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684B1 - 폴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폴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684B1
KR101955684B1 KR1020160119882A KR20160119882A KR101955684B1 KR 101955684 B1 KR101955684 B1 KR 101955684B1 KR 1020160119882 A KR1020160119882 A KR 1020160119882A KR 20160119882 A KR20160119882 A KR 20160119882A KR 101955684 B1 KR101955684 B1 KR 101955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reinforcing member
connecting plate
connection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5329A (ko
Inventor
이창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우
Priority to KR1020160119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684B1/ko
Publication of KR20170035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대의 연결된 부분이 외관이 심플하고 매끈하여 미관상 이로울 뿐만 아니라 폴대의 연결된 부분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쌓이지 않는 폴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폴대(100)와, 폴대(100)의 단부에 형성되어 구조물에 연결되는 연결판(200)과, 연결판(200)이 폴대(100)에 연결된 부분을 커버하는 상태로 보강하는 보강부재(300)와, 보강부재(300)의 일단을 폴대(100)에 고정시키도록 보강부재(300)의 일단에 형성되는 폴대고정부(400)와, 보강부재(300)의 타단을 연결판(200)에 고정시키도록 보강부재(300)의 타단에 형성되는 보강고정부(500)와, 보강부재(300)를 관통하여서 연결판(200)을 구조물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600)를 포함하고, 연결판(200)은 체결부재(600)에 대응되는 연결홀(210)이 형성되고, 연결홀(210)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부(220)가 형성되며, 보강부재(300)는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는 관체로 구성되면서 일단의 직경이 타단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폴대고정부(400)는 보강부재(300)의 일단에 형성되는 관체로 구성되어 볼팅이나 용접에 의해 폴대(100)에 고정되고, 보강고정부(500)는 보강부재(300)의 타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로 구성되어 볼팅이나 용접에 의해 연결판(2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폴대 연결구조{LINKING STRUCTURE FOR POLE}
본 발명은 폴대의 연결된 부분이 외관이 심플하고 매끈하여 미관상 이로울 뿐만 아니라 폴대의 연결된 부분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쌓이지 않는 폴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도나 차도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가로등, 신호등 및 도로표지판 등의 지주는 시설물이 설치될 위치에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이 매설되고, 상기 콘크리트 기초구조물 상부에 주철제 또는 스테인레스 등의 기둥을 세운다음 기둥의 하부에 고정베이스를 형성시키고, 이 고정베이스를 앵커볼트 등으로 콘크리트 기초구조물에 고정시켜 준다.
이러한, 가로등 등의 지주는 설치 장소에 따라 지주의 높이가 달라지는데 통상 짧게는 3m에서부터 길게는 10m의 길이로 제작된다.
종래에는 가로등 및 신호등의 지주를 일체로 제작되었으나, 지주의 길이가 길어 현장에 운반하여 설치하기가 번거로웠으며, 또한 제품에 손상을 줄 염려도 있었다.
이를 위해 근래에는 가로등, 신호등, 도로안내 표지판 등과 같은 도로시설물의 지주나 암대를 각각 복수로 제작하여, 운반과정과 설치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품의 손상 방지는 물론 설치장소에서 상부지주와 하부지주를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또 외력으로 인한 부분 파손시에 그 파손된 부분만을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상, 하부 분리형 도로시설물의 지주가 많이 안출되어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지주에 암대가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는 암대(20)들이 일직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암대(20)는 끝단에 판재(30)가 형성되고, 암대(20)와 판재(30)의 연결부분에 리브(4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마주되는 판재(30)를 볼팅으로 체결하면 암대(20)들이 일렬로 연결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리브(40)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서 미관상 이롭지 못 할뿐만 아니라, 리브(40)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쌓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되어 공개된 공개특허공보 10-2012-0125071호가 2012.11.14.일자로 게재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폴대의 연결된 부분이 외관이 심플하고 매끈하여 미관상 이로울 뿐만 아니라 폴대의 연결된 부분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쌓이지 않는 폴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대 연결구조는,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는 폴대(100)와, 폴대(100)의 단부에 형성되어 구조물에 연결되는 연결판(200)과, 연결판(200) 및 폴대(100)에 연결되어 연결판(200)이 폴대(100)에 연결된 부분을 커버하는 상태로 보강하는 보강부재(300)와, 보강부재(300)의 일단을 폴대(100)에 고정시키도록 보강부재(300)의 일단에 형성되는 폴대고정부(400)와, 보강부재(300)의 타단을 연결판(200)에 고정시키도록 보강부재(300)의 타단에 형성되는 보강고정부(500)와, 보강부재(300)를 관통하여서 연결판(200)을 구조물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600)를 포함하고, 연결판(200)은 체결부재(600)에 대응되는 연결홀(210)이 형성되고, 연결홀(210)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부(220)가 형성되며, 보강부재(300)는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는 관체로 구성되면서 일단의 직경이 타단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폴대고정부(400)는 보강부재(300)의 일단에 형성되는 관체로 구성되어 볼팅이나 용접에 의해 폴대(100)에 고정되고, 보강고정부(500)는 보강부재(300)의 타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로 구성되어 볼팅이나 용접에 의해 연결판(2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대 연결구조는, 폴대의 연결된 부분이 외관이 심플하고 매끈하여 미관상 이로울 뿐만 아니라 폴대의 연결된 부분에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쌓이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지주에 암대가 연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이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분해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대 연결구조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폴대(100)와, 연결판(200)과, 보강부재(300)와, 폴대고정부(400)와, 보강고정부(500)와, 체결부재(600)를 포함한다.
