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498B1 - 액체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액체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498B1
KR101950498B1 KR1020180083173A KR20180083173A KR101950498B1 KR 101950498 B1 KR101950498 B1 KR 101950498B1 KR 1020180083173 A KR1020180083173 A KR 1020180083173A KR 20180083173 A KR20180083173 A KR 20180083173A KR 101950498 B1 KR101950498 B1 KR 101950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apparatus
sealing member
liquid sterilization
liqui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민선
Original Assignee
심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민선 filed Critical 심민선
Priority to KR1020180083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액체살균장치(1)는, 수조안에 안착되며, 일정 간격으로 용수가 원활히 통과되도록 복수개의 통공(11)이 형성된 몸체(10); 몸체(10)의 상단에 조립 설치되며, 기밀 및 누전 방지를 위한 밀폐부재(20); 밀폐부재(20)의 상단에 조립 설치되며, 전원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액체살균장치를 밀폐 보호하는 커버(30); 및 밀폐부재(20)의 하단에 조립 설치되며, 방수소켓(50)의 전선(51)이 연결되어 전자식으로 이온을 발생하여 세균을 살균 처리하고 미생물, 이끼류의 생장을 억제시키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봉(40);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액체살균장치를 냉각탑 수조안에 기타의 설치작업이 필요 없이 간단히 넣어서 안착시킬 수 있고, 전극봉의 재충전시 매우 편리하게 제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액체살균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체살균장치{Liquid sterilization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각탑수조, 분수대연못, 수영장, 양식장, 온천, 목욕탕 등에 설치되어 용수중에 일정량의 은 및 구리이온을 방출하여 박테리아 및 각종 세균류(레지오넬라균외 다수)를 살균하는 액체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살균장치를 냉각탑 수조안에 기타의 설치작업이 필요 없이 간단히 넣어서 안착시킬 수 있고, 전극봉의 재충전시 매우 편리하게 제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액체살균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아래선등록 특허등록 제0807679호를 개량 발명한 것임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주지하다시피 쿨링 타워를 비롯하여 음료수 시스템과 실내외 수영장 및 산업계 수처리장치에서 유통되는 물의 각종 조류와 박테리아 등을 살균하고 소독하는 중금속 정화공정에 의해 물을 정화하게 된다.
쿨링 타워를 비롯하여 음료수 시스템과 실내외 수영장 및 산업계 수처리장치에서 활성화된 조류나 박테리아를 제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황산구리(CuSo4)나 염소 살균제 등의 약품을 투여하여 실시하였으나, 염소 살균제를 투여하는 경우에는 염소 유기화합물이 부산물로 생성되어 또 다른 2차 오염원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오존을 이용하여 살균하게 되면 살균에 필요한 설비 및 유지 관리비용이 극심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장치로서 금속을 이용한 살균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는, 합금(구리/은)으로 된 두 개의 전극을 물이 유통되는 유통관의 내부에 마주보게 설치하고, 직류전기를 가하면 양측 전극에서 구리와 은 이온을 용출하여 살균하는 장치로서, 전극의 내면에서부터 이온이 용출되면서 미세하게 마모되며, 마모가 심하여 이온농도가 점진적으로 감소하게 되면 전극을 교체하게 된다.
상기한 종래 기술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선행기술자료1과 같이 개발되어으나, 이 역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종래 플랜지 연결형 은동이온살균장치는 배관에 접합하여 설치하는 방식으로, 수처리장치 제작 비용과 수처리장치 설치비용이 동등하게 드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플랜지 연결형 은동이온 수처리장치는 설치할 장소의 메인 배관을 절단하여 바이패스 형식으로 설치함에 엘보, 티, 밸브, 플랜지 등 재료비와 시공비 등의 경비가 필수적으로 발생되기 때문에 비경제적인 문제점으로 지적 되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 기술의 플랜지 연결형 은동이온 수처리장치는 메인관에서 탈착하거나 장치를 분해하여야만 청소가 가능하며, 시간적으로 많이 소요되어야 조립 및 원래 상태로 복구되어 운전가능하기 때문에 비경제적인 문제점으로 지적 되었댜.
