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365B1 -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365B1
KR101949365B1 KR1020170055530A KR20170055530A KR101949365B1 KR 101949365 B1 KR101949365 B1 KR 101949365B1 KR 1020170055530 A KR1020170055530 A KR 1020170055530A KR 20170055530 A KR20170055530 A KR 20170055530A KR 101949365 B1 KR101949365 B1 KR 101949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locking
lock
vacuum
fixed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1166A (ko
Inventor
문성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에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에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에프이
Priority to KR1020170055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365B1/ko
Publication of KR20180121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s to be conveyed not being semiconductor wafers or large planar substrates, e.g. chips, lead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1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substrate being handled substantially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 B65G2249/045Details of suction cups suction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진공 유로와, 상기 제1 진공 유로의 하단에 설치되고 반도체 패키지를 진공 흡착하도록 구성되는 흡착부를 구비하는 몸체; 제2 진공 유로를 구비하고, 진공 발생기에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고정 블록; 상기 고정 블록에 설치되는 잠금 볼과,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잠금 볼이 삽입되는 잠금 그루브를 구비하는 잠금 유닛; 및 상기 고정 블록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됨에 따라 상기 잠금 볼이 상기 잠금 그루브에서 이탈되게 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SEMICONDUCTOR PACKAGE ADSORPTION PICKER ASSEMBLY}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를 흡착하는데 사용되는 픽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제조 공정에 의해 완성된 반도체 패키지는 테스트(검사) 공정을 통해 동작 특성들이 제대로 구현되는지에 대해 체크된 후 양품으로 분류된 경우에 출하된다.
이러한 검사 공정에서, 반도체 패키지는 픽커에 의해 흡착되어, 일 위치에서 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픽커는 반도체 패키지를 가압하는 과정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픽커는 다른 부품과 마찬가지로, 반복 사용됨에 의해 마모되거나 고장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반도체 패키지의 사이즈에 따라 교체되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상의 이유로, 픽커를 교환하는 경우에, 픽커를 고정 대상물에서 분리하고 다시 체결하는 과정이 간단하지 않아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한 방식으로 결합 대상물에 대해 픽커 어셈블리를 결합하거나 결합 대상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는, 제1 진공 유로와, 상기 제1 진공 유로의 하단에 설치되고 반도체 패키지를 진공 흡착하도록 구성되는 흡착부를 구비하는 몸체; 제2 진공 유로를 구비하고, 진공 발생기에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고정 블록; 상기 고정 블록에 설치되는 잠금 볼과,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잠금 볼이 삽입되는 잠금 그루브를 구비하는 잠금 유닛; 및 상기 고정 블록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됨에 따라 상기 잠금 볼이 상기 잠금 그루브에서 이탈되게 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조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작 유닛은, 상기 몸체를 둘러싸는 중공형의 조작 슬리브; 및 상기 조작 슬리브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잠금 볼이 상기 조작 슬리브의 중심축에 대해 근접 방향 또는 이격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변위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위 리세스는, 상기 잠금 볼을 지지하며, 상기 조작 슬리브의 내주를 따라 연장되는 폐루프 형태의 변위 트랙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위 트랙은, 원형인 내주선과, 상기 내주선을 감싸면서 타원형인 외주선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고정 블록에 설치되는 스탑 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 유닛은, 상기 조작 슬리브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스탑 볼을 수용함에 따라 상기 조작 슬리브의 회전이 정지되게 하는 고정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고정 블록에 대해 상기 스탑 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상기 잠금 그루브가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블록은,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며 상기 잠금 볼이 설치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에 의하면, 간편한 방식으로 결합 대상물에 대해 픽커 어셈블리를 결합하거나 결합 대상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그에 의해, 픽커 어셈블리에 대한 교환 과정에서 작업 편의성을 높이고,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100)에 대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1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라인(A-A)을 따라 취한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100)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작 슬리브(151)를 몸체(110)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라인(A-A)을 따라 취한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100)의 결합 상태에서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라인(A-A)을 따라 취한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100)의 분리 상태에서의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100)에 대한 결합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100)는, 몸체(110), 고정 블록(130), 조작 유닛(150), 및 잠금 유닛(170, 도 3)을 가질 수 있다.
