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918B1 - 기계적 발광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계적 발광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918B1
KR101947918B1 KR1020170116144A KR20170116144A KR101947918B1 KR 101947918 B1 KR101947918 B1 KR 101947918B1 KR 1020170116144 A KR1020170116144 A KR 1020170116144A KR 20170116144 A KR20170116144 A KR 20170116144A KR 101947918 B1 KR101947918 B1 KR 101947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ss
fiber
coupling agent
luminescent
elastic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순문
송성규
임상규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16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918B1/ko
Priority to US16/127,937 priority patent/US1122573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18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other substanc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7Yarns or threads for specific use in general industrial applications, e.g. as filters or reinfor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04Halogenides
    • C09K11/7705Halogenides with alkali or alkaline earth metal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1/00Other features of manufacture
    • D01D11/06Coating with spinning solutions or mel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53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non-circular cross sec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0004General aspects of dyeing
    • D06P1/0012Effecting dyeing to obtain luminescent or phosphorescent dye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52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synthetic macromolecular substances
    • D06P1/526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D06P1/529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containing Si-ato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52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synthetic macromolecular substances
    • D06P1/54Substances with reactive groups together with crosslink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673Inorganic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0Physical properties opt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기계적 발광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기계적 발광섬유의 제조방법은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탄성섬유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탄성섬유 상에 커플링제를 포함한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탄성섬유의 홈부에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을 충진하는 단계 및 상기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이 홈부에 충진된 탄성섬유 상에 실리콘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실리콘점착제층은 탄성섬유와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에 동시에 3차원적으로 점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섬유 상에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층을 형성하기 전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탄성섬유에 표면처리를 함으로서, 탄성섬유와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층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이 충진된 탄성섬유를 실리콘점착제로 한번 더 코팅함으로써, 기계적 발광섬유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계적 발광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Mechanoluminescent Fi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광섬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적 발광섬유에 관한 것이다.
기계적 발광, 즉 재료에 힘을 가함으로써 발생하는 빛은 현재까지 발광의 원리가 확실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마찰이나 파괴에 의해 빛이 발생한다는 근본적인 문제점으로 인해 산업적 응용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산업 응용에 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재료의 마찰이나 파괴라는 현상으로 일어나는 빛 대신에 일부 재료에서의 탄성 또는 소성 변형으로 빛이 발생하는 비파괴 기계적 발광을 이용하여 일부 응력 센서 등에 응용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발광재료에 기계적 힘을 전달해주는 응력전달재료에 있어서 일반적인 UV 경화 고분자를 이용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응력을 적용시키기가 어려웠으며, 결과적으로 수명에 있어서 매우 제한적인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러한 기계적 발광 현상을 실제 산업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밝기, 수명 및 색 조절이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 반해 현재까지 타 그룹에서는 밝기 및 수명 (또는 재현성)의 부재로 인해 색조절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자연상에 존재하는 진동 및 바람 등을 이용한 친환경 디스플레이 및 기계적 발광 필름 등이 개발되고 있지만 사람들의 모든 움직임, 예를 들어 관절이나 몸의 굽힘, 인장 등과 같은 기계적 움직임을 이용한 기계적 발광에 대한 개발은 아직 미진하다. 이와 같은 사람의 움직임에 의한 기계적 변형을 가장 쉽게 받을 수 있는 형태는 옷과 같은 섬유형태의 재질이다. 따라서 섬유형태의 기계적 발광물질이 개발된다면 최근의 IoT 개발에 맞추어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섬유를 개발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발광섬유의 경우 대부분 광파이버를 섬유에 재직하거나 유무기 EL을 사용하여 전압을 가하여 전계발광되는 섬유의 연구로 이루어져있었다. 이러한 방법들은 모두 외부전원을 필요로 하고, 얇고 가벼우며 충전용량이 큰 외부전원을 구비하는 데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 08,207,511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내구성이 향상된 발광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기계적 발광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계적 발광섬유의 제조방법은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탄성섬유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탄성섬유 상에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탄성섬유의 홈부에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을 충진하는 단계 및 상기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이 충진된 상기 탄성섬유 상에 실리콘점착제를 코팅하여 상기 탄성섬유를 둘러싸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리콘점착층은 상기 탄성섬유와 상기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충진물 각각에 3차원적으로 점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원이 필요 없는 기계적 발광 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계적 발광 섬유를 이용하여 기계적 발광 특성을 가지는 의류를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적 발광섬유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적 발광섬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보호층이 형성된 형광체의 일 실시예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적 발광섬유의 인장-하중 테스트 결과이다.
