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0992B1 - 잠수용 안면창 충격시험기 - Google Patents

잠수용 안면창 충격시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992B1
KR102020992B1 KR1020180035233A KR20180035233A KR102020992B1 KR 102020992 B1 KR102020992 B1 KR 102020992B1 KR 1020180035233 A KR1020180035233 A KR 1020180035233A KR 20180035233 A KR20180035233 A KR 20180035233A KR 102020992 B1 KR102020992 B1 KR 102020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rame
diving
face window
diving face
stri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혁진
이승국
김진민
이승훈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035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9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01N3/303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generated only by free-falling we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잠수용 안면창이 장착된 더미헤드가 일부분에 구비되는 이동지그;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프레임;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하단이 상기 잠수용 안면창과 이격된 상태로 대면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중공을 따라 자유 낙하하여 상기 잠수용 안면창을 타격하는 타격부재; 및 상기 이동지그의 더미헤드에 설치되고, 상기 잠수용 안면창 내의 기체를 흡입하여 외부로 방출시키면서 설정된 진공도를 유지하는 진공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잠수용 안면창의 손상여부 및 잠수용 안면창 내의 진공상태 유지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충격량에 따른 잠수용 안면창의 내구성과 외부로부터의 유체 유입여부를 보다 정밀하게 시험할 수 있다.

Description

잠수용 안면창 충격시험기{DIVING FACE PORT IMPACT TESTER}
본 발명은 충격시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더미헤드에 장착되어 내부진공상태가 유지되는 잠수용 안면창에 타격체를 자유 낙하시키는 구성을 통해 잠수용 안면창의 손상여부 및 잠수용 안면창 내의 진공상태 유지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충격량에 따른 잠수용 안면창의 내구성과 외부로부터의 유체 유입여부를 보다 정밀하게 시험할 수 있는 잠수용 안면창 충격시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충격시험기는 안전모를 규정된 높이에서 추를 낙하시켜 이의 충돌 시 발생하는 충격량을 측정하여, 그 충격량이 기준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충격시험기는 레일프레임이 제공되며, 상기 레일프레임의 일 측면에 안전모가 장착된 더미헤드(Dummy-head)를 연결시키는 스트라이커(striker)가 상기 레일프레임의 높이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고, 이 스트라이커를 상기 레일프레임의 기준높이에서 자유 낙하 시키는 트리거(trigger)를 갖는다.
상기 더미헤드의 내부에는 가속도센서가 장착되어, 이는 DAS(Data Acquisition System)와 연결되어 안전모가 장착된 더미헤드에 추가 낙하하여 바닥면의 엔빌(anvil)과 충돌할 때 그 가속도량을 측정하게 된다.
즉, 상기 더미헤드에 안전모를 장착하고 상기 스트라이커를 레일프레임에 대하여 기준높이로 올린 후, 상기 트리거를 조작하여 상기 스트라이커를 자유 낙하시키게 되면 스트라이커의 일단에 연결된 더미헤드에 씌워진 안전모가 바닥면의 엔빌과 충돌을 이루고, 이때 DAS는 더미헤드 내부에 장착된 가속도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얻어 가속도량을 측정하여 이를 통하여 충격량을 계산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특허문헌 1은 기존에 스트라이커가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낙하할 때 마찰력이 최소화되고, 시험시 트리거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하면서 안전모에 대하여 그 충격력을 시험하는 것으로, 충격에 대해서 안전모의 파손 정도에 상관없이 착용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험 데이터를 확보하는 구조를 갖는 기술이다.
