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105B1 - 송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 데이터 블록을 디지털 전송하기 위한 방법, 송신국, 수신국 및 상기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자동차 - Google Patents

송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 데이터 블록을 디지털 전송하기 위한 방법, 송신국, 수신국 및 상기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105B1
KR101955105B1 KR1020170102469A KR20170102469A KR101955105B1 KR 101955105 B1 KR101955105 B1 KR 101955105B1 KR 1020170102469 A KR1020170102469 A KR 1020170102469A KR 20170102469 A KR20170102469 A KR 20170102469A KR 101955105 B1 KR101955105 B1 KR 101955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lock
additional data
information
block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2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9488A (ko
Inventor
토르스텐 헨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80019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7Block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1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54Maximum-likelihood or sequential decoding, e.g. Viterbi, Fano, ZJ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2Error control for data other than payload data, e.g. contro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76Distributed coding, e.g. network coding, involving channe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79Formats for contro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05Moving wireless net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60W2556/65Data transmitted betwee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자율 또는 협동 주행을 위해서는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간에 점점 더 많은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이 요구된다. WLAN p 기반 차량 대 차량 무선 통신이 현재 개발 중이다. 본 발명은 WLAN p 차량 대 차량 통신에서 상이한 상태 메시지들의 전송의 적용 경우에 대해 이동 무선 분야로부터 알려진 소프트 결합 기술의 적용을 가능하게 한다. 송신국(31)으로부터 수신국(31)으로의 데이터 블록의 디지털 전송을 위한 방법에서, 송신측에서, 어떤 지점에서 추가의 데이터 블록이 선행 데이터 블록과 다른지를 나타내는 델타 정보가 생성된다(83). 상기 델타 정보는 에러 방지 형식으로 상기 추가의 데이터 블록에 추가되어 전송된다. 수신된 제1 및 적어도 하나의 확장된 상기 추가의 데이터 블록은 상기 수신국(31)에 저장된다(81, 82). 그 후, 적어도 하나의 확장된 상기 추가의 데이터 블록의 상기 델타 정보가 복원되고(83), 상기 저장된 선행 데이터 블록에 적용된다. 이를 통해 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데이터 블록과 비교될 수 있게 된다. 그 후, 상기 수신된 추가의 데이터 블록 및 변환된 상기 선행 데이터 블록의 소프트 결합이 수행된다. 결합된 상기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상기 추가의 데이터 블록의 페이로드가 복원된다(86).

Description

송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 데이터 블록을 디지털 전송하기 위한 방법, 송신국, 수신국 및 상기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자동차{METHOD FOR THE DIGITAL TRANSMISSION OF DATA BLOCKS FROM A SENDING STATION TO A RECEIVING STATION, SENDING STATION, RECEIVING STATION AND MOTOR VEHICLE FOR USE IN THE METHOD}
본 발명은 방해된 전송 채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수신국으로 데이터 블록을 디지털 전송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적응된 송신국 및 적응된 수신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적응된 송신국 및/또는 수신국이 설치된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공공 도로 교통에서 서로 직접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이 설치된 차량의 시나리오에 있어서, 협동 또는 자율 주행을 위해, 보안이 중요한 적용을 위해서는 매우 높은 등급의 신뢰성이 정말 중요하다. 차량 대 차량 직접 통신 기술은 이미 개발되어 더 발전되고 있다. 예로서, WLAN, 여기서 특히 WLAN 표준 IEEE 802.11p에 따른 변형을 통한 차량 직접 통신이 언급된다. 이 기술에서는 차량 간의 통신을 위해 ad hoc WLAN 네트워크가 설정된다("Ad Hoc 도메인" 영역의 통신).
그러나, 차량 통신은 이동 무선 통신 네트워크 영역에서도 또한 가능하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는 기지국이 차량으로부터 차량으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 이는 통신이 소위 "인프라 도메인"에서 이루어지는 영역이다. 다가오는 이동 무선 통신 세대에 대해서는 차량 직접 통신도 또한 가능하다. LTE의 경우 이러한 변형을 LTE-V라고 하며, 5G 이니셔티브의 경우 이러한 변형은 D2D라 한다.
일반적인 통신 시나리오는 보안 시나리오, 트래픽 효율성 시나리오 및 인포테인먼트이다. 보안 영역에 대해 다음의 시나리오가 언급된다: "협동 전방 충돌 경보(Cooperative Forward Collision Warning)", "충돌 전 감지/경고", "위험 위치 경고". 이러한 영역에서 차량들은 위치, 방향 및 속도와 같은 정보와, 또한 크기 및 무게와 같은 파라미터를 서로 교환한다. 전송되는 추가 정보는 차량을 추월할 의도, 차량을 우회전/좌회전하는 등과 같은 협동 주행을 위해 관심이 있는 의도 정보들과 관련된다. 여기서 센서 데이터가 종종 전송된다. 위험 상황이 있고 운전자가 응답하지 않는 경우, 자동차가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사고를 방지하거나 또는 적어도 피할 수 없는 사고에 대한 결과가 가능한 한 적게 유지된다.
차량 대 차량 통신은 종종 카-대-카 통신(Car-to-Car-Communication)(C2C)이라고도 한다. 영어로 차량-대-차량 통신(Vehicle-to-Vehicle-Communication)(V2V)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이는 주행하는 차량 간의 직접적인 정보 교환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동 통신을 통해 기능적 무선 네트워크 및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에는 도로 상태, 빙판, 빗길 미끄러짐, 사고 또는 고정 유지되는 차량에 대한 정보와 같은 도로 및 교통 상황에 대한 시기적으로 적절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러한 안전 관련 애플리케이션에서 해당 교통 참여자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데이터로 위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교통 흐름 관련 추가의 정보는 교통 신호등 단계, 스톱-앤-고-주행 또는 현장에서의 일정한 출발 및 정지 등에 대한 정보이다. 또한, 주차장 검색 또는 무료 주차 공간 용량에 대한 정보가 차량 대 차량 통신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지능형 군집(platoon) 주행은 영어로 "고밀도 군집 주행(High Density Platooning)"이라는 용어로 알려진 적용 경우로서 언급된다. 여기서 군집의 차량들, 예를 들어 각 교통 상황에서의 트럭들 사이의 거리는 조정되고 그리고 조절된다. 목표는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해 가능한 한 군집 차량 사이의 거리를 줄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메시지가 군집 차량들 사이에서 끊임없이 교환되어야 한다.
