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걸림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도어(10)를 열어 옷을 포함하는 물품을 보관함(20) 내부에 넣을 수 있고 도어키(1700)는 별도로 휴대할 필요없이 키거치대(1300)에 도어키(1700)를 분리할 수 없는 상태인 걸림위치에 거치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도어(10)를 열면, 브래킷감지부(1160)의 감지스프링(1165)이 브래킥감지아암걸림턱(1541)으로부터 떨어져 접촉부재수용부(1184a)에 접촉되어 본체PCB(1180)에 도어(10)가 열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어(10)를 연 상태에서 사용자는 보관함(20)에 물픔을 보관할 수 있고 물품을 모두 넣은 후에 도어(10)를 닫으면 브래킷감지부(1160)의 감지아암(1163)이 브래킷(1500)의 감지아암수용부(1540)에 수용되고 감지아암걸림턱(1541)과 접촉되어 회전 운동을 하게 되면 감지아암(1163)에 결합된 감지스프링온오프접촉부재(1165b)가 접촉부재수용부(1184a)에 접촉하게 되어 도어(10)가 잠금위치에 있음을 본체PCB(1180)에 전달한다.
이러한 두 가지 정보(여기서는 감지아암(1163)이 잠금위치에 있고 도어키(1700)가 걸림위치에 있다는 정보)가 입력되어 본체PCB(1180)가 파악하면 본체PCB(1180)는 전술한 것과 반대 방향으로 구동모터(1130)를 회전시켜 변환슬라이드(1155)를 열림위치에서 잠금위치로 도어키걸림부(1330)를 걸림위치에서 분리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동한 결과 개폐위치스프링(1155c)이 잠금위치에 도달하였다는 신호를 본체PCB(1180)로 전달하면 구동모터(1130)의 회전은 멈추고 표시부(1383)는 잠금 상태를 표시하도록 본체PCB(1180)에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분리위치에 있는 도어키(1700)를 키거치대(1300)로부터 분리하여 도어키(1700)를 손목, 발목 등에 결합하여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이 과정에서 표시부(1383)에서는 각 작동과정이나 작동이 완료된 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외부로 투명한 캡(1323)을 통해 알 수 있도록 표시하게 본체PCB(1180)에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사용자의 도어키(1700)가 도어(10)의 정보 내지 도어 록 장치(100)의 정보와 상이한 경우, 수동으로 거치대캠(1340)을 조작하는 경우, 잠금위치에서 도어키(1700)가 키거치대(1300)에 없이 감지아암(1163)이 열림위치로 된 경우, 배터리 잔량이 10% 이하인 경우 등에는 본체PCB(1180)에서 거치대PCB(1380)의 표시부(1383)에서 경고음, 경보등을 동시에 표출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도어키(1700)가 일실시예로 밴드 형태로 되어 사용자의 손목이나 발목에 걸거나 휴대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록 장치(100)는 이러한 도어키(1700) 없이 일반적인 가정용 출입문에 부착된 번호키와 같은 입력부를 키거치대(1300)가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삽입하여 회전하는 형태의 도어키(미도시)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도어키(1700)를 거치하는 부분없이 캡(1323) 등을 포함하여 수동으로도 조작할 수 있고 전기적 연결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도어를 잠그고 여는 동작을 하면서도 밴드 형상의 키를 포함하는 도어키도 도어 록 장치에 걸림 및 해제할 수 있어 하나의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두 가지 동작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도어 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작업하는 과정에서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전기 납땜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친환경적인 도어 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도어 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어를 잠근 상태에서 제품을 파손시키지 않으면서 도어의 잠근 상태를 수동으로 열린 상태로 작동시킬 수 있는 도어 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작동 구조를 일원화하고 도어키의 감지 방법을 개선하여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도어 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적은 힘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걸림위치나 시건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도어 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0 : 도어 록 장치 1100 : 록본체
1110 : 본체하우징 1111 : 배터리 수용부
1111a : 배터리수용부커버 1112 : 구동모터 수용부
1113 : 감속부 수용부 1114 : 변환부 수용부
