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481B1 -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시스템 및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시스템 및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481B1
KR101951481B1 KR1020170105231A KR20170105231A KR101951481B1 KR 101951481 B1 KR101951481 B1 KR 101951481B1 KR 1020170105231 A KR1020170105231 A KR 1020170105231A KR 20170105231 A KR20170105231 A KR 20170105231A KR 101951481 B1 KR101951481 B1 KR 101951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nsor
accelerator
generated
magnetic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규
Original Assignee
박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규 filed Critical 박철규
Priority to KR1020170105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4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6/021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60T17/221Procedure or apparatus for checking or keeping in a correct functioning condition of brak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sensors or parameter dete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20/00Monitoring, detecting driver behaviour; Signalling thereof; Counteracting thereof
    • B60T2220/04Pedal travel sensor, stroke sensor; Sensing brake reque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8Warnin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10Parameters related to the engine output, e.g. engine torque or engine speed
    • F02D2200/101Engine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동 후의 주행 중뿐만 아니라, 시동 전에도 급발진이 발생할 환경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예측 감시하여 급발진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주행 중일 경우에는 급발진 상황을 신속히 차단하여 급발진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시스템 및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급발진을 감시 제어하기 위한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으로서, 시동 스탠바이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시동 스탠바이 판단 단계; 상기 시동 스탠바이 판단 단계에서 시동 스탠바이 상태로 판단하는 경우, 브레이크 조작계열 센서와, 등속계열 센서 및 액셀러레이터 조작계열 센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시동 전 급발진 검출 단계; 및 상기 시동 전 급발진 검출 단계에서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청각적 및 시각적 고지 중 적어도 하나로 고지하는 고지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시스템 및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SUPERVISORY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UDDEN START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시스템 및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시동 후의 주행 중뿐만 아니라, 시동 전에도 급발진이 발생할 환경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예측 감시하여 급발진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주행 중일 경우에는 급발진 상황을 신속히 차단하여 급발진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시스템 및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급발진이란 시동상태에서 운전자의 가속 페달 및 변속 조작행위가 없는 상태에서도 차량이 스스로 전진하거나 후진하는 것을 말한다. 차량이 스스로 전진하거나 또는 후진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차량의 파손, 차량 운전자 및 급발진하는 차량 근처에서 보행중인 보행자가 위험한 상황에 직면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급발진이 발생하는 원인은 아직 명확하고 완전하게 규명되지는 않았으나, 운전자의 조작 오류, 차량 부속의 노후화와 불량 등을 추정하고 있다. 차량 부속의 노후와 결함으로 추정하는 경우에서는,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 및 전자제어장치(ECU)를 작동하게 하는 센서들의 노후화와 불량 등으로 인한 차량의 급발진을 추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흡기 공기 온도 센서(ATS: Air Temperature Sensor), 냉각 수온 센서(WTS: Water Teperature Sensor), 트로틀 포지션 센서(TPS: Throttle Position Sensor), 산소 센서 등의 노후화 및 불량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예컨대, 냉각 수온 센서(WTS)가 노후되거나 불량일 경우, 수온 감지가 안되고, 이 센서가 감지한 정보를 전달받은 전자제어장치(ECU)는 엔진의 온도를 낮게 판단하여 연료를 다량으로 분사시켜, 엔진의 회전수가 7000∼8000rpm까지 상승함으로써 급발진의 원인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서 전자제어 시스템으로 이루어진 자동변속기에 미치는 주변 전자파의 영향에 의해 액셀러레이터 페달 미작동상태에서도 차량이 급발진되어 사고로 이어지는 예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호출기, 휴대폰 등의 이동 통신수단의 보급이 급격히 증가됨에 따라 자동 변속차량의 급발진의 인한 사고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차량의 급발진에 의한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현재 기술로는 어떤 오류에 의해 오동작하는지 정확히 알 수 없는 실정이며, 지금까지 해결책으로 제시하고 있는 많은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들은 완벽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급발진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신속한 대처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5200호(2016.10.11. 공고)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9259호(2014.10.08. 공고) (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3409호(2010.11.09. 공고) (문헌 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4209호(2002.11.07.