도 5는 커플링제의 효과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이미지 및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계적 발광섬유를 이용하여 제작된 직물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기계적 발광섬유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기계적 발광섬유의 제조방법은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탄성섬유를 준비하는 단계(S100), 상기 탄성섬유 상에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S200), 상기 탄성섬유의 홈부에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을 충진하는 단계(S300) 및 상기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이 충진된 상기 탄성섬유 상에 실리콘점착제를 코팅하여 상기 탄성섬유를 둘러싸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원통형 섬유에 발광물질을 코팅할 경우 섬유와 발광물질의 박리가 쉽게 일어난다는 단점이 있다. 이때, 섬유와 발광물질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섬유와 발광물질의 접촉면적을 늘리는 방법이 있다. 이를 위해,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탄성섬유를 이용함으로써 발광물질과 섬유 사이의 접촉면적을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탄성섬유를 준비한다(S100). 예를 들어, 상기 탄성섬유는 용융방사를 통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탄성섬유는 오목한 다각형모양의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섬유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져있고 기계적 발광물질은 무기물질로 이루어져있다. 유기물질과 무기물질 사이의 계면접착성이 약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프라이머로서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계면 접착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탄성섬유 상에 커플링제가 포함된 프라이머층을 형성한다(S200). 예를 들어, 상기 프라이머층은 침지, 스프레이법, 압출법 및 로터리 스크린 프린팅 을 포함하는 코팅법 중 선택되는 한가지를 수행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층은 실란커플링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작용기로서 Acrylic latex, Butyl, Epichlorohydrin, Fluorocarbon, Isoprene, Neoprene, Nitrile, Polysulfide, SBR, Hydroxyl terminated Silicone 또는 vinyl terminated Silicon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탄성섬유의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을 충진한다(S300). 예를 들어, 상기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층은 상기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탄성섬유의 대각선 길이와 유사한 지름을 지닌 원형 홀을 통해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혼합물을 코팅 후 열경화를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응력전달물질은 광학적으로 가시광 영역에서 투과도 80% 이상인 고분자물질로 예를 들어, 폴리디메틸실록세인(PDMS), 실리콘 또는 폴리에폭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응력발광물질은 도핑된 ZnS, MgF2, La2O2S, Y2O2S, EuD4TEA, SrAl2O4, SrMgAl6O11, SrCaMgSi2O7, SrBaMgSi2O7, Sr2MgSi2O7, Ca2MgSi2O7, CaYAl3O7, ZnGa2O4, MgGa2O4, Ca2Al2SiO7 또는 ZrO2 중 한가지 이상의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응력발광물질은 Cu, Mn, Pb, Cl, Eu, DMMP, Ce, Ho, Dy, Ba, Ca, Pr3+, Ti 또는 Te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것으로 도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응력발광물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층(capping layer)으로 코팅되어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보통 형광체는 수분에 취약하기 때문에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capping layer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 capping layer는 알루미늄 (Aluminum)을 포함한 산화물 (oxide) 또는 수산화물 (hydroxide)의 비정질 형태일 것으로 예상된다.
섬유에 발광물질을 코팅한 후 그대로 사용할 경우 외부 충격에 의해 발광물질이 쉽게 떨어져나갈 수 있으며 발광물질로 코팅된 섬유에 쉽게 파단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섬유와 발광물질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발광물질이 코팅된 섬유에 보호층을 한층 이상 더 덧씌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홈부가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로 충진된 탄성섬유 상에 실리콘점착제층을 형성한다(S400). 예를 들어, 상기 실리콘점착제층은 상기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탄성섬유의 대각선 길이와 유사한 지름을 지닌 원형 홀을 통해 실리콘점착제를 코팅 후 열경화를 통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점착제층은 상기 탄성섬유와 상기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 각각에 점착하여 3차원적인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섬유의 표면에는 다양한 오염원이 붙어있을 수 있고, 이는 섬유에 프라이머를 처리할 때 섬유와 프라이머의 반응을 저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표면을 정리하는 작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추가적으로, 상기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탄성섬유를 준비하는 단계(S100)와 상기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탄성섬유 상에 상기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S200) 사이에 상기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탄성섬유 