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969B1 -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969B1
KR101947969B1 KR1020180143122A KR20180143122A KR101947969B1 KR 101947969 B1 KR101947969 B1 KR 101947969B1 KR 1020180143122 A KR1020180143122 A KR 1020180143122A KR 20180143122 A KR20180143122 A KR 20180143122A KR 101947969 B1 KR101947969 B1 KR 101947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dry
tissue
tissu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상종
Original Assignee
차상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상종 filed Critical 차상종
Priority to KR1020180143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33Details of the housing, e.g. hinges, connection to the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A47K2010/3273Wet wipes moistened just before use
    • A47K2010/328Wet wipes moistened just before use by spra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롤 형상의 건티슈가 수납되는 수용부 및 수용부의 내부에 건티슈가 회전되도록 수용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케이스 형상의 바디부, 바디부의 일측에 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된 물탱크부, 바디부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물탱크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건티슈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건티슈를 물티슈로 전환시키는 분사부, 바디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부와 물탱크의 물을 분사부로 이동시키는 분사버튼이 형성되는 토출부로 이루어진 작동부 및 바디부의 상부를 개폐하고, 중앙에 물티슈가 인출되는 홈이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CASE FOR BOTH DRY TISSUE AND WET TISSUE}
본 발명은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용부에 롤 형상으로로 수납된 건티슈를 인출 시, 분사버튼을 푸쉬하여 분사부를 통해 물이 분사되어 물티슈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출 시에 간단한 위생처리를 하기 위해 손수건을 휴대하거나, 간편하게 사용하고 버릴 수 있는 티슈나 물티슈를 휴대하여 사용한다.
건조 상태의 티슈만을 휴대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무게가 가볍고 휴대가 간편하다. 하지만 간단한 위생처리만 가능할 뿐 오염이나 이물질을 완전히 처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젖어있는 상태로 포장되어있는 물티슈를 휴대하여 사용하게 되고 특히 영유아가 있는 보호자의 경우에는 물티슈의 휴대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다수의 물티슈가 포장되어있는 물티슈를 사용할 경우 완전히 밀봉하지 않으면 수분이 증발하거나 수분으로 인해 세균이 번식하여 물티슈가 변질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건조 상태의 티슈와 물을 별도의 공간에 휴대하여, 사용 시에 바로 적셔서 1회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 다수 개시되어 있다.
특히 선행문헌1(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36216호 압축 티슈를 이용한 리필용 마스크 팩 케이스)에서는, 압축티슈와 물을 별도로 휴대하여 사용 시에 적셔서 사용할 수 있는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다수의 압축티슈를 사용하기 위해 다량의 물을 휴대함에 있어서 압축티슈를 사용할 때 물을 적시는 공
간이 고정 상태로 물 저장부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티슈를 사용할 때마다 계속하여 휴대해야 하는 저장된 물도 함께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오염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다량의 물과 압축티슈를 항상 함께 휴대해야 하기 때문에 무게가 증가되고, 원형 케이스 구조로 되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휴대공간이 대부분 사각형을 이루는 가방 등에 휴대하기에는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61897호(2018.06.08. 공개)인 "건티슈와 물을 휴대할 수 있는 케이스"을 살펴보면 건티슈 수납부와 압축티슈 케이스 수납부로 이루어진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상부를 덮어주어 수납부를 밀폐시키는 덮개로 이루어진 메인 케이스 및 상기 압축티슈 케이스 수납부에 수납되는 것으로, 일 측에는 압축티슈가 수납되는 압축티슈 수납부가 구비되고, 타 측에는 압축티슈를 적시기 위한 물이 수납되는 물 저장부가 구비되는 압축티슈 케이스를 포함하는 구성이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수납부에서 압축티슈를 인출하고, 물 저장부의 덮개를 열어 압축티슈를 적셔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물 저장부는 복수개로 배열되어 각각의 덮개를 열고 닫아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동시에 여러개를 사용해하는 경우에는, 수납부에서 복수개의 압축티슈를 인출하고, 물 저장부의 덮개를 압축티슈의 개수에 대응하여 여는 과정에서, 이미 덮개가 열린 물 저장부에 수용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 제20-0436216호 공개특허 제10-2018-006189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용부에 롤 형상으로 수납된 건티슈를 인출 시, 분사버튼을 푸쉬하여 분사부를 통해 물이 분사되어 물티슈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에 롤 형상의 건티슈가 수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상기 건티슈가 회전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케이스 형상의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된 물탱크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물탱크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건티슈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건티슈를 물티슈로 전환시키는 분사부,
