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201B1 - 와이어 하네스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하네스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201B1
KR101956201B1 KR1020170080034A KR20170080034A KR101956201B1 KR 101956201 B1 KR101956201 B1 KR 101956201B1 KR 1020170080034 A KR1020170080034 A KR 1020170080034A KR 20170080034 A KR20170080034 A KR 20170080034A KR 101956201 B1 KR101956201 B1 KR 101956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arness
support
opening
closing membe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972A (ko
Inventor
안현수
Original Assignee
(주)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신 filed Critical (주)경신
Priority to KR1020170080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201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4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mounting or secu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와이어 하네스를 지지부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와이어 하네스의 이탈을 방지하여 포선 및 테이핑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와이어 하네스용 지그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와이어 하네스용 지그장치는 일측이 개방되어 와이어 하네스가 출입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상기 지지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의 개방 부위를 폐쇄하여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 하네스 지그장치{JIG DEVICE FOR WIRE HARNESS}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 하네스를 지지부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와이어 하네스의 이탈을 방지하여 포선 및 테이핑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와이어 하네스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를 비롯한 많은 전장 부품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엔진룸 내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 있어서, 와이어 하네스가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는 각종의 밴드 케이블, 와이어 하네스 고정판 등의 서포트(support)부재를 사용하여 와이어 하네스를 정렬 고정한다.
이러한 와이어 하네스는 그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회로가 증가할수록 차량구조에 최적인 회로를 추구할 필요가 있으며, 회로의 안전성, 조립성, 서비스성, 표준화 및 공용화 등의 제반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더욱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와이어 하네스는 다른 부품들과의 접촉 등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프로텍터에 의해 보호된다. 이때, 프로텍터는 와이어 하네스의 주요 부위에 구비되어 외부 위험 요소들로부터 와이어 하네스를 보호하여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와이어 하네스의 와이어 다발을 집속(集束)하기 위해서는 와이어를 지그에 지지시킨 후에 포선(捕線)하거나 테이핑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지그는 대부분 와이어 하네스를 단순히 거치시켜서 지지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가 쉽게 이탈될 뿐만 아니라, 처짐이 발생하여 와이어 하네스의 포선 및 테이핑 작업에 필요한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6626호(2012년09월21일, 명칭: 와이어 하네스용 거치지그)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와이어 하네스를 지지부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와이어 하네스의 이탈을 방지하여 포선 및 테이핑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와이어 하네스용 지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지그장치는 일측이 개방되어 와이어 하네스가 출입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상기 지지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의 개방 부위를 통해 자연적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지지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지지부의 개방 부위를 개폐하도록 회동되는 회동개폐부재와, 상기 회동개폐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개폐부재의 회동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회동개폐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힌지 연결되는 회동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개폐부재는 힌지축에 지지되는 한 쌍의 가이드홀부가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출입에 따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부는 상기 회동개폐부재의 회동시 어느 하나는 힌지축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다른 하나는 힌지축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출입 방향을 따라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개폐부재에는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지지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지지부재에는 상기 탄성부재에 끼워지는 지지돌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지그장치는 이탈방지부가 지지부에 수용되는 와이어 하네스의 출입을 안내하는 동시에 지지부에 수용된 와이어 하네스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의 포선 및 테이핑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부의 각도가 조절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지지부를 와이어 하네스 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는 방향으로 배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어 하네스의 처짐이 발생할 경우 팽팽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지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지그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지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지그장치에서 이탈방지부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지그장치에서 이탈방지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지그장치에서 연장폴부와 설치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와이어 하네스용 지그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와이어 하네스용 지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와이어 하네스용 지그장치에서 연장폴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한 와이어 하네스용 지그장치에서 설치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지그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지그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지그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지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지그장치에서 이탈방지부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지그장치에서 이탈방지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지그장치에서 연장폴부와 설치부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와이어 하네스용 지그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한 와이어 하네스용 지그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와이어 하네스용 지그장치에서 연장폴부의 변형 예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7에 도시한 와이어 하네스용 지그장치에서 설치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용 지그장치는 지지부(100) 및 이탈방지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부(100)는 일측이 개방된 U자 형태로 형성되어 회로패널(P)에 배선되는 와이어 하네스(W)를 수용한다. 이때, 지지부(100)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탈방지부(200)는 와이어 하네스(W)가 설정된 외력에 의해 지지부(100)에 수용되도록 안내하는 동시에 와이어 하네스(W)가 지지부(1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지지부(100)의 개방 부위를 통해 자연적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할을 수행한다.
이때, 이탈방지부(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0)의 양내측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만 배치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지지부(100)의 양내측에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부(200)는 회동개폐부재(210), 탄성부재(220) 및 회동지지부재(230)를 포함한다.
