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581B1 -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581B1
KR101949581B1 KR1020170031102A KR20170031102A KR101949581B1 KR 101949581 B1 KR101949581 B1 KR 101949581B1 KR 1020170031102 A KR1020170031102 A KR 1020170031102A KR 20170031102 A KR20170031102 A KR 20170031102A KR 101949581 B1 KR101949581 B1 KR 101949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light
unit
transmiss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4401A (ko
Inventor
이동열
최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1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581B1/ko
Priority to US15/918,610 priority patent/US10408464B2/en
Priority to EP18161576.6A priority patent/EP3376116B1/en
Publication of KR20180104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8Illumination for oven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49Patterns or structured surfaces for diffusing light, e.g. frosted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4Household appliances, e.g.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5Optical design plan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7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내부와 외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과홀이 형성된 캐비티의 외부에 설치되고, 빛을 발산하는 엘이디를 포함하는 광원부와; 광원부와 연결되도록 캐비티의 외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통과홀을 통해 캐비티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캐비티의 외부에 배치되며, 엘이디로부터 발산된 빛을 엘이디와 마주보는 입광면을 통해 입사받아 통과홀이 형성된 영역에서 발산하는 광전달조사부와; 통과홀을 덮도록 캐비티에 설치되고, 광전달조사부에서 발산된 빛을 캐비티의 내부로 투과시키는 투과커버부; 및 캐비티의 외부에 설치되어 광원부를 캐비티로부터 이격시키며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LIGHTING APPARATUS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본 발명은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실 내부를 조명하기 위해 설치되는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되며, 조리실의 전방에 설치되는 도어에 의해 개폐된다. 조리실의 내부 또는 외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조리실을 가열한다. 이러한 열원으로는 가스버너 또는 전기히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열원이 설치되는 조리실의 내부에는, 조리실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램프가 설치된다. 조명램프는, 열원이 가동되어 조리실 내부에서 음식물이 조리될 때 음식물의 조리상태가 외부에서 쉽게 식별될 수 있도록 조리실 내부를 밝히도록 점등될 수 있고, 도어의 개방시 조리실 내부를 밝히도록 점등될 수도 있다.
한편, 최근에는 엘이디(Light Emitting Diode, LED)의 사용이 점차 확대되는 추세이다. 엘이디는, 크기가 작고 소비전력 대비 휘도가 높으며, 사용수명이 길고, 제조비용도 저렴하다는 여러 가지 장점이 있어 기존의 전구를 대체하는 조명 수단이나 표시 수단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엘이디는, 열에 취약한 그 특성상 밀폐형 조리기기의 조리실 내부의 고온 환경에서 제대로 동작되기 어려우므로, 밀폐형 조리기기의 조리실 내부의 조명을 위한 조명원으로 적용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조리실 내부의 고온 환경에서도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명장치는: 내부와 외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과홀이 형성된 캐비티의 외부에 설치되고, 빛을 발산하는 엘이디를 포함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캐비티의 외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캐비티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캐비티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엘이디로부터 발산된 빛을 상기 엘이디와 마주보는 입광면을 통해 입사받아 상기 통과홀이 형성된 영역에서 발산하는 광전달조사부와; 상기 통과홀을 덮도록 상기 캐비티에 설치되고, 상기 광전달조사부에서 발산된 빛을 상기 캐비티의 내부로 투과시키는 투과커버부; 및 상기 캐비티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부를 상기 캐비티로부터 이격시키며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포터는, 상기 서포터를 상기 캐비티의 외부에 고정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광원부를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이격시키며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원부는, 상기 광전달조사부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엘이디가 실장되는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기판 사이에서 상기 지지부를 측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관통통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과홀은, 상기 캐비티의 측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는, 상기 캐비티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 배치되는 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통과홀이 형성된 상기 캐비티의 측부보다 측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서포터 및 상기 광원부는, 캐비티(35)의 측벽(35a)보다 측방향으로 더 돌출된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광전달조사부는, 상기 캐비티 측부의 측방향 외측에서 상기 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기 서포터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포터는, 상기 광전달조사부와 결합되어 상기 입광면이 상기 엘이디와 마주보도록 상기 광전달조사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보스, 및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지지보스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끼움공을 포함하고, 상기 광전달조사부는, 상기 끼움공을 통해 상기 지지보스의 내부에 끼워져 상기 입광면이 상기 엘이디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서포터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광전달조사부의 외측에 끼워지고, 상기 끼움공을 통해 상기 지지보스의 내부에 끼워져 상기 광전달조사부를 상기 서포터에 고정시키는 패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킹부는, 실리콘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전달조사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서포터와 상기 투과커버부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광전달조사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서포터와 상기 투과커버부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광전달조사부 외부로의 빛의 발산을 차단하는 차광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원부는, 상기 광전달조사부와 마주보는 하부면에 상기 엘이디가 실장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상부면에 마련되어 상기 엘이디 및 상기 기판의 열을 방출하는 방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과홀을 덮도록 상기 캐비티에 설치되며, 상기 광전달조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투과커버부와 결합되는 배면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면커버부의 상기 투과커버부와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광전달조사부에서 발산되는 빛을 상기 투과커버부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티와; 상기 조리실을 가열하는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부와; 상기 캐비티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캐비티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과홀을 포함하는 조명설치부; 및 상기 조명설치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실을 조명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캐비티의 외부에 설치되고, 빛을 발산하는 엘이디를 포함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캐비티의 외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캐비티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캐비티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엘이디로부터 발산된 빛을 상기 엘이디와 마주보는 입광면을 통해 입사받아 상기 통과홀이 형성된 영역에서 발산하는 광전달조사부와; 상기 통과홀을 덮도록 상기 조명설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광전달조사부에서 발산된 빛을 상기 캐비티의 내부로 투과시키는 투과커버부; 및 상기 캐비티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부를 상기 캐비티로부터 이격시키며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명설치부는, 상기 통과홀이 형성된 상기 캐비티의 측부면 일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조리실에 위치한 상기 조명설치부의 내측면은, 상기 조리실에 위치한 상기 캐비티의 내측면이 이루는 평면보다 측방향으로 오목한 평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과커버부는, 상기 조명설치부의 내측면 주변의 상기 캐비티의 내측면보다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더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는, 상기 캐비티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 배치되는 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는 상판과 쿡탑가열부와 쿡탑케이스를 포함하는 쿡탑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쿡탑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따르면, 조명을 위한 빛을 발산하는 광원인 엘이디가 조리실 내부에서 벗어난 캐비티의 외부에 설치되고 이와 같이 캐비티의 외부에 설치된 엘이디에서 발산된 빛을 조리실 내부를 향해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조리실 내부의 고온 환경에서도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캐비티로부터 상하방향으로도 이격되고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고온 상태인 캐비티에서 전달되는 열의 영향이 더욱 미치기 어려운 위치에 광원부가 설치되고, 서포터의 내부에 마련된 관통통로부를 통해 서포터 내부를 통과하는 외부공기 및 쿡탑부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냉각부에 의해 전달되는 냉기에 의해 광원부의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광원부 설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과열로 인한 엘이디의 성능 저하 및 수명 단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내부의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조명장치에서 광전달조사부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조명 구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조리기기의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본체(10)의 상단부에는, 개방된 공간 즉,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도록 마련된 쿡탑부(20)가 위치한다.
