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143B1 - 공기조화시스템 및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시스템 및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143B1
KR101954143B1 KR1020110140405A KR20110140405A KR101954143B1 KR 101954143 B1 KR101954143 B1 KR 101954143B1 KR 1020110140405 A KR1020110140405 A KR 1020110140405A KR 20110140405 A KR20110140405 A KR 20110140405A KR 101954143 B1 KR101954143 B1 KR 101954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control terminal
central control
unit
address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2811A (ko
Inventor
김해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0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143B1/ko
Publication of KR20130072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1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시스템 및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실내기 및 복수 개의 실외기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공기조화시스템 및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시스템 및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시스템 및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실내기 및 복수 개의 실외기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공기조화시스템 및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장치이다.
최근 들어 공기조화기의 사용이 급증하면서 가정 내의 각 방마다 또는 건물 내의 사무실마다 실내기가 구비되고, 각 실마다 구비된 실내기와 공유 연결되는 실외기로 구성된 멀티에어컨이 설치되고 있다.
멀티에어컨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내기 및 상기 각 실내기와 공유하여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실외기로 구성된 멀티에어컨과 하나의 건물 내 구축된 각 실외기와 연결되어 상기 각 실외기 및 실내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동작을 통합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외기 및/또는 상기 실내기는 실외기 및 실내기의 상태 정보, 운전 정보 또는 설정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중앙제어기로 전달하므로 하나의 실내기에 직접 냉방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중앙제어기는 어느 실외기와 연결된 어느 실내기의 상태 및 설정 정보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냉매의 응축 정도를 조절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실외기로 전달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은 관리자가 중앙제어기를 통해 멀티에어컨의 실내기 및/또는 실외기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실내기가 설치된 공조공간 내에 위치하는 실내 제어기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 제어기와 동일한 공조공간 내에 위치하는 대상 실내기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은 중앙제어기를 통하여 관리자가 정부의 녹색정책에 따라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 온도 설정 범위를 제한하거나 또는 에어컨 가동 시간을 제한하도록 멀티에어컨을 설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후에 실내기의 공조공간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대상 실내기의 실내 제어기를 이용하여 관리자의 의도를 인식하지 못하여 관리자의 설정에 배치되는 설정을 입력함으로써 임의로 관리자의 제어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중앙제어기에 따르면, 관리자와 다수의 사용자 사이의 공기조화시스템 설정 내용이 상이하거나 상충되어 멀티에어컨을 제어하는데 있어 혼선이 빚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멀티에어컨을 건물 관리 정책 또는 그룹별 관리 정책에 맞게 일관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중앙제어기에는 관리자에 의해 실내기의 중앙제어 주소값이 등록되어 있어 상기 실내기는 중앙제어기의 제어명령 하에 높이게 되나, 종래기술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실내 제어기로 상기 실내기의 중앙제에 주소값을 임의로 변경하는 경우 상기 실내기는 더 이상 중앙제어기의 제어명령의 지배하에 있지 않게 되어, 관리자가 상기 실내기를 관리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로 인해, 관리자가 중앙제어기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공기조화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공기조화시스템 및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실내기 및 복수 개의 실외기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공기조화시스템 및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중앙제어주소값을 개별적으로 가지는 복수 개의 실내기; 상기 실내기에 연결된 1개 이상의 실외기;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 중 일부인 대상실내기에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개별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대상실내기를 제어하는 실내 제어단말기; 및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 그리고 상기 1개 이상의 실외기에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관리자의 입력신호 및 상기 중앙제어주소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 그리고 상기 1개 이상의 실외기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는 대상실내기를 제어할 수 있는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제어범위를 결정하는 제어범위 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는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를 통한 입력신호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제어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를 통한 입력신호가 비활성화되도록 상기 실내기 또는 상기 실외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는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를 통한 입력신호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제어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대상실내기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를 통한 입력신호의 수신을 차단하도록 상기 대상실내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는 사용자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에 연결된 대상실내기의 중앙제어주소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는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주소값설정 인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는 상기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통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실내기의 중앙제어주소값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는 상기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통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실내기의 중앙제어주소값이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에 등록된 중앙제어주소값에 대응되도록 상기 대상실내기의 중앙제어주소값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는 상기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통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실내기의 중앙제어주소값이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에 등록된 중앙제어주소값의 범위 밖에 있도록 상기 대상실내기의 중앙제어주소값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통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실내기의 중앙제어주소값이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에 등록된 중앙제어주소값의 범위 밖의 중앙제어주소값으로 변경된 경우,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는 상기 제어범위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제어범위를 초과하여 대상실내기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비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는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통한 입력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상실내기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통한 입력신호의 수신을 차단하도록 상기 대상실내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비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는 상기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통한 입력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대상실내기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의 비활성화 상태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는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의 