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842B1 -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842B1
KR101951842B1 KR1020180012738A KR20180012738A KR101951842B1 KR 101951842 B1 KR101951842 B1 KR 101951842B1 KR 1020180012738 A KR1020180012738 A KR 1020180012738A KR 20180012738 A KR20180012738 A KR 20180012738A KR 101951842 B1 KR101951842 B1 KR 101951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ointment
terminal
time
location
particip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준
Original Assignee
김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준 filed Critical 김범준
Priority to KR1020180012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842B1/ko
Priority to PCT/KR2019/000919 priority patent/WO201915170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06Q10/1095Meeting or appoin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제공자 단말로부터 약속 데이터 및 약속에 참여할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을 선택받는 단계,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로 참여여부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 약속 데이터에 포함된 약속시간의 기 설정된 시간 전부터 기 설정된 주기로 답변을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의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위치를 제공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단계, 기 설정된 주기로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의 동선 및 이동속도로부터 이동수단 및 약속 데이터에 포함된 약속장소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위치를 지도상에 제공하고 도착 예상 시간을 오버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MEETING MANAGEMENT SERVICE BASED ON PARTICIPANT'S REAL-TIME LOCATION}
본 발명은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청약과 승낙의 의사표시로 약속이 확정되고, 이동속도 및 수단과 예상시간을 위치기반으로 산출하여 공유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스마트폰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맞는 전문화된 서비스가 다양하게 제공되기 시작했는데, 서비스의 일환으로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가 현재 제공되고 있으며 개인화를 고려한 연구가 계속 진행됨에 따라 사용자 위치에 기반한 정보 추천 서비스 역시 앞으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사람들간에 약속을 정할 때에는 사전에 미리 날짜와 장소를 정하는 경우도 있으나 만나고 싶은 사람과 즉흥적으로 연락해서 당일날 약속을 잡는 경우도 있는데, 약속을 잡으려는 사람들간의 현재 위치와 날씨, 시간 등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한 모임 장소를 추천해주는 기술들도 개발되고 있다.
이때, 약속을 전송하고 협의하는 과정을 단축시키기 위한 방법은 주소록, 일정표를 공유하고 참가자를 확정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3-0020427호(2013년02월27일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2009-0128096호(2009년12월15일 공개),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231067호(2013년02월07일 공고)에는, 일정표를 취합하여 약속을 잡고 동의를 확정하는 구성, 스케줄 협의가 존재하는 경우 타임테이블을 고려하여 약속시간을 설정하는 구성, 사용자가 복수의 약속 참여자와 손쉽게 약속 시간, 장소, 참여자 등을 전하고 이를 공유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시간을 조정하는 것보다 오프라인에서 약속을 정하기 어려운 이유가 모임 구성원 각각은 자신과 가까운 곳에서 만나고자 하는데, 어느 한 사람의 주장이 강하면, 다른 구성원들은 심리적으로 불편함을 느낄 수도 있고, 약속장소가 선정되었다고 할지라도 모임장은 다수의 인원이 모두 올 때까지 마음놓고 모임에 집중할 수가 없다. 즉, 모임장은 모임인원이 어디에 있는지를 수시로 체크하는 복수의 인원으로부터의 전화, 메세지 등으로 전화나 메세지로 응답을 해주어야 하고, 이는 마지막 지각자가 도착할 때까지 끝나지 않아 모임장은 모임이 아닌 일과 같은 고생을 하다가 귀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계약의 성립요건인 청약의 의사표시와 이에 대한 승낙통지의 발송으로 약속모임을 확정하도록 하여 모임인원의 불참율을 낮추고, 참여자들이 확정되면 약속시간 이전부터 기 설정된 주기로 위치를 추적하여 동선과 이동속도 및 예상시간까지 도출하여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 정보를 지도상에 출력하도록 하여 모임장이 누가 어디에 있는지를 전화나 메세지를 통하지 않고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아이콘 기반으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중일지라도 대답이 용이하도록 하거나 산출된 예상 시간에 기반한 자동 대답기능을 제공하여 운전중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공자 단말로부터 약속 데이터 및 약속에 참여할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을 선택받는 단계,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로 참여여부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 약속 데이터에 포함된 약속시간의 기 설정된 시간 전부터 기 설정된 주기로 답변을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의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위치를 제공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단계, 기 설정된 주기로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의 동선 및 이동속도로부터 이동수단 및 약속 데이터에 포함된 약속장소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위치를 지도상에 제공하고 도착 예상 시간을 