쿡탑부(20)에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지지하는 상판(21)이 제공된다.
상판(21)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열성이 좋은 세라믹 글래스 형태로 제공되되, 일정한 영역에서만 조명 효과가 구현되도록 표면이 특수 처리된 특수 표면 처리 글래스가 아니라, 조명 구현을 위한 처리가 별도로 되어 있지 않은 범용의 세라믹 글래스이면 충분하다.
이러한 상판(21)의 상측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놓일 수 있으며, 상판(21)의 하측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쿡탑가열부(22)가 위치된다.
쿡탑가열부(22)는, 자기 코일에 전류를 보내 와류전류를 발생시켜 조리용기 자체를 발열시켜 음식물을 조리하는 인덕션 히팅 모듈(Induction heating module)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히팅 코일을 발열시켜 발생되는 복사열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라디안트 히팅 모듈(Radiant heating module)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쿡탑가열부(22)는, 가스연료를 연소시킨 에너지를 이용하되, 직화열이 아닌 가스연료에 의한 복사에너지를 이용하는 세라믹 균일 버너로 상판을 가열하는 히든 라디안트 버너(Hidden Radiant Burner)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쿡탑부(20)의 하측에는 오븐부(30)가 설치된다. 오븐부(30)의 내부공간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31)이 위치한다.
조리실(31)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리실(31)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한다. 즉 오븐부(30)에서는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
오븐부(30)에는, 조리실(31)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실(31)의 상측에는 상기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하는 상부히터(36)가 제공될 수 있고, 조리실(31)의 하측에도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가열하는 하부히터(37)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리실(31)의 후측에는, 뜨거운 공기를 대류시켜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컨벡션부(38)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컨벡션부(38)는, 조리실(31) 내부공간의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킨다. 즉 컨벡션부(38)는, 조리실(31) 내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한 후,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시키면서 공기를 유동시킴으로써,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이 가열되도록 하고, 이로써 조리실(31)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한다.
오븐부(30)에는, 조리실(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2)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어(32)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앞면에는 사용자가 도어(32)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하도록 핸들(33)이 설치된다. 핸들(33)에 의해 사용자는 도어(32)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쿡탑부(20)의 전면 즉, 도어(32)의 상측에는 컨트롤패널(51)이 마련된다. 컨트롤패널(51)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컨트롤패널(51)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쿡탑부(20) 및 오븐부(30)를 동작시키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52)가 제공된다.
입력부(52)에는 다수의 조작스위치가 마련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51)에는 조리기기의 동작 정보 또는 음식물의 요리 정보 등을 제공하는 표시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부를 통해 조리기기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체(10)의 내부 공간 즉, 쿡탑부(20)와 오븐부(30) 사이의 공간에는 전장 부품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전장실(50)이 형성된다. 전장실(50)의 전면에는 상기 컨트롤패널(51)이 위치하며, 실질적으로 컨트롤패널(51)이 전장실(50)의 전면을 차폐하는 구조가 이루어진다.
[쿡탑부 및 오븐부의 구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내부의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조리실(31)은 오븐부(30)의 내측 형상을 형성하는 캐비티(35)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형성된다. 일례로서, 캐비티(35)는 양 측벽(35a)과 상면(35b)과 저면(35c) 및 배면(35d)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 캐비티(35)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인 조리실(31)이 형성되며, 캐비티(35)의 전방은 캐비티(35) 내부의 조리실(31)이 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도록 개구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개구된 캐비티(35)의 전방에는 도어(32)가 설치되어 조리실(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또한 캐비티(35)의 상부에는, 캐비티(35)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캐비티(35)의 상부에 배치되는 플레이트(25)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플레이트(25)는 쿡탑부(2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인 것으로 예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오븐부(30)에 마련되는 캐비티(35)의 상부에는 쿡탑부(20)가 배치되며, 쿡탑부(20)의 측면 외관은 쿡탑부(20)의 외측에 마련된 쿡탑케이스(23)에 의해 형성된다.