제어범위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제어범위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제어범위에 포함되는 제어신호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온-오프 신호, 운전 모드 선택 신호, 온도 조절 신호, 습도 조절 신호, 풍량 조절 신호, 스케쥴링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실내기 및 복수 개의 실외기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단말기와 각각의 대상실내기를 제어하는 실내 제어단말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를 사용하여 관리자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실내기를 제어할 수 있는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제어범위를 결정하는 제어범위 결정단계;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신호 수신단계; 및 상기 입력신호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입력신호가 상기 제어범위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제어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입력신호 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신호 판단단계에서, 상기 입력신호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입력신호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제어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입력신호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입력신호가 대상실내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지 못하도록 상기 입력신호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입력신호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범위 결정단계 전에,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를 사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 각각에 대응되는 중앙제어주소값을 설정하는 주소값 설정단계; 및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를 사용하여 관리자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를 통한 상기 중앙제어주소값의 변경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주소값 변경인가단계; 및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를 사용하여 상기 중앙제어주소값을 변경하는 입력신호를 입력하는 주소값 입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소값 변경인가단계에서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를 통한 상기 중앙제어주소값의 변경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주소값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입력신호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소값 변경인가단계에서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를 통한 상기 중앙제어주소값의 변경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를 사용하여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에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를 통한 상기 중앙제어주소값의 변경기능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요청신호 송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요청신호 송신단계에서 송신된 요청신호에 대해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를 사용하여 인가신호를 송신하는 인가신호 송신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가신호가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에서 상기 실내 신호단말기로 전송될 때 상기 주소값 입력단계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실내기의 중앙제어주소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요청신호 송신단계에서 송신된 요청신호에 대해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를 사용하여 인가신호를 송신하는 인가신호 송신단계; 및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를 사용하여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를 통한 상기 중앙제어주소값의 변경기능을 다시 비활성화하는 비활성화신호를 전송하는 비활성화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중앙 제어단말기가 대상 실내기에 대한 실내 제어단말기의 제어범위를 결정할 수 있어, 사용자가 관리자의 공기조화시스템 관리정책 하에서만 실내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 제어단말기가 실내 제어단말기를 통한 대상 실내기의 중앙제어 주소값을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인가 또는 철회할 수 있어, 사용자가 실내 제어단말기를 통하여 임의로 대상 실내기의 중앙제어 주소값을 변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관리자가 복수 개의 실내기 또는 복수 개의 실외기를 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건물로 구성된 단지 내의 또는 하나의 건물 내의 멀티에어컨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관리자의 공기조화시스템 관리정책 하에 공기조화시스템의 총 소비 전력량을 절감할 수 있는 등의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자가 정부의 녹색정책에 따라 강화된 에너지 규제에 적합하게 공기조화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에서 제어신호의 흐름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어 모니터링의 화면 구성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단말기에서 공기조화시스템을 제어하고 있는 경우 제어 모니터링의 화면 구성의 일 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단말기에서 실내기의 중앙제어 주소값을 제어하는 경우의 화면 구성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단말기에서 공기조화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모드의 화면 구성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단말기에서 실내 제어단말기의 제어범위를 결정하는 통제모드의 화면 구성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제어단말기의 제어모드의 화면 구성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단말기와 실내 제어단말기가 대상 실내기를 제어하는 경우 각 제어단말기의 제어신호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단말기의 주소값설정 인가부에서 실내 제어단말기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활성화한 경우 각 제어단말기의 제어신호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에서 중앙 제어단말기와 실내 제어단말기 사이의 제어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확하게 할 염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에서 제어신호의 흐름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어 모니터링의 화면 구성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단말기에서 공기조화시스템을 제어하고 있는 경우 제어 모니터링의 화면 구성의 일 예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단말기에서 실내기의 중앙제어 주소값을 제어하는 경우의 화면 구성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단말기에서 공기조화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모드의 화면 구성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단말기에서 실내 제어단말기의 제어범위를 결정하는 통제모드의 화면 구성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제어단말기의 제어모드의 화면 구성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단말기와 실내 제어단말기가 대상 실내기를 제어하는 경우 각 제어단말기의 제어신호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선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단말기의 주소값설정 인가부에서 실내 제어단말기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활성화한 경우 각 제어단말기의 제어신호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에서 제어신호의 흐름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1000)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실내기(200)(I11, I12, I13, I21, I22, I23, I31, I32, I33, I41, I42, I43, I44)와, 상기 실내기(200)에 연결된 적어도 1개 이상의 실외기(O1, O2, O3, O4)와,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실내기(200) 중 일부인 대상실내기(I11)에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개별사용자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대상실내기(I11)를 제어하는 실내 제어단말기(300)(R11, R12, R13, R21. R22. R23, R31, R32, R33, R41, R42, R43)와,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실내기(200)와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실외기(10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중앙 제어단말기(C)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실내기(200) 및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실외기(100)는 복수의 건물로 구성된 단지 내의 실내기(200) 및 실외기이거나 또는 하나의 건물 내에서의 각 실내의 실내기(200) 및 실외기(10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실내기(200) 및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실외기는 그룹별 제어를 위해 그룹화될 수 있다.
