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720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720B1
KR101955720B1 KR1020120042636A KR20120042636A KR101955720B1 KR 101955720 B1 KR101955720 B1 KR 101955720B1 KR 1020120042636 A KR1020120042636 A KR 1020120042636A KR 20120042636 A KR20120042636 A KR 20120042636A KR 101955720 B1 KR101955720 B1 KR 101955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inclined surface
housing assembl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9661A (ko
Inventor
김선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2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720B1/ko
Publication of KR20130119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gl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의 광 이미지가 입사되는 렌즈가 내장된 하우징 어셈블리와; 상기 렌즈를 통한 광 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의 하부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시키는 접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의 하부 영역의 가장자리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 Camera module }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 렌즈부와 결합되는 하우징 어셈블리, IR 필터와 이미지 센서 등을 포함하는 센서부를 구비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접착시켜 현재, 대부분의 카메라 모듈이 조립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와 상기 인쇄회로기판 접착은 보스와 홀을 이용해 카메라 모듈이 조립되거나, 접착수단를 이용하여 양자를 접착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에서 램프로 접착수단를 조사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일부 도면이다.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21)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20)에 렌즈가 내장된 하우징 어셈블리(10) 하부 영역(11)이 접착수단(30)에 의해 접착되어,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0)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 하부 영역(11)은 평평하여, 도 2와 같이, 램프(50)에서 인가된 빛 또는 열이,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의 내측까지 전달되지 않은 경우가 발생되어, 완전 경화되지 않아 액티브 얼라이먼트(Active alignment) 적용 카메라 모듈인 경우 전단면으로 가해지는 전단력(Shear force)에 대해 저항력이 낮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 어셈블리와 인쇄회로기판에 개재되는 접착수단의 전단면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해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피사체의 광 이미지가 입사되는 렌즈가 내장된 하우징 어셈블리와;
상기 렌즈를 통한 광 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의 하부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시키는 접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의 하부 영역의 가장자리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 하부 영역의 가장자리는,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의 외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또, 상기 경사면은,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져 있을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의 외측면에 위치된 경사면 영역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 영역의 간격은,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의 내측면에 위치된 경사면 영역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 영역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수단은, 상기 경사면에 접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경사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착수단이 접착되는 인쇄회로기판 영역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경사면에 대향되는 인쇄회로기판 영역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인쇄회로기판 영역에 형성된 경사면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돌출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된 것 또는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면으로부터 돌출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는 하우징 어셈블리의 하부 영역의 가장자리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 접착수단에 조사될 수 있는 광 경로를 확대시켜 완전 경화될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어셈블리의 외측면에 위치된 경사면 영역과 인쇄회로기판 사이 영역에 접착수단이 더 많이 개재되어 고정됨으로, 전단면으로 가해지는 힘(Shear force)에 대해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하우징 어셈블리의 경사면에 요철과 같은 락킹(Looking) 홈을 형성하여, 하우징 어셈블리와 인쇄회로기판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에서 램프로 접착수단을 조사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일부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에서 램프로 접착수단을 조사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일부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에서 접착수단가 개재되는 일례의 상태를 도시한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에서 하우징 어셈블리 하부 영역의 경사면에 요철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에서 하우징 어셈블리 하부 영역의 경사면에 대향되는 경사면이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은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피사체의 광 이미지가 입사되는 렌즈가 내장된 하우징 어셈블리(100)와; 상기 렌즈를 통한 광 이미지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210)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200)과;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하부를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에 고정시키는 접착수단(300)을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에 고정되는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하부 영역의 가장자리에는 경사면(11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는 홀더로 지칭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200)과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가 고정된 카메라 모듈 본체의 내부에 상기 이미지 센서(210)가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 하부 영역의 가장자리는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외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110)은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다.
상기 경사 기울기는 4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 하부 영역의 가장자리에 경사면(11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외부에 위치된 램프에서 인가된 빛 또는 열은 상기 접착수단(300)의 전 영역에 조사되어 완전경화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램프는 자외선 램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램프에서 나오는 열을 이용하여 상기 접착수단를 경화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200)에 고정되는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하부 영역의 가장자리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 접착수단에 조사될 수 있는 광 경로를 확대시켜 완전 경화될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외측면에 위치된 경사면(110) 영역과 상기 인쇄회로기판(200) 사이 영역의 간격은,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내측면에 위치된 경사면(110) 영역과 상기 인쇄회로기판(200) 사이 영역의 간격보다 크므로,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외측면에 위치된 경사면(110) 영역과 상기 인쇄회로기판(200) 사이 영역에 접착수단이 더 많이 개재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외측면에 위치된 경사면(110) 영역과 상기 인쇄회로기판(200) 사이 영역에 접착수단이 더 많이 개재되어 고정됨으로, 전단면으로 가해지는 전단력(Shear force)에 대해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에서 램프로 접착수단을 조사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일부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 어셈블리(100)와 인쇄회로기판(200) 사이에 접착수단(300)을 개재시키고, 램프(500)로 경화시킨다.
