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687B1 -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 - Google Patents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687B1
KR101949687B1 KR1020180009170A KR20180009170A KR101949687B1 KR 101949687 B1 KR101949687 B1 KR 101949687B1 KR 1020180009170 A KR1020180009170 A KR 1020180009170A KR 20180009170 A KR20180009170 A KR 20180009170A KR 101949687 B1 KR101949687 B1 KR 101949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hpc
terminal block
polymer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원
서경용
김진생
Original Assignee
세종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종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9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9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8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by electrochemical processing
    • H01M4/044Activating, forming or electrochemical attack of the supporting material
    • H01M4/0445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 H01M4/0447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of complete cells or cells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머 배터리 제조 시스템에서 상기 폴리머 셀을 가열압축, 충전하는 HPC 공정에 사용되는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압용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다수개의 가압용 볼스크류가 평행하게 직선 이동되어 가압히팅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다수개의 가압용 볼스크류의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들의 간격이 좁게 되어 상기 폴리머 셀을 가열 압착하며, 충전하고자 하는 폴리머 셀의 단자부의 폭에 대응되도록 충전부의 단자대의 폭을 조절하는 단자대 폭조절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폴리머 셀의 크기나 형상에 관계 없이 다양한 크기나 형상의 폴리머 셀에 적용할 수 있고 작업성이 높으며 HPC 공정이 보다 단순화되며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는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 {HPC PROCESS UNIT FOR POLIMA CELL}
본 발명은 폴리머 배터리 제조 시스템에서 상기 폴리머 셀을 가열압축, 충전하는 공정(Heater Press Charge 공정, 이하 ‘HPC 공정’이라 함)에 사용되는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압용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다수개의 가압용 볼스크류가 평행하게 직선 이동되어 가압히팅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다수개의 가압용 볼스크류의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들의 간격이 좁게 되어 상기 폴리머 셀을 가열 압착하며, 충전하고자 하는 폴리머 셀의 단자부의 폭에 대응되도록 충전부의 단자대의 폭을 조절하는 단자대 폭조절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폴리머 셀의 크기나 형상에 관계 없이 다양한 크기나 형상의 폴리머 셀에 적용할 수 있고 작업성이 높으며 HPC 공정이 보다 단순화되며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는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2차 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2차 전지의 형상 면에서는 얇은 두께로 휴대폰 등과 같은 제품들에 적용될 수 있는 각형 이차전지와 파우치형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높고, 재료 면에서는 높은 에너지 밀도, 방전 전압, 출력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가진 파우치형 폴리머 전지 등에 대한 수요가 높다.
상기 파우치형 폴리머 전지는 제조 과정은 크게 극판, 권취, 조립, 화성 공정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화성 공정 중 상기 폴리머 셀(C)을 가열압축, 충전하여 전지를 활성화하는 HPC공정 있다.
일반적으로 HPC 공정은 폴리머 셀(C)을 가열압축, 충전하는 공정이고, 상기 폴리머 셀(C)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젤리롤로 구성된 본체부(C1)와 상기 본체부(C1)의 하부에 형성된 단자부(C2)와 HPC 공정에서 상기 본체부(C1)를 압축 가열할 발생되는 가스를 보관하는 가스 포켓부(C3)로 구성된다.
기존의 기술은 HPC 공정 진행시 모델, 사이즈, 형태에 따라 양, 음극의 단자부가 틀리고 두께, 높이,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항시 위치 세팅 및 높이 등의 보상을 위한 간지를 항상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생산성 저하 및 유지보수 시간에 상당한 손실이 있다.
