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703B1 - 고인물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고인물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703B1
KR101949703B1 KR1020170055502A KR20170055502A KR101949703B1 KR 101949703 B1 KR101949703 B1 KR 101949703B1 KR 1020170055502 A KR1020170055502 A KR 1020170055502A KR 20170055502 A KR20170055502 A KR 20170055502A KR 101949703 B1 KR101949703 B1 KR 101949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ejector
belt
exten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1152A (ko
Inventor
이기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055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703B1/ko
Publication of KR20180121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상에 고인물을 제거하는 고인물 제거 장치로서, 벨트의 상부에 위치 가능하고, 내부 공간을 가지며, 내부 공간으로 고인물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연장 방향의 양 끝단이 개구된 흡입기 및 고인물이 상기 흡입기 내부로 흡입 가능하게 상기 흡입기에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흡입기와 연결된 이젝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젝터를 구비하는 흡입 구동 유닛을 이용하여 벨트 상에 고인물을 흡입하여 제거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수동으로 실시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고인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벨트를 들어올려 고인물을 낙하시키지 않으므로, 원료탄의 손실을 막을 수 있다.

Description

고인물 제거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water staying on a belt}
본 발명은 고인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belt) 상부의 고인물을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는 고인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등의 원료로 사용되는 원료탄은 야드(yard)에 적재되어 있다가,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에 의해 목적지 예컨대, 호퍼로 수송된다.
그런데, 야드에 설치되는 벨트 컨베이어는 덮개(cover) 또는 지붕이 없기때문에, 우천시에는 벨트 위에 빗물이 고이게되고, 이에 따라 원료탄 수송에 어려움이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시린더를 이용하여 벨트를 위로 들어올려 고인물을 낙하시켰다. 그런데 이때 고인물이 높이가 낮은 쪽으로 흘러 내려가는 힘에 의하여, 벨트 상에 있는 원료탄도 함께 흘러 내려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벨트로부터 원료탄의 손실없이 고인물만 제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KR20020044239A
본 발명은 원료탄을 이송시키는 벨트(belt) 상부의 고인물을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는 고인물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인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벨트(belt) 상부의 고인물을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는 고인물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원료탄의 손실없이 고인물을 제거할 수 있는 고인물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벨트 상에 고인물을 제거하는 고인물 제거 장치로서, 상기 벨트의 상부에 위치 가능하고,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 공간으로 고인물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연장 방향의 양 끝단이 개구된 흡입기 및 고인물이 상기 흡입기 내부로 흡입 가능하게 상기 흡입기에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흡입기와 연결된 이젝터;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기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상기 벨트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연장 방향의 양 끝단인 일단 및 타단이 개구된 형상의 흡입 바디; 및 각각이 상기 흡입 바디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흡입 바디의 내부 공간의 양 가장자리의 하부에 각기 위치되며, 양 끝단이 개구된 형상의 제 1 및 제 2 흡입 배관;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기는 상기 흡입 바디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흡입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 바디 내 상부벽 및 하부벽과 이격되도록 설치된 분할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바디의 내부 공간은 상기 분할 부재에 의해 상기 분할 부재의 하측 공간인 제 1 공간과, 상기 분할 부재의 상측 공간인 제 2 공간으로 분할 구획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흡입 배관은 상기 제 1 공간의 양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 바디의 일단 및 타단의 개구와 연통된다.
상기 분할 부재에는 상기 제 1 흡입 배관과 제 2 흡입 배관 사이 영역에 상기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홀이 마련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흡입 배관 각각이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하 방향 또는 상기 흡입 바디의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분할 부재는 상기 연통홀 주변벽이 상기 연통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형상이다.
상기 분할 부재 중 상기 연통홀 주변벽이 상기 연통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있어서, 곡률을 가지는 형상이다.
일단이 상기 흡입기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젝터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기로 흡입된 고인물을 상기 이젝터로 전달하는 배출 이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젝터는, 상기 배출 이송부의 타단과 연결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체 및 상기 배출 이송부로부터 전달된 고인물의 이동이 가능한 유로가 내부에 마련된 구동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는, 연장 방향의 일단이며,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 상기 연장 방향의 타단이며, 유체 및 고인물이 배출되는 출구; 상기 입구로부터 출구 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제 1 유로; 상기 제 1 유로의 종료 지점에서부터 출구 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제 2 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 이송부의 타단은 상기 이젝터의 제 1 유로와 직접 연통되도록 연결되거나, 상기 유로의 입구와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배출 이송부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기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부 및 상기 흡입기를 상하 방향 이동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 이송부는 수평 방향 연장부와, 상하 방향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방향 연장부의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 이동부의 동작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제 1 신축관; 및 상기 상하 방향 연장부의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부의 동작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제 2 신축관;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기로 벨트 상의 고인물을 흡입하는 작업 시에, 상기 흡입기가 상기 이젝터에 비해 높이가 높도록 조절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부에 피처리물을 적재하여, 목적지를 향해 이송되는 벨트 상에 고인물을 제거하는 고인물 제거 방법으로서, 내부 공간을 가지고, 연장 방향의 양 끝단이 개구된 흡입기를 벨트 상부에 안착시키는 과정; 상기 흡입기와 연결된 이젝터를 동작시켜 상기 흡입기에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벨트 상에 고인물을 상기 흡입기 내부로 흡입시키는 과정; 및 상기 흡입기 내부로 흡입된 고인물을 상기 이젝터 내부로 흡입시킨 후,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기와 연결된 이젝터를 동작시켜 상기 흡입기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데 있어서, 입구로부터 출구 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제 1 유로 및 제 1 유로의 종료 지점에서부터 출구 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제 2 유로를 가지는 상기 이젝터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이젝터 내부의 압력을 낮춰, 상기 이젝터와 연결된 흡입기의 압력을 낮추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기 내부로 흡입된 고인물을 상기 이젝터 내부로 흡입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흡입기로 흡입된 고인물을 상기 흡입기와 이젝터 사이를 연결하는 배출 이송로를 통해 상기 이젝터로 이송시킨다.
