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684B1 - 수집 영상이미지 비교를 통한 최적의 영상정보 자동 생성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집 영상이미지 비교를 통한 최적의 영상정보 자동 생성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684B1
KR101954684B1 KR1020180121329A KR20180121329A KR101954684B1 KR 101954684 B1 KR101954684 B1 KR 101954684B1 KR 1020180121329 A KR1020180121329 A KR 1020180121329A KR 20180121329 A KR20180121329 A KR 20180121329A KR 101954684 B1 KR101954684 B1 KR 101954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new
module
display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형
김수영
김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Priority to KR1020180121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0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기(10)와; 디스플레이(20)와; 신규영상선택모듈(30k)과, 신규영상출력모듈(30a)과, 신규객체추출모듈(30b)과, 기존영상출력모듈(30c)과, 신규객체영상중첩모듈(30d)과, 해상도조정모듈(30e)과, 블러링처리기존객체지정모듈(30f)과, 블러링객체표시모듈(30g)과, 표시해제모듈(30h)과, 외곽라인표시모듈(30i) 및, 외곽라인추출모듈(30j)를 갖춘 영상처리기(30)와; 신규객체중첩영상출력모듈(41)과, 외곽라인중첩모듈(42)과, 블러링처리모듈(43)과, 외곽라인삭제모듈(44)을 갖춘 보안처리기(40)와; 블러링처리영상중첩모듈(51)과, 영상비교모듈(52)과, 확인표시모듈(53)을 갖춘 신규객체오차확인장치(50)와; 저장부(61)와, 번호매칭모듈(62)을 갖춘 저장DB(60)를 포함하여, 영상 수집시 가장 정확한 영상을 수집하여 최적의 영상정보를 확보할 수 있고, 신규영상과 갱신영상 간의 오차를 확인하여 보다 정밀하게 영상을 갱신하며, 갱신 영상에 대한 보안처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집 영상이미지 비교를 통한 최적의 영상정보 자동 생성시스템{System Forming Image Data Automatically}
본 발명은 수집 영상이미지 비교를 통한 최적의 영상정보 자동 생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촬영을 통해 획득된 항공영상은 영상처리 과정을 거쳐 지도 제작에 사용된다.
종래에는 다수의 항공영상을 병합하여 하나의 고해상도 영상을 만들고, 상기 병합된 고해상도의 영상(또는 영상이미지)에서 보안 처리할 대상을 보안(블러링) 처리한다.
한편, 종래에는 기존의 영상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영상을 수집할 시, 영상에 오류가 존재하면, 최적의 영상정보를 수집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에는 기존의 영상정보를 갱신할 시, 새로운 신규 영상에 대해 새로 보안 처리 작업을 수행하였는 데, 이와 같은 작업은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고 업무 효율이 현저히 떨어졌다.
따라서, 영상 수집시 가장 정확한 영상을 수집하여 최적의 영상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한편, 기존의 보안 처리 영상에 새로운 신규 객체를 추가하여 작업 시간을 단축 시키며, 이때 신규 객체가 기존의 보안 처리 영상에 중첩되어 병합될 시 최소한의 오차로 병합되도록 하는 발명의 개발이 꾸준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9199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영상 수집시 가장 정확한 영상을 수집하여 최적의 영상정보를 확보할 수 있고, 신규영상과 갱신영상 간의 오차를 확인하여 보다 정밀하게 영상을 갱신하며, 갱신 영상에 대한 보안처리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수집 영상이미지 비교를 통한 최적의 영상정보 자동 생성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력기(10)와, 신규영상과 기존영상을 저장하는 저장DB(60)와, 입력기(1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신규영상과 기존영상을 비교하여 기존영상을 자동으로 갱신하는 영상처리기(30)와, 영상처리기(30)로부터의 출력데이터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20)를 포함하는 수집 영상이미지 비교를 통한 최적의 영상정보 자동 생성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장DB(60)는 동일 지역을 촬영한 다수의 신규영상과 상기 신규영상에 대응하는 기존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61)와, 상기 다수의 신규영상에 번호를 매칭하는 번호매칭모듈(62)을 갖추고,
상기 영상처리기(30)는,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기존영상의 RGB값과, 상기 다수의 신규영상의 RGB값을 각각 비교하여, RGB 차이값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객체를 가장 적게 포함한 신규영상을 자동 선택하는 신규영상선택모듈(30k)과, 신규영상선택모듈(30k)에 의해 자동 선택된 신규영상을 디스플레이에(20)에 출력하거나, 입력기(10)로부터 신규영상 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번호에 따른 신규영상을 디스플레이(20)에 출력하는 신규영상출력모듈(30a)과,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선택신규영상에서 신규객체를 잘라 추출하는 신규객체추출모듈(30b)과,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저장DB(60)에 저장된 기존영상을 디스플레이(20)에 출력하는 기존영상출력모듈(30c)과,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기존영상에 신규객체영상을 중첩하는 신규객체영상중첩모듈(30d)과,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중첩된 고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을 저해상도로 낮추어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을 제작하는 해상도조정모듈(30e)과,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의 픽셀 값을 확인하여, 서로 인접하는 각각의 픽셀이 동일한 픽셀 값을 갖는 객체를 찾아, 블러링처리기존객체로 지정하는 블러링처리기존객체지정모듈(30f)과,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신규객체중첩영상에서 블러링처리기존객체로 지정된 객체를 표시하는 블러링객체표시모듈(30g)과,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된 블러링처리기존객체의 표시를 해제하는 표시해제모듈(30h)과,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에 보안대상의 외곽라인을 그리는 외곽라인표시모듈(30i) 및,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이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되면, 