그러나, 잠수헬멧 또는 잠수마스크 등의 경우 수중에 사용자의 생명을 보장함에 있어 안면창이나 일부에 균열이 발생하게 되면 치명적인 인명사고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그 안전성에 대해 더욱 정확한 측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0499호(발명의 명칭: 안전모용 낙하식 충격시험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더미헤드에 장착되어 내부진공상태가 유지되는 잠수용 안면창에 타격체를 자유 낙하시키는 구성을 통해 잠수용 안면창의 손상여부 및 잠수용 안면창 내의 진공상태 유지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충격량에 따른 잠수용 안면창의 내구성과 외부로부터의 유체 유입여부를 보다 정밀하게 시험할 수 있는 잠수용 안면창 충격시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자력변화에 의해 타격체가 설정된 높이에서 자유 낙하하고, 타격체의 낙하 시 타격체에 대한 공기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보다 높은 시험신뢰도를 달성할 수 있는 잠수용 안면창 충격시험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잠수용 안면창에 대한 타격체의 타격예상지점이 미리 표시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타격예상지점을 정확히 지정하여 충격량에 따른 잠수용 안면창의 내구성을 보다 정확하게 시험할 수 있는 잠수용 안면창 충격시험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잠수용 안면창 충격시험기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잠수용 안면창이 장착된 더미헤드가 일부분에 구비되는 이동지그;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프레임;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하단이 상기 잠수용 안면창과 이격된 상태로 대면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중공을 따라 자유 낙하하여 상기 잠수용 안면창을 타격하는 타격부재; 및 상기 이동지그의 더미헤드에 설치되고, 상기 잠수용 안면창 내의 기체를 흡입하여 외부로 방출시키면서 설정된 진공도를 유지하는 진공유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상기 타격부재의 낙하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타격부재의 낙하 시 상기 중공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상기 타격부재에 대한 공기저항을 감소시키는 공기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타격부재를 설정된 위치에 선택적으로 홀딩시키는 홀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격부재는, 철, 코발트, 니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자성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홀딩부재는, 전류공급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자성을 갖는 전자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잠수용 안면창으로 직선형의 빛을 발사하면서 상기 타격부재의 타격위치가 미리 표시되도록 하는 타격위치 표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단 측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단과 잠수용 안면창 간의 이격거리가 식별되도록 하는 이격거리 식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잠수용 안면창 충격시험기는, 더미헤드에 장착되어 진공유지부재에 의해 내부진공상태가 유지되는 잠수용 안면창에 타격부재를 자유 낙하시키는 구성을 통해 잠수용 안면창의 손상여부 및 잠수용 안면창 내의 진공상태 유지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충격량에 따른 잠수용 안면창의 내구성과 외부로부터의 유체 유입여부를 보다 정밀하게 시험할 수 있다.
또한, 자력변화에 의해 타격부재가 설정된 높이에서 자유 낙하하고, 타격부재의 낙하 시 타격부재에 대한 공기저항이 최소화되도록 구성한 홀딩부재 및 가이드프레임을 통해 보다 높은 시험신뢰도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잠수용 안면창에 대한 타격부재의 타격위치가 미리 표시되도록 한 타격위치 표시부재를 통해 타격위치를 정확히 지정하여 충격량에 따른 잠수용 안면창의 내구성을 보다 정확하게 시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수용 안면창 충격시험기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충격시험기의 지지프레임, 가이드프레임, 타격부재 및 홀딩부재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3은 상기 충격시험기의 이동지그, 타격위치 표시부재 및 이격거리 식별부재를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4는 상기 타격부재의 자유 낙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상기 타격부재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공기관통공과 작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상기 충격시험기가 실제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대용사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수용 안면창 충격시험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충격시험기의 지지프레임, 가이드프레임, 타격부재 및 홀딩부재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며, 도 3은 상기 충격시험기의 이동지그, 타격위치 표시부재 및 이격거리 식별부재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고, 도 4는 상기 타격부재의 자유 낙하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상기 타격부재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공기관통공과 작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충격시험기가 실제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대용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잠수용 안면창 충격시험기(100)는 베이스(110), 이동지그(120), 지지프레임(130), 가이드프레임(140), 타격부재(150), 진공유지부재(160), 