실내기(200)는 각 실내에 배치되어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측 열교환기(도시되지 않음), 실내측 열교환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를 촉진시키는 실내팬(도시되지 않음)과 실내팬을 회전시키는 전동기로 이루어진 실내 송풍기(도시되지 않음) 및 다수의 센서(도시되지 않음), 실내기(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대상실내기란 복수 개의 실내기(I11, I12, I13, I21, I22, I23, I31, I32, I33, I41, I42, I43, I44) 중 특정 실내 제어단말기(예를 들어, R11로 지칭된 실내 제어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특정 실내기(I1)를 의미하고, 예를 들어 상기 대상실내기는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R11)와 동일한 공조공간에 위치하는 실내기(I1)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1개 이상의 실내기(200)는 각각 개별적으로 고유의 중앙제어주소값을 가진다. 상기 중앙제어주소값은 실내기(200) 및 중앙 제어단말기(C)에 등록되어 있고, 중앙 제어단말기(C)에 등록된 중앙제어주소값과 실내기(200)에 등록된 중앙제어주소값이 일치하면, 상기 실내기(200)는 중앙 제어단말기(C)의 제어대상이 된다.
상기 실내기(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제어단말기(C)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실내기(200)에 개별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방식으로 연결된 실내 제어단말기(300)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실내기(200)는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를 포함하고, 토출구에는 토출구를 여닫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풍향조절수단이 구비된다. 실내기(200)는 실내기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흡입되는 공기 및 토출되는 공기를 제어함으로써, 풍량을 조절한다. 또한, 실내기(200)는 실내 공간에 존재하는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공기 흡입구와 좌측 토출구, 우측 토출구, 상부 토출구 등의 공기 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를 여닫음과 아울러 공기를 안내하는 베인이 설치되고, 베인은 공기 흡입구와 각 토출구를 여닫을 뿐 아니라, 흡입 공기와 토출 공기의 방향을 안내한다.
또한, 실내기(200)는 실내기(200)의 운전 모드 및 설정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 및 설정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200) 본체는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실내 제어단말기(300)와 연결되어, 실내 제어단말기(300)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동작이 설정되고, 운전상태가 실내 제어단말기(30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실외기(O)는 연결된 실내기(200)의 요구 또는 중앙 제어단말기(C)의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 등의 다양한 운전 모드로 동작되며, 복수의 실내기(200)로 냉매를 공급한다.
이러한 실외기(O)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압축기용 전동기, 압축된 냉매를 방열시키는 역할을 하는 실외측 열교환기, 실외측 열교환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실외팬과 실외팬을 회전시키는 전동기로 이루어진 실외 송풍기와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기구,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냉/난방 절환밸브, 기체화된 냉매를 잠시 저장하여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한 뒤 일정한 압력의 냉매를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 등을 포함한다. 실외기는 그 외 다수의 센서, 밸브, 과냉각 장치 등을 더 포함하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실외기(O)는 각각 연결된 실내기(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요구, 또는 중앙 제어단말기(C)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고, 구동되는 실내기(200)에 대응하여 냉/난방 용량이 가변됨에 따라 실외기의 작동 개수 및 실외기에 설치된 압축기의 작동 개수가 가변된다.
중앙 제어단말기(C)는 복수 개의 실내기(200) 그리고 1개 이상의 실외기에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관리자의 입력신호 및 상기 중앙제어주소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200) 그리고 상기 1개 이상의 실외기를 제어한다.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C)는 관리자에 의해 관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 단말기이거나 또는 관리자가 접속가능한 웹서버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중앙 제어단말기(C)는 관리자가 접속하여 공기조화시스템(1000)을 관리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중앙 제어단말기(C)는, 관리자가 입력신호를 입력하는 신호 입력부, 상기 신호 입력부에서 입력된 입력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상기 입력신호 또는 상기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발생된 제어신호를 상기 실내기(200) 또는 상기 실외기(O)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 전송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신호 처리시 요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발생된 신호를 표시하는 신호 출력부(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단말기(C)는 대상실내기(I11)를 제어할 수 있는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제어범위를 결정하는 제어범위 결정부(275) 및 대상실내기(I11)의 중앙제어주소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230)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C)는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를 통한 입력신호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제어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를 통한 입력신호가 비활성화되도록 상기 실내기(200) 또는 상기 실외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제어단말기(C)는 사용자가 실내 제어단말기(300)에 연결된 대상실내기(I11)의 중앙제어주소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320)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주소값설정 인가부(235)를 포함한다.
