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768B1 - 포장재 - Google Patents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768B1
KR101951768B1 KR1020170096186A KR20170096186A KR101951768B1 KR 101951768 B1 KR101951768 B1 KR 101951768B1 KR 1020170096186 A KR1020170096186 A KR 1020170096186A KR 20170096186 A KR20170096186 A KR 20170096186A KR 101951768 B1 KR101951768 B1 KR 101951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upling hole
connecting portion
hol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2734A (ko
Inventor
안광남
Original Assignee
(주)애니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니팩 filed Critical (주)애니팩
Priority to KR1020170096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768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7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0Details of walls made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2Reinforcing for strengthening parts of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형상으로 절곡되어 포장될 물품의 외곽을 둘러 싸도록 포장하는 포장재에 있어서, 일 방향으로 압출 성형되는 판재 형상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일부분이 절단되어 일체로 접철되며 상기 플레이트와 마주하도록 배치된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플레이트 상에 관통되어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면서 고정되도록 형성된 결합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포장재{Packing}
본 발명은 포장재에 관한 것으로서, 포장이 필요한 물품의 외곽을 둘러 싸거나 박스 형태로 담아서 보호할 수 있는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프라 박스(이하에서는 단순히 박스라고 칭함)는 부품 또는 부분 완제품의 이송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박스는 일반적으로 합성 수지재로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박스의 성형에 사용되는 합성수재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류 또는 폴리프로필렌(PP)류 등이거나, 이들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합성 수지재를 사용하여 제조된 박스는 플레이트 상태의 원자재를 이용하여 박스를 완성할 수 있는 소정의 형태로 재단하고, 이렇게 재단된 원자재를 접으면서 서로 겹치는 부분에 스테이플링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완성된 포장박스에는 금속재의 스테이플이 항상 존재하게 된다.
이렇게 스테이플 처리를 함으로써 완성되는 박스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은 금속재 스테이플은 포장박스의 측면뿐만 아니라 저면에도 존재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박스 형태로 제작되는 포장재는 설정된 크기 또는 부피를 갖기 때문에 이에 적합한 물품 또는 부품의 포장만이 가능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스테이플링 공정이 이루어져야만 포장재 박스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제조 기간이나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포장될 물품이나 부품의 크기 또는 형상에 대응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포장된 물품이나 부품의 다양한 크기 또는 형상에 대응할 수 있는 포장재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의 대상이 되는 물품이나 부품의 다양한 크기에 대응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형상에 대응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고정수단이 필요 없이 포장재를 연결하여 물품이나 부품을 포장할 수 있는 포장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 형상으로 절곡되어 포장될 물품의 외곽을 둘러 싸도록 포장하는 포장재에 있어서, 일 방향으로 압출 성형되는 판재 형상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일부분이 절단되어 일체로 접철되며 상기 플레이트와 마주하도록 배치된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플레이트 상에 관통되어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면서 고정되도록 형성된 결합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부는 플레이트의 일 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마주하는 일 측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되면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압출방향을 따라서 양 측 모서리에 인접하여 나란히 상기 연결부와 결합공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압출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가열 또는 가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부가 절단된 부분과 일체로 이어지는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 또는 플레이트가 더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일 단부가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의 타 단부에 돌출되어 상기 결합공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장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장부재의 일 단면보다 작은 단면으로 마련되어 상기 결합공의 내주면과 간섭되는 간섭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일 단부가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 상에서 설정된 길이마다 상기 연장부재의 양 측으로 복수개 돌출되어 상기 결합공에 상기 설정된 길이 별로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의 양 측에는 각각 상기 연결부가 돌출되고, 상기 연결부와 서로 인접한 연결부 사이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결합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포장재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연결부 보다 큰 면적으로 부착되어 상기 연결부 형성 과정에서 동시 절단되는 보강 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테이프는 상기 연결부가 결합공에 결합되어 인장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패브릭, 유리섬유, 탄소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강재를 구비하며, 적어도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재에 따르면,
첫째, 포장 대상 물품의 크기나 형상에 대응하여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하고,
둘째, 플레이트 상에 일체로 연결부와 결합공이 마련되기 때문에 가공이 용이하며,
셋째, 연결부를 통하여 절곡되면서 서로 마주하는 플레이트를 연결하기 때문에 포장 공정이 간편하고,
넷째, 연결부와 결합공을 교번으로 배치하여 플레이트 자체의 강성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다섯째, 연결부 사이의 결합공 개수를 증대시켜 연결부의 포장 간격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재가 포장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포장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2에 나타낸 포장재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포장재의 연결부가 결합공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장재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장재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포장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재가 포장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포장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3 은 도 2에 나타낸 포장재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포장재의 연결부가 결합공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포장재(100)는 일 방향을 따라서 압출 성형되는 플레이트(110)와, 플레이트(110) 상에 일체로 구비되는 연결부(120)와, 플레이트(110) 상에 관통되어 연결부(120)가 삽입 고정되도록 형성된 결합공(130)을 포함한다.