상에 에탄올층을 형성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탄올층은 상기 탄성섬유를 에탄올 침지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기계적 발광섬유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계적 발광섬유는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탄성섬유(100), 상기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탄성섬유(100) 상에 위치하는 에탄올층(200), 상기 에탄올층 상에 위치하는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300), 상기 프라이머층(300) 상에 위치하는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층(400) 및 상기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층(400) 상에 위치하는 실리콘점착제층(5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원통형 섬유에 발광물질을 코팅할 경우 섬유와 발광물질의 박리가 쉽게 일어난다는 단점이 있다. 이때, 섬유와 발광물질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섬유와 발광물질의 접촉면적을 늘리는 방법이 있다. 이를 위해,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탄성섬유(100)를 이용함으로써 발광물질과 섬유 사이의 접촉면적을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탄성섬유(100)는 십자모양 및 별모양을 포함하는 오목한 다각형모양의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섬유의 표면에는 다양한 오염원이 붙어있을 수 있고, 이는 섬유에 프라이머를 처리할 때 섬유와 프라이머의 반응을 저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표면을 정리하는 작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필요에 따라, 상기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탄성섬유(100) 상에 에탄올층(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섬유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져있고 기계적 발광물질은 무기물질로 이루어져있다. 유기물질과 무기물질 사이의 계면접착성이 약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프라이머로서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계면 접착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300)은 실란커플링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작용기로서 Acrylic latex, Butyl, Epichlorohydrin, Fluorocarbon, Isoprene, Neoprene, Nitrile, Polysulfide, SBR(styrene butadiene rubber), Hydroxyl terminated Silicone 또는 vinyl terminated Silicon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층(400)에서 상기 응력전달물질은 광학적으로 가시광 영역에서 투과도 80% 이상인 고분자물질로 예를 들어, 폴리디메틸실록세인(PDMS), 실리콘 또는 폴리에폭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응력발광물질은 도핑된 ZnS, MgF2, La2O2S, Y2O2S, EuD4TEA, SrAl2O4, SrMgAl6O11, SrCaMgSi2O7, SrBaMgSi2O7, Sr2MgSi2O7, Ca2MgSi2O7, CaYAl3O7, ZnGa2O4, MgGa2O4, Ca2Al2SiO7 또는 ZrO2 중 한가지 이상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응력발광물질은 Cu, Mn, Pb, Cl, Eu, DMMP(Dimethyl methylphosphonate), Ce, Ho, Dy, Ba, Ca, Pr3+, Ti 또는 Te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것을 포함하여 도핑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400)의 응력발광물질(600)은 보호층(capping layer)(700)으로 코팅되어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보통 형광체는 수분에 취약하기 때문에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capping layer(700)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 capping layer(700)는 알루미늄 (Aluminum)을 포함한 산화물 (oxide) 또는 수산화물 (hydroxide)의 비정질 형태일 것으로 예상된다.
섬유에 발광물질을 코팅한 후 그대로 사용할 경우 외부 충격에 의해 발광물질이 쉽게 떨어져나갈 수 있으며 발광물질로 코팅된 섬유에 쉽게 파단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섬유와 발광물질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발광물질이 코팅된 섬유에 보호층을 한층 이상 더 덧씌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점착제층(500)을 이용하였다.
상기 실리콘점착제층(500)은 상기 탄성섬유(100)와 상기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400)에 각각 점착하여 3차원적인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기계적 발광섬유의 인장-하중 테스트 결과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기계적 발광섬유의 파단은 인장율 380%에서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인장율이 320%가 되는 부분부터 불규칙한 하중변화가 생기는데, 이는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 및 실리콘점착제의 박리 및 파단에 의해 생기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기계적 발광섬유는 320%의 높은 인장율 및 내구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커플링제의 효과 테스트 결과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란커플링제로 표면처리를 하지 않았을 경우(b)와 실란커플링제로 표면처리를 한 경우(c)를 비교했을 때 실란커플링제로 표면처리를 한 경우에서 기판에 대한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의 접합력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d)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란커플링제로 표면처리를 한 경우 Si-O-Si 결합과 Si-OH 결합이 형성되어 쉽게 가교결합이 형성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도 6은 기계적 발광섬유를 이용하여 제작된 직물이다.