중앙 제어단말기(C)의 제어범위 결정부(275), 중앙제어주소 설정부(230) 및 주소값설정 인가부(235)는 중앙 제어단말기(C)의 입력부 중 하나로서, 중앙 제어단말기(C)의 하드웨어에 버튼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고,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제어단말기(C)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아이콘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렇게, 중앙 제어단말기(C)가 제어범위 결정부(275)를 포함함으로써 실내 제어단말기(300)를 통한 실내기(200)의 제어가 관리자의 공기조화시스템(1000) 관리정책 하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공기조화시스템(1000)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하고, 중앙 제어단말기(C)가 주소값설정 인가부(235)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로 또는 실수로 대상실내기(I11)의 중앙제어주소값을 변경하여 대상실내기(I11)가 중앙 제어단말기(C)의 제어대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공기조화시스템(1000)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실내 제어단말기(300)는 복수 개의 실내기(200) 중 일부인 대상실내기(I11)에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개별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대상실내기(I11)를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는 예를 들어 리모콘일 수 있다.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는, 개별 사용자가 입력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입력신호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또는 상기 입력신호 또는 상기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된 제어신호를 상기 실내기(200) 또는 상기 실외기(O)로 전송하고 중앙 제어단말기(C)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제어부에서 신호 처리시 요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된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는 사용자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에 연결된 대상실내기(I11)의 중앙제어주소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320)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320)는 중앙 제어단말기(C)의 주소값설정 인가부(235)를 통하여 활성화되어야만 실내기(200)의 중앙제어주소값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320)는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입력부 중 하나로서,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하드웨어에 버튼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아이콘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는 대상실내기(I11)의 중앙제어주소값이 중앙 제어단말기(C)에 등록된 중앙제어주소값과 동일한 경우 중앙 제어단말기(C)에서 결정된 제어범위 내에서만 대상실내기(I11)를 제어할 수 있고, 대상실내기(I11)의 중앙제어주소값이 중앙 제어단말기(C)에 등록된 중앙제어주소값의 범위 밖에 있는 경우 중앙 제어단말기(C)에서 결정된 제어범위를 초과하여 대상실내기(I1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단말기(C)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어 모니터링의 화면 구성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단말기(C)에서 공기조화시스템(1000)을 제어하고 있는 경우 제어 모니터링의 화면 구성의 일 예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단말기(C)에서 실내기(200)의 중앙제어 주소값을 제어하는 경우의 화면 구성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단말기(C)에서 공기조화시스템(1000)을 제어하는 제어모드의 화면 구성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단말기(C)에서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제어범위를 결정하는 통제모드의 화면 구성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제어단말기의 제어모드의 화면 구성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단말기와 실내 제어단말기가 대상 실내기를 제어하는 경우 각 제어단말기의 제어신호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선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제어단말기의 주소값설정 인가부에서 실내 제어단말기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활성화한 경우 각 제어단말기의 제어신호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제어단말기(C)는 제어 모니터링 화면(210), 중앙제어주소값 설정화면(230), 제어모드 화면(274), 통제모드화면(275)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모니터링 화면(210), 중앙제어주소값 설정화면(230), 제어모드 화면(274), 통제모드화면(275)은 중앙 제어단말기(C)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으로서 출력부로 역할하며, 동시에 입력부로서 역할하며, 각각의 화면은 개별 입력부로서 역할하는 다수의 아이콘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화면에 포함되는 다수의 아이콘 중 각각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중앙 제어단말기(C)의 화면이 전환되고 및/또는 상기 각각의 아이콘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제어단말기(C)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어 모니터링 화면(210)은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230), 중앙 제어단말기(C)의 제어대상인 실내기(200) 및/또는 실외기의 범위 및 작동여부를 나타내는 제어대상 표시부(240), 현재의 공기조화시스템(1000)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 및/또는 현재의 실내 및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250), 실내 제어단말기(300)가 실내기(200)를 제어할 수 있는 범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범위 표시부(260), 공기조화시스템(1000)을 제어하는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270)를 포함한다.
중앙 제어단말기(C)에서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230)가 선택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제어단말기(C)에는 중앙제어주소값 설정화면(230)이 표시된다.
상기 중앙제어주소값 설정화면(230)은 중앙 제어단말기(C)의 제어대상인 실내기(200)를 나타내는 실내기 아이콘(231)과, 상기 실내기(200)의 중앙제어주소값(233)과, 상기 실내기(200)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320)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주소값설정 인가부(235)를 포함한다.
중앙 제어단말기(C)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화면(230)에서 실내기(200) 아이콘이 선택되면, 관리자는 선택된 상기 실내기(200) 아이콘에 대응되는 실내기(200)의 중앙제어주소값(233)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공기조화시스템(1000)의 초기 설정시 사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공기조화시스템(1000)의 설치 후 초기 설정시 실내기(200)의 중앙제어주소값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설정 및 등록할 수 있다.
