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661B1 -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661B1
KR101954661B1 KR1020170107047A KR20170107047A KR101954661B1 KR 101954661 B1 KR101954661 B1 KR 101954661B1 KR 1020170107047 A KR1020170107047 A KR 1020170107047A KR 20170107047 A KR20170107047 A KR 20170107047A KR 101954661 B1 KR101954661 B1 KR 101954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ball joint
joint socket
rod end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양원
김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트랄
주식회사 네오씨티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트랄, 주식회사 네오씨티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트랄
Priority to KR1020170107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75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being in movable or releasable engagement with the coating, e.g. bearing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being a radius or track or torque or steering rod or stabiliser end l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1Shaping by casting
    • B60G2206/81012Shaping by casting by injection 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지재에 포함되는 유리섬유가 특정 부위에 집중되지 않고 고르게 분포되도록 사출성형되는 볼 조인트 소켓부를 구비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인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볼 조인트 소켓부와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에 연결되는 로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로드부에는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에 삽입되는 로드 삽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로드 삽입부의 끝단에는 로드 끝단 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의 로드 끝단부가 형성되어,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는 상기 로드 삽입부와 상기 로드 끝단부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방법{Hybrid stabilizer lin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구성 요소인 로드의 형태를 개선하여 피로 누적과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에는 차체의 롤(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스태빌라이저가 장착된다.
이러한 스태빌라이저는 그 양측 단부가 차륜과 일체로 상하 거동하는 로어암에 연결되어 선회 주행시 또는 불규칙 노면 주행시 양쪽 바퀴의 상하 거동을 상호 구속함으로써 그 높이 차를 감소시켜 차체의 롤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 스태빌라이저의 단부와 로어암은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스태빌라이져 링크는 금속 재질의 링크 몸체 양단에 볼 조인트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볼 조인트는 소켓, 구두부를 갖는 볼 스터드, 상기 소켓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구두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볼 시트, 상기 볼 시트의 하단부를 밀폐하는 플러그, 및 상기 볼 시트와 구두부 사이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더스트 커버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태빌라이저는 조립되는 부품수가 많아 제조 공정이 복잡하여 제조원가가 상승하며 생산된 제품의 중량이 무거워져 자동차의 연비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모델로 수지재 사출성형에 의한 스태빌라이저 링크가 개발되어 자동차에 적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대한 내용은 등록특허 제10-1379768호에 나타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일단에 구두부(110,210)가 마련된 한 쌍의 볼 스터드(100,200)와, 상기 한 쌍의 구두부(110,210) 사이에 위치된 중공 로드부(400), 상기 구두부(110,210)가 유동할 수 있도록 외측면을 감싸고 상기 중공 로드부(400)의 내부를 채우도록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링크몸체(310,320,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링크몸체(310,320,330)는 상기 한 쌍의 구두부(110,210)를 각각 감싸는 제1링크몸체부(310)와 제2링크몸체부(320), 상기 중공로드부(400) 내부를 채우는 링크연결부(3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링크몸체부(310)와 제2링크몸체부(320)는 종래의 볼 시트(Ball Seat)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두부(110,210)와 접촉하는 부분에서 상기 볼 스터드(100,200)가 작동각 범위 내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로드부(400)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중실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중실형의 로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일측 단면을 도시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금속재 로드부(700)와 수지재 볼 조인트 소켓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600)는 볼 스터드(500)에 구비되는 구두부(510)와 상기 로드부(700)에 구비되는 로드 삽입부(71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사출성형된다.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600)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구두부(510)가 구비된 볼 스터드(500)와 상기 로드부(700)를 금형(미도시)의 내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금형의 일측에 형성되는 사출용액 주입구(610)를 통해 상기 금형의 공동부에 사출용액을 주입한다.
상기 사출용액 주입구(610)는 상기 구두부(510)가 위치하는 상기 금형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출용액 주입구(610)를 통해 상기 공동부에 주입된 상기 사출용액은 상기 구두부(510)의 주위를 둘러쌈과 동시에 상기 구두부(510)가 위치한 상기 공동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로드 삽입부(710)가 위치한 상기 공동부의 타측 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공동부를 채우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로드부(700)는 폭이 일정한 원기둥 형태로 구비되므로, 상기 로드 삽입부(710)가 위치한 상기 공동부의 타측 방향으로 유동한 상기 사출용액은 상기 로드부(700)의 일측면(740)에 충돌한 후 상기 로드 삽입부(710)의 길이방향 외측면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
이때, 원기둥 형태의 상기 로드부(700)의 길이방향 외측면과 상기 로드부 일측면(740)의 경계인 로드부 가장자리(750)는 직각을 이루므로, 상기 사출 용액은 상기 로드부 일측면(740)과 상기 로드부 가장자리(750)를 지나 직각 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로드 삽입부(710)의 길이방향 외측면을 따라 채워진다.