쿡탑케이스(23)는, 오븐부(30)와 상판(2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며, 상판(21)의 하부에서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쿡탑케이스(23)의 개방된 상부에는 상판(21)이 설치되어 쿡탑케이스(23)의 내부공간을 차폐하며, 쿡탑케이스(23)의 내부공간에는 가열부(22)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내부공간이 형성된 쿡탑부(20)의 바닥면은 플레이트(25)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캐비티(35)에는 조명설치부(350)가 마련된다. 조명설치부(350)는, 후술할 조명장치(100)의 설치를 위해 캐비티(35)에 마련된 부분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명설치부(350)는 캐비티(35)의 양 측벽(35a)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캐비티(35)의 상면(35b) 측에는 상부히터(36)가 설치될 수 있고, 캐비티(35)의 저면(35c) 측에는 하부히터(37)가 설치될 수 있으며, 캐비티(35)의 배면(35d) 측에는 컨벡션부(38)가 설치될 수 있다. 이를 감안하면, 이들 위치에 조명장치(100)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기가 어려울 수 있고, 설령 이들 위치에 조명장치(100)의 설치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열에 취약한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장치(100)를 이들 위치에 설치하기에는 여러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조명설치부(350)는 캐비티(35)의 양 측벽(35a)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설치부(350)는, 설치면(351)과 통과홀(3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설치면(351)은, 캐비티(35) 상에서의 조명장치(100)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부분으로서, 캐비티(35) 측벽(35a)의 일부분을 차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통과홀(353)은, 캐비티(35)의 측벽(35a), 좀 더 구체적으로는 설치면(351)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캐비티(35)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설치면(351) 및 통과홀(3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명설치부(350)는, 이 조명설치부(350)에 설치되는 조명장치(100)를 통해 구현되는 조명이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명설치부(350)가 측벽(31a)의 대략 중앙 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 조명설치부(350)는, 통과홀(353)이 형성된 캐비티(35)의 측부면, 즉 측벽(35a)의 일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리실(31)에 위치한 조명설치부(350)의 내측면은, 조리실(31)에 위치한 캐비티(35)의 내측면이 이루는 평면보다 더 외측으로 배치된 오목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조리실(31)과 마주보는 캐비티(35) 측벽(31a)의 내측면은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조리실(31)과 마주보는 조명설치부(350) 설치면(351)의 내측면도 캐비티(35) 측벽(31a)의 내측면과 나란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조명설치부(350) 설치면(351)의 내측면은 측벽(31a)의 내측면이 이루는 평면보다 측방향으로 오목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조명설치부(350)의 내측면은, 캐비티(35)의 내측면에 측방향으로 오목하게 마련된 오목홈 형태로 형성된다.
[조명장치의 구조]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명장치(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장치(100)는, 상기 조명설치부(350)에 설치되어 조리실(31)을 조명하도록 마련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조명장치(100)는 광원부(110)와 광전달조사부(120)와 투과커버부(130) 및 서포터(140)를 포함한다.
광원부(110)는, 조명을 구현하기 위한 광원을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부(110)는 빛을 발산하는 광원 및 광원이 실장되는 기판(113)을 포함하되, 엘이디(LED; 111)를 광원으로 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광원부(110)는 PCB 등과 같은 기판(113)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이디(111)가 실장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엘이디(111)는, 기판(113)에 실장되되, 후술할 광전달조사부(120)와 마주보는 면에, 예를 들면 기판(113)의 하부면에 실장된다.
엘이디(111) 외에도 빛을 발산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구성이 본 실시예의 광원부(110)의 광원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엘이디(111), 즉 광원의 개수는 조명장치(100)를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조명 효과의 강도 및 영역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광전달조사부(120)는, 광원부(110)와 연결되도록 캐비티(35)의 외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광전달조사부(120)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조명설치부(350)에 형성된 통과홀(353)을 통해 캐비티(35)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캐비티(35)의 외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광전달조사부(12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사각 막대 형상의 도광관(導光管)인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광전달조사부(120)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엘이디(111)와 인접된 위치로부터 통과홀(353)이 형성된 부분까지 연장되는 길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광전달조사부(120)에서는, 엘이디(111)와 마주보는 상부면이 입광면(入光面; 121)이 되고, 통과홀(353)과 마주보는 측부면이 출광면(出光面; 123)이 된다.
상기 광전달조사부(120)는, 광전달조사부(120)의 상부에 위치한 엘이디(111)로부터 발산된 빛을 엘이디(111)와 마주보는 상부면, 즉 입광면(121)을 통해 입사받으며, 입광면(121)을 통해 입사받은 빛을 상기 통과홀(353)이 형성된 영역에서 발산할 수 있게 마련된다.
투과커버부(130)는, 통과홀(353)을 덮도록 캐비티(35), 좀 더 구체적으로는 조명설치부(350)에 설치된다. 이러한 투과커버부(130)는, 광전달조사부(120)에서 발산된 빛을 캐비티(35) 내부의 조리실(31)로 투과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마련된다.
상기 투과커버부(130)는, 조리실(31) 내부의 열이 통과홀(353)을 통해 캐비티(35)의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통과홀(353)을 덮는 덮개 역할을 하면서도, 캐비티(35)의 외부에서 통과홀(353)을 통해 발산되는 빛이 조리실(31) 내부로 투과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투과커버부(130)는, 조리실(31) 내에 위치하도록 캐비티(35)의 내측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조명설치부(350)의 설치면의 내측면에 설치되며, 투광성이 높으면서도 조리실(31) 내의 고온 환경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이 높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과커버부(130)의 출광면인 표면(131)과 대면하는 면인 투과커버부(130)의 이면(133)에는 확산패턴이 마련될 수 있다. 확산패턴은, 이면(133)에 확산패턴을 인쇄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조면 처리를 통해 이면(133)의 표면에 거칠기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서포터(140)는, 광원부(110)를 캐비티(35)로부터 이격시키며 지지하도록 마련되며, 캐비티(35)의 외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캐비티(35)의 상부에 마련된 플레이트(25)에 설치된다. 이러한 서포터(140)는, 캐비티(35)의 열이 광원부(1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플라스틱 등과 같은 열전도도가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합부(141)와 지지부(143) 및 고정부(1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141)는, 서포터(140)를 캐비티(35)의 외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결합부(141)는, 기판(113)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플레이트(25)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는데 필요한 충분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43)는, 광원부(110)를 결합부(141) 상부에서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서, 결합부(141)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광원부(110)를 결합부(141)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이격시키며 지지한다.