상기와 같은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장치에 관한 기술은 등록실용신안특허 제 20-0457509 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된 것으로서, 폴리머 배터리 제조 시스템에서 상기 폴리머 셀을 가열압축, 충전하는 HPC 공정에 사용되는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에 대하여 가압용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다수개의 가압용 볼스크류가 평행하게 직선 이동되어 가압히팅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다수개의 가압용 볼스크류의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들의 간격이 좁게 되어 상기 폴리머 셀을 가열 압착하며, 충전하고자 하는 폴리머 셀의 단자부의 폭에 대응되도록 충전부의 단자대의 폭을 조절하는 단자대 폭조절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폴리머 셀의 크기나 형상에 관계 없이 다양한 크기나 형상의 폴리머 셀에 적용할 수 있고 작업성이 높으며 HPC 공정이 보다 단순화되며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는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은, 다수개의 가압히팅 플레이트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마다 폴리머 셀을 안치한 뒤 상기 폴리머 셀을 가열 압착하는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에 있어서, 가압용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다수개의 가압용 볼스크류가 평행하게 직선 이동되어 가압히팅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다수개의 가압용 볼스크류의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들의 간격이 좁게 되어 상기 폴리머 셀을 가열 압착하며, 충전하고자 하는 폴리머 셀의 단자부의 폭에 대응되도록 충전부의 단자대의 폭을 조절하는 단자대 폭조절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단자대 폭조절 수단은 단자대 폭조절용 서보모터를 설치하여 상기 단자대 폭조절용 서보모터의 회전축에 단자대 폭조절 볼스크류를 결합하고, 상기 단자대 폭조절 볼스크류에 설치된 너트 블록이 단자대와 결합되어 상기 너트 블록의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폴리머 셀의 단자부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단자대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머 셀이 젤리롤로 구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된 단자부와 상기 본체부를 압축 가열할 발생되는 가스를 보관하는 가스 포켓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마다 안치되는 폴리머 셀은 상기 단자부가 하부로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단자부 사이의 단차는 상기 폴리머 셀이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에 안치되는 기준선이 되도록 하며, 상기 가스 포켓부는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의 외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용 서보모터의 회전축이 일련의 기어열과 결합되어 4개의 볼스크류가 연동하여 수평 이동되도록 하고, 그 중심선에 중심축을 구비하고 그 중심축에는 로드셀을 설치하여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에 가압되는 하중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자대 폭조절 수단이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은 가압용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다수개의 가압용 볼스크류가 평행하게 직선 이동되어 가압히팅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다수개의 가압용 볼스크류의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들의 간격이 좁게 되어 상기 폴리머 셀을 가열 압착하며, 충전하고자 하는 폴리머 셀의 단자부의 폭에 대응되도록 충전부의 단자대의 폭을 조절하는 단자대 폭조절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폴리머 셀의 크기나 형상에 관계 없이 다양한 크기나 형상의 폴리머 셀에 적용할 수 있고 작업성이 높으며 HPC 공정이 보다 단순화되며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마다 안치되는 폴리머 셀에 대하여 상기 단자부가 하부로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단자부 사이의 단차는 상기 폴리머 셀이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에 안치되는 기준선이 되도록 하며, 상기 가스 포켓부는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의 외부로 노출되게 함으로써, HPC 공정 진행시 모델, 사이즈, 형태에 따라 항시 위치 세팅 및 높이 등의 보상을 위한 간지가 필요 없게 되어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용 서보모터의 회전축이 일련의 기어열과 결합되어 4개의 볼스크류가 연동하여 수평 이동되도록 하고, 그 중심선에 중심축을 구비하고 그 중심축에는 로드셀을 설치하여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에 가압되는 하중을 측정함으로써, HPC 공정에서 가압 공정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HPC 공정에 투입되는 셀의 상세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이 적용되는 전체 시스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의 평면도
도 4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이 가압이 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의 (b)는 가압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이 가압이 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의 (b)는 가압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의 좌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가열압축, 충전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서 폴리머 셀의 단자 폭에 따라 충전부를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서 폴리머 셀의 크기가 다른 경우 적용되는 설명을 위한 도면
