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666B1 - 차량용 서브프레임 - Google Patents

차량용 서브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666B1
KR101949666B1 KR1020180101819A KR20180101819A KR101949666B1 KR 101949666 B1 KR101949666 B1 KR 101949666B1 KR 1020180101819 A KR1020180101819 A KR 1020180101819A KR 20180101819 A KR20180101819 A KR 20180101819A KR 101949666 B1 KR101949666 B1 KR 101949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material
side frame
fastening
frame por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현
Original Assignee
(주)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신 filed Critical (주)화신
Priority to KR1020180101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6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1Fibre-reinforc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ynthetic material
    • B62D29/041Under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서브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부와, 사이드프레임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프레임부와, 사이드프레임부에 형성되고 차체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포함하고, 사이드프레임부와 연결프레임부는 복합소재로 성형되어, 강도를 유지하면서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서브프레임{SUBFRAM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서브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체 하중을 감량시키고, 용접공정을 삭제하여 작업성을 개선하는 차량용 서브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량들은 프레임바디를 대신하여 중량이 가볍고 생산성이 뛰어난 모노코크바디가 주로 사용된다. 모노코크바디는 별도의 프레임이 삭제된 구조로서 차체에 엔진을 포함한 파워트레인이 직접 장착된다.
따라서, 모노코크바디는 차체 자체가 프레임 기능을 하여 서스펜션 및 섀시 부품들이 각각 장착되나, (엔진과 트랜스미션 및 디퍼렌셜기어가 통합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된) 파워트레인의 진동이 직접적으로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차량 충돌시 충격을 분산하기 위하여 차량의 하부에 서브프레임(subframe)이 장착된다.
종래의 서브프레임은 금속판재를 용접하여 각 단면이 박스 형태로 폐단면을 형성한다. 이로 인해, 서브프레임 자체 하중이 상당하고, 형상 자유도가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0035861호(1998.08.05 공개, 발명의 명칭 : 프론트 서브프레임과 로워암의 장착구조)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체 하중을 감량시키고, 용접공정을 삭제하여 작업성을 개선하는 차량용 서브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은; 마주보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부; 상기 사이드프레임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프레임부; 및 상기 사이드프레임부에 형성되고, 차체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프레임부와 상기 연결프레임부는 복합소재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부와 상기 연결프레임부는 하나 이상의 제1복합소재부; 및 상기 제1복합소재부와 적층되는 하나 이상의 제2복합소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복합소재부와 상기 제2복합소재부는 프레스 성형으로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복합소재부는 상기 제2복합소재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복합소재부는 카본섬유강화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복합소재부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부와 상기 연결프레임부는 상기 제2복합소재부와 프레스 성형으로 일체화되어 강성을 보강하는 제3복합소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사이드프레임부에 외측이 결합되는 체결파이프부; 및
상기 체결파이프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사이드프레임부에 삽입되는 체결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은 복합소재로 성형되어 용접 공정이 생략되고, 강도가 유지되면서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은 카본섬유강화플라스틱인 하나 이상의 제1복합소재부와,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인 하나 이상의 제2복합소재부가 적층되고, 프레스 성형으로 일체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은 강도 보강 영역에 제3복합소재부를 추가하여 프레스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은 체결부 일부가 사이드프레임부에 삽입되어 차체와 결합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평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에 제3복합소재부가 추가된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에서 체결부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평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1)은 사이드프레임부(10)와, 연결프레임부(20)와, 체결부(30)를 포함한다. 이때, 사이드프레임부(10)와 연결프레임부(20)는 복합소재로 성형된다.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부(1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일 예로, 사이드프레임부(10)는 사이드상판부(11)와, 사이드상판부(11)의 양측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사이드측판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드상판부(11)와 사이드측판부(12)의 내측에 형성되어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사이드보강부(13)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부(20)는 사이드프레임부(10)를 연결한다. 일 예로, 2개의 연결프레임부(20)가 사이드프레임부(10)에 연결되되, 연결프레임부(20)는 연결상판부(21)와, 연결상판부(21)의 양측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결측판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상판부(21)와 연결측판부(22)의 내측에 형성되어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연결보강부(23)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프레임부(10)와 연결프레임부(20)는 복합소재로 성형된다. 일 예로, 사이드프레임부(10)와 연결프레임부(20)는 강성을 유지하면서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는 복합소재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체결부(30)는 사이드프레임부(10)에 형성되고, 차체와 결합된다. 일 예로, 체결부(30)는 차체와 볼트 결합 가능하도록 금속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사이드프레임부(10)와 연결프레임부(20)는 제1복합소재부(110)와, 제2복합소재부(120)를 포함한다.