상기 흡입기를 벨트 상부에 안착시키는 과정은, 상기 배출 이송로를 상승시켜, 상기 흡입기가 상기 벨트에 비해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과정; 상기 배출 이송로를 수평 이동시켜, 상기 흡입기가 벨트 상측에 대응 위치하도록 하는 과정; 및
상기 배출 이송로를 하강시켜, 상기 흡입기를 상기 벨트 상부에 안착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 이송로를 하강시켜, 상기 흡입기를 상기 벨트 상부에 안착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가 상기 흡입기에 비해 낮게 위치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젝터를 구비하는 흡입 구동 유닛을 이용하여 벨트 상에 고인물을 흡입하여 제거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수동으로 실시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고인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벨트를 들어올려 고인물을 낙하시키지 않으므로, 원료탄의 손실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컨베이어 설비의 벨트 상의 고인물을 제거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인물 제거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흡입기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기의 단면도
도 5는 도 3의 A-A'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흡입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젝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고인물 제거 장치의 상하 방향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고인물 제거 장치의 수평 방향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벨트(belt) 상부의 고인물을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는 고인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료탄을 이송시키는 벨트(belt) 상부의 고인물을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는 고인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컨베이어 설비의 벨트 상의 고인물을 제거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인물 제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벨트 상에 위치되는 흡입기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흡입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젝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고인물 제거 장치의 상하 방향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고인물 제거 장치의 수평 방향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원료탄을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장치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설비로서, 간략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컨베이어 설비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부에 원료탄의 적재가 가능한 벨트(B), 벨트(B)의 연장 방향으로 나열되어 상호 이격 배치되어, 상부에 원료탄이 적재된 벨트(B)를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캐리어 롤러(1100), 복수의 캐리어 롤러(1100)의 하측에서 벨트(B)의 연장 방향으로 나열되어 상호 이격 배치되어, 목적지에 원료탄을 낙하시킨 빈 벨트(B)를 다시 야드(yard)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리턴 롤러(1200)를 포함한다.
또한, 컨베이어 설비는 각각이 캐리어 롤러(110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캐리어 롤러(1100)와 리턴 롤러(1200) 사이에서 복수의 캐리어 롤러(1100)의 나열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나열 설치된 복수의 캐리어 롤러 스탠드(1500), 일단이 캐리어 롤러 스탠드(15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캐리어 롤러(1100)에 연결되어 캐리어 롤러(1100)를 지지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캐리어 롤러 지지대(1300),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리턴 롤러(1200)의 양 측 방향에 위치되는 리턴 롤러 스탠드(1600), 일단이 리턴 롤러(1200)에 고정되고, 타단이 리턴 롤러(1200)에 연결되어, 리턴 롤러(1200)를 지지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리턴 롤러 지지대(1400)를 포함한다.
벨트(B)는 야드의 원료탄을 목적지 예컨대 호퍼(hopper)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예컨대, 수 km의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벨트(B)는 야드로부터 호퍼 방향으로 이송되어 원료탄을 호퍼에 장입한 후에, 다시 호퍼로부터 야드를 향해 이송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벨트(B) 중, 상부에 원료탄이 적재된 상태로 복수의 캐리어 롤러(1100) 상에 지지되어 목적지 예컨대, 호퍼를 향해 이동중인 영역을 캐리어 벨트(B1), 호퍼에 원료탄을 장입한 후에, 원료탄이 없는 빈 상태로 다시 야드를 향해 되돌아 오는 영역을 리턴 벨트(B2)라 명명한다.
또한, 벨트(B)는 야드로부터 호퍼의 위치까지 연장 형성되는데, 야드로부터 호퍼의 위치 중 일부 영역 또는 위치의 높이가 낮도록 배치된다. 다른 말로 하면, 벨트(B)는 야드로부터 호퍼가 위치한 방향으로 일 소정 위치로부터 다른 일 소정 위치 사이의 영역에서 하향 경사지다가 다시 상향 경사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벨트(B)가 야드로부터 호퍼로 연장된 방향에 있어서, 하향 경사지다가 상향 경사지는 변곡점의 위치가 다른 위치에 비해 높이가 낮다. 이때, 적어도 캐리어 롤러(1100)에 의해 이송되는 캐리어 벨트(B1)가 야드로부터 호퍼가 위치한 방향으로 일 소정 위치로부터 다른 일 소정 위치 사이의 영역에서 하향 경사지다가 다시 상향 경사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벨트(B) 중에서, 높이가 가장 낮은 위치에 물이 고이게 된다. 다른 말로 하면, 캐리어 벨트(B1) 중에서 일 소정 위치로부터 다른 일 소정 위치 사이의 영역에서 하향 경사지다가 다시 상향 경사지는 변곡점(P) 및 상기 변곡점의 주위 영역에 물이 고이게 되며, 이를 고인물이라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벨트(B) 보다 구체적으로는 캐리어 벨트(B1) 영역 중, 일 소정 위치 사이의 영역에서 하향 경사지다가 다시 상향 경사지는 변곡점 및 상기 변곡점의 주위 영역을 물이 고이는 고임 영역이라 명명한다.