종종 표준화된 메시지가 차량 간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교환된다. 현재 교통 상황에 대한 메시지는 소위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스테이션에서 관리되고, 주기적으로 또는 이벤트 관련으로 송신된다. CAM(Cooperative Awareness Message), DENM(Decentralized Environmental Notification Message), SPaT(Signal Phase and Time) 메시지 및 TO-PO(Topology Specification) 메시지가 있다.
차량에 의해 전송되는 무선 전보(radiotelegram)는 시간 및 속도 데이터와 함께 GPS 시스템에 의해 결정되는 차량 위치를 포함하고, 또한 교통 상황에 적응되어, 다른 차량이 경고를 받아야 하는 영역이 결정되고 이벤트가 코딩되어 전송된다.
무선 전보를 수신하는 차량은 리피터(repeater)로서 작동하고, 메시지를 추가 전파하고, 이를 통해 정보 공간이 확장된다. 메시지가 얼마나 멀리 전파되는지는 이벤트에 대해 관련이 있는 영역인 관련 영역에 달려있다. 짧은 제동의 경우 관련 영역은 물론 본질적으로 교통 정체에 대한 참조보다 더 작다. 이러한 관련 영역은 송신 차량에 의해 사전 설정되며, 이에 의해 리피터 차량을 통한 전파가 더 작은 또는 더 큰 영역을 포함하게 되는 것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메시지 목록은 특히 안전 분야에서 시간적으로 중요한 데이터 전송이 발생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차량 대 차량 통신의 신뢰성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이동 무선 통신에서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은 완전함(모든 송신된 사용자 데이터가 수신기에 도착함) 및 정확성(송신된 사용자 데이터 및 수신된 데이터에서 복원된 사용자 데이터가 동일함)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이동 무선 통신 기술에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주파수 다이버시티, 공간적 다이버시티, 변조 유형 및 변조 파라미터 및 사용되는 채널 코드 및 코드 레이트 등의 의미 있는 선택이 있다.
다이버시티는 메시지 기술에서 간섭에 대해 견고하게 전송을 수행하는 근본적인 방법이다. 다이버시티의 기본 원칙은 특정 정보의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한 독립적인 채널로 수신기에 전송된다는 것이다. 수신기는 이러한 독립적인 채널의 수신 관측을 사용하고, 이를 구조적인 유형 및 방식으로 결합한다. 이를 통해, 원래의 정보가 단일 관측만이 고려되는 경우보다 훨씬 더 높은 확률로 재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의 견고성이 향상되고, 수신자는 더 낮은 지연 속도(latency)로 신뢰성 있는 통신을 인식하게 된다.
이동 무선 통신에서 소프트 결합이 사용되는 예는 LTE에서 사용되는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구(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HARQ) 방법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EP 2 403 174 A1호에서 찾을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독립적인 채널들은 시간적으로, 주파수 기술적으로 또는 다른 직교화 방식들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수신기에서의 구조적인 중첩은 다른 채널을 통해 동일한 유용한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에만 사용될 수 있다. 차량과 관련이 있는 주제에서, 상태 메시지가 (예를 들어, 메시지의 형태로) 전송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들은 서로 조금씩만 다르지만, 동일하지는 않다. 이를 통해 수신기는 각 메시지를 분리되게 처리해야 하며, 복수의 메시지가 수신기에 전달되는 것을 수신 시에 더 이상 이용하지 않는다.
C2C 통신을 위해, 많은 유사한 상태 메시지가 여러 번 연속적으로 송신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본 발명은 신호 평가를 개선하기 위해 상태 메시지의 이러한 시간 다이버시티를 이용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한다. 이러한 경우 기존의 소프트 결합은 여기에 존재하는 차이로 인해 상태 메시지에 사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수신 관측이, 동일한 유용한 신호가 아니라 C2C 통신 영역에서와 같이 유사한 유용한 신호들만을 기초로 하는 경우에도, 함께 처리될 수 있는 확장된 소프트 결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데이터 블록을 디지털 전송하기 위한 방법, 청구항 제10항에 따른 송신국, 청구항 제12항에 따른 수신국 및 청구항 제15항에 따른 자동차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항들은 상기 수단들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예 및 발전예를 포함한다.
상기 제안된 방법은 송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 데이터 블록을 디지털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데이터 블록은 상기 송신측에서 에러 방지 데이터가 제공되고, 에러 방지가 제공된 상기 데이터 블록은 방해된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수신국으로 전송된다. 상기 방법은 송신측에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데이터 블록의 전송을 위해, 어떤 지점에서 상기 추가의 데이터 블록이 선행 데이터 블록과 다른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델타 정보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얻어진 델타 정보에 자체의 에러 방지 데이터가 제공된다. 그 후 상기 델타 정보는 에러 방지와 함께, 에러 방지가 제공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데이터 블록에 추가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확장된 상기 추가의 데이터 블록은 마찬가지로 상기 방해된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수신국으로 전송된다. 수신측에서는, 수신된 제1 및 에러 방지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된 추가의 데이터 블록이 상기 수신국에 저장되는 것이 수행된다. 그 후, 우선 확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데이터 블록의 상기 델타 정보가 복원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복원된 델타 정보는 저장된 상기 선행 데이터 블록에 적용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데이터 블록과 비교될 수 있게 하는 형태로 된다. 따라서 상기 선행 데이터 블록은 델타 정보로 변환되어, 에러를 제외하고 상기 추가의 데이터 블록과 동일한 정보 컨텐츠를 갖는다. 그 후 소프트 결합을 통해, 수신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데이터 블록 및 변환된 수신된 상기 선행 데이터 블록은 결합된다. 마지막으로 그 후 결합된 상기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상기 추가의 데이터 블록의 페이로드가 복원된다.
제안된 방법을 통해,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과 관련하여 명확한 장점이 달성된다. 파라미터 n을 스마트하게 선택함으로써, 자동차 산업용 무선 모뎀의 개발을 위해 칩 개발자에게 특히 중요한, 예를 들어 n = 2에서 3 dB까지, n = 10에서 10 dB까지, 신호 대 간섭능력비에서 매우 높은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델타 정보에는 상기 추가의 데이터 블록의 사용자 데이터 부분보다 더 높은 에러 방지가 제공될 때 매우 유리하다. 이를 통해 에러 방지가 사용자 데이터에 대해 더 이상 충분하지 않을 때에도 델타 정보가 여전히 복원될 수 있는 것이 달성된다. 델타 정보가 사용자 데이터 정보보다 더 작기 때문에, 델타 정보에 대해 더 높은 에러 방지가 제공되면, 상기 방법은 여전히 효율적이다.