상기 바디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부와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분사부로 이동시키는 분사버튼이 형성되는 토출부로 이루어진 작동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부를 개폐하고, 중앙에 상기 물티슈가 인출되는 홈이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분사부로부터 분사된 물이 상기 수용부의 하부로 이동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관통 형성된 배출구, 상기 배출구를 통해 이동된 물이 저장되도록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는 서브물탱크부 및 상기 서브물탱크부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을 개폐하는 마개가 구비되는 배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분사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되어 상기 서브물탱크부에 연통되게 절곡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일측에 연통하되,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관 형상의 흡입관;
상기 흡입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이송관으로 이송시키는 전기모터가 수용된 모터부; 및
상기 분사버튼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부에 형성되는 작동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부는 상기 작동버튼을 푸쉬함에 따라, 상기 분사버튼이 눌리면서 상기 배터리부와 상기 토출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모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는 롤 형상으로 수용부에 수납된 건티슈를 인출 시, 분사버튼을 푸쉬하여 분사부를 통해 물이 분사되어 물티슈로 전환함에 따라, 건티슈를 손쉽게 물티슈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는 바디부의 일측에 물탱크부를 구비하여 천연정제수를 부어서 사용하므로, 종래에 제조되는 물티슈를 개봉하여 일정시간이 지나 공기가 유입되어 건조현상이 생기거나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물티슈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는 분사부에서 분사된 물이 수용부의 하부에 형성된 서브물탱크부로 이동하도록 배출구가 형성되고, 서브물탱크로 이동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에 의해, 수용부 내부가 습하지 않고 건조해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는 이송관의 일단에 경사지게 형성된 흡입관에 의해, 전기모터가 작동하여 물탱크부에 저장된 물이 분사부를 통해 분사되면서 이송관으로 이동하더라도, 물이 흡입관 내부로 유입되어 전기모터를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커버부를 개방하여 바디부의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의 단방향을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의 작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커버부를 개방하여 바디부의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의 단방향을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의 작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10)는 바디부(100), 물탱크부(200), 분사부(300), 작동부(400) 및 커버부(5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10)는 내부에 롤 형상의 건티슈가 수납되는 수용부(110) 및 수용부의 내부에 건티슈가 회전되도록 수용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축(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케이스 형상의 바디부(100), 바디부의 일측에 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된 물탱크부(200), 바디부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물탱크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건티슈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건티슈를 물티슈로 전환시키는 분사부(300), 바디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부(410)와 물탱크부의 물을 분사부로 이동시키는 분사버튼이 형성되는 토출부(420)로 이루어진 작동부(400) 및 바디부의 상부를 개폐하고, 중앙에 물티슈가 인출되는 인출홈(501)이 형성되는 커버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물은 건티슈가 오염되거나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천연정제수를 지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바디부(100)는 내부에 롤 형상의 물티슈가 수납되는 수용부(110) 및 수용부(110)의 내부에 건티슈가 회전되도록 수용부(11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축(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케이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수용부(110)는 내부가 빈 함체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건티슈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축(120)은 수용부(110)의 내측면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 형성되어 롤 형상의 건티슈와 결합하고, 건티슈의 일측을 잡아당기면 건티슈가 회전되면서 인출되게 한다.
이러한 바디부(100)는 배출구(130), 서브물탱크(140) 및 배수부(150)를 더 포함한다.
배출구(130)는 후술하는 분사부(300)로부터 분사된 물이 수용부(110)의 하부로 이동하여 배출되도록 수용부(110)의 하부에 관통 형성된다.