캐리어 롤러(1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롤러(1110), 제 1 롤러(1110)의 양측에 배치되어 각각 상향 경사지도록 설치된 제 2 및 제 3 롤러(1120, 1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롤러(1110)는 제 2 및 제 3 롤러(1120, 1130)와는 다르게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또는 경사 없이 배치되며, 제 2 및 제 3 롤러(1120, 1130) 각각은 제 1 롤러(1110)의 위치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캐리어 롤러(1100) 상에 벨트(B)가 지지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B)는 제 1 롤러(1110)에 지지된 영역으로부터 양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벨트(B)는 야드로부터 호퍼가 위치한 방향으로 일 소정 위치로부터 다른 일 소정 위치 사이의 영역에서 하향 경사지다가 다시 상향 경사지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해, 야드로부터 호퍼의 위치까지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의 캐리어 롤러(1100)가 나열 설치되는데 있어서, 일 소정 위치로부터 다른 일 소정 위치 사이의 영역에서 하향 경사지다가 다시 상향 경사지도록 복수의 캐리어 롤러가 나열 설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캐리어 롤러(1100)가 제 1 내지 제 3 롤러(1110, 1120, 1130)로 분할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설비의 캐리어 롤러(1100), 캐리어 롤러 스텐드(1500), 캐리어 롤러 지지대(1300), 리턴 롤러(1200), 리턴 롤러 지지대(1400), 리턴 롤러 스텐드(1600)의 설치 구조 및 구성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컨베이어 설비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고인물 제거 장치(2000)는 벨트(B) 중에서, 물이 고이는 영역 즉, 고인물 영역에 설치되어 물을 흡수하고 이를 외부로 배출한다. 실시예에 따른 고인물 제거 장치(2000)는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를 이용하여 벨트의 고인물 영역에 고인 물을 흡입시키고, 이를 이송시켜 배수로(2800)로 배출한다.
실시예에 따른 고인물 제거 장치(2000)는 벨트(B)의 연장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벨트(B)의 연장 경로 중에서 고임 영역에 설치되어, 고임 영역의 물을 흡입하는 흡입기(2100), 흡입기(2100)로 고인물의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 구동 유닛(2200), 흡입기(2100)와 흡입 구동 유닛(2200)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흡입 구동 유닛(2200)으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을 흡입기(2100)로 제공하고, 흡입기(2100)로 흡입된 고인물을 흡입 구동 유닛(2200)으로 이송시키며, 수평 방향 및 상하 신축이 가능한 배출 이송부(2300), 배출 이송부(2300)와 연결되어 배출 이송부(2300)를 신장 또는 수축시킴으로써, 흡입기의 수평 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수평 이동부(2400), 배출 이송부(2300)와 연결되어 배출 이송부(2300)를 신장 또는 수축시킴으로써, 흡입기의 상향 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승하강부(2500)를 포함한다.
또한, 고인물 제거 장치(2000)는 흡입 구동 유닛(2200)의 하측에 대응 위치되어, 흡입 구동 유닛(2200)으로부터 배출된 고인물을 받아 이송시키는 배수로(2800) 및 배수로(2800)의 상측 개구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상부에 흡입 구동 유닛(2200)이 지지 설치되는 지지부(2700)를 포함한다.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기(2100)는 벨트(B)와 대응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 공간을 가지며, 양측이 개구된 형상의 흡입 바디(2110), 흡입 바디(2110) 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고인물이 내부로 흡입되는 흡입부(2120)를 포함한다.
흡입 바디(2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벨트(B)와 대응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며, 그 길이는 고임 영역의 길이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흡입 바디(2110)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형상이며, 연장 방향의 양 끝단은 고인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 이때, 흡입 바디(2110)의 양 끝단 각각이 높이 방향으로 전체가 개구될 수도 있고, 후술되는 흡입부(2120)와 대응하는 위치만 개구되고, 나머지는 폐쇄되는 형상일 수도 있다.
흡입 바디(2110)의 형상은 원통형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 공간을 가지며, 양 끝단이 개구된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흡입부(2120)는 흡입 바디(2110) 내부에서 상기 흡입 바디(2110)와 대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이를 기준으로 흡입 바디(2110) 내부를 상하 방향의 2개의 공간(제 1 공간(2110a) 및 제 2 공간(2110b))으로 분할하면서, 하측 공간인 제 1 공간(2110a)과 상측 공간인 제 2 공간(2110b)의 연통하는 연통홀(2121a)이 마련된 분할 부재(2121), 흡입 바디(2110)의 제 1 공간에서, 상기 제 1 공간(2110a)의 연장 방향의 양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고인물이 흡입 또는 유입되는 흡입 배관(2122)을 포함한다.
흡입 배관(2122)은 흡입 바디(2110)와 대응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연장 방향의 양 끝단이 개구되고, 고인물의 이동이 가능한 형상으로, 예컨대 일종의 파이프(pipe)일 수 있다. 흡입 배관(2122)은 고인물이 이동 가능한 통로인 동시에, 흡입기(2100) 외부의 원료탄 또는 불순물들이 흡입기(2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흡입 배관(2122)은 그 내경이 10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mm 이하가 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입 배관(2122)은 흡입 바디(2110) 내부에서 상기 흡입 바디(2110)의 연장 방향의 양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즉, 흡입 바디(2110) 내부에서 일측 가장자리 및 타측 가장자리 각각에 흡입 배관(2122)이 설치된다. 다른 말로 하면, 흡입 배관(2122)은 분할 부재(2121)의 하측 또는 제 1 공간(2110a)에서 분할 부재(2121) 또는 제 1 공간(2110a)의 연장 방향의 일측 가장자리 및 타측 가장자리 각각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흡입 바디(2110)의 양측 가장자리 중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흡입 배관을 제 1 흡입 배관(2122a), 타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흡입 배관을 제 2 흡입 배관(2122b)이라 명명한다.