상기 델타 정보가 코딩된 상기 추가의 데이터 블록의 어떤 지점에서 데이터 정보가 상기 선행 코딩된 데이터 블록과 다르게 설정되는지를 나타낼 때 유리하다. 이 경우 사용자 데이터 필드에서 어떤 곳이 차이가 있고 위치 에러 방지 필드에서 어떤 곳이 차이가 있는지가 나타내어진다. 반대로, 델타 정보는 또한 코딩된 선행 데이터 블록의 어떤 지점에서 정보가 코딩된 상기 추가의 데이터 블록과 다르게 설정되는지를 나타내도록 특정될 수 있다.
수신된 선행 데이터 블록 및 적어도 하나의 확장된 추가의 데이터 블록은 각각 디지털 복조 이전에 또는 이후에 샘플링된 신호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블록이 디지털 복조 이후에 저장되는 경우, 데이터는 로그 우도비(Log Likelihood Ratio) 정보 블록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델타 정보를 적용하는 단계는 부호 변화에 의해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는 신호 샘플링값이 처리되어야 하는데, 이는 더 복잡하다. 이때 저장된 선행 데이터 블록에 델타 정보를 적용하기 위해, 다르게 설정되어야 하는 비트를 포함하는 심볼에 대한 데이터 시퀀스는, 대응하는 비트가 다르게 설정되는 적절한 심볼을 표현하는 데이터 시퀀스로 대체된다.
델타 정보는 또한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데이터 블록에 상호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으며, 그 후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데이터 블록 및 선행 데이터 블록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때 선행 데이터 블록의 페이로드가 복원될 수 있다.
변환된 데이터 블록과 다른 데이터 블록의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결합될 데이터 블록의 서로 대응하는 소프트 정보값을 가산함으로써 수행된다.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데이터 블록 또는 선행 데이터 블록을 복원하기 위해, 각각의 경우에 각각 결합된 데이터 블록의 채널 디코딩이 수행된다.
델타 정보가 더욱 최소화되어야 하는 경우, 델타 정보가 추가의 데이터 블록의 사용자 데이터 필드의 어떤 지점에서 데이터 정보가 선행 코딩된 데이터 블록의 사용자 데이터 필드와 다르게 설정되는지만을 나타내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 여기서 델타 정보는 사용자 데이터 필드에 대한 정보로 제한된다.
상기 방법의 이러한 변형은 델타 신호가 콤팩트할 때 효율적으로 기능한다. 이는 채널 코딩으로서 선형 체계적 코딩(입력 신호가 코딩된 신호의 고정된 사전 설정된 지점에서 발견될 수 있음)이 사용되는 경우가 정확히 그 경우이다. 여기서 전송될 델타 정보는 원래의 유용한 신호에서의 차이로 제한된다. 코딩된 신호의 리던던시(redundancy) 부분(에러 방지 데이터 부분)의 변경은 수신기에 선형 코드로 매우 효율적으로 자체적으로 접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안된 방법은 블록 코드뿐만 아니라 컨벌루션 코드(convolutional code)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이동 무선 통신을 통한 차량 통신의 원리를 도시한다.
도 2는 가산에 의한 2개의 시간적으로 분리된 데이터 전송의 결합을 도시하며, 이 중 하나가 제1 데이터 전송의 반복이다.
도 3은 이동 무선 통신에서의 "소프트 결합"의 원리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국의 블록 회로도 및 수신국의 블록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개의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에 대한 데이터 프레임 포맷을 도시한다.
도 6은 제1 데이터 전송의 수신 결과에 델타 정보를 적용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7은 제2 데이터 전송의 수신 결과를 델타 정보의 적용에 의해 변경된 제1 데이터 전송의 수신 결과와 결합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설명은 본 발명에 따른 개시의 원리를 설명한다. 따라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기술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개시의 원리를 구현하고 그 범위 내에서 또한 보호되어야 하는 다양한 배열을 구상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이동 무선 통신을 이용한 차량 통신의 원리를 도시한다. 차량에는 참조 번호(30)가 제공된다. 차량에는 각각 이동 통신용 송신국 및 수신국으로서 기능하는 온보드(on-board) 유닛(31)이 설치된다. 차량으로부터의(업 링크) 그리고 차량으로의(다운 링크) 모든 메시지는 이동 무선 통신 셀을 서비스하는 기지국을 통해 또는 직접 차량 통신(사이드 링크)의 경우에는 직접 차량 사이에서 교환된다. 차량들이 이러한 이동 무선 통신 셀 내에 있다면, 이들은 기지국(20)(LTE 언어 사용에서 eNodeB라고 함)에 등록되거나 또는 로그인된다. 차량들이 이동 셀을 떠나는 경우, 차량은 인접 셀로 전달되고(핸드 오버), 그에 상응하게 기지국(20)에서 삭제되거나 또는 로그아웃된다. 기지국(20)은 또한 인터넷(10)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여, 차량(30) 또는 모든 다른 이동 무선 통신 가입자에게는 이동 무선 통신 셀에서 인터넷 데이터가 공급된다. 이를 위해, 기지국(20)은 소위 S1-인터페이스를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40)와 연결된다.
LTE 이동 무선 통신 기술 외에도 차량(30)은 실시예에서 또한 차량 직접 통신을 위한 IEEE 802.11p 표준에 따른 WLAN 기술이 설치된다. 이 기술에서는 차량 간의 통신을 위해 ad hoc WLAN 네트워크가 설정된다("Ad Hoc 도메인" 영역의 통신). 이 기술은 특정 메시지를 로컬 수준에서 서로 교환하기 위해 특별히 개발되었다. 이러한 데이터 교환은 또한 보안이 중요한 데이터에도 관련되고, 셀 내의 이동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한 번 과부하가 걸릴 때 또는 이동 무선 통신 네트워크 커버리지가 불량한 지역에서도 기능한다. 또한, IEEE 802.11p에 따른 WLAN 기술은 온보드 유닛(31)에 통합되어 있다.