제1복합소재부(110)는 하나 이상의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복합소재부(120)는 하나 이상의 적층될 수 있다. 제1복합소재부(110)와 제2복합소재부(120)는 적층되고, 프레스 성형으로 일체화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복합소재부(110)는 상하로 배치되는 제2복합소재부(120)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제1복합소재부(110)로는 카본섬유강화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복합소재부(120)로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1복합소재부(110)와 제2복합소재부(120)는 오븐에 의해 가열된 후, 제1복합소재부(110)가 제2복합소재부(120) 사이에 배치되도록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금형부(210)에 안착된 다음 상부금형부(220)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제1복합소재부(110)와 제2복합소재부(120)를 프레스 성형한다. 이로 인해, 제1복합소재부(110)와 제2복합소재부(120)는 일체화된 제품이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에 제3복합소재부가 추가된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사이드프레임부(10)와 연결프레임부(20)는 제3복합소재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복합소재부(130)는 제2복합소재부(120)와 프레스 성형으로 일체화되어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일 예로, 제3복합소재부(130)로는 연속섬유강화열가소성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다. 제3복합소재부(130)는 원형 단면 형태로 하부홈부(211)에 삽입되고, 상부돌기부(221)에 의한 가압으로 제2복합소재부(120)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제3복합소재부(130)는 텐션링크와 같은 부품이 장착되는 부위에 배치되어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에서 체결부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30)는 체결파이프부(31)와 체결삽입부(32)를 포함한다. 이러한 체결부(30)는 금속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차체와 결합된다.
체결파이프부(31)는 사이드프레임부(10)에 외측이 결합된다. 일 예로, 체결파이프부(31)는 속이 비워진 원통 관 형상을 하고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차체와 결합될 수 있다.
체결삽입부(32)는 체결파이프부(31)에서 돌출되고, 사이드프레임부(10)에 삽입된다. 일 예로, 하나 이상의 체결삽입부(32)는 체결파이프부(31)의 외측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제1복합소재부(110) 또는 제2복합소재부(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체결삽입부(32)는 복수개의 제1복합소재부(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삽입부(32)는 복수개의 제2복합소재부(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 외, 체결삽입부(32)는 제1복합소재부(110)와 제2복합소재부(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수개의 제1복합소재부(110)를 적층시키고, 제1복합소재부(110)를 복수개의 제2복합소재부(120) 사이에 배치시킨다. 이때, 제2복합소재부(120)로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이 사용되고, 제1복합소재부(110)는 제2복합소재부(120) 보다 강성이 뛰어난 카본섬유강화플라스틱이 사용된다.
제1복합소재부(110)와 제2복합소재부(120)가 적층되면, 하부금형부(210)에 적층된 제1복합소재부(110)와 제2복합소재부(120)를 안착시킨다. 그런 다음 상부금형부(220)를 하방 이동시켜 적층된 제1복합소재부(110)와 제2복합소재부(120)를 프레스 가공한다.
제1복합소재부(110)와 제2복합소재부(120)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사이드프레임부(10)와 연결프레임부(20)가 일체화된 서브프레임(1)이 생산된다(도 3 참조).
하부금형부(210)에는 하부홈부(211)가 형성되고, 하부홈부(211)에는 강성 증대를 위한 제3복합소재부(130)를 투입한다. 그리고, 하부금형부(210)에 적층된 제1복합소재부(110)와 제2복합소재부(120)를 안착시키고 프레스 가공한다. 그리하면, 제2복합소재부(120)와 제3복합소재부(130)가 일체로 형성되어 강성이 증대된다. 따라서, 다름 부품과의 결합 부위에 제3복합소재부(130)를 추가하여 제2복합소재부(120)의 크랙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도 4 참조).
한편, 복수개의 제1복합소재부(110)와 제2복합소재부(120)에는 홀이 형성되어 체결파이프부(31)가 삽입된다. 이때, 체결파이프부(31)의 측면에는 체결삽입부(32)가 형성되고, 체결삽입부(32)는 복수개의 제1복합소재부(110) 사이에 삽입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프레스 가공이 이루어지면, 제1복합소재부(110)와 제2복합소재부(120)가 일체로 성형되되, 체결파이프부(31)는 이들과 결합된다. 그리고, 제1복합소재부(110)에 체결삽입부(32)가 삽입되어 체결파이프부(31)는 제1복합소재부(1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도 5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1)은 복합소재로 성형되어 용접 공정이 생략되고, 강도가 유지되면서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1)은 카본섬유강화플라스틱인 하나 이상의 제1복합소재부(110)와,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인 하나 이상의 제2복합소재부(120)가 적층되고, 프레스 성형으로 일체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1)은 강도 보강 영역에 제3복합소재부(130)를 추가하여 프레스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서브프레임(1)은 체결부(30) 일부가 사이드프레임부(10)에 삽입되어 차체와 결합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사이드프레임부 20 : 연결프레임부
30 : 체결부 31 : 체결파이프부
32 : 체결삽입부 110 : 제1복합소재부
120 : 제2복합소재부 130 : 제3복합소재부