제 1 및 제 2 흡입 배관(2122a, 2122b) 각각 양 끝단 중 일단은 흡입 바디(2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흡입 바디(2110) 외부의 고인물이 흡입 배관(2122)의 일단으로 통해 유입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흡입 배관(2122b) 각각의 타단은 제 1 공간(2110a) 중, 제 1 흡입 배관(2122a)과 제 2 흡입 배관(2122b) 사이의 공간과 연통된다. 이에, 제 1 및 제 2 흡입 배관(2122a, 2122b) 각각의 일단으로부터 유입된 고인물이 상기 제 1 및 제 2 흡입 배관(2122b) 각각의 타단을 통해 상기 제 1 흡입 배관과 제 2 흡입 배관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된다.
제 1 및 제 2 흡입 배관(2122a, 2122b) 각각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층으로 적층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제 1 및 제 2 흡입 배관(2122a, 2122b) 각각은 복수개가 아닌 하나로 마련될 수도 있다.
분할 부재(21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바디(2110) 내부에서 제 1 흡입 배관(2122a)의 위치로부터 제 2 흡입 배관(2122b)의 위치 또는 흡입 바디(211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장 형성된 판 형상이며, 흡입 바디(2110)의 상부벽과 하부벽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분할 부재(2121)는 흡입 바디(2110) 내부의 상부벽 및 하부벽과 이격되며, 이에, 흡입 바디(2110)의 내부는 분할 부재(2121)에 의해 높이 방향(또는 상하 방향)으로 2개의 공간으로 분할되는데, 분할 부재(2121)와 흡입 바디 내 하부벽 사이의 공간인 제 1 공간(2110a)과, 분할 부재(2121)와 상부벽 사이의 공간인 제 2 공간(2110b)으로 분할된다. 또한, 분할 부재(2121) 중 적어도 제 1 흡입 배관(2122a) 및 제 2 흡입 배관(2122b)과 대응하는 영역 또는 부분은 제 1 및 제 2 흡입 배관(2122a, 2122b) 각각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다른 말로 하면, 분할 부재(2121) 중 그 연장 방향의 양 가장자리가 제 1 및 제 2 흡입 배관(2122a, 2122b) 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연장 설치된다. 이에, 제 1 및 제 2 흡입 배관(2122b)은 흡입 바디(2110) 내부의 양 가장자리에서, 분할 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분할 부재(21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흡입 바디(2110) 내부에서 제 1 흡입 배관(2122a)의 위치로부터 제 2 흡입 배관(2122b)의 위치까지 연장 형성되는데, 제 1 흡입 배관(2122a)의 타단과 제 2 흡입 배관(2122b)의 타단 사이의 영역에 제 1 공간(2110a)과 제 2 공간(2110b)을 연통시키는 연통홀(2121a)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연통홀(2121a)은 분할 부재(2121) 상에서, 제 1 흡입 배관(2122a)의 타단과 제 2 흡입 배관(2122b)의 타단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분할 부재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연통홀(2121a)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분할 부재(212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분할 부재(2121)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도 5에 도시된 변형예와 같이, 연통홀(2121a)의 하측에서 상기 연통홀(2121a)과 연결되도록 별도의 통로(2121b)가 마련될 수 있다.
다른 말로 하면, 분할 부재(2121)은 연통홀(2121a) 주변벽이 상기 연통홀(2121a)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형상일 수 있으며, 연통홀(2121a)과 연통된 상기 주변벽 내부 공간이 통로(2121b)이다. 통로(2121b)는 상하 방향 또는 제 1 공간(2110a)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되어 있고, 상측 개구는 연통홀(2121a)과 연통되고, 하측 개구는 흡입 바디(2110) 내 하부벽과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통로(2121b)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연장되는데 있어서, 하단으로부터 중간 지점까지 갈수록 내경이 점차 좁아지다가, 중간 지점으로부터 상단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넓어지는 형상일 수 있다. 이에 통로(2121b)는 곡률을 가지는 형상이 된다.
이러한 통로(2121b)에 의하면, 제 1 공간의 고인물이 제 2 공간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흡입기(2100)가 흡입 바디(2110) 내부에 분할 부재(2121) 및 흡입 배관(2122)이 마련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흡입 바디(2110) 내부에 분할 부재(2121) 및 흡입 배관(2122)이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흡입기(2100)가 흡입 바디(2110)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흡입 바디(2110)의 양 끝단을 개구하는데 있어서, 흡입 구동 유닛에 의한 흡입력에 의해 흡입 바디(2110)로 고인물이 흡입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흡입 바디(2110)의 내경을 실시예에 비해 줄이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흡입 구동 유닛(2200)은 흡입기(2100)에 고인물의 흡입이 가능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펌핑 수단으로, 실시예에서는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벨트(B) 상의 고인물을 흡입기(2100)로 흡입시키는 흡입력과, 흡입기(2100)로 흡입된 고인물을 흡입 구동 유닛의 이젝터로 흡입시키는 흡입력을 제공한다.
