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939B1 -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939B1
KR101954939B1 KR1020170144528A KR20170144528A KR101954939B1 KR 101954939 B1 KR101954939 B1 KR 101954939B1 KR 1020170144528 A KR1020170144528 A KR 1020170144528A KR 20170144528 A KR20170144528 A KR 20170144528A KR 101954939 B1 KR101954939 B1 KR 101954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leeve
opening
sleeve
gripp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기
김정훈
김형기
양회삼
윤성철
전광헌
황성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4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63B9/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22Sealing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는, 양 측에 각각 서로 연통되는 제1 개구와 제2 개구가 형성되어 배관 슬리브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통 형상의 하우징과, 제2 개구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배관 슬리브의 외주면을 파지하는 파지부와, 하우징 또는 파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설치면에 접하는 제1 개구를 향하여 배관 슬리브를 이동시키는 롤러부, 및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면에 설치홀을 타공하고 설치홀에 배관 슬리브를 고정하는 용접토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Piping sleeve installation device}
본 발명은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면에 배관 슬리브의 직경에 대응하는 설치홀을 타공하고, 타공된 설치홀에 배관 슬리브를 삽입 및 고정할 수 있는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상(onshore) 및 해상(offshore)에서 선박 블록의 제작과 같은 작업 시, 유체의 이송이나 전원의 공급을 위한 전선류의 설치를 위하여 각종 배관이 설치된다. 이러한 배관은 대부분 데크나 격벽과 같은 벽체를 관통하여 목적으로 하는 장소까지 연장된다. 이 때, 배관의 관통에 따른 벽체의 응력 집중 현상 방지, 배관의 손상 방지 등의 이유로 벽체에 배관의 외측을 둘러싸는 슬리브(sleeve)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에는 슬리브의 설치 시, 먼저, 작업자가 벽체를 타공하였으며, 타공된 설치홀에 슬리브를 끼워넣은 후 벽체와 슬리브의 접촉면을 따라 용접으로 고정하였다. 그러나, 작업자가 벽체를 직접 타공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정밀성이 저하되어 설치홀과 슬리브의 직경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설치홀과 슬리브의 직경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설치홀을 다시 타공하거나 슬리브를 일부 가공해야 하므로, 시공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슬리브의 직경에 대응하는 설치홀의 타공이 용이하고, 시공 시간 및 비용을 단축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0374호 (2014. 05. 2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설치면에 배관 슬리브의 직경에 대응하는 설치홀을 타공하고, 타공된 설치홀에 배관 슬리브를 삽입 및 고정할 수 있는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는, 양 측에 각각 서로 연통되는 제1 개구와 제2 개구가 형성되어 배관 슬리브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통 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제2 개구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배관 슬리브의 외주면을 파지하는 파지부와,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파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설치면에 접하는 상기 제1 개구를 향하여 상기 배관 슬리브를 이동시키는 롤러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설치면에 설치홀을 타공하고 상기 설치홀에 상기 배관 슬리브를 고정하는 용접토치를 포함한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2 개구의 둘레와 중첩되는 고정링과, 일단부가 상기 고정링에 힌지 결합되며 인접한 하나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파지날개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날개는 상기 고정링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개구의 상방으로 펼쳐지거나 오므려지며 상기 배관 슬리브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파지날개 중 적어도 하나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배관 슬리브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정렬되어 상기 배관 슬리브를 상기 제1 개구 측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날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날개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가형성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관통구에 수용되어 상기 가이드날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링은 탄성체로 형성되어 파지날개를 상기 배관 슬리브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는, 상기 용접토치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관 슬리브의 직경에 대응하여 상기 용접토치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설치면에 압착하여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면에 배관 슬리브의 직경에 대응하는 설치홀을 타공하고, 타공된 설치홀에 배관 슬리브를 삽입 및 고정할 수 있다. 