고정부(145)는, 서포터(140) 중 광전달조사부(120)와 결합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이러한 고정부(145)는, 광전달조사부(120)의 입광면(121)이 엘이디(111)와 마주보도록 광전달조사부(120)를 고정하며, 지지보스(145a) 및 끼움공(145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보스(145a)는, 지지부(143) 상에서 전후방향 및 측방향으로 대략 중앙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며, 결합부(141)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벽을 형성하는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끼움공(145b)은, 이와 같이 형성된 지지보스(145a)의 내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지지보스(145a)의 내부에 형성되는 끼움공(145b)은, 엘이디(111)가 발산하는 빛의 경로 범위 내에 위치하게 된다.
광전달조사부(120)는 상기 끼움공(145b)을 통해 지지보스(145a)의 내부에 끼워지며, 이와 같이 지지보스(145a)의 내부에 끼워진 광전달조사부(120)는 그 입광면(121)이 엘이디(111)와 마주보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서포터(14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명장치(100)를 이루는 구성 간의 결합 관계를 간략하게 재설명하면, 캐비티(35)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캐비티(35)의 상부에 배치되는 플레이트(25)에 결합부(141)가 결합됨에 의해, 캐비티(35) 외부에서의 서포터(140)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기판(113)의 하부면 및 테두리 부분이 지지부(143)에 의해 지지됨에 의해, 광원부(110)가 캐비티(35)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서포터(14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지지보스(145a)의 내부에 형성되는 끼움공(145b)을 통해 광전달조사부(120)의 상측부가 지지보스(145a)의 내부에 끼워짐에 의해, 광전달조사부(120)의 입광면(121)이 엘이디(111)와 마주보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광전달조사부(120)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광원부의 고정 및 방열을 위한 구조]
도 7은 도 4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조명장치에서 광전달조사부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서포터(140)에는 복수 개의 지지부(143)가 형성된다. 이러한 복수 개의 지지부(143)는 기판(113)의 테두리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되, 기판(113)의 테두리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지지부(143)의 상단에는 안착면(143a)이 형성되며, 이 안착면(143a)에 기판(113)의 하부면이 안착됨으로써 지지부(143)에 의한 광원부(110)의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광원부(110)는, 기판(113)이 지지부(143)에 의해 지지되고 기판(113)의 하부면에 실장된 엘이디(111)가 지지부(143)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위치하는 형태로 서포터(140) 상에 고정된다.
또한 안착면(143a)의 측방향 외측에는 지지돌기(143b)가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지돌기(143b)와 기판(113)의 테두리 부분 간에 이루어지는 간섭에 의해, 안착면(143a)에 안착된 기판(113)의 측방향 위치가 구속됨으로써, 지지부(143)의 상부에 설치된 기판(113) 및 이를 포함하는 광원부(110)의 지지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서포터(140)에는, 관통통로부(147)가 마련될 수 있다. 관통통로부(147)는, 결합부(141)와 기판(113) 사이에서 지지부(143)를 측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통로부(147)는 결합부(141)의 상부에 마련된 복수 개의 지지부(143)가 서로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됨에 따라 지지부(143)와 지지부(14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인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관통통로부(147)는, 서포터(140) 외부의 공기가 서포터(140) 내부를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서포터(140) 상에 형성한다. 이로써, 서포터(140)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엘이디(111) 및 이 엘이디(111)가 설치된 기판(113)이 관통통로부(147)를 통해 서포터(140) 내부를 통과하는 외부 공기에 의해 냉각되는 냉각 구조가 서포터(140) 상에 마련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광원부(110)는, 캐비티(35)의 상부면에 직접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캐비티(35)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캐비티(35)의 상부에 배치되는 플레이트(25)에 설치됨으로써, 캐비티(35)와 소정 간격 이격된 형태로 설치된다. 또한 광원부(110)는, 플레이트(25)에 직접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플레이트(25)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서포터(140)에 의해 지지되어 플레이트(25)와도 소정 간격 이격된 형태로 설치된다.
즉 광원부(110)는, 상부방향으로 캐비티(35)와 소정 간격 이격된 플레이트(25)에 설치되되, 플레이트(25)로부터도 상부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캐비티(35)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므로, 고온 상태인 캐비티(35)에서 전달되는 열의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25)는 통과홀(353)이 형성된 캐비티(35)의 측벽(35a)보다 측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서포터(140) 및 광원부(110)는, 플레이트(25) 상에서 캐비티(35)의 측벽(35a)보다 측방향으로 더 돌출된 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캐비티(35)의 측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로써 광원부(110)는, 캐비티(35)로부터 상하방향으로도 이격되고 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므로, 고온 상태인 캐비티(35)에서 전달되는 열의 영향이 더욱 미치기 어려운 위치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포터(140) 및 광원부(110)가 설치되는 플레이트(25)는 쿡탑부(2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인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플레이트(25)가 바닥면을 형성하는 쿡탑부(20)의 내부공간에는, 쿡탑가열부(22)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전장품이 설치되는 한편, 이들을 냉각시키기 위한 외부공기를 쿡탑부(20)의 내부공간에 유입시키는 냉각부가 설치될 수 있다.