홀딩부재(170), 타격위치 표시부재(180) 및 이격거리 식별부재(19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모든 부품을 고정하고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골격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프레임(부호 미표시)과, 평판형상으로 베이스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후술될 이동지그(120)가 이동되기 위한 가이드라인(부호 미표시)을 형성한 베이스플레이트(부호 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지그(120)는 시험대상인 잠수용 안면창(P)을 후술될 타격부재(150)의 낙하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성된 이동형 고정구로, 바람직하게는, 일부분에 상기 잠수용 안면창(P)을 장착시키기 위한 더미헤드(121)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더미헤드(121)는 사람 얼굴형상으로 제작되는 시험용 두상체로서, 이는 일반적인 공지의 구성이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지그(120)는 전술한 베이스플레이트의 가이드라인에 수평방향(도면상의 전후/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 턴테이블 또는 2D 모션기기와 같이, 경사/회전까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프레임(130)은 후술될 가이드프레임(140)을 설정된 높이에 위치시켜 지지하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이 잠수용 안면창(P)과의 이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프레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110)로부터 상측을 향하는 연직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프레임(130)은 1,5m 내지 3m 높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된 깊이의 홈(부호 미표시)이 형성된 H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은 후술될 타격부재(150)의 자유 낙하를 가이드하기 위한 관체형 프레임으로,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면서 상기 지지프레임(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하단이 상기 잠수용 안면창(P)과 이격된 상태로 대면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3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은 타격부재(150)의 낙하거리(낙하시점)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30)에 연직방향으로 승강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이동 및 고정은 압착조절방식의 연결구 또는 홈과 돌기 간 결합방식의 연결구 등 다양한 공지의 연결부품을 구비하여 수동식으로 달성될 수 있으나, 상기 지지프레임(130)의 홈에 자성 결합되어 레일방식으로 이동하는 가이더를 구비하여 전자식으로도 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관련분야의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설계될 수 있다.
상기 타격부재(150)는 중력에 의해 상기 잠수용 안면창(P)과 충돌하는 부재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중공을 따라 자유 낙하하여 상기 잠수용 안면창(P)을 타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타격부재(150)는 충격시험 목적에 맞는 크기와 중량을 갖는 강성의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낙하 시 공기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구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중공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만, 상기 타격부재(150)의 중량설정은 물론, 상기 타격부재(150)의 낙하거리(낙하시점)설정이 상기 잠수용 안면창(P)에 대한 충격량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는데 필수적인 요소임은 자명한 사실이다.
한편, 상기 타격부재(150)의 낙하 시에, 상기 타격부재(150)는 가이드프레임(140)의 중공 내에서 공기저항을 받을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공기관통공(14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관통공(141)은 타격부재(150)의 낙하 시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중공 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상기 타격부재(150)에 대한 공기저항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진공유지부재(160)는 잠수용 안면창(P) 내 환경을 수중환경과 유사한 조건으로 맞춘 상태에서 상기 타격부재(150)의 타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동지그(120)의 더미헤드(12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잠수용 안면창(P) 내의 기체를 흡입하여 외부로 방출시키면서 설정된 진공도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잠수용 안면창(P)이 잠수될 때,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지 않는 수중환경과 유사한 조건의 진공압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진공유지부재(160)는 더미헤드(121)를 관통하면서 외부로 연장되는 공압파이프(부호 미표시) 및 상기 공압파이프와 연결되어 상기 공압파이프를 통해 상기 잠수용 안면창(P) 내의 기체를 흡입하면서 외부로 방출시키는 진공펌프(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홀딩부재(170)는 타격부재(150)를 설정된 위치에 선택적으로 홀딩시키는 부재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고, 홀딩 해제 시 상기 타격부재(150)의 중력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타격부재(150)와 자성 결합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홀딩부재(170)는 전류공급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자성을 