디스플레이(20) 표면을 좌표화한 후,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신규객체중첩영상의 보안대상에 대한 디스플레이(20) 상에서의 상대좌표를 구하여, 상기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추출하는 외곽라인추출모듈(30j)을 갖추는 한편,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고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을 디스플레이(20)에 출력하는 신규객체중첩영상출력모듈(41)과,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신규객체중첩영상출력모듈(41)을 매개로 상기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의 크기에 대응되게 상기 고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을 디스플레이(20)에 출력하고, 디스플레이(20) 표면을 좌표화하여, 상기 상대좌표가 매칭된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상기 고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에 중첩하는 외곽라인중첩모듈(42)과,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외곽라인중첩영상의 보안대상 외곽라인 내를 자동으로 블러링 처리하는 블러링처리모듈(43) 및,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외곽라인중첩영상의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삭제하는 외곽라인삭제모듈(44)을 갖춘 보안처리기(40)와;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선택신규영상과, 블러링처리모듈(43)에서 블러링 처리된 외곽라인중첩영상을, 중첩하는 블러링처리영상중첩모듈(51)과, 블러링처리영상중첩모듈(51)에서 중첩된 선택신규영상과 외곽라인중첩영상의 RGB값을 비교하여, 상기 외곽라인중첩영상 내에서, 상기 선택신규영상의 RGB값과 기준 값 이상 차이나는 RGB값을 갖는 오차발생 지점을 찾는 영상비교모듈(52) 및, 영상비교모듈(52)에 의해 오차발생 지점이 찾아지면,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상기 외곽라인중첩영상의 오차발생지점에 오차발생 표시를 하는 확인표시모듈(53)을 갖춘 신규객체오차확인기(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신규 수집 영상을 기존 영상과 자동 비교하여, 최적의 신규 영상을 확보함으로써, 영상 갱신을 정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적의 신규 영상을 자동으로 찾을 시, 자동으로 찾은 신규 영상에 오류가 있을 경우, 또 다른 대체 신규영상을 신속하게 확인하여 영상을 신속하게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객체가 갱신된 블러링처리영상과, 신규영상내의 RGB값을 비교하여, 블러링처리영상과 신규영상 간의 갱신 오차(중첩 오차)를 확인할 수 있어, 블러링 처리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한 블러링처리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객체를 갱신할 시, 기존의 블러링 처리된 영상을 사용하여, 신규객체에 대한 블러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갱신 영상 제작 시 기존의 블러링 처리 대상을 다시 블러링 처리할 필요가 없어, 갱신 영상 제작 시 블러링 처리 작업이 효율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블러링 처리된 영상에서 블러링처리기존객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블러링처리기존객체 중 불완전한 블러링처리기존객체가 있을 경우, 이를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불완전한 블러링처리기존객체를 찾을 시 신규객체에 대한 블러링 처리와 함께 기존의 불완전한 블러링처리기존객체를 신속하게 블러링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러링 처리 작업 시 해상도를 낮춰 보안대상(블러링 대상)의 외곽라인을 추출함으로써 작업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와 같이 추출한 상기 외곽라인을 통해 보안대상을 신속하게 자동 블러링 처리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블러링처리기존영상에서 기존의 블러링 처리 객체를 확인할 시 저해상도의 신규객체중첩영상을 사용하여, 보다 신속하게 기존의 블러링 처리 객체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안대상의 외곽라인을 추출할 시 디스플레이(20) 표면을 좌표화하여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추출하고, 고해상도의 신규객체중첩영상을 디스플레이(20)에 출력한 후 상기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디스플레이(20)에 출력할 시, 디스플레이(20) 표면을 좌표화하여 상기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디스플레이(20)에 출력함으로써, 고해상도의 신규객체중첩영상에 절대좌표(예를 들어 항공측량을 통한 절대좌표)가 매칭되어 있지 않더라도, 고해상도의 신규객체중첩영상에 상기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중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최적의 영상 수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선택된 고해상도 신규영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임의로 고해상도 신규영상을 선택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a,b)은 도 4의 신규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신규객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기존영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기존영상에 신규객체가 중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고해상도의 신규객체중첩영상을 저해상도로 낮춘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에서 기존 블러링 처리된 객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에서 불완전한 블러링 처리 객체를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에서 블러링 처리할 객체의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표시한 도면이고,