또한,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600)의 사출성형에 이용되는 수지재의 강도 향상을 위해 상기 수지재에 유리섬유(620)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섬유(620) 역시 직각 방향으로 유동하여 배열되므로, 이로 인해 상기 유리섬유(620)의 배향성이 안 좋아져 상기 로드부의 일측면(740)에 상기 유리섬유(620)가 편향적으로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유리섬유(620)의 집중 현상은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600)를 구성하는 상기 수지재의 응력이 고르게 분포되지 않고 특정 부위에 집중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유리섬유(620)가 특정 부위에 집중될 경우,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피로 누적과 외부 충격에 취약하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지재에 포함되는 유리섬유가 특정 부위에 집중되지 않고 고르게 분포되도록 사출성형되는 볼 조인트 소켓부를 구비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인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볼 조인트 소켓부와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에 연결되는 로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로드부에는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에 삽입되는 로드 삽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로드 삽입부의 끝단에는 로드 끝단 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의 로드 끝단부가 형성되어,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는 상기 로드 삽입부와 상기 로드 끝단부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드 끝단부의 형태는 원뿔형, 원뿔대형 또는 돔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한 쌍의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와 상기 한 쌍의 볼 조인트 소켓부를 연결하는 상기 로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드부의 양측에 상기 로드 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볼 조인트 소켓부는 상기 양측 로드 삽입부의 외측을 각각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제조방법은, 로드 끝단 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의 로드 끝단부가 형성된 로드 삽입부가 구비되는 로드부와 구두부가 구비된 볼 스터드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로드 삽입부와 상기 로드 끝단부 및 상기 구두부를 감싸는 볼 조인트 소켓부가 성형될 공동부가 형성되도록 금형 내부에 상기 볼 스터드의 구두부와 상기 로드부의 로드 삽입부와 상기 로드 끝단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구두부가 위치한 상기 공동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로드 삽입부와 상기 로드 끝단부가 위치한 상기 공동부의 타측 방향으로 사출 용액이 유동하도록 상기 공동부에 사출 용액을 주입시켜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를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로드 끝단 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의 로드 끝단부가 형성된 로드부를 구비하여 상기 로드부를 둘러싸고 볼 조인트 소켓을 수지재를 이용하여 사출성형함으로써, 수지재에 포함되는 유리섬유가 특정 부위에 집중되지 않고 고르게 분포되어 배향성이 향상되고, 이로써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피로 및 내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측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의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구성하는 유리섬유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로드 끝단부가 원뿔형으로 구비되는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로드 끝단부가 원뿔형으로 구비되는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로드 끝단부가 원뿔형으로 구비되는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구성하는 유리섬유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로드 끝단부가 원뿔대형으로 구비되는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구성하는 유리섬유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로드 끝단부가 돔형으로 구비되는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구성하는 유리섬유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 제조 방법의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볼 조인트 소켓부(600)와 로드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로드부(700)에는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600)에 삽입되는 로드 삽입부(710)가 구비되고, 상기 로드 삽입부(710)의 끝단에는 로드 끝단(760) 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의 로드 끝단부(7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600)는, 볼 스터드(미도시)에 구비되는 구두부(510)와 로드 삽입부(710) 및 로드 끝단부(72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수지재를 이용하여 사출성형된다. 상기 로그 끝단(760)은 상기 로드부(700)를 구성하는 로드의 일측 단부를 의미한다.
상기 수지재는 높은 강도를 갖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일 수 있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공업재료·구조재료로 사용되는 강도 높은 플라스틱으로, 강철보다도 강하고 알루미늄보다도 전성(展性)이 풍부하며, 금·은보다도 내약품성이 강한 고분자 구조의 고기능 수지재이다. 이러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예로는 폴리아마이드, 폴리아세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터수지(PBT),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등이 있다.
상기 로드부(700)는 금속재로 구비되며, 알루미늄(Al)이나 스틸(Steel)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상기 로드 끝단(760) 방향으로 점점 폭이 좁아지도록 구비되는 상기 로드 끝단부(720)의 형태는 원뿔형일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600)를 구성하는 수지재에 포함되는 유리섬유의 배치에 대해 서술한다.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600)는 내부에 상기 구두부(510)와 상기 로드 삽입부(710) 및 로드 끝단부(720)를 위치시킨 금형(미도시) 내부의 공동부에 사출용액을 주입하여 성형된다.