회동개폐부재(210)는 지지부(100)에 힌지 연결되어 평상시 탄성부재(220)에 의해 지지부(100)의 개방 부위를 폐쇄시킨 상태로 유지하다가 와이어 하네스(W)를 지지부(100)에 강제적으로 수용시키기거나 지지부(100)에 수용된 와이어 하네스(W)를 강제적으로 빼낼 경우 회동하여 지지부(100)의 개방 부위를 일시적으로 개방한다.
이때, 회동개폐부재(210)에는 와이어 하네스(W)의 출입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홀부(211)가 힌지축에 각각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즉, 한 쌍의 가이드홀부(211)는 평상시 힌지축에 지지된 상태로 위치되어 지지부(100)의 개방 부위를 폐쇄하다가 와이어 하네스(W)를 외부에서 지지부(100)로 수용시키는 과정 또는 지지부(100)에 수용된 와이어 하네스(W)를 외부로 빼내는 과정에서 회동개폐부재(210)가 회동할 경우 한 쌍의 가이드홀부(211) 중 어느 하나는 힌지축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다른 하나는 힌지축의 안내를 받으면서 와이어 하네스(W)의 방향을 따라 회동된다.
이에 따라, 회동개폐부재(210)는 와이어 하네스(W)를 외부에서 지지부(100)로 수용시키려는 외력이 가해지면 내측 방향(반시계 방향, 도 5참조)으로 회동하고, 와이어 하네스(W)를 지지부(100)에서 외부로 빼내려는 외력이 가해지면 외측 방향(시계 방향, 도 6참조)으로 회동된다.
또한, 회동개폐부재(210)에는 탄성부재(220)가 지지되는 부위에 일정한 깊이로 함몰 형성된 지지홈부(212)가 구비되어 탄성부재(220)의 일측을 삽입 고정한다.
탄성부재(220)는 회동개폐부재(210)가 지지부(100)의 개방 부위를 폐쇄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회동개폐부재(210)와 회동지지부재(230)에 각각 지지되어 회동개폐부재(210)의 회동을 탄성력으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탄성부재(220)는 와이어 하네스(W)를 지지부(100)에 출입시키는 과정에서 회동개폐부재(210)가 회동되면 회동개폐부재(210)와 회동지지부재(230)의 거리가 짧아져서 압축되고, 와이어 하네스(W)가 지지부(100)에 대한 출입이 완료되면 회동개폐부재(311)와 회동지지부재(313)를 원래의 상태로 회동시키도록 복원력을 발생한다.
그리고, 회동지지부재(230)는 회동개폐부재(210)의 회동시 탄성부재(220)가 압축되도록 탄성부재(220)의 타단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지지부(100)에 힌지 연결된다.
이러한 회동지지부재는(230)는 회동개폐부재(210)의 회동시 탄성부재(220)에 의해 연동되어 회동개폐부재(311)의 회동에 대응하는 각도로 회동된다.
이때, 회동지지부재(230)에는 탄성부재(220)가 지지되는 부위에 일정한 길이로 돌출 형성된 지지돌부(231)가 구비되어 탄성부재(220)의 타측에 삽입 고정된다. 또한, 지지부(100)는 와이어 하네스(W)의 진입으로 회동개폐부재(210)가 특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시 회동개폐부재(210)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부(200)는 외부에 위치된 와이어 하네스(W)와 회동개폐부재(210)가 접촉된 상태에서 와이어 하네스(W)를 지지부(100)에 수용시키려는 외력이 가해지면 회동개폐부재(210)가 내향되도록 회동하여 와이어 하네스(W)를 지지부(100)에 수용시킨 후에 탄성부재(220)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어 지지부(100)에 수용된 와이어 하네스(W)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이탈방지부(200)는 지지부(100)에 수용된 와이어 하네스(W)와 회동개폐부재(210)가 접촉된 상태에서 와이어 하네스(W)를 외부로 빼내려는 외력이 가해지면 회동개폐부재(210)가 외향되도록 회동하여 와이어 하네스(W)를 지지부(100)에서 분리시킨 후에 탄성부재(220)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된다.
한편,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0)에 연결되는 연장폴부(300) 및 연장폴부(300)에 연결되어 회로패널(P)에 설치되는 설치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폴부(300)는 와이어 하네스(W) 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방향으로 지지부(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연장폴부(300)는 제1연장폴부(310) 및 제2연장폴부(320)를 포함한다.
제1연장폴부(310)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설치부(400)에 구비된 헤드부(410)에 지지된다.
그리고 제2연장폴부(320)는 제1연장폴부(310)의 타측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부(100)를 지지한다.
이러한 제1연장폴부(310) 및 제2연장폴부(320)는 일체로 형성된 형태일 수도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형태에서 길이조절부(330)의 조작을 통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길이조절부(330)는 연결부재(331) 및 위치고정부(332)를 포함한다.
