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041B1 -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 - Google Patents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041B1
KR102211041B1 KR1020190132105A KR20190132105A KR102211041B1 KR 102211041 B1 KR102211041 B1 KR 102211041B1 KR 1020190132105 A KR1020190132105 A KR 1020190132105A KR 20190132105 A KR20190132105 A KR 20190132105A KR 102211041 B1 KR102211041 B1 KR 102211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blade
support
auxiliary wheel
amphibious b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무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32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0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07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5/00Wheels or wheel attachments designed for increasing traction
    • B60B15/18Wheels with ground-engaging plate-like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5/00Wheels or wheel attachments designed for increasing traction
    • B60B15/26Auxiliary wheels or rings with traction-increasing surface attachable to the main wheel body
    • B60B15/263Traction increasing surface being located axially beside t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3Parts or details of the vehicle structure; vehicle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61Amphibious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or of a particular type
    • B60F3/0069Recreational amphibi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3/00Equipment forming part of or attachable to vessels facilitating transport over l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2Amphibious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보조 바퀴(100)는 수륙양용 보트(1)에 설치되는 메인 차륜(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보조 바퀴(100)에는 보조 휠(110)이 구비된다. 상기 보조 휠(110)은 상기 메인 차륜(10)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메인 차륜(10)과 함께 회전한다. 상기 보조 휠(110)을 중심으로 상기 보조 휠(110)의 외면에는 복수 개의 지지대(120)가 방사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120)의 일단에는 훤호 형상의 받침 블레이드(13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받침 블레이드(130)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받침 블레이드(130)는 상기 메인 차륜(10)과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지면에 순차적으로 밀착된다. 상기 받침 블레이드(130)는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메인 차륜(10)에는 보조 구동축(200)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보조 휠(110)에는 보조 구동축(200)의 타단이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 바퀴에 의해 보조 바퀴 및 메인 차륜과 지형 간의 접지력(grip force)을 증가시킴으로써 마찰력을 높여 수륙양용 보트의 메인 차륜이 지형이 무른 지형에 빠졌을 때도 쉽게 빠져나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ASSISTANCE WHEEL FOR AMPHIBIOUS BOAT}
본 발명은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안가, 갯벌, 늪지와 같이 지형이 무른 지역에서 차체의 바퀴가 빠진 경우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에서의 이동수단으로서 사용되는 보트는, 트레일러(trailer)와 같은 별도의 장치 없이는 지상에서의 이동이 불가능하다. 즉, 보트를 육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트레일러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통해 보트를 견인해야만 한다.
또한, 보트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부두 등과 같은 정박 시설로의 보관을 위한 별도의 비용을 지불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천재지변이 발생하여 보트가 파손되는 등의 경제적 불이익이 발생할 수도 있다.
최근 수륙양용보트와 관련한 기술이 개발되어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으며, 레저 또는 군용장비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수륙양용보트는 수상과 육상에서도 운행할 수 있도록 선박의 하측에 회전 가능한 바퀴를 고정 설치하여 수중에서는 프로펠러의 추력으로 운행되고, 육상에서는 바퀴의 구동력으로 운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수륙양용 보트는 육상 운행 시에는 바퀴에 하중이 집중되므로 해안가, 갯벌, 늪지와 같이 지형이 무른 지역 등에서 쉽게 바퀴가 빠져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0771호(2016년 08월 18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1580호(2018년 01월 18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형이 무른 지역에서 수륙양용 보트의 메인 차륜이 빠졌을 때 메인 차륜에 장착하여 바퀴와 지형의 접지력을 증가시킴으로써 수륙양용 보트가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에 따르면, 수륙양용 보트에 설치되는 메인 차륜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에 있어서, 상기 메인 차륜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메인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보조 휠; 상기 보조 휠을 중심으로 상기 보조 휠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메인 차륜과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지면에 순차적으로 밀착하는 원호 형상의 받침 블레이드; 및 일단이 상기 메인 차륜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보조 휠에 연결되는 보조 구동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받침 블레이드는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 블레이드는, 상기 지지대의 일단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받침 블레이드의 저면에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 블레이드는, 내부에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을 향해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 1블레이드; 제 1블레이드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블레이드; 및 일단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 공간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 2블레이드에 연결되는 이동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블레이드 및 제 2블레이드의 외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무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무패드의 외면에는 복수 개의 미끄럼 방지 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구동축은 텔레스코픽 구조의 다단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는 텔레스코픽 구조의 다단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에 따르면, 방사상으로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받침 블레이드가 구비되는 보조 바퀴에 의해 보조 바퀴 및 메인 차륜과 지형 간의 접지력(grip force)을 증가시킴으로써 마찰력을 높여 수륙양용 보트의 메인 차륜이 지형이 무른 지형에 빠졌을 때도 쉽게 빠져나올 수 있다. 따라서 지형이 무른 지형에서도 수륙양용 보트가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가 수륙양용 보트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 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가 수륙양용보트에 부착된 상태에서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가 수륙양용 보트에 부착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륙양용 보트(1)는 육상 및 수상에서의 운행이 가능한 것으로, 수상에서 운행될 때는 프로펠러(미도시)의 추력으로 운행되고, 육상에서는 메인 차륜(10)의 구동력으로 운행된다.