1115 : 브래킷감지부수용부 1116 : 슬라이드관통홀
1117 : 감지아암관통홀
1120 : 본체커버 1120a : 클램프걸림턱
1123 : 고정홀 1130 : 구동모터
1131 : 모터스프링용핀 1133 : 모터전원공급스프링
1133a : 모터스프링본체 1133b : 모터스프링통전부재
1140 : 감속부 1143 : 제1감속부재
1143a : 제1축 1143b : 제1구동기어
1143c : 제1종동기어 1145 : 제2감속부재
1145a : 제2축 1145b : 제2구동기어
1147 : 감속기브래킷
1150 : 운동변환부 1151 : 변환바
1151a : 변환바축공 1151b : 변환바핀
1153 : 변환가이드스프링 1155 : 변환슬라이드
1155a : 슬라이드본체 1155b : 개폐스프링홀
1155c : 개폐위치스프링 1155d : 힌지수용부
1155e : 슬라이드랙 1155f : 클램프스프링결합슬롯
1157 : 거치대변환부재 1157a : 거치대캠레그홀
1157b : 거치대변환피니언 1157c : 거치대변환축
1160 : 브래킷감지부 1161 : 감지지지부재
1161a : 감지스프링수용홈 1163 : 감지아암
1163a : 감지아암힌지 1165 : 감지스프링
1165a : 감지스프링본체 1165b : 감지스프링온오프접촉부재
1165c : 감지스프링통전부재
1170 : 도어클램프 1171 : 클램프본체
1173 : 클램프걸림부 1175 : 클램프힌지
1177 : 클램프스커트
1178 : 클램프복귀스프링 1178a : 클램프스프링고정부재
1178b : 클램프스프링탄성부재
1178c : 클램프스프링관통홀 1180 : 본체PCB
1181 : 배터리접속부 1182 : 구동모터접속부
1183 : 개폐스위치접속부 1184 : 브래킷감지접속부
1184a : 접촉부재수용부 1184b : 감지통전부재수용부
1185 : 커넥터핀접속부 1186a : PCB슬롯
1186b : PCB슬롯넥
1300 : 키거치대 1310 : 거치대본체
1310a : 거치대커버체결홀 1311 : 도어키거치아암
1312 : 도어키걸림부힌지축 1313 : 커넥터핀홀
1314 : 체결부재홀 1315 : 접지스프링홀
1316 : 도어키걸림부홀 1317 : 거치대캠홀
1320 : 거치대커버 1321 : 캡홀
1323 : 캡 1325 : 캡걸림부
1330 : 도어키걸림부 1331 : 캠접촉부
1332 : 걸림훅 1333 : 걸림힌지축
1334 : 걸림복귀스프링
1340 : 거치대캠 1341 : 캠본체
1342 : 캠레그 1343 : 상캠부재
1344 : 캠수동작동홀 1345 : 캠걸림턱
1350 : 도어키접지스프링 1351 : 접지스프링본체
1352 : 접지스프링돌출부 1353 : 접지스프링걸림부
1360 : 커넥터핀 1361 : 상핀
1361a : 상접촉부재 1361b : 상걸림턱
1363 : 하핀 1363a : 하접촉부재
1363b : 하걸림턱 1365 : 상하연결스프링
1370 : 거치대내측고정부 1371 : 걸림스프링수용부재
1380 : 거치대PCB 1381 : 커넥터핀접촉부
1383 : 표시부
1390 : 거치대고정부재
1500 : 브래킷 1510 : 브래킷본체
1520 : 클램프걸림부재 1530 : 슬라이드수용부
1540 : 감지아암수용부 1541 : 감지아암걸림턱
1700 : 도어키 1710 : 키본체
1730 : 키커버 1750 : 접지부재
1770 : 키아이디부재 1790 : 걸림훅수용홈
10 : 도어 20 : 보관함
coat : 도금영역

Claims (20)

  1. 도어 록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함에 지지되어 상기 보관함과 맞물려 잠기는 잠금위치와 상기 보관함과 맞물림 해제되어 열리는 열림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도어의 일측에 결합되며,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줄이는 감속부와, 상기 감속부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을 변환시키는 운동변환부를 포함하는 록본체와;
    상기 도어를 개폐하도록 휴대 가능하게 마련된 도어키를 지지하고, 상기 운동변환부와 결합되어 연동하는 거치대캠을 포함하여 상기 도어의 타측에 결합된 키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키거치대는 상기 거치대캠의 작동에 따라 상기 열림위치에서 상기 도어키는 상기 키거치대에서 분리되지 않게 걸린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도어키는 상기 키거치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록본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거치대는,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작동 불능시 상기 거치대캠을 수동으로 작동시켜 상기 열림위치와 상기 잠금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키거치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거치대에는 상기 도어키가 거치되어 분리되지 않는 걸림위치와 분리되는 분리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거치대캠의 회전 운동이 직선 운동으로 변환 가능하게 상기 거치대캠과 맞물린 도어키걸림부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키걸림부는,
    상기 걸림위치에서 상기 도어키와 맞물리도록 돌출 형성된 걸림훅과;
    상기 걸림훅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걸림훅이 상기 걸림위치와 상기 분리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대캠과 맞물린 캠 접촉부와;