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중뿐만 아니라, 시동 전에도 급발진이 발생할 환경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예측 감시하여 급발진을 방지하고, 주행 중일 경우에는 급발진 상황을 신속히 차단하여 급발진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시스템 및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차량의 급발진을 감시 제어하기 위한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으로서, 차량의 시동 전 브레이크 관련 센서, 등속조인트 관련 센서 및 액셀러레이터 관련 센서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여 예측 급발진 상황을 고지하고, 차량의 시동 후 액셀러레이터 저항값과 엔진 회전수의 RPM값을 비교하여 상기 저항값과 RPM값의 차이가 설정값을 벗어나는 경우, 구동력 전달계통을 일시 또는 단계적으로 물리적 단속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차량의 급발진을 감시 제어하기 위한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으로서, 시동 스탠바이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시동 스탠바이 판단 단계; 상기 시동 스탠바이 판단 단계에서 시동 스탠바이 상태로 판단하는 경우, 브레이크 조작계열 센서와, 등속계열 센서 및 액셀러레이터 조작계열 센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시동 전 급발진 검출 단계; 및 상기 시동 전 급발진 검출 단계에서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청각적 및 시각적 고지 중 적어도 하나로 고지하는 고지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시동 전 급발진 검출 단계는 브레이크 마그네틱스위치의 릴리즈 센서(release sensor)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브레이크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을 감지하고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여 설정값을 벗어났는지를 판단하며, 브레이크 마그네틱스위치의 홀드 센서(hold sensor)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브레이크 조작계열 센서이상 판단 단계; 등속 마그네틱스위치의 개방동작 센서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등속 조인트클러치 개방 센서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등속 마그네틱 스위치의 폐쇄동작 센서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며, 등속 조인트클러치 폐쇄 센서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등속계열 센서이상 판단 단계; 및 액셀러레이터 마그네틱스위치의 릴리즈 센서(release sensor)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액셀러레이터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을 감지하고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여 설정값을 벗어났는지를 판단하며, 액셀러레이터 마그네틱스위치의 홀드 센서(hold sensor)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액셀러레이터 조작계열 센서이상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이 있어서, 상기 시동 전 급발진 검출 단계는 상기 브레이크 조작계열 센서이상 판단 단계, 등속계열 센서이상 판단 단계, 및 액셀러레이터 조작계열 센서이상 판단 단계 중 어느 하나의 판단 이후, 안전벨트 착용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지 단계는 스피커를 통한 청각적 및 계기판을 시각적 고지 중 적어도 하나로 고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 후 액셀러레이터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 및 엔진 회전수(RPM)의 RPM값을 실시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액셀러레이터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과 엔진 회전수(RPM)의 RPM값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설정값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검출된 액셀러레이터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과 엔진 회전수(RPM)의 RPM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설정값 이상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구동력 제어계통의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것을 포함하는 예측 급발진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예측 급발진 제어 단계는 차량 속도 및 차량과 타 물체와의 거리 정보를 판단하여, 차량 속도가 설정값 미만이고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범위 내에 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구동력 제어계통의 구동 전달을 일시적으로 단속하는 일시단속 제어모드를 실행하고, 차량 속도가 설정값 이상이고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범위 내에 물체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구동력 제어계통의 구동 전달을 단계적으로 단속하는 단계단속 제어모드를 실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일시단속 제어모드는 등속조인트 마그네틱스위치를 개방 동작시키고, 비상스위치를 점등시키며, 브레이크 마그네틱스위치를 일시 홀드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단계단속 제어모드는 등속조인트 마그네틱스위치를 개방 동작시키고, 비상스위치를 점등시키며, 브레이크 마그네틱스위치를 단계적으로 홀드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차량 키가 근접하여 소정 거리 내에 있는 것으로 검출하거나, 차량 키의 원격 조작으로 차량 도어 열림 신호가 검출되어 시동 스탠바이 상태임을 판단하는 시동 스탠바이 판단부; 상기 시동 스탠바이 판단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차량의 브레이크 조작계열의 센서를 점검하는 브레이크 조작계열 센서 점검부; 상기 시동 스탠바이 판단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차량의 등속계열의 센서를 점검하는 등속계열 센서 점검부; 상기 시동 스탠바이 판단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차량의 액셀러레이터 조작계열의 센서를 점검하는 액셀러레이터 조작계열 센서 점검부; 상기 각 센서 점검부로부터 이상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청각적 및 시각적 고지 중 적어도 하나로 고지하는 고지부; 차량 시동 후 액셀러레이터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을 실시간 감지 검출하는 저항값 검출부; 차량의 엔진 회전수의 RPM값을 검출하는 엔진회전수 검출부; 상기 저항값 검출부에서 검출된 저항값과 상기 엔진회전수 검출부에서 검출된 RPM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 판단부; 및 상기 비교 판단부에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구동력 제어계통의 동력전달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예측 급발진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조작계열 센서 점검부는 브레이크 마그네틱스위치의 릴리즈 센서(release sensor)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점검하고, 브레이크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을 감지하고 미리 설정된 저항 설정값과 비교하여 설정값을 벗어났는지를 점검하고, 브레이크 마그네틱스위치의 홀드 센서(hold sensor)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점검하며, 상기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하는 것으로 점검된 경우 상기 고지부로 고지제어신호를 전달하여 고지부가 실행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등속계열 센서 점검부는 등속 마그네틱스위치의 개방동작 센서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점검하고, 등속 조인트클러치 개방 센서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점검하고, 등속 마그네틱 스위치의 폐쇄동작 센서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점검하며, 등속 조인트클러치 폐쇄 센서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점검하여,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하는 것으로 점검된 경우, 상기 고지부로 고지제어신호를 전달하여 고지가 실행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액셀러레이터 센서 점검부는 액셀러레이터 마그네틱스위치의 릴리즈 센서(release