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475B1 - 합성 섬유 원단 코팅용 친환경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원단 코팅 방법 - Google Patents

합성 섬유 원단 코팅용 친환경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원단 코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475B1
KR101730475B1 KR1020160087123A KR20160087123A KR101730475B1 KR 101730475 B1 KR101730475 B1 KR 101730475B1 KR 1020160087123 A KR1020160087123 A KR 1020160087123A KR 20160087123 A KR20160087123 A KR 20160087123A KR 101730475 B1 KR101730475 B1 KR 101730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omposition
coating
presen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만
신애경
권순일
조성휘
권순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경
Priority to KR1020160087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4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4/00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4/02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on to materials of natural origin
    • D06M14/04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on to materials of natural origin of vegetal origin, e.g. 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01Treatment with 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X-ray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03Treatment with radio-waves or microwa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08Treatment with radioactive elements or with neutrons, alpha, beta or gamma ray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03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 섬유 원단 코팅용 친환경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원단 코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셀룰로오스(cellulose), 항산화제, 불석, 양(+)이온수를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을 원단에 적용하였을 때, 종래 원단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환경 호르몬 등의 유해물질을 흡착 및 산화 분해시키는 효과를 가지므로, 인체에 무해하고, 사용 후 용도 폐기 되었을 때에도 폐기된 지점의 토양을 오염시키지 않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원단에 도포한 후, 이온화 조사를 통해 제조된 원단은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해한 유아용 고급 원단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합성 섬유 원단 코팅용 친환경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원단 코팅 방법{Environmentally friendly composition for coating on synthetic fabric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coating method on the fabric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합성 섬유 원단 코팅용 친환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성물을 합성 섬유 원단에 코팅한 후 상기 코팅된 표면에 대하여 이온화 조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원단으로부터 포름알데하이드, 아릴아민, 프탈레이트가소제, 납(pb), 카드뮴(Cd), 알러지성 염료, 다이메틸푸마레이트, 유기주석화합물, 방염제 등 유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며, 이로써 친환경 섬유 원단을 제조하도록 하는 합성 섬유 원단 코팅용 친환경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합성 섬유 원단에 코팅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생활의 3개 필수요소인 의식주에서 "의"에 해당되는 의복의 기초는 원단이며, 이러한 원단은 천연 섬유 또는 합성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특히 합성 섬유를 이용하여 원단을 제직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약품(유기성 수용 합성 물질) 처리를 수행하며, 위 원단으로 제작되는 의류는 착용 과정중에 인체에 다양한 부작용을 일으킨다.
이러한 합성 섬유의 종류는 다양하나, 대표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들 수 있는데,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의 제조과정에서 적용되는 다양한 약품들을 열거하면 아래와 같다.
1.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 의류나 섬유 산업에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의 주름방지 및 수축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무색의 휘발성 물질로, 극심한 시력 장애, 피부 트러블, 소화기 및 호흡기 장애를 일으킨다.
2. 아릴아민(arylamine) : 아조염료를 사용하여 염색된 섬유 원단, 가죽 제품에서 주로 검출되며, 폴리에스테르 합성 섬유 원단에서 주로 나타난다. 인간의 피부와 구강에 장기간 접촉할 경우 피부염 및 암을 유발할 수 있어 세계적으로 강력하게 규제하고 있다.
3. 알러지성 염료 : 섬유원단의 자유로운 색상표현을 위하여 사용되며, 염료자체가 발암성을 띠고 있고, 접촉시 알레르기나 암을 유발할 수 있어 사용이 규제되는 첨가제이다.
그 밖에도 인체에 해로운 다이메틸푸마레이트(dimethylfumarate), 각종 방염제, 유기주석화합물(organotin compound) 등이 포함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에는 그 사용 용도에 따라 반사 방지 기능을 부여하거나, 원단의 색상을 조절하도록 하는 등의 목적으로 원단 표면에 화학성 잉크, 합성 화학성 안료 및 화학성 용매를 배접 코팅하게 된다. 즉,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 원단에서 색상을 조절하고자 하는 부분에는, 먼저 합성 화학 원료를 박막 형성하고, 여기에 색상 조절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색상 조절 염료층을 적층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이 부여된 폴리에스테르 원단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염료층으로 인해 인체에 해로운 환경 호르몬이 지속적으로 방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 염료들은 강알칼리성의 화학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장기간 유독성 물질을 방출하는 특성이 있고, 이러한 물질이 인체에 노출되면 매우 유해하다.
