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560B1 - 자연 분해성 식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연 분해성 식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560B1
KR101953560B1 KR1020170058921A KR20170058921A KR101953560B1 KR 101953560 B1 KR101953560 B1 KR 101953560B1 KR 1020170058921 A KR1020170058921 A KR 1020170058921A KR 20170058921 A KR20170058921 A KR 20170058921A KR 101953560 B1 KR101953560 B1 KR 101953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natural
parts
sheet
foo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5085A (ko
Inventor
이상준
이지연
김영주
조성휘
Original Assignee
이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준 filed Critical 이상준
Priority to KR1020170058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560B1/ko
Publication of KR20180125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2/00Producing hollow articles
    • B29D22/003Containers for packaging, storing or transporting, e.g. bottles, jars, cans, barrel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6Applications of disintegrable, dissolvable or edibl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L97/02Lignocellulosic material, e.g. wood, straw or bagas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01/00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e.g. viscose, as moulding material
    • B29K2001/08Cellulose deriva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59Degradable
    • B29K2995/006Bio-degradable, e.g. bioabsorbable, bioresorbable or bioerod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식물성 전분 등 원료와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수지 및 첨가제를 이용하며, 이온화 조사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하는 자연 분해성 식품용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 식물성 물질인 셀룰로오스로부터 수용성 유도체로 제조한 카복시메틸셀롤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무독성 항산화제인 구연산(citric acid, CA)을 첨가제로 배합한 후, 이온화 조사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한 자연 분해성 식품 용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의 제조과정인 압축 공정에서 종래에 문제가 되고 있는 환경호르몬 등 유해물질을 이온화 조사 공정을 수행하여 흡착 및 산화 분해시킴으로써, 식품용기의 사용시 인체에 무해하고, 사용 후에도 토양을 오염시키지 않아 친환경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연 분해성 식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Biodegradable containe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천연 식물성 전분 등 원료와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수지 및 첨가제를 이용하며, 이온화 조사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하는 자연 분해성 식품용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 식물성 물질인 셀룰로오스로부터 수용성 유도체로 제조한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무독성 항산화제인 구연산(citric acid, CA)을 첨가제로 배합한 후, 이온화 조사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한 자연 분해성 식품 용기를 제공한다.
식품 용기로서 종이 재질의 식품 용기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는 플라스틱 용기가 환경적으로 유해성을 가진다는 인식에 기반한다. 즉, 종이 재질의 식품 용기는 플라스틱 용기에 비하여 상온에서는 물론 고온에서 특히 안전한 것으로 인식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식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종이 재질의 용기가 안전하지는 않으며, 이는 종이 재질의 용기에 관한 초기 제조 공정인 펄프의 취급 공정에서 유해 물질이 다량 사용되기 때문이다. 특히, 식품용기에 반사 방지 기능을 부여하거나 각종 색상을 발현시키기 위하여 기능성 색상 안료의 마스터 배치를 사용하며, 이는 포름알데히드, 벤젠, 톨루렌, 크실렌, 자일렌 등을 포함하므로 유해 물질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용기의 색상을 조절할 때에는 색상을 내는 원료 물질을 용기의 표면에 박막화 하여 적층하고, 여기에 색상 조절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색상 조절 염료층을 다시 적층하는데, 사용되는 안료, 염료 등으로 인해 인체에 해로운 환경성 호르몬이 지속적으로 방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이 용기 등에 색상을 가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좋은 효과를 발휘할 수는 있지만, 이는 강한 알칼리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신체에 좋지 못한 영향을 끼친다.