sensor)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점검하고, 액셀러레이터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을 감지하고 미리 설정된 저항 설정값과 비교하여 설정값을 벗어났는지를 점검하고, 액셀러레이터 마그네틱스위치의 홀드 센서(hold sensor)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점검하여,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하는 것으로 점검된 경우, 상기 고지부(500)로 고지제어신호를 전달하여 고지부가 실행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브레이크 조작계열 센서 점검부, 등속계열 센서 점검부 및 액셀러레이터 조작계열 센서 점검부의 점검 동작 이후 또는 점검 동작과 동시에, 안전벨트 착용 여부를 검출하는 안전벨트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벨트 검출부에서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고지부로 고지제어신호를 전달하여 고지부가 실행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저항값 검출부는 액셀러레이터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을 실시간 감지하여 검출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엔진 회전수 검출부는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RPM값을 생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비교 판단부는 상기 액셀러레이터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과 엔진 회전수(RPM)의 RPM값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값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예측 급발진 제어부는 차량 속도 정보 및 차량과 주변 물체 간의 거리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속도가 설정값 미만이고 물체 정보가 있는 경우 구동력 제어계통의 동력전달을 차단하여 차량 정지에 대한 일시단속 제어모드를 실행하고, 차량 속도가 설정값 이상이고 물체 정보가 없는 경우 구동력 제어계통의 동력전달을 차단하여 차량 정지에 대한 단계단속 제어모드를 실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일시단속 제어모드는 등속조인트 마그네틱스위치를 개방 동작시키고, 비상스위치를 점등시키며, 브레이크 마그네틱스위치를 일시 홀드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단계단속 제어모드는 등속조인트 마그네틱스위치를 개방 동작시키고, 비상스위치를 점등시키며, 브레이크 마그네틱스위치를 단계적으로 홀드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시스템 및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은, 차량의 주행 중에 급발진 상황을 감시제어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시동 전에 급발진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한 환경을 실시간 자동 예측하고, 예측시 고지하여 급발진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중에 급발진 상황이 예측될 경우, 바로 고지함과 동시에 차량 정지를 일시 또는 단계적으로 실행하여 주변 상황에 맞는 제어를 통해 차량 정지로 인한 후속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중에 급발진이 예측 또는 발생하는 경우, 구동력 제어계통을 단속함으로써 구동력의 전달을 원천적으로 단속하여 확실한 예측 급발진 제어를 도모할 수 있고, 이에 부가하여 전자제어계통 및/또는 연료제어계통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확실한 급발진 발생상황을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시스템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의 시동 전 급발진 감시 제어 모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의 시동 전 급발진 감시 제어 모드에 포함되는 시동 전 급발진 감시 제어 모드의 브레이크 조작계열 센서 이상 유무의 판단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급발진 감시 제어 모드에 포함되는 시동 전 급발진 감시 제어 모드의 등속계열 센서 이상 유무의 판단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급발진 감시 제어 모드에 포함되는 시동 전 급발진 감시 제어 모드의 액셀러레이터 조작계열 센서 이상 유무의 판단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에서 주행중 급발진 감시제어 모드의 플로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에서 주행중 급발진 감시제어 모드에서 구동력 제어계통의 세부 제어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시스템 및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은 크게 시동 전 급발진 감시제어 모드 및 주행중 급발진 감시제어 모드로 구분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에서 시동 전 급발진 감시제어 모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의 시동 전 급발진 감시 제어 모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의 시동 전 급발진 감시 제어 모드에 포함되는 시동 전 급발진 감시 제어 모드의 브레이크 조작계열 센서 이상 유무의 판단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급발진 감시 제어 모드에 포함되는 시동 전 급발진 감시 제어 모드의 등속계열 센서 이상 유무의 판단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급발진 감시 제어 모드에 포함되는 시동 전 급발진 감시 제어 모드의 액셀러레이터 조작계열 센서 이상 유무의 판단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의 시동 전 급발진 감시 제어 모드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동 전 스탠바이 상태인지 여부, 다시 말해서 시동 스탠바이 상태 인지를 판단하는 시동 스탠바이 판단 단계(S100); 상기 시동 스탠바이 판단 단계(S100)에서 시동 스탠바이 상태로 판단하는 경우, 브레이크 조작계열 센서 이상 유무와, 등속계열 센서 이상 유무 및 액셀러레이터 조작계열 센서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시동 전 급발진 검출 단계(S210, S220, S230); 및 상기 시동 전 급발진 검출 단계(S210, S220, S230)에서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청각적 및/또는 시각적으로 고지하는 고지 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시동 스탠바이 판단 단계(S100)는 키 소유자(운전자)가 차량에 근접하여 소정 거리 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거나(스마트 키의 경우), 키의 원격 조작으로 차량 도어 열림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를 시동 스탠바이 상태로 판단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시동 전 급발진 검출 단계(S210, S220, S230)에서 브레이크 조작계열 센서 이상 유무의 판단(S210)은, 브레이크 마그네틱스위치의 릴리즈 센서(release sensor)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S211), 브레이크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을 감지하고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여 설정값을 벗어났는지를 판단하며(S212), 브레이크 마그네틱스위치의 홀드 센서(hold sensor)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S213)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브레이크 조작계열 센서 이상 유무의 판단(S210)에서 단계 S211 내지 S213의 과정은 순차적으로 실행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레이크 조작계열 센서 이상 유무의 판단(S210)에서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운전자에게 청각적 및/또는 시각적으로 고지하게 되고,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시동 스탠바이 단계(S100)로 복귀된다.