중앙 제어단말기(C)의 주소값설정 인가부(235)는 on 아이콘과 off 아이콘으로 구성되고, 상기 on 아이콘이 선택되면 중앙 제어단말기(C)는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320)를 활성화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off 아이콘이 선택되면 중앙 제어단말기(C)는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320)를 비활성화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관리자가 on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C)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320)를 활성화하는 경우, 실내 제어단말기(300)는 자신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320)를 통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실내기(I11)의 중앙제어주소값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시스템(1000)의 설치 후 초기 설정시 실내기(200)에 중앙제어주소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고 중앙 제어단말기(C)가 주소값설정 인가부를 통하여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320)를 활성화하는 경우, 실내기(200)는 중앙 제어단말기(C)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실내기(200)의 중앙제어주소값이 설정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실내기(200)(즉, 대상실내기(I11))는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320)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실내기(200)의 중앙제어주소값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200)에 중앙제어주소값이 설정되어 있고 중앙 제어단말기(C)가 주소값설정 인가부를 통하여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320)를 활성화하는 경우, 실내기(200)는 중앙 제어단말기(C)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실내기(200)의 중앙제어주소값이 변경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실내기(200)(즉, 대상실내기(I11))는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320)에 의해 생성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실내기(200)의 중앙제어주소값이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는 상기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통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실내기(I11)의 중앙제어주소값이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C)에 등록된 중앙제어주소값에 대응되도록 상기 대상실내기(I11)의 중앙제어주소값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는 상기 대상실내기(I11)의 중앙제어주소값을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C)에 등록된 중앙제어주소값에 대응되도록 변경함으로써 상기 대상실내기(I11)를 중앙 제어단말기(C)의 피제어대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는 상기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통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실내기(I11)의 중앙제어주소값이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C)에 등록된 중앙제어주소값의 범위 밖에 있도록 상기 대상실내기(I11)의 중앙제어주소값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는 상기 대상실내기(I11)의 중앙제어주소값을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C)에 등록된 중앙제어주소값의 범위 밖에 있도록 변경함으로써 상기 대상실내기(I11)를 중앙 제어단말기(C)의 피제어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고, 상기 대상실내기(I11)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에 의해서만 제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 제어단말기(C)에 의해 결정된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제어범위는 해제되고,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는 중앙 제어단말기(C)의 범위를 벗어나 대상실내기(I11)를 임의로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실내 제어단말기(300)를 중앙 제어단말기(C)의 지배 하에 두어 공기조화시스템(1000)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면서도 특정 공조공간의 실내기(200)를 중앙 제어단말기(C)의 피제어대상에서 제외시켜 실내 제어단말기(300)가 상기 특정 공조공간의 실내기(200)를 융통성있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중앙 제어단말기(C)의 주소값설정 인가부(235)에서 off 아이콘을 선택하여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C)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320)를 비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C)는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320)를 통한 입력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대상실내기(I11)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320)를 통한 입력신호의 수신을 차단하도록 상기 대상실내기(I1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상기 실내기(200)는 중앙 제어단말기(C)의 제어 하에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실내기(200)는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C)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230)를 통한 입력신호에 기초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반면, 상기 실내기(200)는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320)를 통한 입력신호에 기초한 제어신호를 차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내 제어단말기(300)를 통하여 임의로 또는 실수로 대상실내기(I11)의 중앙제어주소값을 변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대상실내기(I11)가 중앙 제어단말기(C)의 피제어대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관리자는 공기조화시스템(1000)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실내기(200) 및/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실외기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제어단말기(C)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320)를 비활성화하는 경우, 실내 제어단말기(300)는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320)를 통한 입력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대상실내기(I11)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의 비활성화 상태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실내 제어단말기(300) 또는 실내기(2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가 중앙제어주소값을 변경할 권한이 없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켜 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제어단말기(C)의 제어대상 표시부(240)에는, 중앙 제어단말기(C)의 피제어대상인 실내기(200) 및/또는 실외기(100)에 대응되는 실내기 아이콘(241) 및/또는 실외기 아이콘이 표시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제어단말기(C)의 제어대상 표시부(240)에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실내기(200) 아이콘들 및/또는 실외기 아이콘들 중에서 현재 작동 중인 실내기(200) 및/또는 실외기를 표시한다.