흡입 구동 유닛(2200)은 유체 및 고인물의 이동이 가능한 통로 또는 유로를 가지는 이젝터(2210), 이젝터(2210)의 일단에 연결되어 이젝터(2210)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관(2220), 이젝터(2210)의 타단에 연결되어 이젝터(2210) 내부로 유입된 유체 및 고인물을 흡입하는 배출관(2230)을 포함한다. 또한, 유체 공급관(2220)이 연장 경로 상에 설치되어 유체 공급관(2220)과 이젝터(2210) 간의 연통을 제어하는 밸브(2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젝터(2210)는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여 이동시켜, 유체의 흐름 속도를 가변시키고, 내부의 압력을 가변시키는 벤츄리 효과를 이용하여, 벨트(B) 상의 고인물을 흡입기(2100)로 흡입시키는 흡입력과, 흡입기로 흡입된 고인물을 흡입 구동 유닛의 이젝터로 흡입시키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이젝터(2210)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배출 이송부(2300)와 연결되고, 내부에 유체 및 고인물의 이동이 가능한 유로(2212)가 마련된 구동 바디(2211), 유체 공급관과 구동 바디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노즐(2213)을 포함한다.
구동 바디(2211)는 내부에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유로(2212)가 마련되어 있으며, 연장 방향의 일측 및 타측이 개구된 형상이다. 여기서 구동 바디(2211)의 일측 개구는 유체 예컨대 스팀(steam)이 유입되는 입구(2212c)로서, 유체 공급관(2220)과 연결되고, 구동 바디(2211)의 타측 개구는 스팀(steam)이 배출되는 출구(2212d)이다.
구동 바디(2211) 내 유로(2212)는 구동 바디(2211)의 입구(2212c)로부터 출구(2212d)가 위치된 방향을 따라 그 직경이 가변된다. 즉, 유로(2212)는 입구(2212c)로부터 출구 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제 1 유로(2212a)와, 제 1 유로(2212a)의 종료 지점에서부터 출구 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넓어지는 제 2 유로(2212b)를 포함한다.
노즐(2213)은 유체 공급관(2220)의 유체를 구동 바디(2211)로 공급하는 수단으로, 노즐(2213)의 일단은 유체 공급관(2220)과 연결되고 타단은 구동 바디(2211)의 입구를 통해 삽입되며, 상기 타단이 제 1 유로(2212a)의 전단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바디(2211) 내로 삽입된 노즐(2213)의 타단은 제 1 유로(2212a)가 위치한 방향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노즐(2213)은 구동 바디(2211)와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젝터(221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 이송부(2300)가 연결되는데, 유체가 유입되는 상기 제 1 유로(2212a)의 입구의 전단, 또는 입구에 대응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체 내부로 유체가 공급되면, 벤츄리 효과(venturie effect)에 의해 구동 바디(2211) 내부 즉, 이젝터(2210) 내부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낮아져 예컨대 진공 압력이 된다. 즉, 유체 공급관(2220)으로부터 제공된 유체는 노즐(2213)을 통해 구동 바디(2211) 내부로 유입되며, 이 유체는 제 1 유로(2212a) 및 제 2 유로(2212b)를 따라 흘러 출구(2212d)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유체가 구동 바디(2211) 내로 공급되면, 유체가 구동 바디(2211)의 입구를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후, 제 1 유로(2212a)를 통과하는 순간, 그 흐름 속도가 증가하는 동시에 압력은 감소하게 되고, 연이어 제 1 유로(2212a)를 통과한 순간 유체는 제 2 유로(2212b)를 통하여 확산되면서 출구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유체가 제 1 유로(2212a)를 통과할 때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배출 이송부(2300)로 이동된 고인물이 압력이 낮아진 제 1 유로(2212a)쪽으로 순간 흡입된 후, 제 2 유로(2212b)를 통과한 후 출구로 배출된다.
배출 이송부(2300)는 흡입기(2100)로 유입 또는 흡입된 고인물을 이젝터(2210)로 이송시키는 수단으로서, 일단은 흡입기(2100)와 연결되고 타단은 이젝터(2210)와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출 이송부(230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일단이 흡입기와 연결되는 제 1 이송부(2310),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이젝터(2210)를 향하는 일단이 상기 이젝터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제 2 이송부(2320), 수평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 1 이송부(2310)의 타단과 제 2 이송부(2320)의 타단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제 3 이송부(2330)를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3 이송부(2310, 2320, 2330) 각각은 고인물의 이동이 가능한 배관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이송부(2310)의 일단에 비해 이젝터(2210)와 연결되는 제 2 이송부(2320)의 일단의 높이가 낮도록 하여, 제 1 이송부(2310)의 일단으로 유입된 고인물이 높이가 낮은 제 3 이송부(2330)의 일단 방향으로 이동되록 한다.
제 1 내지 제 3 이송부(2310, 2320, 2330) 중 이젝터(2210)와 연결된 제 2 이송부(2320)는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3 이송부(2330)는 좌우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2 이송부(2320)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배관(2321, 2322)과, 복수의 배관(2321, 2322) 사이에 위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고 고인물의 이동이 가능한 제 1 신축관(23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3 이송부(2330)는 수평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배관(2331, 2332)과, 복수의 배관(2331, 2332) 사이에 위치되며, 좌우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고 고인물의 이동이 가능한 제 2 신축관(233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신축관(2323, 2333)은 예컨대 주름관 일 수 있다.
제 3 이송부(2330)에는 수평 이동부(2400)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지지대(2600)가 설치되는데, 지지대는 제 3 이송부(2330)로부터 제 2 이송부(2320)와 대응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부(2600) 상부에 수평 이동부(2400)가 설치된다.