연결부재(331)는 위치고정부(332)에 의해 제1연장폴부(310)와 제2연장폴부(320)의 사이 거리가 조절되도록 제1연장폴부(310)와 제2연장폴부(320)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연결부재(331)는 제2연장폴부(320)에 돌출 형성되어 제1연장폴부(310)에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즉, 연결부재(331)는 제1연장폴부(310)에 삽입될수록 제1연장폴부(310)와 제2연장폴부(320)의 사이 거리가 짧아지고, 제1연장폴부(310)로부터 인출될수록 제1연장폴부(310)와 제2연장폴부(320)의 사이 거리가 멀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위치고정부(332)는 제1연장폴부(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연결부재(331)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위치고정부(332)는 고정돌부(332a) 및 고정홈부(332b)를 포함한다.
고정돌부(332a)는 연결부재(331)가 삽입되는 제1연장폴부(310)의 입구에서 탄성부(340)에 의해 출몰된다.
그리고, 고정홈부(332b)는 고정돌부(332a)가 끼워지도록 연결부재(3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된다.
즉, 고정돌부(332a)는 연결부재(331)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과정에서 고정홈부(332b)와 대응하도록 위치되면, 제1연장폴부(310)의 입구에서 탄성부(340)에 의해 돌출된 형태로 위치된다. 반대로, 고정홈부(332b)와 대응하도록 위치되지 않으면 제1연장폴부(310)의 입구에서 삽입된 형태로 위치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정돌부(332a)가 고정홈부(332b)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연결부재(331)가 제1연장폴부(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길이 조절되고, 고정돌부(332a)가 고정홈부(332b)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연결부재(331)가 제1연장폴부(310)에 고정되는 것이다.
연결부재(331)의 길이조절 과정을 살펴보면, 연결부재(331)를 당기거나 밀어줄 때 고정돌부(332a)가 고정홈부(332b)에 삽입하거나 이탈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연결부재(331)의 길이조절이 이루어진다.
이때, 탄성부(340)는 고정돌부(332a)가 제1연장폴부(310)의 입구에서 출몰 가능하게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탄성부(340)는 고정돌부(332a)에 형성되는 설치홈부(341)와, 일단이 설치홈부(341)에 삽입 고정되어 고정돌부(332a)를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부재(342)를 포함한다.
그리고, 설치부(400)는 연장폴부(300)를 지지하도록 회로패널(P)에 형성된 홀부(H)에 설치된다.
이러한 설치부(400)는 경우에 따라, 연장폴부(300)를 제외하고 지지부(100)와 직접 연결되어 회로패널(P)에 형성된 홀부(H)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설치부(400)는 헤드부(410) 및 몸체부(420)를 포함한다.
헤드부(410)는 상단이 연장폴부(300)와 연결되어 연장폴부(300)를 와이어 하네스(W) 간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방향으로 지지한다.
그리고 몸체부(420)는 회로패널(P)의 지정된 위치에 결합되고, 헤드부(410)와 힌지 연결되어 헤드부(41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러한, 몸체부(420)는 외측 둘레에 나사산을 갖는 체결부재(421)가 하단에 돌출 형성된다. 즉, 체결부재(421)가 회로패널(P)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재(421)의 단부에 너트(N)를 체결하면 몸체부(420)가 회로패널(P)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헤드부(410)는 경우에 따라 몸체부(4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부(430)에 의해 몸체부(420)에서 회동 각도가 조절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각도조절부(430)는 회전부재(431), 회전기어부(432) 및 고정기어부(433)를 포함한다.
회전부재(431)는 헤드부(410)의 하단에 원호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몸체부(430)에 삽입된 상태로 힌지 결합된다.
회전기어부(432)는 회전부재(431)의 둘레에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회전부재(431)의 회전을 따라 회전되면서 고정기어부(433)와 맞물린다.
그리고 고정기어부(433)는 회전기어부(431)와 맞물리도록 몸체부(430)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회전부재(431)의 회전을 단계별로 고정한다.
즉, 고정기어부(433)는 외력에 의해 회전부재(431)가 회전될 경우, 복수개의 회전기어부(432)의 사이 공간 중 어느 하나에 개재됨으로써, 회전부재(431)의 회전을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회전기어부(432)와 고정기어부(433)는 회전부재(431)가 외력에 의해 회전될 때 원활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모서리가 라운딩 가공된다.
