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8505B1 -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8505B1
KR100738505B1 KR1020060073186A KR20060073186A KR100738505B1 KR 100738505 B1 KR100738505 B1 KR 100738505B1 KR 1020060073186 A KR1020060073186 A KR 1020060073186A KR 20060073186 A KR20060073186 A KR 20060073186A KR 100738505 B1 KR100738505 B1 KR 100738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iquid
parts
composition
charco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휘
윤희중
Original Assignee
(주)동양리빙퀘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양리빙퀘스트 filed Critical (주)동양리빙퀘스트
Priority to KR1020060073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5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048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air treating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실내 내장재 및 가구류에 코팅되어 유해물질 발산을 차단하며 탈취 용도로 사용 가능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솔잎, 부추로부터 각각 이루어지는 솔잎 추출물, 부추 추출물을 형성하고 상기 양 추출물을 혼합하고 발효하여 식물성 조성물을 형성하며, 참숯 분말, 견운모 분말로부터 각각 이루어지는 참숯 수용액, 견운모 수용액을 형성하고 상기 양 수용액을 혼합하고 숙성하여 광물성 조성물을 형성하며, 상기 식물성 조성물과 광물성 조성물을 혼합하고 가열하여 겔화시키며, 상기 겔을 상온으로 급랭하고 숙성하여 이루어지는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구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을 분사하여 내장재의 표면에 박막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내장재로부터 각종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이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음이온을 발생하는 동시에 각종 악취를 탈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솔잎, 부추, 참숯, 견운모, 탈취, 내장재, 새집증후군

Description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PREPARING METHOD OF COMPOSITION FOR BLOCKING HARMFUL MATERIAL AND DEORDORIZ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
본 발명은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에 사용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솔잎 추출물, 부추 추출물을 혼합 발효한 식물성 조성물과, 참숯 수용액, 견운모 수용액을 혼합 숙성한 광물성 조성물을 혼합 가열하고 겔화하고 냉각시켜서 이루어지는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루, 문짝, 선반 등을 위시한 각종 실내 내장재는 여러 장의 합성수지판이나 목재판을 합성수지 접착제로 접착하여 다층 구조를 형성하고, 그 표면을 합성도료로 채색하거나 무늬목 등을 접착하여 제조된다. 합성수지판이나 목재판을 다층 구조로 접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합성수지 접착제는 접착 강도나 접착 내구성 등과 같은 접착과 관련된 각종 물성이 우수하고, 채색에 사용되는 합성도료 는 색상이 미려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합성수지 접착제와 합성도료에 함유되는 각종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으로 인하여 시설물 거주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새집증후군이 나타날 뿐만 아니라, 여러 원인으로 인하여 실내에서 불쾌한 냄새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주로 이러한 새집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하여 거주자가 입주하기 전에 장시간 창문을 완전 개방한 상태로 실내를 고온으로 난방하고, 이러한 과정을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실내 내장재에 함유된 각종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을 기화시켜서 제거하는 소위 베이크 아웃(bake out)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실내 난방 방법에 의해서는 실내 내장재에 함유된 각종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거주자가 입주한 후에도 실내 내장재로부터 각종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이 발산되어 거주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며, 실제적으로 상술한 실내 난방을 여러 차례 실시하는 것이 대단히 번거롭고, 난방에 에너지를 대량 소비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서, 사람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각종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의 발산을 방지하거나 억제하기 위하여 내장재의 표면을 코팅하는 각종 화합물이 개발되었으나, 개발된 내장재 코팅용 화합물 역시 그 자체에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발산하기 때문에 실제로 내장재에 적용하는 것이 곤란하며, 또한 실내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억제하기 위하여 내장재 코팅용 화합물에 추가적으로 화학적인 탈취제를 함유하거나, 또는 별도로 탈취제, 방향제를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 제 10-0602464 호에서는 자수정 분말, 체질안료, 착색안료, 바인더 수지, 기타 첨가제로 이루어지는 수성도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수성도료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와 기타 첨가제로부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발산하며, 불유쾌하고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냄새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0-70531 호에서는 에폭시 단량체, 실록산 단량체, 경화제를 주성분으로 하고 유기 용매와 기타 첨가제로 이루어지는 에폭시-폴리실록산 폴리머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폴리머 