상기 램프(5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00)과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외측에서 상기 접착수단(300)으로 빛 또는 열을 조사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 하부 영역의 경사면(110)에 의해, 램프 '500'에서 인가된 빛 또는 열은 상기 접착수단(300)의 전 영역에 조사되어 완전경화가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에서 접착수단이 개재되는 일례의 상태를 도시한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에서 하우징 어셈블리 하부 영역의 경사면에 요철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에서 하우징 어셈블리 하부 영역의 경사면에 대향되는 경사면이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모식적인 일부 단면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외측면에 위치된 경사면(110) 영역은 접착수단(300)으로 인쇄회로기판(200)에 접착되어,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는 인쇄회로기판(200)에 고정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수단(300)은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하부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된 경사면(110) 영역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하부 영역에도 접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하부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된 경사면(110)에는 요철(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철(111)은 상기 접착수단(300)의 접착 강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즉, 본 발명은 하우징 어셈블리의 경사면에 상기 요철(111)과 같은 락킹(Looking) 홈을 형성하여, 하우징 어셈블리와 인쇄회로기판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수단(300)이 접착되는 인쇄회로기판(200) 영역에도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100)의 하부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된 경사면(110)에 대향되는 인쇄회로기판(200) 영역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과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200) 영역에 형성된 경사면은 상기 인쇄회로기판(200)에 돌출부(250)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250)에 형성된 경사면(251)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25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00)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된 것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한편으로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00) 면으로부터 돌출된 것으로도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200) 상부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홈 내부 바닥면에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경우, 상기 돌출부(25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00) 상부면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상면에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고정하는 접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하부 영역의 가장자리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고,
    상기 경사면에는 요철을 형성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홈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외측에서 내측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경사면과 대향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경사면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경사면의 경사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경사면의 경사와 대응하고,
    상기 접착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경사면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경사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과 수평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면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상면과 이격되는 카메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면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상면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상기 접착수단이 배치되지 않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이 접착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영역에 요철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배치되지 않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은 빛 또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카메라 모듈.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042636A 2012-04-24 2012-04-24 카메라 모듈 KR101955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636A KR101955720B1 (ko) 2012-04-24 2012-04-24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636A KR101955720B1 (ko) 2012-04-24 2012-04-24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661A KR20130119661A (ko) 2013-11-01
KR101955720B1 true KR101955720B1 (ko) 2019-03-07

Family

ID=4985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636A KR101955720B1 (ko) 2012-04-24 2012-04-24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72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9702A1 (en) * 2005-06-15 2007-01-25 Daylight Solutions Inc. Lenses, optical sources, and their couplings
JP4096588B2 (ja) * 2002-03-22 2008-06-04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8139593A (ja) * 2006-12-01 2008-06-19 Hitachi Maxell Ltd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撮像装置
JP2009206994A (ja) * 2008-02-28 2009-09-10 Sharp Corp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2010079271A (ja) * 2008-08-28 2010-04-08 Sharp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2010219713A (ja) * 2009-03-16 2010-09-30 Panasonic Corp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616B1 (ko) * 2006-08-17 2008-05-27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 모듈
KR20100041951A (ko) * 2008-10-15 2010-04-23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모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6588B2 (ja) * 2002-03-22 2008-06-04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撮像装置
US20070019702A1 (en) * 2005-06-15 2007-01-25 Daylight Solutions Inc. Lenses, optical sources, and their couplings
JP2008139593A (ja) * 2006-12-01 2008-06-19 Hitachi Maxell Ltd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撮像装置
JP2009206994A (ja) * 2008-02-28 2009-09-10 Sharp Corp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2010079271A (ja) * 2008-08-28 2010-04-08 Sharp Corp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2010219713A (ja) * 2009-03-16 2010-09-30 Panasonic Corp 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661A (ko) 201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6588B2 (ja) 撮像装置
JP2009253363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7027535A5 (ko)
WO2014097858A1 (ja) 光センサユニット
KR102339518B1 (ko) 자동차의 조명장치
JP2007206337A (ja) 光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TW201803141A (zh) 具有對準間隔物之光電模組及其組裝方法
JP2007206336A (ja) 光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89665B1 (ko) 카메라 모듈용 홀더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카메라 모듈
JP2020008814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TW200839337A (en) Optical module
US20190126848A1 (en) Bonding structure, imaging apparatus, and on-vehicle camera
JP2007305736A (ja) 光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20140019535A (ko) 카메라 모듈 및 그를 구비한 전자장치
WO2013065146A1 (ja) 発光装置
KR101955720B1 (ko) 카메라 모듈
TW201428367A (zh) 光通訊模組
KR20060121666A (ko) 카메라 모듈
KR20100100063A (ko) 카메라 모듈
KR102011261B1 (ko) 카메라 모듈
JP2011201237A (ja) 筐体組立構造及び筐体組立方法
KR102104852B1 (ko) 카메라 모듈
KR101798663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조립 방법
KR101753849B1 (ko) 자외선 led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자외선 경화장치
KR20130049996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