상태 표시부(250)는 현재의 공기조화시스템(1000)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 및/또는 현재의 실내 및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재의 공기조화시스템(1000)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공기조화시스템(1000)의 현재 설정온도에 대한 정보일 수 있고, 상기 현재의 실내 및 외부 환경에 대한 정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공조공간의 온도, 현재 외부의 온도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범위 표시부(260)는 실내 제어단말기(300)가 대상실내기(I11)를 제어할 수 있는 범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가 대상실내기(I11)를 제어할 수 있는 범위에 대한 정보는 중앙 제어단말기(C)의 통제모드 화면에서 설정 및 설정해제(즉, 변경 및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범위 표시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제어단말기(300)가 설정할 수 있는 대상실내기(I11)의 운전모드(예를 들어, 냉/난방 모드, 제/가습 모드, 환기 모드, 공기청정 모드 등), 실내 제어단말기(300)가 설정할 수 있는 대상실내기(I11)의 온도범위, 실내 제어단말기(300)가 설정할 수 있는 대상실내기(I11)의 풍량범위 등을 포함한다.
제어신호 생성부(270)는 공기조화시스템(1000)을 제어하는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로서, 전체정지 아이콘(271), 운전 아이콘(272), 정지 아이콘(273), 제어 아이콘(274), 통제 아이콘(275)을 포함한다.
제어신호 생성부(270)에서 전체정지 아이콘(271)이 선택되면 중앙 제어단말기(C)는 피제어대상인 실내기(200) 및/또는 실외기 전체를 정지시킨다.
제어신호 생성부(270)에서 운전 아이콘(272)(또는 정지 아이콘(273))이 선택되면 제어대상 표시부(240)에서 실내기(200) 아이콘 및/또는 실외기 아이콘을 선택하여 운전할(또는 정지할) 실내기(200) 및/또는 실외기를 선택할 수 있고, 제어대상 표시부(240)에서 실내기 아이콘(241) 및/또는 실외기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C)는 선택된 실내기(200) 아이콘 및/또는 실외기 아이콘에 대응되는 실내기(200) 및/또는 실외기를 운전(또는 정지)시킨다.
제어신호 생성부(270)에서 제어 아이콘(274)이 선택되면,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C)에는 제어모드 화면(274)이 표시된다.
상기 제어모드 화면(27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운전모드 중 실내 제어단말기(300)가 설정가능한 운전모드 및 온도범위 및 풍량범위가 표시되고, 상기 제어모드 화면은 실내 제어단말기(300)가 설정가능한 운전모드 및 온도범위 및 풍량범위 내에서 변경가능한 설정부(274a)를 포함한다.
제어신호 생성부(270)에서 통제 아이콘(275)이 선택되면,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C)에는 통제모드 화면(275)이 표시된다.
상기 통제모드 화면(275)은 그 전체가 대상실내기(I11)를 제어할 수 있는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제어범위를 결정하는 중앙 제어단말기(C)의 제어범위 결정부(275)가 된다.
상기 통제모드 화면(275)은, 실내 제어단말기(300)가 대상실내기(I11)의 운전가부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운전 통제부(275a), 실내 제어단말기(300)가 설정할 수 있는 대상실내기(I11)의 운전모드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는 운전모드 통제부(275b), 실내 제어단말기(300)가 설정할 수 있는 대상실내기(I11)의 온도범위를 제한하는 온도범위 통제부(275c), 실내 제어단말기(300)가 설정할 수 있는 대상실내기(I11)의 풍량범위를 제한하는 풍량범위 통제부(275d)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범위 통제부(275c) 및 상기 풍량범위 통제부(275d)는 범위를 관리자가 범위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지정부(275e)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C)는 상기 통제모드 화면(275)(즉, 제어범위 결정부)을 통하여 대상실내기(I11)를 제어할 수 있는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제어범위를 결정한다. 이때,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C)는 실내 제어단말기(300)를 통한 입력신호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제어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를 통한 입력신호가 비활성화되도록 상기 실내기(200) 또는 상기 실외기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C)가 결정하는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제어범위에 포함되는 제어신호는, 공기조화시스템(1000)의 온-오프 신호, 운전 모드 선택 신호, 온도 조절 신호, 습도 조절 신호, 풍량 조절 신호, 스케쥴링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C)는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를 통한 입력신호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제어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대상실내기(I11)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를 통한 입력신호의 수신을 차단하도록 상기 대상실내기(I1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제어단말기(300)는 제어모드 화면(31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드 화면(310)에는 대상실외기의 대응되는 실내기 아이콘(311), 상기 대상실내기(I11)의 작동상태, 상기 대상실내기(I11)가 존재하는 공조공간의 온도(또는 습도)에 대한 정보(312), 상기 대상실내기(I11)의 중앙제어주소값(313), 상기 대상실내기(I11)의 중앙제어주소값(313)을 설정 또는 변경하는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320), 운전모드 아이콘(330), 온도 지정부(331) 및 풍량 지정부(331) 등을 포함한다.