조성물은 내후성, 내화학성, 내식성이 우수하지만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중합하기 때문에 상기 폴리머 조성물을 적용한 코팅층으로부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발산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5-19705 호에서 폴리실록산과 에폭시 수지를 주성문으로 하는 보호성 코팅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호성 코팅제 조성물을 실제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유기용매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사익 코팅제 조성물을 적용한 코팅층으로부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발산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내장재 및 가구류에 코팅되어 유해물질 발산을 차단하면서 동시에 각종 악취를 탈취하여 탈취 용도로 사용 가능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솔잎 추출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부추 추출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참숯 수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와, 견운모 수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솔잎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와 부추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하고 24 내지 48 시간동안 발효하여 식물성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참숯 수용액 40 내지 60 중량부와 견운모 수용액 40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하고 50 내지 70 분간 교반 및 숙성하여 광물성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식물성 조성물 40 내지 60 중량부와 광물성 조성물 40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하고 150 내지 180 ℃에서 50 내지 70 분간 가열하여 겔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겔을 상온으로 급랭하는 단계 및 상기 급랭된 겔을 24 시간동안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솔잎 추출물의 제조가 솔잎을 분쇄하여 70 내지 90 ℃에서 50 내지 70 분간 교반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솔잎 분쇄물을 슬러리와 액상 솔잎으로 고/액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고/액 분리된 액상 솔잎을 여과하여 액상 솔잎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부추 추출물의 제조가 부추를 분쇄하여 70 내지 90 ℃에서 50 내지 70 분간 교반가열하는 단계와 상기 부추 분쇄물을 상온으로 급랭하고 슬러리와 액상 부추로 고/액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고/액 분리된 액상 부추를 여과하여 액상 부추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액상 부추 추출물을 10 내지 14 시간동안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참숯 수용액의 제조가 참숯 분말 100 중량부, 정제수 100 중량부, 수산화칼륨 10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하고 70 내지 90 ℃에서 50 내지 60 분간 가열하여 참숯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참숯 혼합물을 슬러리와 액상 참숯으로 고/액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고/액 분리된 액상 참숯을 여과하여 참숯 수용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견운모 수용액의 제조가 10000 내지 12000 메쉬의 견운모 분말 100 중량부, 정제수 100 중량부, 에탄올 5 내지 15 중량부, 염화나트륨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고 150 내지 200 ℃에서 60 내지 90 분간 가열하여 견운모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견운모 혼합물을 슬러리와 액상 견운모로 고/액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고/액 분리된 액상 견운모를 여과하여 견운모 수용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식물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식초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물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과산화수소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을 분사하여 내장재의 표면에 박막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내장재로부터 각종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이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박막으로부터 음이온을 발생하는 동시에 각종 악취를 탈취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각 단계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우선 솔잎, 부추, 참숯, 견운모을 개별적으로 가공하여 솔잎 추출물, 부추 추출물, 참숯 수용액, 견운모 수용액을 제조한다(단계 S10).
솔잎을 원료로 사용하여 솔잎 추출물을 구성한다.
솔잎은 테르펜 계통의 피톤치드가 풍부하여 그 자체로서 음이온을 발생하는 재료이며, 이러한 솔잎을 상기 솔잎이 가공되어 형성된 솔잎 추출물을 일정한 발효 조건으로 발효시키면 음이온의 발생 정도가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솔잎을 분쇄하여 솔잎 분쇄물을 형성하고, 상기 솔잎 분쇄물을 70 내지 90 ℃에서 50 내지 70 분간 교반하면서 가열 처리한다. 상기와 같이 가열 처리된 솔잎 분쇄물을 그대로 방치하여 슬러리와 액상 솔잎으로 고/액 분리한다. 상기 고/액 분리된 액상 솔잎을 공지된 기술에 의해 여과하여 상등액인 액상 솔잎 추출물을 수득한다.
상기와 같은 솔잎 분쇄물의 교반 및 가열 단계에 있어서, 솔잎 분쇄물의 가열 온도가 70 ℃ 미만이면 상기 솔잎 분쇄물의 세포벽이 제대로 파괴되지 않으며, 솔잎 분쇄물의 가열 온도가 90 ℃를 초과하면 상기 솔잎 분쇄물이 포함되는 식물성 조성물의 발효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솔잎 분쇄물의 교반 가열 시간이 50 분 미만이면 상기 솔잎 분쇄물의 고/액 분리가 제대로 일어나지 않으며, 솔잎 분쇄물의 교반 가열 시간이 70 분을 초과하면 상기 솔잎 분쇄물의 유효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부추를 원료로 적용하여 부추 추출물을 구성한다.