계속해서, 상기 시동 전 급발진 검출 단계(S210, S220, S230)에서 등속계열 센서 이상 유무의 판단(S220)은, 등속 마그네틱스위치의 개방동작 센서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S221), 등속 조인트클러치 개방 센서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S222), 등속 마그네틱 스위치의 폐쇄동작 센서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며(S223), 등속 조인트클러치 폐쇄 센서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S224)을 포함한다. 이러한 등속계열 센서 이상 유무의 판단(S220)에서 단계 S221 내지 S214의 과정은 순차적으로 실행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등속계열 센서 이상 유무의 판단(S220)에서 이상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운전자에게 청각적 및/또는 시각적으로 고지하게 되며, 검지 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시동 스탠바이 단계(S100)로 복귀된다.
계속해서, 상기 시동 전 급발진 검출 단계(S210, S220, S230)에서 액셀러레이터 조작계열 센서 이상 유무의 판단(S230)은, 액셀러레이터 마그네틱스위치의 릴리즈 센서(release sensor)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S231), 액셀러레이터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을 감지하고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여 설정값을 벗어났는지를 판단하며(S232), 액셀러레이터 마그네틱스위치의 홀드 센서(hold sensor)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S233)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액셀러레이터 조작계열 센서 이상 유무의 판단(S230)에서 단계 S231 내지 S233의 과정은 순차적으로 실행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셀러레이터 조작계열 센서 이상 유무의 판단(S210)에서 이상 신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운전자에게 청각적 및/또는 시각적으로 고지하게 되며, 이상 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시동 스탠바이 단계(S100)로 복귀된다.
여기에서, 상기 시동 전 급발진 검출 단계는 브레이크 조작계열 센서 이상 유무의 판단(S210), 등속계열 센서 이상 유무의 판단(S220) 및 액셀러레이터 조작계열 센서 이상 유무의 판단(S230) 중 어느 하나의 판단 이후, 탑승자 및 동승자를 감지하고 그 탑승자와 동승자의 안전벨트 착용 여부를 감지하여 안전벨트 착용이 이루어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청각적 및/또는 시각적으로 고지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지 단계(S300)는 차량 스피커를 통해 고지하거나, 계기판에 디스플레이하여 고지하거나, 이 두 방식 모두를 통해 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의 주행중 급발진 감시제어 모드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에서 주행중 급발진 감시제어 모드의 플로차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에서 주행중 급발진 감시제어 모드에서 구동력 제어계통의 세부 제어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의 주행중 급발진 감시제어 모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동 후 액셀러레이터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을 실시간 감지하여 검출하고, 엔진 회전수(RPM)의 RPM값을 검출하고(S410), 상기 검출된 액셀러레이터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과 엔진 회전수(RPM)의 RPM값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설정값의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판단하고(S420), 상기 검출된 액셀러레이터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과 엔진 회전수(RPM)의 RPM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설정값 이상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구동력 제어계통의 동력전달을 차단(바람직하게는, 자동 차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예측 급발진 제어 단계(S500)를 포함한다.
상기 검출된 액셀러레이터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과 엔진 회전수(RPM)의 RPM값의 차이에 대한 설정값은 8% 이내이며, 바람직하게는 5%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상기 예측 급발진 제어 단계(S500)는 차량 속도가 기준값 미만인지를 판단하며, 차량에 마련된 사물검출센서 또는 전방 차량들과의 거리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전후방의 물체가 소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510), 차량 속도가 설정값 미만이고 차량 전방의 소정 거리 내에 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차량의 구동력 제어계통의 구동 전달을 일시적으로 단속하는 일시단속 제어모드(S520)를 실행하고, 차량속도가 설정값 이상이고 차량 전방의 소정 거리 내에 물체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차량의 구동력 제어계통의 구동 전달을 단계적으로 단속하는 단계단속 제어모드(S530)를 실행한다.
