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537B1 -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 - Google Patents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537B1
KR101952537B1 KR1020180063316A KR20180063316A KR101952537B1 KR 101952537 B1 KR101952537 B1 KR 101952537B1 KR 1020180063316 A KR1020180063316 A KR 1020180063316A KR 20180063316 A KR20180063316 A KR 20180063316A KR 101952537 B1 KR101952537 B1 KR 101952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ue
pipe
treated water
transfer pipe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우
Original Assignee
이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우 filed Critical 이영우
Priority to KR1020180063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5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1D33/00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는 적어도 하나의 호퍼, 휘더 및 크러셔를 포함하는 샌드 플랜트에 있어서, 상기 폐수 처리 장치는잔류물이 이송되는 잔류물 이송관; 상기 잔류물 이송관의 일단으로 토출된 상기 잔류물이 유입되며, 상측 일부가 개방되는 처리수 이송관; 상기 처리수 이송관 일측에 형성되되, 상측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처리수 이송관과 연통되는 잔류물 처리관; 상기 처리수 이송관과 상기 잔류물 처리관의 연통 부위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거름망을 포함하며, 소정 시간 간격으로 회전하는 회전 거름망; 및 상기 잔류물 처리관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는 농축 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SAND PLANT WITH WASTEWATER TREATMENT EQUIPMENT}
본 발명은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효율적으로 폐수 처리가 가능한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샌드 플랜트는 채석장 등에서 채취된 암석 등의 골재를 순차적으로 작은 입도를 가지도록 파쇄하여 골재, 부순 모래 등을 생산하는 플랜트를 일컫는다.
이러한 샌드 플랜트 기술 중 하나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08843호(발명의 명칭: 부순 모래 생산을 위한 시스템 구성 장치)가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돌(원석 또는 마사토 외 조각암)을 호퍼에 투입 후 하측의 진동휘더를 이동하게 하면 이때 진동휘더의 그리즐리를 통해 토분을 분리한 다음, 분리한 토분을 콘베이어 벨트로 배출한다. 이후 돌은 죠크러셔에서 100mm이하 크기로 1차 파쇄를 하여 콘베이어 벨트로 이송시켜 콘크러셔에 투입하여 50mm 이하 크기로 2차 파쇄를 한다.
즉, 종래의 샌드 플랜트는 조크러셔, 콘크러셔, 임팩트크러셔 등 다양한 종류의 크러셔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를 갖는 골재, 부순 모래 등을 얻을 수 있는데, 이렇게 골재, 부순 모래 등을 얻기 위해 암석 등의 골재를 파쇄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슬러지를 처리하여야만 한다.
이러한 슬러지를 처리하는 기술 중 하나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3-0043867호(발명의 명칭: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습식 재생 부순모래 제조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크라시파이어로 분리된 최종 파쇄물로부터 탈수시키는 메인탈수기; 크라시파이어로 분리된 잔류물, 제1 및 제2 탈수 스크린으로부터 집수된 표토등이 포함된 물을 응집/침전 시키는 시크너; 침전된 잔류물을 탈수 및 압축시키는 필터 프레스가 마련되어, 암석 등의 골재를 파쇄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슬러지를 처리한다.
KR 20-0308843 Y1 (2003. 03. 14.) KR 10-2003-0043867 A (2003. 06. 02.)
