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818B1 -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818B1
KR102629818B1 KR1020200169016A KR20200169016A KR102629818B1 KR 102629818 B1 KR102629818 B1 KR 102629818B1 KR 1020200169016 A KR1020200169016 A KR 1020200169016A KR 20200169016 A KR20200169016 A KR 20200169016A KR 102629818 B1 KR102629818 B1 KR 102629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information
server
chat room
event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9339A (ko
Inventor
고다원
서유빈
조해윤
김희진
성도연
김지은
김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카오
Priority to KR1020200169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818B1/ko
Publication of KR20220079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2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e.g. messages transmitted or received in proximity of a certain spot or a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은 서버가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한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의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제1 이벤트 결과 생성을 요청하는 것을 수신하는 제1 요청 수신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1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는 제1 이벤트 결과 생성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제2 이벤트 결과 생성을 요청하는 것을 수신하는 제2 요청 수신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2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는 제2 이벤트 결과 생성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결과를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시켜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에게 제공하는 결과 제공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Method and server of presenting unified event results to chat room}
본 발명은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채팅방의 참여자들의 정보에 기반하여 일정과 장소 등의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인스턴트 메신저 서버를 통해 다수의 다양한 채팅방에 참여하여 채팅방에 참여한 채팅 멤버들과 대화 및/또는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채팅방을 통해, 다수의 채팅 멤버들은 어떤 채팅 멤버가 생일을 맞이하거나, 특별한 이벤트를 위해 모임을 추진하곤 한다.
그러나, 채팅 멤버 각자의 일정이 서로 달라 모임 일정을 결정하고, 모임 장소를 결정하는데, 채팅 멤버 상호간의 의견 조율을 위해 많은 시간이 소비되고, 서로의 일정을 맞추기 어렵고, 장소를 결정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채팅방에 참여하여 결과를 생성하는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채팅방에 참여하여 채팅빙의 참여자 사이의 모임과 관련된 일정과 장소 등을 결정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은 서버가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한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의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제1 이벤트 결과 생성을 요청하는 것을 수신하는 제1 요청 수신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1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는 제1 이벤트 결과 생성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제2 이벤트 결과 생성을 요청하는 것을 수신하는 제2 요청 수신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2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는 제2 이벤트 결과 생성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결과를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시켜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에게 제공하는 결과 제공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결과를 상기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시킬 것을 요청하는 것을 수신하는 종속 요청 수신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종속 요청 수신 단계는, 상기 제2 요청 수신 단계 이후에, 상기 결과 제공 단계 이전에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종속 요청 수신 단계는, 상기 제2 요청 수신 단계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결과 중 어느 하나를 임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시킬 것을 요청하는 것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어느 하나의 단말에게 상기 채팅방에 종속된 적어도 하나의 통합 이벤트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어느 하나의 단말이 상기 리스트 중 하나의 통합 이벤트를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이벤트는 시간, 위치 및 행동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하는 것이고, 제2 이벤트는 시간, 위치 및 행동 중 다른 하나를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에게 상기 서버가 결정할 수 있는 복수의 이벤트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리스트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과 제공 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결과는 상기 채팅방에서의 서비스 참여자의 발화 형태로 제공될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제1 및 제2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제1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제1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제2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제2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이벤트의 결과를 반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제1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제1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제2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제2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형식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이 시간, 위치 및 호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벤트 결과 생성 단계 또는 상기 제2 이벤트 결과 생성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중 미리 정해진 개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정보 또는 상기 제2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이벤트 결과 또는 제2 이벤트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결과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일반 참석자과 구분되는 필수 참석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결과 생성 단계 중 상기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생성 단계에서, 상기 필수 참석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에 상기 일반 참석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보다 더 높은 가중치를 반영하여 이벤트의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결과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참석 확실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결과 생성 단계 중 상기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생성 단계에서, 상기 참석 확실성에 따라 차등적으로 부여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이벤트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통합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스케쥴 서버에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결과를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시켜 제공하는 스케쥴 서버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상태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합 이벤트의 진행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진행 정보를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에게 제공하는 진행 정보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서버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한 채팅방의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제1 이벤트 결과의 생성을 요청하는 것을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제2 이벤트 결과의 생성을 요청하는 것을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결과를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시켜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 단말의 구동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제1 이벤트 결과의 생성을 요청하는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제1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제1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이벤트 결과를 채팅방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제2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제2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제2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결과가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된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채팅방으로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이벤트 결과와 상기 제2 이벤트 결과 중 어느 하나의 이벤트 결과를 선택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채팅방에 종속된 적어도 하나의 통합 이벤트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리스트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이벤트 결과가 종속될 통합 이벤트를 선택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 단말기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부가 제1 이벤트 결과의 생성을 요청하는 선택을 입력받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부가 상기 제1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제1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제1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정보를 입력받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부가 상기 제1 이벤트 결과를 채팅방을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부가 제2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제2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제2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정보를 입력받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부가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결과가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된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채팅방으로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채팅방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는 채팅방에 서비스 멤버로 참여하여, 채팅 멤버로부터 모임과 관련된 정보의 입력을 요청받으면, 채팅 멤버에게 모임의 일정 및 장소에 관련된 선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채팅 멤버 각각의 선택 정보에 기반하여 최적의 일정과 장소를 연산하여 채팅방을 통해 채팅 멤버에게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채팅 멤버에게 모임에 대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메신저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제1 서버가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제1 서버가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제1 서버가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제1 서버가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례에 제1 서버가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의 예시 화면을 도시한 도이다.