도 13(a,b)은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에서 추출된 블러링 처리할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고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고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에 블러링 처리할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중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블러링 처리된 고해상도의 신규객체중첩영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선택신규영상과 블러링 처리된 신규객체중첩영상을 중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집 영상이미지 비교를 통한 최적의 영상정보 자동 생성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입력기(10)와, 신규영상과 기존영상을 저장하는 저장DB(60)와, 입력기(1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신규영상과 기존영상을 비교하여 기존영상을 자동으로 갱신하는 영상처리기(30)와, 영상처리기(30)로부터의 출력데이터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20)를 포함하는 수집 영상이미지 비교를 통한 최적의 영상정보 자동 생성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장DB(60)는 동일 지역을 유사한 시간대에 촬영한 다수의 신규영상과, 상기 신규영상에 대응하는 기존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61)와, 상기 다수의 신규영상에 번호를 매칭하는 번호매칭모듈(62)을 갖추고,
상기 영상처리기(30)는, 신규영상선택모듈(30k)과, 신규영상출력모듈(30a)과, 신규객체추출모듈(30b)과, 기존영상출력모듈(30c)과, 신규객체영상중첩모듈(30d)과, 해상도조정모듈(30e)과, 블러링처리기존객체지정모듈(30f)과, 블러링객체표시모듈(30g)과, 표시해제모듈(30h)과, 외곽라인표시모듈(30i) 및, 외곽라인추출모듈(30j)을 갖추는 한편,
보안처리기(40)와, 신규객체오차확인기(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입력기(10)는 작동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마우스, 키보드 등 통상의 입력수단이다. 이러한 입력기(10)는 영상처리기(30)와 보안처리기(40)와 신규객체오차확인기(50)에 신호를 입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20)는 영상처리기(30), 보안처리기(40) 및 신규객체오차확인기(50)의 작동에 따른 출력데이타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출력수단이다.
상기 저장DB(60)는 영상처리기(30), 보안처리기(40) 및 신규객체오차확인기(50)의 작동에 따른 출력데이타를 저장하고, 영상처리하기 위한 영상을 저장한다.
상기 신규영상선택모듈(30k)는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기존영상의 RGB값과, 상기 다수의 신규영상의 RGB값을 각각 비교하여, RGB 차이값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객체를 가장 적게 포함한 신규영상을 자동 선택한다. 예를 들어 3개의 신규영상 1,2,3이 존재하고, 기존 영상의 RGB값과 차이나는 객체 수를 신규영상 3, 신규영상 1, 신규영상 2 순으로 각각의 신규영상이 가질 시, 신규영상선택모듈(30k)은 신규영상 2를 최적의 신규영상으로 선택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신규영상선택모듈(30k)이 자동으로 최적의 신규영상을 선택하지만, 작업자가 상기 다수의 신규영상을 육안 비교하여 최적의 신규영상을 고른 후 신규영상선택모듈(30k)을 매개로 최적의 신규영상을 지정할 수도 있다.
상기 신규영상출력모듈(30a)은 신규영상선택모듈(30k)에 의해 자동 선택된 신규영상을 디스플레이에(20)에 출력하거나, 입력기(10)로부터 신규영상의 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번호에 따른 신규영상을 디스플레이(20)에 출력한다. 여기서 신규영상선택모듈(30k)에 의해 자동 선택된 선택신규영상에 오류가 있어, 작업자가 입력기(10)를 통해 신규영상 번호를 입력하면, 신규영상출력모듈(30k)은 해당 번호에 대응하는 신규영상을 디스플레이(20)에 출력한다.
상기 신규객체추출모듈(30b)은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신규영상에서 신규객체를 잘라 추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신규객체추출모듈(30b)은 입력기(10)에 의해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선택신규영상의 신규객체의 외곽에 외곽라인이 그려지면, 상기 외곽라인의 밖을 제거하여 신규객체를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신규객체는 저장DB(60)에 저장된다.
상기 기존영상출력모듈(30c)은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저장DB(60)에 저장된 블러링 처리된 기존영상을 디스플레이(20)에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기존영상출력모듈(30c)은 블러링 처리되지 않은 기존영상을 디스플레이(20)에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신규객체영상중첩모듈(30d)은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블러링처리기존영상에 신규객체영상을 중첩한다. 본 실시예에서 신규객체영상중첩모듈(30d)은 저장DB(60)에 저장된 신규객체영상을 디스플레이(20)에 출력하여 블러링처리기존영상에 중첩한다.
상기 해상도조정모듈(30e)은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중첩된 고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을 저해상도로 낮추어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을 제작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작된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은 저장DB(60)에 저장된다.
상기 블러링처리기존객체지정모듈(30f)은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의 픽셀 값을 확인하여, 서로 인접하는 각각의 픽셀이 동일한 픽셀 값을 갖는 객체를 찾아, 블러링처리기존객체로 지정한다. 한편 일반적인 블러링 처리는 블러링 처리할 영상 속 픽셀 값(또는 RGB 값)을 평균하여, 평균 값으로 각각의 픽셀 값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영상을 흐려지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신규객체중첩영상 속에서, 픽셀 값이 동일하거나 서로 유사한 객체를 찾아, 상기 객체를 기존에 블러링 처리가 된 것으로 간주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블러링처리기존객체지정모듈(30f)은 픽셀 값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블러링처리기존객체를 찾았지만, 블러링처리기존객체를 찾을 수 있으면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블러링객체표시모듈(30g)은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신규객체중첩영상에서 블러링처리기존객체로 지정된 객체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블러링객체표시모듈(30g)은 블러링처리기존객체로 지정된 객체에 느낌표(!)가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표시해제모듈(30h)은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된 블러링처리기존객체의 표시를 해제한다. 본 실시예에서 표시해제모듈(30h)은 입력기(1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된 블러링처리기존객체의 표시를 해제한다.
