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867B1 - 갯벌주행이 가능한 차량용 바퀴 - Google Patents

갯벌주행이 가능한 차량용 바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867B1
KR102136867B1 KR1020180168986A KR20180168986A KR102136867B1 KR 102136867 B1 KR102136867 B1 KR 102136867B1 KR 1020180168986 A KR1020180168986 A KR 1020180168986A KR 20180168986 A KR20180168986 A KR 20180168986A KR 102136867 B1 KR102136867 B1 KR 102136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vehicle
driving
mud
tidal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9637A (ko
Inventor
신성규
백계진
이채영
정성환
이종수
이준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168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867B1/ko
Publication of KR20200079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5/00Wheels or wheel attachments designed for increasing traction
    • B60B15/18Wheels with ground-engaging plate-like shoes
    • B60B15/22Wheels with ground-engaging plate-like shoes connected by links to the hu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5/00Wheels or wheel attachments designed for increasing traction
    • B60B15/26Auxiliary wheels or rings with traction-increasing surface attachable to the main wheel body
    • B60B15/263Traction increasing surface being located axially beside t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갯벌주행이 가능한 차량용 바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입타이어와 더불어 갯벌주행을 위한 블레이드를 갖는 갯벌주행바퀴를 포함하는 차량용 바퀴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회전축(L)을 따라 회전하는 원통체(110)의 외주면에 방사방향 외측으로 복수개의 블레이드(120)가 연장형성된 제1바퀴(100), 및 상기 원통체(110)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바퀴(200)를 포함하는 갯벌주행이 가능한 차량용 바퀴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20)는 상기 원통체(110)로부터 수직 상향에 위치하는 차량(300)의 일 지점에서 상기 원통체(110)를 향해 일정 길이로 하향 설치되는 진흙제거구(310)가 통과하도록 상기 블레이드(120)의 상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일정한 홈(1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주행이 가능한 차량용 바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갯벌주행이 가능한 차량용 바퀴{Wheels for vehicle on land and mud}
본 발명은 갯벌주행이 가능한 차량용 바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입타이어와 더불어 갯벌주행을 위한 블레이드를 갖는 갯벌주행바퀴를 포함하는 차량용 바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갯벌 체험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갯벌을 찾는 사람들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나, 조수 시간을 제대로 인식하기 어려운 갯벌 행사 체험자 또는 갯벌 작업자 중에 시간을 지체하다 갯벌에 고립되는 사고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일단 갯벌 고립 사고가 발생되면, 구조자가 사용할 수 있는 장비로 일명 '뻘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뻘배'의 경우, 이동속도가 매우 느리다는 점, 밀물로 물이 차오를 때 '뻘배'를 활용하기 어렵다는 점 및 '뻘배'로 이동할 경우 구조자의 체력 소모가 너무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04957호에는 갯벌에서도 활용가능한 이동수단으로 '갯벌용 부상 운반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갯벌용 부상 운반기는 육상과 갯벌에서 모두 운행 속도를 높이기가 어려워 구조용 운송장비로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46260호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를 출원한 바 있다(도 1 참조). 상기 공개특허 제10-2018-0046260호 발명은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에 관한 것으로, 본 바퀴를 이송수단에 장착할 경우 육상과 뻘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해상사고 등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데, 특히 회전축의 외주면에 경방향 외측으로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연장 형성된 제1바퀴로 인해 경도가 낮은 갯벌 주행 시 일정한 추진력을 얻는데 용이하였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 제10-2018-0046260호 발명은 갯벌에서 장시간 주행하게 되면 상기 복수개의 블레이드(120) 사이에 진흙이 채워지게 되어 추진력을 얻기가 점차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04957호 (공개일자 : 2008.01.10.)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6260호 (공개일자 : 2018.05.08.)
본 발명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46260호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갯벌 주행이 가능한 바퀴에 있어서 갯벌주행 시 바퀴의 블레이드에 진흙이 메워지는 문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갯벌주행이 가능한 차량용 바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회전축(L)을 따라 회전하는 원통체(110)의 외주면에 방사방향 외측으로 복수개의 블레이드(120)가 연장형성된 제1바퀴(100), 및 상기 원통체(110)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바퀴(200)를 포함하는 갯벌주행이 가능한 차량용 바퀴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20)는 상기 원통체(110)로부터 수직 상향에 위치하는 차량(300)의 일 지점에서 상기 원통체(110)를 향해 일정 길이로 하향 설치되는 진흙제거구(310)가 통과하도록 상기 블레이드(120)의 상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일정한 홈(1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주행이 가능한 차량용 바퀴를 제공한다.