상기 사출용액을 주입하는 사출용액 주입구(610)는 상기 구두부(510)가 위치하는 상기 금형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출용액 주입구(610)를 통해 상기 공동부에 주입된 상기 사출용액은 상기 구두부(510)의 주위를 둘러쌈과 동시에 상기 구두부(510)가 위치한 상기 공동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로드 삽입부(710)와 로드 끝단부(720)가 위치한 상기 공동부의 타측 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공동부를 채우게 된다.
이때, 상기 로드 끝단부(720)의 형태는 상기 로드 끝단(760) 방향으로 점점 폭이 좁아지도록 구비된 원뿔형이므로, 상기 사출용액은 상기 로드 끝단(760)으로부터 상기 로드 끝단부(720)의 외측면을 지나 큰 굴곡 없이 유동하여 상기 로드 삽입부(710)의 길이방향 외측면을 따라 채워진다.
또한,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600)의 사출성형에 이용되는 수지재의 강도 향상을 위해 상기 수지재에 유리섬유(620)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유리섬유(620) 역시 큰 굴곡 없이 유동하여 상기 로드 끝단부(720)와 로드 삽입부(710)의 외측면을 따라 배열되므로, 상기 유리섬유(620)가 특정 부위에 집중되는 현상 없이 고르게 분포되어 배향성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로드부(700)의 형태를 개선함으로써 상기 유리섬유(620)가 특정 부위에 집중되던 현상을 해결하여 상기 수지재에 작용하는 응력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600)가 피로 누적과 외부 충격에 대한 강도를 증대시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로드 끝단부(720)의 형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대형으로 구성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원뿔대형과 돔형의 로드 끝단부(720)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상기 로드 끝단(760) 방향으로 점점 폭이 좁아지도록 구비되는 형태에 포함되므로, 상기 유리섬유(620)의 유동 경로가 큰 굴곡 없이 형성되어, 상기 유리섬유(620)가 상기 로드 삽입부(710)의 외측면을 따라 고르게 분산되어 배열되므로, 볼 조인트 소켓부(60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한 쌍의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600)와, 상기 한 쌍의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600)를 연결하는 로드부(7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부(700)의 양측에는 상기 로드 삽입부(710)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양측 로드 삽입부(710)의 끝단에는 상기 로드 끝단부(720)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볼 조인트 소켓부(600)는 상기 양측 로드 삽입부(710)와 로드 끝단부(720)의 외측면을 각각 둘러싸도록 사출성형됨으로써 내구성이 높은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측 로드 끝단부(720)는 원뿔형, 원뿔대형 또는 돔형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10은, 구두부(510)가 구비된 볼 스터드(500)와 로드부(700)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로드부(700)에는 볼 조인트 소켓부(600)에 삽입될 로드 삽입부(710)가 구비되고, 상기 로드 삽입부(710)의 끝단에는 로드부 끝단(760) 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의 로드 끝단부(720)가 형성된다.
상기 로드 끝단부(720)의 형태는 원뿔형, 원뿔대형 또는 돔형일 수 있다.
단계 S20은, 볼 조인트 소켓부(600)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미도시)를 준비하고, 상기 구두부(510)와 상기 로드 삽입부(710) 및 로드 끝단부(720)를 상기 금형의 내부에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구두부(510)와 상기 로드 삽입부(710)를 각각 상기 금형 내부의 일측과 타측에 위치시켜, 상기 구두부(510)와 상기 로드 삽입부(710) 및 로드 끝단부(720)의 외측 공간에 공동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단계 S30은, 상기 금형의 일측에 형성된 사출용액 주입구(610)를 통해 수지재 용액을 주입하는 단계이다.
상기 사출용액 주입구(610)는 상기 구두부(510)가 위치하는 상기 금형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주입된 상기 사출용액은 상기 구두부(510)의 주위를 둘러쌈과 동시에 상기 구두부(510)가 위치한 상기 공동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로드 삽입부(710)와 로드 끝단부(720)가 위치한 상기 공동부의 타측 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공동부를 채우게 된다.