폴대(100)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는 원통이나 다각형의 관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폴대(100)는 내부공간에 통신선이나 전원선이 배선되는 가로등이나 신호등의 지주로 사용될 수 있다.
연결판(200)은 폴대(100)의 단부에 형성되어 구조물에 연결되는 것으로, 폴대(100)의 폭보다 큰 넓이를 갖는 판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판(200)은 폴대(100)가 중앙부분을 관통된 상태로 용접을 통해 결합되어 일체화되면서, 체결부재(600)에 대응되는 연결홀(210)이 형성된다. 즉, 연결홀(210)은 후술되는 체결부재(600)인 볼트의 나사축이 관통되고 볼트의 헤드가 걸릴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판(200)은 연결홀(210)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부(220)가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표시부(220)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연결판(200)의 외측둘레에 형성되는 화살표와 같은 표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위치표시부(220)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보강부재(300)에 의해 커버되어서 보이지 않는 연결홀(210)이 위치표시부(220)에 근접되게 위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위치표시부(220)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시키고자 하는 연결판(200)들을 정확하게 마주시킬 수 있어서, 연결판(200)의 연결홀(210)들이 일치될 수 있다.
또한, 위치표시부(220)는 연결판(200)들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는 돌기 및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와 홈은 연결판(200)들이 마주되는 면에 대응되게 형성됨에 따라 돌기와 홈이 쉽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서로 결합되면 연결판(200)들의 연결홀(210)들이 일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위치표시부(220)인 돌기와 홈을 결합시키는 것으로, 연결홀(210)들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으면서도 연결홀(210)들을 쉽고 편리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즉, 체결부재(600)의 체결작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구조물은 폴대(100)가 고정되기 위한 철골구조물이거나 시멘트구조물 또는 다른 폴대(100)일 수 있다. 따라서, 폴대(100)는 구조물에 볼팅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폴대(100)에도 체결부재(600)를 이용하여 일직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강부재(300)는 연결판(200) 및 폴대(100)에 연결되어 연결판(200)이 폴대(100)에 연결된 부분을 커버하는 상태로 보강하는 것으로,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는 관체로 구성되면서 일단의 직경이 타단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상협하광의 깔때기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재(300)의 작은 직경의 홀은 폴대(100)의 외주면에 대응되고 큰 직경의 홀은 연결판(200)의 둘레에 대응되므로, 보강부재(300)의 일단이 폴대(100)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보강부재(300)의 타단이 연결판(200)에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즉, 보강부재(300)는 일단에 형성된 작은 직경의 홀이 폴대(100)에 고정되고, 타단에 형성된 큰 직경의 홀의 둘레가 연결판(20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부재(300)는 연결판(200) 및 폴대(100)의 연결된 상태를 커버하므로, 외부의 먼지가 연결판(200) 및 폴대(100)의 연결된 부분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오염을 미연에 차단할 뿐만 아니라, 습기가 침투를 차단하여 연결부분이 부식됨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폴대(100)에 보강부재(300)가 스커트형태로 형성되므로 외관이 심플하고 말끔하여 미관상 이로운 점도 있다.
그리고, 보강부재(300)는 체결부재(600)를 연결판(200)의 연결홀(210)까지 안내하는 안내부(310)를 포함한다. 안내부(310)는 보강부재(300)를 관통하는 상태로 고정되어 끝단이 보강부재(300)의 타단까지 연장되어 연결판(200)에 근접되는 관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내부(310)는 연결판(200)의 연결홀(210)에 대응되게 구비됨에 따라 내측으로 삽입되는 체결부재(600)를 연결홀(210)까지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안내부(310)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관통되어 체결부재(600)인 너트를 안내하는 안내로(311)가 형성된다.
