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993B1 -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낙하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성능시험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낙하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성능시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993B1
KR101953993B1 KR1020170124300A KR20170124300A KR101953993B1 KR 101953993 B1 KR101953993 B1 KR 101953993B1 KR 1020170124300 A KR1020170124300 A KR 1020170124300A KR 20170124300 A KR20170124300 A KR 20170124300A KR 101953993 B1 KR101953993 B1 KR 101953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electronic product
plate
impact
dr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170124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9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품을 자유 낙하시켜 충격을 가한 뒤, 정상작동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낙하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성능시험방법에 관한 것으로, 충격센서가 구비된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판의 상단에 하부가 고정되어 수직하게 설치된 가이드바, 가이드바를 따라 슬라이드식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바에 끼워지는 플레이트,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플레이트에 끼워져 결합되고, 전자제품이 내부에 장착되는 어댑터, 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플레이트를 자유 낙하시키는 낙하 조정부, 어댑터의 종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베이스판의 상단에 고정되는 완충부 및 전자제품의 충격센서의 신호전송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제품의 정상작동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부를 포함하고, 전자제품은 신호전송단자가 어댑터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어댑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낙하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성능시험방법{DROP TESTING APPARATUS FOR IMPACT TEST OF ELECTRONICS AND IMPACT TES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시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제품을 자유 낙하시켜 충격을 가한 뒤, 정상작동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낙하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성능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충격이 가해졌을 때 작동하는 특수 전자제품과 같은 경우에는 이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그 기능을 시험함으로써, 전자제품의 신뢰도와 품질을 확보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전자제품을 시험대상으로 하여 이를 자유 낙하시켜 충격을 가하고, 이때 전자제품에 가해진 충격량과 전자제품의 정상작동여부를 분석하고, 판단할 수 있는 장비가 없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어려웠을 뿐 아니라 정상 작동할 수 있는 충격량의 한계 값인 임계값 역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964502호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충격센서가 구비된 전자제품이 장착되는 어댑터를 포함하고, 이를 자유 낙하시키며, 이때 전자제품에 가해진 충격량과 전자제품의 정상작동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전자제품의 신뢰도와 품질을 확보하고, 나아가 전자제품이 정상 작동할 수 있는 충격량의 한계 값인 임계값을 측정할 수 있는 낙하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성능시험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충격센서가 구비된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판의 상단에 하부가 고정되어 수직하게 설치된 가이드바, 가이드바를 따라 슬라이드식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바에 끼워지는 플레이트,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플레이트에 끼워져 결합되고, 전자제품이 내부에 장착되는 어댑터, 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플레이트를 자유 낙하시키는 낙하 조정부, 어댑터의 종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베이스판의 상단에 고정되는 완충부 및 전자제품의 충격센서의 신호전송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제품의 정상작동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부를 포함하고, 전자제품은 신호전송단자가 어댑터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어댑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댑터는 전자제품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어댑터 몸체 및 어댑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신호전송단자가 외부로 돌출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 어댑터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관통홀은 어댑터의 종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어댑터 몸체는 전자제품이 밀착되어 장착되도록 내면 형상이 전자제품의 외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낙하 조정부는 베이스판의 상단에 하부가 고정되어 수직하게 설치된 낙하 지지대 및 낙하 지지대에 결합되고, 플레이트의 낙하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위치 고정 핀이 구비된 위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치 고정핀이 플레이트에 형성된 안착홈에 끼워짐으로써, 플레이트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낙하 지지대에는 플레이트의 낙하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고, 위치 고정부가 슬롯에 끼워짐으로써, 슬롯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낙하 조정부는 위치 고정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 고정 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치 고정 볼트는 위치 고정부의 아래로 슬롯을 가로지르며 낙하 지지대에 결합됨으로써, 위치 고정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바는 어댑터의 양측에 각각 서로 대칭을 이루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완충부는 MC 나일론 재질로 이루어지며, 직경이 어댑터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베이스판의 측면에 베이스판과 수직하게 결합되는 프로텍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낙하시험장치를 이용하여 충격센서가 구비된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충격성능시험방법은 기설정된 낙하높이에 맞춰 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S100), 