도 16 내지 도 17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구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단말, 제1 서버(100) 및 제2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단말의 개수는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단말(10a, 10b, 10c)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태블릿 PC, 컴퓨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단말(10a)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제2 및 3 사용자 단말(10b, 10c), 제1 서버(100) 및 제2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은 제2 서버(200)가 제공하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사용자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단말은 제1, 2 및 3 단말(10a, 10b, 10c)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단말(10a)은 제1 사용자에 의해, 제2 단말(10b)은 제2 사용자에 의해, 제3 단말(10c)은 제3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2 및 제3 사용자라 함은 제2 서버(200)가 제공하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에 사용자로 등록된 계정 또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채팅방에 참여한 참여자로 등록된 계정을 의미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1, 제2 및 제3 사용자는 제1 서버(100)에는 별도로 가입되어 있지 않고,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서버(200)에만 가입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버(100)와 제2 서버(200)는 서로 서비스가 연동되어 있어, 제2 서버(200)에 가입한 사용자에게 제1 서버(100)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서버(100)는 제2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채팅방에 참여한 적어도 2이상의 사용자 단말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벤트는 채팅방 참여자에 의해 설정되고, 채팅방 참여자들의 입력 정보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채팅방 참여자 미션 정보이다. 예를 들면, 채팅방 참여자들이 설정하여 결정하고자하는 날짜, 시간, 장소, 비용, 음식, 행동의 종류, 업무의 방식, 이동 수단 등일 수 있다.
이벤트 결과는 채팅방에 참여한 적어도 2 이상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벤트 결과는 예를 들어, 다수의 채팅방 참여자가 선택한 대상이나, 참여자가 입력한 값의 대표값, 평균값, 중간값 또는 기타 다양한 방법의 연산 방식 등에 의해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이벤트 결과는 채팅방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 단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통합 이벤트에는 2 이상의 이벤트가 종속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장인의 '회식'이 통합 이벤트가 되는 경우, 회식 시간와 회식 장소 각각은 종속되는 이벤트가 될 수 있다.
제1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들과 제2 서버(200)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서버(100)는 채팅방에 참여하는 서비스 참여자(예를 들면, 챗봇 또는 가상 친구)를 통하여, 같은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 단말들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참여자는 채팅방에서 제1 서버(100)에 대응된 주체일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1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들과 제2 서버(200)를 통하지 않고 직접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100)가 채팅방의 메시지 형태가 아닌 다른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들에 직접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참여자란 상술한 사용자 단말들을 통해 참여한 일반 참여자와 구분되는 참여자일 수 있다. 서비스 참여자는 본 발명에 의해 수행되는 제1 서버(100)의 수행에 의해 정해지는 메시지만 채팅방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에 채팅방에 참여한 참여자의 리스트 및 총 인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서비스 참여자는 상술한 참여자의 리스트 및 총 인원에서 제외될 수 있다.
제2 서버(200)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저 서버일 수 있다.
제2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서비스 참여자를 채팅방에 참여시킬 수 있다. 제2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참여자의 참여를 요청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서버(100)와 제2 서버(200)가 별개로 존재하고, 미리 정해진 방법에 의해 결과를 생성하고 이를 제공하는 서비스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 각각 제공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제1 서버(100)와 제2 서버(200)는 하나의 서버로 구비되어, 상술한 두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서버(1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에서는 제1 서버(100)를 일례로 내부 구성을 설명하지만, 이와 같은 내부 구성은 제2 서버(200)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부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서버(100)는 통신 모듈(110),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30)에는 운영체제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제1 단말(10a)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13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110)을 통해 메모리(13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130)에 로딩될 수 있다.
통신 모듈(110)은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들 및 제2 서버(200)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130) 또는 통신 모듈(110)에 의해 프로세서(1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통합 이벤트의 결과를 생성하고, 채팅방에 참여하는 서비스 참여자를 통해 통합 이벤트의 결과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 단계를 수행하여 컨텐츠 서비스 이용 정보 제공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제1 서버(100)가 채팅방에 참여하여 결과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제1 서버(100)가 채팅방에 참여하여 결과를 생성하는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요청 수신 단계(S310), 제1 이벤트 결과 생성 단계(S320), 제2 요청 수신 단계(S330), 제2 이벤트 결과 생성 단계(S340) 및 결과 제공 단계(S3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요청 수신 단계(S310)에서 제1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이 제1 이벤트 결과 생성을 요청한 것을 수신한다. 이러한 요청은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요청한 것일 수 있다.
제1 요청 수신 단계(S310)에서는 제1 이벤트 결과가 아직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되기 이전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이벤트 결과는 이후에 사용자 단말들 중 어느 하나가 요청하는 것에 의해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될 수 있다.