갖는 전자석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술한 타격부재(150)는 금속소재 중에서도 철, 코발트, 니켈 등의 자성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타격부재(150)는 홀딩부재(170)와 자성으로 결합하거나 분리됨으로써, 연직방향으로 어떠한 외력도 가해지지 않고, 순수한 중력만이 가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비교적 높은 시험신뢰도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타격위치 표시부재(180)는 타격부재(150)의 타격위치, 즉, 상기 타격부재(150)와 잠수용 안면창(P)의 충돌지점을 미리 표시하거나 확인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잠수용 안명창(P)으로 직선형의 빛을 발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격위치 표시부재(180)는 가이드프레임(140)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타격부재(150)의 타격위치를 미리 표시한 후, 상기 타격부재(150)의 낙하가 원활히 진행되도록 상기 타격부재(150)의 낙하 직전에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격위치 표시부재(180)에 의해 잠수용 안면창(P)에 표시되는 형상은 십자형상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타격위치 표시부재(180)는 레이저포인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공지의 발광기기가 취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격거리 식별부재(190)는 가이드프레임(140)의 하단과 상기 잠수용 안면창(P) 간의 이격거리가 보다 정확히 식별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하단 측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4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잠수용 안면창(P)은 다양한 형상구조에 구애받지 않고, 상기 이격거리 식별부재(190)를 통해 가이드프레임(140)의 하단과의 거리가 육안으로도 용이하게 식별되어 상기 타격부재(150)와의 충돌지점 높낮이가 바뀌어도 상기 타격부재(150)의 낙하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잠수용 안면창 충격시험기(100)는, 더미헤드(121)에 장착되어 진공유지부재(160)에 의해 내부진공상태가 유지되는 잠수용 안면창(P)에 타격부재(150)를 자유 낙하시키는 구성을 통해 잠수용 안면창(P)의 손상여부 및 잠수용 안면창(P) 내의 진공상태 유지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충격량에 따른 잠수용 안면창(P)의 내구성과 외부로부터의 유체 유입여부를 보다 정밀하게 시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력변화에 의해 타격부재(150)가 설정된 높이에서 자유 낙하하고, 타격부재(150)의 낙하 시 타격부재(150)에 대한 공기저항이 최소화되도록 구성한 홀딩부재(170) 및 가이드프레임(140)을 통해 보다 높은 시험신뢰도를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잠수용 안면창(P)에 대한 타격부재(150)의 타격위치가 미리 표시되도록 한 타격위치 표시부재(180)를 통해 타격위치를 정확히 지정하여 충격량에 따른 잠수용 안면창(P)의 내구성을 보다 정확하게 시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충격시험기 110 : 베이스
120 : 이동지그 121 : 더미헤드
130 : 지지프레임 140 : 가이드프레임
141 : 공기관통공 150 : 타격부재
160 : 진공유지부재 170 : 홀딩부재
180 : 타격위치 표시부재 190 : 이격거리 식별부재
P : 잠수용 안면창

Claims (7)

  1.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서 경사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잠수용 안면창이 장착된 더미헤드가 일부분에 구비되는 이동지그;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프레임;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하단이 상기 잠수용 안면창과 이격된 상태로 대면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중공을 따라 자유 낙하하여 상기 잠수용 안면창을 타격하는 타격부재;
    상기 이동지그의 더미헤드에 설치되고, 상기 잠수용 안면창 내의 기체를 흡입하여 외부로 방출시켜 더미헤드 내부를 수중환경 조건의 진공압력으로 유지하는 진공유지부재; 및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단 측면에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단과 잠수용 안면창 간의 이격거리가 식별되도록 하는 이격거리 식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양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정된 간격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타격부재의 낙하 시 상기 중공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상기 타격부재에 대한 공기저항을 감소시키는 공기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하단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잠수용 안면창으로 직선형의 빛을 발사하면서 상기 타격부재의 타격위치가 미리 표시되도록 하는 타격위치 표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용 안면창 충격시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상기 타격부재의 낙하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용 안면창 충격시험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타격부재를 설정된 위치에 선택적으로 홀딩시키는 홀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용 안면창 충격시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재는,
    철, 코발트, 니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자성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딩부재는,
    전류공급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자성을 갖는 전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용 안면창 충격시험기.