아울러, 이러한 안료나 염료 등은 적당한 수분이 함유된 상태로 배접,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상온에서 곰팡이균, 포도상구균 등이 발생할 수 있어 비위생적이라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친환경적인 자연 분해성 식품용기를 고안하기에 이르렀으며, 원료로서 식물성 분말이 함유된 천연 셀룰로오스, 구연산, 항산화제(citric acid), 천연 불석, 에탄올, 탄산칼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식품 용기 제조 공정시 UV에 의한 이온화 조사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식품용기에서 포름알데하이드, 납 등의 유해물질이 검출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안료를 사용하는 경우 그 표면에 본 발명의 식품 용기 제조용 복합 조성물을 코팅함으로써 유해물질이 효과적으로 제어되도록 하였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6-012183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042748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3-0042749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식물성 분말과 친환경 첨가제를 사용하여 용기를 제조함으로써, 용기의 사용과정에서 유해물질의 용출이 없으므로 인체에 안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자연 분해성 식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온화 조사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용기의 제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이 제거된 자연 분해성 식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료층의 외부에 본 발명의 식품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을 추가 코팅함으로써, 안료층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유해 물질이 용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는 자연 분해성 식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 감자 전분, 고구마 전분, 녹차잎 분말, 잣잎 분말, 쌀, 밀을 포함하는 식물성 분말 35~38 중량부,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수지(PP) 37~38 중량부, 천연 셀룰로오스, 구연산/비타민C/플라보노이드/페놀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항산화제, 천연 불석을 포함하는 첨가제 23~24 중량부를 에탄올과 양이온수의 혼합 용매에서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을 진공처리 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진공 처리된 혼합물을 이용하여 시트(sheet)로 성형하는 단계; 4) 상기 식품 용기에 UV, 감마선, 전자선, 및 X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이온화 조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5) 상기 단계 4)에서 이온화 조사 공정이 수행된 시트를 20℃ 이하 저온에서 숙성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시트를 이용하여 식품 용기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분해성 식품 용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5) 단계 이후에 시트의 표면에 안료를 이용하여 색상을 부여하는 단계; 및 색상이 부여된 시트의 표면상에 상기 혼합물을 코팅하고, 이온화 조사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 셀룰로오스 2~2.5 중량부, 상기 구연산 3~3.5 중량부, 천연 불석 4~4.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감자 전분, 고구마 전분, 녹차잎 분말, 잣잎 분말, 쌀, 밀을 포함하는 식물성 분말 35~38 중량부,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수지(PP) 37~38 중량부, 천연 셀룰로오스, 항산화제, 천연 불석을 포함하는 첨가제 23~24 중량부를 포함하며, 이온화 조사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분해성 식품 용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의 제조과정인 압축 공정에서 종래에 문제가 되고 있는 환경호르몬 등 유해물질을 이온화 조사 공정을 수행하여 흡착 및 산화 분해시킴으로써, 식품용기의 사용시 인체에 무해하고, 사용 후에도 토양을 오염시키지 않아 친환경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용기의 제조과정에서 이온화 조사 공정을 통하여 수용성 친수성 고분자를 가교화시킴으로써, 고 흡착성 항균 탈취성 식품용기의 제조가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안료층의 외부에 본 발명의 식품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조성물을 추가 코팅함으로써, 안료층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유해 물질이 용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품 용기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품 용기 제조용 원료인 폴리프로필렌(PP) 폴리올레핀 수지 제조용 장치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품 용기 제조용 식물 혼합물 분말, 첨가제인 무기 충전재 탄산칼슘, 증점제를 더 첨가하여 혼합하는 장치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품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진공 압축 장치가 도 3의 혼합장치 및 이온화 조사장치와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품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이온화 조사장치가 시트 권취장치와 연결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품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이온화 조사 공정의 컨트롤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품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급냉기(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시트를 권취하는 권취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식품용기에 대한 유해성분 용출 시험성적서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식물성 원료 혼합물 35~38 중량부와,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수지(PP) 37~38 중량부를 포함하며, 천연 셀룰로오스(cellulose), 항산화제, 천연 불석, 증점제, 소포제를 더하여 에탄올 및 양(+)이온수에 혼합함으로써 친환경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천연 셀룰로오스, 항산화제, 천연 불석을 포함하는 첨가제는 23~24 중량부 포함된다.
여기서, 식물성 원료 혼합물은 감자 전분, 고구마 전분, 녹차잎 분말, 잣잎 분말, 쌀, 밀을 포함한다. 전분은 감자 전분, 고구마 전분, 옥수수 전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원료 혼합물은 위 범위 이상으로 첨가하면 상기 식물성 원료 혼합물에 수지가 충분히 함침되지 않으므로 수지로부터 쉽게 탈리되며, 전자레인지에서 가열하여 사용할 때, 다소간 연화되는 단점이 존재하고, 또한, 위 범위 미만으로 첨가되면 수지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므로 자연성 분해 속도가 늦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식물성 원료는 위 범위에서 임계적 의의가 있다. 이는 수지, 천연 불석의 함량의 임계적 의의와도 부합된다.
위와 같은 여러 성분들 중, 종래와는 달리 본 발명의 식품 용기를 제조함에 있어서 유해물질인 가소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천연 원료가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가소제와 같은 유해한 화학물질은 첨가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상기 천연 식물성 물질인 셀룰로오스는 고등 식물과 조류 세포막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단순 다당류의 일종으로, 본 발명의 천연 셀룰로오스는 목재, 면, 마. 등에서 채취한 천연 셀룰로오스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셀룰로오스는 이온화 조사 공정에 의하여 가교되며, 용기의 프레임을 구성한다.
