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870B1 -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 - Google Patents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870B1
KR101951870B1 KR1020160141285A KR20160141285A KR101951870B1 KR 101951870 B1 KR101951870 B1 KR 101951870B1 KR 1020160141285 A KR1020160141285 A KR 1020160141285A KR 20160141285 A KR20160141285 A KR 20160141285A KR 101951870 B1 KR101951870 B1 KR 101951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land
present
blade
telescop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6260A (ko
Inventor
이준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60141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870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 B60B19/02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convertible, e.g. from road wheel to rail wheel; Wheels specially designed for alternative use on road and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50Improvement of
    • B60B2900/551Handling of obstacles or difficult ter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를 제공하여서, 본 바퀴가 장착된 이송수단이 육상과 뻘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해상 사고 등에 신속히 대응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본 바퀴를 육상과 뻘에서 즐길 수 있는 레저 스포츠용 이송수단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Moveable wheels on land and mud}
본 발명은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갯벌 체험 행사 등이 많이 개최됨에 따라 갯벌 행사 체험자 또는 갯벌 작업자가 갯벌에 고립되는 사고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갯벌 고립 사고가 발생되면, 구조자가 육상에서 사고 지점까지 신속히 이동할 수 있어야 하며, 이 때 구조자가 사용할 수 있는 장비로 일명 '뻘배'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뻘배'의 경우, 고립자가 육지에서 먼 거리에 위치해 있거나, 밀물로 물이 차오를 때 '뻘배'를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 및 '뻘배'로 이동하는 구조자의 체력 소모가 너무 큰 문제점이 있다.
한편, 갯벌에서도 활용가능한 이동수단으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04957호에는 '갯벌용 부상 운반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한국공개특허문헌에 개시된 갯벌용 부상 운반기의 경우, 부력을 제공하는 플로트, 블레이드가 형성된 구동바퀴 등을 포함하여 갯벌 내에서도 운행이 가능한 구조이나, 육상과 갯벌에서 모두 운행 속도를 높이기가 어려워 구조용 운송장비로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를 제공하여서, 본 바퀴가 장착된 이송수단이 육상과 뻘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해상 사고 등에 신속히 대응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본 바퀴를 육상과 뻘에서 즐길 수 있는 레저 스포츠용 이송수단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에 있어서, 회전축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경방향 외측으로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연장형성된 제1바퀴; 및 회전축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를 제공하여서, 본 바퀴가 장착된 이송수단이 육상과 뻘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해상 사고 등에 신속히 대응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본 바퀴를 육상과 뻘에서 즐길 수 있는 레저 스포츠용 이송수단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의 제1바퀴와 제2바퀴 사이 직경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의 제1바퀴와 제2바퀴 사이 직경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이하, '바퀴'라 칭한다)는, 회전축(101)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경방향 외측으로 복수개의 블레이드(103)가 연장형성된 제1바퀴(105); 및 회전축(101)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바퀴(1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바퀴(105)는 회전축(101)의 외주면에 연장형성된 복수개의 블레이드(103)를 포함한다.
여기서, 블레이드(103)는 회전축(101)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된다.
한편, 블레이드(103)는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이 만곡되며 휘어져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블레이드(103)가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퀴가 뻘에서 사용될 때, 블레이드(103)가 초기 뻘과 맞닿는 면이 확대되어서, 바퀴가 뻘에 쉽게 빠지지 않으면서 원활히 구를 수 있게 된다.
또한, 비로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블레이드(103)는 경방향 외측 단부에 소정의 각도로 덧대어진 저항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저항판은 블레이드(103)와 뻘 사이에 맞닿는 면적을 더욱 넓혀주어서, 바퀴가 더욱 뻘에 빠지지 않도록 한다.
한편, 회전축(101)은 텔레스코프 타입으로 신축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회전축(101)은 복수개의 중공관이 서로 중첩되며 연결된 텔레스코프 타입으로 형성되어서, 바퀴가 장착되는 이송수단에 따라 적절히 회전축(101)의 길이 변경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제1바퀴(10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퀴가 뻘에서 사용될 때, 바퀴가 뻘에 빠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어서, 제2바퀴(107)는 회전축(101)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2바퀴(107)의 구조에 대한 일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바퀴(107)는, 회전축(101)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되, 방사형으로 뻗은 복수개의 지지암(109) 사이에 관통홀(111)이 형성된 내측휠(113); 및 내측휠(113)의 경방향 외측에 끼워져 결합되는 외측휠(115);을 포함한다.