부추는 특유의 향기가 있으며, 상기 부추가 가공되어 형성된 부추 추출물은 밀도가 크고 조직이 치밀하여 사람들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각종 유기화합물이 나 휘발성 물질의 발산을 방지하거나 억제하는 효과가 탁월하다.
구체적으로, 부추를 분쇄하여 부추 분쇄물을 형성하고, 상기 부추 분쇄물을 70 내지 90 ℃에서 50 내지 70 분간 교반하면서 가열 처리한다. 상기와 같이 가열 처리된 부추 분쇄물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지된 기술에 의해 상온으로 급랭한 후에, 방치하여 슬러리와 액상 부추로 고/액 분리한다. 상기 고/액 분리된 액상 부추를 공지된 기술에 의해 여과하여 상등액인 액상 부추 추출물을 수득한다. 상기 수득된 액상 부추 추출물을 10 내지 14 시간동안 숙성하여 부추 추출물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은 부추 분쇄물의 교반 및 가열 단계에 있어서, 부추 분쇄물의 가열 온도가 70 ℃ 미만이면 상기 부추 분쇄물의 고/액 분리가 제대로 일어나지 않으며, 솔잎 분쇄물의 가열 온도가 90 ℃를 초과하면 상기 부추 분쇄물의 유효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또한, 부추 분쇄물의 교반 가열 시간이 50 분 미만이면 상기 부추 분쇄물의 숙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솔잎 분쇄물의 교반 가열 시간이 70 분을 초과하면 상기 부추 분쇄물의 유효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또한, 액상 부추 추출물의 숙성 시간이 10 시간 미만이면 상기 액상 부추 추출물이 충분히 숙성되지 않으며, 액상 부추 추출물의 숙성 시간이 14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부추 추출물이 포함되는 식물성 조성물의 발효에 영향을 미친다.
참숯 분말을 원료로 적용하여 참숯 수용액을 구성한다.
참숯은 참나무를 원료로 적용하여 제조되는 숯으로서, 표면적이 대단히 넓은 다공질 구조이므로 흡착 능력이 탁월한 물질이며, 상기 다공질 구조가 습도 조절 기능을 지니며, 원적외선을 방출하고 음이온을 발생하며, 산성화된 물질을 중화시키는 작용을 지니고 있다.
구체적으로, 참숯을 분쇄하고, 상기 참숯 분말 100 중량부, 정제수 100 중량부, 수산화칼륨 10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하고 70 내지 90 ℃에서 50 내지 60 분간 가열하여 참숯 혼합물을 형성한다. 상기 참숯 혼합물을 방치하여 슬러리와 액상 참숯으로 고/액 분리하고, 상기 고/액 분리된 액상 참숯을 여과하여 상등액인 참숯 수용액을 수득한다.
상기와 같은 참숯 혼합물의 형성 단계에 있어서, 참숯 분말 100 중량부와 정제수 100 중량부에 포함되는 수산화칼륨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참숯 혼합물의 고/액 분리가 제대로 일어나지 않으며, 수산화칼륨의 함량이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참숯 혼합물에 포함된 참숯의 물성이 열화된다.
또한, 참숯 혼합물의 가열 온도가 70 ℃ 미만이면 참숯이 정제수에 제대로 용해되지 않으며, 참숯 혼합물의 가열 온도가 90 ℃를 초과하면 상기 참숯 혼합물의 점도가 필요 이상으로 증가되다.
또한, 참숯 혼합물의 가열 시간이 50 분 미만이면 참숯이 정제수에 제대로 용해되지 않으며, 참숯 혼합물의 가열 시간이 70 분을 초과하면 상기 참숯 혼합물이 포함되는 광물성 조성물의 발효에 영향을 미친다.
견운모를 원료로 적용하여 견운모 수용액을 구성한다.
견운모는 인체의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세포활성을 활성화하는 원적외선을 90% 이상 방사하는 물질로서, 강력한 음이온을 발산하여 각종 악취와 유해 물질을 흡착하는 기능을 지닌다.
구체적으로, 견운모를 10000 내지 12000 메쉬로 분쇄하고 상기 견운모 분말 100 중량부, 정제수 100 중량부, 에탄올 5 내지 15 중량부, 염화나트륨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견운모 혼합물을 형성한다. 상기 견운모 혼합물을 150 내지 200 ℃에서 60 내지 90 분간 가열 처리한다. 상기 가열 처리된 견운모 혼합물을 방치하여 슬러리와 액상 견운모로 고/액 분리하고, 상기 고/액 분리된 액상 견운모를 공지된 기술에 의해 여과하여 상등액인 견운모 수용액을 수득한다.