전자제품의 충격센서의 신호전송단자가 어댑터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전자제품을 어댑터에 장착하는 단계(S200), 신호전송단자를 작동여부 판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S300), 플레이트의 위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플레이트를 자유 낙하시키는 단계(S400) 및 어댑터가 완충부에 충돌하여 전자제품에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충격센서에서 생성된 충격신호를 작동여부 판단부가 수신하고, 수신한 충격신호를 분석하여 전자제품의 정상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충격센서가 구비된 전자제품이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어댑터를 포함하고, 이를 자유 낙하시킴으로써, 낙하 도중 가해지는 공기의 저항 및 낙하한 후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전자제품의 자세가 흐트러지거나 전자제품이 외부로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신뢰도 높은 충격성능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제품이 장착되는 어댑터가 전자제품의 충격센서와 연결된 신호전송단자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전자제품에 가해진 충격량과 전자제품의 정상작동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장비들과 신호전송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낙하한 후 가해지는 충격에도 그 연결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충격성능시험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이와 같은 효과들을 통해 전자제품에 가해진 충격량과 전자제품의 정상작동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전자제품의 신뢰도와 품질을 확보할 수 있고, 전자제품이 정상 작동할 수 있는 충격량의 한계 값인 임계값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낙하시험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낙하시험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낙하시험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낙하시험장치의 어댑터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낙하시험장치의 어댑터에 전자제품이 장착된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낙하시험장치의 작동여부 판단부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낙하시험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는 충격성능시험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충격센서가 구비된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낙하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성능시험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낙하시험장치를 보여주는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낙하시험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낙하시험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낙하시험장치는 베이스판(10), 가이드바(20), 플레이트(30), 어댑터(40), 낙하 조정부(50), 완충부(60) 및 작동여부 판단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판(1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닥면과 접촉을 이루며 놓여지고, 이의 상단에 다른 구성요소들이 설치된다.
가이드바(2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원기둥형으로 형성되며, 베이스판(10)의 상단에 하부가 고정되어 수직하게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바(20)는 샤프트(shaft)인 것이 바람직하며, 도 2,3과 같이 샤프트 고정용 홀더(21)에 의해 베이스판(10)의 상단에 단단히 고정되어 설치된다.
플레이트(3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이드바(20)를 따라 슬라이드식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바(20)에 끼워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30)는 도 2와 같이 직선 운동 베어링인 볼부쉬(31)가 하단에 결합되어 가이드바(20)에 함께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플레이트(30)는 볼부쉬(31)와 함께 가이드바(20)를 따라 위아래로 직선 왕복 이동을 하게 된다.
어댑터(40)는 시험대상인 전자제품(100)이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플레이트(30)를 관통하도록 플레이트(30)에 끼워져 결합되어 가이드바(20)를 따라 이동하는 플레이트(30)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댑터(4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플레이트(30)의 중심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가이드바(20)는 도 2와 같이 어댑터(40)를 중심으로 어댑터(40)의 양측에 각각 서로 대칭을 이루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플레이트(30)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직선 왕복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시험대상인 전자제품(100)은 충격센서가 구비된 전자제품으로, 여기서 충격센서는 전자제품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충격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전자제품에 가해진 충격량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자제품(100)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확인하고, 전자제품(100)이 정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작동여부 판단부(200)가 전자제품(100)의 충격센서와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고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어댑터(40)는 전자제품(100)이 내부에 장착되도록 하되, 전자제품(100)의 충격센서와 연결되어 충격센서에서 생성된 충격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송단자(101)는 어댑터(4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신호전송단자(101)가 작동여부 판단부(20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낙하시험장치의 어댑터(40)의 단면을 보여주는 모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낙하시험장치의 어댑터(40)에 전자제품(100)이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와 신호전송단자(101)가 구비된 전자제품(100)을 보여주는 모식도로, 이하, 도 4,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어댑터(4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댑터(40)는 전자제품(100)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어댑터 몸체(41)와 상기 어댑터 몸체(41)의 상부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어댑터 마개(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어댑터 마개(42)를 어댑터 몸체(41)로부터 분리하고, 어댑터 몸체(41)의 내부에 전자제품(100)을 넣어준 뒤, 어댑터 마개(42)를 어댑터 몸체(41)에 다시 결합시킴으로써, 전자제품(100)을 어댑터(40)에 장착한다.