오버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계약의 성립요건인 청약의 의사표시와 이에 대한 승낙통지의 발송으로 약속모임을 확정하도록 하여 모임인원의 불참율을 낮추고, 참여자들이 확정되면 약속시간 이전부터 기 설정된 주기로 위치를 추적하여 동선과 이동속도 및 예상시간까지 도출하여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 정보를 지도상에 출력하도록 하여 모임장이 누가 어디에 있는지를 전화나 메세지를 통하지 않고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아이콘 기반으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중일지라도 대답이 용이하도록 하거나 산출된 예상 시간에 기반한 자동 대답기능을 제공하여 운전중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가 구현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제안자 단말(100),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안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안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고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제안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5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제안자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5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제안자 단말(100)은,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약속을 제안하는 제안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제안자 단말(100)은 모임을 주최하는 모임장이나 약속을 정하고자 하는 그룹의 어느 한 사람의 단말일 수도 있다. 이때, 제안자 단말(100)은, 약속장소, 약속시간을 정하여 계약의 성립조건인 의사표시인 청약 및 승낙의 합치에 따라 약속에 참여하는 참여자를 확정하고자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안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을 선택하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로 의사표시인 청약을 전송하고, 청약에 대한 승낙이 존재하는 경우, 약속에 참여하는 참여자를 확정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제안자 단말(100)은, 약속시간의 기 설정된 시간 전부터 확정된 참여자의 이동동선, 이동수단, 및 예상시간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제안자 단말(100) 및 확정된 참여자의 참여자 단말(400)의 동선, 이동수단 및 예상시간은 서로에게 공유되는 화면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로가 서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안자 단말(100)은, 약속장소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500)로부터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경유하여 홍보 메세지나 할인쿠폰을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제안자 단말(100)은, 어느 하나의 가맹점을 선택하여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해 예약을 수행할 수 있고, 예약된 결과를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확인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제안자 단말(100)은,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각 가맹점에서 이용된 금액을 확정된 참여자와 균등하게 분할하여 결제를 요청하는 단말일 수 있고, 청구내역 및 결제내역을 확정된 참여자와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공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제안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안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제안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안자 단말(100)로부터 약속을 제안하고자 하는 피제안자를 선택받고, 피제안자인 참여자 단말(400)로 청약을 전송하고, 그에 대한 승낙을 기 설정된 기한 내에 요청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기한이란 참여 시간의 제한일 수 있고, 제한시간 이후 참여의사를 표현하는 사람에게는 추가적으로 참여기회를 줄 수도 있는데, 다수결에 의해 추천인을 확정할 수도 있다. 이때,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기 설정된 기한 내에 승낙의 의사표시가 발송되지 않은 경우, 계약은 불성립되는 것으로 간주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기 설정된 기한 내에 승낙의 의사표시를 발송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과 제안자 단말(100)의 사용자들을 약속에 모일 참여자로 확정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약속시간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전부터 기 설정된 주기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의 위치, 이동 속도를 모니터링하고, 이동 속도와 동선으로부터 이동수단을 추정하고, 이를 제안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과 공유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위치추적은 IoT(Internet of Thing) 기반으로 트래킹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직관적인 인식을 위하여 의미전달을 아이콘을 이용하여 이동수단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물론, 텍스트나 기호 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지각자가 발생한 경우, 지각자를 제외한 나머지의 위치 추적은 중지하고, 지각자의 위치만을 지도상에 출력하여 공유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지각자가 있는 상황에서 모임인원이 장소를 이동한 경우, 지각자가 이동한 장소로 찾아올 수 있도록, 지각자에게 이동한 장소에 대한 정보를 지도상에 제공하여 공유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모임이 끝난 경우나 먼저 귀가한 사람이 있는 경우, 이에 대한 위치 추적은 중지하고, 결제가 발생한 경우 균등분할하여 각자의 단말에서 결제가 