먼저 플레이트(110)는 골판지 형상을 가지고 폴리프로필렌 공중합(PP Coplymer) 수지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명 단프라(danpla)로 불리는 플라스틱 골판지가 적용된다. 이러한 플레이트는 가볍고, 질기며, 내약품성, 내화학성을 가지며, 단열 및 차음 성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포장재, 건축자재, 완충재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플레이트(110)는 포장 대상 물품의 용도에 따라서 다른 재질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플레이트(110)는 얇은 판재 형상으로 상면과 하면으로 구성되고, 압출방향을 따라서 내부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통공이 상면과 하면 사이에 형성되며, 각 통공을 분리하면서 상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격벽이 구비된다. 따라서 플레이트(110)는 격벽을 기준으로 접거나 절곡하기 용이하고, 재질 특성 상 접거나 절곡된 부분이 다시 펴지면서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는 것도 용이하다.
또한 플레이트(110)는 압출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보강패턴(111)이 구비된다. 여기서 보강패턴(111)은 플레이트(110) 상에 통공 또는 격벽과 수직방향으로 가열 또는 가압 방식으로 형성되어 플레이트(110)를 접거나 절곡된 상태에서도 보다 견고한 강성을 유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물론 플레이트(110)는 압출방향과 수직방향 즉 통공 또는 격벽을 따라서 접거나 절곡되며, 보강패턴(111)을 따라서 접거나 절곡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보강패턴(111)은 상면과 하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을 가열하면서 다른 하나의 면에 접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격벽 일부가 가열에 의해 용융되면서 상면과 하면을 접착시키며, 통공이 각각의 보강패턴 사이에서 차폐될 수 있다. 또한 보강패턴(111)은 단순 가압에 의해서 상면 또는 하면에 설정된 패턴의 라인이 찍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강패턴(111)은 직선, 곡선 또는 톱니 형상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110)의 압출방향을 따라서 양 측에는 각각 연결부(120)와 결합공(130)이 설정 패턴으로 구비된다.
예컨대, 플레이트(110)의 일 측에는 연결부(120)와 결합공(130)이 설정 간격을 따라서 교번으로 배치되고, 타 측에는 일 측의 연결부(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130')이 배치되고 일 측의 결합공(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부(120')가 배치되어 연결부와 결합공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플레이트(110)의 양 측에는 각각 연결부(120, 120')와 결합공(130, 130')이 구비되는데 일 측의 연결부(120)와 타 측의 결합공(130')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플레이트를 접거나 절곡하는 경우, 플레이트(110)의 일 측의 연결부(120)가 타 측의 결합공(13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 측의 연결부(120')가 일 측의 결합공(13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러면 플레이트(110)의 일 측과 타 측에서 연결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반대쪽의 결합공에 결합되면서 플레이트(110)의 강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포장될 물품을 일정한 간격으로 감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연결부(120)는 플레이트(110)와 일체로 형성되고, 플레이트(110) 상에서 펀칭 또는 프레싱 가공된다. 물론 연결부(120)는 별도의 몸체로 가공되어 플레이트(110) 상에 부착될 수도 있다.
연결부(120)는 일 단면이 대략 'T'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플레이트(110)로부터 일 단부가 일체로 이러지는 연장부재(121)와, 연장부재(121)의 타 단부에 배치되어 결합공(130)에 삽입되는 고정부재(122)를 포함한다.