상기 외곽라인표시모듈(30i)은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에 보안대상의 외곽라인을 그린다.
상기 외곽라인추출모듈(30j)은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에서 상기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추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곽라인추출모듈(30j)은,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이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되면, 디스플레이(20) 표면을 좌표화한 후,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신규객체중첩영상의 보안대상에 대한 디스플레이(20) 상에서의 상대좌표를 구하여, 상기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추출한다. 이때 상기 보안대상 외곽라인은 상기 상대좌표가 매칭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외곽라인추출모듈(30j)은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에서 상기 보안대상 외곽라인의 절대좌표(예를 들어 항공측량을 통한 절대좌표)를 구하여, 외곽라인을 추출하게 설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안대상 외곽라인은 상기 절대좌표가 매칭된다.
상기 보안처리기(40)는 신규객체중첩영상출력모듈(41)과, 외곽라인중첩모듈(42)과, 블러링처리모듈(43) 및, 외곽라인삭제모듈(44)을 갖춘다.
상기 신규객체중첩영상출력모듈(41)은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고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을 디스플레이(20)에 출력한다.
상기 외곽라인중첩모듈(42)은 상기 고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에 외곽라인추출모듈(30j)에서 추출한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신규객체중첩영상 상의 보안대상 외곽에 표시하여 중첩한다. 본 실시예에서 외곽라인중첩모듈(42)은 입력기(10)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신규객체중첩영상출력모듈(41)을 매개로 상기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의 크기에 대응되게 상기 고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을 디스플레이(20)에 출력하고, 디스플레이(20) 표면을 좌표화하여, 상기 상대좌표가 매칭된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상기 고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에 중첩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외곽라인추출모듈(30j)이 신규객체중첩영상의 보안대상에 대한 절대좌표를 구하게 설계되면, 외곽라인중첩모듈(42)은 상기 고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의 절대좌표와 상기 보안대상 외곽라인의 절대좌표를 비교하여 상기 고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에 상기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중첩한다.
상기 블러링처리모듈(43)은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외곽라인중첩영상의 보안대상 외곽라인 내를 자동으로 블러링 처리한다. 본 실시예에서 블러링처리모듈(43)은 상기 보안대상 외곽라인의 좌표를 읽어 외곽라인중첩영상의 보안대상 외곽라인 내를 자동으로 블러링 처리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작업자가 입력기(10)를 통해 신호를 입력하여 외곽라인중첩영상의 보안대상 외곽라인 내를 수동으로 블러링 처리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외곽라인삭제모듈(44)은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외곽라인중첩영상의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삭제한다.
상기 신규객체오차확인장치(50)는 블러링처리영상중첩모듈(51)과, 영상비교모듈(52) 및, 확인표시모듈(53)을 갖춘다.
상기 블러링처리영상중첩모듈(51)은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신규영상과 블러링처리영상을 중첩한다.
상기 영상비교모듈(52)은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신규영상과 블러링처리영상의 RGB값을 비교하여, 블러링처리영상 내에서 신규영상의 RGB값과 기준 값 이상 차이나는 블러링처리영상 RGB값을 갖는 오차발생 지점을 찾는다.
상기 확인표시모듈(53)은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상기 블러링처리영상의 오차발생지점에 오차발생 표시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오차 발생 표시는 점멸되게 표시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신규영상 및 기존영상을 사용할 시, 신규영상 및 기존영상은 최대한 유사한 조건(예를 들어 날씨, 촬영 방식, 촬영시 조명도 등)에서 촬영된 영상을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최적의 영상 수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선택된 고해상도 신규영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임의로 고해상도 신규영상을 선택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a,b)은 도 4의 신규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신규객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기존영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기존영상에 신규객체가 중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고해상도의 신규객체중첩영상을 저해상도로 낮춘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에서 기존 블러링 처리된 객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에서 불완전한 블러링 처리 객체를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에서 블러링 처리할 객체의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표시한 도면이고, 도 13(a,b)은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에서 추출된 블러링 처리할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고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고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에 블러링 처리할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중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블러링 처리된 고해상도의 신규객체중첩영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선택신규영상과 블러링 처리된 신규객체중첩영상을 중첩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도 3 내지 도 17의 도면 내의 각 도형은 지형 지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실제 지형 지물의 영상을 도형 형태로 도식화한 것이다.
우선, 저장DB(60)에는 동일 지역을 유사한 시간대에 촬영한 다수의 신규영상이 각각 번호가 매칭되어 저장된다.