견운모 수용액에 사용되는 견운모 분말이 10000 메쉬 미만이면 광물성 혼합물이 제대로 숙성되지 않으며, 견운모 분말이 12000 메쉬를 초과하면 견운모의 분쇄비용 증가에 비하여 광물성 혼합물의 물성이 더 이상 증가되지 않는다.
견운모 혼합물의 형성 단계에 있어서, 견운모 분말 100 중량부와 정제수 100 중량부에 포함되는 에탄올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견운모 혼합물의 고/액 분리가 제대로 일어나지 않으며, 에탄올의 함량이 15 중량부를 초과하면 견운모 혼합물이 변성된다. 또한, 견운모 분말 100 중량부와 정제수 100 중량부에 포함되는 염화나트륨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견운모가 정제수에 제대로 용해되지 않으며, 염화나트륨의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견운모 혼합물의 물성이 저하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솔잎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와 부추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식물성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식물성 혼합물을 24 내지 48 시간동안 발효하여 식물성 조성물을 형성한다(단계 S20).
식물성 혼합물에 포함되는 부추 추출물의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밀도가 저하되고 조직이 열화되어 각종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의 발산을 방지 억제하는 기능이 저하되고, 부추 추출물의 함량이 60 중량부를 초과하면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하여 취급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식물성 혼합물에 포함되는 솔잎의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음이온 발생 효과가 저하되고, 솔잎의 함량이 60 중량부를 초과하면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밀도가 낮아져서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의 발산을 방지 억제하는 기능이 저하된다.
또한, 식물성 혼합물의 발효 시간이 24 시간 미만이면 상기 식물성 혼합물이 제대로 발효되지 않으며, 식물성 혼합물의 발효 시간이 48 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식물성 혼합물이 과잉발효하게 된다.
식물성 조성물의 보존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식물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식초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식물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포함되는 식초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식물성 조성물에 대한 방부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으며, 식물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포함되는 식초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기 식물성 조성물이 과잉 발효되거나 물성이 저하된다.
이와 별도로, 상기와 같이 형성된 참숯 수용액 40 내지 60 중량부와 견운모 수용액 40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광물성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광물성 혼합물을 50 내지 70 분간 교반하면서 숙성하여 광물성 조성물을 구성한다(단계 S30).
광물성 혼합물에 포함되는 참숯 수용액의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탈취 기능이 저하되고, 참숯 수용액의 함량이 60 중량부를 초과하면 광물성 조성물의 숙성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광물성 혼합물에 포함되는 견운모의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이면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음이온 발생 효과가 저하되고, 견운모의 함량이 60 중량부를 초과하면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밀도가 낮아져서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의 발산을 방지 억제하는 기능이 저하된다.
또한, 광물성 혼합물의 교반 및 숙성 시간이 50 분 미만이면 상기 광물성 혼합물이 충분히 숙성되지 않으며, 광물성 혼합물의 교반 및 숙성 시간이 70 분을 초과하면 상기 광물성 혼합물이 더 이상 숙성되지 않는다.
광물성 조성물의 숙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광물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과산화수소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광물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포함되는 과산화수소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식물성 조성물의 숙성을 촉진하는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광물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포함되는 과산화수소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면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물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성된 식물성 조성물 40 내지 60 중량부와 광물성 조성물 40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액을 형성하고(단계 S40), 상기 조성액을 150 내지 180 ℃에서 50 내지 70 분간 가열하여 겔화시킨다(단계 S50).
조성액의 겔화 단계의 온도가 150 ℃ 미만이면 상기 조성액이 제대로 겔화되지 않으며, 겔화 단계의 온도가 180 ℃를 초과하면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물성이 저하된다. 또한, 조성액의 겔화 시간이 50 분 미만이면 상기 조성액이 충분히 겔화되지 않으며, 겔화 시간이 70 분을 초과하면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이 변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겔을 공지 기술에 의하여 상온으로 급랭하고, 상기 급랭된 겔을 24 시간동안 숙성하여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을 수득한다(단계 S60).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은 음이온을 다량으로 발생하는 동시에, 각종 악취를 탈취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다음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부추, 솔잎을 각각 물로 세척한 후에 그 표면에 물기가 잔류하지 않을 정도로 자연건조시켰다.
2. 상기 솔잎 1 ㎏을 분쇄하여 솔잎 분쇄물을 형성하고, 상기 솔잎 분쇄물을 반응기에서 80 ℃로 60 분간 교반하면서 가열 처리하고, 상기 가열 처리된 솔잎 분쇄물을 그대로 방치하여 슬러리와 액상 솔잎으로 고/액 분리하였다.