제1 이벤트 결과 생성 단계(S320)에서는 제1 서버(100)가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제1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정보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 제1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들에게 제1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제1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예시로, 제1 이벤트의 종류가 시간 이벤트인 경우의 인터페이스를 아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제2 서버(200)를 통해 사용자 단말들에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채팅방에 제공되는 발화 형태 또는 채팅방에서 연결 가능한 별도의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제2 서버(200)를 통하지 않고 제1 서버(100)에서 바로 사용자 단말들에게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인터페이스는 채팅방에서 연결 가능한 별도의 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단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채팅방에는 이러한 별도의 페이지로 연결되는 연결 링크 또는 바로가기 버튼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들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1 이벤트 결과에 관한 제1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들이 입력받은 제1 정보는 제1 서버(100)에 전달된다.
제1 이벤트 결과 생성 단계(S320)에서 제1 서버(100)는 채팅방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고, 일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다만, 제1 이벤트 결과 생성 단계(S320)에서 제1 서버(100)가 제1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은 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이벤트 결과 생성 단계(S320)에서 제1 서버(100)는 제1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1 이벤트 결과를 생성한다. 제1 서버(100)는 제1 정보의 대표값, 평균값, 중간값 또는 기타 다양한 방법의 연산 방식 등에 의해 제1 이벤트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서버(100)가 제1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는 방법은 제1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벤트의 종류가 시간인지 위치인지 여부에 따라 제1 서버(100)가 제1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는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11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서버(100)는 채팅방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제1 이벤트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1 서버(100)는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 단말들 중 일부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한 이후에 제1 이벤트 결과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서버(100)는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 단말들 중 미리 정해진 개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정보를 수신하면 제1 이벤트 결과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제1 서버(100)는 미리 정해진 개수에 대한 정보를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개수의 기준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이벤트 결과가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 단말 중 일부로부터 수신한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것일 경우, 이는 중간 결과라고 하여 최종 결과와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서버(100)가 제1 정보를 추가로 수신하면 중간 결과의 제1 이벤트 결과를 갱신하여 최종 결과의 제1 이벤트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서버(100)는 생성한 제1 이벤트 결과를 사용자 단말들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제1 서버(100)는 채팅방을 통해 제1 이벤트 결과를 사용자 단말들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이벤트 결과는 채팅방에서 서비스 참여자의 발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제1 서버(100)는 제1 이벤트 결과를 사용자 단말들에게 제공하면서, 제1 이벤트 결과가 도출된 이유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제1 이벤트 결과가 도출된 이유는, 사용자 단말들이 제1 서버(100)에 제공한 제1 정보들의 내용 및 제1 서버(100)가 제1 이벤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제1 정보들을 연산한 방식 등이 될 수 있다.
제2 요청 수신 단계(S330)에서 제1 서버(100)는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제2 이벤트 결과의 생성을 요청한 것을 수신한다. 제2 요청 수신 단계(S330)는 제1 요청 수신 단계(S310)와 유사하다. 제1 요청 수신 단계(S310)에서 요청을 수행한 사용자 단말과 제2 요청 수신 단계(S200)에서 요청을 수행한 사용자 단말은 동일한 단말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단말일 수도 있다.
제2 요청 수신 단계(S330)에서 제1 서버(100)는 제2 이벤트 결과가 제1 이벤트 결과와 함께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되는 것이라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제2 요청 수신 단계(S330)에서 제2 이벤트 결과가 아직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되기 이전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이벤트 결과는 이후에 사용자 단말 중 어느 하나가 요청하는 것에 의해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될 수 있다.
제2 이벤트 결과 생성 단계(S340)는 제1 이벤트 결과 생성 단계(S320)와 유사하다. 제2 이벤트 결과 생성 단계(S340)에서는 제1 서버(100)가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제2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정보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 제1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들에게 제2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제2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예시로, 제2 이벤트의 종류가 위치 이벤트인 경우의 인터페이스를 아래에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2 이벤트 결과 생성 단계(S340)에서 제1 서버(100)는 제2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2 이벤트 결과를 생성한다. 제2 이벤트 결과 생성 단계(S340)의 특징 중 제1 이벤트 결과 생성 단계(S320)와 동일한 것은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결과 제공 단계(S350)에서는 제1 서버(100)가 제1 이벤트 결과와 제2 이벤트 결과를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시켜, 이러한 결과를 채팅방을 통해 사용자 단말들에게 제공한다. 결과 제공 단계(S350) 이전에 제1 서버(100)는 제1 이벤트 결과와 제2 이벤트 결과가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된다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서버(100)는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이벤트 결과와 제2 이벤트 결과를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결과 제공 단계(S350)에서 제1 서버(100)는 채팅방에 제1 이벤트 결과와 제2 이벤트 결과가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된다는 내용이 포함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채팅방에서 서비스 참여자의 발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제1 서버(100)는 이러한 결과를 사용자 단말들에게 제공하면서, 각각의 이벤트 결과가 도출된 이유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벤트 결과가 도출된 이유는, 사용자 단말들이 제1 서버(100)에 제공한 사용자 정보들의 내용 및 제1 서버(100)가 이벤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사용자 정보들을 연산한 방식 등이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에서 설명하는 사용자 단말은 채팅방에 참여하는 사용자 단말에 해당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통신 모듈(11), 프로세서(12), 메모리(13), 출력부(14) 및 입력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1)은, 다른 사용자 단말, 제1 서버(100), 제2 서버(200) 중 적어도 하나와 유/무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 모듈(11)은, 제1 서버(100) 및 제2 서버(200)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으며, 제1 서버(100) 및 제2 서버(200)에 다양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출력부(14)는 제1 서버가 제공하는 결과를 생성하는 서비스 및 제2 서버가 제공하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와 관련하여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출력부(14)는 입력부(15)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입력부(15)는 사용자에 의해 제1 서버가 제공하는 결과를 생성하는 서비스 및 제2 서버가 제공하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와 관련하여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부(15)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는,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메모리(13)에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및 컨텐츠 서비스 이용 정보 제공 서비스와 관련하여 필요한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3)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형태로 구비되거나,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3)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storage)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여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및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로세서(12)에 의해 사용자 단말은 후술할 제1 서버(100)로부터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12)가 동작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제1 서버(100)가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의 각 단계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에서는 제1 이벤트가 시간을 결정하는 이벤트이고, 제2 이벤트가 위치를 결정하는 이벤트인 것을 설명하였으나, 각각의 이벤트 종류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이벤트의 종류에 따라 제1 및 제2 이벤트의 순서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이 제1 서버(100)에 제1 이벤트 결과의 생성 요청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서는 일례로 제1 이벤트 결과가 시간 이벤트 결과인 것을 도시하였다.