IEEE 802.11p 기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위해 표준의 다양한 사양이 참조된다.
LTE 모바일 무선 기술에서 HARQ 프로세스와 관련하여 종종 소프트 결합 기술이 사용된다. 무선 통신 중에 데이터는 에러 방지와 함께 전송된다.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구에 해당하는 HARQ 프로세스는 전송된 데이터 블록당 에러 방지 데이터의 개수와 원하는 데이터 처리량 간의 좋은 절충안이다. 많은 에러 방지 데이터가 추가될수록, 단위 시간당 전송될 수 있는 사용자 데이터 개수가 줄어든다. 이러한 이유로, LTE에서 HARQ 방법은 에러 방지에도 불구하고 복원될 수 없었던 전송 블록이 필요한 경우 여러 번 반복된 후에 구현되고, 각 반복 시에 에러 방지는 연속적으로 증가된다.
이는 데이터 블록이 또는 이동 무선 통신 표준 언어 사용의 경우 전송 블록이 일반적으로 순방향 에러 정정(FEC)(Forward Error Correction) 데이터에 의해 보호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신기는 FEC 데이터를 사용하여 전송 블록을 디코딩하려고 시도한다. 이것이 성공적이지 않은 경우, 송신기는 추가적인 리던던시, 즉, 더 많은 에러 방지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요구된다. 원래 수신된 데이터 및 추가적인 리던던시에 의해 새로운 디코딩 시도가 시작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HARQ 프로세스는 데이터 전송에서 요구되는 신뢰도를 보장하기 위한 중심 요소이다. 이는 송신기 측에 설치되며, 수신기의 응답에 기초하여, 전체 전송의 견고성을 증가시키는 추가적인 데이터를 적응적으로 송신한다. HARQ 프로세스 이후의 패킷 에러율은 상당히 낮다. 그러나, HARQ 프로세스는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이에 따라 데이터 전송의 지연 속도를 증가시킨다.
다음에서는 문제를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2개의 종래의 접근 방법을 설명한다. 첫째는, 상태 메시지가 수신자에 의해 독립적으로 처리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IEEE 802.11p 표준을 통해 전송되는 이미 언급된 CAM 메시지가 언급된다. 둘째는, 이동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소프트 결합 기술이 설명된다. 소프트 결합 기술은 이동 무선 통신에서, 특히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구)(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LTE에서 집중적으로 사용되는데, 왜냐하면 신호 대 잡음비의 개선을 위해 시간 다이버시티(time diversity)를 이용하고 수신기에서 독립적인 채널의 관측치를 결합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각각의 설치된 차량은 C2C 통신 영역에서 초당 10개의 CAM 상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러한 상태 메시지에서 차량은 주위에 예를 들어 위치, 속도 등과 같은 자체의 현재 상황을 알린다. 상태 메시지는 송신측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프로세싱되고(채널 코딩, 변조 등) 그리고 또한 수신기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처리된다. 연속적인 상태 메시지의 컨텐츠의 대부분이 동일하다는(헤더, 변경되지 않은 데이터, 등) 사실은 여기서 고려되지 않는다. 각 상태 메시지가 완전히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변하지 않는 정보의 생략은 가능하지 않다. 여기서는 또한 다이버시티가 사용되지 않는다.
이동 무선 통신에서의 소프트 결합의 경우, 수신자에게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시간 다이버시티가 집중적으로 사용된다. 단순화를 위해, 주어진 유용한 신호의 동일한 표현이 2개의 상이한 시점에서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매우 간단한 방식이 고려된다. 상이한 시간에서의 채널 구현이 서로 독립적인 것으로 가정된다. 송신기는 2개의 다른 시점에 신호를 전송한다(반복 방식). 수신기는 상이한 채널 구현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방해되는 신호의 2개의 전송을 수신한다.
이는 도 2에 도시된다. 유용한 신호는 여기서 x1으로 표시되어 있다. 유용한 신호에 중첩되는 방해 신호는 도 1에서 제1 전송 시 n1으로 표시되고, 제2 전송 시에는 n2로 표시된다. 독립적으로 프로세싱될 때 양 신호가 채널 디코더, 데이터 링크 계층의 처리 체인의 마지막 단계에서 유효한 디코더 결과를 발생시키지 않는 경우가 고려된다. 이제,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된다. 2개의 수신 신호의 수신된 신호값은 중첩된 신호로 결합된다. 이는 신호값의 소위 구조적인 결합이다. 가장 단순한 경우에, 이러한 동작은 "동등 이득 결합(equal gain combining)"이라 지칭되며, 이 경우 수신 신호의 신호값은 평형 방식으로 가산된다. 종종 구조적인 결합에 "최대 비율 결합" 방법이 사용된다. 이 경우, 신호값은 수신 관측의 신호 대 잡음비로 가중치가 부여된 다음 가산된다. 그 결과는 도 2에서 참조 부호(y)로 표시된다. 이는 전형적으로 연속값(소위 로그 우도비의 형태의 소위 말하는 소프트 정보)으로 이루어지며, 전체 관측이 형성되는데, 이 전체 관측은 2개의 부분 관측을 구조적으로 고려하는데, 즉, 2개의 부분 관측은 결합되기 전에 올바른 위상 위치로 되어야 한다. 전체 관측이 채널 디코더에 다시 제공된다. 성공적인 디코딩 공정을 위한 확률은 현재 상당히 높다. 이는 유용한 부분은 양 수신 신호에서 상관되는 반면, 부가적인 노이즈로 모델링되는 왜곡은 상관이 없기 때문이다. 결합된 신호의 신호 대 간섭능력비는 각 신호의 신호 대 간섭능력비보다 3dB까지 더 높다.