도 10의 (a)는 본 발명에 크기가 작은 경우 적용한 도면이고, 도 10의 (b)는 본 발명에 크기가 큰 경우 적용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은 폴리머 배터리 제조 시스템에서 상기 폴리머 셀을 가열압축, 충전하는 공정(Heater Press Charge 공정, 이하 ‘HPC 공정’이라 함)에 사용되는 소형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이 적용되는 전체 시스템에 대하여 도 2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셀의 HPC 공정 유닛(100)이 적용되는 전체 시스템은 HPC 공정 유닛(100)의 크기나 형상이 다소 상이하더라도 외관의 크기나 형상에서 동일하게 하여 HPC 공정 모듈(200)을 다수개를 배치하도록 한다. 상기 HPC 공정 모듈(200)들은 동일한 크기나 형상을 가진 프레임 내에 크기나 형상에서 동일하게나 상이한 HPC 공정 유닛(100)을 수용한다. 상기 HPC 공정 모듈(200)들이 배치된 우측에는 셀 투입부(300)가 배치되는데, 상기 셀 투입부(300)는 HPC 공정이 수행되기 전의 폴리머 셀(C)이 트레이에 적재되어 이송되면 상기 트레이로부터 폴리머 셀(C)을 취출하여 정렬한 뒤 상기 HPC 공정 유닛(100)에 수용하고, 공 트레이는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HPC 공정 모듈(200)들이 배치된 좌측에는 셀 취출부(400)가 배치되는데, 상기 셀 취출부(400)는 공 트레이가 외부로부터 공급되고 HPC 공정이 수행이 완료된 폴리머 셀(C)을 취출하여 정렬한 뒤 상기 공 트레이에 적재하며, 상기 HPC 공정이 수행이 완료된 폴리머 셀(C)이 적재된 트레이를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셀 투입부(300) 및 셀 취출부(400)의 작업들은 수작업과 자동화를 병행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HPC 공정 유닛(100)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6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폴리머 셀(C)을 가열 압착하는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100)는 크게 다수개의 가압히팅 플레이트(11)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11) 사이의 간격마다 HPC 공정의 수행이 필요한 폴리머 셀(C)을 안치하는 폴리머 셀 안치수단(10)과, 상기 폴리머 셀 안치수단(11)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다수개의 폴리머 셀(C)에 HPC 공정의 수행하기 위하여 가압히팅 플레이트(11)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20)과, 상기 폴리머 셀 안치수단(11)의 타측에 배치되어 충전하고자 하는 폴리머 셀(C)의 단자부(C3)의 폭에 대응되도록 충전부의 단자대(41)의 폭을 조절하는 단자대 폭조절 수단(30) 등으로 구분된다.
상기 폴리머 셀 안치수단(10)은 다수개의 가압히팅 플레이트(11)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11) 사이의 간격마다 HPC 공정의 수행이 필요한 폴리머 셀(C)을 안치하고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11)가 상기 가압 수단(20)에 의하여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11)는 결합부(12)가 형성되어 상기 가압 수단(20)의 가압용 볼스크류(24)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가압용 볼스크류(24)가 직선 운동을 할 때 함께 이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11)의 결합부는 가압용 볼스크류(24)의 직선 이동에 관계 없이 이동안내 구조로만 하고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11)가 상기 가압판(25)에 의하여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도 할 수 있다.
상기 가압 수단(20)은 가압용 서보모터(21)의 구동에 의하여 다수개의 가압용 볼스크류(24)가 평행하게 직선 이동되어 가압히팅 플레이트(11)를 이동시키고, 상기 다수개의 가압용 볼스크류(24)의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11)들의 간격이 좁게 되어 상기 폴리머 셀(C)을 가열 압착한다. 상기 가압용 서보모터(21)는 상기 가압용 서보모터(11)의 회전축에 직결된 주동기어와 상기 주동기어에 기어 결합하여 동력을 4개의 볼스크류 구동기어로 분산하게 하는 일련의 기어열(22)로 되어 있고, 상기 볼스크류 구동기어의 각각은 가압용 볼스크류(24)와 결합되고 상기 4개의 가압용 볼스크류(24)는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11)를 보다 원활하게 간격이 좁게 되도록 연동되어 수평이동이 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가압용 볼스크류(24)를 2개 또는 필요에 따라 다수개로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수단(20)의 중심선에 중심축(26)을 구비하고 그 중심축(26)에는 로드셀(27)을 설치하여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11)에 가압되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게 한다. 도 6은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의 좌측면도로서 도면부호 28은 가압용 볼스크류 단부를 나타낸다
상기 단자대 폭조절 수단(30)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9를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단자대 폭조절 수단(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대 폭조절용 서보모터(31)를 설치하고, 그 회전축에 주동 및 종동 벨트 풀리(32)를 설치하여 상기 종동 벨트 풀리에 단자대 폭조절 볼스크류(33)와 결합시킨다. 상기 단자대 폭조절 볼스크류(33)에 설치된 너트 블록(34)이 단자대(41)와 결합되어 상기 너트 블록(34)의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폴리머 셀(C)의 단자부(C3)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단자대(41)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단자대 폭조절 수단(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11)의 좌우 양측에 2개의 폴리머 셀(C)을 배치하여 도시에 HPC 공정을 수행하므로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게 한다.
상기 단자대 폭조절 볼스크류(33)는 상기 너트 블록(34) 2개와 나사 결합되어 있어, 상기 단자대 폭조절 볼스크류(33)의 수평이동에 의하여 상기 너트 블록(34) 2개가 모두 이동하게 할 수 있지만 상기 너트 블록(34) 하나만 수평이동하게 하여 셀(C)의 단자부(C3)의 폭에 대응하게 할 수 있다(도 8 참조).