상술 한 종래 기술의 샌드 플랜트는 암석 등의 골재를 파쇄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슬러지가 효율적으로 처리될 필요성이 있는데, 크라시파이어(classifier, 분리기)로 분리되고 남은 잔류물 및 탈수 스크린으로부터 집수된 표토 등이 포함된 물을 바로 시크너(thickner)로 보내기 때문에 그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크라시파이어(분리기)로 분리되고 남은 잔류물 및 탈수 스크린으로부터 집수된 표토 등이 포함된 물을 바로 시크너(thickner)로 보내지 않고 1차 처리하여 보낼 수 있으며, 이러한 1차 처리에 의해 전체적인 슬러지 처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샌드 플랜드용 폐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는 적어도 하나의 호퍼, 휘더 및 크러셔를 포함하는 샌드 플랜트에 있어서, 상기 폐수 처리 장치는잔류물이 이송되는 잔류물 이송관; 상기 잔류물 이송관의 일단으로 토출된 상기 잔류물이 유입되며, 상측 일부가 개방되는 처리수 이송관; 상기 처리수 이송관 일측에 형성되되, 상측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처리수 이송관과 연통되는 잔류물 처리관; 상기 처리수 이송관과 상기 잔류물 처리관의 연통 부위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거름망을 포함하며, 소정 시간 간격으로 회전하는 회전 거름망; 및 상기 잔류물 처리관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는 농축 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는 상기 잔류물 처리관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거름망 방향으로 고압의 기체를 분사하는 고압 분사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는 상기 고압 분사기가 불활성 기체를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는 상기 고압 분사기가 상기 불활성 기체와 함께 물을 더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는 상기 회전 거름망이 4개의 거름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4개의 거름망 각각은 90도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4개의 거름망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처리수 이송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처리수 이송관에 위치한 거름망의 180도 간격의 거름망이 상기 잔류물 처리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는 상기 회전 거름망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처리수 이송관에 위치한 거름망에 의해 걸러진 슬러지가 상기 잔류물 처리관쪽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는 종래와 달리 농축 탱크로 다양한 종류의 크러셔로 암석을 파쇄할 때 발생하는 잔류물(세척수 포함)이 바로 농축 탱크로 이송되는 것이 아니라, 잔류물이 처리수 이송관, 잔류물 처리관 및 회전 거름망의 구성에 의해 1차적으로 처리하여 이송시키고, 1차 처리에 의해 깨끗해진 물은 처리수 이송관을 통해 별도 배출함으로써 종래의 일반적인 샌드 플랜트보다 잔류물 처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의 동작 상태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샌드 플랜트는 호퍼(10), 휘더(20), 크러셔(30), 선별기(40) 및 분리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샌드 플랜트의 동작을 살펴보면, 우선 암석이 호퍼(10)로 투입되고, 호퍼(10)로 투입된 암석은 호퍼(10)의 하측에 위치한 휘더(20)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휘더(20)는 진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휘더(20)에 진동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진동공급기(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휘더(20)로 이동된 암석은 크러셔(30)에 의해 파쇄될 수 있는데, 암석을 파쇄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크러셔(3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크러셔, 콘크러셔, 임팩트크러셔 등이 구비될 수 있는데, 조크러셔는 암석을 100mm 이하의 크기로 1차 파쇄할 수 있고, 콘크러셔는 1차 파쇄된 암석을 50mm 이하의 크기로 2차 파쇄할 수 있으며, 임팩트크러셔는 1차 파쇄된 암석 또는 2차 파쇄된 암석을 19mm 이하의 크기로 파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크러셔(30) 작동 시 발생되는 석분 등의 분진은 크러셔(30)의 하단에 설치된 세척 장치(미도시)에 의해 세척되고, 분진을 포함한 세척수가 농축 탱크(150)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크러셔(30)에 의해 파쇄된 암석은 각각의 선별기(40)를 통해 선별 조건을 만족하는 암석은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선별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 암석은 다시 크러셔(30)에 의해 파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선별기(40)는 