또한, 대체로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 내부는 상온으로 유지되며, 적당한 수분이 함유된 상태로 배접,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그 내부로부터 각종 화학성 물질이나, 알러지성 아릴아민, 방염제 등이 배출될 수 있어 위생상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특히 유해물질에 민간한 영유아 및 아동이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 섬유 원단을 제조하기 위하여 원단 코팅용 친환경 융·복합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다년간 노력한 결과, 셀룰로오스, 항산화제, (천연)불석(zeolite or modea nite), 양(+)이온수, 에탄올 등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고안할 수 있었고, 이 조성물을 원단에 도포한 후, 이온화 조사한 결과, 합성 섬유 원단이 포함하고 있던 포름알데하이드, 납, 카드뮴, 아릴아민 등의 유해물질이 검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로써, 상기 친환경 복합 조성물을 합성 원단 섬유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내었고, 이에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22515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셀룰로오스(cellulose), 항산화제, 천연불석, 양(+)이온수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합성 섬유 원단 코팅용 친환경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합성 섬유 원단의 코팅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코팅된 원단에 후속 공정으로서 이온화 조사 공정을 채택 및 적용함으로써, 코팅되는 수용성 친수성 고분자를 가교화시키고, 따라서 합성 섬유 원단에 보다 더 잘 흡착되도록 하며, 이로써 섬유 원단으로부터 유해물질의 용출이 보다 더 강하게 제어되는 합성 섬유 원단의 코팅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cellulose), 항산화제, 천연불석, 양(+)이온수를 포함하는 합성 섬유 원단 코팅용 친환경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셀룰로오스, 항산화제, 천연불석, 양(+)이온수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단계 1)의 혼합물을 상온 이상의 온도로써 가온하여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섬유 원단 코팅용 친환경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1) 셀룰로오스, 항산화제, 천연불석, 양(+)이온수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단계 1)의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 3) 단계 2)의 숙성된 혼합물을 원단에 도포하는 단계; 및 4) 단계 3)의 혼합물이 도포된 원단에 이온화 조사를 수행한 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합성 섬유 원단 코팅용 친환경 조성물을 이용한 원단 코팅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영유아나 아동이 사용하는 합성 섬유 원단 으로부터 인체에 유해한 환경 호르몬 등 유해물질을 흡착 및 산화 분해시킴으로써 영유아나 아동용 의복을 안심하고 제작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단 또는 의복을 용도폐기하는 경우에, 자가 생분해성을 가짐으로써 원단이 폐기된 토양의 오염이 예방될 수 있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원단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코팅하고 여기에 이온화 조사 공정을 가함으로써 합성 섬유 원단의 고급화를 유도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이온화 조사 공정을 통하여 원단에 코팅된 조성물의 수용성 친수성 고분자를 가교화시킴으로써, 보다 높은 흡착성을 갖는 섬유 원단의 제조가 가능한 작용효과가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친환경 이온화 조사 UV코팅기를 포함하는 장치 전체에 관한 개략도이다.