사용자 단말이 제1 이벤트 결과의 생성을 요청하기 위해서는 먼저, 적어도 둘 이상의 사용자가 채팅방에 참여한 경우를 전제로 수행될 수 있다.
도 5의 (a)와 같이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 단말 중 하나에서 채팅방에 종속된 메뉴 버튼(MB)이 선택되면, 도 5의 (b)와 같이, 채팅방의 일부에 오버랩되는 오버레이(overlay) 메뉴 창(OL1)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에서 서비스 참여자 버튼(SM)이 선택되면, 도 5의 (c)와 같이 서비스 참여자의 기능 선택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의 (c)와 같이 서비스 참여자의 기능 선택에 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서, 서비스 참여자의 기능인 시간, 장소 및 메뉴 등을 정하는 복수의 항목(SF1, SF2, SF3)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복수의 항목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참여자의 기능과 관련된 항목은 제1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일 수 있고, 사용자 단말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이 제1 이벤트 결과의 생성을 요청하면서 세부 설정을 추가하는 것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서버(100)는 제1 이벤트 결과의 생성과 관련하여 다양한 조건에 관한 세부 설정 정보를 추가로 수신할 수 있다. 제1 서버(100)는 이러한 세부 설정의 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이러한 인터페이스 상에서 세부 설정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아, 제1 서버(10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6의 (a) 및 (b)는 이러한 세부 설정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및 선택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a)을 참조하면, 세부 설정은 (1)일정을 선택할 수 있는 기한 제한 대한 설정(예, 일정 선택 기한), (2) 모임의 일정으로 입력 또는 선택 가능한 날짜에 대한 제한 설정(예, 입력 가능한 날짜), (3) 선택 가능한 날짜에 대한 시간 제한 설정(예, 입력 날짜의 시간)일 수 있다.
또한, 도 6의 (b)를 참조하면, 세부 설정은 모임에 필수로 참석할 멤버를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제1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에 제1 이벤트 결과의 생성을 위한 제1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에서 일례로 제1 이벤트 결과는 시간 이벤트 결과이고, 제1 정보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시간 정보인 것을 도시하였다.
도 7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서버(100)는 채팅방에 입력 요청 메시지(M1)을 서비스 참여자의 발화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 요청 메시지(M1)가 선택되면, 제1 서버(100)는 시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도 7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터페이스는 달력 형태의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 상에서, 날짜를 선택할 수 있는 기한, 입력 또는 선택 가능한 날짜는 상술한 세부 설정에 의해 제한될 수 있으며, 입력 가능한 날짜(PF)는 도 7의 (b)와 같이 구분되어 사용자 단말들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들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모임의 날짜가 연속적으로 또는 비연속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SD)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들에서 사용자가 모든 날짜(선택 가능 범위가 제한되어 있는 경우, 해당 범위에 해당하는 모든 날짜)가 가능하다는 입력을 받을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들에서 날짜의 선택이 완료되면, 도 7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해당 날짜에 대한 타임 테이블 형태의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단말들에서 달력 형태의 인터페이스 상에서 8.6(목), 8.11(화), 8.22(토), 8.24(화)이 선택(SD)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들에 도 7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타임 테이블 형태의 인터페이스에서는 8.6(목), 8.11(화), 8.22(토), 8.24(화)에 대한 타임 테이블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타임 테이블 형태의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드래그(drag) 또는 터치 등의 입력을 받아, 시간 범위를 연속된 범위로 선택(SH)받을 수 있다.