여기서 어댑터 몸체(41)는 전자제품(100)이 최대한 밀착되어 장착될 수 있도록 도 5와 같이 내부 공간이 전자제품(100)의 부피와 최대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어댑터 몸체(41)의 내면 형상 역시 전자제품(100)의 외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이를 통해 전자제품(100)이 어댑터(40)의 내부에서 움직이지 못하고,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낙하 도중 가해지는 공기의 저항 또는 낙하한 후 가해지는 충격 등에 의해 전자제품(100)의 자세가 처음과 달리 흐트러지거나 전자제품(100)이 외부로 튕겨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신뢰도 높은 충격성능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댑터(40)는 전자제품(100)이 내부에 장착되도록 하되, 전자제품(100)의 충격센서에서 생성된 충격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송단자(101)는 어댑터(4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어댑터 마개(42)에는 도 4,5와 같이 어댑터(40)의 종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형성된 원형의 관통홀(4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관통홀(42a)을 통해 도 5와 같이 전자제품(100)의 신호전송단자(101)가 외부로 돌출되어 본 발명의 작동여부 판단부(200)와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게 된다.
낙하 조정부(50)는 플레이트(30)가 가이드바(20)를 따라 이동하지 못하도록 플레이트(30)의 위치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플레이트(30)를 자유 낙하시키기 위한 것으로, 낙하 지지대(51)와 위치 고정부(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낙하 지지대(5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베이스판(10)의 상단에 하부가 고정되어 수직하게 설치된다.
위치 고정부(52)는 도 1,3과 같이 낙하 지지대(51)에 결합되고, 플레이트(30)에 형성된 안착홈에 끼워지거나 안착홈으로부터 빠져나오는 위치 고정 핀(52a)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위치 고정 핀(52a)을 플레이트(30)에 형성된 안착홈에 도 3과 같이 끼움으로써, 플레이트(30)의 위치를 고정하고, 위치 고정 핀(52a)을 안착홈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함으로써, 플레이트(30)를 자유 낙하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 고정 핀(52a)은 도 3과 같이 플레이트(30)의 낙하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함으로써, 안착홈에 끼워지거나 안착홈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바람직하며, 낙하시험을 실시하는 시험자에 의해 그 이동이 조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 고정 핀(52a)을 구비한 위치 고정부(52)는 내장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위치 고정 핀(52a)을 이동시키는 인덱스 플런저(Index plunger)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인덱스 플런저를 당김으로써, 위치 고정 핀(52a)을 안착홈으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하고, 인덱스 플런저를 놓아줌으로써,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위치 고정 핀(52a)이 안착홈에 다시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낙하 지지대(51)에는 도 1,2와 같이 플레이트(30)의 낙하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롯(51a)이 형성되어 있고,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슬롯(51a)에 위치 고정부(52)가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위치 고정부(52)를 슬롯(51a)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위치 고정부(5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위치 고정부(52)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플레이트(30)의 위치를 시험하고자 하는 낙하높이(h)에 맞춰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낙하높이(h)는 도 3과 같이 어댑터(40)의 하단면과 완충부(60)의 상단면의 사이 거리가 된다.
한편, 낙하 조정부(50)는 시험하고자 하는 낙하높이(h)에 맞춰 슬롯(51a) 상에서 위치가 조정된 위치 고정부(52)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 고정 볼트(5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치 고정 볼트(53)는 도 1,3과 같이 위치 고정부(52)의 아래로 슬롯(51a)을 가로지르며 낙하 지지대(51)에 결합되며, 이를 통해 위치 고정부(52)의 낙하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위치 고정부(52)가 슬롯(51a)을 따라 낙하하지 못하도록 그 위치를 고정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낙하시험장치의 낙하 조정부(50)는 위치 고정 볼트(53)를 통해 위치 고정부(52)의 위치를 고정하고, 위치 고정부(52)의 위치 고정 핀(52a)을 통해 플레이트(30)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어댑터(40)의 위치를 시험하고자 하는 낙하높이(h)에 맞춰 조정한다.
완충부(60)는 낙하 조정부(50)에 의해 시험하고자 하는 낙하높이(h)에 맞춰 위치가 고정된 어댑터(40)가 그 고정이 해제됨으로써, 자유 낙하할 때 충돌하는 것으로, 어댑터(40)에 충격량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완충부(6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원형이며, 베이스판(10)의 상단에 고정되어 설치되되, 어댑터(40)가 충돌할 수 있도록 어댑터(40)의 종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설치된다.
또한, 완충부(60)의 직경은 어댑터(4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어댑터(40)가 완충부(60)에 충돌할 때, 어댑터(40)의 전체면적에 동일한 충격량이 동시에 가해지도록 한다.
한편, 이와 같은 완충부(60)는 MC 나일론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어댑터(40)의 중량, 낙하높이(h), 전자제품(100)에 가해지는 충격량 및 전자제품(100)이 정상 작동할 수 있는 충격량의 한계 값인 임계값 등을 고려하여 선정된 재질이다.