    상기 걸림훅과 상기 캠 접촉부가 시소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걸림힌지축과;
    상기 걸림훅을 상기 분리위치로 탄성가압 가능하게 상기 걸림힌지축과 상기 캠 접촉부 사이에 상기 걸림힌지축에 근접되게 마련된 걸림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본체에는 상기 잠금위치와 상기 열림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고,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보관함에 결합된 브래킷측을 향하여 출입되는 변환슬라이드가 포함되며,
    상기 변환슬라이드는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변환슬라이드가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는 도어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클램프는,
    클램프본체와, 상기 클램프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상기 변환슬라이드가 결합되어 걸림유지되는 걸림위치와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상기 변환슬라이드가 걸림 해제되는 분리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클램프힌지와, 상기 클램프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브래킷과 결합되어 상기 걸림위치와 상기 분리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클램프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클램프본체를 상기 분리위치로 탄성가압 가능하게 상기 클램프본체의 타측을 탄성가압하는 클램프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본체에 지지되어 상기 잠금위치와 상기 열림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보관함에 결합된 브래킷측을 향하여 출입되는 변환슬라이드의 일측에 마련된 슬라이딩랙과;
    상기 록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랙의 직선 운동을 상기 거치대캠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 가능하게 일측은 상기 슬라이딩랙과 맞물려 회전하는 거치대변환피니언을 포함하고 타측은 상기 거치대캠과 결합된 거치대변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8. 도어 록 장치에 있어서,
    브래킷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물품을 수용하는 보관함에 지지된 도어의 일측에 결합된 록본체에 결합되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록본체에 지지되어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보관함과 맞물려 잠기는 잠금위치와 상기 보관함과 맞물림 해제되어 열리는 열림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도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개폐스위치를 포함하는 운동변환부와;
    상기 록본체가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었는지를 감지 가능하게 상기 록본체에 결합된 브래킷감지부와;
    상기 구동모터, 상기 개폐스위치 및 상기 브래킷감지부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 가능하게 관통 형성된 구동모터접속부, 개폐스위치접속부 및 브래킷감지부접속부를 구비하여 상기 록본체에 지지된 본체PCB;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모터, 상기 개폐스위치 및 상기 브래킷감지부와 상기 본체PCB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수단은, 스프링 재질을 포함하여 코일 형상 또는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고 스프링 재질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본체PCB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스위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코일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스위치의 일측은 상기 운동변환부에 지지되며 타측은 상기 개폐스위치접속부에 접촉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개폐스위치접속부는 상기 열림위치와 상기 잠금위치를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 형성되어 상기 개폐스위치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개폐스위치와 전기적 연결이 되지 않는 폭을 갖는 PCB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PCB슬롯의 양 단부에는 상기 열림위치 및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개폐스위치와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점점 폭이 좁아지는 PCB슬롯넥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도어 록 장치.