상기 항산화제는 구연산(citric acid), 비타민 C,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구연산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항산화제를 사용하면 항균 및 탈취의 효과가 있으며, 공기중의 산소에 의한 식품 용기 내 식품 또는 기타 용기와 접촉하거나 고착되는 물질에 의한 산화 현상을 억제한다.
상기 천연 불석은 천연계 모오데나이트가 바람직하며, 합성 불석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인 포름알데히드를 방출할 수 있지만, 천연 불석(제올라이트, 모오데나이트)는 환경 오염 물질인 포름알데히드를 거의 방출하지 않는다. 천연 불석은 양이온 교환 특성, 흡착 특성, 탈수 및 재흡수 특성, 촉매 특성이 있으며, 유해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천연 불석은 구성 광물(zeolite modified) 분말을 산 처리해서 녹인 후, 다량의 미네랄수를 첨가하여 용액(solution)으로 제조한다. 액상에서 Ca2 + 및 그 반대이온(counter ion)의 결합에 의해 항균, 탈취 효과가 발생한다. 상기 천연 불석의 평균 입경은 1 내지 4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이온수는 무색, 무취의 물로서, 수용성 미네랄성분(Ca, Si, Na, Mg, Zn, K, Mn)을 전해환원수에 용해시킨 용매이며, 칼슘(Ca) 등의 성분을 포화상태로 제조함으로써 알칼리성이 높은 이온수로 제조된다. 화학식은(Ca, Si, Na, Mg, Zn, K, Mn)nxHO(n=1~5)이고 이온화 미네랄 용액(Ionized Mineral Solution)이라고도 한다.
<실시예>
상기 친환경 자연 분해성 식품용기 제조용 복합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폴리프로필렌 37~38 중량부, 식물성 전분(고구마, 감자, 옥수수전분접착제, 녹차잎 분말, 잣잎 분말) 35~38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하였다.
여기에 첨가제를 23~24 중량부 첨가하였는데, 상기 첨가제는 천연 식물성 물질인 셀룰로오스 2~2.5 중량부, 천연 항산화제인 구연산 3~3.5 중량부, 천연 불석 4~4.5 중량부, 소포제 1.5 중량부, 증점제 1.5~1.6 중량부를 포함한다.
셀룰로오스는 상기 2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가교력이 저하되며, 상기 2.5 중량부 초과하여 첨가하는 것은 불필요하므로 위 수치범위에서 그 임계적 의의가 있다.
상기 구연산은 위 범위 미만으로 첨가되면 항산화 효과가 저해되며, 위 범위를 초과하는 것은 불필요하므로 위 범위에서 임계적 의의가 있다.
상기 천연 불석은 4 중량부 미만이면 제조 후의 흡착력 및 탈취력이 저하되고, 4.5 중량부를 초과하면 흡착력 및 탈취력은 크지만 입자의 과다 사용으로 인한 불필요한 낭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자연 분해성 무기 충전재인 탄산칼슘을 폴리프로필렌(PP) 폴리올레핀에 첨가하는데, 이 경우, 접착력이 불량해지고 경제성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서 증점제를 더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210℃~220℃의 범위에서 진공 압축 성형하고 고화시켜 시트를 제조한다.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압축 성형체(시트)의 재질 선택, 면적, 두께 등은 가변적이며, 진공 압축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생산성 등의 측면을 감안하여 통상적으로 열처리 챔버를 이용하므로 210℃~220℃에서 진공을 유지하면서 압축 성형한다.
다만, 본 발명의 친환경 조성물은 이온화 조사 과정을 수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온화 조사 공정은 조성물의 수용성 친수성 고분자를 가교시킴으로써, 용기의 물리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유해물질의 분해와 산화를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와 같이 이온화 조사 공정을 수행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된 조성물을 진공 압축한 후, 20℃ 이하의 온도에서 급냉함으로써 식품 용기를 제조한 결과, 유해물질이 일부 용출되었는데, 이는 후술한다. 이는, 이온화 조사 공정의 수행 여부가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복합 조성물에 의하여 제조된 식품 용기에는 색상을 발현시키기 위한 유성 또는 수성 안료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유성 또는 수성 안료층을 본 발명에 의한 시트의 표면에 형성하여, 색상 또는 문양을 구현한다. 다만, 식품 용기의 사용과정에서 위 안료층으로부터 유해물질이 용출될 수 있기 때문에, 위 안료층 상에 다시 친환경 복합 조성물을 코팅할 수 있다. 이 때, 친환경 복합 조성물 코팅층을 초기 형성하고, 이후에 이온화 조사 공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안료층 상에 친환경 복합 조성물 코팅층을 형성하면 안료층의 부착력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안료에 의한 유해물질의 용출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안료층에 의하여 제기되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특히, 종래에는 안료층을 형성하고, 비닐 등 환경호르몬 발생물질을 코팅하였는데, 이보다는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조성물을 코팅하면 유해성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아울러, 안료층은 시간이 지나면서 탈리될 수 있는데, 수용성 고분자가 가교된 조성물이 코팅되면 이러한 탈리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유성 또는 수성 안료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실험예>
본 발명에서 제조된 식품 용기의 표면에 안료층 형성 후 다시 친환경 복합 조성물을 코팅한 식품 용기의 유해물질 용출 실험을 수행한 결과, 통상적 식품 용기에서 검출되는 증발 잔류물(4% 초산), 납(Pb) 등의 용출 함량이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 공정 기준에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 및 도 9 참조).