작동여부 판단부(200)는 전자제품(100)에 구비된 충격센서에서 생성된 충격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송단자(1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격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전자제품(100)에 가해진 충격량을 표시하고, 전자제품(100)의 정상작동여부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낙하시험장치의 작동여부 판단부(200)를 보여주는 블록도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여부 판단부(200)는 전자제품(100)의 신호전송단자(101)와 케이블에 의해 직접 연결되어 신호전송단자(101)가 전송한 충격신호를 수신하는 전용 장비(201)와 LAN선을 통해 전용 장비(201)로부터 충격신호를 전달받고, 전용프로그램을 통해 이를 분석함으로써, 전자제품(100)에 가해진 충격량과 전자제품(100)의 정상작동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 값을 모니터로 표시함과 동시에 데이터로 저장하는 컴퓨터(2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컴퓨터(202)는 랩탑(laptop) 컴퓨터일 수 있다.
따라서 낙하시험을 실시하는 시험자에는 컴퓨터(202)의 모니터를 통해 전자제품(100)에 가해진 충격량과 전자제품(100)의 정상작동여부(정상작동 혹은 비정상작동)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낙하시험장치는 도 1과 같이 볼트 등의 체결수단(11)에 의해 베이스판(10)의 측면에 베이스판(10)과 수직하게 결합된 일정높이의 프로텍터(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를 통해 어댑터(40)와 완충부(60)의 충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로텍터(70)는 시험자가 낙하 조정부(50)를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베이스판(10)의 측면에 결합되되, 도 1과 같이 낙하 조정부(50)가 위치한 쪽의 측면에는 결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낙하시험장치는 도 1과 같이 낙하 조정부(50)에 의해 플레이트(30)의 위치가 고정된 경우, 플레이트(30)에 결합된 어댑터(40)의 무게를 지지하고 있는 낙하 지지대(51)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낙하 지지대 보강부(5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 1과 같이 어댑터(40)의 반대편 측에 설치되며, 일측은 낙하 지지대(51)에, 타측은 베이스판(10)의 상단에 결합되어 설치된다.
도 7은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낙하시험장치를 이용하여 충격센서가 구비된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성능시험방법은 시험을 위해 기설정한 낙하높이(h)에 맞춰 플레이트(30)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S100), 전자제품(100)의 충격센서의 신호전송단자(101)가 어댑터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전자제품(100)을 어댑터(40)에 장착하는 단계(S200), 신호전송단자(101)를 작동여부 판단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S300), 플레이트(30)의 위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플레이트(30)를 자유 낙하시키는 단계(S400) 및 어댑터(40)가 완충부(60)와 충돌하여 전자제품(100)에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충격센서에서 생성된 충격신호를 작동여부 판단부(200)가 수신하고, 수신한 충격신호를 분석하여 전자제품(100)의 정상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여 진행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충격성능시험방법은 낙하높이(h)를 조정함으로써, 전자제품(100)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달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자제품(100)이 정상 작동할 수 있는 충격량의 한계 값인 임계값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낙하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성능시험방법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0 : 베이스판
11 : 체결수단
20 : 가이드바
21 : 홀더
30 : 플레이트
31 : 볼부쉬
40 : 어댑터
41 : 어댑터 몸체
42 : 어댑터 마개
42a : 관통홀
50 : 낙하 조정부
51 : 낙하 지지대
51a : 슬롯
52 : 위치 고정부
52a : 위치 고정 핀
53 : 위치 고정 볼트
54 : 낙하 지지대 보강부
60 : 완충부
70 : 프로텍터
100 : 전자제품
101 : 신호전송단자
200 : 작동여부 판단부
201 : 전용장비
202 : 컴퓨터

Claims (13)

  1. 충격센서가 구비된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판의 상단에 하부가 고정되어 수직하게 설치된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슬라이드식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바에 끼워지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끼워져 결합되고, 전자제품이 내부에 장착되는 어댑터;
    상기 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를 자유 낙하시키는 낙하 조정부;
    상기 어댑터의 종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판의 상단에 고정되는 완충부; 및
    상기 전자제품의 충격센서의 신호전송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제품의 정상작동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작동여부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제품은 상기 신호전송단자가 상기 어댑터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어댑터에 장착되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전자제품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어댑터 몸체; 및
    상기 어댑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신호전송단자가 외부로 돌출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 어댑터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낙하시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어댑터의 종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낙하시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몸체는 상기 전자제품이 밀착되어 장착되도록 내면 형상이 상기 전자제품의 외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낙하시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조정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상단에 하부가 고정되어 수직하게 설치된 낙하 지지대; 및
    상기 낙하 지지대에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낙하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위치 고정 핀이 구비된 위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낙하시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핀이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안착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플레이트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낙하시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지지대에는 상기 플레이트의 낙하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 고정부가 상기 슬롯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낙하시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 조정부는,
    상기 위치 고정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 고정 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낙하시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 볼트는 상기 위치 고정부의 아래로 상기 슬롯을 가로지르며 상기 낙하 지지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위치 고정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낙하시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어댑터의 양측에 각각 서로 대칭을 이루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낙하시험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MC 나일론 재질로 이루어지며, 직경이 상기 어댑터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낙하시험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의 측면에 상기 베이스판과 수직하게 결합되는 프로텍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낙하시험장치.