도 3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 공급 UV코팅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이온화 조사 생성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전자선 이온빔구조 컨트롤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전자선 UV 코팅 중앙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 이온칩 생성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전자선 열처리 챔버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조성물 공급 그라비아 공급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원단 마감재 그라비아 권취기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합성 섬유 원단에 전반적으로 적용된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합성 섬유 원단 중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에 관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합성 섬유 원단이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cellulose), 구연산 등 항산화제, 불석, 양(+)이온수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원단 코팅용 친환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셀룰로오스는 고등 식물과 조류의 세포막,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단순 다당류의 일종으로,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는 목재, 면, 마 등에서 채취한 천연 셀룰로오스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항산화제는 천연 항산화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연산(citric acid), 비타민 C,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구연산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불석은 제올라이트 S M Z (Surfacfant modifiled Zeolite), 모오데나이트(mordenite)가 바람직하며, 합성 불석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인 포름알데히드를 다소 방출할 수 있지만, 천연불석(제올라이트, 모오데나이트)는 포름알데히드를 거의 방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천연 불석은 이온성의 구성 광석물(제올라이트) 분말을 산 처리해서 녹인 후, 다량의 미네랄수를 첨가하여 용액(solution) 상태로 제조한다. 액상에서의 Ca2 + 및 반대이온(counter ion)에 의한 결합에 의해 소취, 탈취 효과가 발생한다. 상기 천연 불석의 평균 입경은 1 내지 400㎛이고 또한 상기 평균입경은 2 내지 500㎛ 일 수 있다.
상기 양(+)이온수는 무색, 무취의 물로서, 수용성 미네랄성분(Ca, Si, Na, Mg, Zn, K, Mn)을 전해 환원수에 용해시킨 용매이며, 칼슘(Ca) 등의 성분을 포화상태로 만들어 알칼리성이 높은 이온수로 제조된다. 화학식은(Ca, Si, Na, Mg, Zn, K, Mn)nxHO(n = 1 ~ 5)이고 이온화 미네랄 용액(Ionized Mineral Solution)이라고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코팅용 친환경 융·복합 조성물은 셀룰로오스 5 내지 15 중량부, 항산화제 3 내지 8 중량부, 불석 5 내지 15 중량부, 양(+)이온수 70 내지 8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셀룰로오스 10 중량부, 천연 항산화제 5 중량부, 천연 불석 10 중량부, 및 양(+)이온수 74.4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불석은 5 중량부 미만이면 제조 후의 흡착력 및 탈취력이 저하되고,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흡착력 및 탈취력은 크지만 과다사용으로 인한 불필요한 낭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이온수는 70 중량부 미만이면 양이온 교환력 및 방향성분의 방출 효과 등이 미미하고,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분산성이 불량해지고 원단과의 접착력이 불량해지며, 경제적인 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 코팅용 친환경 조성물은 하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 코팅용 친환경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셀룰로오스 5 내지 15 중량부, 항산화제 3 내지 8 중량부, 불석 5 내지 15 중량부, 양(+)이온수 70 내지 80 중량부를 혼합하고 교반하는 단계와, 2) 이후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을 50 내지 55℃에서 18 내지 30시간 숙성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 친환경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사용하는 통상의 코팅방법, 예를 들면 UV 코팅, 콤마 코팅, 롤 코팅, 바 코팅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 등에서 코팅되는 원단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의 재질, 요구 조건 또는 면적 등에 따라 이러한 코팅 방법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그 코팅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건조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생산성 등의 측면을 감안하여 통상적으로 열처리 챔버를 이용하여 70 내지 75℃의 온도에서 실시된다.
다만,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 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원단에 도포한 후, 이온화 조사 공정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이를 자외선(UV) 코팅이라고 명명한다. 다만, 상기 자외선 대신 감마선, 전자선, X선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 때에는 각각 감마선 코팅, 전자선 코팅, X선 코팅이라고 명명할 수도 있다.