상기 일시단속 제어모드(S520)는 등속조인트 마그네틱스위치를 개방 동작시키고, 비상스위치를 점등시키며, 브레이크 마그네틱스위치를 일시 홀드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계단속 제어모드(S530)는 등속조인트 마그네틱스위치를 개방 동작시키고, 비상스위치를 점등시키며, 브레이크 마그네틱스위치를 단계적으로 홀드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 마그네틱스위치의 단계적 홀드 동작은, 예를 들면 동작 압력을 70%에서 15%로, 15%에서 0%(정지)와 같이 두 단계 또는 그 이상의 단계로 홀딩 정도를 달리하여 단계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예측 급발진 제어 단계(S500)에서 급발진이 예측되는 경우라도, 차량의 속도와 차량 전후방의 물체 존재 여부를 파악하여 그에 적정한 정지 단속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가 놀라지 않게 최대한 배려함과 동시에, 주변 상황도 고려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예측 급발진 제어(S500)의 일시단속 제어 모드(S520)는 상기한 시동 전 급발진 감시제어모드에서 고지 단계(S300)와 동시에 또는 고지 단계 이후 실행될 수 있도록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시동 전 급발진 감시제어모드에 운전자에게 고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또는 고지 단계의 오작동으로 고지가 안 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차량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예측 급발진 제어(S500)에서 구동력 제어계통의 예로, 등속조인트 마그네틱 스위치와 브레이크 마그네틱스위치를 예시로 설명하고 있지만, 구동력을 전달하는 계통에서 기계적 전달부에서의 구동력 전달을 해제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부가적인 기계적 수단의 구성을 통해 구동력 전달을 물리적으로 해제, 차단, 단속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시스템을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시스템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키가 근접하여 소정 거리 내에 있는 것으로 검출하거나, 차량 키의 원격 조작으로 차량 도어 열림 신호가 검출되어 시동 전 스탠바이 상태임을 판단하는 시동 스탠바이 판단부(100); 상기 시동 스탠바이 판단부(100)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차량의 브레이크 조작계열의 센서(들)를 점검하는 브레이크 조작계열 센서 점검부(200); 상기 시동 스탠바이 판단부(100)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차량의 등속계열의 센서(들)를 점검하는 등속계열 센서 점검부(300); 상기 시동 스탠바이 판단부(100)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차량의 액셀러레이터 조작계열의 센서(들)를 점검하는 액셀러레이터 조작계열 센서 점검부(400); 상기 각 센서 점검부(200, 300, 400)로부터 이상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운전자에게 청각적 및/또는 시각적으로 고지하는 고지부(500); 차량 시동 후 액셀러레이터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을 실시간 감지 검출하는 저항값 검출부(600); 차량의 엔진 회전수의 RPM값을 검출하는 엔진회전수 검출부(700); 상기 저항값 검출부(600)에서 검출된 저항값과 상기 엔진회전수 검출부(700)에서 검출된 RPM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 판단부(800); 및 상기 비교 판단부(800)에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구동력 제어계통의 동력전달을 차단(바람직하게는, 자동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예측 급발진 제어부(900);를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 조작계열 센서 점검부(200)는, 브레이크 마그네틱스위치의 릴리즈 센서(release sensor)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점검하고, 브레이크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을 감지하고 미리 설정된 저항 설정값과 비교하여 설정값을 벗어났는지를 점검하고, 브레이크 마그네틱스위치의 홀드 센서(hold sensor)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점검하며, 상기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하는 것으로 점검된 경우 상기 고지부(500)로 고지제어신호를 전달하여 고지부(500)가 실행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브레이크 조작계열 센서 점검부(200)의 점검 순서는 상기한 순서로 실행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등속계열 센서 점검부(300)는 등속 마그네틱스위치의 개방동작 센서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점검하고, 등속 조인트클러치 개방 센서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점검하고, 등속 마그네틱 스위치의 폐쇄동작 센서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점검하며, 등속 조인트클러치 폐쇄 센서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점검하여,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하는 것으로 점검된 경우, 상기 고지부(500)로 고지제어신호를 전달하여 고지부(500)가 실행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등속계열 센서 점검부(300)의 점검 순서는 상기한 순서로 실행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상기 액셀러레이터 센서 점검부(400)는 액셀러레이터 마그네틱스위치의 릴리즈 센서(release sensor)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점검하고, 액셀러레이터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을 감지하고 미리 설정된 저항 설정값과 비교하여 설정값을 벗어났는지를 점검하고, 액셀러레이터 마그네틱스위치의 홀드 센서(hold sensor)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점검하여,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하는 것으로 점검된 경우, 상기 고지부(500)로 고지제어신호를 전달하여 고지부(500)가 실행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시스템은 상기 브레이크 조작계열 센서 점검부(200), 등속계열 센서 점검부(300) 및 액셀러레이터 조작계열 센서 점검부(400)의 점검 동작 이후 또는 점검 동작과 동시에,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 여부를 검출하는 안전벨트 검출부(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벨트 검출부(150)에서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고지부(500)로 고지제어신호를 전달하여 고지부(500)가 실행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지부(500)는 차량 스피커를 통해 음향으로 고지하거나, 계기판에 디스플레이하여 고지하도록 이루어지거나, 이 두 방식 모두를 통해 