설치홀의 타공과 배관 슬리브의 삽입 및 고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시공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시공 시 오차 발생을 줄일 수 있어 작업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를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파지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파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6은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는 설치면에 배관 슬리브의 직경에 대응하는 설치홀을 타공하고, 타공된 설치홀에 배관 슬리브를 삽입 및 고정하는 장치로, 예를 들어, 육상 및 해상에서 선박 블록의 제작 작업 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배관 슬리브라 함은, 배관의 관통에 따른 설치면의 응력 집중 현상과 배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통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중앙에 배관이 관통할 수 있다.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는 설치홀의 타공과 배관 슬리브의 삽입 및 고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시공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시공 시 오차 발생을 줄일 수 있어 작업 효율이 증대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를 종 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파지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1)는 하우징(10)과, 파지부(20)와, 롤러부(30), 및 용접토치(4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설치면(B)에 지지되는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1)의 본체로, 중앙이 관통된 통 형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하우징(10)은 양 측에 각각 서로 연통되는 제1 개구(10a)와 제2 개구(10b)가 형성되어 배관 슬리브(도 6의 S 참조)의 외주면을 둘러쌀 수 있다. 도면 상에는 하우징(10)이 원통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하우징(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고정부(60)에 의해 설치면(도 6의 B 참조)에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부(60)는 하우징(10)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결합되어 하우징(10)을 설치면(B)에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60)가 하우징(10)을 설치면(B)에 고정함으로써, 원하는 작업 부위에 설치홀(H)을 타공하고, 타공된 설치홀(H)에 배관 슬리브(S)를 삽입 및 고정하는 작업이 오차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60)의 형상은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하우징(10)을 설치면(B)에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개구(10a)와 제2 개구(10b)는 하우징(10)의 일 측과 타 측, 예를 들어, 하면과 상면을 각각 관통하며, 서로 연통된다. 따라서, 하우징(10)은 내부에 배관 슬리브(S)를 수용하여 배관 슬리브(S)의 외주면을 둘러쌀 수 있다. 이 때, 제1 개구(10a)는 설치면(B)과 접하며,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2 개구(10b)에는 파지부(20)가 설치된다.
파지부(20)는 배관 슬리브(S)의 외주면을 파지하는 것으로, 링 형상을 이루며 제2 개구(10b)의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즉, 파지부(20)는 제2 개구(10b)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배관 슬리브(S)의 외주면을 파지하며, 배관 슬리브(S)는 파지부(20)에 의해 파지되어 일단부가 제2 개구(10b) 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파지부(20)는 고정링(21)과 복수 개의 파지날개(22)를 포함한다.
고정링(21)은 링 형상의 부재로, 제2 개구(10b)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제2 개구(10b)의 둘레와 완전히 중첩될 수 있다. 즉, 고정링(21)은 일정한 곡률을 갖는다. 고정링(21)은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링(21)의 일 측에 결합되는 제1 홀더(21a)에 의해 지지된다. 제1 홀더(21a)는 제2 개구(10b)의 둘레를 따라 하우징(10)과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홀더(21a)가 하우징(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1 홀더(21a)는 하우징(10)과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링(21)에는 복수 개의 파지날개(22)가 힌지 결합된다.
파지날개(22)는 배관 슬리브(S)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일단부가 고정링(21)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배관 슬리브(S)에 밀착될 수 있다. 이 때, 파지날개(22)는 일단부에 형성된 제2 홀더(22a)를 통해 고정링(21)에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홀더(22a)는 고정링(21)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만곡되되 서로 이격된 제1 홀더(21a)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링(21)을 따라 자연스럽게 정렬될 수 있다. 그러나, 파지날개(22)의 회전 상태에 따라 제2 홀더(22a)와 고정링(21)의 정렬 상태가 깨질 수도 있으며, 이 때, 고정링(21)은 제2 홀더(22a) 내측에서 굴절되어 비틀린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링(21)은 탄성체로 형성되므로, 파지날개(22)의 회전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굴절되면서 비틀린 부분이 원래대로 복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홀더(22a)는 스스로 정렬되어 파지날개(22)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즉, 제2 홀더(22a)의 정렬작용에 의해 파지날개(22)는 지속적으로 원래의 위치를 유지하며, 이로 인해, 각각의 파지날개(22)는 배관 슬리브(S)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파지날개(22)는 각각 고정링(2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 개구(10b)의 상방으로 펼쳐지거나 제2 개구(10b)의 내측으로 오므려지며 배관 슬리브(S)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되는 배관 슬리브(S)의 직경이 큰 경우, 복수 개의 파지날개(22)는 각각 고정링(2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 개구(10b)의 상방으로 일부 펼쳐질 수 있다. 