냉각부는, 쿡탑케이스(23)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냉기를 송풍하도록 마련되며, 쿡탑부(20)의 외부와 연결된 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빨아들여 쿡탑부(20)의 내부공간으로 토출하는 쿨링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부(110)가 쿡탑부(2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25)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쿡탑부(20)의 내부공간에 위치할 수 있게 배치되므로, 쿡탑부(20) 내부공간에 설치된 냉각부에 의해 전장품 등의 냉각은 물론, 광원부(110)의 냉각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냉각부에 의해 광원부(110) 측으로 전달되는 냉기가 서포터(140)의 내부에 마련된 관통통로부(147)를 통해 서포터(140) 내부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냉각부를 이용한 냉각 작용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광원부(110)는, 캐비티(35)로부터 상하방향으로도 이격되고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고온 상태인 캐비티(35)에서 전달되는 열의 영향이 더욱 미치기 어려운 위치에 설치되는 한편, 서포터(140)의 내부에 마련된 관통통로부(147)를 통해 서포터(140) 내부를 통과하는 외부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으며, 쿡탑부(20)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냉각부에 의해 전달되는 냉기에 의해 냉각될 수도 있도록 설치됨으로써, 과열로 인한 엘이디(111)의 성능 저하 및 수명 단축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광원부(1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부(115)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방열부(115)는, 기판(113)의 상부면에 마련되되, 복수 개의 방열핀이 기판(113)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서포터(140) 및 광원부(110)의 상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방열부(115)는 엘이디(111) 및 기판(113)의 열을 방출하는 작용을 하며, 이로써 광원부(110)에 대한 방열 작용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투과커버부 및 배면커버부의 설치 구조]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조리실(31)과 마주보는 캐비티(35) 측벽(31a)의 내측면은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조리실(31)과 마주보는 조명설치부(350) 설치면(351)의 내측면도 캐비티(35) 측벽(31a)의 내측면과 나란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조명설치부(350) 설치면(351)의 내측면은 측벽(31a)의 내측면이 이루는 평면보다 측방향으로 더 외측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조명설치부(350)의 내측면은, 캐비티(35)의 내측면에 측방향으로 오목하게 마련된 오목홈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외측으로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된 조명설치부(35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투과커버부(130)는, 조명설치부(350) 주변 영역의 캐비티(35)의 내측면보다 조리실(31)의 내부로 더 돌출되지 않게 설치된다.
즉 투과커버부(130)는 조리실(31) 내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측방향 길이가 조명설치부(350)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홈의 깊이보다 길지 않게 형성되며, 이로써 조명설치부(35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투과커버부(130)는 조명설치부(350)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홈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조리실(31) 내부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캐비티(35)에 관통되게 형성된 통과홀(353)을 덮기 위해 조명설치부(350)의 내측면에 투과커버부(130)와 같은 구조물이 설치되더라도, 캐비티(35)의 내측면에는 조리실(31) 내부를 향해 돌출된 부분이 없게 된다.
이로써, 조리실(31) 내부의 조명을 위해 조리실(31) 내부에 설치되는 구조물로 인해 조리실(31) 내부의 용적이 감소될 일이 없게 되며, 조리실(31)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음식물의 조리 과정이나 음식물의 투입 또는 인출 과정에서 조리실(31) 내부의 돌출된 구조물과 음식물 간의 접촉이 이루어져 조리실(31)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100)는 배면커버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면커버부(150)는, 통과홀(353)을 덮도록 캐비티(35)에 설치되되, 캐비티(35)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투과커버부(130)와는 다르게 캐비티(35)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배면커버부(150)는, 캐비티(35)의 외측에 배치되는 광전달조사부(120)를 사이에 두고 투과커버부(130)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투과커버부(130)는 측벽(35a)의 외측을 향한 면이 개방된 육면체 사각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배면커버부(150)는 측벽(35a)의 내측을 향한 면이 개방된 육면체 사각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배면커버부(150)와 마주보는 투과커버부(130)의 일측에는, 결합돌기(135)가 측벽(35a)의 외측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결합돌기(135)는 통과홀(353)을 통과하여 캐비티(35)의 외측에서 배면커버부(150)와 결합되며, 이러한 결합돌기(135)와 배면커버부(150) 간의 결합에 의해 투과커버부(130)와 배면커버부(15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투과커버부(130)와 배면커버부(150) 간의 결합에 의해, 투과커버부(130)와 배면커버부(150) 사이에는 투과커버부(130)와 배면커버부(150)에 의해 둘러싸이는 폐쇄된 공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돌기(135)와 배면커버부(150) 간의 결합은 끼움 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바람직하게는, 결합돌기(135)는 통과홀(353)이 형성된 캐비티(35)의 내주면에 맞물릴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돌기(135)를 배면커버부(150)에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투과커버부(130)와 배면커버부(15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투과커버부(130) 및 배면커버부(150)를 캐비티(35) 상에 고정시키는 작업도 함께 이루어지게 되므로, 투과커버부(130) 및 배면커버부(150)의 설치 작업이 좀 더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광전달조사부의 고정 구조]