고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저항값 검출부(600)는 차량의 시동 후 액셀러레이터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을 실시간 감지하여 검출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엔진 회전수 검출부(700)는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RPM값을 생성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비교 판단부(800)는 상기 액셀러레이터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과 엔진 회전수(RPM)의 RPM값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값의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비교 판단부(800)는 검출된 액셀러레이터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과 엔진 회전수(RPM)의 RPM값의 차이에 대한 기준값을 8% 이내, 바람직하게는 5% 이내를 벗어나는지 판단하도록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상기 예측 급발진 제어부(900)는 차량 속도 정보 및 차량 전방과 주변 물체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속도가 설정값 미만이고 물체 정보가 있는 경우 차량 정지에 대한 일시단속 제어모드를 실행하고, 차량 속도가 설정값 이상이고 물체 정보가 없는 경우 차량 정지에 대한 단계단속 제어모드를 실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예측 급발진 제어부(900)의 일시단속 제어모드 및 단계단속 제어모드는 차량의 구동력 제어계통의 구동 전달을 일시 또는 단계적으로 단속하는 것으로, 일시단속 제어모드는 등속조인트 마그네틱스위치를 개방 동작시키고, 비상스위치를 점등시키며, 브레이크 마그네틱스위치를 일시 홀드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단계단속 제어모드는 등속조인트 마그네틱스위치를 개방 동작시키고, 비상스위치를 점등시키며, 브레이크 마그네틱스위치를 단계적으로 홀드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 마그네틱스위치의 단계적 홀드 동작은, 예를 들면 동작 압력을 70%에서 15%로, 15%에서 0%(정지)와 같이 두 단계 또는 그 이상의 단계로 홀딩 정도를 달리하여 단계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예측 급발진 제어부(900)에서 구동력 제어계통의 예로, 등속조인트 마그네틱 스위치와 브레이크 마그네틱스위치를 예시로 설명하고 있지만, 구동력을 전달하는 계통에서 기계적 전달부에서의 구동력 전달을 자동 해제하도록 제어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부가적인 기계적 수단의 구성을 통해 해당 부가 기계적 수단을 제어하여 구동력 전달을 물리적으로 해제, 차단, 단속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예측 급발진 제어부(900)는 상기한 고지부의 동작과 동시 또는 그 이후에 실행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시동 전 급발진 감시제어모드에 운전자에게 고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또는 고지부의 오작동으로 고지가 안 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차량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시스템 및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에서 상기한 동력 전달계통의 자동 단속은, 동력 연료원의 관점에서 내연 기관의 차량뿐만 아니라 전기 차량 등 다양한 연료원을 갖는 차량에 채용될 수 있고, 변속 메커니즘의 관점에서 오토 미션이나 CVT(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변속 시스템을 갖는 차량에도 채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시스템 및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은, 차량의 주행 중에 급발진 상황을 감시제어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시동 전에 급발진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한 환경을 실시간 자동 예측하고, 예측시 고지하여 급발진 발생을 원천적으로 자동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급발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중에 급발진 상황이 예측될 경우, 바로 고지함과 동시에 차량 정지를 일시 또는 단계적으로 실행하여 주변 상황에 맞는 제어를 통해 차량 정지로 인한 후속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중에 급발진이 예측 또는 발생하는 경우, 구동력 제어계통을 단속함으로써 구동력의 전달을 원천적으로 단속하여 확실한 예측 급발진 제어를 도모할 수 있고, 이에 부가하여 전자제어계통 및/또는 연료제어계통을 차단하는 시스템과 연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확실한 급발진 발생상황을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시스템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시동 스탠바이 판단부
200: 브레이크 조작계열 센서 점검부
300: 등속계열 센서 점검부
400: 액셀러레이터 조작계열 센서 점검부
500: 고지부
600: 저항값 검출부
700: 엔진회전수 검출부
800: 비교 판단부
900: 예측 급발진 제어부
S100: 시동 스탠바이 판단 단계
S210: 브레이크 조작계열 센서 이상 판단 단계
S220: 등속계열 센서 이상 판단 단계
S230: 액셀러레이터 조작계열 센서 이상 판단 단계
S300: 고지 단계
S410: 저항값 검출 및 RPM 단계
S420: 저항값과 RPM의 설정값 판단 단계
S500: 예측 급발진 제어 단계
S510: 차량속도 및 물체 존재 판단 단계
S520: 일시단속 제어모드 단계
S530: 단계단속 제어모드 단계

Claims (11)

  1. 삭제
  2. 차량의 급발진을 감시 제어하기 위한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으로서,
    시동 스탠바이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시동 스탠바이 판단 단계;
    상기 시동 스탠바이 판단 단계에서 시동 스탠바이 상태로 판단하는 경우, 브레이크 조작계열 센서와, 등속계열 센서 및 액셀러레이터 조작계열 센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시동 전 급발진 검출 단계; 및
    상기 시동 전 급발진 검출 단계에서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청각적 및 시각적 고지 중 적어도 하나로 고지하는 고지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동 전 급발진 검출 단계는
    브레이크 마그네틱스위치의 릴리즈 센서(release sensor)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브레이크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을 감지하고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여 설정값을 벗어났는지를 판단하며, 브레이크 마그네틱스위치의 홀드 센서(hold sensor)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브레이크 조작계열 센서이상 판단 단계;