더욱이, 안내로(311)는 체결부재(600)인 너트의 삽입은 안내하면서 회전이 방지되도록 4각이나 6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4각이나 6각형태의 너트가 안내로(311)로 삽입되어서 외주면이 접촉되어서 걸리게 되므로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안내로(311)에 4각이나 6각형태의 너트를 삽입시킨 상태로 체결부재(600)인 볼트를 너트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만 회전시키면 볼트와 너트가 조여지거나 풀려질 수 있다.
또한, 안내부(310)는 안내로(311)를 개폐하는 마개(313)를 포함한다.
이러한, 마개(313)는 안내로(311)에 삽입되는 마개축(314)과, 마개축(314)의 끝단에 형성되어 안내로(311)의 외측에 걸리는 마개헤드(315)를 포함한다.
마개축(314)은 안내로(311)에 쉽게 삽입되도록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마개헤드(315)는 마개축(314)의 직경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면서 보강부재(300)의 외측면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마개헤드(315)가 안내로(311)의 테두리에 걸려서 안내로(311)를 마감하는 상태에서 마개헤드(315)가 보강부재(300)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지 않으면서 일치되므로 외관상 이로운 이점이 있다.
따라서, 마개축(314)을 안내로(311)에 삽입시키면 마개헤드(315)가 안내로(311)의 테두리 외측에 걸리게 되므로, 안내로(311)가 폐쇄되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나 습기의 침투됨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마개(313)에 의해 체결부재(600)인 볼트나 너트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때, 마개(313)는 연질의 합성수지나 탄성을 갖는 고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강부재(300)에는 안내부(310)를 대신하여 연결홀(210)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부재(600)가 관통홀을 통해 관통된 후에 연결홀(210)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폴대고정부(400)는 보강부재(300)의 일단에 형성되는 관체로 구성되어 볼팅이나 용접에 의해 폴대(100)에 고정될 수 있다.
보강고정부(500)는 보강부재(300)의 타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로 구성되어 볼팅이나 용접에 의해 연결판(2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폴대고정부(400) 및 보강고정부(500)가 폴대(100) 및 연결판(200)에 고정되어 일체화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서 보강고정부(500)가 폴대(100) 및 연결판(200)에 일체화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폴대(100) 및 연결판(200)의 사이에 발생되는 뒤틀림과 같은 외력에 의한 손상이 보강부재(300)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체결부재(600)는 보강부재(300)를 다른 구조물에 체결시키는 것으로,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판(200)들이 마주되어 연결홀(210)들이 일치된 상태에서 체결부재(600)인 볼트를 연결홀(210)들에 삽입시킨 후에 너트와 나사결합 시킴에 따라 연결판(200)들의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볼트 및 너트의 결합 및 분리에 의해 연결판(200)들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 및 분리작업이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폴대(100)들을 서로 마주되게 하면서 일직선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연결판(200)들이 서로 마주되게 하여, 각각의 연결홀(210)들이 일치되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체결부재(600)인 볼트를 보강부재(300)에 형성된 안내부(310)를 통해 연결홀(210)들에 관통되게 하고, 체결부재(600)인 너트를 반대되는 보강부재(300)에 형성된 안내부(310)를 통해 체결부재(600)인 볼트에 나사결합 시킨다.