상기 메인 차륜(10)은 상기 수륙양용 보트(1)의 저면에 설치된다. 상기 메인 차륜(10)은 보트(1)의 구동축(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휠(11) 및 상기 휠(11)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지면에 접하여 구동되는 타이어(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륙양용 보트(1)는 일반적으로 선수 측에 하나 선미 측에 두 개인 삼륜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휠(11)에는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결합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은 아래에서 설명될 보조 구동축(20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수륙양용 보트(1)에는 접이식 차륜 시스템이 구비된다. 상기 접이식 차륜 시스템은 통상적인 것으로, 상기 수륙양용 보트(1)가 수중에서 이동하는 경우, 차륜을 접어서 선체의 전면부로 상승시키는 원리로 구동되고 있다.
한편, 상기 수륙양용 보트(1)의 메인 차륜(10)이 해안가, 갯벌, 늪지와 같이 지형이 무른 지역에서 빠졌을 때는 보조 바퀴(100)를 사용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바퀴(100)는 상기 메인 차륜(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바퀴(100)의 직경은 상기 메인 차륜(10)의 직경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바퀴(100)에는 보조 휠(110)이 구비된다. 상기 보조 휠(110)은 상기 메인 차륜(10)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메인 차륜(10)과 함께 회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휠(110)에는 복수 개의 지지대(12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120)는 대략 바(bar) 형상으로, 상기 보조 휠(110)을 중심으로 상기 보조 휠(110)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120)는 아래에서 설명될 받침 블레이드(1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대(120)는 상기 보조 바퀴(100)의 직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는 다단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20)의 일단에는 결합 리브(1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리브(122)는 아래에서 설명될 받침 블레이드(130)의 가이드 레일(132)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 리브(122)는 종단면이 대략 'T'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20)의 일단에는 각각 받침 블레이드(130)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 블레이드(130)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받침 블레이드(130)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된다. 상기 받침 블레이드(130)는 상기 메인 차륜(10)과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지면에 밀착하는 부분이다. 상기 받침 블레이드(130)는 상기 보조 바퀴(100)의 접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형성된 부분이다.