몸체(110)는 반도체 패키지(P)를 최종적으로 흡착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진공은 몸체(110)의 하단까지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고정 블록(130)은 진공 발생기(미도시)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고정 블록(130)은 몸체(11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대상물이 된다. 고정 블록(130)은 몸체(110)와 진공 발생기 사이에서 진공 발생기에서 발생된 진공이 몸체(110)로 공급되게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조작 유닛(150)은 잠금 유닛(170)의 잠금이나 잠금 해제 동작을 위해 잠금 유닛(170)이 조작되게 하는 구성이다. 조작 유닛(150)은 사용자에 의해 몸체(110)와 고정 블록(130)를 감싼 채로 회전 조작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몸체(110)는 조작 유닛(150) 및 잠금 유닛(170)에 의해 고정 블록(130)에 고정된 상태로, 고정 블록(130)을 거쳐서 진공 발생기에 연통된다. 그 결과, 몸체(110)는 최종적으로 반도체 패키지(P)를 진공 흡착하게 된다.
이러한 몸체(110)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조작 유닛(150)에 대한 회전 조작에 의해 몸체(110)를 고정 블록(130)에서 간단하게 분리/재장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110)를 고정 블록(130)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조작 유닛(150)을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그 상태에서, 조작 유닛(150)과 잠금 유닛(170) 간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작업자는 몸체(110)를 고정 블록(130)으로부터 잡아 당겨서 분리하면 된다.
또한, 몸체(110)를 고정 블록(130)에 재장착하고자 할 때는, 사용자는 고정 블록(130)에 몸체(11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조작 유닛(150)을 회전시켜 그들 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면 된다. 이때는, 조작 유닛(150)과 잠금 유닛(170)이 상호 작용하여, 몸체(110)와 고정 블록(130) 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몸체(110) 등의 구체적 구성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1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라인(A-A)을 따라 취한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100)의 분해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몸체(110)는, 제1 진공 유로(111), 흡착부(113), 및 돌출부(115)를 가질 수 있다. 제1 진공 유로(111)는 몸체(110)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관통 형성되는 중공 라인일 수 있다. 흡착부(113)는 제1 진공 유로(111)의 하단에 연통되며, 반도체 패키지(P)와 흡착되는 연성 재질, 예를 들어 고무나 실리콘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돌출부(115)는 제1 진공 유로(111)의 상단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서, 고정 블록(130)의 수용부(133)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고정 블록(130)은 제2 진공 유로(131), 수용부(133), 및 체결부(135)를 가질 수 있다. 제2 진공 유로(131)는 제1 진공 유로(111)에 대응하고, 진공 발생기와 연통되는 유로이다. 수용부(133)는 돌출부(115)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133a)을 가진다. 체결부(135)는 고정 블록(130)이 진공 발생기에 체결되게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체결부(135)는 볼트 같은 체결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조작 유닛(150)은 조작 슬리브(151)와 지지체(155)를 가질 수 있다.
조작 슬리브(151)는 대체로 중공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 블록(130)의 수용부(133), 그리고 잠금 볼(171)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 슬리브(151)는 고정 블록(130)의 수용부(133)를 중심으로 회전 조작될 수 있다.
조작 슬리브(151)의 하부에는 변위 리세스(152)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고정홈(153)이 형성된다. 변위 리세스(152)는 잠금 볼(171)이 조작 슬리브(151)의 중심축을 향해 근접하거나 그로부터 이격되게 하는 구성이다. 고정홈(153)은 스탑 볼(172)이 삽입되는 홈이다. 고정홈(153)은 복수 개로서 구비되고, 예를 들어 90도 간격으로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체(155)는 조작 슬리브(151)에 결합되어 잠금 볼(171)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지지체(155)는 대체로 링 형상을 가져서, 그의 중공부에는 돌출부(115)가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잠금 유닛(170)은 잠금 볼(171)과, 스탑 볼(172), 그리고 잠금 그루브(175)를 가질 수 있다.