암석을 선별하기 위해 망체(미도시)를 구비하며, 예를 들어 50mm 이하의 크기를 갖는 암석(부순 모래)은 통과시키고 50mm 초과의 크기를 갖는 암석(부순 모래)은 통과시키지 않는 망체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망체를 통과한 암석은 탈수 스크린(미도시) 등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탈수 스크린으로부터 집수된 표토등이 포함된 물은 소정 집수정(미도시)에 저장되었다가 농축 탱크(150)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망체를 통과하지 못한 암석은 다시 크러셔(30)로 되돌려 보내질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종류의 크러셔(30)에 의해 파쇄된 암석은 최종적으로 잔류물과 부순 모래로 구분하기 위한 분리기(50)로 이동하게 되고, 분리기(50)를 통과한 파쇄된 암석들은 부순 모래로 배출될 수 있으며, 도 1을 참조하면 3군데의 야적지에 크기 별로 배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기(50)를 통과하지 못한 잔류물은 농축 탱크(150)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는 분리기에 의해 분류된 슬러지가 포함된 잔류물이 이송되는 잔류물 이송관(110); 잔류물 이송관(110)의 일단으로 토출된 잔류물이 유입되며, 상측 일부가 개방되는 처리수 이송관(120); 처리수 이송관(120) 일측에 형성되되, 상측 일부가 개방되어 처리수 이송관(120)과 연통되는 잔류물 처리관(130); 처리수 이송관(120)과 잔류물 처리관(130)의 연통 부위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거름망을 포함하며, 소정 시간 간격으로 회전하는 회전 거름망(140); 및 잔류물 처리관(130)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는 농축 탱크(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잔류물 이송관(110)은 분리기(50)에 의해 분류된 슬러지가 포함된 잔류물이 이송되는 구성요소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크러셔(30)에 의해 파쇄된 암석은 최종적으로 분리기(50)로 이동하게 되는데, 분리기(50)에서 부순 모래로 분류되지 못한 잔류물이 잔류물 이송관(110)을 통해 이송될 수 있다. 이러한 잔류물은 다양한 종류의 슬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세척수나 탈수 스크린을 통한 물 역시 잔류물 이송관(110)을 통해 이송될 수 있다.
잔류물 이송관(110)을 통해 이송된 잔류물은 처리수 이송관(120) 및 잔류물 처리관(130)을 통과한 다음 농축 탱크(150)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잔류물 이송관(11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사각 형상 또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잔류물 이송관(110)의 형태에는 어떠한 제한도 없으며 샌드 플랜트 가동 시 발생하는 잔뮤물들이 이송되도록 형성되기만 하면 된다.
처리수 이송관(120)은 잔류물 이송관(110)의 일단으로 토출된 잔류물이 유입되는 구성요소로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수 이송관(120)의 상단이 개방되고, 개방된 상단을 통해 잔류물 이송관(110)에서 토출되는 잔류물이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처리수 이송관(120) 상단 이외에도 상측 일부가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3에서 처리수 이송관(120)의 상측 일부가 개방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처리수 이송관(120)의 개방된 부분에 대응되도록 잔류물 처리관(130)의 상측 일부도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잔류물 처리관(130)은 처리수 이송관(120) 일측에 형성되되, 상측 일부가 개방되어 처리수 이송관(120)과 연통되는 구성요소인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수 이송관(120)의 개방된 부분에 대응되도록 잔류물 처리관(130)의 상측 일부도 개방되어 연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는 처리수 이송관(120)과 잔류물 처리관(130)이 개방되어 연통되는 부위에 복수 개의 거름망을 포함하는 회전 거름망(140)이 설치된다.
회전 거름망(140)은 복수 개의 거름망을 포함할 수 있는데, 각각의 거름망은 메시(mesh) 형태를 가져 잔류물을 걸러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거름망은 5mm 이상의 입자를 걸러낼 수 있도록 메시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 거름망(1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거름망이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4개의 거름망 각각은 90도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4개의 거름망 중 적어도 하나가 처리수 이송관(120)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전 거름망(140)은 회전을 위해 회전 중심축이 형성될 수밖에 없는데, 회전 거름망(140)의 회전 중심축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수 이송관(120)과 잔류물 처리관(130)이 접하는 부분에 위치한다면 4개의 거름망 중 적어도 하나가 