3. 상기 고/액 분리된 액상 솔잎을 여과하여 상등액인 액상 솔잎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4. 상기 부추 1 ㎏을 분쇄하여 부추 분쇄물을 형성하고, 상기 부추 분쇄물을 반응기에서 80 ℃로 60 분간 교반하면서 가열 처리하였다.
5. 상기 가열 처리된 부추 분쇄물이 담겨진 반응기를 25 ℃의 물이 담겨진 대용량의 수조의 표면에 부유하여 급속냉각시킨 후에, 방치하여 슬러리와 액상 부추로 고/액 분리하였다.
6. 상기 고/액 분리된 액상 부추를 여과하여 상등액인 액상 부추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액상 부추 추출물을 12 시간동안 숙성하여 부추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7. 참숯 분말 1 ㎏, 정제수 1 ㎏, 수산화칼륨 120 g을 반응기에서 80 ℃로 60 분간 교반하면서 가열 처리하여 참숯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참숯 혼합물을 그대로 방치하여 슬러리와 액상 참숯으로 고/액 분리하였다.
8. 상기 고/액 분리된 액상 참숯 혼합물을 여과하여 상등액인 참숯 수용액을 수득하였다.
9. 10000 메쉬의 견운모 분말 1 ㎏, 정제수 1 ㎏, 에탄올 100 g, 염화나트륨 150 g을 반응기에서 180 ℃로 75 분간 교반하면서 가열 처리하여 견운모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견운모 혼합물을 그대로 방치하여 슬러리와 액상 견운모로 고/액 분리하였다.
10. 상기 고/액 분리된 액상 견운모 혼합물을 여과하여 상등액인 견운모 수용액을 수득하였다.
11. 상기와 같이 형성된 솔잎 추출물 250 g과 부추 추출물 250 g을 혼합하여 식물성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식물성 혼합물을 36 시간동안 발효하여 식물성 조 성물을 제조하였다.
12. 상기와 같이 형성된 참숯 수용액 250 g과 견운모 수용액 250 g을 혼합하여 광물성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광물성 혼합물을 60 분간 교반하면서 숙성하여 광물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3. 상기와 같이 조성된 식물성 조성물 500 g과 광물성 조성물 500 g을 조성액을 형성하였다.
14. 상기 조성액을 반응기에서 160 ℃로 60 분간 가열하여 겔화시켰다.
15. 상기와 같이 형성된 겔이 담겨진 반응기를 25 ℃의 물이 담겨진 대용량의 수조의 표면에 부유하여 급속냉각시키고, 24 시간동안 숙성하여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거하여 제조된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을 나노분사기에 충전하였다. 상기 나노분사기에 충전된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을 합성수지판을 접착제로 접착하여 제조된 가구의 표면에 분사하여 박막을 형성한 결과, 상기 가구로부터 각종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이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음이온을 발생하는 동시에 각종 악취를 탈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은 내장재의 표면에 박막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내장재로부터 각종 유기화합물이나 휘발성 물질이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고 음이온을 발생하는 동시에 실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악취를 탈취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솔잎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부추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참숯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견운모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솔잎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와 상기 부추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하고 24 내지 48 시간동안 발효하여 식물성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참숯 수용액 40 내지 60 중량부와 견운모 수용액 40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하고 50 내지 70 분간 교반 및 숙성하여 광물성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식물성 조성물 40 내지 60 중량부와 광물성 조성물 40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하고 150 내지 180 ℃에서 50 내지 70 분간 가열하여 겔화시키는 단계;
    상기 겔을 상온으로 급랭하는 단계; 및
    상기 급랭된 겔을 24 시간동안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잎 추출물의 제조가
    솔잎을 분쇄하여 70 내지 90 ℃에서 50 내지 70 분간 교반가열하는 단계;
    상기 솔잎 분쇄물을 슬러리와 액상 솔잎으로 고/액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고/액 분리된 액상 솔잎을 여과하여 액상 솔잎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추 추출물의 제조가
    부추를 분쇄하여 70 내지 90 ℃에서 50 내지 70 분간 교반가열하는 단계;
    상기 부추 분쇄물을 상온으로 급랭하고 슬러리와 액상 부추로 고/액 분리하는 단계;
    상기 고/액 분리된 액상 부추를 여과하여 액상 부추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액상 부추 추출물을 10 내지 14 시간동안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숯 수용액의 제조가
    참숯 분말 100 중량부, 정제수 100 중량부, 수산화칼륨 10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하고 70 내지 90 ℃에서 50 내지 60 분간 가열하여 참숯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참숯 혼합물을 슬러리와 액상 참숯으로 고/액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고/액 분리된 액상 참숯을 여과하여 참숯 수용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운모 수용액의 제조가