특히 종래 기술의 플랜지 형식일 경우, 기기를 탈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은동봉 관체를 재충진할 때 불편하다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들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07679호(2008. 02. 20)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422284호(2004. 02. 27)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85036호(2001. 09. 07)가 공개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59188호(2001. 12. 18)가 등록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액체살균장치는 몸체와 밀폐부재, 커버와 전극봉 그리고 방수소켓과 컨트롤유닛이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액체살균장치를 냉각탑수조, 분수대연못, 수영장, 양식장, 온천, 목욕탕 등에 설치하여 용수중에 일정량의 은 및 구리이온을 방출하여 박테리아 및 각종 세균류(레지오넬라균외 다수)를 살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특히 액체살균장치를 냉각탑 수조안에 기타의 설치작업이 필요 없이 간단히 넣어서 안착시킬 수 있고, 전극봉의 재충전시 매우 편리하게 제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4목적은 완성된 액체살균장치를 냉각탑 수조안에 기타의 설치 작업이 필요없이 자연상태로 넣어 안착함으로써 완성되기 때문에 기타의 설치비용이 필요 없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성능 또한 냉각탑 내 수조에서 직접 은동 이온이 발생 생산되어 잔존되기 때문에 이끼류, 레이오넬라균 살균 효과면에 있어서도 살균성능이 매우 뛰어나도록 한 것이며, 제6목적은 액체살균장치의 탈부착이나 분해하지 않고 현상태에서 뒤집거나 뉘어서 전극봉을 손쉽게 청소할 수 있어서 시간적으로 인건비 등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7목적은 액체살균장치의 전극봉을 본연의 상태로 재충진하기 때문에 쉽고 편리하게 충진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이점이 있도록 한 것이며, 제8목적은 전극봉의 청소를 용이하고 쉽게 할 수 있어 획기적으로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9목적은 이로 인해 액체살균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액체살균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용수중에 일정량의 은 및 구리이온을 방출하여 박테리아 및 세균류를 살균하는 액체살균장치를 제공하되, 상기 액체살균장치는, 수조안에 안착되며, 일정 간격으로 용수가 원활히 통과되도록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몸체; 몸체의 상단에 조립 설치되며, 기밀 및 누전 방지를 위한 밀폐부재; 밀폐부재의 상단에 조립 설치되며, 전원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액체살균장치를 밀폐 보호하는 커버; 및 밀폐부재의 하단에 조립 설치되며, 방수소켓의 전선이 연결되어 전자식으로 이온을 발생하여 세균을 살균 처리하고 미생물, 이끼류의 생장을 억제시키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봉;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살균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액체살균장치는 몸체와 밀폐부재, 커버와 전극봉 그리고 방수소켓과 컨트롤유닛이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액체살균장치를 냉각탑수조, 분수대연못, 수영장, 양식장, 온천, 목욕탕 등에 설치하여 용수중에 일정량의 은 및 구리이온을 방출하여 박테리아 및 각종 세균류(레지오넬라균외 다수)를 살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액체살균장치를 냉각탑 수조안에 기타의 설치작업이 필요 없이 간단히 넣어서 안착시킬 수 있고, 전극봉의 재충전시 매우 편리하게 제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완성된 액체살균장치를 냉각탑 수조안에 기타의 설치 작업이 필요없이 자연상태로 넣어 안착함으로써 완성되기 때문에 기타의 설치비용이 필요 없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성능 또한 냉각탑 내 수조에서 직접 은동 이온이 발생 생산되어 잔존되기 때문에 이끼류, 레이오넬라균 살균 효과면에 있어서도 살균성능이 매우 뛰어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살균장치의 탈부착이나 분해하지 않고 현상태에서 뒤집거나 뉘어서 전극봉을 손쉽게 청소할 수 있어서 시간적으로 인건비 등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액체살균장치의 전극봉을 본연의 상태로 재충진하기 때문에 쉽고 편리하게 충진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이점이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전극봉의 청소를 용이하고 쉽게 할 수 있어 획기적으로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액체살균장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작업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액체살균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액체살균장치의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액체살균장치의 저면도로,
(a)는 전극봉 1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전극봉 2개를 나타낸 것이고,
(c)는 전극봉 3개를 나타낸 것이며,
(d)는 전극봉 4개를 나타낸 것이고,
(e)는 전극봉 5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액체살균장치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액체살균장치를 냉각탑 수조 안에 적용하여 사용
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6 의 (a)는 종래 액체살균장치 설치 전 냉각탑 수조상태를 보인 사진이
고,
(b)는 본 발명 액체살균장치 설치 후 냉각탑 수조상태를 보인 사진
이다.