    등속 마그네틱스위치의 개방동작 센서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등속 조인트클러치 개방 센서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등속 마그네틱 스위치의 폐쇄동작 센서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며, 등속 조인트클러치 폐쇄 센서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등속계열 센서이상 판단 단계; 및
    액셀러레이터 마그네틱스위치의 릴리즈 센서(release sensor)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액셀러레이터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을 감지하고 미리 설정된 설정값과 비교하여 설정값을 벗어났는지를 판단하며, 액셀러레이터 마그네틱스위치의 홀드 센서(hold sensor)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액셀러레이터 조작계열 센서이상 판단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동 전 급발진 검출 단계는 상기 브레이크 조작계열 센서이상 판단 단계, 등속계열 센서이상 판단 단계, 및 액셀러레이터 조작계열 센서이상 판단 단계 중 어느 하나의 판단 이후, 안전벨트 착용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지 단계는 스피커를 통한 청각적 및 계기판을 통한 시각적 고지 중 적어도 하나로 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차량의 시동 후 액셀러레이터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 및 엔진 회전수(RPM)의 RPM값을 실시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액셀러레이터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과 엔진 회전수(RPM)의 RPM값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설정값의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검출된 액셀러레이터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과 엔진 회전수(RPM)의 RPM값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설정값 이상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구동력 제어계통의 동력전달을 단속하는 것을 포함하는 예측급발진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측 급발진 제어 단계는
    차량 속도 및 차량과 타 물체와의 거리 정보를 판단하여, 차량 속도가 설정값 미만이고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범위 내에 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구동력 제어계통의 구동 전달을 일시적으로 단속하는 일시단속 제어모드를 실행하고, 차량 속도가 설정값 이상이고 거리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 범위 내에 물체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구동력 제어계통의 구동 전달을 단계적으로 단속하는 단계단속 제어모드를 실행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일시단속 제어모드는 등속조인트 마그네틱스위치를 개방 동작시키고, 비상스위치를 점등시키며, 브레이크 마그네틱스위치를 일시 홀드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단계단속 제어모드는 등속조인트 마그네틱스위치를 개방 동작시키고, 비상스위치를 점등시키며, 브레이크 마그네틱스위치를 단계적으로 홀드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
  6. 삭제
  7. 삭제
  8. 차량 키가 근접하여 소정 거리 내에 있는 것으로 검출하거나, 차량 키의 원격 조작으로 차량 도어 열림 신호가 검출되어 시동 스탠바이 상태임을 판단하는 시동 스탠바이 판단부;
    상기 시동 스탠바이 판단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차량의 브레이크 조작계열의 센서를 점검하는 브레이크 조작계열 센서 점검부;
    상기 시동 스탠바이 판단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차량의 등속계열의 센서를 점검하는 등속계열 센서 점검부;
    상기 시동 스탠바이 판단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근거하여 차량의 액셀러레이터 조작계열의 센서를 점검하는 액셀러레이터 조작계열 센서 점검부;
    상기 각 센서 점검부로부터 이상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청각적 및 시각적 고지 중 적어도 하나로 고지하는 고지부;
    차량 시동 후 액셀러레이터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을 실시간 감지 검출하는 저항값 검출부;
    차량의 엔진 회전수의 RPM값을 검출하는 엔진회전수 검출부;
    상기 저항값 검출부에서 검출된 저항값과 상기 엔진회전수 검출부에서 검출된 RPM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여부를 판단하는 비교 판단부; 및
    상기 비교 판단부에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구동력 제어계통의 동력전달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예측 급발진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조작계열 센서 점검부는 브레이크 마그네틱스위치의 릴리즈 센서(release sensor)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점검하고, 브레이크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을 감지하고 미리 설정된 저항 설정값과 비교하여 설정값을 벗어났는지를 점검하고, 브레이크 마그네틱스위치의 홀드 센서(hold sensor)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점검하며, 상기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하는 것으로 점검된 경우 상기 고지부로 고지제어신호를 전달하여 고지부가 실행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등속계열 센서 점검부는 등속 마그네틱스위치의 개방동작 센서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점검하고, 등속 조인트클러치 개방 센서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점검하고, 등속 마그네틱 스위치의 폐쇄동작 센서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점검하며, 등속 조인트클러치 폐쇄 센서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점검하여,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하는 것으로 점검된 경우, 상기 고지부로 고지제어신호를 전달하여 고지가 실행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액셀러레이터 조작계열 센서 점검부는 액셀러레이터 마그네틱스위치의 릴리즈 센서(release sensor)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점검하고, 액셀러레이터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을 감지하고 미리 설정된 저항 설정값과 비교하여 설정값을 벗어났는지를 점검하고, 액셀러레이터 마그네틱스위치의 홀드 센서(hold sensor)에 의해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되었는지를 점검하여, 이상 감지 신호가 발생하는 것으로 점검된 경우, 상기 고지부(500)로 고지제어신호를 전달하여 고지부가 실행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브레이크 조작계열 센서 점검부, 등속계열 