반대로, 파지되는 배관 슬리브(S)의 직경이 작은 경우, 복수 개의 파지날개(22)는 각각 고정링(2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 개구(10b)의 내측으로 일부 오므려질 수 있다. 이 때, 필요에 따라 배관 슬리브(S)와 접하는 파지날개(22)의 타단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논슬립부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될 수도 있다. 논슬립부재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거나 마찰면으로 형성되어 배관 슬리브(S)의 외주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파지날개(22)는 제2 개구(10b)의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데, 이 때, 인접한 하나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파지날개(22)는 인접한 파지날개(22)와 일부가 중첩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 때, 서로 인접한 파지날개(22) 사이의 형성된 중첩영역은 배관 슬리브(S)의 직경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관 슬리브(S)의 직경이 큰 경우, 파지날개(22)의 중첩영역이 작아지고, 반대로, 배관 슬리브(S)의 직경이 작은 경우, 파지날개(22)의 중첩영역이 커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파지날개(22)가 인접한 파지날개와 일부가 중첩되도록 이격됨으로써, 다양한 직경의 배관 슬리브(S)를 파지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 또는 파지부(2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롤러부(30)가 설치될 수 있다. 롤러부(30)는 설치면(B)에 접하는 제1 개구(10a)를 향하여 배관 슬리브(S)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하우징(10) 또는 파지부(20)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파지부(20)에 의해 제2 개구(10b) 측으로 삽입된 배관 슬리브(S)를 설치면(B)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제1 개구(10a) 측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롤러부(30)가 설치됨으로써, 배관 슬리브(S)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롤러부(30)가 파지부(20)에 설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보다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복수 개의 파지날개(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가이드날개(23)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날개(23)는 배관 슬리브(S)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으로, 파지날개(22)의 중앙에 배치되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파지날개(22)는 중앙 일부가 관통되어 'U'자 형상을 이루며, 가이드날개(23)는 파지날개(22)의 관통된 중앙에 개재되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파지날개(22)의 관통된 중앙의 너비는 복수 개의 파지날개(22)가 최대한 오므려졌을 때 인접한 파지날개(22)와 서로 중첩되지 않는 간격일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파지날개(22)가 최대한 오므려지더라도 가이드날개(23)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펼쳐질 수 있다. 또한, 가이드날개(23)의 일단부는 배관 슬리브(S)에 밀착되는 파지날개(22)의 타단부 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파지날개(22)가 고정링(2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 개구(10b)의 내측으로 오므려지면, 가이드날개(23)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배관 슬리브(S)가 이동하는 방향, 즉, 배관 슬리브(S)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정렬되며 배관 슬리브(S)를 제1 개구(10a) 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날개(23)에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23a)가 형성될 수 있으며, 롤러부(30)는 관통구(23a)에 수용되어 가이드날개(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롤러부(30)는 회전축이 배관 슬리브(S)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날개(23)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배관 슬리브(S)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정렬되면, 롤러부(30)는 배관 슬리브(S)의 외주면에 접하며 회전하여 배관 슬리브(S)를 이동시킬 수 있다. 롤러부(30)의 힌지축에는 별도의 동력발생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어 롤러부(30)의 회전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날개(23)에 복수 개의 관통구(23a)가 형성되는 경우, 복수 개의 관통구(23a)는 배관 슬리브(S)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내측에는 용접토치(40)가 설치될 수 있다. 용접토치(40)는 설치면(B)에 배관 슬리브(S)의 직경에 대응하는 설치홀(H)을 타공하고 설치홀(H)에 배관 슬리브(S)를 고정하는 것으로, 하우징(10)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용접토치(40)는 통상의 자동 용접 기구(welding orbital machine)일 수 있으며, 하우징(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레일(10c)을 따라 이동하며 설치면(B) 및 배관 슬리브(S)를 향해 레이저 또는 열을 방출하여 타공 및 용접할 수 있다. 