처리수 이송관(120)에 위치할 수 있고, 처리수 이송관(120)에 위치한 거름망의 180도 간격의 거름망이 잔류물 처리관(130)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거름망이 처리수 이송관(120)에 지면과 수평한 상태로 위치한 경우, 잔류물 이송관(110)의 일단으로 토출되는 잔류물은 상기 하나의 거름망으로 직접 쏟아지고, 상기 하나의 거름망에 의해 잔류물이 걸러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나의 거름망에 의해 잔류물이 걸러진 물(처리수)은 처리수 이송관(120)을 통해 계속 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거름망(140)은 소정 시간 간격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소정 시간 간격은 회전 거름망(140)의 복수 개의 거름망 중 하나의 거름망에 어느 정도 잔류물이 쌓였을 때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잔류물 이송관(110)의 일단으로 토출되는 잔류물이 토출되기 시작하면, 처리수 이송관(120)에 위치한 거름망에 잔류물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천천히 잔류물이 쌓이기 시작하고, 상기 거름망에 더 이상 물이 아래로 내려가기 힘들 정도의 잔류물이 쌓이면 회전 거름망(140)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거름망에 더 이상 물이 아래로 내려가기 힘들 정도의 잔류물이 쌓인 것을 알아내기 위해, 상기 거름망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회전 거름망(140)에는 무게 감지 센서(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름망에 더 이상 물이 아래로 내려가기 힘들 정도의 잔류물에 대한 무게가 미리 설정되고, 무게 감지 센서가 측정한 무게가 미리 설정된 무게 이상이면 회전 거름망(140)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 거름망(140)은 다른 방식으로도 소정 시간 간격으로 회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회전 거름망(140)이 1분에 한바퀴 회전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는 회전 거름망(140)이 회전함에 따라, 거름망에 걸린 잔류물이 처리수 이송관(120)에서 잔류물 처리관(13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거름망(140)이 180도 만큼 회전하면, 최초에 처리수 이송관(120)에서 잔류물이 쌓인 거름망은 잔류물 처리관(130)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잔류물은 거름망의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잔류물은 중력에 의해 거름망에서 이탈하여 아래로 낙하하게 되고, 잔류물 처리관(130)의 하단에는 농축 탱크(150)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거름망에서 이탈하여 낙하한 잔류물은 자연스럽게 농축 탱크(150)로 유입된다.
농축 탱크(150)는 잔류물 처리관(130)을 통해 낙하한 잔류물을 응집, 침전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농축 탱크(150)는 잔류물을 응집, 침전시키기 위해 중안 하단에 스크레파(151)가 설치될 수 있다. 농축 탱크(150)에서 잔류물이 응집, 침전된 이후에는 필터 프레스(60)로 이송되고, 필터 프레스(60)에서 탈수화 및 케이크(cake)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농축 탱크(150)와 필터 프레스(60) 사이에는 별도의 저장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고, 농축 탱크(150)에서 응집된 잔류물은 저장조에 저장되었다 필터 프레스(60)로 이송될 수 있다. 이러한 농축 탱크(150)은 일반에 널리 공지된 주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는 종래와 달리 농축 탱크(150)로 다양한 종류의 크러셔(30)로 암석을 파쇄할 때 발생하는 잔류물(세척수 포함)이 바로 농축 탱크(150)로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잔류물이 처리수 이송관(120), 잔류물 처리관(130) 및 회전 거름망(140)의 구성에 의해 1차적으로 처리하여 이송시키고, 1차 처리에 의해 깨끗해진 물은 처리수 이송관(120)을 통해 별도 배출함으로써 종래의 일반적인 샌드 플랜트보다 잔류물 처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는 잔류물 처리관(130)의 상단에 설치되며, 회전 거름망(140) 방향으로 고압의 기체를 분사하는 고압 분사기(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압 분사기(135)가 회전 거름망(140) 방향으로 고압의 기체를 분사함으로써 잔류물 처리관(130)에 위치한 거름망의 위쪽으로 고압의 기체가 가해지고, 이렇게 가해지는 기체의 압력에 의해 거름망의 아래쪽에 위치한 잔류물이 위로부터 압력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거름망에서 자연스럽게 이탈되어 낙하되지 못하고 남아있는 잔류물이 추가적으로 이탈되어 농축 탱크(150)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고압 분사기(135)는 헬륨(He), 네온(Ne), 아르곤(Ar) 등 화학 결합이 힘든 불활성 기체를 분사할 수 있다. 