2017년 03월 23일 ~ 4월 03일 시험의뢰(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시험항목 단위 기준치 시험결과
용출총용량 4%초산 mg/L 10 이하 9
용출 납(Pb) mg/L 1 이하 불검출
용출총용량 (물) mg/L 10 이하 6
용출과망간산칼륨소비량(20%에탄올) mg/L 10 이하 1
용출총용량(n-헵탄) mg/L 30 이하 29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종래 일회용 식품용기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환경 호르몬 등의 유해물질을 흡착 및 산화 분해시킨 것으로서, 사용시 인체에 무해하다. 또한, 사용 후에도 토양을 오염시키지 않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에서 도시된 공정도에 따른 본 발명의 식품용기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하여 수행된다.
1) 감자 전분, 고구마 전분, 녹차잎 분말, 잣잎 분말, 쌀, 밀을 포함하는 식물성 분말 35~38 중량부,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수지 37~38 중량부, 천연 셀룰로오스, 항산화제, 천연 불석을 포함하는 첨가제 23~24 중량부를 에탄올과 양이온수의 혼합 용매에서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을 진공처리 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진공 처리된 혼합물을 이용하여 금형에서 시트로 성형하는 단계;
4) 상기 시트에 UV, 감마선, 전자선, 및 X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이온화 조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5) 상기 단계 4)에서 이온화 조사 공정이 수행된 시트를 20℃ 이하 저온에서 숙성 건조시키는 단계;
6) 상기 시트를 식품 용기로 성형하는 단계;
여기서, 성형체의 기포를 충분히 제거하기 위하여 교반시 진공을 유지할 수도 있다.
한편, 이온화 조사는 감마선, 전자선, 자외선(UV) 및 X선으로 구성된 어느 하나의 방사선을 조사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UV 진공기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양(+)이온수의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먼저, 물을 65Hz로 전기 분해하여 양(+) 및 음(-)이온이 풍부한 산성 이온수를 제조하였다. 이온수를 산 처리하여 이온수 중의 수용성 미네랄 성분(Ca, Si, Na, Mg, Zn, K, Mn) 중 칼슘 등의 성분 함량이 높아진 양(+)이온수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제조된 양(+)이온수를 사용하였으며, 양전하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천연 불석 등이 양(+) 이온수에 균일하게 용해 및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성물의 물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제조된 식품 용기에 대하여 UV 진공기를 이용하여 90초 동안 이온화 조사 공정을 수행하였다. 이후에, 20℃에서 숙성 저온 냉각함으로써 건조공정을 수행하였으며, 이 때 건조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생산성 등을 고려할 때, 통상 저온 열처리 챔버를 이용하여 20~21℃의 저온에서 숙성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식품 용기를 제작하였으며, 상기 식품 용기는 죽용기, 도시락 용기 등에 환경 오염의 우려 없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에서는 본 발명의 식품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감자 전분, 고구마 전분, 녹차잎 분말, 잣잎 분말, 쌀, 밀을 포함하는 식물성 분말 35~38 중량부, 폴리프로필렌 폴리올레핀 수지 37~38 중량부, 천연 셀룰로오스, 구연산/비타민C/플라보노이드/페놀산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항산화제 및 천연 불석을 포함하는 첨가제 23~24 중량부를 에탄올과 양이온수의 혼합 용매에서 혼합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을 진공처리 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진공 처리된 혼합물을 이용하여 시트로 성형하는 단계;
4) 상기 시트에 UV, 감마선, 전자선, 및 X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이온화 조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5) 상기 단계 4)에서 이온화 조사 공정이 수행된 시트를 20℃ 이하 저온에서 숙성 건조시키는 단계; 및
6) 상기 시트를 이용하여 식품 용기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양이온수는 Ca, Si, Na, Mg, Zn, K, Mn의 수용성 미네랄성분을 전해환원수에 용해시키되, Ca를 포함하는 성분을 포화상태로 함으로써 알칼리성을 띄도록 제조되는 용매이고, 상기 양이온수에서 양이온에 의하여 천연 불석을 포함하는 성분들이 분산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분해성 식품 용기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5) 단계 이후에 시트의 표면에 안료를 이용하여 색상을 부여하는 단계; 및 색상이 부여된 시트의 표면상에 상기 혼합물을 코팅하고, 이온화 조사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분해성 식품 용기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셀룰로오스 2~2.5 중량부, 상기 구연산 3~3.5 중량부, 천연 불석 4~4.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 분해성 식품 용기의 제조방법.