상기 이온화 조사는 본 발명의 조성물내 수용성 친수성 고분자를 가교시킴으로써, UV 코팅된 구조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을 제조하는 과정으로, 본 발명의 친환경 조성물은 이러한 이온화 조사를 통해, 기존 친수성 조성물만을 적용한 경우보다 조성물이 원단에 더 강하고 잘 흡착될 수 있으며, 흡착 상태가 장기간 유지되며, 따라서 견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친환경 조성물이 UV 코팅된 섬유 원단은 사용시 인체에 무해하고, 폐기 후에도 자가 생분해성을 가지므로 폐기된 지점의 토양 등에 전혀 오염을 일으키지 않으며, 따라서 친환경의 고급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으로 취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온화 조사 공정에 대한 비교예로서, 본 발명의 이온화 조사를 수행하지 않고, 본 발명의 친환경 융·복합 조성물을 공지된 그라비아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원단에 코팅한 후, 건조시켜 유해물질 배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유해물질이 일부 검출되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이온화 조사 공정을 하는 것이 더 유리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친환경 조성물이 이온화 조사에 의하여 섬유 원단에 보다 강하게, 그리고 많이 흡착되어 나타나는 효과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성물과 폴리에스테르 원단 사이에는 안료가 첨가된 유성 또는 수성 잉크 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성 또는 수성 잉크 층과 본 발명의 친환경 조성물 코팅층은 그 위치가 서로 바뀌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유성 또는 수성 잉크 층을 중첩 인쇄하여 조성물의 부착력을 높이며, 특히 유성 잉크 층을 형성하고 이에 상기 친환경 복합 조성물이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조성물의 부착력을 더욱 높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유성 또는 수성 잉크로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양(+)이온수 74.4 중량부에 셀룰로오스(cellulose) 10 중량부, 항산화제인 구연산(citric acid) 5 중량부, 불석 10 중량부를 혼합하고 400 rpm으로 교반한 후, 55℃에서 24시간 정도 숙성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 코팅용 친환경 융·복합 조성물을 원단에 코팅한 후, 이온화 조사 공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와 같이 제조된 친환경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의 유해물질 방출 실험을 수행한 결과,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 코팅용 친환경 조성물이 코팅되기 전에 다량 검출되었던 납(Pb), 카드뮴(Cd), 포름알데히드, 용출 알러지성염료, 다이메틸푸마레이트, 유기주석화합물 등 유해물질의 용출량이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 이온화 조사 공정 후에는 훨씬 줄어들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성물은 종래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환경 호르몬 등의 유해물질을 흡착 및 산화 분해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이온화 조사 공정에 의하여 그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원단에 적용시 인체에 무해한 원단을 제조할 수 있으며, 용도 폐기시 폐기 지점의 토양을 오염시키지 않는 이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친환경 조성물 및 이온화 공정을 통하여 인체에 무해한 고급 유아 아동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 제품을 유용하게 제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1) 셀룰로오스, 항산화제, 불석, 양(+)이온수(전해환원수 + 양이온수)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숙성된 혼합물을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에 도포하는 단계;
4) 상기 단계 3)의 혼합물이 이온화 조사를 수행한 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원단 코팅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단계 2)의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는 본 발명의 친환경 융·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단계 3)의 도포 방법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에 균일하게 도포하는 방법이라면 어느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단계 4)의 이온화 조사는 전자선, 감마선, 자외선(UV) 및 X선으로 구성된 방사선 중 어느 하나의 방사선을 조사하는 과정으로 바람직하게는 전자선 UV 코팅기(그라비아 코팅기)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며, 본 발명의 친환경 융·복합 조성물은 이온화 조사를 통해, 기존의 친수성 조성물이 섬유 원단에 흡착되는 것보다 더 많이 흡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의 무해성이 담보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친환경 융·복합 조성물을 원단에 도포하고 여기에 이온화 조사 과정을 수행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은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이므로, 특히 영유아 및 아동용 의복을 제조하기 위한 섬유 원단에 적합하며, 그 밖에도 키친 타올 등에도 바람직하게 응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계 3)의 조성물 도포 과정과 단계 4)의 이온화 조사과정은 도 2 내지 10의 UV 코팅 기능이 부려된 그라비아 코팅 장치로써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양(+)이온수의 제조
물을 65Hz로 전기 분해하여 양이온과 음이온이 풍부한 산성수 이온수를 제조하였다. 산성수 이온수를 산처리하여 수용성 미네랄 성분(Ca, Si, Na, Mg, Zn, K, Mn) 중 칼슘 등의 성분 함량을 증가시킨 양(+)이온수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양(+)이온수를 사용함으로써, 양전하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천연 불석 등이 양(+)이온수에 균일하게 용해 및 분산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조성물의 물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 실시예 2> 폴리에스테르 원단 코팅용 친환경 융·복합 조성물의 제조
영유아 및 아동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원단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을 아래와 같이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에서 제조한 양(+)이온수 74.4 mL에 셀룰로오스(cellulose) 10 g, 항산화제인 구연산(citric acid) 5 g, 불석(제올라이트(Zeolite)) 10 g을 혼합하고 400 rpm으로 교반한 후, 55 ~ 59℃에서 24시간 숙성하였고, 이를 함침 교반하여 겔화하여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 코팅용 친환경 융·복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친환경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복합 조성물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에 도포하고, 상기 도포층에 이온화 조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원단에 도포한 후 UV를 이용하여 이온화 조사하였다. 이 때, UV 코팅기를 이용하였으며, 상기 조성물이 도포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에 90 ~ 95초 동안 자외선을 조사하였다.