광전달조사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끼움공(145b)을 통해 지지보스(145a)의 내부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지지보스(145a)의 내부에 끼워진 광전달조사부(120)는 그 입광면(121)이 엘이디(111)와 마주보는 위치를 유지하도록 서포터(14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로써 광전달조사부(120)의 상측과 하측 중 상측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전달조사부(120)를 고정하는 서포터(140)에는, 광전달조사부(120)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110)가 고정된다. 즉 하나의 서포터(140)를 이용하여, 광원부(110)와 광전달조사부(120)의 조립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100)는 패킹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킹부(160)는, 광전달조사부(120)의 외측에 끼워지고, 끼움공(145b)을 통해 지지보스(145a)의 내부에 끼워져 광전달조사부(120)를 서포터(140)에 고정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킹부(160)는 실리콘 고무와 같이 마찰 계수가 높은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부(160)는, 광전달조사부(120)와 지지보스(145a) 사이에 끼워져 광전달조사부(120)와 지지보스(145a) 간의 결합이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한편, 광전달조사부(120)와 서포터(140)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고 서포터(140)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접촉으로 인한 긁힘, 충격으로 인한 파손으로부터 광전달조사부(120)를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이 상측이 서포터(140)에 고정된 광전달조사부(120)는, 캐비티(35)의 측방향 외측에서 플레이트(25)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그 하측이 투과커버부(130)와 배면커버부(15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투과커버부(130)와 배면커버부(15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 광전달조사부(120)의 하측은, 배면커버부(15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전달조사부(120)의 하측과 마주보는 배면커버부(150)의 저면에 광전달조사부(120)의 하측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구조물이 마련되고, 광전달조사부(120)의 하측이 이 고정 구조물에 고정되는 형태로 광전달조사부(120) 하측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전달조사부(120)의 하측과 마주보는 배면커버부(150)의 저면에 한 쌍의 끼움리브(151)가 광전달조사부(120)의 폭에 대응되는 폭만큼 이격되게 마련되고, 이와 같이 마련된 한 쌍의 끼움리브(151) 사이에 광전달조사부(120)의 하측이 끼워짐으로써, 광전달조사부(120) 하측의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광전달조사부(120)의 하측을 한 쌍의 끼움리브(151) 사이에 끼우는 것만으로 광전달조사부(120) 하측의 고정이 안정적이면서도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광전달조사부(120)와 배면커버부(15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광전달조사부(120)를 매개로 한 서포터(140)와 배면커버부(150) 간의 결합도 간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캐비티(35) 상에 설치된 배면커버부(150)의 고정 구조 또한 더욱 안정적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광전달조사부(120)의 고정 구조를 간략하게 재설명하면, 패킹부(160)를 매개로 한 광전달조사부(120)와 지지보스(145a)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광전달조사부(120)의 상측의 고정이 이루어지고, 플레이트(25)를 관통하는 광전달조사부(120)의 측부가 플레이트(25)에 의해 지지되며, 배면커버부(150)의 저면에 형성된 끼움리브(151)와 광전달조사부(120)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광전달조사부(120)의 하측이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광전달조사부(120)와 지지보스(145a) 간의 끼움 결합이 패킹부(160)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광전달조사부(120)와 지지보스(145a) 간의 결합이 안정되게 유지되는 한편, 접촉으로 인한 긁힘, 충격으로 인한 파손으로부터 광전달조사부(120)가 보호될 수 있다.
그리고 서포터(140)를 매개로 하여 서포터(140)와 광전달조사부(120) 및 배면커버부(150) 간에 이루어지는 결합에 의해, 광전달조사부(120) 상하방향 양측이 고정되어 광전달조사부(120)의 고정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캐비티(35) 상에 설치된 배면커버부(150)의 고정 구조 또한 더욱 안정적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조명장치의 조명 구현 구조]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조명 구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6과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과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광원부(110)는 상부방향으로 캐비티(35)와 소정 간격 이격된 플레이트(25)에 설치되되, 플레이트(25)로부터도 상부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캐비티(35)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고온 상태인 캐비티(35)에서 전달되는 열의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광원부(110)의 엘이디(111)에 의해 발산된 빛은, 서포터(140)에 의해 광원부(110)의 하부에 고정된 광전달조사부(120)의 입광면(121)을 통해 광전달조사부(120)의 내부로 입사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광전달조사부(120)의 내부로 입사된 빛은, 광전달조사부(120)를 통해 통과홀(353) 측으로 전달되어 통과홀(353)과 마주보는 광전달조사부(120)의 측부면, 즉 출광면(123)을 통해 투과커버부(130) 측으로 조사될 수 있다.
상기 광전달조사부(120)의 일부 영역에는, 광전달조사부(120)의 내부로 입사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면(125)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출광면(123)의 맞은편 면에 반사면(125)이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반사면(125)은 광전달조사부(120)의 측면에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물질이나 패턴을 도포 또는 인쇄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반사면(125)의 형성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광전달조사부(120)를 통해 빛이 조사되는 방향 및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100)는 차광커버부(170)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차광커버부(170)는, 서포터(140)와 투과커버부(130) 사이의 영역에서 광전달조사부(120)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또한 차광커버부(170)의 내면에는 반사면 처리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차광커버부(170)는, 서포터(140)와 투과커버부(130) 사이의 영역에서 광전달조사부(120) 외부로의 빛의 발산을 차단함으로써, 입광면(121)으로부터 출광면(123)으로 전달되는 빛의 전달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광전달조사부(120)의 출광면(123)은 투과커버부(130)와 배면커버부(150) 사이에 형성된 폐쇄된 공간에 위치하며, 이와 같이 폐쇄된 공간 내에서 투과커버부(130)를 향해 빛을 조사한다.