삭제
KR1020170058921A 2017-05-11 2017-05-11 자연 분해성 식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953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921A KR101953560B1 (ko) 2017-05-11 2017-05-11 자연 분해성 식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921A KR101953560B1 (ko) 2017-05-11 2017-05-11 자연 분해성 식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085A KR20180125085A (ko) 2018-11-22
KR101953560B1 true KR101953560B1 (ko) 2019-03-05

Family

ID=64557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921A KR101953560B1 (ko) 2017-05-11 2017-05-11 자연 분해성 식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5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869B1 (ko) 2020-03-27 2020-07-10 주식회사 에스케이마케팅 녹차가 함유된 친환경 플라스틱 조성물을 이용한 용기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823B1 (ko) * 2014-09-15 2015-09-04 김추자 생분해성 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157A (ko) * 2008-04-01 2009-10-07 이호용 신선식품 유통용 포장지
KR20130042748A (ko) 2011-10-19 2013-04-29 한근수 생분해성 일회용 용기 제작을 위한 친환경 천연재료를 이용한 조성물
KR20130042749A (ko) 2011-10-19 2013-04-29 한근수 친환경 천연재료를 이용한 생분해성 일회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48652A (ko) * 2011-11-02 2013-05-10 홍완표 다공성 광물질을 이용한 식품 포장재
KR20160121831A (ko) 2015-04-13 2016-10-21 김성현 친환경 식물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달걀 포장용기
KR102425858B1 (ko) * 2015-07-09 2022-07-28 주식회사 씨피알에스앤티 항균성 식품 포장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823B1 (ko) * 2014-09-15 2015-09-04 김추자 생분해성 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869B1 (ko) 2020-03-27 2020-07-10 주식회사 에스케이마케팅 녹차가 함유된 친환경 플라스틱 조성물을 이용한 용기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085A (ko) 2018-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0548B1 (ko) 유해물질 분해 또는 흡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67230B1 (ko) 도료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1561883B1 (ko) 식품 포장 종이 코팅용 친환경 융복합 조성물
KR20210106709A (ko) 자연 분해성 식품 용기 포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313009B1 (ko) 친환경 유해물질 차단 조성물
KR101280316B1 (ko) 유해물질의 흡착, 분해,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77862B1 (ko) 자연향 발산 항균탈취 흡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53560B1 (ko) 자연 분해성 식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977863B1 (ko) 자연향 발산 항균탈취 흡착제 조성물
JP6520957B2 (ja) 消臭剤及び消臭製品
KR20150114216A (ko) 항균, 항진균 및 탈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17688B1 (ko) 벽지의 제조방법
KR20170125531A (ko) 종이 코팅용 친환경 융복합 조성물
KR100918122B1 (ko) 벽지용 결합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벽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5796B1 (ko) 합성 화학성 섬유 원단 망점 박막 코팅용 친환경 융복합 조성물
KR100977859B1 (ko) 건축 내장재의 코팅에 사용되는 항균성 양이온 교환 졸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20189A (ko) 종이 코팅용 친환경 융복합 조성물
KR101730475B1 (ko) 합성 섬유 원단 코팅용 친환경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원단 코팅 방법
KR101074419B1 (ko) 감귤추출액을 포함하는 친환경 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646215B1 (ko) 건축용 파우더형 친환경 마감재 조성물
KR102166568B1 (ko) 친환경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N106431215A (zh) 圆柱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膨润土轻质通孔陶粒
CN106431211A (zh) 圆球形具有净化空气功能的绿泥石轻质通孔陶粒
KR100914935B1 (ko) 유해물질 흡착저감 pvc 기능성 벽 마감재의 제조방법
KR100977861B1 (ko) 건축 내장재의 코팅에 사용되는 제올라이트 산성수를이용한 양이온 교환 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