상기 단자대(41)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에 전도성이 우수한 나도체(42)가 길게 부착되어 있어 상기 나도체(42)가 상기 다수개의 가압히팅 플레이트(11)들 사이에 안치된 폴리머 셀(C)의 단자부(C3)를 동시에 접촉하여 동시에 충전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다수개의 가압히팅 플레이트(11)들 사이에 안치된 폴리머 셀(C)은 크기가 동일한 것도 안치되지만 도 9와 같이 크기가 상이한 것도 안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크기가 상이한 폴리머 셀(C)을 안치하여 HPC 공정의 수행이 가능하게 되었다.
즉, 폴리머 셀(C)의 HPC 공정의 수행을 위하여 종래의 폴리머 셀(C)의 배치와는 달리,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11) 사이의 간격마다 안치되는 폴리머 셀(C)에 대하여 상기 단자부(C3)를 하부로 배치하고, 상기 본체부(C1)와 상기 단자부(C3) 사이의 단차는 상기 폴리머 셀(C)이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11)에 안치되는 기준선이 되도록 하며, 상기 가스 포켓부(C2)는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11)의 외부로 노출되게 함으로써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11) 사이에 간지를 사용함이 없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HPC 공정 유닛(100)에서 폴리머 셀(C)에 HPC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폴리머 셀(C)을 투입하기 전에 기종별 단자 위치에 하부 음(-), 양(+)극 단자대(41)를 상기 단자대 폭조절용 서보모터(31)와 상기 단자대 폭조절 볼스크류(33)를 이용하여 정렬한다.
다음으로, 다수개의 폴리머 셀(C)을 가압히팅 플레이트(11)의 하부에 구성된 음(-),양(+)극을 기준으로 투입하고, 투입된 폴리머 셀(C)을 특정 온도로 가열된 가압히팅 플레이트(11)에 가압용 서보모터(21)를 이용하여 일정압력 가압하면서 충전한다. 이 때 상기 가압된 가압히팅 플레이트(11)의 압력은 외부에 설치된 로드셀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다음으로 일정시간 가압, 가열, 충전 후 플레이트를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11)를 분리하고 상기 폴리머 셀(C)들을 취출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 순환한다.
상기에서는 소형 폴리머 셀(C)의 HPC 공정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였지만 중, 대형 배터리의 공정에서도 셀의 두께 및 Gas 제거를 위해서 HPC 공정이 논의되고 있고, 또한, 굳이 셀이 아니더라도 일정한 압력, 온도 등이 필요한 공정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 폴리머 셀 C1: 본체부
C2: 단자부 C3: 가스 포켓부
C4: 외곽부
100: HPC 공정 유닛 200: HPC 공정 모듈
300: 셀 투입부 400: 셀 취출부
10: 폴리머셀 안치수단 11: 가압히팅 플레이트
12: 결합부 20: 가압 수단
21: 가압용 서보모터 22: 기어열
23: 볼스크류 구동기어 24: 가압용 볼스크류
25: 가압판 26: 중심축
27: 로드셀 28: 가압용 볼스크류 단부
30: 단자대 폭조절 수단 31: 단자대 폭조절용 서보모터
32: 벨트 풀리 33: 단자대 폭조절 볼스크류
34: 너트 블록 41: 단자대 블록
42: 나도체

Claims (5)

  1. 다수개의 가압히팅 플레이트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마다 폴리머 셀을 안치한 뒤 상기 폴리머 셀을 가열 압착하는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에 있어서,
    가압용 서보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다수개의 가압용 볼스크류가 평행하게 직선 이동되어 가압히팅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다수개의 가압용 볼스크류의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들의 간격이 좁게 되어 상기 폴리머 셀을 가열 압착하며,
    충전하고자 하는 폴리머 셀의 단자부의 폭에 대응되도록 충전부의 단자대의 폭을 조절하는 단자대 폭조절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단자대 폭조절 수단은 단자대 폭조절용 서보모터를 설치하여 상기 단자대 폭조절용 서보모터의 회전축에 단자대 폭조절 볼스크류를 결합하고,
    상기 단자대 폭조절 볼스크류에 설치된 너트 블록이 단자대와 결합되어 상기 너트 블록의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폴리머 셀의 단자부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단자대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셀은 젤리롤로 구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된 단자부와 상기 본체부를 압축 가열할 발생되는 가스를 보관하는 가스 포켓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마다 안치되는 폴리머 셀은 상기 단자부가 하부로 배치되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단자부 사이의 단차는 상기 폴리머 셀이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에 안치되는 기준선이 되도록 하며, 상기 가스 포켓부는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의 외부로 노출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가압용 서보모터의 회전축은 일련의 기어열과 결합되어 4개의 볼스크류가 연동하여 수평 이동되도록 하고,
    그 중심선에 중심축을 구비하고 그 중심축에는 로드셀을 설치하여 상기 가압히팅 플레이트에 가압되는 하중을 측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 폭조절 수단은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