따라서, 폴대(100)들은 일직선으로 결합되어 서로 연이어진 상태가 유지되므로 전체적인 길이가 증대될 수 있다. 더욱이, 보강부재(300)에 의해 폴대(100)와 연결판(200)의 연결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므로, 폴대(100)에 신호등, 가로등, 보안등, CCTV와 같은 시설물들이 설치되어 무게가 가중되어도 휘어지거나 부러지지 않는다. 즉, 도로에 설치되는 지주나 지주에 설치되는 암대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되는 지주에 적용되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폴대 200 : 연결판
210 : 연결홀 220 : 위치표시부
300 : 보강부재 310 : 안내부
311 : 안내로 313 : 마개
314 : 마개축 315 : 마개헤드
400 : 폴대고정부 500 : 보강고정부
600 : 체결부재

Claims (1)

  1.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는 폴대(100)와,
    폴대(100)의 단부에 형성되어 구조물에 연결되는 연결판(200)과,
    연결판(200) 및 폴대(100)에 연결되어 연결판(200)이 폴대(100)에 연결된 부분을 커버하는 상태로 보강하는 보강부재(300)와,
    보강부재(300)의 일단을 폴대(100)에 고정시키도록 보강부재(300)의 일단에 형성되는 폴대고정부(400)와,
    보강부재(300)의 타단을 연결판(200)에 고정시키도록 보강부재(300)의 타단에 형성되는 보강고정부(500)와,
    보강부재(300)를 관통하여서 연결판(200)을 구조물에 체결시키도록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되는 체결부재(600)를 포함하고,
    연결판(200)은
    체결부재(600)에 대응되는 연결홀(210)이 형성되고,
    연결홀(210)의 위치를 표시하는 위치표시부(220)가 형성되며,
    보강부재(300)는 내부공간이 양단으로 개방되는 관체로 구성되면서 일단의 직경이 타단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보강부재(300)는 체결부재(600)를 연결홀(210)까지 안내하는 안내부(310)를 포함하며,
    안내부(310)는 보강부재(300)를 관통하는 상태로 고정되어 끝단이 보강부재(300)의 타단까지 연장되어 연결판(200)에 근접되는 관체로 구성되면서, 체결부재(600)인 너트를 안내하는 안내로(311)가 형성되고, 안내로(311)가 폐쇄되어 이물질이나 습기의 침투됨이 방지되면서, 체결부재(60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보호되도록 안내로(311)를 개폐하는 마개(313)를 포함하고,
    안내로(311)는 체결부재(600)인 너트의 삽입은 안내하면서 회전이 방지되도록 4각이나 6각형태로 형성되어, 체결부재(600)인 볼트를 너트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만 회전시키면 볼트와 너트가 조여지거나 풀려질 수 있으며,
    폴대고정부(400)는 보강부재(300)의 일단에 형성되는 관체로 구성되어 볼팅이나 용접에 의해 폴대(100)에 고정되고,
    보강고정부(500)는 보강부재(300)의 타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로 구성되어 볼팅이나 용접에 의해 연결판(2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대 연결구조.
KR1020160119882A 2016-09-20 2016-09-20 폴대 연결구조 KR101955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882A KR101955684B1 (ko) 2016-09-20 2016-09-20 폴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882A KR101955684B1 (ko) 2016-09-20 2016-09-20 폴대 연결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382 Division 2016-09-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329A KR20170035329A (ko) 2017-03-30
KR101955684B1 true KR101955684B1 (ko) 2019-03-08

Family

ID=58503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882A KR101955684B1 (ko) 2016-09-20 2016-09-20 폴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68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890B1 (ko) * 2013-05-13 2013-08-13 강난주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836A (ko) * 2009-07-23 2011-01-31 김진호 도로시설물 지주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890B1 (ko) * 2013-05-13 2013-08-13 강난주 도로 및 전기통신 시설물을 포함하는 지주시설물의 지주 매립형 기초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329A (ko) 201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98083C2 (ru) Крепе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ор
JP2009174309A (ja) 1本または多数の単一要素からなるアンカー引張り部材と、腐食防止されたアンカーヘッド構造体とを備えたグラウンドアンカーまたはロックアンカー
KR200439026Y1 (ko) 앵커볼트 보호캡
US4638611A (en) Guy-wire guard assembly and fastening systems therefor
KR200462194Y1 (ko) 볼트와 너트 결합부의 보호캡
KR101906673B1 (ko) 내구성이 강화된 무단횡단 방지용 차선분리대
KR101955684B1 (ko) 폴대 연결구조
KR200481834Y1 (ko) 폴대 연결구조
KR101498485B1 (ko) 펜스용 지주
KR101379245B1 (ko)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KR100955424B1 (ko) 앵커 지주
KR101044022B1 (ko) 지지 구조물
KR200364667Y1 (ko) 가로등의 안전보호장치
KR101513011B1 (ko) 락볼트 시공확인용 검측봉
KR101879136B1 (ko) 이중나선구조를 활용한 풀림방지 지주대 앵커구조
KR101950178B1 (ko) 조립 및 해체가 편리한 탄성 볼라드
US20170022675A1 (en) Bridge cap and fastening unit for fastening a bridge cap
KR101148172B1 (ko) 등주매립형 기초구조물 및 그를 이용한 가로등 등주의 설치방법
KR100844820B1 (ko) 앵커볼트용 보호캡
KR20130044715A (ko) 가드레일 포스트 설치구조
KR101445563B1 (ko) 가로보 내부체결구조를 갖는 도로교통 시설물 설치용 지주
KR100470041B1 (ko) 가로등의 안전보호장치
KR101873190B1 (ko) 풀림방지 및 태핑 기능을 갖는 볼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04511B1 (ko) 스페이서가 마련된 스트롱 앵커 볼트
KR101359792B1 (ko) 매립형 와셔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부재고정기구와 부재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