본 발명에 적용된 냉각탑수조, 분수대연못, 수영장, 양식장, 온천, 목욕탕 등에 설치되어 용수중에 일정량의 은 및 구리이온을 방출하여 박테리아 및 각종 세균류(레지오넬라균외 다수)를 살균하는 액체살균장치는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은 용수중에 일정량의 은 및 구리이온을 방출하여 박테리아 및 세균류를 살균하는 액체살균장치(1)를 제공하되, 상기 액체살균장치(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수조안에 안착되며, 일정 간격으로 용수가 원활히 통과되도록 복수개의 통공(11)이 형성된 몸체(10)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조립 설치되며, 기밀 및 누전 방지를 위한 밀폐부재(2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밀폐부재(20)의 상단에 조립 설치되며, 전원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액체살균장치를 밀폐 보호하는 커버(30)가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밀폐부재(20)의 하단에 조립 설치되며, 방수소켓(50)의 전선(51)이 연결되어 전자식으로 이온을 발생하여 세균을 살균 처리하고 미생물, 이끼류의 생장을 억제시키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봉(40)이 포함된 액체살균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몸체(10)의 재질은 녹 방지용 SUS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전극봉(40)은 은, 동 합금 재질로 이루어지되 4각 또는 다각 또는 원형 바(BAR)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처리용량에 따라 전극봉의 길이를 조정하여 제작할 수 있고, 특히 처리량에 비례하여 전극봉의 수량을 조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적용된 체결구(23)는 커버(30)와 밀폐부재(20) 그리고 몸체(10)를 상호 결합시키게 되고, 부호 26 오링과, 부호 21 오링은 각각 누전 및 누수를 방지할 목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몸체(10)는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형성되어 액체살균장치(1)가 수조 안에서 넘어지지 않고 안정감 있게 안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커버(30)의 상단 외주면은 상부에서 떨어지는 낙수로부터 액체살균장치(1)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만곡부(31)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밀폐부재(20)의 하단에는 각각의 전극봉(40)을 긴밀히 잡아주는 락킹홈(21)이 형성되고, 각 전극봉(40)의 상단에는 밀폐부재(20)를 관통한 체결구(22)가 전극봉(40)을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전극봉(40)의 하단은 수조의 바닥면으로부터 1~2㎝ 이격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살균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전극봉의 하단이 바닥면으로부터 1㎝ 이하일 경우에는 전극에 의해 수조 바닥을 뚫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2㎝ 이상일 경우에는 용수의 양이 적을 경우 전극봉이 용수에 담겨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상기 전극봉은 수조 하단으로부터 1~2㎝ 이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밀폐부재(20)는 누전 및 방수를 위해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짐은 물론 이 외의 누진 및 방수를 위한 다른 재질로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전선(51)에는 액체살균장치(1)의 전체 기능을 컨트롤 제어하는 컨트롤유닛(60)이 연결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컨트롤유닛(60)은 운전편의를 위해 다음과 같은 기능이 이 있다.
즉, 파워 온/오프 감시가 가능하고, 아날로그 타입의 입력 전압계기판을 부착하고, 사용하고자하는 시간을 조정하는 24시간 타이머를 부착하고, ION용출 온/오프 감시가 가능하고, 가동시점, 정지시점을 설정할 수 있고, 출력 DC 볼테이지를 표시하는 디지털타입 또는 아날로그 타입으로 하고, 전극에 이온 용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 전극봉의 발란스 조절 타이머가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냉각탑수조, 분수대연못, 수영장, 양식장, 온천, 목욕탕 등에 설치되어 용수중에 일정량의 은 및 구리이온을 방출하여 박테리아 및 각종 세균류(레지오넬라균외 다수)를 살균하는 액체살균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액체살균장치를 냉각탑 수조안에 기타의 설치작업이 필요 없이 간단히 넣어서 안착시킬 수 있고, 전극봉의 재충전시 매우 편리하게 제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액체살균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액체살균장치(1)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액체살균장치(1)의 저면도로,