KR1020180009170A 2018-01-25 2018-01-25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 KR101949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170A KR101949687B1 (ko) 2018-01-25 2018-01-25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170A KR101949687B1 (ko) 2018-01-25 2018-01-25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687B1 true KR101949687B1 (ko) 2019-02-19

Family

ID=65528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170A KR101949687B1 (ko) 2018-01-25 2018-01-25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68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4236A1 (ko) * 2020-03-26 2021-09-30 (주)에이프로 가압 활성화 장치
EP4008647A4 (en) * 2019-10-11 2022-10-12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CARRYING DEVICE
WO2023054982A1 (ko) * 2021-09-28 2023-04-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가압장치
WO2024054036A1 (ko) * 2022-09-08 2024-03-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셀 가압 및 충방전 시스템
US11959974B2 (en) 2019-09-18 2024-04-16 Lg Energy Solution, Ltd. Pressurizing short-circuit inspection apparatus for detecting low-voltage defective pouch-type secondary battery cel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062B1 (ko) * 2010-08-19 2011-12-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충방전 장치
KR20150037049A (ko) * 2013-09-30 2015-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 고온 가압 장치
KR20150082957A (ko) * 2014-01-08 2015-07-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압 트레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062B1 (ko) * 2010-08-19 2011-12-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충방전 장치
KR20150037049A (ko) * 2013-09-30 2015-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 고온 가압 장치
KR20150082957A (ko) * 2014-01-08 2015-07-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압 트레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9974B2 (en) 2019-09-18 2024-04-16 Lg Energy Solution, Ltd. Pressurizing short-circuit inspection apparatus for detecting low-voltage defective pouch-type secondary battery cell
EP4008647A4 (en) * 2019-10-11 2022-10-12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CARRYING DEVICE
WO2021194236A1 (ko) * 2020-03-26 2021-09-30 (주)에이프로 가압 활성화 장치
WO2023054982A1 (ko) * 2021-09-28 2023-04-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가압장치
WO2024054036A1 (ko) * 2022-09-08 2024-03-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셀 가압 및 충방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687B1 (ko) 폴리머 셀의 hpc 공정 유닛
CN103904367B (zh) 一种锂电池焊接及检测的自动化设备
KR20190011711A (ko) 리튬이온 폴리머 배터리 포메이션을 위한 64채널 픽스처 장치
CN107732310B (zh) 聚合物锂离子电池化成夹具
CN104900900A (zh) 聚合物软包电池的自动化加热加压化成系统
KR101521267B1 (ko) 이차전지용 검사 트레이
CN203826498U (zh) 一种锂电池焊接及检测的自动化设备
CN114167195A (zh) 一种锂电池充放电检测系统及检测工艺
CN110102740A (zh) 全自动立体循环铸焊机
CN209992635U (zh) 一种新型的电池极耳夹持装置、电池化成分容设备
CN218917586U (zh) 一种全盘式ocv测试设备
US11942610B2 (en) Pitch-variable battery fixture and battery cell forma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6388757U (zh) 一种适用于多种规格电池模组的装夹工具
CN109273774A (zh) 一种快速装夹的锂电池化成装置
CN204882832U (zh) 热压及Hi-pot测试装置
CN213583529U (zh) 一种扣式电池电芯整形测短路设备
CN208608309U (zh) 一种半自动分容设备和一体式多层负压针床
CN210064446U (zh) 下料装置及自动卷绕设备
CN210102788U (zh) 一种电池方壳输送定位导向装置
CN219684529U (zh) 保压机构及组装设备
CN107315102A (zh) 一种便于蓄电池检测的万用表
CN112687962B (zh) 一种电池制备装置及电池制备方法
CN113140707B (zh) 一种锂离子电池预锂化装置及预锂化方法
KR102089644B1 (ko) 이차전지의 충방전용 지그 시스템
CN220961806U (zh) 一种电芯短路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