센서 점검부 및 액셀러레이터 조작계열 센서 점검부의 점검 동작 이후 또는 점검 동작과 동시에, 안전벨트 착용 여부를 검출하는 안전벨트 검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벨트 검출부에서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고지부로 고지제어신호를 전달하여 고지부가 실행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저항값 검출부는 액셀러레이터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을 실시간 감지하여 검출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엔진 회전수 검출부는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RPM값을 생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비교 판단부는 상기 액셀러레이터계 퍼텐셔미터(potentiometer)의 저항값과 엔진 회전수(RPM)의 RPM값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값의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예측 급발진 제어부는 차량 속도 정보 및 차량과 주변 물체 간의 거리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속도가 설정값 미만이고 물체 정보가 있는 경우 구동력 제어계통의 동력전달을 차단하여 차량 정지에 대한 일시단속 제어모드를 실행하고, 차량 속도가 설정값 이상이고 물체 정보가 없는 경우 구동력 제어계통의 동력전달을 차단하여 차량 정지에 대한 단계단속 제어모드를 실행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일시단속 제어모드는 등속조인트 마그네틱스위치를 개방 동작시키고, 비상스위치를 점등시키며, 브레이크 마그네틱스위치를 일시 홀드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단계단속 제어모드는 등속조인트 마그네틱스위치를 개방 동작시키고, 비상스위치를 점등시키며, 브레이크 마그네틱스위치를 단계적으로 홀드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70105231A 2017-08-21 2017-08-21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시스템 및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 KR101951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231A KR101951481B1 (ko) 2017-08-21 2017-08-21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시스템 및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231A KR101951481B1 (ko) 2017-08-21 2017-08-21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시스템 및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1481B1 true KR101951481B1 (ko) 2019-05-08

Family

ID=66580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231A KR101951481B1 (ko) 2017-08-21 2017-08-21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시스템 및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481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7358A (ja) * 1997-11-27 1999-06-15 Denso Corp 車間距離制御装置
KR19990068538A (ko) * 1999-06-01 1999-09-06 이승현 자동변속차량의급발진제동장치및그제어방법
KR200294209Y1 (ko) 2002-07-24 2002-11-07 주식회사 아이텍코 급발진 방지용 연료제어장치
JP2008254506A (ja) * 2007-04-02 2008-10-23 Toyota Motor Corp シートベルト着用システム、シートベルト着用促進方法
KR100993409B1 (ko) 2010-06-03 2010-11-09 박종식 차량의 급발진방지시스템
KR101449259B1 (ko) 2012-12-31 2014-10-08 김진민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KR101665200B1 (ko) 2014-11-03 2016-10-11 김진민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7358A (ja) * 1997-11-27 1999-06-15 Denso Corp 車間距離制御装置
KR19990068538A (ko) * 1999-06-01 1999-09-06 이승현 자동변속차량의급발진제동장치및그제어방법
KR200294209Y1 (ko) 2002-07-24 2002-11-07 주식회사 아이텍코 급발진 방지용 연료제어장치
JP2008254506A (ja) * 2007-04-02 2008-10-23 Toyota Motor Corp シートベルト着用システム、シートベルト着用促進方法
KR100993409B1 (ko) 2010-06-03 2010-11-09 박종식 차량의 급발진방지시스템
KR101449259B1 (ko) 2012-12-31 2014-10-08 김진민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KR101665200B1 (ko) 2014-11-03 2016-10-11 김진민 차량의 급발진 사고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0357B2 (en) Motor vehicle that acquires driving power for running from high voltage power supply
JPH09160643A (ja) 車両用診断システム
JP2003161194A (ja) エンジン制御装置
JP2007025782A (ja) 車車間通信による走行支援装置
JP4084318B2 (ja) 緊急ブレーキ装置
JPH1144230A (ja) 車両におけるエンジンの自動停止及び始動装置
KR20170060931A (ko) 긴급자동제동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51481B1 (ko)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시스템 및 차량 급발진 감시제어 방법
CN107499133B (zh) 电动汽车加速踏板开度的控制方法、装置和电动汽车
KR102320893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급발진 방지 장치 및 방법
JP4626088B2 (ja) 自動車の高電圧系遮断装置
CN112659892A (zh) 一种车辆异常断电熄火的应急控制方法、装置及车辆
JP2970032B2 (ja) 車両用走行制御装置
CN111942287A (zh) 车辆的控制方法、控制装置和存储介质
US1138369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gine start during refueling of hybrid vehicle
JP2583534B2 (ja) 車両用定速走行装置
CN112810610A (zh) 一种弯道驾驶控制方法、装置、设备及汽车
US2019006181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ps control to cope with power source problem of vehicle
JPH06307274A (ja) 異常監視装置
JP2018065524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KR19990059882A (ko) 차선이탈 경보장치
JP2003009303A (ja) 自動車の高電圧系遮断装置
KR101460309B1 (ko) 배터리 공급 전류차단 기능을 포함한 긴급제동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0285921A (ja) エンジン自動停止及び自動始動装置
CN116674565A (zh) 一种新能源车辆驾驶失知监测系统及控制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