잠금 볼(171)은 대체로 강구로 형성될 수 있다. 잠금 볼(171)은 수용부(133)에 형성된 작동 홈(171)에 삽입될 수 있다. 잠금 볼(171)은 수용부(133)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스탑 볼(172) 역시 강구로서, 수용부(133)에 설치될 수 있다. 스탑 볼(172)은 수용부(133)의 수용홈(172a)에 수용된다. 스탑 볼(172)은 또한 수용홈(172a)에 설치되는 탄성체(172b)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스탑 볼(172)은 수용부(133)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하나의 직선상에 잠금 볼(171)과 함께 위치할 수 있다.
잠금 그루브(175)는 몸체(110)의 돌출부(115)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잠금 그루브(175)는 돌출부(115)의 외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15)가 4각형 단면을 가질 때, 잠금 그루브(175)는 4개의 면 중 2개의 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조작 슬리브(151)의 구체적 구성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조작 슬리브(151)를 몸체(110)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잠금 볼(171)을 지지하는 변위 리세스(152)는 조작 슬리브(151)의 하부에 형성된다. 변위 리세스(152)는 조작 슬리브(151)의 내주 방향을 따라 폐루프를 이루도록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변위 리세스(152)는 변위 트랙이라 칭해질 수 있다. 상기 변위 트랙은, 원형의 내주선(152a)과, 타원형의 외주선(152b)에 의해 한정된다. 이때, 내주선(152a)은 외주선(152b)이 한정하는 영역 내에 놓이게 된다.
또한, 이러한 내주선(152a)과 외주선(152b)의 조합에 의해, 상기 변위 트랙은 내주선(152a)과 외주선(152b) 간의 폭이 좁았다가 넓어졌다가 다시 좁았다가 넓어지는 형태가 된다. 여기서, 내주선(152a)과 외주선(152b) 간의 폭이 좁아지는 위치는 잠금 위치(L)로서 하나의 수용홈(172a)에 대응하는 위치일 수 있다. 내주선(152a)과 외주선(152b)이 넓어지는 위치는 해제 위치(R)로서, 다른 하나의 수용홈(172a)에 대응하는 위치일 수 있다.
고정홈(153)은 조작 슬리브(151)의 상부에 형성된다. 고정홈(153)은 변위 리세스(152)와 달리, 조작 슬리브(151)의 내주에서 90도 간격으로 단속적으로 형성된 홈이다. 앞서 설명한 대로, 고정홈(153)은 잠금 위치(L)와 해제 위치(R)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다음으로, 조작 유닛(150)에 대한 원터치 조작에 의해 몸체(110)가 고정 블록(130)에서 분리/결합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2의 라인(A-A)을 따라 취한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100)의 결합 상태에서의 절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잠금 볼(171)은 조작 슬리브(151)의 변위 리세스(152) 중 잠금 위치(L)에 대응하여 돌출부(115)의 중심축을 향해 전진된 상태이다. 그에 의해, 잠금 볼(171)은 잠금 그루브(175)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또한, 스탑 볼(172)은 조작 슬리브(151)의 수용홈(172a)에 탄성적으로 안착되어 있음에 의해, 조작 슬리브(151)는 회전되지 않고 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결과, 몸체(110)는 잠금 유닛(170) 및 조작 유닛(150)에 의해 고정 블록(130)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가 된다.