이후, 건조 과정을 수행하였는데, 건조 온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생산성 등을 고려하여, 통상 열처리 챔버를 이용하여 75℃에서 건조함으로써 특히 영유아 및 아동용 의복을 제작하는데 적합한 친환경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원단의 유해물질 방출시험
상기 <실시예 3>에 따른 친환경 폴리에스테르 원단과 본 발명의 복합 조성물을 적용하지 않은 원단에 대하여 각각 유해물질 검출 측정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유해물질 검출 측정은 2016년 05월 15일 (재)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시행하였고, 시험기간은 2016년 05월 15일부터 2016년 05월 25일 이였으며, 시험 방법 및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1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섬유원단에서는 통상 다량 검출되었던 납(Pb), 알러지성염료, 아릴아민, 카드뮴(Cd), 포름알데히드 등 유해물질이 검출되지 않거나 기준치 이하로 검출된 반면,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일정 수준 검출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원단의 유해성 물질 검출 시험 결과
시험항목 단위 기준치 시험결과
알러지성 염료 mg/kg 5 이하 불검출
납(Pb) mg/L 1 이하 불검출
카드뮴(Cd) mg/L 0.1 이하 불검출
포름알데히드 mg/L 4 이하 불검출
아릴아민 - 불검출 불검출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원단의 유해성 물질 검출 시험 결과
시험항목 단위 기준치 시험결과
알러지성 염료 mg/kg 5 이하 5.5
납(Pb) mg/L 1 이하 0.8
카드뮴(Cd) mg/L 0.1 이하 0.06
포름알데히드 mg/L 4 이하 4.2
아릴아민 - 불검출 미량 검출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5 초과 내지 15 중량부의 셀룰로오스, 3 내지 8 중량부의 항산화제, 5 내지 15 중량부의 천연불석, 70 내지 80 중량부의 양(+)이온수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2) 단계 1)의 혼합물을 숙성하는 단계;
3) 단계 2)의 숙성된 혼합물을 원단에 도포하는 단계; 및
4) 단계 3)의 혼합물이 도포된 원단에 이온화 조사를 수행한 후,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섬유 원단 코팅용 친환경 조성물의 원단 코팅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는 구연산(citric acid), 비타민 C,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천연불석은 천연 제올라이트(zeolite) 또는 모오데나이트(mordenite)이고, 상기 양(+)이온수는 전해환원수에 수용성 미네랄 성분인 Ca, Si, Na, Mg, Zn, K 및 Mn이 용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섬유 원단 코팅용 친환경 조성물의 원단 코팅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불석은 천연 제올라이트(zeolite) 또는 모오데나이트(mordeni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섬유 원단 코팅용 친환경 조성물의 원단 코팅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 조사는 감마선, 전자선, 자외선(UV) 및 X선으로 구성된 것 중 어느 하나를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섬유 원단 코팅용 친환경 조성물의 원단 코팅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55 내지 59℃에서 18 내지 30시간 숙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섬유 원단 코팅용 친환경 조성물의 원단 코팅방법.