실시예에 따른 수평 이동부(2400)는 실린더 타입일 수 있다. 즉, 수평 이동부(2400)는 수평 구동력을 제공하며 지지대의 상부에 안착 설치된 제 1 구동원(2410), 일단이 제 1 구동원(24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이송부(2310)에 연결되어 제 1 구동원(2410)에 의해 전, 후진 운동이 가능한 제 1 샤프트(24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수평 이동부(2400)에서 제 1 구동원(2410) 동작에 의해 제 1 샤프트(2420)가 전진 또는 후진하면 제 2 신축관(2333)이 신장 또는 수축되며, 이에 따라 제 1 이송부가 전진 또는 후진이동하여 흡입기의 수평 방향 위치가 조절된다.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부(2500)는 실린더 타입일 수 있다. 즉, 승하강부(2500)는 상하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 구동원(2510), 일단이 제 2 구동원(25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대(2600)에 연결되어 제 2 구동원(2510)에 의해 상,하 운동이 가능한 제 2 샤프트(25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승하강부(2500)에서 제 2 구동원(2510) 동작에 의해 제 2 샤프트(2520)가 상승 또는 하강하며, 이에 따라 제 1 신축관(2323)이 신장 또는 수축되며, 이에 따라 제 3 이송부(2330) 및 제 1 이송부(2310)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흡입기의 상하 방향 위치가 조절된다.
이하, 도 1 내지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인물 제거 장치의 동작 및 이를 이용한 고인물 제거 방법을 설명한다.
컨베이어 설비의 벨트(B)는 야드에서부터 호퍼까지 연장 형성되는데, 그 상측에 덮개 또는 지붕이 없기 때문에, 우천시에 빗물이 벨트 즉, 캐리어 벨트(B1) 상에 고이게 된다. 이때, 벨트(B) 중에서도 높이가 낮은 영역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고인다. 이렇게 벨트(B) 상에 고인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인물 제거 장치(2000)를 이용한다.
고인물 제거 장치(2000)는 벨트(B)의 외측에 설치되는데, 벨트(B)의 연장 경로중에서 물이 고이는 고임 영역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먼저, 고인물 제거를 위해, 승하강부(2500)를 동작시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기를 상승시키는데, 흡입기(2100)가 벨트(B)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벨트(B)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승하강부(2500)의 동작에 의해 제 1 신축관(2323)이 신장하며, 이에 따라 제 2 이송부(2320)의 타단, 상기 제 2 이송부(2320)의 타단과 연결된 제 3 이송부(2330), 제 3 이송부(2330)에 연결된 제 1 이송부(2310)가 상승한다. 이에 제 1 이송부(2310)에 연결된 흡입기(2100)가 상승하며, 이때 흡입기(2100)가 벨트(B)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후, 수평 이동부(2400)를 동작시켜, 흡입기(2100)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B)를 향해 수평 이동시켜, 상기 흡입기(2100)가 벨트(B) 상측에 대응 위치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평 이동부(2400)의 동작에 의해 제 2 신축관(2333)이 신장하며, 이에 따라 제 3 이송부(2330)에 연결된 제 1 이송부(2310)가 벨트(B)가 위치한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며, 이에 제 1 이송부(2310)에 연결된 흡입기(2100)가 벨트(B) 상측에 대응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승하강부(2500)를 동작시켜 흡입기(2100)를 하강시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기(2100)의 하부가 벨트(B) 상부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흡입 바디(2110)의 하부 또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흡입 배관(2122a, 2122b) 이 고인물에 침지되도록 그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흡입 구동 유닛(2200)을 동작시켜 이젝터(221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도록 하면, 배출 이송부(2300)를 통해 이젝터(2210)와 연통된 흡입기(2100)의 압력이 낮아진다. 이에, 흡입기(2100) 내부와 상기 흡입기(2100) 외부 간의 압력 차이에 의해, 흡입기(2100) 외부의 고인물이 흡입기(2100)로 흡입된다. 즉, 유체 공급관(2220)을 통해 이젝터(2210)의 노즐(2213)로 유체 예컨대 스팀을 공급하면, 상기 스팀은 노즐(2213)을 통해 구동 바디(2211)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스팀이 제 1 유로(2212a)를 통과하는 순간 그 속도가 증가하는 동시에 압력이 낮아지게 되고, 연이어 스팀이 제 1 유로(2212a)를 지나 제 2 유로(2212b)를 통하여 확산되면서 구동 바디(2211)의 출구를 통해 배수로로 배출된다. 이러한 스팀의 이동에 의해 이젝터 내부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낮아져 예컨대 진공이 됨에 따라, 이젝터(2210) 내부에 흡입력이 발생된다. 그리고 이젝터(2210)는 배출 이송부(2300)를 통해 흡입기(2100)와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적어도 배출 이송부(2300) 및 흡입기(2100)의 압력은 상기 흡입기(2100) 외부의 압력에 비해 낮고, 이젝터(2210)와 상대적으로 인접한 배출 이송부(2300)가 흡입기(2100)의 압력에 비해 낮을 수 있다.
따라서, 흡입기(2100) 외부와 흡입기(2100) 내부 간의 압력 차에 의해, 흡입기(2100) 외부의 고인물이 흡입기(2100) 내부로 유입된다. 즉, 흡입 바디(2110) 외측의 고인물이 벨트(B)의 경사 및 흡입기(2100)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 바디(2110)의 양 가장자리를 통해 흡입된다. 이때 고인물은 흡입 바디(2110) 내부의 양 가장자리 각각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흡입 배관(2122a, 2122b) 의 일단 개구를 통해 흡입된다.