여기서, 달력 형태 또는 타임 테이블 형태의 인터페이스 상에서 사용자가 모임 일정으로 원하는 날짜 또는 시간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한 날짜 또는 시간의 해당 영역의 색상 또는 테두리의 선폭 등을 변경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어떤 날짜 또는 시간을 선택하였는지 쉽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달력 형태의 인터페이스에는 다른 사용자가 먼저 날짜를 선택한 경우, 다른 시용자가 선택한 날짜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들에서 모임의 일정으로 원하는 날짜와 시간에 대한 선택이 완료되고, 도 7의 (c)와 같이 확인 버튼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들은 선택된 날짜와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1 정보로 제1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정보의 입력을 완료한 사용자 단말들에는 도 7의 (d)와 같이, 모임의 일정에 관한 선택을 완료하였음을 알려주는 확인 메시지(NT1)가 일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제1 서버(100)가 제1 이벤트 결과를 채팅방을 통해 사용자 단말들에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사용자 단말에서 제1 이벤트 결과가 출력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1 서버(100)가 생성한 시간 이벤트 결과를 채팅방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이벤트 결과는 결과 메시지(M2)에 포함되어 채팅창에 서비스 참여자의 발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결과 메시지는 모임의 일정에 관한 날짜가 순위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제1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이벤트 결과를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시킬 것을 요청하는 것을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도 8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 단말은 제1 이벤트 결과로 생성된 시간 이벤트 결과를 하나의 통합 이벤트인 모임 이벤트에 종속시키는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제1 서버(100)는 이러한 요청을 수신하면, 시간 이벤트 결과를 모임 이벤트에 종속시켜 저장하고, 종속된 결과를 채팅방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에 모임의 일정에 관한 확정 날짜를 포함하는 메시지(M3)가 채팅창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통합 이벤트(모임 이벤트)에 대한 제1 이벤트 결과(시간 이벤트 결과)가 확정된 경우, 제1 서버(100)는 제2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는 것을 사용자 단말에 제안할 수 있다. 이러한 제안은 도 8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비스 참여자의 발화 형태인 안내 메시지(M4)로 채팅창에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이 제1 서버(100)에 제2 이벤트 결과의 생성 요청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9에서는 일례로 제2 이벤트 결과가 위치 결과인 것을 도시하였다.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참여자로부터 제공된 안내 메시지(M4)를 선택한 경우, 도 9의 (a)와 같은 오버레이 창(OL2)이 채팅방에 중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오버레이 창(OL2)에서 서비스 참여자의 기능 정보 중 위치 결정에 관한 버튼이 선택되면, 도 9의 (c)와 같이, 위치 결정에 관한 세부 설정 정보창이 표시될 수 있다.
이후, 도 9의 (d)와 같이, 제1 서버(100)는 제2 이벤트 결과를 생성할 수 있는 제2 정보의 입력을 요청하는 입력 요청 메시지(M5)를 채팅창을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제1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들에게 제2 이벤트 결과의 생성을 위한 제2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에서 일례로 제2 이벤트 결과는 위치 결과이고, 제2 정보는 사용자의 예정 출발 위치 정보인 것을 도시하였다.
제1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들이 사용자의 예정 출발 위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의 (a),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들에서 위치 선택 및 교통 수단에 대한 선택이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들에서 선택이 완료된 경우, 도 10의 (c)와 같이, 채팅창에 선택이 완료되었다는 메시지(NT2)가 일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출발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와 교통 수단에 대한 정보는 제2 정보로 제1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제1 서버(100)가 채팅방 참여자의 가중치를 반영하여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도록 한다. 즉, 제1 서버(100)는 참여자들이 제공한 정보에 해당 참여자의 가중치를 반영하여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는 연산을 수행한다. 가중치는 해당 참여자가 필수 참석 참여자인지, 해당 참여자의 참석이 확실한지, 해당 참석자가 위치 배려 참여자인지 여부 등에 따라 차등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a)와 같이, 제1 참여자가 필수 참여자로 설정되고, 제2, 3, 4 참여자가 일반 참여자로 설정된 경우, 제1 참여자의 선택 정보에 대해서는 1.0의 가중치를 두어, 제2, 3, 4 참여자의 선택 정보에 대한 가중치 0.5보다 높게 설정하여 연산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1의 (a)에서 선택 정보로 7일과 22일이 똑같이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으나, 22일은 필수 참여자인 제1 참여자가 선택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가중치를 두어 계산하여, 모임의 일정에 대한 날짜로 22일을 1순위로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제1 서버(100)는 모임에 대한 참석의 확실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서버(100)가 모임의 일정에 대해 참석의 확실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1 서버(100)는 참석의 확실성에 대한 정보에 따라 차등적으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연산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임 참석이 확실한 참여자의 가중치를 모임 참석이 불확실한 참여자의 가중치보다 높게 설정하여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참여자가 22일에 대해서는 참석이 불확실한 것으로 입력한 경우, 제2 참여자가 선택한 22일에 대해서는 가중치를 상대적으로 낮추어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참여자가 모임의 배려 참여자로 설정되고, 제2, 3, 4 참여자가 일반 참여자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서버(100)는 제1 참여자가 선택한 위치 정보에 대한 가중치(일례로, 1.0)는 제2, 3, 4 참여자가 선택한 위치 정보에 대한 가중치(일례로, 0.5)보다 높게 설정하여 위치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는 모임의 위치가 일반 참여자보다 배려 참여자에 보다 가깝게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제1 이벤트 결과와 제2 이벤트 결과가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이벤트 결과 또는 제2 이벤트 결과는 생성될 시점에는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되어 있지 않다가, 이후 사용자 단말의 요청으로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이벤트 결과와 제2 이벤트 결과가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되는 것은, 이벤트 결과를 임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시키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1210), 통합 이벤트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S1220), 통합 이벤트를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S1230) 및 이벤트 결과를 통합 이벤트에 종속시키는 단계(S1240)를 포함한다.