(a)는 전극봉(40) 1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전극봉(40) 2개를 나타낸 것이고, (c)는 전극봉(40) 3개를 나타낸 것이며, (d)는 전극봉(40) 4개를 나타낸 것이고, (e)는 전극봉(40) 5개를 나타낸 것으로, 용수의 담수량에 따라서 은동합금봉의 전극봉 수량을 증감할 수 있도록 은동합금봉을 1개조, 2개조, 3개조, 4개조, 5개조로 증감하여 냉각탑 용량에 따라 담수량 100%의 용수를 은동 이온량 0.4 ppm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액체살균장치(1)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액체살균장치(1)를 냉각탑(100) 수조(110) 안에 적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5 와 같은 상태에서 컨트롤유닛(60)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밀폐부재(20)의 하단에 설치된 각 전극봉(4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전극봉(40)에 전원이 공급되면 수조안의 물이 몸체(10)의 통공(11)을 통해 통과하는 과정에서 전극봉(40)에는 저전압으로 다운된 직류전원이 공급되고, 전원이 공급되는 전극봉(40)이 가동되면서 은 이온과 구리 이온을 각각 방출하고, 은과 구리는 극히 미세하게 소명(감소)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극봉(40) 중에서 은 전극에서 발생하는 은 이온에 의해서는 유통되는 물의 세균발육 저지효과를 얻게 되고, 구리 전극에서 발생하는 구리 이온에 의해서는 박멸효과를 얻게 되며, 따라서 은 이온과 구리 이온에 의해 유통되는 물의 각종 조류와 박테리아 등을 살균하고 소독하는 중금속 정화공정에 의해 물이 정화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전극봉(40)은 이온봉으로 오존 산화력으로 살균하고, 은이온과 동이온을 자동으로 만들어 물속에 투입하여 세포막을 방해하고 각종 세균을 살균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밀폐부재(20)의 각 전극봉(40)에 일정한 시간 동안 전원을 공급하여 물을 정화시키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전원의 극성을 자동화시스템 등을 이용한 자동장치에 의해 전환시켜 전극봉(40)의 극성을 변환시킨 상태에서 가동시켜 물을 정화시키며, 이와 같이 전극봉(40)의 극성을 일정한 시간마다 변환시키면서 물을 정화시키도록 함으로써 전극봉(40)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액체살균장치(1)에 구비된 전극봉을 특정 시간 동안 가동시켜 전극봉(40)을 교체시킬 수 있다.
즉, 체결구(23)를 풀어 커버(30)와 몸체(10)를 각각 분리하고, 체결구(22)를 풀어 락킹홈(21)에 끼워진 전극봉(40)을 각각 분리하면 간단히 전극봉을 분리할 수 있게 되고, 반대로 상기 작동의 역순으로 작동하게 되면 간단히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전극봉(40)을 용이하게 효체한 후에 재차 가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결과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살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 것으로, 도 6 의 (a)는 종래에 액체살균장치 설치 전 냉각탑 수조상태를 보인 사진으로, 냉각탑 수조가 이끼로 완전히 뒤덥여 미관뿐 아니라 수질오염으로 심한 악취를 발생하는 상태를 보였다.
반면, 도 6 (b)는 본 발명 액체살균장치(1) 설치 후 냉각탑 수조상태를 보인 사진으로, 은동이온 살균장치를 가동 후 약25일 경과된 상태로 수조를 뒤덥고 있던 이끼가 제거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액체살균장치(1)는 전극봉(40)의 청소가 용이하고 손쉽게 할 수 있어 획기적인 인건비 절약과 매우 경제적이고 편리한 장치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극봉(40)을 재충진시 몸체의 탈부착하는 공정없이 간편하게 충진시킬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 액체살균장치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액체살균장치
10: 몸체
20: 밀폐부재
30: 커버
40: 전극봉
50: 방수소켓
60: 컨트롤유닛

Claims (7)

  1. 용수중에 일정량의 은 및 구리이온을 방출하여 박테리아 및 세균류를 살균하는 액체살균장치를 제공하되,
    상기 액체살균장치는,
    수조안에 안착되며,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형성되어 액체살균장치가 수조 안에서 넘어지지 않고 안정감 있게 안착되도록 하고, 일정 간격으로 용수가 원활히 통과되도록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에 조립 설치되며, 기밀 및 누전 방지를 위한 밀폐부재;
    상기 밀폐부재의 하단에는 각각의 전극봉을 긴밀히 잡아주는 락킹홈이 형성되고, 각 전극봉의 상단에는 밀폐부재를 관통한 체결구가 전극봉을 고정시키고,
    상기 밀폐부재의 상단에 조립 설치되며, 전원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액체살균장치를 밀폐 보호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부에서 떨어지는 낙수로부터 액체살균장치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만곡부;
    상기 밀폐부재의 하단에 조립 설치되며, 방수소켓의 전선이 연결되어 전자식으로 이온을 발생하여 세균을 살균 처리하고 미생물, 이끼류의 생장을 억제시키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봉; 및 상기 전극봉의 하단은 수조의 바닥면으로부터 1~2㎝ 이격되고,
    상기 전선에는 액체살균장치의 전체 기능을 컨트롤 제어하는 컨트롤유닛;이 포함되되, 상기 컨트롤 유닛은, 파워 온/오프 감시가 가능하고, 아날로그 타입의 입력 전압계기판을 부착하고, 사용하고자 하는 시간을 조정하는 24시간 타이머를 부착하고, ION용출 온/오프 감시가 가능하고, 가동시점, 정지시점을 설정할 수 있고, 출력 DC 볼테이지를 표시하는 디지털타입 또는 아날로그 타입으로 하고, 전극에 이온 용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 전극봉의 발란스 조절 타이머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살균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누전 및 방수를 위해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살균장치.