  6. 삭제
  7. 삭제
KR1020180035233A 2018-03-27 2018-03-27 잠수용 안면창 충격시험기 KR102020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233A KR102020992B1 (ko) 2018-03-27 2018-03-27 잠수용 안면창 충격시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233A KR102020992B1 (ko) 2018-03-27 2018-03-27 잠수용 안면창 충격시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992B1 true KR102020992B1 (ko) 2019-09-11

Family

ID=67949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233A KR102020992B1 (ko) 2018-03-27 2018-03-27 잠수용 안면창 충격시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9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6157A (zh) * 2019-09-29 2020-01-03 中国直升机设计研究所 一种滑动窗限位冲击试验装置
CN111678670A (zh) * 2020-06-17 2020-09-18 粤融(广州)科技有限公司 一种计算机硬件的抗摔性能实验设备
CN112414662A (zh) * 2020-11-10 2021-02-26 上海飞机制造有限公司 一种冲击试验装置以及冲击试验装置的定位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499Y1 (ko) 2006-08-17 2006-11-13 오성국 안전모용 낙하식 충격시험기
KR100986289B1 (ko) * 2010-04-20 2010-10-07 유광호 충돌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안전모 충격 시험기
KR20120128066A (ko) * 2011-05-16 2012-11-26 김주환 잠수 장비
JP2015190909A (ja) * 2014-03-28 2015-11-02 日本碍子株式会社 ハニカム構造体の落下衝撃試験装置
KR101918960B1 (ko) * 2017-12-26 2018-11-1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잠수헬멧 충격시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499Y1 (ko) 2006-08-17 2006-11-13 오성국 안전모용 낙하식 충격시험기
KR100986289B1 (ko) * 2010-04-20 2010-10-07 유광호 충돌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안전모 충격 시험기
KR20120128066A (ko) * 2011-05-16 2012-11-26 김주환 잠수 장비
JP2015190909A (ja) * 2014-03-28 2015-11-02 日本碍子株式会社 ハニカム構造体の落下衝撃試験装置
KR101918960B1 (ko) * 2017-12-26 2018-11-1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잠수헬멧 충격시험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6157A (zh) * 2019-09-29 2020-01-03 中国直升机设计研究所 一种滑动窗限位冲击试验装置
CN110646157B (zh) * 2019-09-29 2021-08-13 中国直升机设计研究所 一种滑动窗限位冲击试验装置
CN111678670A (zh) * 2020-06-17 2020-09-18 粤融(广州)科技有限公司 一种计算机硬件的抗摔性能实验设备
CN111678670B (zh) * 2020-06-17 2022-09-02 深圳市中天泽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计算机硬件的抗摔性能实验设备
CN112414662A (zh) * 2020-11-10 2021-02-26 上海飞机制造有限公司 一种冲击试验装置以及冲击试验装置的定位方法
CN112414662B (zh) * 2020-11-10 2023-09-26 上海飞机制造有限公司 一种冲击试验装置以及冲击试验装置的定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992B1 (ko) 잠수용 안면창 충격시험기
KR101918960B1 (ko) 잠수헬멧 충격시험기
CN111225632B (zh) 适用于人工瓣膜小叶的技术
US74128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impact testing
KR102151413B1 (ko) 콘크리트구조물의 강도 측정용 슈미트 해머 측정보조장치
KR101739075B1 (ko) 구조물의 동강성 계측을 위한 모터 제어 가진장치
KR20180108594A (ko) 안압 측정 장치
CN206292026U (zh) 一种落球冲击试验机
KR101689108B1 (ko) 침구용 매트리스의 탄성 반발률 측정장치
CN107807054B (zh) 多功能抗冲击性能测试装置
KR100734593B1 (ko) 스크린 골프를 위한 골프공의 동적정보 측정 시스템
WO2018013808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etecting deviation of a ball from a path
CN106989882B (zh) 建筑外围护系统抗冲击检测设备
KR101157933B1 (ko) 방탄소재의 방탄성능 측정장치
CN113607368A (zh) 落球测试装置及测试方法
KR20160050909A (ko) 2차 낙하 충격이 방지되는 낙하 충격 시험기
CN211718017U (zh) 一种用于微型零件的硬度测试仪
CN204797978U (zh) 一种磁力导航带锁髓内钉系统
CN210487508U (zh) 一种防护型落球冲击试验装置
CN216899374U (zh) 冲击波能量密度测试设备
KR101953993B1 (ko) 전자제품의 충격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낙하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격성능시험방법
CN214747849U (zh) 一种用于测量缸体主轴承盖安装宽度的装置
CN212871669U (zh) 一种用于显示模组检测的撞击装置
CN209131937U (zh) 一种安全评价测试装置
CN216645224U (zh) 一种千斤顶底座油道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