Claims (2)

  1. 마주보는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부;
    상기 사이드프레임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프레임부; 및
    상기 사이드프레임부에 형성되고, 차체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프레임부와 상기 연결프레임부는 복합소재로 성형되며,
    상기 사이드프레임부와 상기 연결프레임부는
    하나 이상의 제1복합소재부; 및
    상기 제1복합소재부와 적층되는 하나 이상의 제2복합소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복합소재부와 상기 제2복합소재부는 프레스 성형으로 일체화되며,
    상기 제1복합소재부는 상기 제2복합소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복합소재부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이며,
    상기 사이드프레임부와 상기 연결프레임부는
    상기 제2복합소재부와 프레스 성형으로 일체화되어 강성을 보강하는 제3복합소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사이드프레임부에 외측이 결합되는 체결파이프부; 및
    상기 체결파이프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사이드프레임부에 삽입되는 체결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브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복합소재부는 카본섬유강화플라스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서브프레임.
KR1020180101819A 2018-08-29 2018-08-29 차량용 서브프레임 KR101949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819A KR101949666B1 (ko) 2018-08-29 2018-08-29 차량용 서브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819A KR101949666B1 (ko) 2018-08-29 2018-08-29 차량용 서브프레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073A Division KR101949662B1 (ko) 2017-08-14 2017-08-14 차량용 서브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666B1 true KR101949666B1 (ko) 2019-02-19

Family

ID=65528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819A KR101949666B1 (ko) 2018-08-29 2018-08-29 차량용 서브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6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36881A1 (en) * 2017-02-22 2018-08-23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Axle carrier for the disposal on an electric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aid axle carrier
KR20210071166A (ko) 2019-12-05 2021-06-16 서진산업 주식회사 상, 하 2피스 멤버 구조를 갖는 차량용 서브 프레임
KR20220072424A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화신 차량용 서브프레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4472A (ja) * 2003-03-20 2004-10-14 Nissin Kogyo Co Ltd 車両用サブフレーム
JP2016043926A (ja) * 2014-08-25 2016-04-04 ベンテラー・アウトモビールテヒニク・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原動機付き車両用のクロスメンバ及びクロスメンバ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WO2016132655A1 (ja) * 2015-02-19 2016-08-25 住友理工株式会社 制振性繊維強化樹脂成形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用部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4472A (ja) * 2003-03-20 2004-10-14 Nissin Kogyo Co Ltd 車両用サブフレーム
JP2016043926A (ja) * 2014-08-25 2016-04-04 ベンテラー・アウトモビールテヒニク・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原動機付き車両用のクロスメンバ及びクロスメンバ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WO2016132655A1 (ja) * 2015-02-19 2016-08-25 住友理工株式会社 制振性繊維強化樹脂成形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自動車用部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36881A1 (en) * 2017-02-22 2018-08-23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Axle carrier for the disposal on an electric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aid axle carrier
KR20210071166A (ko) 2019-12-05 2021-06-16 서진산업 주식회사 상, 하 2피스 멤버 구조를 갖는 차량용 서브 프레임
KR20220072424A (ko) *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화신 차량용 서브프레임
KR102480541B1 (ko) * 2020-11-25 2022-12-23 주식회사화신 차량용 서브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666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
EP2578476B1 (en) Structure for vehicle body front portion
CN109263727B (zh) 车辆前部结构
JP5280550B2 (ja) 車体パネル接合構造
JP2004155219A (ja) 自動車の車体後部構造
JP2008094135A (ja) 車両のボデー支持構造
KR100929527B1 (ko) 프론트 사이드 멤버 어셈블리
JP5156729B2 (ja) サブフレーム構造
KR20080028103A (ko) 복합 공법으로 제작된 차량용 알루미늄 서브프레임
CN207773250U (zh) 前副车架总成
JP2015231781A (ja) フロントサブフレーム
KR101949665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
KR101949664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
KR101949663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
KR101949662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
WO2015076124A1 (ja) 車体後部構造
CN111688814B (zh) 车辆后部结构
JP7183976B2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
KR20220008108A (ko) 차량용 칵핏모듈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678072B (zh) 车辆用支撑构件
KR102480541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
KR101836399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제조방법
KR101619877B1 (ko) 엠보싱 보강패널이 적용된 이종소재 서브프레임
KR20230075674A (ko) 차량용 서브프레임
JP6361701B2 (ja) 自動車のシート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