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결제된 내역과 청구된 내역을 비교하여 정산내역을 생성하고, 이를 제공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은,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참여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은,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약속에 참여할 것인지를 묻는 청약의 의사표시가 도달하는 경우, 기 설정된 기한 내에 승낙의 답변을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고, 승낙의 답변을 발송한 때 약속은 체결되어 참여인원으로 확정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은,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위치가 모니터링되고, 참여자의 위치를 서로가 공유하고, 이후 지각자가 존재하는 경우나 약속장소가 바뀐 경우, 이미 모여 있는 사람들의 위치와 지각자의 위치를 서로 공유함으로써 마중을 나가거나, 계속 전화를 걸어 서로의 위치를 확인하는 일로 모임에 집중하지 못하는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은, 결제 요청이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결제를 수행하고, 그 결과에 대한 정산 내역을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약속이 종료된 경우,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의 위치 추적은 종료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500)은,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테이블 상황을 업데이트하고, 가용 인원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제안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500)은, 제안자 단말(100)의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분할 결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각자의 카드를 이용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승인 내역을 개별적으로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여 모임 인원들에게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500)은, 쿠폰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업로드하는 단말일 수 있고, 쿠폰이 배포될 조건을 설정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5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5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선택부(310), 수신부(320), 추출부(330), 공유부(340), 산출부(350), 출력부(360), 지각자 관리부(370), 이동 관리부(380) 및 추천부(39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제안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500)로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제안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500)은,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제안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선택부(310)는, 제공자 단말(100)로부터 약속 데이터 및 약속에 참여할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을 선택받을 수 있다. 약속은 먼저 약속을 잡고자 하는 상대를 고르는 것부터 시작한다. 약속 상대는 전화번호부에 저장되어 있는 사람일 수도 있고 직접 상대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정할 수도 있다. 만약, 모임이 즉흥적으로 만들어진 경우에는, 당장 만나고자 하는 상대를 고른 후 전송을 누르면 해당하는 사람과 약속을 맺기 위해 추론을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시작할 수도 있다. 즉, 모바일 컨텍스트와 베이지안 네트워크 사용자들 간 약속을 잡기 적절한 장소와 시간을 고르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이 현재 사용자들의 적절한 상황을 인지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상황을 컨텍스트라고도 하는데, 사용자 위치, ID, 시간 정보를 컨텍스트로 정의하여 음식점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고, 개인 관련 컨텍스트(시간, 이동경로, 사용자 감정)와 환경 관련 컨텍스트(위치, 주변 사람들, 사회적 컨텍스트)를 이용하여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공자 단말(100)이 직접 약속장소를 정할 수도 있지만, 다양한 컨텍스트 중에서도 사용자들의 위치, 현재 날씨, 시간 등을 모바일 컨텍스트로 정의하여 사용자간 최적의 양속 장소 및 시간을 추천할 수도 있다.
삭제
삭제
수신부(320)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로 참여여부에 대한 답변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참여여부에 대한 답변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제공되어야 하는 데이터이고,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참여여부에 대한 답변이 발송되지 않은 경우, 답변을 발송하지 않은 참여자를 참여자 목록에서 제외할 수 있다. 즉, 어느 정도 시간을 주었을지라도 참여여부를 결정하지 못하는 경우, 계획을 세울 때 차질이 빚어질 수 있으므로 제외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참여여부에 대한 답변은 직접 참여자 단말(400)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지만, 상술한 베이지안 네트워크의 추론을 통하여 수신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GPS(Cell id)를 통해 수집되는 사용자와 상대방의 위치, 기상청 웹사이트를 통해 수집되는 현재 날씨, 사용자가 사전에 입력해 놓은 일정, 그리고 현재 시간의 컨텍스트를 정의하고, 컨텍스트 로그는 전처리 과정을 거치고 베이지안 네트워크 노드의 입력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시간은 하루를 식사 시간대와 그 외의 새벽, 아침, 점심, 저녁, 밤으로 구분하고, 사용자 일정은 바쁨, 한가와 같은 두 가지로 분류하는 전처리 과정을 거쳐 BN(베이지안 네트워크) 노드의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참여자로부터 직접 승낙의 의사표시를 수신하는 것을 기본조건인 필수조건으로 하며, 상술한 베이지안 네트워크는 추론에 