  11. 도어 록 장치에 있어서,
    브래킷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물품을 수용하는 보관함에 지지된 도어의 일측에 결합된 록본체에 결합되어 전기적 신호를 송수신하고 전원을 공급 가능하게 마련된 본체PCB와;
    상기 도어를 개폐하도록 휴대 가능하게 마련된 도어키를 지지하고 상기 도어의 타측에 결합된 키거치대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키가 거치되었는지는 감지하는 도어키스프링과;
    상기 키거치대에 지지되고 상기 본체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거치대PCB와;
    상기 본체PCB와 상기 거치대PC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키거치대가 상기 록본체에 결합되면 상기 본체PCB와 상기 거치대PCB의 판면을 향하여 탄성 가압하여 상기 본체PCB와 상기 거치대PC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커넥터핀은, 상기 본체PCB의 관통 형성된 커넥터핀접속부에 결합되는 하핀과, 상기 거치대PCB의 관통 형성된 커넥터핀접촉부에 결합되는 상핀과, 상기 상핀과 상기 하핀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 가능하게 상기 상핀 및 상기 하핀에 결합되는 상하연결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13. 도어 록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물품을 보관하는 보관함에 지지되어 상기 보관함과 맞물려 잠기는 잠금위치와 상기 보관함과 맞물림 해제되어 열리는 열림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도어의 일측에 결합되며,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줄이는 감속부와, 상기 감속부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을 변환시키는 운동변환부를 포함하는 록본체와;
    상기 록본체에 지지되어 상기 잠금위치와 상기 열림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고,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보관함에 결합된 브래킷측을 향하여 출입되는 변환슬라이드와;
    상기 변환슬라이드에는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변환슬라이드가 상기 브래킷에 걸려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상기 록본체가 상기 록본체의 이동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는 시건위치와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열림위치로 이동하거나 상기 열림위치에서 상기 잠금위치로 이동시 상기 변환슬라이드가 상기 브래킷에 걸림 해제되어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상기 록본체가 상기 록본체의 이동방향으로 분리되는 시건해제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도어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클램프는,
    클램프본체와, 상기 클램프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상기 변환슬라이드가 결합되어 걸림유지되는 시건위치와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상기 변환슬라이드가 걸림 해제되는 시건해제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클램프힌지와, 상기 클램프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브래킷과 결합되어 상기 시건위치와 상기 시건해제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클램프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클램프본체를 상기 시건해제위치로 탄성가압 가능하게 상기 클램프본체의 타측을 탄성 가압하는 클램프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건위치에서 상기 클램프본체에 작용하는 상기 클램프복귀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기 시건위치와 상기 시건해제위치 사이를 상기 클램프힌지를 중심으로 시소 운동 기능하게 상기 클램프걸림부에 대향하여 상시 클램프본체에 마련된 클램프스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16. 도어 록 장치에 있어서,
    브래킷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물품을 수용하는 보관함에 지지된 도어의 일측에 결합된 록본체에 결합되어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록본체에 지지되어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보관함과 맞물려 잠기는 잠금위치와 상기 보관함과 맞물림 해제되어 열리는 열림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도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개폐스위치를 포함하는 운동변환부와;
    상기 개폐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관통 형성된 개폐스위치접속부를 구비하여 상기 록본체에 지지된 본체PCB;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스위치와 상기 본체PCB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수단은, 스프링 재질을 포함하여 코일 형상 또는 절곡된 형상으로 구비되고 스프링 재질의 탄성력에 의해 본체PCB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스위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코일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스위치의 일측은 상기 운동변환부에 지지되며 타측은 상기 개폐스위치접속부에 접촉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개폐스위치접속부는 상기 열림위치와 상기 잠금위치를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 형성되어 상기 개폐스위치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개폐스위치와 전기적 연결이 되지 않는 폭을 갖는 PCB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스위치는 상기 개폐스위치접속부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점점 외경이 커지는 코일 형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클램프는,
    클램프본체와, 상기 클램프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잠금위치에서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상기 변환슬라이드가 결합되어 걸림유지되는 시건위치와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상기 변환슬라이드가 걸림 해제되는 시건해제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클램프힌지와, 상기 클램프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브래킷과 결합되어 상기 시건위치와 상기 시건해제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클램프걸림부를 포함하되,
    자성체를 포함하는 상기 클램프본체를 상기 시건해제위치로 자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클램프본체에 자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변환슬라이드에 결합된 클램프복귀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시건위치에서 상기 클램프본체에 작용하는 상기 클램프복귀자석의 자력을 극복하고 상기 시건위치와 상기 시건해제위치 사이를 상기 클램프힌지를 중심으로 시소 운동 기능하게 상기 클램프걸림부에 대향하여 상기 클램프본체에 마련된 클램프스커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시건위치에서 상기 클램프스커트를 탄성 가압하여 상기 클램프본체가 상기 시건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변형 가능하게 마련된 클램핑위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록 장치.