  7. 삭제
KR1020180083173A 2018-07-17 2018-07-17 액체살균장치 KR101950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173A KR101950498B1 (ko) 2018-07-17 2018-07-17 액체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173A KR101950498B1 (ko) 2018-07-17 2018-07-17 액체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0498B1 true KR101950498B1 (ko) 2019-05-02

Family

ID=66581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173A KR101950498B1 (ko) 2018-07-17 2018-07-17 액체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49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8364U (ja) * 1999-09-07 2000-05-12 日本イオン株式会社 金属イオン及び塩素による液体の殺菌殺藻装置
KR100259188B1 (ko) 1998-03-18 2000-06-15 이종수 다기능검안장치
KR20010085036A (ko) 2001-07-24 2001-09-07 김유창 이온 발생과 이온치 제어를 통한 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422284B1 (ko) 1995-11-28 2004-05-31 오스테크 리미티드 액체살균장치
JP2006305483A (ja) * 2005-04-28 2006-11-09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イオン水発生装置
KR100807679B1 (ko) 2007-12-14 2008-02-28 심재문 이온살균장치
KR101460270B1 (ko) * 2014-05-21 2014-11-13 정자용 수중 부상형 구리이온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284B1 (ko) 1995-11-28 2004-05-31 오스테크 리미티드 액체살균장치
KR100259188B1 (ko) 1998-03-18 2000-06-15 이종수 다기능검안장치
JP3068364U (ja) * 1999-09-07 2000-05-12 日本イオン株式会社 金属イオン及び塩素による液体の殺菌殺藻装置
KR20010085036A (ko) 2001-07-24 2001-09-07 김유창 이온 발생과 이온치 제어를 통한 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JP2006305483A (ja) * 2005-04-28 2006-11-09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イオン水発生装置
KR100807679B1 (ko) 2007-12-14 2008-02-28 심재문 이온살균장치
KR101460270B1 (ko) * 2014-05-21 2014-11-13 정자용 수중 부상형 구리이온 발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7508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urification of water
US4525272A (en) Electrochemical ionization system for purifying water
US393636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water oligodynamically
KR101308124B1 (ko) 정수기 내부 유로의 살균장치
KR100634760B1 (ko) 과전위전극 전해셀을 이용한 살균산화수 제조장치
KR100359480B1 (ko) 살균소독기능이 부가된 수칫솔 장치
KR101950498B1 (ko) 액체살균장치
JP5595214B2 (ja) 殺菌水供給システム
JPH0615276A (ja) 水の電解消毒方法及び流水形水電解式消毒器
JP2020076134A (ja) オゾン水生成装置
KR101237050B1 (ko) 전기분해식 오존발생장치
KR200353265Y1 (ko) 소독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KR100807679B1 (ko) 이온살균장치
US20170036926A1 (en) Water Sanitizing System
JPH0889969A (ja) 用水の浄化方法及び浄化装置
KR100830147B1 (ko) 전해셀과 초음파를 이용한 자외선복합살균기
JPH07163982A (ja) 貯留水の電解消毒装置
DE102006013628A1 (de) Verfahren zur Verminderung mikrobiologischer Belastungen in Wasserspeichern, Leitungssystemen, Wasserentnahmeeinrichtungen und Klimasystemen
JPH02227182A (ja) 水殺菌装置
KR20010085036A (ko) 이온 발생과 이온치 제어를 통한 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TWM566287U (zh) Faucet disinfection water manufacturing device
JP2000117257A (ja) 生活排水利用装置
JPH0515998Y2 (ko)
JPH10128334A (ja) 水処理装置及び方法とそれに用いる複極式固定床型電極電解槽とアース電極の設置方法
JP3921212B2 (ja) 浄化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