기반하므로 부수적으로(충분조건) 이용될 수도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서로 조합 또는 배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때, 의사표시는 음성인식 등의 생체인식 정보를 이용한 의사표현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운전자가 운전을 하다 가는 경우에는 의사표현을 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음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모션이나 사용자의 특정 행동 등을 카메라로 인식하는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추출부(330)는, 약속 데이터에 포함된 약속시간의 기 설정된 시간 전부터 기 설정된 주기로 답변을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의 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 기 설정되 주기로 추출을 하는 것은, 참여자들이 어떠한 속도로 이동을 하고 있으며, 예상 도착 시간은 언제인지를 산출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약속장소가 건대이고, 참여자 A가, 숭실대입구-남성-이수-내방-고속터미널에서 정지를 하고, 이 라인을 따라서 7호선의 속도로 달리고 있다면, 참여자 A는 7호선을 타고 이동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7호선을 타고 건대에 몇 시에 도착할 것인지는 7호선의 도착 예정 시간을 참조할 수 있다. 버스도 마찬가지로 각자의 노선이 존재하고, 각 버스가 어디를 이동하고 있는지는 버스 관제 센터로부터 독출할 수 있다. 자가용이 제일 문제가 되는데, 이동을 하면서 어딘지 묻는 전화나 문자가 올 경우 바로 대답을 할 수가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버스나 지하철이 아니고 신호등의 위치마다 정차하거나 하는 등의 특징을 가진 경우에는 자가용이나 택시로 구분할 수 있고, 정체 상황에 따라 교통상황정보 및 경로 정보를 분석하여 예상 시간을 계산할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이동 위치를 독출하고, 그 간의 시간차를 산출하여 속도를 계산하기 위함이다.
공유부(340)는, 추출된 위치를 제공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제공자만이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참여자 전체가 자신을 포함한 전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제공자만 볼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는 구현예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도 있다.
산출부(350)는, 기 설정된 주기로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의 동선 및 이동속도로부터 이동수단 및 약속 데이터에 포함된 약속장소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출력부(360)는,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위치를 지도상에 제공하고 도착 예상 시간을 오버레이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360)에서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위치를 지도상에 제공하고 도착 예상 시간을 오버레이할 때, 약속에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의 이동수단은 아이콘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을 하는 사람이라도 누가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간단한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터치 등으로만 대화를 할 수 있도록 텍스트 기반이 아닌 이미지 기반의 아이콘을 제공할 수도 있다. 즉, "가고있어"라는 텍스트를 운전자가 모두 타이핑하기란 여간 어려운일이 아니다. 이에 따라,'가고있어"라는 텍스트를 전달할 수 있는 이미지나 아이콘을 제공하여 한 번의 클릭이나 터치로 자신의 의사표시를 하거나, 사용자의 이동 속도나 동선에 의해 자동으로 답변을 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지도상에 제공되는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위치는,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의 기 설정된 레이아웃 내에 출력되고, 기 설정된 레이아웃의 하단에 제공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의 그룹채팅이 출력될 수 있다. 즉, 메세지 기반으로 자신의 위치를 공유하는 경우에는, 메세지가 위로 올라가는 경우, 다시 대답을 하거나, 질문자가 재질문을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참여자의 위치를 표시하는 레이아웃은 상단에 고정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아래에 텍스트나 아이콘으로 메세지를 송수신하는 채팅창을 둘 수 있다.
지각자 관리부(370)는, 출력부(360)에서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위치를 지도상에 제공하고 도착 예상 시간을 오버레이한 후, 약속장소의 위치와, 제공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의 위치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지각자 관리부(370)는, 확인 결과 일치하는 단말의 실시간 위치 공유를 턴 오프하고, 약속장소의 위치에 위치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의 위치가 약속장소의 위치와 동일할 때까지 일치하지 않은 단말의 실시간 위치 공유를 지속할 수 있다. 즉, 모임장소에 이미 도착해서 일행을 만난 사람과 아닌 사람을 구분하고, 아닌 사람의 경우에는 기다리는 사람이 그 사람의 위치를 알도록 지속적으로 위치추적을 하여 불필요한 전화 등으로 모임장이 모임을 즐길 수 없는 불편함들을 제거할 수 있다.
이동 관리부(380)는, 지각자 관리부(370)에서 약속장소의 위치에 위치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의 위치가 약속장소의 위치와 동일할 때까지 일치하지 않은 단말의 실시간 위치 공유를 지속한 후, 약속장소의 위치와, 제공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의 위치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제공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의 기 설정된 비율이 약속장소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기 설정된 비율의 단말의 위치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관리부(380)는, 추출된 위치에 따른 장소를 약속장소로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약속장소를 실시간 위치 공유가 지속되는 단말로 공유할 수 있다.