연장부재(121)는 포장될 물품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그 길이를 조절하여 가공된다. 이때 연장부재(121)와 플레이트(110)가 연결되는 부분 즉, 연결부(120)가 플레이트(110) 상에서 일부 절단된 부분과 일체로 이어지는 부분에는 관통홀(112)이 마련된다. 관통홀(112)은 플레이트(110)에서 연장부재(121)가 절단되는 양 측에 각각 형성되고, 절단된 부부에서 연장부재(121)가 더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연결부(120)가 절곡되거나 결합공(130)에 결합되는 경우, 플레이트(110) 상에서 관통홀(112)과 연결부(120)가 절단된 빈 공간이 연통할 수 있다. 즉 플레이트(110) 상에서 연장부재(121)가 시작되는 부분에서 연결부(120)가 절단된 상태로 계속해서 연장부재(121)가 길어지는 방향으로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122)는 적어도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 형상이나, 원형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재(122)는 결합공(130)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결합공(130)에 삽입된 후 다시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결합공(130)의 일 단면보다 큰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결합공(130)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길이가 다른 열 십자 또는 십자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122)는 결합공(13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면서 고정된다. 또한 결합공(130)이 열 십자(十) 형상인 경우, 고정부재(122)의 삽입방향에 대응하는 단면이 적어도 결합공(130)의 단면과 같거나 작은 방향으로 연장부재(121)를 비틀어 삽입되고 결합공(130)의 단면보다 큰 방향으로 연장부재(121)를 다시 원상태로 비틀어 고정부재(122)와 결합공(130)이 서로 간섭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120)는 연장부재(121)와 고정부재(122) 사이에 형성된 간섭홈(123)을 포함한다. 간섭홈(123)은 연장부재(121)의 일 단면보다 작은 단면으로 형성되어 고정부재(122)가 결합공(130)에 삽입된 후 결합공(130)의 내주면과 간섭되면서 고정부재(122)가 결합공(130)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컨대 간섭홈(123)의 폭은 플레이트(110)의 두께와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 이는 간섭홈(123)에 결합공(130)의 내주면인 플레이트(110)가 끼어서 보다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간섭홈(123)의 폭이 플레이트(11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포장재(100)는 플레이트(110) 상에 부착되는 보강 테이프(140)를 포함한다.
보강 테이프(140)는 플레이트(110) 상에서 연결부(120)가 절곡되어 돌출되는 부분에 부착된다. 물론 플레이트(110) 상면과 하면에서 연결부(120) 주변 양 면에 각각 부착될 수도 있다. 보강 테이프(140)는 플레이트(110) 상에서 절단 가공된 연결부(120)의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보강 테이프(140)는 관통홀(112)을 커버하도록 부착되어, 연결부(120)가 결합공(130)에 결합되어 인장되는 것을 방지하고, 관통홀(112) 주변에서 연결부(120)의 강성이 떨어지는 것을 보완한다. 이러한 보강 테이프(140)는 패브릭, 유리섬유, 탄소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강재가 길이방향을 따라서 구비된다. 물론 보강재는 연결부(120)가 인장되는 방향을 따라서 부착됨으로써 연결부(120)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장재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확대도이다. 이하에서 전기한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포장재(200)는 연결부(220)와 결합공(230)에 있어 차이점을 갖는다.
먼저 연결부(220)는 연장부재(221)와, 고정부재(222)로 구성된다. 또한 플레이트(110) 상에서 연결부(220)가 절단되고 연결된 부분에 인접하여 관통홀(112)이 구비된다.
이때 고정부재는 단부 모서리에 소정의 라운드가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공(230)에 삽입하기 용이하고, 결합방향으로 마찰이나 간섭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결합공은 대략 '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공은 고정부재(222)가 삽입되는 부분이 장공으로 형성되고, 장공에 삽입된 후 연장부재(221)를 회전하면 장공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단공에 연장부재(221)가 결합되면서 결합공(230) 상에 연결부(220)가 고정된다. 다시 말해, 연결부(220)는 결합공(230)에 결합되기 전에 약 90°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고정부재(222)가 장공으로 먼저 삽입된다. 그리고 연장부재(221)를 원래 상태로 반대 방향으로 90° 회전하면 단공 상에 연장부재(221)가 끼워지면서 연결부(220)와 결합공(230)의 결합이 완료된다. 또한 결합공(230)은 장공과 단공이 교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처리된다. 이는 연결부(220)가 장공에 삽입된 후 단공으로 회전하기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장재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장재(300)는 플레이트(110) 상에 구비된 연결부(320)에 있어 차이점을 갖는다.