즉 투과커버부(130)와 배면커버부(150) 사이에 형성된 폐쇄된 공간 내에서 광전달조사부(120)를 통한 빛의 발산이 이루어지므로, 광전달조사부(120)를 통해 발산된 빛의 이동은 빛의 투과가 가능한 투과커버부(130)를 통과하는 방향으로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투과커버부(130)를 통과한 빛은 조리실(31) 내부를 향해 조사되며, 이로써 조리실(31) 내부에 대한 조명이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투과커버부(130)와 배면커버부(150) 사이에 형성된 폐쇄된 공간 내에는 반사부(18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반사부(180)는 배면커버부(150)의 투과커버부(130)와 마주보는 면, 즉 배면커버부(150)의 내측면에 마련되며, 이러한 반사부(180)는 광전달조사부(120)에서 배면커버부(150) 측으로 발산되는 빛을 투과커버부(130) 측으로 반사시킴으로써, 조리실(31) 내부에 대한 조명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반사부(180)는, 빛의 반사율이 높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의 재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부(180)는, 배면커버부(150) 자체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배면커버부(15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배면커버부(150)의 내측면에 알루미늄을 코팅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빛 반사율이 높은 여러 다른 물질이 배면커버부(150)의 재질 또는 코팅 재료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따르면, 조명을 위한 빛을 발산하는 광원인 엘이디(111)가 조리실(31) 내부에서 벗어난 캐비티(35)의 외부에 설치되고 이와 같이 캐비티(35)의 외부에 설치된 엘이디(111)에서 발산된 빛을 조리실(31) 내부를 향해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조리실(31) 내부의 고온 환경에서도 엘이디(111)를 이용한 조명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따르면, 캐비티(35)로부터 상하방향으로도 이격되고 측방향으로 이격되어 고온 상태인 캐비티(35)에서 전달되는 열의 영향이 더욱 미치기 어려운 위치에 광원부(110)가 설치되고, 서포터(140)의 내부에 마련된 관통통로부(147)를 통해 서포터(140) 내부를 통과하는 외부공기 및 쿡탑부(20)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냉각부에 의해 전달되는 냉기에 의해 광원부(110)의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광원부(110) 설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과열로 인한 엘이디(111)의 성능 저하 및 수명 단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20 : 쿡탑부
21 : 상판
22 : 쿡탑가열부
25 : 플레이트
30 : 오븐부
31 : 조리실
32 : 도어
33 : 핸들
35 : 캐비티
350 : 조명설치부
351 : 설치면
353 : 통과홀
36 : 상부히터
37 : 하부히터
38 : 컨벡션부
50 : 전장실
100 : 조명장치
110 : 광원부
111 : 엘이디
113 : 기판
115 : 방열부
120 : 광전달조사부
121 : 입광면
123 : 출광면
125 : 반사면
130 : 투과커버부
131 : 표면
133 : 이면
135 : 결합돌기
140 : 서포터
141 : 결합부
143 : 지지부
143a : 안착면
143b : 지지돌기
145 : 고정부
145a : 지지보스
145b : 끼움공
147 : 관통통로부
150 : 배면커버부
151 : 끼움리브
160 : 패킹부
170 : 차광커버부
180 : 반사부

Claims (17)

  1. 내부와 외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과홀이 형성된 캐비티의 외부에 설치되고, 빛을 발산하는 엘이디를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캐비티의 외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캐비티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캐비티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엘이디로부터 발산된 빛을 상기 엘이디와 마주보는 입광면을 통해 입사받아 상기 통과홀이 형성된 영역에서 발산하는 광전달조사부;
    상기 통과홀을 덮도록 상기 캐비티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광전달조사부에서 발산된 빛을 상기 캐비티의 내부로 투과시키는 투과커버부;
    상기 통과홀을 덮도록 상기 캐비티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광전달조사부를 둘러싸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상기 투과커버부와 결합되는 배면커버부; 및
    상기 캐비티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부를 상기 캐비티로부터 이격시키며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투과커버부와 상기 배면커버부는, 상기 통과홀을 통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되, 상기 캐비티를 사이에 두고 상기 투과커버부가 상기 캐비티의 내부에서 상기 캐비티를 압박하고 상기 배면커버부가 상기 캐비티의 외부에서 상기 캐비티를 압박하면서 상기 캐비티에 고정되는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서포터를 상기 캐비티의 외부에 고정시키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광원부를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이격시키며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상기 광전달조사부와 마주보는 면에 상기 엘이디가 실장되는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기판 사이에서 상기 지지부를 측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관통통로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홀은, 상기 캐비티의 측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는, 상기 캐비티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 배치되는 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조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통과홀이 형성된 상기 캐비티의 측부보다 측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서포터 및 상기 광원부는, 캐비티의 측부보다 측방향으로 더 돌출된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광전달조사부는, 상기 캐비티 측부의 측방향 외측에서 상기 플레이트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상기 서포터와 결합되는 조명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광전달조사부와 결합되어 상기 입광면이 상기 엘이디와 마주보도록 상기 광전달조사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보스, 및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지지보스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끼움공을 포함하고,
    상기 광전달조사부는, 상기 끼움공을 통해 상기 지지보스의 내부에 끼워져 상기 입광면이 상기 엘이디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기 서포터에 고정되는 조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광전달조사부의 외측에 끼워지고, 상기 끼움공을 통해 상기 지지보스의 내부에 끼워져 상기 광전달조사부를 상기 서포터에 고정시키는 패킹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달조사부의 하측과 마주보는 배면커버부의 저면에는, 한 쌍의 끼움리브가 마련되고,
    한 쌍의 상기 끼움리브 사이에 상기 광전달조사부의 하측이 끼워져 상기 광전달조사부의 하측이 상기 배면커버부에 고정되는 조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달조사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서포터와 상기 투과커버부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광전달조사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서포터와 상기 투과커버부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광전달조사부 외부로의 빛의 발산을 차단하는 차광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커버부와 상기 배면커버부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캐비티를 관통하며 상기 캐비티에 결합되어 상기 투과커버부와 상기 배면커버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캐비티에 고정시키고,
    상기 투과커버부와 상기 배면커버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캐비티를 관통한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투과커버부와 상기 배면커버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면서 상기 캐비티에 고정되는 조명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배면커버부와 마주보는 투과커버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통과홀을 통과하여 상기 캐비티의 외측에서 상기 배면커버부와 결합되고,
    상기 배면커버부가 상기 캐비티의 외측에서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면, 상기 투과커버부가 상기 캐비티의 내측 측벽에 밀착되고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캐비티의 내주면에 맞물리며 상기 배면커버부가 상기 캐비티의 외측 측벽에 밀착되는 조명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통과홀을 둘러싸는 상기 캐비티의 내주면에 맞물리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명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커버부의 상기 투과커버부와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광전달조사부에서 발산되는 빛을 상기 투과커버부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가 구비되는 조명장치.