도 6은 도 2의 라인(A-A)을 따라 취한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100)의 분리 상태에서의 절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조작 유닛(150)의 조작 슬리브(151)가 사용자에 의해 회전된 상태이다. 이때, 스탑 볼(172)은 사용자의 힘에 의해 탄성체(172b)의 탄성력을 극복하고서, 고정홈(153)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후, 스탑 볼(172)은 앞서의 고정홈(153) 다음에 위치한 고정홈(153)에 삽입되면서 조작 슬리브(151)의 회전이 멈추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조작 슬리브(151)의 변위 리세스(152)는 잠금 볼(171)과의 관계에서 잠금 위치(L)에서 해제 위치(R)로 바뀌면서, 잠금 볼(171)이 돌출부(115)로부터 후퇴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 결과, 잠금 볼(171)은 잠금 그루브(175)에서 벗어날 수 있고, 사용자가 몸체(110)를 고정 블록(130)으로부터 잡아당김에 의해, 몸체(110)는 고정 블록(13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흡착 픽커 어셈블리 110: 몸체
111: 제1 진공 유로 113: 흡착부
115: 돌출부 130: 고정 블록
131: 제2 진공 유로 133: 수용부
135: 체결부 150: 조작 유닛
151: 조작 슬리브 152: 변위 리세스
153: 고정홈 155: 지지체
170: 잠금 유닛 171: 잠금 볼
172: 스탑 볼 175: 잠금 그루브

Claims (7)

  1. 제1 진공 유로와, 상기 제1 진공 유로의 하단에 설치되고 반도체 패키지를 진공 흡착하도록 구성되는 흡착부를 구비하는 몸체;
    제2 진공 유로를 구비하고, 진공 발생기에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고정 블록;
    상기 고정 블록에 설치되는 잠금 볼과,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잠금 볼이 삽입되는 잠금 그루브를 구비하는 잠금 유닛; 및
    상기 고정 블록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됨에 따라 상기 잠금 볼이 상기 잠금 그루브에서 이탈되게 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조작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 유닛은, 상기 몸체를 둘러싸는 중공형의 조작 슬리브; 및 상기 조작 슬리브의 내면에 형성되며, 상기 잠금 볼이 상기 조작 슬리브의 중심축에 대해 근접 방향 또는 이격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변위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변위 리세스는,  상기 잠금 볼을 지지하며, 상기 조작 슬리브의 내주를 따라 연장되는 폐루프 형태의 변위 트랙을 구비하고,
    상기 변위 트랙은, 원형인 내주선과, 상기 내주선을 감싸면서 타원형인 외주선에 의해 정의되는,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고정 블록에 설치되는 스탑 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 유닛은,
    상기 조작 슬리브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스탑 볼을 수용함에 따라 상기 조작 슬리브의 회전이 정지되게 하는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고정 블록에 대해 상기 스탑 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잠금 그루브가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블록은,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며 상기 잠금 볼이 설치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
KR1020170055530A 2017-04-28 2017-04-28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 KR101949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530A KR101949365B1 (ko) 2017-04-28 2017-04-28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530A KR101949365B1 (ko) 2017-04-28 2017-04-28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166A KR20180121166A (ko) 2018-11-07
KR101949365B1 true KR101949365B1 (ko) 2019-02-19

Family

ID=64363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530A KR101949365B1 (ko) 2017-04-28 2017-04-28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3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1394B1 (ko) * 2021-09-14 2023-04-14 주식회사 티에프이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
KR102643958B1 (ko) * 2021-10-07 2024-03-07 주식회사 티에프이 반도체 패키지 픽커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흡착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1789A (ja) * 1998-12-02 2002-09-24 レグリ ソシエテ アノニム ボール管継手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797B1 (ko) * 2003-08-29 2006-02-06 미래산업 주식회사 마운터 헤드의 노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1789A (ja) * 1998-12-02 2002-09-24 レグリ ソシエテ アノニム ボール管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166A (ko)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746B1 (ko)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
KR101949365B1 (ko) 반도체 패키지 흡착 픽커 어셈블리
CN103501962B (zh) 工具夹紧装置
US8282141B2 (en) Latch assembly for vehicle seat
JP7111834B2 (ja) 締結装置
KR101342499B1 (ko) 잠금-풀림 기능이 있는 탄성 결합체
US11064767B2 (en) Fastening device
KR102224027B1 (ko) 냉각파이프용 수커넥터 및 연결시스템
TWM591462U (zh) 套筒座
KR101139503B1 (ko) 진공청소기의 연장관조립체
WO2020226060A1 (ja) 部材交換装置
CN105189052A (zh) 工具更换装置用的主装置
KR102568671B1 (ko) 드럼세탁기
JP2014070655A (ja) ダイヤフラム弁
KR20170141338A (ko) 가스실린더 연결장치
US20130000083A1 (en) Hose clamp
JP6040812B2 (ja) 流路切換バルブ
KR20130135203A (ko) 일체형 레버구조를 갖는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JP2006263909A (ja) コレットチャック
JP2012512036A5 (ko)
KR200486749Y1 (ko) 휠 장치
KR101925084B1 (ko) 콘크리트 파일 거푸집용 고정구
KR101952500B1 (ko) 개폐 모듈 분리 구조의 밸브 어셈블리
JP7089326B2 (ja) 電動工具
JP3181961U (ja) 化学機械研磨固定具及び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