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3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 제어단말기(C)의 주소값설정 인가부(235)에 의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는 중앙 제어단말기(C)의 통제모드(275)(또는 제어범위 결정부)에서 결정된 제어범위 내에서만 대상실내기(I1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는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C)의 제어범위 결정부(275)에 의해 결정된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제어범위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1000)에서 중앙 제어단말기(C)와 실내 제어단말기(300) 사이의 제어신호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공기조화시스템(1000)에서는 중앙 제어단말기(C)가 주소값설정 인가부에서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320)를 비활성화한 경우, 실내 제어단말기(300)는 중앙 제어단말기(C)의 주소값설정 인가부에서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활성화하기 전까지는 대상실내기(I11)의 중앙제어주소값을 변경할 수 없어, 중앙 제어단말기(C)가 실내기(200) 및/또는 실외기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나, 실내 제어단말기(300)는 대상실내기(I11)를 중앙 제어단말기(C)에서 결정된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제어범위를 초과하여 작동하여야 할 특정 상황이 발생할 때 중앙 제어단말기(C)의 관리자에게 능동적으로 상기 특정 상황을 인지시키지 못하여 공기조화시스템(1000)의 관리 융통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1000)에 따르면, 중앙 제어단말기(C)가 주소값설정 인가부에서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320)를 비활성화한 경우, 실내 제어단말기(300)는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320)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신호를 실내기(200)를 통하여 중앙 제어단말기(C)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중앙 제어단말기(C)가 활성화 요청신호에 대해 관리자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320)의 활성화를 인가하는 인가신호를 실내기(200)를 통하여 실내 제어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내 제어단말기(300)는 대상실내기(I11)를 중앙 제어단말기(C)에서 결정된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제어범위를 초과하여 작동하여야 할 특정 상황이 발생할 때 중앙 제어단말기(C)의 관리자에게 능동적으로 상기 특정 상황을 인지시킬 수 있어, 공기조화시스템(1000)의 관리 융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중앙 제어단말기(C)가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320)의 활성화를 인가하는 인가신호를 실내 제어단말기(300)로 전송한 후에,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C)는 관리자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320)를 비활성화하는 비활성화신호를 실내기(200)를 통하여 실내 제어단말기(300)로 다시 전송할 수 있다. 즉, 중앙 제어단말기(C)는 인가신호로 실내 제어단말기(300)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320)를 활성화한 후에도 실내 제어단말기(300)로 다시 비활성화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인가신호를 철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기조화시스템(1000)의 관리 융통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실내 제어단말기(300)가 여전히 중앙 제어단말기(C)의 제어 하에 있도록 할 수 있어, 공기조화시스템(1000)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을 사용하여 공기조화시스템을 제어하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기술할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의 각 단계는 전술한 공기조화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중앙 제어단말기(C)를 사용하여 복수 개의 실내기 각각에 대응되는 중앙제어주소값을 설정한다(이하, 주소값 설정단계).
이후,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C)를 사용하여 관리자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실내 제어단말기를 통한 상기 중앙제어주소값의 변경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한다(이하, 주소값 변경인가단계).
이후,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를 사용하여 상기 중앙제어주소값을 변경하는 입력신호를 입력한다(이하, 주소값 입력단계).
이때, 상기 주소값 변경인가단계에서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를 통한 상기 중앙제어주소값의 변경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주소값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입력신호를 비활성화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소값 변경인가단계에서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를 통한 상기 중앙제어주소값의 변경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를 사용하여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C)에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를 통한 상기 중앙제어주소값의 변경기능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요청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이하, 요청신호 송신단계). 이때,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요청신호 송신단계에서 송신된 요청신호에 대해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C)를 사용하여 인가신호를 송신하는 인가신호 송신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가신호가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C)에서 상기 실내 신호단말기로 전송될 때 상기 주소값 입력단계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실내기의 중앙제어주소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C)를 사용하여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를 통한 상기 중앙제어주소값의 변경기능을 다시 비활성화할 수도 있다(이하, 비활성화단계).
전술한 바에 의해 대상실내기에 중앙제어주소값이 설정되면 ,중앙 제어단말기(C)를 사용하여 관리자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실내기를 제어할 수 있는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제어범위를 결정한다(이하, 제어범위 결정단계).
이후,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한다(이하, 입력신호 수신단계).
이후, 상기 입력신호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입력신호가 상기 제어범위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제어범위 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이하, 입력신호 판단단계).