  14.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을 가열하는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부;
    상기 캐비티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캐비티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과홀을 포함하는 조명설치부; 및
    상기 조명설치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실을 조명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캐비티의 외부에 설치되고, 빛을 발산하는 엘이디를 포함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캐비티의 외부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캐비티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캐비티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엘이디로부터 발산된 빛을 상기 엘이디와 마주보는 입광면을 통해 입사받아 상기 통과홀이 형성된 영역에서 발산하는 광전달조사부;
    상기 통과홀을 덮도록 상기 조명설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광전달조사부에서 발산된 빛을 상기 캐비티의 내부로 투과시키는 투과커버부;
    상기 통과홀을 덮도록 상기 캐비티에 설치되며, 상기 광전달조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투과커버부와 결합되는 배면커버부; 및
    상기 캐비티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부를 상기 캐비티로부터 이격시키며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투과커버부와 상기 배면커버부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통과홀을 통해 상기 캐비티를 관통하며 상기 캐비티에 결합되어 상기 투과커버부와 상기 배면커버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캐비티에 고정시키고,
    상기 투과커버부와 상기 배면커버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캐비티를 관통한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투과커버부와 상기 배면커버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면서 상기 캐비티에 고정되는 조리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설치부는, 상기 통과홀이 형성된 상기 캐비티의 측부면 일부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조리실에 위치한 상기 조명설치부의 내측면은, 상기 조리실에 위치한 상기 캐비티의 내측면이 이루는 평면보다 측방향으로 오목한 평면을 이루는 조리기기.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는, 상기 캐비티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 배치되는 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조리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는 상판과 쿡탑가열부와 쿡탑케이스를 포함하는 쿡탑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쿡탑부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기 쿡탑케이스와 상기 플레이트로 둘러싸인 상기 쿡탑부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쿡탑가열부를 냉각시키는 냉각부가 구비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쿡탑부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KR1020170031102A 2017-03-13 2017-03-13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1949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102A KR101949581B1 (ko) 2017-03-13 2017-03-13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US15/918,610 US10408464B2 (en) 2017-03-13 2018-03-12 Lighting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including lighting device
EP18161576.6A EP3376116B1 (en) 2017-03-13 2018-03-13 Cooking appliance with a ligh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102A KR101949581B1 (ko) 2017-03-13 2017-03-13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401A KR20180104401A (ko) 2018-09-21
KR101949581B1 true KR101949581B1 (ko) 2019-02-18

Family

ID=61628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102A KR101949581B1 (ko) 2017-03-13 2017-03-13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08464B2 (ko)
EP (1) EP3376116B1 (ko)
KR (1) KR1019495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41481A (zh) * 2019-10-30 2021-05-04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具照明功能的内胆结构及其烹饪装置
CN113143042B (zh) * 2021-01-28 2022-10-11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具有照明功能的烹饪内胆结构及蒸烤一体机
BE1029645B1 (de) * 2021-08-02 2023-02-27 Miele & Cie Gargerät, umfassend einen Garraum und mindestens eine Garraumleuchte
EP4206544A1 (en) 2021-12-29 2023-07-05 SMEG S.p.A. Oven muffle provided with a lighting device for illuminating the cooking chamber
DE102022108426A1 (de) * 2022-04-07 2023-10-12 Bjb Gmbh & Co. Kg Gargeräteleuchte und Gargerät mit Gargeräteleucht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25734A1 (de) 1990-08-14 1992-02-20 Bosch Siemens Hausgeraete Beleuchtungseinrichtung fuer einen ofen
JP2008307235A (ja) 2007-06-15 2008-12-25 Hitachi Appliances Inc 加熱調理器
DE102012223465A1 (de) * 2012-12-17 2014-06-1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leuchtung für ein Gargerä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28526B1 (en) * 2008-05-31 2011-12-14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Oven, especially domestic oven
US7874690B2 (en) * 2008-06-24 2011-01-2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ED lighting fixture for illuminating a cavity
ITTO20080110U1 (it) * 2008-07-31 2010-02-01 Indesit Co Spa Apparecchio di cottura di uso domestico, in particolare un forno
US9182112B2 (en) 2010-11-19 2015-11-10 General Electric Company Sheet lighting in an appliance
DE102014203531A1 (de) 2014-02-27 2015-08-27 BSH Hausgeräte GmbH Gargerät mit einer spezifischen Kühlung einer Beleuchtungsvorrichtung
EP3045819A1 (de) * 2015-11-24 2016-07-20 V-Zug AG Beleuchtung im gargerä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25734A1 (de) 1990-08-14 1992-02-20 Bosch Siemens Hausgeraete Beleuchtungseinrichtung fuer einen ofen
JP2008307235A (ja) 2007-06-15 2008-12-25 Hitachi Appliances Inc 加熱調理器
DE102012223465A1 (de) * 2012-12-17 2014-06-1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leuchtung für ein Gargerä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76116B1 (en) 2023-10-04
EP3376116A1 (en) 2018-09-19
US20180259193A1 (en) 2018-09-13
KR20180104401A (ko) 2018-09-21
US10408464B2 (en) 201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581B1 (ko) 조명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JP4627745B2 (ja) 加熱調理器
KR101847286B1 (ko) 냉기흐름유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20230010044A (ko) 오븐
WO2015129449A1 (ja) 加熱調理器
KR102363887B1 (ko) 도어 발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WO2013098018A1 (en) An oven
JP6488177B2 (ja) 加熱調理器
WO2013080572A1 (ja) レンジフード付き高周波加熱装置
KR101971765B1 (ko) 광원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2087974B1 (ko) 도어 발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JP5116863B2 (ja) 加熱調理器
KR20240035304A (ko) 조리 기기
JP2017003153A (ja) 高周波加熱調理器
JP6682135B2 (ja) 加熱調理装置
KR100680813B1 (ko) 조리기기의 히터 냉각장치
JP2018189328A (ja) 加熱調理器
KR20030075362A (ko) 가스오븐레인지의 오븐 가열장치
JP2012117753A (ja) マイクロ波加熱装置
KR20110137462A (ko) 오븐 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