즉, 지각자가 아직 도착도 안했는데, 이미 모임장소에 도착한 인원들은 1차를 마치고 2차로 장소를 이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2차의 장소를 지각자는 다시 물어야 하고, 장소를 잘 찾지 못하는 경우에는 모임장이 다시 1차 장소로 마중나가는 일이 허다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각자에게 현재 모인 인원들이 어디로 이동했는지를 알려주고, 지각자의 위치도 현재 모인 인원이 체크할 수 있음으로써, 지속적인 전화나 마중으로 이야기의 흐름을 깨거나 불필요하게 장소를 왕복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한편, 이동수단은 도보, 자전거, 지하철, 버스 및 자가용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일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대중교통은, 이동 속도 및 동선과, 대중교통별 속도 및 노선을 비교하여 지하철 및 버스를 구분하고, 지하철의 노선번호 및 버스의 번호를 구분할 수 있다.
추천부(390)는, 출력부(360)에서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위치를 지도상에 제공하고 도착 예상 시간을 오버레이한 후, 약속장소의 위치와, 제공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의 위치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추천부(390)는, 약속장소의 위치와 그 위치가 일치하는 단말의 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수의 인원이 입장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추천부(390)는,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정보를 제공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제공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중 어느 하나의 가맹점을 선택한 경우, 선택된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500)로 인원의 예약을 요청하며, 선택된 가맹점 단말(500)로부터 예약 요청에 대한 승낙이 전송된 경우, 제공자 단말(100)로 예약 완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1차의 모임장소는 정해지는 것이 보통이지만, 2차의 모임장소는 모인 사람의 기분에 따라, 취향에 따라, 날씨에 따라, 분위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1차의 모임이 언제 끝날지 모르기 때문에 예약을 하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가맹점들은 실시간으로 빈자리의 개수를 업데이트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예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운 날씨 또는 더운 날씨에 밖에서 고생하거나, 자리를 잡지 못해 많은 인원들이 이리저리 헤메이는 일이 없도록 함과 동시에, 점주들은 실시간으로 잔여좌석과 쿠폰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어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기반 서비스의 일환으로 상황인식 방식을 적용하여 사용자들이 즉흥적인 만남을 맺고자 할 때 알맞은 약속 시간 및 장소를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약속 시간 및 장소는 약속과 관련된 사람들이 현재 있는 위치, 상황 및 시간에 따른 약속 장소의 적절성을 고려하여 추천할 수 있다. 이때, 약속을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함에 따라 사용자들간에 일일이 스케쥴을 확인하고 장소를 잡는데 허비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때, 계산을 하는 경우, 구성원끼리 포인트를 송수신할 수 있는데, 포인트는 현금화가 가능한 전자화폐일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전자 더치페이 및 결제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데, 전자 더치페이는 공지된 기술이 다수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모바일 환경에서 단말기는 주로 이동시에 사용하게 되므로 입력 정보가 불확실성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불확실한 정보를 이용하여 안정적인 추론을 제공하는 모델인 베이지안 네트워크(Bayesian Network)가 컨텍스트 추론을 위해 사용할 수 있고, 이렇게 수집된 컨텍스트 로그는 BN 노드의 가중치에 영향을 주게 되고 BN은 노드간의 종속성과 가중치를 이용하여 가장 알맞다고 생각하는 약속 장소와 시간을 사용자들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이렇게 최적의 약속 장소와 시간을 잡기 위한 내부적인 추론이 끝나면 추론 결과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데, 약속 장소, 현재 나의 위치, 상대의 위치가 함께 지도에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지도 밑에는 추론하여 나온 약속 장소, 약속 시간, 현재 나의 위치로부터 약속 장소까지 걸리는 시간과 같은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는 마음에 안들면 NO를 눌러 차선책을 찾아볼 수도 있고, YES를 선택하여 제공된 약속을 받아들일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가 추론 결과에 동의하였어도 상대가 동의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YES를 선택한 후 약속 결과를 상대에게도 통보하여 동의를 받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하여 제안자 단말(100)은 스터디 모임 인원인 B,C,D,E,F,G에게 스터디에 참여할 것을 제안하고, (b) 참석자 단말(400)은 승낙 여부를 전송하거나, 답을 하지 않음으로써 거부의 의사표시를 할 수도 있으며, 이로 인하여 참석자는 확정된다.