이후, 상기 입력신호 판단단계에서, 상기 입력신호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입력신호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제어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입력신호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입력신호가 대상실내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지 못하도록 상기 입력신호 수신단계에서 수신된 입력신호를 비활성화한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중앙 제어단말기(C)가 대상 실내기에 대한 실내 제어단말기의 제어범위를 결정할 수 있어, 사용자가 관리자의 공기조화시스템 관리정책 하에서만 실내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앙 제어단말기(C)가 실내 제어단말기를 통한 대상 실내기의 중앙제어 주소값을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인가 또는 철회할 수 있어, 사용자가 실내 제어단말기를 통하여 임의로 대상 실내기의 중앙제어 주소값을 변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관리자가 복수 개의 실내기 또는 복수 개의 실외기를 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건물로 구성된 단지 내의 또는 하나의 건물 내의 멀티에어컨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관리자의 공기조화시스템 관리정책 하에 공기조화시스템의 총 소비 전력량을 절감할 수 있는 등의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자가 정부의 녹색정책에 따라 강화된 에너지 규제에 적합하게 공기조화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의 기재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0 : 공기조화시스템
200 : 실외기
300 : 실내 제어단말기
C : 중앙 제어단말기

Claims (17)

  1. 중앙제어주소값을 개별적으로 가지는 복수 개의 실내기;
    상기 실내기에 연결된 1개 이상의 실외기;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 중 일부인 대상실내기에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개별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대상실내기를 제어하는 실내 제어단말기; 및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 그리고 상기 1개 이상의 실외기에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고, 관리자의 입력신호 및 상기 중앙제어주소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 그리고 상기 1개 이상의 실외기를 제어하는 중앙 제어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는 대상실내기를 제어할 수 있는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제어범위를 결정하는 제어범위 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는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를 통한 입력신호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제어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를 통한 입력신호가 비활성화되도록 상기 실내기 또는 상기 실외기를 제어하고,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는 사용자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에 연결된 대상실내기의 중앙제어주소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는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주소값설정 인가부를 구비하여,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를 통한 입력신호가 비활성화된 경우,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는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활성화를 요청하는 신호에 대하여,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가 관리자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의 활성화를 인가하는 인가신호를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는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를 통한 입력신호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제어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대상실내기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를 통한 입력신호의 수신을 차단하도록 상기 대상실내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는 상기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통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실내기의 중앙제어주소값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는 상기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통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실내기의 중앙제어주소값이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에 등록된 중앙제어주소값에 대응되도록 상기 대상실내기의 중앙제어주소값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는 상기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통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실내기의 중앙제어주소값이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에 등록된 중앙제어주소값의 범위 밖에 있도록 상기 대상실내기의 중앙제어주소값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통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실내기의 중앙제어주소값이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에 등록된 중앙제어주소값의 범위 밖의 중앙제어주소값으로 변경된 경우,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는 상기 제어범위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제어범위를 초과하여 대상실내기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비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는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통한 입력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대상실내기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통한 입력신호의 수신을 차단하도록 상기 대상실내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비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는 상기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를 통한 입력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대상실내기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중앙제어주소값 설정부의 비활성화 상태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는 상기 중앙 제어단말기의 제어범위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제어범위가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제어단말기의 제어범위에 포함되는 제어신호는, 공기조화시스템의 온-오프 신호, 운전 모드 선택 신호, 온도 조절 신호, 습도 조절 신호, 풍량 조절 신호, 스케쥴링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10140405A 2011-12-22 2011-12-22 공기조화시스템 및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954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405A KR101954143B1 (ko) 2011-12-22 2011-12-22 공기조화시스템 및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405A KR101954143B1 (ko) 2011-12-22 2011-12-22 공기조화시스템 및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811A KR20130072811A (ko) 2013-07-02
KR101954143B1 true KR101954143B1 (ko) 2019-03-05

Family

ID=48987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405A KR101954143B1 (ko) 2011-12-22 2011-12-22 공기조화시스템 및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1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6861B (zh) * 2013-09-22 2017-02-01 深圳市深蓝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机房空调轮值系统及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618B1 (ko) * 2006-02-20 2010-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앙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090052746A (ko) * 2007-11-21 2009-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에어컨의 부분 잠금 제어 방법
KR20100001768A (ko) * 2008-06-27 2010-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811A (ko) 201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32065B1 (en) Arrangement of microsystems for comfort control
EP3260788B1 (en) Air conditioner
EP2829813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2607805A1 (en) Outdoor-air treating air conditioner and multi-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same
KR102206461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5136403B2 (ja) 設備機器制御システム
KR101695814B1 (ko) 공기조화시스템 및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57336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H10232040A (ja) 空調システム装置
KR101991561B1 (ko) 공기 조화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954143B1 (ko) 공기조화시스템 및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5002225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36634B1 (ko) 공기조화기를 포함한 중앙관리 시스템
KR10219937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50022254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5131185B2 (ja) 設備機器制御システム
KR20150049530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70027164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80011672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38014A (ko) 공기조화시스템
KR2009012919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2016080317A (ja) 空気調和装置
KR101785655B1 (ko) 공기조화시스템
KR102155558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2123765A1 (ja) 空調システム、空調方法、および空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