    10000 내지 12000 메쉬의 견운모 분말 100 중량부, 정제수 100 중량부, 에탄올 5 내지 15 중량부, 염화나트륨 10 내지 20 중량부를 혼합하고 150 내지 200 ℃에서 60 내지 90 분간 가열하여 견운모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견운모 혼합물을 슬러리와 액상 견운모로 고/액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고/액 분리된 액상 견운모를 여과하여 견운모 수용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식초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물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과산화수소 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060073186A 2006-08-03 2006-08-03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0738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186A KR100738505B1 (ko) 2006-08-03 2006-08-03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186A KR100738505B1 (ko) 2006-08-03 2006-08-03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8505B1 true KR100738505B1 (ko) 2007-07-11

Family

ID=38504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186A KR100738505B1 (ko) 2006-08-03 2006-08-03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5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511B1 (ko) * 2010-06-10 2012-08-10 임춘수 전자파 및 수맥파 차단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제품
CN111214688A (zh) * 2020-02-25 2020-06-02 毛锦前 一种除异味的植物萃取液及其制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783B1 (ko) * 2006-02-24 2006-06-26 주식회사 씨쓰리 음이온을 방출하며 솔향을 발산하는 건축내장재용 마감재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43509B1 (ko) * 2006-02-24 2006-11-13 주식회사 씨쓰리 천연광석물과 식물성 소재를 이용한 유해물질 차단용 천연염화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783B1 (ko) * 2006-02-24 2006-06-26 주식회사 씨쓰리 음이온을 방출하며 솔향을 발산하는 건축내장재용 마감재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43509B1 (ko) * 2006-02-24 2006-11-13 주식회사 씨쓰리 천연광석물과 식물성 소재를 이용한 유해물질 차단용 천연염화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511B1 (ko) * 2010-06-10 2012-08-10 임춘수 전자파 및 수맥파 차단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제품
CN111214688A (zh) * 2020-02-25 2020-06-02 毛锦前 一种除异味的植物萃取液及其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9836B1 (en) Eco-friendly filler for artificial gra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67230B1 (ko) 도료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0651265B1 (ko) 건축마감재용 코팅제
KR100977862B1 (ko) 자연향 발산 항균탈취 흡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033205B1 (ko) 화산석을 이용한 친환경 기능성 페인트 및 미장 도료용조성물
CN107552366A (zh) 一种室内环境治理的施工方法
KR20180110740A (ko) 친환경 머드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15503A (ko) 자연향 발산 항균탈취 흡착제 조성물
KR100738505B1 (ko) 유해물질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294159B1 (ko) 수용성 코팅 불연도료 조성물
KR100609665B1 (ko) 문짝 제조용 천연접착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0790488B1 (ko) 로즈마리 향이 방출되는 공기 정화용 음이온 졸 및 그 제조방법
KR100826774B1 (ko) 천연 소재를 이용한 도료용 도포제 조성물
KR20130081752A (ko) 쑥향을 지속적으로 발산하는 항균 기능성 한지 벽지
KR100977859B1 (ko) 건축 내장재의 코팅에 사용되는 항균성 양이온 교환 졸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715396B1 (ko) 식물성 재료를 주원료로 하는 음이온 발생 조성물의 제조방법
JP3448514B2 (ja) 天然素材を用いた塗布剤
KR100586633B1 (ko) 저온촉매를 이용한 합지 제조용 천연 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15378B1 (ko) 식물성 재료를 주원료로 하는 음이온 발생 조성물
KR101953560B1 (ko) 자연 분해성 식품 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22326A (ko) 규조토, 일라이트를 함유하고 편백추출액으로 코팅된 건축용 마감재
KR100678586B1 (ko) 천연광석물을 이용한 유해물질 차단용 염화졸의 제조 방법
CN106675243A (zh) 一种白竹炭环保健康内墙功能涂料
KR101646215B1 (ko) 건축용 파우더형 친환경 마감재 조성물
KR100977860B1 (ko) 건축 내장재의 코팅에 사용되는 제올라이트 산성수를이용한 양이온 교환 졸 조성물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