(c) 확정된 참석자와 약속시간 및 장소가 결정되면,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참석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이동속도를 산출하고, 이동속도로부터 예상 도착 시간을 계산하여 지도상에 서로의 위치를 공유하게 된다. 그리고, (d) 모인 인원들이 장소를 옮겼을 때 아직 오지 않은 사람에게 그 장소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오지 않은 사람이 1차 장소나 엉뚱한 장소로 이동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e) 그리고,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5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제안자 단말(100)로 전송함으로써 제안자 단말(100)에서 가맹점 단말(500)로 예약을 하거나 할인쿠폰으로 결제를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약속을 계약 체결과 같은 방식으로 제안을 하고, 참여 활동으로 명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참여 결정 후에는 제안자인 리더가 약속 인원 모두의 이동상태에 대한 상황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고, 대화형 텍스트가 아닌 정형화된 이모티콘 등으로 상황을 관리하도록 한다. 물론, 텍스트 기반의 관리를 배제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운전 또는 각종 이동 중에 위험한 상황을 회피할 수 있고,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직관적인 피드백을 줄 수 있으며, 약속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맹점으로 예비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광고의 기회를 주고, 약속 주제에 맞는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맛집을 제안하거나 적정 예약 시간을 제안하는 등의 서비스가 부가적으로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할인혜택을 제공하여 고객을 유인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공자 단말(100)로부터 약속 데이터를 수신하고(S5100), 참석자들에게 약속 승낙 여부를 묻는 청약 메세지를 전송한다(S5200).
이때,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참여자 단말(400)로부터 기 설정된 기한을 주고 응답하기를 요청하며, 응답이 온 경우에는 청약의 승낙으로 간주하여 약속을 확정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청약의 거절로 보아 약속명단에서 제외한다(S5400-S5420).
또한,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약속시간이 되기 기 설정된 시간 전부터(S5500), 주기적으로 제공자와 참여자들의 위치를 독출하고(S5700), 이동속도, 이동수단, 예상 도착 시간 등을 계산하여 서로가 공유하도록 한다(S5700). 물론, 제안자인 리더만 이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그리고,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맹점 단말(500)로부터 업데이트된 정보를 이용하여 예약을 하도록 제공자 단말(100)에게 가맹점 정보를 전달하며(S5800), 약속 장소에 위치한 인원이 기 설정된 비율인지, 즉 대부분의 사람들이 약속장소를 떠났는지를 확인하여(S5810), 약속장소가 변경되거나 모임인원들이 이동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S5820).
이에 따라,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업데이트된 약속장소를 서로에게 공유하도록 전송하고(S5830), 이때에도 변경된 장소에 기반하여 가맹점의 정보를 제공자 단말(100)로 전송함으로써 2차 장소를 예약하거나 정할 수 있도록 한다(S5840-S5920).
상술한 단계들(S5100~S592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92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서버는, 제공자 단말로부터 약속 데이터 및 약속에 참여할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을 선택받는다(S6100).
그리고,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로 참여여부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고(S6200), 약속 데이터에 포함된 약속시간의 기 설정된 시간 전부터 기 설정된 주기로 답변을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의 위치를 추출한다(S6300).
또한,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추출된 위치를 제공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S6400), 기 설정된 주기로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의 동선 및 이동속도로부터 이동수단 및 약속 데이터에 포함된 약속장소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을 산출한다(S6500).
마지막으로,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위치를 지도상에 제공하고 도착 예상 시간을 오버레이한다(S6600).