이벤트 결과를 임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시키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1210)에서, 제1 서버(100)는 이러한 요청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직접 또는 제2 서버(200)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은 사용자 단말이 채팅방을 통해 수행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이벤트 결과의 결과 메시지가 선택되는 것으로 이러한 요청이 수행될 수 있다.
통합 이벤트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S1220)에서, 제1 서버(100)는 채팅방에 종속된 적어도 하나의 통합 이벤트의 리스트를 제공한다. 채팅방에서는 복수의 통합 이벤트가 종속되어 있을 수 있는데 제1 서버(100)는 이들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통합 이벤트를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S1230)에서 제1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통합 이벤트의 선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이벤트 결과를 통합 이벤트에 종속시키는 단계(S1240)에서 제1 서버(100)는 이벤트 결과를 선택된 통합 이벤트에 종속시킨다. 이러한 이벤트 결과는 제1 서버(100)에 저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제1 서버(100)가 제1 이벤트 결과와 제2 이벤트 결과가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된 결과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서버(100)는 채팅방을 통해 결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결과 메시지에는 통합 이벤트의 정보와 이벤트 결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결과 메시지에는 회식이라는 모임의 정보와 시간과 장소라는 이벤트 결과가 포함되어 있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제1 서버(100)가 통합 이벤트의 진행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통합 이벤트의 이벤트 결과와 관련된 사용자 단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벤트 결과가 시간 이벤트 결과이고 제2 이벤트 결과가 위치 결과인 경우, 제1 서버(100)는 시간 이벤트 결과에 따른 시점에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서버(100)는 수신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통합 이벤트의 진행 정보를 생성하고, 진행 정보를 채팅방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버(100)는 시간 이벤트 결과에 따른 모임 시간에 모든 사용자 단말이 위치 결과에 따라 결정된 모임 위치에 도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서버(100)는 통합 이벤트인 모임의 진행이 완료되었다는 진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채팅방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 단말 중 일부가 아직 모임 위치에 도착하지 않았더라도, 제1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등을 채팅방을 통해 제공하여 모임의 진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제2 서버(200)는 스케줄 챗봇과 채팅방의 채팅 참여자 중 한 명의 채팅 참여자가 참여하는 채팅방을 생성하여 일정에 관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서버(100)는 이를 위해 통합 이벤트 정보 및 이벤트 결과를 스케쥴 챗봇의 서버에 제공할 수있다.
구체적으로,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서버(200)는 스케줄 챗봇과 한명의 채팅 참여자가 참여하는 채팅방을 생성하여, 스케줄 챗봇을 통하여 모임의 일정과 시간, 위치 및 메뉴에 대한 내용이 포함된 알림 메시지(M9)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스케줄 챗봇과 함께 참여하는 채팅방은 서비스 참여자가 참여한 채팅방과 다른 채팅방일 수 있으며, 서비스 참여자가 참여한 채팅방의 참여자 각각에 대하여, 스케줄 챗봇이 참여하는 채팅방이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알림 메시지(M9)를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임의 상세 위치까지의 대중 교통에 관한 소요 시간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M10)이 추가적으로 더 제공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의 구동 방법은 제1 이벤트 결과의 생성을 요청하는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S1610), 제1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S1620),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630), 제1 이벤트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S1640), 제2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S1650),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660) 및 제1 및 제2 이벤트 결과가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된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S1670)를 포함한다.
제1 이벤트 결과의 생성을 요청하는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S1610)는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은 단계(S1610)에서 채팅방 또는 채팅방의 일부에 오버랩되는 오버레이(overlay) 메뉴 창(OL1)에 제1 이벤트 결과의 생성을 요청하는 서비스 참여자 버튼(SM)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서비스 참여자 버튼(SM)을 선택한 것을 감지하여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S1620)는 도 7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은 제1 이벤트 결과에 맞게 제작된 제1 인터페이스를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채팅방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1 이벤트 결과는 채팅방에서 서비스 참여자의 발화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단계(S16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으로 갈음하도록 한다.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630)는 사용자가 도 7에 도시된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한 것을 감지하여 제1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이다. 단계(S16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으로 갈음하도록 한다.
제1 이벤트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S1640)는 도 8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은 서버로부터 제1 이벤트 결과를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다. 단계(S16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으로 갈음하도록 한다.
제2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S1650)는 도 10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은 제2 이벤트 결과에 맞게 제작된 제2 인터페이스를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채팅방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2 이벤트 결과는 채팅방에서 서비스 참여자의 발화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단계(S16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0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으로 갈음하도록 한다.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2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660)는 사용자가 도 10에 도시된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한 것을 감지하여 제2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이다. 단계(S166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0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으로 갈음하도록 한다.