즉, 배출구(130)는 분사부(300)로부터 물이 건티슈로 분사되면 건티슈를 적시면서 남은 물이 수용부(110)의 하부로 낙하하거나 수용부(110)의 내벽을 타고 하부로 모인 물이 롤 형상의 건티슈로 튀거나 묻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서브물탱크(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30)를 통해 이동된 물이 저장되도록 수용부(110)로부터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된다.
다시 설명하면, 서브물탱크(140)는 수용부(11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출구를 통해 이동된 물을 저장하도록 공간이 형성되되, 바디부(100)의 길이 및 넓이 만큼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배수부(150)는 서브물탱크부(120)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홀(151)이 형성되고, 홀(151)을 개폐하는 마개(152)가 구비된다.
홀(151)은 서브물탱크부(120)의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의 지름으로 형성된다. 즉, 홀(151)은 세척을 위한 솔이 서브물탱크부(120)의 내부로 진입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개(152)는 홀(151)의 지름에 대응하여 형성되되, 홀(151)의 내측면 및 외측면을 밀봉할 수 있도록 그 단면이 'ㄷ'자 형상의 링으로 형성되고, 링의 일측이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브물탱크부(120)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방지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물탱크부(200)는 바디부(100)의 일측에 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물탱크부(200)는 용기(210), 주입구(220) 및 캡(230)을 포함한다.
용기(210)는 수용부(110)의 일측에 내부가 빈 함체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물을 주입하여 물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수용부(110)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일체의 바디부(100)를 형성한다.
주입구(220)는 용기(210)의 상면에 물이 주입되도록 관통하여 형성된다.
캡(230)은 주입구(220)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주입구(220)와 결합됨으로써, 용기(210)에 주입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용기(210)에 저장된 오래된 물을 배출시키도록 주입구(220)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분사부(300)는 바디부(10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물탱크부(20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건티슈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건티슈를 물티슈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분사부(300)는 몸체(310), 노즐(320) 및 잠수관(330)을 포함한다.
몸체(3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관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310)는 수용부(110)의 길이방향에 대응하여 소정의 지름으로 형성된다.
또한, 몸체(310)는 수용부(110)의 상부 후방에 위치하여, 수용부(110)의 내측면과 소정거리 이격되에 형성된다. 이는, 건티슈의 일면이 후술하는 노즐(320)에 서로 마주하여 분사되는 물이 롤 형상으로 형성된 건티슈로 튀거나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노즐(320)은 몸체(31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된다.
또한, 노즐(320)은 물탱크부(200)와 인접하는 일측부터 타측방향으로 지름이 점진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물의 압력이 떨어지더라도 분사되는 분사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잠수관(330)은 몸체(310)의 일단이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것으로, 그 일측이 물탱크부(200)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를 위해, 잠수관(330)은 몸체(310)의 일단이 물탱크부(200)의 상부를 관통하여 물탱크부(200)의 하부 방향으로 절곡된다. 그리고 물탱크부(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일단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작동부(400)에 의해 물탱크부(200)에 잔존하는 물이 잠수관(330)으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형성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작동부(400)는 바디부(100)의 타측에 배치되어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부(410)와 물탱크부(200)의 물을 분사부(300)로 이동시키는 분사버튼(421)이 형성되는 토출부(420)로 이루어진다.
먼저, 배터리부(410)는 바디부(100)의 타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수용부(110)의 타측에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배터리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덮개가 형성되는 것을 물론이다.
또한, 배터리부(410)는 후술하는 분사버튼(421)이 눌리면 전기적으로 토출부(420)를 구성하는 모터부(424)에 전력을 인가하여 전기모터가 작동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토출부(420)는 물탱크부(200)의 물을 분사부(300)로 이동시키는 분사버튼(421)이 형성되는 것으로, 배터리부(410)와 이웃하게 배치되어 분사부(300)에서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장치가 배치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토출부(420)는 분사버튼(421) 뿐만 아니라 이송관(422), 흡입관(423), 모터부(424) 및 작동버튼(425)을 포함한다.
이송관(422)은 분사부(30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되어 서브물탱크부(140)에 연통되게 절곡된다.