파지부(20)가 배관 슬리브(S)를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용접토치(40)가 배관 슬리브(S)의 직경에 대응하는 설치홀(H)을 타공하므로, 설치홀(H)과 배관 슬리브(S)의 직경이 서로 일치하지 않던 종래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설치홀(H)을 다시 타공하거나 배관 슬리브(S)의 일부를 가공할 필요가 없어 시공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설치홀(H)의 타공과 배관 슬리브(S)의 삽입 및 용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용접토치(40)의 일 측에는 각도조절부(50)가 설치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50)는 설치될 배관 슬리브(S)의 직경에 대응하여 용접토치(40)의 시공 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레일(10c)과 용접토치(4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도조절부(50)는 일 측에 용접토치(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 측이 레일(10c)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원 발명의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1)는 복수 개의 파지날개(22)가 펼쳐지거나 오므려지며 다양한 직경의 배관 슬리브(S)를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될 배관 슬리브(S)의 직경에 따라 용접토치(40)의 시공 각도가 달라지게 된다. 각도조절부(50)가 용접토치(40)의 시공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설치홀(H)의 타공과 배관 슬리브(S)의 고정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설치홀(H)의 타공면 및 용접부위의 용접 상태가 균일하여 시공 후 전체적인 심미감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1)는 설치면(B)에 배관 슬리브(S)의 시공이 완료되면, 설치면(B)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1)의 작동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파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1)는 설치면(B)에 배관 슬리브(S)의 직경에 대응하는 설치홀(H)을 타공하고, 타공된 설치홀(H)에 배관 슬리브(S)를 삽입 및 고정할 수 있다. 설치홀(H)의 타공과 배관 슬리브(S)의 삽입 및 고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시공 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오차 발생을 줄일 수 있어 작업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도 4는 배관 슬리브의 직경에 따라 파지날개가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가이드날개와 롤러부가 배관 슬리브를 가이드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의 일 측에는 제2 개구(10b)가 형성되며, 고정링(21)은 제2 개구(10b)의 둘레와 완전히 중첩되게 설치되어 제1 홀더(21a)에 의해 지지된다. 제1 홀더(21a)는 복수 개가 제2 개구(10b)의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되어 하우징(10)과 일체로 형성되며, 이격 배치된 제1 홀더(21a) 사이에는 제2 홀더(22a)가 개재된다. 파지날개(22)는 제2 홀더(22a)에 의해 고정링(21)에 힌지 결합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될 배관 슬리브(S)의 직경(d1)이 큰 경우, 복수 개의 파지날개(22)는 각각 고정링(2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 개구(10b)의 상방으로 일부 펼쳐질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파지날개(22)는 고정링(21)의 탄성력과 제2 홀더(22a)의 정렬작용에 의해 원래의 위치를 유지하려 하며 배관 슬리브(S)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된다. 파지날개(22)가 제2 개구(10b)의 상방으로 일부 펼쳐짐으로써, 파지날개(22)의 중첩 영역이 작아질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배관 슬리브(S)의 직경(d2)이 작은 경우, 복수 개의 파지날개(22)는 각각 고정링(2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 개구(10b)의 내측으로 일부 오므려질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파지날개(22)는 고정링(21)의 탄성력과 제2 홀더(22a)의 정렬작용에 의해 원래의 위치를 유지하려 하며 배관 슬리브(S)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된다. 파지날개(22)가 제2 개구(10b)의 내측으로 일부 오므려짐으로써, 파지날개(22)의 중첩 영역이 커질 수 있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날개(23)는 파지날개(22)의 관통된 중앙에 개재되어 일단부가 파지날개(22)에 힌지 결합되며, 가이드날개(23)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는 관통구(23a)에는 롤러부(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날개(22)가 고정링(2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방으로 펼쳐지면, 가이드날개(23)는 파지날개(22)의 중앙에 개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날개(22)가 고정링(2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내측으로 오므려지면, 가이드날개(23)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배관 슬리브(S)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정렬될 수 있다. 가이드날개(23)가 회전하여 배관 슬리브(S)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정렬됨으로써, 관통구(23a)에 수용된 롤러부(30)가 배관 슬리브(S)의 외주면에 접하며 회전하여 배관 슬리브(S)를 제1 개구(10a)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배관 슬리브(S)는 가이드날개(23)와 롤러부(30)에 의해 가이드되어 설치면(B)에 타공된 설치홀(H)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도 6은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1)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P)이 관통될 설치면(B)의 상면에 설치된다.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1)는 배관(P)의 외측을 둘러쌀 배관 슬리브(S)의 직경에 대응하는 설치홀(H)을 설치면(B)에 타공한 후, 타공된 설치홀(H)에 배관 슬리브(S)를 삽입 및 고정한다. 설치홀(H)의 타공과 배관 슬리브(S)의 삽입 및 고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시공 시간이 단축되고 오차 발생이 줄어 작업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설치홀(H)에 배관 슬리브(S)가 삽입 및 고정되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P)은 배관 슬리브(S)의 중앙을 통과하여 설치면(B)을 관통할 수 있다. 배관(P)이 배관 슬리브(S)를 통해 설치면(B)을 관통함으로써, 설치면(B)의 응력 집중 현상과 배관(P)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 10: 하우징