이와 같은 도 6의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공자 단말로부터 약속 데이터 및 약속에 참여할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로 참여여부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약속 데이터에 포함된 약속시간의 기 설정된 시간 전부터 기 설정된 주기로 상기 답변을 전송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의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위치를 상기 제공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단계;
    상기 기 설정된 주기로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의 동선 및 이동속도로부터 이동수단 및 상기 약속 데이터에 포함된 약속장소까지의 도착 예상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위치를 지도상에 제공하고 상기 도착 예상 시간을 오버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위치를 지도상에 제공하고 상기 도착 예상 시간을 오버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약속에 참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의 이동수단은 아이콘으로 출력하되, 상기 이동수단은, 약속시간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전부터 기 설정된 주기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의 위치, 이동 속도를 모니터링한 데이터로 이동속도와 동선으로부터 이동수단을 추정하여 상기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도보, 자전거, 지하철, 버스 및 자가용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이고, 대중교통은, 상기 이동 속도 및 동선과, 대중교통별 속도 및 노선을 비교하여 지하철 및 버스를 구분하고, 지하철의 노선번호 및 버스의 번호를 구분하고,
    상기 지도상에 제공되는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위치는, 상기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의 기 설정된 레이아웃의 상단 내에 고정되어 출력되고, 상기 기 설정된 레이아웃의 하단에 상기 제공자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의 그룹채팅이 출력되고, 상기 그룹채팅의 대화가 진행되면서 메세지가 상기 기 설정된 레이아웃 내에서 상단 방향으로 올라가고,
    상기 참여여부에 대한 답변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제공되어야 하는 데이터이고,
    상기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참여여부에 대한 답변이 발송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답변을 발송하지 않은 참여자를 참여자 목록에서 제외하되, 상기 참여자 단말 중 상기 참여여부에 대한 답변을 발송하지 않은 참여자 단말의 GPS를 통해 수집되는 현재위치정보, 기상청 웹 사이트를 통해 수집되는 현재날씨정보, 상기 참여여부에 대한 답변을 발송하지 않은 참여자가 사전에 입력해 놓은 일정, 및 현재시간을 컨텍스트로 정의하고, 컨텍스트 로그에 대한 전처리 과정을 거쳐 베이지안 네트워크 노드(Bayesian Network Node)의 입력으로 사용하여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참여여부에 대한 답변을 발송하지 않은 참여자의 참여여부에 대한 답변을 추론하여 제공하고,
    상기 컨텍스트 로그의 전처리 과정은, 하루 중의 시간을 식사 시간대와 그 이외의 새벽, 아침, 점심, 저녁 및 밤으로 구분하고, 상기 참여여부에 대한 답변을 발송하지 않은 참여자가 사전에 입력해 놓은 일정을 바쁨 또는 한가함으로 분류하는 것인,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위치를 지도상에 제공하고 상기 도착 예상 시간을 오버레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약속장소의 위치와, 상기 제공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의 위치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일치하는 단말의 실시간 위치 공유를 턴 오프하는 단계;
    상기 약속장소의 위치에 위치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약속장소의 위치와 동일할 때까지 일치하지 않은 단말의 실시간 위치 공유를 지속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약속장소의 위치에 위치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약속장소의 위치와 동일할 때까지 일치하지 않은 단말의 실시간 위치 공유를 지속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약속장소의 위치와, 상기 제공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의 위치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공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의 기 설정된 비율이 상기 약속장소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기 설정된 비율의 단말의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위치에 따른 장소를 약속장소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업데이트된 약속장소를 상기 실시간 위치 공유가 지속되는 단말로 공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위치를 지도상에 제공하고 상기 도착 예상 시간을 오버레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약속장소의 위치와, 상기 제공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의 위치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약속장소의 위치와 그 위치가 일치하는 단말의 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상기 카운트된 수의 인원이 입장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정보를 상기 제공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공자 단말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중 어느 하나의 가맹점을 선택한 경우, 상기 선택된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로 상기 인원의 예약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가맹점 단말로부터 예약 요청에 대한 승낙이 전송된 경우, 상기 제공자 단말로 예약 완료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9.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 1 항, 제 5 항, 제 6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KR1020180012738A 2018-02-01 2018-02-01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51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738A KR101951842B1 (ko) 2018-02-01 2018-02-01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PCT/KR2019/000919 WO2019151703A1 (ko) 2018-02-01 2019-01-22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738A KR101951842B1 (ko) 2018-02-01 2018-02-01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1842B1 true KR101951842B1 (ko) 2019-05-02

Family

ID=66581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738A KR101951842B1 (ko) 2018-02-01 2018-02-01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1842B1 (ko)
WO (1) WO2019151703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786A (ko) 2019-10-08 2021-04-16 (주)나누미 스마트 디퓨저