이때, 우선, 입력기(10)로부터 신규영상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영상처리기(30)의 신규영상선택모듈(30k)은 기존영상의 RGB값과, 상기 다수의 신규영상의 RGB값을 각각 비교하여, RGB 차이값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객체를 가장 적게 포함한 신규영상을 자동 선택하여, 신규영상출력모듈(30a)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a,b,c)에 도시된 바와 같은 1,2,3신규영상이 있고, 기존 영상의 RGB값과 차이나는 객체 수를 신규영상 3, 신규영상 1, 신규영상 2 순으로 각각의 신규영상이 가질 시, 영상처리기(30)의 신규영상선택모듈(30k)은 신규영상 2를 최적의 신규영상으로 선택하여, 도 4와 같이 출력한다.
한편, 기존영상에서 블러링 처리된 객체는 상기 블러링 처리된 객체에 대응하는 신규영상의 객체와 RGB값이 차이난다. 이에 따라 신규영상선택모듈(30k)은 기존영상과 RGB값이 차이나는 신규영상 객체 수를 카운트할 시, 모든 신규영상에 대해 상기 블러링 처리된 객체에 대응하는 신규영상 객체를 기본적으로 카운트한다.
그리고, 영상처리기(30)의 신규영상선택모듈(30k)은 기존영상과 비교해, RGB 차이 발생 객체가 가장 적은 신규영상의 번호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0)에 출력한다.
여기서, 작업자는 영상처리기(30)의 신규영상선택모듈(30k)에서 자동으로 출력한 신규영상에 오류가 있는 것을 확인할 시, 입력기(10)를 통해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신규영상 번호를 클릭하면, 영상처리기(30)의 신규영상출력모듈(30a)은 신규영상 번호에 대응하는 신규영상을 디스플레이(20)에 출력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해상도의 신규영상이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되면, 작업자는 입력기(10)를 매개로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상기 신규영상 내의 신규객체(a) 외곽에 외곽라인을 그리고, 입력기(10)를 통해 영상처리기(30)의 신규객체추출모듈(30b)에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외곽라인을 추출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규외곽라인영상을 저장DB(60)에 저장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입력기(10)를 통해 기존 영상 출력신호를 입력하면, 영상처리기(30)의 기존영상출력모듈(30c)이 도 7과 같은 기존영상(본 실시예에서는 블러링 처리 객체가 존재하는 기존 영상을 사용)을 디스플레이(20)에 출력하고, 작업자가 입력기(10)를 통해 중첩신호를 입력하면 영상처리기(30)의 신규객체영상중첩모듈(30d)이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기존영상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규객체영상을 중첩한다.
계속해서, 작업자가 입력기(10)를 통해 해상도조정신호를 입력하면, 영상처리기(30)의 해상도조정모듈(30e)이 상기 중첩된 고해상도의 신규객체중첩영상을 저해상도로 낮추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을 제작한다.
이후, 작업자가 입력기(10)를 통해 블러링처리객체 지정신호를 입력하면, 영상처리기(30)의 블러링처리기존객체지정모듈(30f)은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의 픽셀 값을 확인하여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 내의 기존 블러링 처리 객체를 블러링처리기존객체로 지정한다.
이때, 작업자가 입력기(10)를 통해 블러링처리기존객체 표시 명령을 입력하면, 영상처리기(30)의 블러링객체표시모듈(30g)은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에서 블러링처리기존객체로 지정된 객체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느낌표(!)로 표시한다.
그러면, 작업자는 느낌표 표시를 확인하여, 신규객체중첩영상 상에서 블러링처리기존객체를 확인한다. 이때 작업자는 블러링처리기존객체 중 블러링 처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블러링처리기존객체에 대해서는 상기 블러링처리기존객체에 대응하는 느낌표를 표시 해제한다. 즉 작업자는 입력기(10)를 통해 상기 느낌표에 대해 표시해제 명령을 입력하면, 영상처리기(30)의 표시해제모듈(30h)은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된 블러링처리기존객체의 느낌표 표시를 도 11과 같이 해제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입력기(10)를 매개로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상기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에서 상기 느낌표가 표시된 불완전처리 보안대상(b)과, 신규 보안대상(c)의 외곽에 도 12와 같은 외곽라인을 그리고, 입력기(10)를 통해 영상처리기(30)의 외곽라인추출모듈(30j)에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외곽라인을 도 13과 같은 모양으로 추출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영상처리기(30)의 외곽라인추출모듈(30j)은,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이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되면, 디스플레이(20) 표면을 좌표화하여,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신규객체중첩영상의 보안대상에 대한 디스플레이(20) 상에서의 상대좌표를 구한다. 이때 상기 보안대상 외곽라인은 상기 상대좌표가 매칭된다.