만일 일반적인 공기를 분사하면, (공기에는 다른 화합물과 화학 결합이 상대적으로 쉬운 산소(O2)가 대량으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잔류물과 산소가 화학 결합하여 의도치 않은 화학결합물이 더 생성되거나 부폐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는 고압 분사기(135)가 헬륨(He), 네온(Ne), 아르곤(Ar) 등 화학 결합이 힘든 불활성 기체를 분사함으로써 위와 같은 부폐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압 분사기(135)는 필요에 따라 불활성 기체와 함께 물을 더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물이 물리적인 힘을 추가적으로 가함으로써 잔류물 처리관(130)에 위치한 거름망에 남아있는 잔류물이 더 잘 이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는 고압 분사기(135)가 고압의 기체 이외에도, 고분자 응집제를 회전 거름망(140) 방향으로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중에 현탁(Suspended)되어있는 미세입자를 결합시키는 응집능력을 가지고 있는 천연 및 합성물질들이 다양하게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수중에서 양이온성을 가지는 각종 아민(amine)이나 천연 화합물을 포함하여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은 어느 것이나 일정 수준에서의 하전간 결합에 의해 응집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응집능력을 증대시켜 중합체로써의 수용성 고분자 응집제를 이용할 수 있는데, 고분자 응집제는 대부분 폴리 아크릴아마이드 (Polyacrylamide) 계열이 대부분이며, 하전적 특성에 따라 양이온성(Cationic), 음이온성(Anionic), 비이온성(nonionic), 양쪽성(Amphoteric)으로 구분이 되며, 분자량에 따라 저분자량, 중분자량 및 고분자량이 있으며, 구조의 형태에 따라 선형(Linear), 가교형(Branch) 및 망상형(Cross-linked)이 있으며, 성상에 따라 분말(Powder), 에멀젼(Emulsion), 액체(Liquid), 비드(Bead), 수분산형(W/W dispersant)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고분자 응집제는 이온성을 가진 알긴산 소다 등과 같은 천연 고분자물질이나 계면활성제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는 고압 분사기(135)가 고압의 기체 이외에도, 고분자 응집제를 회전 거름망(140) 방향으로 분사함으로써, 농축 탱크(150)에서 잔류물이 더욱 효과적으로 응집되어 침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는 처리수 이송관(120) 및 잔류물 처리관(130)의 내부에 패킹부재(121, 131)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부재(121, 131)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처리수 이송관(120)과 회전 거름망(140), 잔류물 처리관(130)과 회전 거름망(140)이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호퍼 20: 휘더
30: 크러셔 40: 선별기
50: 분리기 60: 필터 프레스
110: 잔류물 이송관 120: 처리물 이송관
121: 패킹부재 130: 잔류물 처리관
131: 패킹부재 135: 고압 분사기
140: 회전 거름망 150: 농축 탱크

Claims (6)

  1. 적어도 하나의 호퍼, 휘더 및 크러셔를 포함하는 샌드 플랜트에 있어서,
    상기 폐수 처리 장치는
    잔류물이 이송되는 잔류물 이송관;
    상기 잔류물 이송관의 일단으로 토출된 상기 잔류물이 유입되며, 상측 일부가 개방되는 처리수 이송관;
    상기 처리수 이송관 일측에 형성되되, 상측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처리수 이송관과 연통되는 잔류물 처리관;
    상기 처리수 이송관과 상기 잔류물 처리관의 연통 부위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거름망을 포함하며, 소정 시간 간격으로 회전하는 회전 거름망;
    상기 잔류물 처리관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는 농축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거름망은
    4개의 거름망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4개의 거름망 각각은 90도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4개의 거름망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처리수 이송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처리수 이송관에 위치한 거름망의 180도 간격의 거름망이 상기 잔류물 처리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 거름망의 회전 중심축이 상기 처리수 이송관과 상기 잔류물 처리관이 접하는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잔류물 이송관의 일단이 상기 처리수 이송관의 상단에 위치하며, 상기 처리수 이송관의 상단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고,
    상기 회전 거름망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처리수 이송관에 위치한 거름망에 의해 걸러진 잔류물이 상기 잔류물 처리관쪽으로 이동되며,