제1 및 제2 이벤트 결과가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된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S1670)는 도 13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은 제1 이벤트 결과와 제2 이벤트 결과가 포함된 모임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채팅방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종속된 결과는 채팅방에서 서비스 참여자의 발화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이벤트 결과를 어느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시키는 것을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은 이벤트 결과를 선택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S1710), 통합 이벤트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S1720) 및 이벤트 결과가 종속될 통합 이벤트를 선택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S1730)을 포함하여 구동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이벤트 결과를 선택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S1710)는 사용자 단말이 채팅방에 출력한 제1 이벤트 결과 및 제2 이벤트 결과에 관한 메시지를 선택받는 것일 수 있다. 채팅방에 제1 이벤트 결과 및 제2 이벤트 결과에 관한 메시지가 출력된 것은 도 8 및 도 10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은 이러한 메시지가 선택되는 것을 감지하여 특정 하나의 이벤트 결과를 선택하는 입력을 받을 수 있다.
통합 이벤트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S1720)에서 사용자 단말은 채팅방에 종속된 적어도 하나의 통합 이벤트를 리스트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리스트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는 선택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이벤트 결과가 종속될 통합 이벤트를 선택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S1730)에서는 사용자가 이러한 선택 버튼을 선택한 것을 감지하여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라 채팅방에 참여하여 결과를 생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적어도 둘 이상의 채팅 참여자가 참여하는 채팅방에 서비스 참여자로 참여하여, 채팅방의 채팅 참여자가 모임을 갖고자 하는 경우, 모임의 일정 및 시간과 장소 및 음식점 등에 대해 보다 용이하게 결정하도록 안내할 수 있어, 채팅 참여자에게 모임에 대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a, 10b, 10c: 사용자 단말 100: 제1 서버
200: 제2 서버

Claims (21)

  1. 서버가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한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의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시간을 결정하는 것과 관련된 제1 이벤트 결과 생성을 요청하는 것을 수신하는 제1 요청 수신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1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는 제1 이벤트 결과 생성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제2 이벤트 결과 생성을 요청하는 것을 수신하는 제2 요청 수신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2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는 제2 이벤트 결과 생성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결과를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시켜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에게 제공하는 결과 제공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참여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참석 확실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이벤트 결과 생성 단계에서, 상기 참석 확실성에 따라 차등적으로 부여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이벤트 결과 생성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제1 인터페이스가 포함된 제1 정보 입력 요청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보의 수신에 관한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서버가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제1 이벤트 결과를 포함하는 제1 이벤트 결과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입력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제1 이벤트 결과 메시지의 제공 시점 사이에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발화 메시지 전송이 있는 경우, 상기 서버가 상기 채팅방에 상기 제1 정보 입력 요청 메시지와 상기 제1 이벤트 결과 메시지 사이에 상기 발화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벤트 결과 생성 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중 적어도 일부를, 위치 배려 참여자와 일반 참여자로 구분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일반 참여자로부터 입력 받은 출발 위치 정보 보다 상기 위치 배려 참여자로부터 입력 받은 출발 위치 정보에 더 높은 가중치를 반영하여 상기 제2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결과를 상기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시킬 것을 요청하는 것을 수신하는 종속 요청 수신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종속 요청 수신 단계는, 상기 제2 요청 수신 단계 이후에, 상기 결과 제공 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종속 요청 수신 단계는, 상기 제2 요청 수신 단계와 함께 수행되는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결과 중 어느 하나를 임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시킬 것을 요청하는 것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어느 하나의 단말에게 상기 채팅방에 종속된 적어도 하나의 통합 이벤트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어느 하나의 단말이 상기 리스트 중 하나의 통합 이벤트를 선택한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에게 상기 서버가 결정할 수 있는 복수의 이벤트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리스트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결과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일반 참석자과 구분되는 필수 참석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결과 생성 단계 중 상기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생성 단계에서, 상기 필수 참석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에 상기 일반 참석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보다 더 높은 가중치를 반영하여 이벤트의 결과를 생성하는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15. 삭제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통합 이벤트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스케쥴 서버에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결과를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시켜 제공하는 스케쥴 서버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상태 정보 수신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합 이벤트의 진행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진행 정보를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에게 제공하는 진행 정보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18.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한 채팅방의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시간을 결정하는 것과 관련된 제1 이벤트 결과의 생성을 요청하는 것을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1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기 위한 제1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이 제2 이벤트 결과의 생성을 요청하는 것을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기 위한 제2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결과를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시켜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참여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참석 확실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이벤트 결과 생성 단계에서, 상기 참석 확실성에 따라 차등적으로 부여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때,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제1 인터페이스가 포함된 제1 정보 입력 요청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정보의 수신에 관한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채팅방을 통해 상기 제1 이벤트 결과를 포함하는 제1 이벤트 결과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정보 입력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제1 이벤트 결과 메시지의 제공 시점 사이에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발화 메시지 전송이 있는 경우, 상기 채팅방에 상기 제1 정보 입력 요청 메시지와 상기 제1 이벤트 결과 메시지 사이에 상기 발화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때,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단말 중 적어도 일부를, 위치 배려 참여자와 일반 참여자로 구분하는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일반 참여자로부터 입력 받은 출발 위치 정보 보다 상기 위치 배려 참여자로부터 입력 받은 출발 위치 정보에 더 높은 가중치를 반영하여 상기 제2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서버.