이후, 작업자가 입력기(10)를 통해 신규객체중첩영상 출력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보안처리기(40)의 신규객체중첩영상출력모듈(41)은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도 14와 같은 고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을 디스플레이(20)에 출력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입력기(10)를 통해 중첩신호를 입력하면, 보안처리기(40)의 외곽라인중첩모듈(42)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에 외곽라인추출모듈(30j)에서 추출한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고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 상의 보안대상 외곽에 표시하여 중첩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보안처리기(40)의 외곽라인중첩모듈(42)은 상기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의 크기에 대응되게 신규객체중첩영상을 디스플레이(20)에 출력하고, 디스플레이(20) 표면을 좌표화하여, 상기 상대좌표가 매칭된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상기 신규객체중첩영상에 중첩한다.
계속해서, 작업자가 입력기(10)를 통해 블러링신호를 입력하면, 보안처리기(40)의 블러링처리모듈(43)은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외곽라인중첩영상의 보안대상 외곽라인 내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블러링 처리한다.
이때, 상기 블러링 처리가 완료되어, 작업자가 외곽라인 삭제신호를 입력하면, 보안처리기(40)의 외곽라인삭제모듈(44)은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외곽라인중첩영상의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삭제한다.
한편, 이와 같이 보안 처리가 완료되고, 작업자가 입력기(10)를 통해 중첩신호를 입력하면, 신규객체오차확인기(50)의 블러링처리영상중첩모듈(51)은 상기 신규영상과 신규영상에 대응하는 블러링처리영상을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한다.
이때, 작업자가 입력기(10)를 통해 영상비교신호를 입력하면, 신규객체오차확인기(50)의 영상비교모듈(52)은 상기 신규영상과 블러링처리영상의 RGB값을 비교하여, 블러링처리영상 내에서 신규영상의 RGB값과 기준 값 이상 차이나는 블러링처리영상 RGB값을 갖는 오차발생 지점을 찾는다.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러링처리영상 내의 신규객체가 상기 신규영상 내의 신규객체보다 틀어지게 갱신되어 있을 경우, 상기 블러링처리영상 내의 신규객체와 상기 신규영상 내의 신규객체는 동일 위치에 대한 RGB값이 달라지는데, 신규객체오차확인기(50)의 영상비교모듈(52)은 이와 같은 오차를 찾는다. 이때 신규객체오차확인기(50)의 확인표시모듈(53)은 상기 블러링처리영상 내에서 상기 오차가 발생한 지점에 오차발생 표시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블러링 처리 영상에 신규객체를 갱신할 시 오류가 발생하여, 신규객체 갱신이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규객체오차확인기(50)의 영상비교모듈(52)이 상기 신규영상과 블러링처리영상의 RGB값을 이용하여 오차발생지점을 찾을 시, 블러링처리영상에서 블러링처리객체 또한 검색된다. 그러면 작업자는 블러링처리객체를 다시 한번 확인하여 상기 블러링처리영상의 블러링 처리가 정확하게 이루어졌는 지 다시 한번 확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신규 수집 영상을 기존 영상과 자동 비교하여, 최적의 신규 영상을 확보함으로써, 영상 갱신을 정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적의 신규 영상을 자동으로 찾을 시, 자동으로 찾은 신규 영상에 오류가 있을 경우, 또 다른 대체 신규영상을 신속하게 확인하여 영상을 신속하게 갱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객체가 갱신된 블러링처리영상과, 신규영상내의 RGB값을 비교하여, 블러링처리영상과 신규영상 간의 갱신 오차(중첩 오차)를 확인할 수 있어, 블러링 처리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한 블러링처리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객체를 갱신할 시, 기존의 블러링 처리된 영상을 사용하여, 신규객체에 대한 블러링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갱신 영상 제작 시 기존의 블러링 처리 대상을 다시 블러링 처리할 필요가 없어, 갱신 영상 제작 시 블러링 처리 작업이 효율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블러링 처리된 영상에서 블러링처리기존객체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블러링처리기존객체 중 불완전한 블러링처리기존객체가 있을 경우, 이를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불완전한 블러링처리기존객체를 찾을 시 신규객체에 대한 블러링 처리와 함께 기존의 불완전한 블러링처리기존객체를 신속하게 블러링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러링 처리 작업 시 해상도를 낮춰 보안대상(블러링 대상)의 외곽라인을 추출함으로써 작업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와 같이 추출한 상기 외곽라인을 통해 보안대상을 신속하게 자동 블러링 처리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블러링처리기존영상에서 기존의 블러링 처리 객체를 확인할 시 저해상도의 신규객체중첩영상을 사용하여, 보다 신속하게 기존의 블러링 처리 객체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안대상의 외곽라인을 추출할 시 디스플레이(20) 표면을 좌표화하여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추출하고, 고해상도의 신규객체중첩영상을 디스플레이(20)에 출력한 후 상기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디스플레이(20)에 출력할 시, 디스플레이(20) 표면을 좌표화하여 상기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디스플레이(20)에 출력함으로써, 고해상도의 신규객체중첩영상에 절대좌표(예를 들어 항공측량을 통한 절대좌표)가 매칭되어 있지 않더라도, 고해상도의 신규객체중첩영상에 상기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중첩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동일 지역을 촬영한 다수의 수집 신규 영상이미지를 기존영상과 자동으로 비교하여, 최적의 신규영상을 생성하는 기술에, 보안(블러링) 처리 기술, 오차 확인 기술 등을 더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명칭 및 청구대상을 수집 영상이미지 비교를 통한 최적의 영상정보 자동 생성시스템으로 정의한다.