흡입관(423)은 이송관(422)의 일측에 연통하되,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흡입관(423)은 상향 경사짐으로써, 이송관(422)을 통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물이 모터부(424)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모터부(424)는 흡입관(423)의 일단에 연결되어 물탱크부(200)에 저장된 물을 이송관(422)으로 이송시키는 전기모터가 수용된다.
여기서, 모터부(424)는 후술하는 작동버튼(425)을 푸쉬함에 따라, 분사버튼(421)이 눌리면서 배터리부(410)와 토출부(4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모터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분사버튼(421)이 눌리면, 배터리부(410)에 수용된 배터리가 전력을 모터부(424)에 인가하여 전기모터가 작동한다. 이때, 흡입관(423)을 통해 흡입력이 작용하고 용기(210)에 잠긴 진공상태의 잠수관(33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몸체(310)를 통해 물이 이동하면서 노즐(320)을 통해 물이 분사된다.
다음, 몸체(310)에 잔류하는 물이 흡입관(423)의 흡입력에 의하여 이송관(422)으로 이동하여 서브물탱크부(140)로 이동하게 된다.
작동버튼(425)은 분사버튼(421)의 위치에 대응하여 커버부(500)에 형성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배터리부(410) 및 토출부(420)의 상면에 형성되는 분사버튼(421)의 위치에 대응하여 커버부(500)의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때, 작동버튼(425)이 상하이동하도록 내부에 탄성부재가 형성된다.(미도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공지된 기술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토출부(420)는 저장구(426) 및 차단막(427)를 더 포함한다.
저장구(426)는 이송관(422)의 중앙부 또는 흡입관(423)이 연결되는 부분에 내부가 빈 구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저장구(426)는 흡입관(423)의 흡입력이 강하여 이송관(422)으로 유입된 물이 흡입관(423)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물이 저장된 후 하부로 낙하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차단막(427)은 서브물탱크부(140)에 연통하는 이송관(422)의 말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송관(422)에 물이 유입되기 전, 이송관(422) 및 잠수관(330)의 진공상태를 유지 하여 흡입관(423)의 흡입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송관(422)에 물이 유입되고 저장구(426)에 물이 저장된 후 물이 낙하하는 힘에 의하여 이송관(422)의 말단으로부터 개폐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커버부(500)는 바디부(100)의 상부를 개폐하고, 중앙에 물티슈가 인출되는 인출홈(501)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커버부(500)는 커버몸체(510), 단차부(520) 및 커버캡(530)을 포함한다.
커버몸체(510)는 바디부(100)의 상부 일측에 절첩으로 결합되어 바디부(1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개방된 바디부(100)의 수용부(110)에 구비된 건티슈를 교체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단차부(520)는 커버몸체(510)의 일면으로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오목하게 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건티슈 또는 물티슈의 일단이 노출되어 위치한다.
커버캡(530)은 커버몸체(510)의 상면에 형성되어 단차부(520)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
100 : 바디부
110 : 수용부
120 : 축
130 : 배출구
140 : 서브물탱크부
150 : 배수부
151 : 홀
152 : 마개
200 : 물탱크부
210 : 용기
220 : 주입구
230 : 캡
300 : 분사부
310 : 몸체
320 : 노즐
330 : 잠수관
400 : 작동부
410 : 배터리부
420 : 토출부
421 : 분사버튼
422 : 이송관
423 : 흡입관
424 : 모터부
425 : 작동버튼
426 : 저장구
427 : 차단막
500 : 커버부
501 : 인출홈
510 : 커버몸체
520 : 단차부
530 : 커버캡

Claims (3)

  1. 내부에 롤 형상의 건티슈가 수납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상기 건티슈가 회전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케이스 형상의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된 물탱크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물탱크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건티슈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건티슈를 물티슈로 전환시키는 분사부;
    상기 바디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부와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분사부로 이동시키는 분사버튼이 형성되는 토출부로 이루어진 작동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부를 개폐하고, 중앙에 상기 물티슈가 인출되는 홈이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분사부로부터 분사된 물이 상기 수용부의 하부로 이동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관통 형성된 배출구;