즉, 상기 받침 블레이드(130)는 지면에 형성된 홈이나 지형이 무른 지역에서도 접촉 면적이 넓어 상기 메인 차륜(10)이 홈이나 무른 지역에 쉽게 빠지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홈 등이나 장애물을 만날 경우 받침 블레이드(130)의 가장자리가 걸어져 타고 넘어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 블레이드(130)의 저면에는 가이드 레일(1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132)은 상기 지지대(12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132)은 상기 결합 리브(12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레일(132)은 상기 결합 리브(122)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 레일(132)은 상기 받침 블레이드(130)까 상기 지지대(1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부분이다. 이는, 상기 받침 블레이드(130)가 파손될 경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 블레이드(130)는 제 1블레이드(140), 제 2블레이드(1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블레이드(140)는 외면이 대략 원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블레이드(140)의 외면은 지면과 밀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 1블레이드(140)의 일측은 폭 방향을 향해 개구부(14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개구부(141)는 상기 제 1블레이드(140)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 1블레이드(140)의 내부에는 슬라이딩 공간(1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공간(142)은 아래에서 설명될 이동 플레이트(160)의 일단이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 2블레이드(150)는 상기 제 1블레이드(140)와 나란한 방향으로 위치된다. 상기 제 2블레이드(150)는 상기 제 1블레이드(140)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 2블레이드(150)는 상기 받침 블레이드(130)의 접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즉, 접지력은 바퀴의 폭에 비례하므로, 상기 제 2블레이드(150)를 상기 제 1블레이드(14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받침 블레이드(130)의 폭을 증가시키기위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블레이드(140) 및 제 2블레이드(150)는 이동 플레이트(16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160)는 상기 슬라이딩 공간(14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160)의 일단은 상기 개구부(141)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 공간(142)에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 2블레이드(150)에 연결된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160)는 상기 제 2블레이드(15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블레이드(140) 및 제 2블레이드(150)의 외면에는 고무패드(1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무패드(170)는 지면과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고무패드(170)는 상기 제 1블레이드(140) 및 제 2블레이드(150)의 외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무패드(17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걸이후크(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걸이후크(미도시)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제 1블레이드(140) 및 제 2블레이드(150)의 양측에는 걸이후크가 걸어지는 걸이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걸이후크가 걸이홈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고무패드(170)가 제1 및 제 2블레이드(140, 150)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무패드(170)와 제1 및 제 2블레이드(140, 150)는 걸이후크 및 걸이홈에 의해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무패드(170)의 외면에는 미끄럼 방지 리브(17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 리브(172)는 상기 고무패드(170)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 리브(172)는 상기 고무패드(17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차륜(10) 및 보조 휠(110)은 보조 구동축(20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보조 구동축(200)의 일단은 상기 메인 차륜(10)의 결합홈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보조 휠(11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 구동축(200)은 상기 휠(1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구동축(200)은 상기 휠(1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보조 휠(1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홈의 내면 및 보조 구동축(200)의 타단에는 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결합홈에 보조 구동축(200)이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보조 구동축(200)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구동축(200)은 텔레스코픽 구조의 다단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보조 바퀴(100)가 상기 메인 차륜(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보조 바퀴(100) 사이의 폭이 보트(1)의 후미 측에 설치된 상기 메인 차륜(10) 사이의 폭 보다 넓게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메인 차륜(10)이 홈이나 무른 지역에 빠져 보트(1)가 기울어지거나, 상기 메인 차륜(10)과 함께 보조 바퀴(100)가 홈이나 무른 지역에 빠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을 가지는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에 의하면, 방사상으로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받침 블레이드(130)가 구비되는 보조 바퀴(100)에 의해 보조 바퀴(100) 및 메인 차륜(10)과 지형 간의 접지력(grip force)을 증가시킴으로써 마찰력을 높여 수륙양용 보트의 메인 차륜(10)이 지형이 무른 지형에 빠졌을 때도 쉽게 빠져나올 수 있다. 따라서 지형이 무른 지형에서도 수륙양용 보트(1)가 용이하게 주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수륙양용 보트 11: 휠
12: 타이어
100: 보조 바퀴 110: 보조 휠
120: 지지대 130: 받침 블레이드
140: 제 1블레이드 150: 제 2블레이드
160: 이동 플레이트 170: 고무패드
172: 미끄럼 방지 리브
200: 보조 구동축

Claims (7)

  1. 수륙양용 보트에 설치되는 메인 차륜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에 있어서,