그리고, 흡입 바디(2110) 내부에 분할 부재(2121) 및 흡입 배관(2122a, 2122b) 이 설치된 경우, 제 1 및 제 2 흡입 배관(2122a, 2122b) 을 통해 흡입된 고인물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바디(2110) 내부에서 분할 부재(2121)의 하측 즉, 제 1 공간(2110a)이며, 제 1 흡입 배관(2122a)과 제 2 흡입 배관(2122b) 사이의 공간으로 흐른다. 이때, 복수의 제 1 및 제 2 흡입 배관(2122b)을 통해 고인물을 제외한 불순물 예컨대 원료탄이 필터링 되어 흡입기(2100) 외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흡입기(2100)와 배출 이송부(2300) 간의 압력 차이에 의해 흡입기(2100)의 고인물이 배출 이송부(2300)를 따라 이동한다. 이때, 흡입기(2100)와 배출 이송부(2300) 간의 압력 차이 및 흡입기(2100)와 이젝터(2210) 간의 높이 차이에 의해, 흡입 바디(2110) 내 제 1 공간(2110a)으로 유입된 고인물은 분할 부재(2121)에 마련된 연통홀을 통해 제 2 공간(2110b)으로 흐른 후, 제 1 이송부(2310), 제 2 이송부(2320) 및 제 3 이송부(2330)를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배출 이송부(2300)와 이젝터(2210) 간의 압력 차이에 의해 배출 이송부(2300)의 고인물이 이젝터(2210) 내부로 흡입된다. 이때, 배출 이송부(2300)의 제 3 이송부(2330)로부터 배출된 고인물은 제 1 유로(2212a)쪽으로 순간 흡입된 후, 제 2 유로(2212b)를 통과한 후 출구를 통해 배수로(2800)로 배출된다.
또한, 흡입기(2100)의 고인물이 이젝터(2210)로 이송되는데 있어서, 이젝터(2210)의 벤추리 효과에 의해 이송되기도 하지만, 이젝터(2210)가 흡입기(2100)에 비해 낮은 위치에 위치함으로써, 흡입기(2100)의 고인물이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방향으로 흘러 이젝터 쪽으로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다.
이후, 이젝터(2210)로 내부로 유입된 유체 및 고인물은 이젝터(2210)의 출구를 통해 배출관(2230)을 통해 이젝터의 하부에 위치된 배수로(2800)를 향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젝터를 구비하는 흡입 구동 유닛(2200)을 이용하여 벨트(B) 상에 고인물을 흡입하여 제거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수동으로 실시하지 않고도 자동적으로 고인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벨트를 들어올려 고인물을 낙하시키지 않으므로, 원료탄의 손실을 막을 수 있다.
2100: 흡입기 2110: 흡입 바디
2120: 흡입부 2121: 분할 부재
2122: 흡입 배관 2200: 흡입 구동 유닛
2310, 2320, 2330: 제 1 내지 제 이송부
2400: 수평 이동부 2500: 승하강부

Claims (18)

  1. 벨트 상에 고인물을 제거하는 고인물 제거 장치로서,
    상기 벨트의 상부에 위치 가능하고,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 공간으로 고인물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벨트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장 방향의 양 끝단이 개구된 흡입기; 및
    고인물이 상기 흡입기 내부로 흡입 가능하게 상기 흡입기에 흡입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흡입기와 연결된 이젝터;
    를 포함하는 고인물 제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기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상기 벨트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연장 방향의 양 끝단인 일단 및 타단이 개구된 형상의 흡입 바디; 및
    각각이 상기 흡입 바디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흡입 바디의 내부 공간의 양 가장자리의 하부에 각기 위치되며, 양 끝단이 개구된 형상의 제 1 및 제 2 흡입 배관;
    을 포함하는 고인물 제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입기는 상기 흡입 바디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흡입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 바디 내 상부벽 및 하부벽과 이격되도록 설치된 분할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바디의 내부 공간은 상기 분할 부재에 의해 상기 분할 부재의 하측 공간인 제 1 공간과, 상기 분할 부재의 상측 공간인 제 2 공간으로 분할 구획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흡입 배관은 상기 제 1 공간의 양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 바디의 일단 및 타단의 개구와 연통된 고인물 제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분할 부재에는 상기 제 1 흡입 배관과 제 2 흡입 배관 사이 영역에 상기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홀이 마련된 고인물 제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흡입 배관 각각이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하 방향 또는 상기 흡입 바디의 폭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인물 제거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분할 부재는 상기 연통홀 주변벽이 상기 연통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형상인 고인물 제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분할 부재 중 상기 연통홀 주변벽이 상기 연통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데 있어서, 곡률을 가지는 형상인 고인물 제거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흡입기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젝터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기로 흡입된 고인물을 상기 이젝터로 전달하는 배출 이송부를 포함하는 고인물 제거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는,
    상기 배출 이송부의 타단과 연결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체 및 상기 배출 이송부로부터 전달된 고인물의 이동이 가능한 유로가 내부에 마련된 구동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는,
    연장 방향의 일단이며, 유체가 유입되는 입구;
    상기 연장 방향의 타단이며, 유체 및 고인물이 배출되는 출구;
    상기 입구로부터 출구 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제 1 유로;
    상기 제 1 유로의 종료 지점에서부터 출구 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제 2 유로;
    를 포함하는 고인물 제거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배출 이송부의 타단은 상기 이젝터의 제 1 유로와 직접 연통되도록 연결되거나, 상기 유로의 입구와 연통되도록 연결된 고인물 제거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배출 이송부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기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부 및 상기 흡입기를 상하 방향 이동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고인물 제거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배출 이송부는 수평 방향 연장부와, 상하 방향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방향 연장부의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 이동부의 동작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제 1 신축관; 및
    상기 상하 방향 연장부의 경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부의 동작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제 2 신축관;
    을 포함하는 고인물 제거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흡입기로 벨트 상의 고인물을 흡입하는 작업 시에,
    상기 흡입기가 상기 이젝터에 비해 높이가 높도록 조절 가능한 고인물 제거 장치.