  19. 사용자 단말이 서버에 시간을 결정하는 것과 관련된 제1 이벤트 결과의 생성을 요청하는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제1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제1 인터페이스가 포함된 제1 정보 입력 요청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한 것과 관련된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이벤트 결과를 포함하는 제1 이벤트 결과 메시지를 채팅방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제2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제2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제2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결과가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된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채팅방으로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사용자가 참여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참석 확실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벤트 결과는 상기 참석 확실성에 따라 차등적으로 부여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생성되고,
    상기 제1 정보 입력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제1 이벤트 결과 메시지의 출력 시점 사이에 상기 채팅방의 참여자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발화 메시지 생성이 있는 경우, 상기 채팅방에 상기 제1 정보 입력 요청 메시지와 상기 제1 이벤트 결과 메시지 사이에 상기 발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벤트 결과는 일반 참여자로부터 입력 받은 출발 위치 정보 보다 위치 배려 참여자로부터 입력 받은 출발 위치 정보에 더 높은 가중치를 반영하여 생성되는,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 단말의 구동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1 이벤트 결과와 상기 제2 이벤트 결과 중 어느 하나의 이벤트 결과를 선택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채팅방에 종속된 적어도 하나의 통합 이벤트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리스트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이벤트 결과가 종속될 통합 이벤트를 선택하는 입력을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 단말의 구동 방법.
  21. 메모리;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부가 서버에 시간을 결정하는 것과 관련된 제1 이벤트 결과의 생성을 요청하는 선택을 입력받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부가 상기 제1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제1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제1 인터페이스가 포함된 제1 정보 입력 요청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정보를 입력받도록 제어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정보를 수신한 것과 관련된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출력부가 상기 제1 이벤트 결과를 포함하는 제1 이벤트 결과 메시지를 채팅방을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부가 제2 이벤트 결과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제2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제2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정보를 입력받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부가 상기 제1 및 제2 이벤트 결과가 하나의 통합 이벤트에 종속된 결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채팅방으로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사용자가 참여하려는 적어도 하나의 시간 정보 및 상기 시간 정보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참석 확실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벤트 결과는 상기 참석 확실성에 따라 차등적으로 부여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생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정보 입력 요청 메시지 및 상기 제1 이벤트 결과 메시지의 출력 시점 사이에 상기 채팅방의 참여자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발화 메시지 생성이 있는 경우, 상기 채팅방에 상기 제1 정보 입력 요청 메시지와 상기 제1 이벤트 결과 메시지 사이에 상기 발화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이벤트 결과는 일반 참여자로부터 입력 받은 출발 위치 정보 보다 위치 배려 참여자로부터 입력 받은 출발 위치 정보에 더 높은 가중치를 반영하여 생성되는,
    채팅방에 참여한 사용자 단말기.
KR1020200169016A 2020-12-04 2020-12-04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102629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016A KR102629818B1 (ko) 2020-12-04 2020-12-04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016A KR102629818B1 (ko) 2020-12-04 2020-12-04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339A KR20220079339A (ko) 2022-06-13
KR102629818B1 true KR102629818B1 (ko) 2024-01-25

Family

ID=81984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016A KR102629818B1 (ko) 2020-12-04 2020-12-04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81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842B1 (ko) * 2018-02-01 2019-05-02 김범준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194B1 (ko) * 2009-10-27 2012-01-0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미팅 스케줄 결정 시스템
KR101745740B1 (ko) * 2012-06-05 2017-06-09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모바일 메시징 애플리케이션 기반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015799A (ko) * 2012-07-25 2014-02-07 강경윤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한 복수 사용자간의 약속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2050244B1 (ko) * 2017-10-16 2019-11-29 한국과학기술원 메신저 단체 채팅방 활성화를 위한 자연어 처리 기반 대화형 챗봇 운용 방법 및 시스템
KR102199944B1 (ko) * 2019-05-21 2021-01-07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모임 활동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842B1 (ko) * 2018-02-01 2019-05-02 김범준 위치기반 실시간 약속상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339A (ko) 202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1622B1 (ko)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효율성 향상
US11567785B2 (en) Integrated multitasking interface for communication sessions
EP2699029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message function
KR101994296B1 (ko) 메신저를 이용한 결재 방법 및 시스템
JP6928997B2 (ja) 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端末
TW201503010A (zh) 利用行事曆的智慧通知
JP2014029676A (ja) 通知に応答するためのコンテキストベースのオプションの発生
US20150186850A1 (en) Smart Meeting Creation and Management
US20130024786A1 (en) Multi-user universal multi-conversation platform (mumcp) method and system
CN109564653B (zh) 来自email的日历事件安排
US20090164910A1 (en) Sharing of scheduling time-blocks
US8924490B2 (en) Service based event planning
KR102629818B1 (ko) 채팅방에 통합 이벤트 결과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US20220156702A1 (en) Proactively displaying relevant information related to an event on a search page
KR20210108737A (ko) 캘린더에 다이어리를 추가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40003343A (ko)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초대장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653486B1 (ko) 일정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54954A (ko) 아카이브 페이지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와 방법 및 아카이브 페이지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받는 방법과 사용자 단말
WO2023115154A1 (en) A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essaging
JP2022058711A (ja) メッセージ基盤の通知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