KR102289759B1 (ko) * 2020-12-28 2021-08-13 주식회사 투유코퍼레이션 뷰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79339A (ko) * 2020-12-04 2022-06-13 주식회사 카카오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WO2022149760A1 (ko) * 2021-01-06 2022-07-14 주식회사 라이프엠엠오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플랫폼
KR102542025B1 (ko) * 2022-03-02 2023-07-19 송지을 가상 환경 내 물건 등재 및 판매 시스템
KR102558572B1 (ko) * 2022-03-02 2023-07-24 송지을 가상 환경 내 아바타 재판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4534A (ja) * 2004-08-26 2006-03-09 Clarion Co Ltd 集団誘導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20100004327A (ko) * 2008-07-03 2010-01-13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및 그 약속장소 제공방법
KR20120045549A (ko) * 2010-10-29 2012-05-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위치기반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61206A (ko) * 2010-12-03 2012-06-13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단말간 목적지 도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15680A (ko) * 2012-07-06 2014-02-07 정태훈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약속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41124A (ko) * 2012-09-27 2014-04-04 박찬범 도착예정정보 자동 통보 장치 및 방법
WO2016147500A1 (ja) * 2015-03-19 2016-09-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287B1 (ko) * 2008-07-03 2011-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위치정보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649630B1 (ko) * 2009-10-22 2016-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일정 알림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4534A (ja) * 2004-08-26 2006-03-09 Clarion Co Ltd 集団誘導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20100004327A (ko) * 2008-07-03 2010-01-13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기에 약속장소를 제공하는 약속장소 제공시스템및 그 약속장소 제공방법
KR20120045549A (ko) * 2010-10-29 2012-05-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위치기반 추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61206A (ko) * 2010-12-03 2012-06-13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단말간 목적지 도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15680A (ko) * 2012-07-06 2014-02-07 정태훈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약속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41124A (ko) * 2012-09-27 2014-04-04 박찬범 도착예정정보 자동 통보 장치 및 방법
WO2016147500A1 (ja) * 2015-03-19 2016-09-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786A (ko) 2019-10-08 2021-04-16 (주)나누미 스마트 디퓨저
KR20220079339A (ko) * 2020-12-04 2022-06-13 주식회사 카카오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629818B1 (ko) * 2020-12-04 2024-01-25 주식회사 카카오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289759B1 (ko) * 2020-12-28 2021-08-13 주식회사 투유코퍼레이션 뷰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2149760A1 (ko) * 2021-01-06 2022-07-14 주식회사 라이프엠엠오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플랫폼
KR102542025B1 (ko) * 2022-03-02 2023-07-19 송지을 가상 환경 내 물건 등재 및 판매 시스템
KR102558572B1 (ko) * 2022-03-02 2023-07-24 송지을 가상 환경 내 아바타 재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51703A1 (ko)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1842B1 (ko)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US11570574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the creation and maintenance of proximity-related user groups
US11005955B2 (en) Social network for monitoring user activity
US11272020B2 (en) Social network for mapping gradations to target intent
US8781498B2 (en) Enabling social interactive wireless communications
US20160092040A1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contact information inference
US20160364732A1 (en) Electronic provisioning of automated customer service
CN106021600A (zh) 信息提示方法及装置
JP2008310577A (ja) 観光客の誘導方法、その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140379822A1 (en) Automatic appointment offer and creation between parties
US20060242053A1 (en) Interactive auction style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user activities
JP5246827B2 (ja) モバイルインターネットユーザの間で現在及び将来の行動情報を調整するための改良された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180095478A (ko) 온라인 쿠폰 및 포인트 적립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만남 확률을 증가시키는 온라인 친구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Chang et al. Mobile location-based social networking in supported employment for people with cognitive impairments
US20110093192A1 (en) Application apparatus, server, system and method of travel service
WO2007119088A1 (en) System and method based on mobile or portable devices for searching and finding people with common or mutual interests
KR20200095127A (ko) 나홀로 여행객을 위한 여행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89759B1 (ko) 뷰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Xynogalas et al. Context management in virtual home environment systems
JP7392499B2 (ja) 情報提示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90285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US20120215847A1 (en) Method for providing diary-based social network ser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0516202B1 (ko) 유무선 인터넷 및 교통 수단을 이용한 만남 제공 서비스방법 및 시스템
Brazzola et al. Socio-Economic Evaluation
JP2016126551A (ja) 定期券情報をプラスした検索サーバ及び検索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