  14. 상부에 피처리물을 적재하여, 목적지를 향해 이송되는 벨트 상에 고인물을 제거하는 고인물 제거 방법으로서,
    내부 공간을 가지고, 상기 벨트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장 방향의 양 끝단이 개구된 흡입기를 벨트 상부에 안착시키는 과정;
    상기 흡입기와 연결된 이젝터를 동작시켜 상기 흡입기에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벨트 상에 고인물을 상기 흡입기 내부로 흡입시키는 과정; 및
    상기 흡입기 내부로 흡입된 고인물을 상기 이젝터 내부로 흡입시킨 후,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고인물 제거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흡입기와 연결된 이젝터를 동작시켜 상기 흡입기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데 있어서,
    입구로부터 출구 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된 제 1 유로 및 제 1 유로의 종료 지점에서부터 출구 방향으로 점차 직경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제 2 유로를 가지는 상기 이젝터 내부로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이젝터 내부의 압력을 낮춰, 상기 이젝터와 연결된 흡입기의 압력을 낮추는 과정을 포함하는 고인물 제거 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흡입기 내부로 흡입된 고인물을 상기 이젝터 내부로 흡입시키는데 있어서,
    상기 흡입기로 흡입된 고인물을 상기 흡입기와 이젝터 사이를 연결하는 배출 이송로를 통해 상기 이젝터로 이송시키는 고인물 제거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흡입기를 벨트 상부에 안착시키는 과정은,
    상기 배출 이송로를 상승시켜, 상기 흡입기가 상기 벨트에 비해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과정;
    상기 배출 이송로를 수평 이동시켜, 상기 흡입기가 벨트 상측에 대응 위치하도록 하는 과정; 및
    상기 배출 이송로를 하강시켜, 상기 흡입기를 상기 벨트 상부에 안착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고인물 제거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배출 이송로를 하강시켜, 상기 흡입기를 상기 벨트 상부에 안착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가 상기 흡입기에 비해 낮게 위치하도록 하는 고인물 제거 방법.
















KR1020170055502A 2017-04-28 2017-04-28 고인물 제거 장치 KR101949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502A KR101949703B1 (ko) 2017-04-28 2017-04-28 고인물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502A KR101949703B1 (ko) 2017-04-28 2017-04-28 고인물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152A KR20180121152A (ko) 2018-11-07
KR101949703B1 true KR101949703B1 (ko) 2019-02-19

Family

ID=64363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502A KR101949703B1 (ko) 2017-04-28 2017-04-28 고인물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7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945B1 (ko) 2006-12-27 2008-03-11 주식회사 포스코 강우량 측정식 빗물 제거장치
KR101373478B1 (ko) 2012-12-18 2014-03-13 한국수자원공사 맨홀의 무전원 배수장치
KR101403188B1 (ko) 2007-07-16 2014-06-02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 강판의 에지 과도금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0720Y1 (ko) * 1982-12-29 1984-04-30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벨트 콘베어상의 우수(雨水) 제거장치
JPS6323442A (ja) * 1986-07-16 1988-01-30 Nec Corp デ−タ回線終端装置
KR20020044239A (ko) 2000-12-05 2002-06-15 이구택 수송벨트의 빗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945B1 (ko) 2006-12-27 2008-03-11 주식회사 포스코 강우량 측정식 빗물 제거장치
KR101403188B1 (ko) 2007-07-16 2014-06-02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 강판의 에지 과도금 제거장치
KR101373478B1 (ko) 2012-12-18 2014-03-13 한국수자원공사 맨홀의 무전원 배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152A (ko)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96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led transport of fruits using a fluid pathway
KR101010728B1 (ko) 코팅장갑 제조장치
US7690870B2 (en) Device for transporting and supporting sheet-shaped articles, especially sheets of glass
JP5520882B2 (ja) 遠心沈殿分離装置
CN101469724A (zh) 用于输送物质的设备和方法
US2736121A (en) kimmerle
KR101833456B1 (ko) 프로파일 세척장치
KR101949703B1 (ko) 고인물 제거 장치
KR100864378B1 (ko) 공기부양식 평판 이송장치
US11333423B2 (en) Arrangement for accumulation and evacuation of defrosting and condensation water from refrigeration and cooling units
RU2016131250A (ru) Способ подачи материала в системе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материала, пункт ввода системы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материала и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ирововки материала
KR20120127822A (ko) 벨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분리장치
KR20130030969A (ko) 하역용 분진 비산방지장치
KR101527540B1 (ko) 버섯 탈병장치
EP2363360A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nveying particulate material
JP3919510B2 (ja) 沈砂分離貯留ホッパ装置
CN101004281B (zh) 用于在洁净间中待处理之产品的、特别是用于液晶屏幕之玻璃板的货栈以及用于在这样的货栈中使产品保持洁净的方法
JP2004332365A (ja) 汚水中継ポンプ設備
JP2015063368A (ja) 豆類の搬送装置
JP2003129559A (ja) 流入渠設備
CN107810034A (zh) 用于从池排放水的方法
JP2016078961A (ja) 搬送上昇装置
KR101508935B1 (ko) 슬러지 배출장치
KR102190507B1 (ko) 셔틀컨베이어의 슈트 부착광 제거장치
CN217554877U (zh) 一种物料提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