삭제
삭제
삭제
삭제
KR1020160087123A 2016-07-08 2016-07-08 합성 섬유 원단 코팅용 친환경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원단 코팅 방법 KR101730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123A KR101730475B1 (ko) 2016-07-08 2016-07-08 합성 섬유 원단 코팅용 친환경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원단 코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123A KR101730475B1 (ko) 2016-07-08 2016-07-08 합성 섬유 원단 코팅용 친환경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원단 코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475B1 true KR101730475B1 (ko) 2017-04-27

Family

ID=58702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123A KR101730475B1 (ko) 2016-07-08 2016-07-08 합성 섬유 원단 코팅용 친환경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원단 코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4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361A (ko) 2020-08-26 2022-03-08 조은경 섬유용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코팅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00370A2 (en) * 1987-07-23 1989-01-25 Hercules Incorporated Method for coating synthetic fibrous sheets
JP2006022469A (ja) 1996-04-19 2006-01-26 Idemitsu Kosan Co Ltd 表面処理材及び表面処理材で処理された繊維、糸、織物、編物、不織布、フィルム、シート、又はレザー
KR101225158B1 (ko) * 2012-06-12 2013-01-22 주식회사 다인패션 친환경성 의류용 원단 및 제조방법, 그리고 친환경 의류용 원단을 이용한 의류제조방법
KR101579582B1 (ko) * 2015-05-29 2016-01-04 주식회사 만경 유해물질 제거 및 차단을 위한 섬유용 코팅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코팅된 원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00370A2 (en) * 1987-07-23 1989-01-25 Hercules Incorporated Method for coating synthetic fibrous sheets
JP2006022469A (ja) 1996-04-19 2006-01-26 Idemitsu Kosan Co Ltd 表面処理材及び表面処理材で処理された繊維、糸、織物、編物、不織布、フィルム、シート、又はレザー
KR101225158B1 (ko) * 2012-06-12 2013-01-22 주식회사 다인패션 친환경성 의류용 원단 및 제조방법, 그리고 친환경 의류용 원단을 이용한 의류제조방법
KR101579582B1 (ko) * 2015-05-29 2016-01-04 주식회사 만경 유해물질 제거 및 차단을 위한 섬유용 코팅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코팅된 원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7361A (ko) 2020-08-26 2022-03-08 조은경 섬유용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코팅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1320B1 (ko) 기능성 원사의 제조방법
KR101600548B1 (ko) 유해물질 분해 또는 흡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011700A (zh) 一种墙体涂料组合物、其制备方法、用途以及包含其的墙体涂料
KR101561883B1 (ko) 식품 포장 종이 코팅용 친환경 융복합 조성물
Pandit et al. Green and sustainable textile materials using natural resources
KR20170045007A (ko) šœ기트를 포함하는 제품 및 그 제조방법
CN106436275B (zh) 一种长效耐洗天然抗菌织物的整理方法
KR101730475B1 (ko) 합성 섬유 원단 코팅용 친환경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원단 코팅 방법
KR100977862B1 (ko) 자연향 발산 항균탈취 흡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14193866A (zh) 一种提高抗菌防紫外线型复合窗帘面料耐黄变性能的方法
KR20160061723A (ko) 기능성 항균 벽지 및 벽 마감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25531A (ko) 종이 코팅용 친환경 융복합 조성물
KR100917688B1 (ko) 벽지의 제조방법
KR101925796B1 (ko) 합성 화학성 섬유 원단 망점 박막 코팅용 친환경 융복합 조성물
CN101831796A (zh) 一种释放负离子六环石针织面料
KR101953560B1 (ko) 자연 분해성 식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977859B1 (ko) 건축 내장재의 코팅에 사용되는 항균성 양이온 교환 졸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20189A (ko) 종이 코팅용 친환경 융복합 조성물
KR100626870B1 (ko) 바닥장식재용 천연 광석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바닥장식재의 제조방법
KR100763937B1 (ko) 파티션 시트 커버용 기능성 원단의 제조 방법
KR101423268B1 (ko) 고내구성의 항균기능을 갖는 투습방수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 폴리우레탄 필름
KR101169941B1 (ko) 인조 대리석의 제조방법 및 그 인조 대리석
KR101887100B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바인더 제조 방법 및 원단 제조 장치
KR101805161B1 (ko) 바르는 액상 벽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55019B1 (ko) 항균성 섬유용 조성물과 이를 코팅한 직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