KR1020180008171A 2017-05-04 2018-01-23 도어 록 장치 KR101956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4962 WO2018203630A1 (ko) 2017-05-04 2018-04-27 도어 록 장치
JP2020512345A JP6925515B2 (ja) 2017-05-04 2018-04-27 ドアロック装置
CN201890000808.1U CN211900102U (zh) 2017-05-04 2018-04-27 门锁装置
JP2021030725A JP7098009B2 (ja) 2017-05-04 2021-02-26 ドアロック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57031 2017-05-04
KR1020170057031 2017-05-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931A KR20180122931A (ko) 2018-11-14
KR101956498B1 true KR101956498B1 (ko) 2019-03-08

Family

ID=64328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171A KR101956498B1 (ko) 2017-05-04 2018-01-23 도어 록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6925515B2 (ko)
KR (1) KR101956498B1 (ko)
CN (1) CN211900102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9344325U (zh) * 2022-07-04 2023-07-14 钛克菲斯智能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具有快装结构的电子门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6155A (ja) 2010-04-20 2011-11-10 Johnan Seisakusho Co Ltd ドアロック装置の解除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82978B1 (de) * 1998-08-25 2005-05-25 Kiekert Aktiengesellschaft Gehäuse, insbesondere Schlossgehäuse mit elektrischen Anschlusseinrichtungen
US6655180B2 (en) * 2001-07-31 2003-12-02 Security People, Inc. Locker lock with adjustable bolt
JP2007297811A (ja) * 2006-04-28 2007-11-15 Art:Kk 電気錠
KR200439496Y1 (ko) * 2007-09-06 2008-04-16 주식회사 마그마 락커용 전자식 잠금장치
KR100991848B1 (ko) * 2009-08-21 2010-11-04 박기준 착탈식 키홀더가 적용된 디지털 도어록
JP5297984B2 (ja) * 2009-11-11 2013-09-25 ジーエスケー販売株式会社 錠前のこじ開け防止装置
JP5877116B2 (ja) * 2012-04-16 2016-03-02 株式会社シブタニ 電気錠
JP2013246962A (ja) * 2012-05-25 2013-12-09 Ito Seisakusho:Kk スプリングピン型コンタクトおよび多芯電気コネクタ
JP6402994B2 (ja) * 2014-04-03 2018-10-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情報管理方法
KR101641784B1 (ko) * 2014-10-29 2016-07-21 김범수 전자식 잠금장치
KR20150028218A (ko) * 2014-12-15 2015-03-13 장시곤 전동식 키홀더 및 이를 갖는 로킹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6155A (ja) 2010-04-20 2011-11-10 Johnan Seisakusho Co Ltd ドアロック装置の解除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18749A (ja) 2020-06-25
CN211900102U (zh) 2020-11-10
JP6925515B2 (ja) 2021-08-25
JP2021107677A (ja) 2021-07-29
KR20180122931A (ko) 2018-11-14
JP7098009B2 (ja) 202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3360B2 (en) Battery pack
KR101956498B1 (ko) 도어 록 장치
JP2008257873A (ja) バッテリパック
US20110193454A1 (en) Article of furniture having a drawer and a current consumer
EP2026544B1 (en) A mobile phone holder for mechanical vehicles
US20060274043A1 (en) Wireless mouse having receiver receptacle
CN107490863B (zh) 一种锁止装置及电子产品
JP2008257879A (ja) バッテリパック
EP0467454A1 (en) An electric-power lid arrangement for an electric apparatus
CN106169547B (zh) 电动工具及吸尘器
CN214369418U (zh) 一种按压弹射式手电筒充电仓
CN211500136U (zh) 一种电子锁及无人售货柜
CN210540939U (zh) 烹饪器具用自检组件及烹饪器具
CN214170242U (zh) 一种车锁
CN214943312U (zh) 一种车锁
JP2008257881A (ja) バッテリパック
CN215755764U (zh) 一种收线装置
CN220158435U (zh) 一种洁牙器喷嘴的装取装置
JP5391525B2 (ja) バッテリパック
WO2013129601A1 (ja) キーユニット
CN210563864U (zh) 锁具及共享设备
CN219068714U (zh) 滑轨组件及弹出机构
CN216949955U (zh) 一种按弹式磁扣及磁吸组件
CN211342139U (zh) 一种门锁检测装置
CN217957270U (zh) 一种蓝牙耳机盒及其蓝牙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