상기 로드 끝단부(720)의 형태로 인해 상기 수지재 용액의 유동 경로는 큰 굴곡 없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지재 용액의 강화를 위해 상기 수지재 용액에 유리섬유(620)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유리섬유(620)는 특정 부위에 집중되는 현상 없이 상기 로드 끝단부(720)와 로드 삽입부(710)의 외측면을 따라 고르게 분산됨으로써 유리섬유(620)의 배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계 S40은, 상기 수지재 용액의 주입이 완료된 상기 금형의 냉각 과정을 거쳐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600)를 완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금형 내부를 채우고 굳어진 상기 수지재 용액은 상기 볼 스터드의 구두부(500)와 상기 로드부(700)의 로드 삽입부(710) 및 로드 끝단부(720)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600)를 형성한다.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600)는, 상기 유리섬유(620)의 향상된 배향성으로 인해 상기 수지재에 작용하는 응력이 고르게 분포될 수 있으며, 이로써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피로 및 내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상기 로드부(7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압축과 인장을 반복하는 시험을 거쳤으며, 그 결과 종래 기술의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비해 강도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500: 볼 스터드 510: 구두부
600: 볼 조인트 소켓부 610: 사출용액 주입구
620: 유리섬유 700: 로드부
710: 로드 삽입부 720: 로드 끝단부
750: 로드부 가장자리 760: 로드 끝단

Claims (6)

  1. 수지재로 이루어진 볼 조인트 소켓부와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에 연결되는 로드부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에서,
    상기 로드부에는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에 삽입되는 로드 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로드 삽입부는 폭이 일정하게 형성되되, 상기 로드 삽입부의 끝단에는 로드 끝단 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의 로드 끝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는, 일측이 볼 스터드의 구두부의 외측을 둘러싸고, 타측이 상기 로드 삽입부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사출성형되되,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를 사출성형하는 금형의 내부 공동부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구두부와 상기 로드 삽입부가 각각 위치하고, 상기 공동부에 사출용액을 주입하는 사출용액 주입구가 상기 구두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는, 상기 사출용액이 상기 구두부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로드 끝단부의 외측면을 지나 상기 로드 삽입부의 길이방향 외측면을 따라 유동하여 상기 공동부를 채움으로써 사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끝단부는 원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끝단부는 원뿔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끝단부는 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와;
    상기 한 쌍의 볼 조인트 소켓부를 연결하는 상기 로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부의 양측에 상기 로드 삽입부가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볼 조인트 소켓부는 상기 양측 로드 삽입부의 외측을 각각 둘러싸도록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
  6. 로드부 끝단 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의 로드 끝단부가 형성된 로드 삽입부가 구비되는 로드부와, 구두부가 구비된 볼 스터드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로드 삽입부와 와 상기 로드 끝단부 및 상기 구두부를 감싸는 볼 조인트 소켓부가 성형될 공동부가 형성되도록 금형 내부에 상기 볼 스터드의 구두부와 상기 로드부의 로드 삽입부와 상기 로드 끝단부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구두부가 위치한 상기 공동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로드 삽입부와 상기 로드 끝단부가 위치한 상기 공동부의 타측 방향으로 사출 용액이 유동하도록 상기 공동부에 사출 용액을 주입시켜 상기 볼 조인트 소켓부를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제조방법.
KR1020170107047A 2017-08-24 2017-08-24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방법 KR101954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047A KR101954661B1 (ko) 2017-08-24 2017-08-24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047A KR101954661B1 (ko) 2017-08-24 2017-08-24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4661B1 true KR101954661B1 (ko) 2019-03-06

Family

ID=65760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047A KR101954661B1 (ko) 2017-08-24 2017-08-24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6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11777B1 (en) * 1989-08-03 1993-10-27 Kabushiki Kaisha Somic Ishikawa Ball joint
KR20140017024A (ko) * 2012-06-19 2014-02-11 주식회사 센트랄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11777B1 (en) * 1989-08-03 1993-10-27 Kabushiki Kaisha Somic Ishikawa Ball joint
KR20140017024A (ko) * 2012-06-19 2014-02-11 주식회사 센트랄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063B1 (ko) 볼 조인트 일체형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암 및 그 제조 방법
KR101293976B1 (ko) 차량용 저마찰 부시
US6109816A (en) Stabilizer link r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10382263B (zh) 车辆用混合悬架臂
US20130234412A1 (en) Stabilizer li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8967599B2 (en) Torque arm for automobile
KR102084258B1 (ko) 현가 암 및 볼 조인트
CN106794734A (zh) 用于机动车的铰接杆
CN100373073C (zh) 防振衬套
KR101954661B1 (ko) 하이브리드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방법
CN110546021A (zh) 多点式拉杆
KR20190134489A (ko) 커플링 로드, 휠 서스펜션 및 커플링 로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JP2008519945A (ja) エラストマベアリング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ならびに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スリーブベアリングならびに製造するための装置
KR20170099258A (ko)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KR101379768B1 (ko)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방법
KR101492120B1 (ko) 차량 부품
CN110325757A (zh) 弹性支承
KR102033575B1 (ko) 볼 조인트 조립체
KR20170098007A (ko) 볼조인트
KR102228935B1 (ko) 차량용 에어스프링의 캡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20126639A1 (en) Coupling rod
KR20160137911A (ko) 차량용 링크
KR100908651B1 (ko)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57659A (ko) 링크 조립체
KR102398872B1 (ko) 크로스 액시스 볼 조인트의 필로우 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