  13. 제1항, 제3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낙하시험장치를 이용하여 충격센서가 구비된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기설정된 낙하높이에 맞춰 플레이트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
    전자제품의 충격센서의 신호전송단자가 어댑터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전자제품을 상기 어댑터에 장착하는 단계;
    상기 신호전송단자를 작동여부 판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플레이트의 위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를 자유 낙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어댑터가 완충부에 충돌하여 상기 전자제품에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충격센서에서 생성된 충격신호를 상기 작동여부 판단부가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충격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전자제품의 정상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시험방법.
KR1020170124300A 2017-09-26 2017-09-26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낙하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성능시험방법 KR101953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300A KR101953993B1 (ko) 2017-09-26 2017-09-26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낙하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성능시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300A KR101953993B1 (ko) 2017-09-26 2017-09-26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낙하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성능시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993B1 true KR101953993B1 (ko) 2019-03-04

Family

ID=65760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300A KR101953993B1 (ko) 2017-09-26 2017-09-26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낙하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성능시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9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4662A (zh) * 2020-11-10 2021-02-26 上海飞机制造有限公司 一种冲击试验装置以及冲击试验装置的定位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1643A (ja) * 1998-01-22 1999-08-06 Sharp Corp 落下試験装置および落下試験方法
JP4386183B2 (ja) * 2004-06-23 2009-12-16 日本電気株式会社 落下試験装置および落下試験方法
KR100964502B1 (ko) 2007-04-04 2010-06-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유낙하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1643A (ja) * 1998-01-22 1999-08-06 Sharp Corp 落下試験装置および落下試験方法
JP4386183B2 (ja) * 2004-06-23 2009-12-16 日本電気株式会社 落下試験装置および落下試験方法
KR100964502B1 (ko) 2007-04-04 2010-06-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유낙하시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4662A (zh) * 2020-11-10 2021-02-26 上海飞机制造有限公司 一种冲击试验装置以及冲击试验装置的定位方法
CN112414662B (zh) * 2020-11-10 2023-09-26 上海飞机制造有限公司 一种冲击试验装置以及冲击试验装置的定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1284B2 (ja) 落下試験装置
KR101953993B1 (ko)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낙하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성능시험방법
KR100964502B1 (ko) 자유낙하시험장치
US7329900B2 (en) Bonding strength testing device
CN111093778B (zh) 刚性特性计测装置
JP4466431B2 (ja) 衝突試験装置
CN108037000B (zh) 一种机械强度测试装置
KR101904197B1 (ko) 낙하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하 시험 방법
KR101954975B1 (ko) 전지셀의 안전성 시험장치
KR101301761B1 (ko) 복원력을 갖는 충격시험장치
KR20090112375A (ko) 이동형 낙하충격 시험장치
KR102020992B1 (ko) 잠수용 안면창 충격시험기
CN220288953U (zh) 一种电器冲击测试装置
CN111050862B (zh) 刚性特性计测方法以及刚性特性计测系统
KR101295171B1 (ko) 충격 시험기
US54507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testing of a device
US8297105B2 (en) Impact testing device and impact testing method using the same
CN113654785B (zh) 一种衬套安装检测装置
KR20170060623A (ko) 댐핑 저감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
JP5197466B2 (ja) 密閉型給配電設備の点検装置
KR100666313B1 (ko) 자유낙하형 충격시험장치
Zhang High acceleration board level reliability drop test using dual mass shock amplifier
KR101170607B1 (ko) 시편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자유낙하시험장치
CN208688928U (zh) 一种落球冲击试验机
CN112304638A (zh) 一种行人保护aPLI腿动态标定装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