연결부(320)는 플레이트로부터 일 단부가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재(321)와, 연장부재(321)의 양 측에 돌출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들(322, 323, 324)을 포함한다. 이러한 고정부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322)재 내지 제3고정부재(324)를 포함하며, 연장부재(321)의 길이 또는 제1고정부재(322) 내지 제3고정부재(324) 사이의 간격에 따라서 고정부재의 개수는 더 가감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20)는 전기한 실시예에서 기술한 연결부(120, 220)와 혼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연장부재(321)는 앞서 기재된 실시예의 연장부재(도 5 참조, 221)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설정된 길이마다 연장부재(321)의 양 측으로 고정부재가 복수개 마련된다. 즉 연장부재(321) 상에는 설정된 길이 별로 복수개의 고정부재가 양 측으로 돌출되며, 이때 설정된 길이는 동일한 길이인 단위 길이가 될 수도 있고, 물품의 사이즈 별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포장될 물품의 폭 또는 너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 대응하여 고정부재를 결합공(330)에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포장될 물품의 크기 또는 사이즈에 따라서 포장재(300)의 포장 폭을 가변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예컨대 포장될 물품의 폭이 작은 경우에는 제1고정부재(322)가 반대측에 마주하는 결합공(330)에 결합되어 비교적 작은 폭으로 포장이 이루어지고, 포장될 물품의 폭이 큰 경우에는 제2고정부재(324) 또는 제3고정부재(324)가 결합공(330)에 결합되어 비교적 큰 폭으로 포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제1고정부재(322)가 결합공(330)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제2고정부재(323) 내지 제3고정부재(324)가 먼저 결합공(330)에 삽입된 후 제1고정부재(322)가 결합공(33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제1고정부재(322)가 결합공(330)에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해서 제1고정부재(322) 이후 제2고정부재(323)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재(321)를 절단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포장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포장재(400)는 플레이트(110) 상에 구비된 연결부(420)와, 결합공(430)의 위치에 있어 차이점을 갖는다.
먼저, 연결부(420)는 플레이트(110)의 양 측에 각각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 돌출된다. 그리고 플레이트(110) 일 측의 연결부(420)와 서로 인접한 연결부 사이에는 복수개의 결합공(430)이 배치된다. 물론 마주하는 플레이트(110) 타 측의 연결부(420)와 서로 인접한 연결부 사이에도 복수개의 결합공(430)이 배치된다. 여기서 연결부(420)와 서로 인접한 연결부 사이에 배치된 결합공(430)의 수는 포장될 물품의 크기에 따라서 가감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연결부(420)의 간격 또한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110) 일 측의 연결부(420)와 마주하는 타 측에는 결합공(430)이 마련되고, 플레이트(110)의 양 측에 연결부(420)가 없는 부분에는 각각 결합공(430)이 배치된다. 여기서 연결부(420)가 플레이트(110) 상에서 절곡되는 부분은 결합공(430)의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설정된 간격으로 연결부(420)가 구비되고, 이들 사이에 결합공(430)이 더 많이 형성되면, 연결부(420)와 결합공(430)의 결합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부(420)가 플레이트(110) 상에서 돌출되도록 절곡되는 구조가 아니고, 연결부 주변에 플레이트(110)가 모두 제거된 구조를 취함으로써 연결부(420)를 절곡시킨 후 그 주변의 플레이트(110)로 인하여 포장될 물품이 간섭되거나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110)는 포장될 물품의 크기에 따라서 복수개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110)끼리의 연결은 패스너를 이용하여 연결하거나 또는 열 또는 압력을 이용하여 서로 부착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포장재에 의하면, 플레이트를 포장될 물품의 형상에 따라서 접거나 절곡할 수 있어 연결부를 대향하는 플레이트의 결합공에 삽입 고정시켜 물품의 크기나 형상에 제한받지 않도록 포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플레이트(110)는 물품의 사이즈에 따라서 압출 가공 후 절단되고, 연결부와 결합공 역시 물품의 사이즈와 형상에 따라서 간격과 크기를 조절하여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물품의 크기나 종류에 대응하여 적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부의 형상과 결합공의 위치 또는 개수를 조절하여 보다 정밀한 포장이 가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효과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된 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 포장재
110 : 플레이트 111 : 보강패턴
112 : 관통홀 120, 220, 320, 420 : 연결부
121 : 연장부재 122 : 고정부재
123 : 간섭홈 130, 230, 330, 430 : 결합공
140 : 보강 테이프

Claims (10)

  1. 일정 형상으로 절곡되어 포장될 물품의 외곽을 둘러 싸도록 포장하는 포장재에 있어서,