10; 입력기 20; 디스플레이
30; 영상처리기 30a; 신규영상출력모듈
30b; 신규객체추출모듈 30c; 기존영상출력모듈
30d; 신규객체영상중첩모듈 30e; 해상도조정모듈
30f; 블러링처리기존객체지정모듈 30g; 블러링객체표시모듈
30h; 표시해제모듈 30i; 외곽라인표시모듈
30j; 외곽라인추출모듈 30k; 신규영상선택모듈
40; 보안처리기 50; 신규객체오차확인기
60; 저장DB 61; 저장부
62; 번호매칭모듈

Claims (1)

  1. 입력기(10)와, 신규영상과 기존영상을 저장하는 저장DB(60)와, 입력기(1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신규영상과 기존영상을 비교하여 기존영상을 자동으로 갱신하는 영상처리기(30)와, 영상처리기(30)로부터의 출력데이터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20)를 포함하는 수집 영상이미지 비교를 통한 최적의 영상정보 자동 생성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저장DB(60)는 동일 지역을 촬영한 다수의 신규영상과 상기 신규영상에 대응하는 기존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61)와, 상기 다수의 신규영상에 번호를 매칭하는 번호매칭모듈(62)을 갖추고,
    상기 영상처리기(30)는,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기존영상의 RGB값과, 상기 다수의 신규영상의 RGB값을 각각 비교하여, RGB 차이값이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객체를 가장 적게 포함한 신규영상을 자동 선택하는 신규영상선택모듈(30k)과, 신규영상선택모듈(30k)에 의해 자동 선택된 신규영상을 디스플레이에(20)에 출력하거나, 입력기(10)로부터 신규영상 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번호에 따른 신규영상을 디스플레이(20)에 출력하는 신규영상출력모듈(30a)과,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선택신규영상에서 신규객체를 잘라 추출하는 신규객체추출모듈(30b)과,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저장DB(60)에 저장된 기존영상을 디스플레이(20)에 출력하는 기존영상출력모듈(30c)과,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기존영상에 신규객체영상을 중첩하는 신규객체영상중첩모듈(30d)과,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중첩된 고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을 저해상도로 낮추어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을 제작하는 해상도조정모듈(30e)과,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의 픽셀 값을 확인하여, 서로 인접하는 각각의 픽셀이 동일한 픽셀 값을 갖는 객체를 찾아, 블러링처리기존객체로 지정하는 블러링처리기존객체지정모듈(30f)과,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신규객체중첩영상에서 블러링처리기존객체로 지정된 객체를 표시하는 블러링객체표시모듈(30g)과,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된 블러링처리기존객체의 표시를 해제하는 표시해제모듈(30h)과,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에 보안대상의 외곽라인을 그리는 외곽라인표시모듈(30i) 및,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이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되면, 디스플레이(20) 표면을 좌표화한 후,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신규객체중첩영상의 보안대상에 대한 디스플레이(20) 상에서의 상대좌표를 구하여, 상기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추출하는 외곽라인추출모듈(30j)을 갖추는 한편,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고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을 디스플레이(20)에 출력하는 신규객체중첩영상출력모듈(41)과,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신규객체중첩영상출력모듈(41)을 매개로 상기 저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의 크기에 대응되게 상기 고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을 디스플레이(20)에 출력하고, 디스플레이(20) 표면을 좌표화하여, 상기 상대좌표가 매칭된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상기 고해상도 신규객체중첩영상에 중첩하는 외곽라인중첩모듈(42)과,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외곽라인중첩영상의 보안대상 외곽라인 내를 자동으로 블러링 처리하는 블러링처리모듈(43) 및,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외곽라인중첩영상의 보안대상 외곽라인을 삭제하는 외곽라인삭제모듈(44)을 갖춘 보안처리기(40)와;
    입력기(10)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선택신규영상과, 블러링처리모듈(43)에서 블러링 처리된 외곽라인중첩영상을, 중첩하는 블러링처리영상중첩모듈(51)과, 블러링처리영상중첩모듈(51)에서 중첩된 선택신규영상과 외곽라인중첩영상의 RGB값을 비교하여, 상기 외곽라인중첩영상 내에서, 상기 선택신규영상의 RGB값과 기준 값 이상 차이나는 RGB값을 갖는 오차발생 지점을 찾는 영상비교모듈(52) 및, 영상비교모듈(52)에 의해 오차발생 지점이 찾아지면, 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상기 외곽라인중첩영상의 오차발생지점에 오차발생 표시를 하는 확인표시모듈(53)을 갖춘 신규객체오차확인기(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집 영상이미지 비교를 통한 최적의 영상정보 자동 생성시스템.