양 수신 정보(y1 및 y2)는 HARQ 프로세스의 범주에서 결합된다. 다음 사항이 적용된다:
수신 신호 1: y1 = x1 + n1
수신 신호 2: y2 = x1 + n2
2개의 수신 신호(y1 및 y2)가 개별적으로 평가된다면, 제공된 에러 방지에 의해 보정될 수 없는 잡음 성분 및 이에 의해 야기된 에러로 인해 y1 및 y2는 에러 없이 평가될 수 없다. 소프트 결합 기술의 원리는 2개의 수신된 신호를 가산하면 신호 대 잡음비가 향상되므로 이를 통해 결합된 신호 내의 페이로드를 에러 없이 계속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가산을 통해 결과로서 아래가 얻어진다.
y = 2 * x1 + n1 + n2
이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수신 신호(y1 및 y2)에서 에러가 있는 지점은 해칭선으로 도시된다. 가산을 통해 상황이 개선되는데, 왜냐하면 y1 신호에서 에러가 있는 지점은 Y2 수신 신호에서 정확하고 반대로 y2 신호에서 에러가 있는 지점은 y1 신호에서 정확하기 때문이다. 이는 에러 방지를 포함하는 유용한 부분이 양 수신 신호 모두에서 상관되는 반면, 부가적인 잡음으로 간주되는 왜곡은 상관이 없기 때문이다. 결합된 신호의 신호 대 간섭능력비는 여기서 각 개별 신호의 신호 대 간섭능력비보다 3dB까지 더 높다.
도 4는 WLAN p를 통한 통신을 위해 설계된 온보드 유닛(31)의 부분을 도시한다. 도 4의 좌측 부분은 전송을 위해 전송 블록을 처리하는 권한을 갖는 송신국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4의 우측 부분에는, 수신국의 수신측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송신측의 컴포넌트가 설명된다. 참조 번호(302)에 의해 채널 코딩을 위한 블록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블록은 전송 블록의 고유한 사용자 데이터에 에러 방지를 추가한다. 이 예에서, 에러 방지 코드로서 리드 솔로몬 부호(Reed-Solomon-Code)가 계산되고, 고유한 사용자 데이터에 에러 방지 데이터의 블록으로서 추가된다. RS 코드는 2개의 목적, 에러 수정 및 에러 검출을 모두 수행한다. 수신 신호에 너무 많은 에러 관련 비트가 발생한 경우, RS 코드는 이들 에러 비트를 더 이상 수정할 수는 없지만, 어떤 경우에는 어떤 비트에 에러가 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완전히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은 송신 버퍼(304)로 시프트된다. 상태 메시지(1)에 대해 부호화된 신호가 전송되기 전에, 블록(305)에서 완전 부호화된 상태 메시지(2)에 대한 비트별 차이가 제1 부호화된 데이터 블록에 대해 계산된다. 이 델타 신호는 또한 채널 코딩에 의해 에러 방지가 제공된다. 여기서, 데이터 블록의 사용자 데이터에 대한 것보다 더 높은 에러 방지가 생성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목적을 위해 RS 코드가 또한 더 긴 길이로 사용될 수 있다. 델타 신호가 제공된 이러한 데이터 블록은 마찬가지로 송신 버퍼 메모리(308)에 저장된다. 여기로부터, 송신될 데이터 블록이 취출된다. 이것이 발생할 때, 소위 레이트 매칭 블록(306)이 결정된다. 변조 및 송신 유닛(308)에서의 변조 및 송신 신호 처리 및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 프레임의 방출은 송신 안테나(310)에 의해 수행된다. 전송 기술로서, WLAN에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술이 사용된다. 이는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또는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에 의해 데이터 심볼이 개별 반송파로 변조되는 알려진 멀티 캐리어 전송 기술이다. 추가의 데이터 프레임의 방출을 위해, 유용한 신호 및 데이터 프레임의 생성된 델타 신호가 함께 변조되어 전송된다.
수신기 측에서, 안테나(320)를 통해 수신된 신호는 수신 및 복조 유닛(322)에서 평가된다. 수신 신호는 또한 일반적으로 에러가 있다. 신호는 복조 후에 소위 로그 우도 소프트 결정 정보 블록(Log Likelihood Soft Decision Information Block)의 형태로 이용 가능하다. 복조된 심볼의 각 비트는 여기서 "경판정(hard decision)"에 의해 고정값 "1"과 "0"으로 분할되는 것이 아니라, 어떤 확률로 값이 "1"인지 또는 "0"인지를 나타내는 확률값이 결정된다. 계속해서 이 확률값의 비율에 대한 밑이 10인 로그가 형성된다. 이 정보 블록은 수신 버퍼(326)에 도달하고 여기에 저장된다. 정보 블록은 또한 채널 디코딩 유닛(324)에 제공된다. 정보 블록이 에러 없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는 경우에만, 이는 수신국에서 다음 컴포넌트들로 포워딩된다. 그렇지 않으면 다음 정보 블록이 대기한다. 다음 정보 블록이 또한 에러 없이 디코딩될 수 없는 경우, 다음이 수행된다. 이때 델타 적용 유닛(328)에서, 제2 정보 블록의 평가 동안 복원된 델타 신호가 여전히 수신 버퍼(326)에 존재하는 제1 정보 블록에 적용된다. 델타 신호는 높은 에러 방지가 제공되기 때문에 종종 복원될 수 있다.
델타 신호는 비트 플립핑(bit flipping)에 의해 적용된다. 즉, 델타 신호를 나타내는 지점에서 "1"로부터 "0"이 설정되거나 또는 "0"으로부터 "1"이 형성된다. 정보 블록이 로그 우도비 정보 블록으로서 존재할 때, 비트 플립핑은 해당 비트 위치에서의 부호 변화에 의해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제1 정보 블록으로부터, 제2 정보 블록의 정보 내용(유용한 신호와 그 에러 방지의 합산)에 대응하는 정보 블록을 만든다. 이를 통해 양 정보 블록은 비교 가능하며 소프트 결합을 통해 더 처리될 수 있다. 이는 또한 블록(330)에서 수행된다. 소프트 결합 유닛(330)에서, 변환된 제1 정보 블록 및 제2 정보 블록이 가산된다. 여기서 즉 확률 비율의 비트별 로그값이 가산된다. 그 결과는 제2 정보 블록의 페이로드를 복원하기 위해 다시 시도하는 채널 디코더(324)에 다시 제공된다. 이는 결합에 의한 신호 대 잡음비를 증가시키는 이미 이전에 기술된 효과 때문에 또한 종종 달성된다. 채널 디코딩이 성공적일 때, 사용자 데이터는 수신국(31)에서 후속 처리 블록으로 전달된다.