    상기 배출구를 통해 이동된 물이 저장되도록 상기 수용부로부터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는 서브물탱크부; 및
    상기 서브물탱크부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을 개폐하는 마개가 구비되는 배수부를 더 포함하는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분사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되어 상기 서브물탱크부에 연통되게 절곡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의 일측에 연통하되,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관 형상의 흡입관;
    상기 흡입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이송관으로 이송시키는 전기모터가 수용된 모터부; 및
    상기 분사버튼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부에 형성되는 작동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부는 상기 작동버튼을 푸쉬함에 따라, 상기 분사버튼이 눌리면서 상기 배터리부와 상기 토출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기모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
KR1020180143122A 2018-11-20 2018-11-20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 KR101947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122A KR101947969B1 (ko) 2018-11-20 2018-11-20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122A KR101947969B1 (ko) 2018-11-20 2018-11-20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969B1 true KR101947969B1 (ko) 2019-02-13

Family

ID=65366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122A KR101947969B1 (ko) 2018-11-20 2018-11-20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9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8233A (zh) * 2019-07-04 2019-09-13 智慧能源有限公司 智慧富氢湿巾机
KR20210071675A (ko) 2019-12-06 2021-06-16 조동영 티슈 및 물 티슈 겸용 케이스
CN113662468A (zh) * 2021-07-15 2021-11-19 南京医科大学 便携式干湿分离纸巾环保收纳盒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3522A (ja) * 2014-02-28 2015-09-10 株式会社シー・シー・ピー 噴霧器付きケー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3522A (ja) * 2014-02-28 2015-09-10 株式会社シー・シー・ピー 噴霧器付きケース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8233A (zh) * 2019-07-04 2019-09-13 智慧能源有限公司 智慧富氢湿巾机
CN110228233B (zh) * 2019-07-04 2024-01-26 中碳实业(珠海)有限公司 智慧富氢湿巾机
KR20210071675A (ko) 2019-12-06 2021-06-16 조동영 티슈 및 물 티슈 겸용 케이스
CN113662468A (zh) * 2021-07-15 2021-11-19 南京医科大学 便携式干湿分离纸巾环保收纳盒
CN113662468B (zh) * 2021-07-15 2022-10-25 南京医科大学 便携式干湿分离纸巾环保收纳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969B1 (ko) 건티슈 및 물티슈 겸용 케이스
CN217885853U (zh) 柔巾盒的喷淋组件、喷淋机构及柔巾盒
KR100646157B1 (ko) 휴대용 분사식 구강 세정기
CA2309707C (en) Trigger-type liquid discharge container usable in both ordinary and inverted postures
EP0243261A1 (fr) Dispositif de nettoyage d'une cavité, notamment la cavité auriculaire
WO2005104664A2 (ja) 液塗布用具
KR20230148923A (ko) 건티슈 공급 및 물티슈 제조가 가능한 티슈 케이스
JP2000166804A (ja) ウェットティシュ供給器
CN107073198B (zh) 大肠清洗器
KR102412605B1 (ko) 내시경 세척장치
KR200246683Y1 (ko) 이 세정기
KR100979592B1 (ko) 비강 세척용 약액분사장치
KR101983246B1 (ko) 두루마리식 물티슈 조립체
KR101516646B1 (ko) 양변기
KR200439707Y1 (ko) 잉크젯 프린터 카트리지의 잉크 재충전용 홀더
KR102036779B1 (ko) 구강세척이 가능한 샤워헤드
KR200388534Y1 (ko) 머리빗
KR200336556Y1 (ko) 휴대용 비데기
KR200395067Y1 (ko) 피부 세척 장치
KR100800988B1 (ko) 샤워기능을 갖는 칫솔
KR101470333B1 (ko) 전동식 물티슈 공급장치
KR200281492Y1 (ko) 치약 내장형 휴대용 칫솔
KR200236450Y1 (ko) 가습수단을 구비한 화장지 자동배출장치
KR200205426Y1 (ko) 젖병 세척기구
CA1216558A (en) Device for assisting in removal of garment sta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