    상기 회전 거름망에는 무게 감지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 거름망에 더 이상 물이 아래로 내려가기 힘들 정도의 잔류물에 대한 무게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무게 감지 센서가 측정한 무게가 상기 미리 설정된 무게 이상이면 회전 거름망이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물 처리관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거름망 방향으로 고압의 기체를 분사하는 고압 분사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분사기는 불활성 기체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분사기는 상기 불활성 기체와 함께 물을 더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
  5. 삭제
  6. 삭제
KR1020180063316A 2018-06-01 2018-06-01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 KR101952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316A KR101952537B1 (ko) 2018-06-01 2018-06-01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316A KR101952537B1 (ko) 2018-06-01 2018-06-01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2537B1 true KR101952537B1 (ko) 2019-02-26

Family

ID=65562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316A KR101952537B1 (ko) 2018-06-01 2018-06-01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53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6373A (ja) * 2000-08-25 2002-03-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固液分離回収装置
KR200308843Y1 (ko) 2002-12-23 2003-03-28 엠비렌탈주식회사 부순 모래 생산을 위한 시스템 구성 장치
KR20030043867A (ko) 2003-05-03 2003-06-02 삼영플랜트주식회사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습식 재생 부순모래 제조장치
KR100633765B1 (ko) * 2006-03-29 2006-10-16 하나환경산업 주식회사 건설폐기물의 재생선별방법
KR101545546B1 (ko) * 2014-07-18 2015-08-20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슬러지농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6373A (ja) * 2000-08-25 2002-03-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固液分離回収装置
KR200308843Y1 (ko) 2002-12-23 2003-03-28 엠비렌탈주식회사 부순 모래 생산을 위한 시스템 구성 장치
KR20030043867A (ko) 2003-05-03 2003-06-02 삼영플랜트주식회사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습식 재생 부순모래 제조장치
KR100633765B1 (ko) * 2006-03-29 2006-10-16 하나환경산업 주식회사 건설폐기물의 재생선별방법
KR101545546B1 (ko) * 2014-07-18 2015-08-20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슬러지농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220613U (zh) 一种土壤淋洗设备
KR101744849B1 (ko) 오염토양의 정화처리 시스템 및 정화처리 방법
KR101545231B1 (ko) 오염토양의 정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화방법
KR101396416B1 (ko) 열 변형 파쇄를 이용한 복합오염 토양의 유류와 중금속 동시 탈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오염 토양의 정화 시스템 및 방법
CN205436600U (zh) 一种重金属污染土壤的化学淋洗修复设备
CN107127210A (zh) 一种土壤淋洗修复系统及方法
CN212174755U (zh) 一种快速处理砂质污染底泥的淋洗成套设备
US20030006194A1 (en) Concrete grindings reclamation system
KR20220122819A (ko) 방사성 오염토 제염방법 및 제염시스템
TWI549764B (zh) 機動式分離含重金屬之土壤顆粒處理方法
US11278914B2 (en) Method for sorting soil
JP5912525B2 (ja) 放射性物質汚染土砂の洗浄、減容化方法
CN113828626A (zh) 重金属-有机污染土壤的淋洗处置工艺
KR101952538B1 (ko) 건축 자재용 골재 생산을 위한 파쇄 플랜트 시스템
CN204953522U (zh) 一种污染土壤修复用快速淋洗成套装置
KR101952537B1 (ko) 폐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샌드 플랜트
JP4697719B2 (ja) 汚染土壌の浄化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分離装置
CN212069911U (zh) 一种用于土壤及水体修复的单级喷淋系统
JP2004130199A (ja) 重金属汚染土壌修復システムおよび重金属汚染土壌修復方法
JP4123510B2 (ja) 汚染土壌の処理システム
RU2571112C2 (ru) Моб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JP5712656B2 (ja) 焼却灰の洗浄方法及びセメント原料化方法
CN207287732U (zh) 一种土壤淋洗的物料分级回收系统
CN112794606A (zh) 一种用于盾构的渣土处理系统及方法
CN206173021U (zh) 一种含重金属污染物的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