도 5는 송신측에서 생성되는 제1 및 제2 정보 블록의 포맷을 도시한다. 상부에는 제1 정보 블록의 포맷이 에러 방지 타입이 표시된 필드(51)로 도시되어 있다. 필드(52)에는 상태 메시지(1)의 고유한 사용자 데이터(NS1)가 있다. 필드(53)에서는 에러 방지 데이터(RS1)가 입력된다. 이 예에서는 리드 솔로몬 부호가 적용된다. 이 에러 방지 코드는 블록 코드이며, 별도의 필드(53)에서 사용자 데이터와 분리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원리는 컨벌루션 코드(convolutional code)가 예를 들어, 터보 코드의 사용 시 FEC 에러 방지 코드로서 사용될 때에도 또한 적용될 수 있고, 여기서 사용자 데이터 및 에러 방지 데이터는 공통 필드에 포함된다.
도 5의 하부에는 제2 정보 블록의 포맷이 도시되어 있다. 필드(52)는 제2 정보 블록의 사용자 데이터(NS2)를 포함한다. 필드(53)에서 NS2에 대한 에러 방지 데이터가 존재한다. 그 다음에는 송신측 블록(305)에서 결정되는 델타 정보가 입력되는 필드(54)가 뒤따른다. 필드(55)에는 델타 정보에 대한 에러 방지 데이터(RS-Delta)가 입력된다. 필드(51)는 RS2 및 RS-Delta에 대한 에러 방지 타입을 포함한다.
도 6은 델타 신호가 수신 버퍼(326)에 저장된 제1 정보 블록의 버전에 어떻게 통합되는지를 도시한다. 이를 위해, 델타 적용 유닛(328)은 제2 정보 블록으로부터 복원된 델타 정보를 사용하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드(52)에서 델타 정보에 의해 표시된 비트 지점에서 에러가 있는 사용자 데이터(NS1Rx)에 의해 그리고 필드(53)에서 잠재적으로 마찬가지로 에러가 있는 에러 방지 데이터(RS1Rx)에 의해 부호 변화함으로써 비트 플립핑의 동작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도 7은 소프트 결합 유닛(330)에서 행해지는 바와 같이, 변환된 제1 정보 블록을 제2 정보 블록과 소프트 결합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소프트 정보는 NS2Rx 및 NS1Rxt에 가산된다. 마찬가지로 소프트 정보는 RS2Rx 및 RS1Rxt에도 가산된다. 결과적인 합산 정보는 NSΣ 및 RSΣ이고, 이들은 채널 디코더(324)에 공급되어 디코딩된다. 성공하면, 페이로드(NS2)는 상위 계층, 수신국의 적용 계층에 전달된다. 이러한 예에서, 에러 방지 부분을 갖는 델타 정보는 정보 블록의 가산 이후에만 결정되는 것으로 상정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이는 이미 사전에 발생할 수 있다.
다시 요약하면:
1. 제1 유용한 신호(CAM-상태 메시지(1))는 송신국에서 처리되고, 종래와 같이 전송된다. 신호는 이를 위해 인코딩되고 변조된다.
2. 하나 또는 n개의 다른 n개의 유용한 신호(예를 들어, n = 9개의 메시지)가 송신자에 의해 처리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유용한 신호의 채널 코딩이 수행된다. 각각의 인코딩된 유용한 신호가 변조되어 전송되기 전에, 제1 코딩된 유용한 신호에 대한 비트 단위의 차이가 계산/생성된다. 그 결과는 선행 메시지의 코딩된 신호와 현재 메시지 사이에서 어떤 비트가 다른지를 설명하고, 다음에서 델타 신호로 언급된다. 또한, 이는 에러 방지에 의한 채널 코딩에 의해 제공되므로, 고유한 메시지와 독립적으로 디코딩될 수 있다. 유용한 신호와 생성된 델타 신호는 함께 변조되고 전송된다.
도 8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수신국에서의 처리 단계들의 시퀀스를 나타낸다.
3. 수신국은 2개의 수신 신호의 동등화(equalization)를 수행하여 신호를 복조하지만, 아직 디코딩하지는 않는다(단계(81 및 82)). 수신국은 먼저 델타 신호를 디코딩하고(단계(83)), 이를 상태 메시지(1)와 대응하는 수신 신호의 소프트 정보에 통합한다(단계(84)). 이는 매우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수신기에서의 관측을 위한 소프트 정보는 일반적으로 로그 우도비(LLR)[log10(p0/p1)로 정의되고, 여기서 log10()은 밑이 10인 로그 함수이고, p0는 현재 수신 신호가 이진값 0을 나타낼 확률이고, p1은 현재 수신 신호가 이진값 1을 나타낼 확률임]로 이용 가능하고, 이는 간단한 부호 변화에 의한 적응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변경된 신호로부터, 수신기는 상태 메시지(2)와 대응하는 수신 신호와의 소프트 결합을 수행한다(단계(85)). 이는 결합된 신호를 디코딩한 다음, 상태 메시지(2)로부터 유용한 신호를 획득한다(단계(86)).
이 시점에서 상태 메시지(1)가 여전히 관심 대상인 경우, 상태 메시지는 델타 신호 및 새로운 디코딩 프로세스를 통해 마찬가지로 복원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델타 정보는 제2 정보 블록에 상호적으로 적용되어 Y2'를 생성한다. 그 후 Y2'와 Y1을 결합하는 단계(85)가 뒤따른다. 페이로드(x1)는 그 후 채널 디코더(324)에서 새로운 디코딩을 통해 획득된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델타 정보는 사용자 데이터 부분과 에러 방지 부분 모두에 관련된다. 그러나 델타 정보가 사용자 데이터 부분에만 관련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이는 델타 신호가 콤팩트할 때 가능하다. 이는 채널 코딩으로서 선형 체계적 코딩(입력 신호가 코딩된 신호의 고정된 사전 설정된 지점에서 발견될 수 있음)이 사용되는 정확히 바로 그 경우이다. 이 경우에, 전송될 델타 정보는 원래 유용한 신호에서의 차이로 제한된다. 이러한 경우 코딩된 신호의 리던던시 부분의 변화는 수신기에 선형 코드로 매우 효율적으로 자체적으로 접근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 방법은 블록 코드에서 그리고 컨벌루션 코드 모두에서 기능한다.
제안된 방법 및 관련 장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특수 프로세서 또는 이들의 조합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특수 프로세서에는 주문형 집적 회로(ASICs)(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축소 명령 집합 컴퓨터(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및/또는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안된 방법 및 장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된다. 소프트웨어는 바람직하게는 프로그램 저장 장치 상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서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CPU),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Random Access Memory) 및 하나 이상의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들)와 같은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 기계이다. 컴퓨터 플랫폼에는 일반적으로 또한 운영 체제도 설치된다. 여기에 설명된 다양한 프로세스 및 기능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일부일 수 있거나 또는 운영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일부일 수 있다.