내측휠(113)은 회전축(101)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내측휠(113)은 회전축(101)에 끼워져 결합되는 중심부(201)로부터 방사형으로 뻗은 복수개의 지지암(109)을 포함한다.
그리고 지지암(109)은 중심부(201)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이격형성되어서, 인접한 지지암(109) 사이에 관통홀(111)이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이처럼 내측휠(113)에 지지암(109)과 관통홀(111)이 형성됨으로써, 제2바퀴(107)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퀴가 뻘에서 사용될 때, 뻘이 내측휠(113)의 관통홀(111)을 통과하여 이동될 수 있어서 뻘이 내측휠(113)에 붙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내측휠(113)은 일예로 알루미늄합금 등 강도와 내구성, 경량성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외측휠(115)은 내측휠(113)의 경방향 외측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러한 외측휠(115)은 일예로 러버 등 탄성체로 만들어지며, 외측휠(115) 내부에는 공기가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휠(115)은 경방향 외측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슬립방지용 돌기(117)를 포함한다.
이러한 슬립방지용 돌기(117)는 외측휠(117)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 역시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이처럼 외측휠(115)에 슬립방지용 돌기(117)가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퀴가 육상에서 고속으로 운행되는 이송수단에 장착되었을 때, 이송수단이 안전한 고속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슬립방지용 돌기(11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퀴가 뻘에서 운행될 때, 바퀴가 뻘에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의 제2바퀴(10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퀴가 육상에서 사용될 때, 바퀴가 장착된 이송수단이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불어, 제2바퀴(좀 더 구체적으로는 외측휠(115))의 폭은 적어도 15cm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을 참고할 때, 회전축(101)의 중심에서 제1바퀴(105)의 블레이드(103)의 경방향 외측 끝단까지의 거리(L1)와, 제2바퀴(107)의 중심(좀 더 구체적으로, 내측휠(113)의 중심)에서 제2바퀴(107)의 경방향 외측 끝단까지의 거리(L2)를 비교하면, L1이 L2보다 짧은데, 이와 같은 크기로 제1바퀴(105)와 제2바퀴(107)가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퀴가 이송수단에 장착되어 육상에서 사용될 때, 뻘 이동용의 제1바퀴(105)가 이송수단의 육상에서의 운행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는, 중간에 제1바퀴(105)가 놓이고, 제1바퀴(105)의 양측에 제2바퀴(107)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는, 3개의 제2바퀴(107) 사이에 제1바퀴(105)가 각각 연결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도 4, 도 5, 도 6에 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바퀴가 사용되는 환경,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바퀴(105)와 제2바퀴(107)를 복수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를 제공하여서, 본 바퀴가 장착된 이송수단이 육상과 뻘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해상 사고 등에 신속히 대응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본 바퀴를 육상과 뻘에서 즐길 수 있는 레저 스포츠용 이송수단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 회전축
103 : 블레이드
105 : 제1바퀴
107 : 제2바퀴
109 : 지지암
111 : 관통홀
113 : 내측휠
115 : 외측휠
117 : 슬립방지용 돌기
201 : 중심부

Claims (5)

  1.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에 있어서,
    회전축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경방향 외측으로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연장형성된 제1바퀴; 및
    상기 제1바퀴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2바퀴;를 포함하며,
    뻘에서 사용될 때 상기 블레이드가 초기에 뻘과 맞닿는 면이 확대되어, 뻘에 쉽게 빠지지 않으면서 원활히 구를 수 있도록, 상기 블레이드는 표면이 만곡되며 휘어져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와 뻘 사이에 맞닿는 면적을 더욱 넓혀주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경방향 외측 단부에 소정의 각도로 덧대어진 저항판이 구비되며,
    상기 제2바퀴는,
    상기 회전축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되, 방사형으로 뻗은 복수개의 지지암 사이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뻘에서 사용될 때 뻘이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이동됨으로써 뻘이 붙어 쌓이는 것이 방지되는 내측휠; 및
    상기 내측휠의 경방향 외측에 끼워져 결합되는 외측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텔레스코프 타입으로 신축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휠은,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슬립방지용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