상기 홈(130)은 상기 진흙제거구(310)의 길이에 대응하여 형성된 길이부(131)와, 상기 진흙제거구(310)의 말단에 형성된 면적부(312)에 대응하여 상기 길이부(131)의 말단에 형성되는 확장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20)는 표면이 만곡되며 휘어져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진흙제거구(310)는 진흙의 제거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돌기(3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육상과 갯벌에서 이동가능한 바퀴를 제공하므로, 본 바퀴가 장착된 이송수단이 육상과 갯벌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특히, 갯벌주행을 위한 바퀴의 블레이드에 진흙이 메워지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갯벌에서의 장시간 주행이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해상 사고 등에 신속히 대응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본 바퀴를 육상과 뻘에서 즐길 수 있는 레저 스포츠용 이송수단에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갯벌주행이 가능한 차량용 바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갯벌주행이 가능한 차량용 바퀴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갯벌주행이 가능한 차량용 바퀴가 갯벌을 주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진흙제거구에 관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블레이드에 형성된 홈과 진흙제거구의 또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갯벌주행이 가능한 차량용 바퀴의 사시도로서, 회전축(L)을 따라 회전하는 원통체(11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방사방향 외측으로 복수개의 블레이드(120)가 연장형성된 제1바퀴(100)와, 상기 원통체(110)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바퀴(2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바퀴(100), 제2바퀴(200) 및 진흙제거구(310)는 하나의 어셈블리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흙제거구(310)는 블레이드(120) 사이에 채워진 진흙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원통체(110)로부터 수직 상향에 위치하는 차량(300)의 일 지점에서 상기 원통체(110)를 향해 일정 길이로 하향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차량(300)의 일 지점은 바퀴 등이 삽입될 수 있도록 차량(300)에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휀더 부분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진흙제거구(310)는 상기 원통체(110)를 향해 일정 길이로 하향 설치되는데, 상기 원통체(110)에 닿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그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바퀴(100)에 형성된 블레이드(120)는 상기 하향 설치된 진흙제거구(310)가 통과하도록 상기 블레이드(120)의 상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상기 진흙제거구(3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정한 홈(130)이 형성된다. 상기 보다 효율적인 진흙 제거를 위해서는 블레이드(120) 내측에 형성되는 홈(130)은 진흙제거구(310)의 형상에 상응하여 상기 진흙제거구(310)보다 다소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바퀴(200)는 일반적인 공기 주입 타이어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바퀴(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퀴(100)의 양쪽에 설치되거나, 또는 제1바퀴(100)의 일측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갯벌주행이 가능한 차량용 바퀴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체(110)로부터 수직 상향에 위치하는 차량(300)의 일 지점에 진흙제거구(310)가 고정되어 있다. 비록 상기 진흙제거구(310)는 고정 설치되나, 차량(300) 주행 중 제1바퀴(100)의 블레이드(120)는 축(L)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하는 블레이드(120)에 형성된 홈(130)을 상기 진흙제거구(310)가 관통하면서 지나가는 경로에 메워져있는 진흙을 제거하게 된다.
진흙제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진흙제거구(310)의 길이에 대응하여 형성된 길이부(131)와, 상기 진흙제거구(310)의 말단에 형성된 면적부(312)에 대응하여 상기 길이부(131)의 말단에 형성되는 확장부(13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갯벌주행이 가능한 차량용 바퀴가 갯벌을 주행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이다. 복수의 블레이드(120)들이 회전에 의해 갯벌 속으로 삽입되었다가 빠져 나올 경우 블레이드(120)마다 일정한 진흙이 붙어 있게 되는데, 이를 제거하지 않으면 블레이드(120) 사이 공간에 진흙이 채워지게 되고, 그로 인해 블레이드(120)가 갯벌에 삽입되어 빠져 나올 때 발생하는 추진력이 급속히 저감하게 되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마치 제2바퀴(200)와 같이 갯벌에서 헛돌게 되어 일정한 추진력을 얻을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진흙제거구(310) 및 이에 대응하여 블레이드(120)에 형성된 홈(130)으로 인해, 블레이드(120)에 붙어있는 진흙이 상당부분 제거되므로, 블레이드(120) 사이 공간에 진흙이 채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이 만곡되며 휘어져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블레이드(120)가 갯벌과 맞닿는 면이 확대되도록 하여, 바퀴가 갯벌에 쉽게 빠지지 아니하면서 원활하게 구를 수 있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진흙제거구(310)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차량(300)의 일지점에 설치되는 진흙제거구(310)는 도 5(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도 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견고성을 높이기 위해 후방으로 길게 연결된 형태일 수도 있다. 도 5(B)의 형태는 바퀴가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갯벌의 진흙에 의해 진흙제거구(310)가 휘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흙제거구(310)에는 진흙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돌기(3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블레이드(120)에 형성된 홈(130)과 진흙제거구(310)의 또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과 같이 진흙제거구(310)의 면적부(312)와 그에 대응하여 블레이드(120) 내측에 형성된 확장부(132)가 클수록 제거되는 진흙의 양이 커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일정한 내구성이 확보되는 범위 내에서 상기 면적부(312)와 확장부(132)가 넓게 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또한, 청구항 부호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형상과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한정한다는 뜻이 아니다.
100. 제1바퀴
110. 원통체
120. 블레이드
130. 홈
131. 길이부
132. 확장부
200. 제2바퀴
300. 차량
310. 진흙제거구
311. 돌기
312. 면적부