본 개시는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가 그 기술적 지식과 그리고 본 개시에 속하는 지식을 기초로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을 위한 범위가 존재한다.
10: 인터넷
20: 기지국
30: 차량
31: 온보드 유닛
40: EPC(Evolved Packet Core)
50: 흐름도
51: 헤드부
52: 사용자 데이터 필드
53: 에러 방지 데이터 필드
54: 델타 정보 데이터 필드
55: 델타 에러 방지 데이터 필드
81: 1. 처리 단계
82: 2. 처리 단계
83: 3. 처리 단계
84: 4. 처리 단계
85: 5. 처리 단계
86: 6. 처리 단계
302: 채널 코딩 유닛
304: 송신 버퍼 메모리
305: 델타 정보 생성 유닛
306: 레이트 매칭 유닛
308: 변조 및 송신 유닛
310: 송신 안테나
320: 수신 안테나
322: 수신 및 복조 유닛
324: 채널 디코딩 유닛
326: 수신 버퍼 메모리
328: 델타 정보 적용 유닛
330: 소프트 결합 유닛

Claims (15)

  1. 송신국(31)으로부터 수신국(31)으로 데이터 블록을 디지털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송신국에서 상기 데이터 블록에 에러 방지 데이터가 제공되고, 에러 방지가 제공된 상기 데이터 블록은 방해된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수신국으로 전송되며,
    적어도 하나의 추가 데이터 블록의 전송을 위해, 어떤 지점에서 상기 추가 데이터 블록이 선행 데이터 블록과 상이한지가 상기 송신국에서 결정되고,
    어떤 지점에서 상기 추가 데이터 블록이 선행 데이터 블록과 상이한지를 결정함으로써 얻어진 델타 정보에 자체의 에러 방지 데이터가 제공되며,
    상기 델타 정보는 에러 방지가 제공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데이터 블록에 추가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확장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데이터 블록은 상기 방해된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수신국(31)으로 전송되고,
    수신된 선행 데이터 블록, 및 에러 방지 부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된 추가 데이터 블록은 상기 수신국(31)에 저장되며(81, 82),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된 추가 데이터 블록의 상기 델타 정보가 먼저 복원되고(83),
    상기 저장된 선행 데이터 블록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데이터 블록과 비교될 수 있게 하는 형태로 변환하기 위해, 상기 델타 정보가 상기 저장된 선행 데이터 블록에 적용되며(84),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데이터 블록 및 상기 변환된 선행 데이터 블록은 결합되고(85),
    상기 결합된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상기 추가 데이터 블록의 페이로드가 복원되는(86)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블록을 디지털 전송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델타 정보에 상기 추가 데이터 블록보다 더 높은 에러 방지가 제공되는 것인, 데이터 블록을 디지털 전송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델타 정보는, 코딩된 추가 데이터 블록의 어떤 지점에서 데이터 정보가 선행 코딩된 데이터 블록과 상이하게 설정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인, 데이터 블록을 디지털 전송하기 위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정보는 비트 정보에 대응하는 것인, 데이터 블록을 디지털 전송하기 위한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선행 데이터 블록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된 추가 데이터 블록은 디지털 복조 이전에 또는 이후에 각각 샘플링된 신호의 형태로 저장되는 것인, 데이터 블록을 디지털 전송하기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선행 데이터 블록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된 추가 데이터 블록은 복조 이후에 각각 로그 우도비 소프트 정보 블록(log likelihood ratio soft information block)의 형태로 저장되는 것인, 데이터 블록을 디지털 전송하기 위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델타 정보는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데이터 블록에 상호적으로 적용되고, 상기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데이터 블록 및 상기 선행 데이터 블록은 결합되는 것인, 데이터 블록을 디지털 전송하기 위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은 결합될 데이터 블록들의 서로 대응하는 소프트 정보값들의 가산(addition)에 대응하는 것인, 데이터 블록을 디지털 전송하기 위한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데이터 블록 또는 상기 선행 데이터 블록을 복원하기 위해 상기 결합된 데이터 블록의 채널 디코딩이 수행되는 것인, 데이터 블록을 디지털 전송하기 위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델타 정보는 상기 추가 데이터 블록의 사용자 데이터 필드(52)의 어떤 지점에서 데이터 정보가 선행 코딩된 데이터 블록의 사용자 데이터 필드(52)와 상이하게 설정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인, 데이터 블록을 디지털 전송하기 위한 방법.
  11. 데이터 블록에 에러 방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채널 코딩 유닛(302)을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방법에 적용되기 위한 송신국에 있어서,
    상기 송신국(31)은, 적어도 하나의 추가 데이터 블록의 전송을 위해, 어떤 지점에서 상기 추가 데이터 블록이 선행 데이터 블록과 상이한지를 결정하는 처리 유닛(305)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코딩 유닛(302)은, 어떤 지점에서 상기 추가 데이터 블록이 선행 데이터 블록과 상이한지를 결정함으로써 얻어진 델타 정보에 자체의 에러 방지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델타 정보를 에러 방지가 제공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데이터 블록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국.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코딩 유닛(302)은, 상기 델타 정보에 상기 추가 데이터 블록의 정보보다 더 높은 에러 방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국.
  13. 제1항에 따른 방법에 적용되기 위한 수신국에 있어서,
    상기 수신국(31)은:
    선행 데이터 블록, 및 에러 방지 부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된 추가 데이터 블록을 저장하는 저장 수단(326),
    상기 저장된 선행 데이터 블록 및 적어도 하나의 확장된 추가 데이터 블록을 디코딩하는 채널 디코딩 유닛(324)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된 추가 데이터 블록의 델타 정보가 우선 디코딩되는, 상기 채널 디코딩 유닛(324),
    상기 저장된 선행 데이터 블록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데이터 블록과 비교될 수 있게 하는 형태로 변환하기 위해, 상기 델타 정보를 저장된 상기 선행 데이터 블록에 적용하는 처리 유닛(328), 및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데이터 블록 및 상기 변환된 선행 데이터 블록을 결합하는 결합 유닛(330)
    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디코딩 유닛(324)은 상기 추가 데이터 블록의 페이로드를 복원하기 위해 상기 결합된 데이터 블록을 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국.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수단(326)은, 상기 수신된 선행 데이터 블록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된 추가 데이터 블록을 복조 이후에 각각 로그 우도비 소프트 정보 블록의 형태로 저장하는 것인, 수신국.