10a: 제1 개구 10b: 제2 개구
10c: 레일 20: 파지부
21: 고정링 21a: 제1 홀더
22: 파지날개 22a: 제2 홀더
23: 가이드날개 23a: 관통구
30: 롤러부 40: 용접토치
50: 각도조절부 60: 고정부
B: 설치면 H: 설치홀
P: 배관 S: 배관 슬리브

Claims (7)

  1. 양 측에 각각 서로 연통되는 제1 개구와 제2 개구가 형성되어 배관 슬리브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통 형상의 하우징;
    상기 제2 개구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배관 슬리브의 외주면을 파지하는 파지부;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파지부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설치면에 접하는 상기 제1 개구를 향하여 상기 배관 슬리브를 이동시키는 롤러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설치면에 설치홀을 타공하고 상기 설치홀에 상기 배관 슬리브를 고정하는 용접토치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2 개구의 둘레와 중첩되는 고정링과, 일단부가 상기 고정링에 힌지 결합되며 인접한 하나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파지날개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날개는 상기 고정링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2 개구의 상방으로 펼쳐지거나 오므려지며 상기 배관 슬리브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파지날개 중 적어도 하나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배관 슬리브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정렬되어 상기 배관 슬리브를 상기 제1 개구 측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날개를 더 포함하는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날개는 내측면과 외측면을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관통구에 수용되어 상기 가이드날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은 탄성체로 형성되어 파지날개를 상기 배관 슬리브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토치의 일 측에 설치되며, 상기 배관 슬리브의 직경에 대응하여 상기 용접토치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상기 설치면에 압착하여 고정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
KR1020170144528A 2017-11-01 2017-11-01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 KR101954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528A KR101954939B1 (ko) 2017-11-01 2017-11-01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528A KR101954939B1 (ko) 2017-11-01 2017-11-01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4939B1 true KR101954939B1 (ko) 2019-03-06

Family

ID=65760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528A KR101954939B1 (ko) 2017-11-01 2017-11-01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9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7421A (en) * 1980-02-15 1982-08-31 Sumitomo Precision Products Company Limited Automatic pipe circumference welding apparatus
KR101400374B1 (ko) 2014-03-18 2014-05-27 주식회사 코스 냉난방장치용 압축기 통의 냉매관 용접장치
KR20140107811A (ko) * 2013-02-28 2014-09-05 주식회사 동주웰딩 파이프 용접 자동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7421A (en) * 1980-02-15 1982-08-31 Sumitomo Precision Products Company Limited Automatic pipe circumference welding apparatus
KR20140107811A (ko) * 2013-02-28 2014-09-05 주식회사 동주웰딩 파이프 용접 자동화 장치
KR101400374B1 (ko) 2014-03-18 2014-05-27 주식회사 코스 냉난방장치용 압축기 통의 냉매관 용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103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rectional drilling of holes
US10161198B2 (en) Centralizer with integrated stop collar
KR101954939B1 (ko) 배관 슬리브 설치장치
US20180305985A1 (en) Stop collar attachment
KR20060109350A (ko) 천공 장치
JP2011062796A (ja) 樹脂製管路の孔開け方法及びこの方法に使用する連通孔穿孔具と下孔穿孔具
JP2016100937A (ja) アーマロッド着脱工具
US9624745B2 (en) Downhole umbilical release assembly
KR20090046452A (ko) 파이프 절단 장치
CA2392192C (en) Drill locator for locating holes to be drilled in tubes
CN114472961B (zh) 一种锁头孔扩孔定位器及带有该定位器的扩孔装置
KR101825020B1 (ko) 샌드위치 패널의 전기 배선홈 가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배선홈 가공 방법
KR102545251B1 (ko) 배관 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JP5142754B2 (ja) 電線皮剥ぎ器
JPH03196907A (ja) リブ付管への穿孔方法
CN214920760U (zh) 一种钻孔导套组和钻孔装置
KR20220080820A (ko) 파이프 홀 커팅용 가이드 클램프
JP3415507B2 (ja) ケーブル保護管路における既設保護管の取除き工法及びその際に使用する治具
KR102591060B1 (ko) 천공작업용 천공 지지구
KR20150000032U (ko) 라운드 절단용 토치 가이드장치
JP7054303B2 (ja) 撤去装置及び撤去方法
KR200472507Y1 (ko) 바인딩 밴드 결속 장치
CN212351870U (zh) 多点固定方形卡簧
JP6626487B2 (ja) ガイド装置
JP6923879B2 (ja) 拡径孔部付き孔の穿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