    상기 메인 차륜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메인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보조 휠;
    상기 보조 휠을 중심으로 상기 보조 휠의 외면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단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메인 차륜과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지면에 순차적으로 밀착하는 원호 형상의 받침 블레이드; 및
    일단이 상기 메인 차륜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보조 휠에 연결되는 보조 구동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받침 블레이드는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받침 블레이드는,
    상기 지지대의 일단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받침 블레이드의 저면에는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블레이드는,
    내부에 슬라이딩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을 향해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 1블레이드;
    제 1블레이드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2블레이드; 및
    일단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 공간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 2블레이드에 연결되는 이동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블레이드 및 제 2블레이드의 외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무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드의 외면에는 복수 개의 미끄럼 방지 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구동축은 텔레스코픽 구조의 다단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텔레스코픽 구조의 다단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
KR1020190132105A 2019-10-23 2019-10-23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 KR102211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105A KR102211041B1 (ko) 2019-10-23 2019-10-23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105A KR102211041B1 (ko) 2019-10-23 2019-10-23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041B1 true KR102211041B1 (ko) 2021-02-02

Family

ID=74559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105A KR102211041B1 (ko) 2019-10-23 2019-10-23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0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204947A1 (de) 2021-05-17 2022-11-17 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 System zur Anpassung der Radaufstandsfläche an Rädern von Fahrzeugen an unterschiedliche Fahrbahn-, Boden- und Medienverhältniss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9901A (ja) * 1997-05-12 1998-11-24 Tomotaka Marui 不整地の移動機構及びその設計方法
CN204936690U (zh) * 2015-09-23 2016-01-06 刘学明 一种仿形驱动轮
KR20160059850A (ko) * 2014-11-19 2016-05-27 주식회사 이안이엔지 차량용 보조바퀴
KR101650771B1 (ko) 2014-11-19 2016-08-25 디텍 주식회사 선박의 수륙양용을 위한 선체 부착형 육상구동장치
KR101821580B1 (ko) 2017-03-02 2018-01-24 김종형 수륙양용보트
KR101951870B1 (ko) * 2016-10-27 2019-03-04 대한민국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9901A (ja) * 1997-05-12 1998-11-24 Tomotaka Marui 不整地の移動機構及びその設計方法
KR20160059850A (ko) * 2014-11-19 2016-05-27 주식회사 이안이엔지 차량용 보조바퀴
KR101650771B1 (ko) 2014-11-19 2016-08-25 디텍 주식회사 선박의 수륙양용을 위한 선체 부착형 육상구동장치
CN204936690U (zh) * 2015-09-23 2016-01-06 刘学明 一种仿形驱动轮
KR101951870B1 (ko) * 2016-10-27 2019-03-04 대한민국 육상과 뻘에서 이동가능한 바퀴
KR101821580B1 (ko) 2017-03-02 2018-01-24 김종형 수륙양용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204947A1 (de) 2021-05-17 2022-11-17 Technische Universität Dresden System zur Anpassung der Radaufstandsfläche an Rädern von Fahrzeugen an unterschiedliche Fahrbahn-, Boden- und Medienverhältnis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9266A (en) Boat trailer
US20200039415A1 (en) Loading mechanism
US11034277B2 (en) Boat support frame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EP1123862B1 (fr) Engin pour embarquements/débarquements sur rivages non aménagés
US20100130077A1 (en) Vehicle
KR102211041B1 (ko) 수륙양용 보트용 보조 바퀴
JPH04500343A (ja) 水陸両用車
KR20150018818A (ko) 아지무스 무마찰 예인 포인트
US8657553B1 (en) Roller track loading device
US3063402A (en) Boat beaching and anchoring techniques and mechanisms
US20200114713A1 (en) Amphibious transport system
US11851150B2 (en) Propulsion devices with lock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propulsion devices with lock devices for marine vessels
US6474253B1 (en) Tender towing system for motor yachts
KR101862103B1 (ko) 수륙양용 보트 견인용 트레일러
US10207777B2 (en) Retractable pontoons
US5199372A (en) Amphibious vehicle
JPH10100987A (ja) 入渠案内船
KR101851941B1 (ko) 수륙 양용 선박 운반차
US20060175798A1 (en) Self-propelled platform for watercraft
US10053195B1 (en) Shipboard side-mounted extending articulated boom for fueling and maintenance operations
US3744072A (en) Boat launching and recovery vehicular device
US20070243774A1 (en) Highly stable all terrain vehicle powered watercraft
US8205568B2 (en) Workboat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waterborne items
US4911459A (en) Launcher/retriever cradle for trailered boats
US5853185A (en) Pontoon boat lo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