  15.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에 제11항에 따른 송신국(31) 또는 제13항에 따른 수신국(31)이 메시지의 교환을 위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KR1020170102469A 2016-08-16 2017-08-11 송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 데이터 블록을 디지털 전송하기 위한 방법, 송신국, 수신국 및 상기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자동차 KR1019551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15238 2016-08-16
DE102016215238.6 2016-08-16
DE102016225224.0A DE102016225224B3 (de) 2016-08-16 2016-12-16 Verfahren zur digitalen Übertragung von Datenblöcken von einer Sendestation zu einer Empfangsstation sowie Sendestation, Empfangsstation und Kraftfahrzeug zur Verwendung bei dem Verfahren
DE102016225224.0 2016-1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488A KR20180019488A (ko) 2018-02-26
KR101955105B1 true KR101955105B1 (ko) 2019-03-06

Family

ID=60951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2469A KR101955105B1 (ko) 2016-08-16 2017-08-11 송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 데이터 블록을 디지털 전송하기 위한 방법, 송신국, 수신국 및 상기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자동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62843B2 (ko)
EP (1) EP3293903B1 (ko)
KR (1) KR101955105B1 (ko)
CN (1) CN107769890B (ko)
DE (1) DE102016225224B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47607A (zh) * 2020-08-11 2021-09-03 株式会社电装 车辆间消息处理装置及方法
US11263894B1 (en) * 2020-09-03 2022-03-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5G mobile device based regional patrolling over highway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79312A1 (en) 2006-01-23 2008-11-13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jointly decoding messages based on apriori knowledge of modified codeword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5734B (fi) * 1998-07-03 2000-09-29 Nokia Networks Oy Automaattinen uudelleenlähetys
US6728920B1 (en) * 1999-05-24 2004-04-27 Adaptive Broadband Corporation Method for correcting errors in transfer of information
US6526278B1 (en) 2000-03-03 2003-02-25 Motorola, Inc. Mobile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polarization diversity combining
US7437654B2 (en) 2000-11-29 2008-10-14 Lucent Technologies Inc. Sub-packet adap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211837A1 (en) * 2000-12-04 2002-06-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Unequal error protection in a packet transmission system
US7693179B2 (en) * 2002-11-29 2010-04-06 Panasonic Corporation Data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a constellation rearrangement
US8107542B1 (en) 2004-04-16 2012-01-31 Marvell International Ltd. Soft decoding of coded bit-streams
EP1811711A1 (en) * 2006-01-23 2007-07-25 Motorola, Inc., A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Apparatus and methods for handling a message difference prior to decoding based on apriori knowledge of modified codeword transmission
US8381061B2 (en) * 2007-03-06 2013-02-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re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1461958B1 (ko) * 2007-06-29 2014-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8259866B2 (en) * 2008-01-04 2012-09-04 Qualcomm Incorporated Decoding scheme using A-priori information about transmitted messages
JP5298648B2 (ja) * 2008-06-06 2013-09-25 富士通株式会社 送信機及び受信機並びに送信方法及び受信方法
JP5156128B2 (ja) * 2008-06-13 2013-03-06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および装置
KR20100050072A (ko) * 2008-11-05 2010-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압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시스템
EP2403174B1 (en) 2010-06-29 2013-10-30 Alcatel Lucent Method for transmission of data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first network node and second network node thereof
DE102011002823B4 (de) * 2011-01-18 2012-08-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Verarbeiten von über einen Kommunikationskanal übertragenen Datenpaketen
US8930800B2 (en) * 2012-08-14 2015-01-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of triple-decoding for IEEE 802.11p physical layer mechanism
CN104917590B (zh) * 2015-06-09 2017-12-12 西安长远电子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信道编码纠错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79312A1 (en) 2006-01-23 2008-11-13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jointly decoding messages based on apriori knowledge of modified codeword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769890A (zh) 2018-03-06
EP3293903A3 (de) 2018-06-20
DE102016225224B3 (de) 2018-02-01
EP3293903A2 (de) 2018-03-14
US10462843B2 (en) 2019-10-29
KR20180019488A (ko) 2018-02-26
US20180054849A1 (en) 2018-02-22
EP3293903B1 (de) 2020-01-08
CN107769890B (zh) 2020-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20849B (zh) 在无线通信系统的至少两个参与者之间数据通信的方法
KR100864810B1 (ko)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980998B1 (en) Cooperative antenna-diversity radio receiver
WO2010053695A2 (en) Method for cooperative relaying within multi hop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u et al. Joint fuzzy relays and network-coding-based forwarding for multihop broadcasting in VANETs
CN102761404A (zh) 车用终端和基于此终端的通信方法
CN113411174B (zh) 一种通信方法及通信装置
KR101955105B1 (ko) 송신국으로부터 수신국으로 데이터 블록을 디지털 전송하기 위한 방법, 송신국, 수신국 및 상기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자동차
US10491246B2 (en) Soft decision decod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JP5716697B2 (ja) 無線通信装置
Ren et al. Differential successive relaying scheme for fast and reliable data delivery in vehicular ad hoc networks
Zeng et al. VehCom: Delay-guaranteed message broadcast for large-scale vehicular networks
Mirani et al. Improving delay-based data dissemination protocol in VANETs with network coding
Wu et al. Network coding assisted cooperative relay scheme for sender-oriented broadcast in VANETs
KR101420529B1 (ko) 네트워크 코딩을 이용한 차량간 비콘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US20100202338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device using the same
Diem et al. Cooperative distributed STBC transmission scheme for multi-hop V2V communications
Abdullah et al. Systematic raptor codes for safety broadcast in an unsaturated vehicular highway environment
US20220394440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for a vehicle
Abdullah et al. Raptor codes‐aided relaying for vehicular infotainment applications
CN105453438B (zh) 软判决解码方法和其系统
JP512168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中継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EP3501147B1 (en) Aggregating received data
US10812227B2 (en)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via a disrupted radio channel and receiving unit and transmitting unit for use in the method
Muhammad et al. Timely and efficient multihop broadcast scheme for reliable inter-vehicular commun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