KR1020180121329A 2018-10-11 2018-10-11 수집 영상이미지 비교를 통한 최적의 영상정보 자동 생성시스템 KR101954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329A KR101954684B1 (ko) 2018-10-11 2018-10-11 수집 영상이미지 비교를 통한 최적의 영상정보 자동 생성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329A KR101954684B1 (ko) 2018-10-11 2018-10-11 수집 영상이미지 비교를 통한 최적의 영상정보 자동 생성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4684B1 true KR101954684B1 (ko) 2019-03-06

Family

ID=65761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329A KR101954684B1 (ko) 2018-10-11 2018-10-11 수집 영상이미지 비교를 통한 최적의 영상정보 자동 생성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6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6254A (zh) * 2020-08-21 2020-11-24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靶区轮廓的分析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4845041A (zh) * 2021-12-30 2022-08-02 齐之明光电智能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用于纳米颗粒成像的对焦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230065021A (ko) * 2021-11-04 2023-05-1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교정 진단을 위해 서로 다른 시점에 획득된 복수개의 이미지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
KR102641478B1 (ko) * 2023-07-03 2024-02-27 동아항업 주식회사 합성 영상의 경계 보정을 통한 일체화 영상처리 편집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415B1 (ko) * 2011-05-04 2012-01-05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항공/위성영상 내 보안영역에 대한 편집시스템과 편집방법
KR101559896B1 (ko) * 2015-07-28 2015-10-15 (주)그린공간정보 영상이미지의 음영기복 확인을 통한 기복영상 처리시스템
KR101591998B1 (ko) 2015-07-24 2016-02-05 (주)미도지리정보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의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415B1 (ko) * 2011-05-04 2012-01-05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항공/위성영상 내 보안영역에 대한 편집시스템과 편집방법
KR101591998B1 (ko) 2015-07-24 2016-02-05 (주)미도지리정보 지형지물에 대한 영상이미지를 합성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1559896B1 (ko) * 2015-07-28 2015-10-15 (주)그린공간정보 영상이미지의 음영기복 확인을 통한 기복영상 처리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86254A (zh) * 2020-08-21 2020-11-24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靶区轮廓的分析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1986254B (zh) * 2020-08-21 2022-11-18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靶区轮廓的分析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230065021A (ko) * 2021-11-04 2023-05-1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교정 진단을 위해 서로 다른 시점에 획득된 복수개의 이미지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
KR102583135B1 (ko) 2021-11-04 2023-09-27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교정 진단을 위해 서로 다른 시점에 획득된 복수개의 이미지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
CN114845041A (zh) * 2021-12-30 2022-08-02 齐之明光电智能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用于纳米颗粒成像的对焦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4845041B (zh) * 2021-12-30 2024-03-15 齐之明光电智能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用于纳米颗粒成像的对焦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641478B1 (ko) * 2023-07-03 2024-02-27 동아항업 주식회사 합성 영상의 경계 보정을 통한 일체화 영상처리 편집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4684B1 (ko) 수집 영상이미지 비교를 통한 최적의 영상정보 자동 생성시스템
JP4380838B2 (ja) ビデオ画像の道路標識自動認識方法及び道路標識自動認識装置並びに道路標識自動認識プログラム
KR101946573B1 (ko) 공간영상 기반의 도화이미지에서 왜곡을 인식하고 지정 이미지를 보정하는 영상 도화장치
US6970593B2 (en) Stereo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stereo image
JP3064928B2 (ja) 被写体抽出方式
JP6510247B2 (ja) 測量データ処理装置、測量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83955B1 (ko) 영상이미지의 3차원 위치수정을 통한 음영구간 식별용 영상처리시스템
JP4839183B2 (ja) 画像処理装置
JP5535025B2 (ja) 屋外地物検知システム、屋外地物検知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および屋外地物検知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の記録媒体
JP4103898B2 (ja) 地図情報更新方法及び地図更新装置
KR101510206B1 (ko) 항공 하이퍼스펙트럴 영상을 이용한 수치지도 수정 도화용 도시변화지역의 탐지 방법
JP2006065429A (ja) 撮影画像の変化抽出装置及び方法
KR102204043B1 (ko) 실시간 지물이미지 위치 보정을 통한 영상 정밀도 향상 기능의 자동영상처리 시스템
CN104700355A (zh) 室内二维平面图的生成方法、装置和系统
JP2007243509A (ja) 画像処理装置
JP4517003B2 (ja) 道路標識自動認識システム
JPH063145A (ja) トンネル切羽画像収録処理システム
KR101951822B1 (ko) 수치도화 오류지점을 자동으로 확인해 갱신하는 수치도화 검수시스템
JP2017207438A (ja) 地形変化解析方法
KR101942065B1 (ko) 불분명 영상이미지의 합성 처리를 통한 수정방식의 영상처리 및 관리시스템
CN111527517B (zh) 图像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938400B1 (ko) 입체영상지도에서의 보안지역 연출 기능을 갖는 수치도화 처리시스템
WO2021186672A1 (ja) 画像処理方法
KR101954683B1 (ko) 영상이미지의 중첩방식을 통한 영상 오차 확인장치
KR101954711B1 (ko) 라이다 자료와 정사영상을 이용한 건축물의 촬영영상 수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