    일 방향으로 압출 성형되는 판재 형상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일부분이 절단되어 일체로 접철되며 상기 플레이트와 마주하도록 배치된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플레이트 상에 관통되어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면서 고정되도록 형성된 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 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마주하는 일 측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되면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압출방향을 따라서 양 측 모서리에 인접하여 나란히 상기 연결부와 결합공이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압출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가열 또는 가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부가 절단된 부분과 일체로 이어지는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연결부 또는 플레이트가 더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일 단부가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의 타 단부에 돌출되어 상기 결합공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장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장부재의 일 단면보다 작은 단면으로 마련되어 상기 결합공의 내주면과 간섭되는 간섭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일 단부가 일체로 형성된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 상에서 설정된 길이마다 상기 연장부재의 양 측으로 복수개 돌출되어 상기 결합공에 상기 설정된 길이 별로 선택적으로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양 측에는 각각 상기 연결부가 돌출되고, 상기 연결부와 서로 인접한 연결부 사이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결합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연결부 보다 큰 면적으로 부착되어 상기 연결부 형성 과정에서 동시 절단되는 보강 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 테이프는 상기 연결부가 결합공에 결합되어 인장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패브릭, 유리섬유, 탄소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보강재를 구비하며, 적어도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KR1020170096186A 2017-07-28 2017-07-28 포장재 KR101951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186A KR101951768B1 (ko) 2017-07-28 2017-07-28 포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186A KR101951768B1 (ko) 2017-07-28 2017-07-28 포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734A KR20190012734A (ko) 2019-02-11
KR101951768B1 true KR101951768B1 (ko) 2019-02-26

Family

ID=6536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186A KR101951768B1 (ko) 2017-07-28 2017-07-28 포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76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1597A (ja) * 2010-12-08 2012-06-28 The Pack Corp 包装用袋
KR101288800B1 (ko) * 2012-03-21 2013-07-23 평안제관주식회사 내구성이 향상된 포장용기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3738B1 (ko) * 2015-04-30 2017-08-02 유승민 휴대용 아로마 칩 포장상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21597A (ja) * 2010-12-08 2012-06-28 The Pack Corp 包装用袋
KR101288800B1 (ko) * 2012-03-21 2013-07-23 평안제관주식회사 내구성이 향상된 포장용기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734A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35932A (en) Cushion pad for packing breakable plate-like articles
US20100206942A1 (en) Corner lock board
KR102178634B1 (ko) 포장 상자용 테이프형 손잡이
KR101634308B1 (ko) 물품보호 기능이 강화된 포장상자
RU2020123275A (ru) Герметичная однодозовая открываемая прорывом упаковка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KR101951768B1 (ko) 포장재
EP3562748B1 (en) Reinforced box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box
EA002184B1 (ru) Упаковочный футляр
JP4804086B2 (ja) 段ボール製梱包体及びこれを備えた梱包装置
EP0908397A1 (en) Wrapping materials
JP2010202263A (ja) 容器
JP4307145B2 (ja) 引越用梱包具
JP7273526B2 (ja) 包装箱
JP7176865B2 (ja) 包装袋、包装材
JP2012251393A (ja) 養生材
JP6232766B2 (ja) ロービング集積物梱包体
JPH0722972U (ja) 段ボール製緩衝体
JP4276011B2 (ja) 包装材及び包装構造
JP4804085B2 (ja) 段ボール製梱包体及びこれを備えた梱包装置
KR100371912B1 (ko) 제품 포장구
KR200213174Y1 (ko) 제품 포장구
JP6078454B2 (ja) フィルムロールの端面保護具及びフィルムロール包装体
EP0293527B1 (en) Tubular package and end cap forming component of same
JPS607301Y2 (ja) 包装装置
JP3429201B2 (ja) 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