KR1020160141285A 2016-10-27 2016-10-27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 KR101951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285A KR101951870B1 (ko) 2016-10-27 2016-10-27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285A KR101951870B1 (ko) 2016-10-27 2016-10-27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260A KR20180046260A (ko) 2018-05-08
KR101951870B1 true KR101951870B1 (ko) 2019-03-04

Family

ID=62187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285A KR101951870B1 (ko) 2016-10-27 2016-10-27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8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041B1 (ko) * 2019-10-23 2021-02-0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867B1 (ko) 2018-12-26 2020-07-22 대한민국 갯벌주행이 가능한 차량용 바퀴
KR102136870B1 (ko) 2018-12-26 2020-07-22 대한민국 갯벌주행용 차량
CN110525120B (zh) * 2019-08-01 2020-09-22 武汉理工大学 一种可收放桨叶的新型的水陆两栖车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8606A (ja) * 1998-10-02 2000-04-18 Endo Kikaku:Kk 車輌の輪間距離調整機構
JP3192634B2 (ja) 1996-03-27 2001-07-30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移動農機のトレッド調整装置
JP2005271806A (ja) 2004-03-25 2005-10-06 Sumitomo Rubber Ind Ltd トレッド面用排泥装置
JP5167197B2 (ja) 2009-05-15 2013-03-21 株式会社熊谷農機 道路走行可能な圃場作業機用車輪並びに圃場作業機並びに乗用溝切り機
KR101402817B1 (ko) * 2012-11-27 2014-06-03 최지현 농경기용 듀얼 휠 연결장치
JP2015036251A (ja) 2013-08-10 2015-02-23 株式会社アテックス 管理作業機の走行車輪
KR101506567B1 (ko) 2013-10-08 2015-03-27 전병채 바퀴용 보조바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2634B2 (ja) 1996-03-27 2001-07-30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移動農機のトレッド調整装置
JP2000108606A (ja) * 1998-10-02 2000-04-18 Endo Kikaku:Kk 車輌の輪間距離調整機構
JP2005271806A (ja) 2004-03-25 2005-10-06 Sumitomo Rubber Ind Ltd トレッド面用排泥装置
JP5167197B2 (ja) 2009-05-15 2013-03-21 株式会社熊谷農機 道路走行可能な圃場作業機用車輪並びに圃場作業機並びに乗用溝切り機
KR101402817B1 (ko) * 2012-11-27 2014-06-03 최지현 농경기용 듀얼 휠 연결장치
JP2015036251A (ja) 2013-08-10 2015-02-23 株式会社アテックス 管理作業機の走行車輪
KR101506567B1 (ko) 2013-10-08 2015-03-27 전병채 바퀴용 보조바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041B1 (ko) * 2019-10-23 2021-02-0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260A (ko) 201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1870B1 (ko)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
US10703140B2 (en) Wheel assemblies with non-pneumatic tires
EP3135498B1 (en) Kayak trolley
AU747572B2 (en) Transport mechanism
US7730978B2 (en) All-terrain robotic omni-directional drive assembly
US20180093528A1 (en) Wheel assemblies with non-pneumatic tires
US9290054B2 (en) Wheel and tire assembly including a collapsible wheel
CA2570404A1 (en) Gravity wheel or roller conveyor capable of brake control with respect to an object being transported
US20110203708A1 (en) Shock absorbing wheel
ES2458222T3 (es) Sistema de oruga con geometría variable
JPH0650902U (ja) 農業用空気入りタイヤ
CA2974999A1 (en) Wheel assemblies with non-pneumatic tires
US20140047812A1 (en) Lawn Mower Wheel and Lawn Mower with such a Wheel
US4345633A (en) Webbed non-pneumatic tire
KR102137829B1 (ko) 가변형 타이어
US4102423A (en) Ground traction devices
US9283807B2 (en) Sinusoidal wheel
CN102275457B (zh) 一种切换式多叶片越障轮
EP2920005A1 (en) Wheel assembly and vehicle incorporating same
US9211922B2 (en) Robotic vehicle having traction and mobility-enhanced wheel structures
US4070065A (en) Wheel for skateboards and roller skates
KR102211041B1 (ko)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
RU2280562C2 (ru) Колесный движитель
CN203902134U (zh) 水田行走轮
KR102136867B1 (ko) 갯벌주행이 가능한 차량용 바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