Claims (4)

  1. 회전축(L)을 따라 회전하는 원통체(110)의 외주면에 방사방향 외측으로 복수개의 블레이드(120)가 연장형성된 제1바퀴(100), 및 상기 원통체(110)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바퀴(200)를 포함하는 갯벌주행이 가능한 차량용 바퀴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20)는 상기 원통체(110)로부터 수직 상향에 위치하는 차량(300)의 일 지점에서 상기 원통체(110)를 향해 일정 길이로 하향 설치되는 진흙제거구(310)가 통과하도록 상기 블레이드(120)의 상단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일정한 홈(130)이 형성되며,
    상기 홈(130)은 상기 진흙제거구(310)의 일정 길이에 대응하여 형성된 길이부(131)와, 상기 진흙제거구(310)의 말단에 형성된 면적부(312)에 대응하여 상기 길이부(131)의 말단에 형성되는 확장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주행이 가능한 차량용 바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20)는 표면이 만곡되며 휘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주행이 가능한 차량용 바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흙제거구(310)는 진흙의 제거 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돌기(3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주행이 가능한 차량용 바퀴.
KR1020180168986A 2018-12-26 2018-12-26 갯벌주행이 가능한 차량용 바퀴 KR102136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986A KR102136867B1 (ko) 2018-12-26 2018-12-26 갯벌주행이 가능한 차량용 바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986A KR102136867B1 (ko) 2018-12-26 2018-12-26 갯벌주행이 가능한 차량용 바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637A KR20200079637A (ko) 2020-07-06
KR102136867B1 true KR102136867B1 (ko) 2020-07-22

Family

ID=71571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986A KR102136867B1 (ko) 2018-12-26 2018-12-26 갯벌주행이 가능한 차량용 바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86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6251A (ja) 2013-08-10 2015-02-23 株式会社アテックス 管理作業機の走行車輪
CN105865352A (zh) 2016-05-17 2016-08-17 中国矿业大学 一种刮板输送机链轮轮齿磨损监测装置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14786A (en) * 1962-11-15 1965-11-02 Faultless Caster Corp Caster wheel scraper
JPH1095201A (ja) * 1996-09-25 1998-04-14 Aguri Techno Yazaki Kk ラグ付車輪
KR19980029562A (ko) * 1996-10-26 1998-07-25 김영귀 다중 타이어 사이의 이물질 걸림판
KR20080004957A (ko) 2006-07-07 2008-01-10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갯벌용 부상 운반기
KR20090106929A (ko) * 2008-04-07 2009-10-12 홍복환 이물질 제거기
WO2014142859A1 (en) * 2013-03-14 2014-09-18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Tire groove cleaning mechanism
KR101951870B1 (ko) 2016-10-27 2019-03-04 대한민국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36251A (ja) 2013-08-10 2015-02-23 株式会社アテックス 管理作業機の走行車輪
CN105865352A (zh) 2016-05-17 2016-08-17 中国矿业大学 一种刮板输送机链轮轮齿磨损监测装置和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637A (ko) 202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566B1 (ko) 에어리스 타이어
US2898965A (en) Auxiliary tread for dual wheels
EP2127908A4 (en) TIRE
JP5373311B2 (ja) ゴムクローラ
KR102136867B1 (ko) 갯벌주행이 가능한 차량용 바퀴
KR960013722B1 (ko) 아이버 브렌치(Arbor Branch)가 매입된 경사진 탄성지지블록이 외표면에 형성된 타이어
KR101951870B1 (ko)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
RU2229998C1 (ru) Опорно-ходовой элемент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2592542A (en) Endless track
RU2229997C1 (ru) Опорно-ходовой элемент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287507B1 (ko) 중하중용 공기입 스노우 타이어
JP2010064566A (ja) 空気入りタイヤ
JP5243727B2 (ja) クローラ式走行装置
KR102136870B1 (ko) 갯벌주행용 차량
ES2507116T3 (es) Rueda maciza
KR102232828B1 (ko) 타이어
FR2367627A1 (fr) Pneumatique pour roues motrices de tracteurs agricoles ou engins similaires
KR102269073B1 (ko) 스노우 타이어
JPH01249503A (ja) タイヤ防滑帯
JPH11291716A (ja) 自動二輪車用タイヤ
US1392100A (en) Tractor-lug
KR102001984B1 (ko) 타이어
CN205836990U (zh) 辅助轨道履带
US2596248A (en) Vehicle driving chain
KR100572375B1 (ko) 타이어 장착용 미끄럼 방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