이로써, 와이어 하네스(W) 간에 간섭이 발생될 경우, 헤드부(410)를 적절한 각도로 조절하여 와이어 하네스(W) 간에 간섭이 최소화되는 방향으로 연장폴부(300)를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어 하네스(W)가 길어 처짐이 발생할 경우 헤드부(410)의 각도를 조절하여 와이어 하네스(W)를 팽팽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지지부(100)와 연장폴부(300)는 결속부(50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속부(500)는 연장폴부(300)에 구비된 제2연장폴부(220)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1결속부(510) 및 지지부(100)의 하단에 형성되어 제1결속부(510)와 체결하는 제2결속부(5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결속부(510)와 제2결속부(520)는 상호 간에 체결이 가능하도록 홀 또는 돌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즉, 제1결속부(510)가 홀 형태로 형성되면 제2결속부(520)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고, 제1결속부(510)가 돌기 형태로 형성되면 제2결속부(520)는 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연장폴부(300)와 설치부(400)는 착탈부(60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착탈부(600)는 설치부(400)에 구비된 헤드부(410)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1착탈부(610) 및 연장폴부(300)에 구비된 제1연장폴부(310)의 하단에 형성되어 제1착탈부(610)와 체결하는 제2착탈부(6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착탈부(610)와 제2착탈부(620)는 상호 간에 체결이 가능하도록 홀 또는 돌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즉, 제1착탈부(610)가 홀 형태로 형성되면 제2착탈부(620)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고, 제1착탈부(610)가 돌기 형태로 형성되면 제2착탈부(620)는 홀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지지부 200: 이탈방지부
210: 회동개폐부재 220: 탄성부재
230: 회동지지부재 300: 연장폴부
310: 제1연장폴부 320: 제2연장폴부
330: 위치고정부 340: 탄성부
400: 설치부 410: 헤드부
420: 몸체부 430: 각도조절부
500: 결속부 510: 제1결속부
520: 제2결속부 600: 착탈부
610: 제1착탈부 620: 제2착탈부

Claims (5)

  1. 일측이 개방되어 와이어 하네스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상기 지지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의 개방 부위를 통해 자연적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힌지 연결되는 회동개폐부재와, 상기 회동개폐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개폐부재의 회동시 상기 회동개폐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힌지 연결되는 회동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개폐부재는 힌지축에 각각 지지되는 한 쌍의 가이드홀부를 대칭하게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출입에 따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홀부는 상기 회동개폐부재의 회동시 어느 하나는 힌지축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다른 하나는 힌지축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출입 방향을 따라 회동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와이어하네스의 진입으로 상기 회동개폐부재가 특정 각도 이상으로 회동시 상기 회동개폐부재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지그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개폐부재에는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는 지지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지지부재에는 상기 탄성부재에 끼워지는 지지돌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지그장치.
KR1020170080034A 2017-06-23 2017-06-23 와이어 하네스 지그장치 KR101956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034A KR101956201B1 (ko) 2017-06-23 2017-06-23 와이어 하네스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034A KR101956201B1 (ko) 2017-06-23 2017-06-23 와이어 하네스 지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972A KR20190000972A (ko) 2019-01-04
KR101956201B1 true KR101956201B1 (ko) 2019-03-11

Family

ID=65018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034A KR101956201B1 (ko) 2017-06-23 2017-06-23 와이어 하네스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20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123Y1 (ko) * 2011-09-06 2013-04-0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와이어 이탈방지용 텐션지그
KR101508352B1 (ko) * 2013-08-26 2015-04-0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972A (ko)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40486B1 (en) Cable retractor
US6107570A (en) Wiring harness arranging construction
JP4783307B2 (ja) スライド構造体用の給電装置
JP4806310B2 (ja) 開閉駆動装置
JP2009100563A (ja) リンク用ハーネス配索構造
JPH11125062A (ja) 自動車用バックドアの開閉装置
JP2003301659A (ja) 移動体のケーブル張力装置
JP2015000619A (ja) ドア用配線装置
WO2014013964A1 (ja) アーム給電装置
JP5052865B2 (ja) スライド構造体用の給電装置
KR20210075011A (ko) 도어 리프를 이동시키기 위한 디바이스
KR101956201B1 (ko) 와이어 하네스 지그장치
KR20170095933A (ko) 차량 승객 구획부의 보호 장치
KR102077007B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101988647B1 (ko) 정션박스의 내부회로 배선용 지그장치
JP2006042566A (ja) 給電装置
WO2019097787A1 (ja) 支持部材、支持部材付ワイヤーハーネス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支持構造
JP3461467B2 (ja) ワイヤハーネス巻取り装置
KR20210017388A (ko) 인장클램프장치
KR102182863B1 (ko) 송전선용 접지장치
JP2013033604A (ja) 端子カバー
JP3558566B2 (ja) 配索済みワイヤハーネス巻取方法および巻取装置
JP2004112984A (ja) 給電装置とそれを用いたハーネス配索構造
KR101966667B1 (ko) 외력에 의해 급작스럽게 닫히는 것을 방지토록 한 안전도어
JP4412144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