기계적 발광섬유의 제작목적은 최종적으로 의류에 쓰일 수 있는 옷감등과 같은 형태로 활용되기 위해서라고 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기계적 발광섬유의 직물로서의 가능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a)와 (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기계적 발광섬유를 이용하여 기계적 발광직물을 직조하였다. (c)는 직조된 기계적 발광직물의 현미경사진으로, 섬유와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이 접합되어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d)에서는 기계적 발광섬유로 직조된 직물이 기계적 힘에 의해 발광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제조된 기계적 발광섬유를 이용하여 기계적 발광기능이 있는 직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탄성섬유
200 : 에탄올층
300 : 프라이머층
400 :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층
500 : 실리콘점착제층

Claims (20)

  1.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탄성섬유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탄성섬유 상에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탄성섬유의 홈부에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을 충진하는 단계; 및
    상기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이 충진된 상기 탄성섬유 상에 실리콘점착제를 코팅하여 상기 탄성섬유를 둘러싸는 실리콘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층 상에 상기 실리콘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점착제층은 상기 탄성섬유와 상기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층 각각에 점착하여 3차원적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 발광섬유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탄성섬유는 오목한 다각형모양의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 발광섬유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탄성섬유 상에 상기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제는 실란커플링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 발광섬유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작용기로서 Acrylic latex, Butyl, Epichlorohydrin, Fluorocarbon, Isoprene, Neoprene, Nitrile, Polysulfide, SBR(styrene butadiene rubber), Hydroxyl terminated Silicone 또는 vinyl terminated Silicon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 발광섬유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섬유의 홈부에 상기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을 충진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응력발광물질은 도핑된 ZnS, MgF2, La2O2S, Y2O2S, EuD4TEA, SrAl2O4, SrMgAl6O11, SrCaMgSi2O7, SrBaMgSi2O7, Sr2MgSi2O7, Ca2MgSi2O7, CaYAl3O7, ZnGa2O4, MgGa2O4, Ca2Al2SiO7 또는 ZrO2 중 한가지 이상의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 발광섬유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발광물질은 Cu, Mn, Pb, Cl, Eu, DMMP(Dimethyl methylphosphonate), Ce, Ho, Dy, Ba, Ca, Pr3+, Ti 또는 Te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것으로 도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 발광 섬유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발광물질은 표면에 보호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보호층은 알루미늄을 포함한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 발광 섬유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섬유 상에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탄성섬유 상에 에탄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에탄올층을 형성한 탄성섬유 상에 커플링제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 발광섬유의 제조방법.
  11.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탄성섬유;
    상기 탄성섬유 상에 위치하며,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
    상기 탄성섬유의 홈부에 충진된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층; 및
    상기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로 충진된 탄성섬유 상에 위치하는 실리콘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실리콘점착제층은 상기 탄성섬유와 상기 응력전달물질과 응력발광물질의 혼합물층 각각에 점착하여 3차원적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 발광섬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탄성섬유는 십자모양 및 별모양을 포함하는 오목한 다각형모양의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 발광섬유.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제는 실란커플링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 발광섬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작용기로서 Acrylic latex, Butyl, Epichlorohydrin, Fluorocarbon, Isoprene, Neoprene, Nitrile, Polysulfide, SBR(styrene butadiene rubber), Hydroxyl terminated Silicone 또는 vinyl terminated Silicon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 발광섬유.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전달물질은 광학적으로 가시광 영역에서 투과도 80% 이상인 고분자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 발광섬유.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발광물질은 도핑된 ZnS, MgF2, La2O2S, Y2O2S, EuD4TEA, SrAl2O4, SrMgAl6O11, SrCaMgSi2O7, SrBaMgSi2O7, Sr2MgSi2O7, Ca2MgSi2O7, CaYAl3O7, ZnGa2O4, MgGa2O4, Ca2Al2SiO7 또는 ZrO2 중 한가지 이상의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 발광 섬유.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발광물질은 Cu, Mn, Pb, Cl, Eu, DMMP(Dimethyl methylphosphonate), Ce, Ho, Dy, Ba, Ca, Pr3+, Ti 또는 Te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것으로 도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 발광 섬유.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발광물질은 표면에 보호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보호층은 알루미늄을 포함한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적 발광섬유.
  19. 삭제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탄성섬유와 상기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 사이에 상기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홈부가 형성된 탄성섬유 상에 에탄올층을 더 포함하는 기계적 발광섬유.
KR1020170116144A 2017-09-11 2017-09-11 기계적 발광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47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144A KR101947918B1 (ko) 2017-09-11 2017-09-11 기계적 발광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US16/127,937 US11225732B2 (en) 2017-09-11 2018-09-11 Mechanoluminescent fi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144A KR101947918B1 (ko) 2017-09-11 2017-09-11 기계적 발광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918B1 true KR101947918B1 (ko) 2019-05-09

Family

ID=65630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144A KR101947918B1 (ko) 2017-09-11 2017-09-11 기계적 발광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25732B2 (ko)
KR (1) KR1019479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9626B2 (en) * 2017-05-23 2019-01-29 Reuben Bahar Package handling system
US20200240041A1 (en) * 2017-10-18 2020-07-30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Fibers having electrically conductive core and color-changing coating
CN110345393A (zh) * 2019-07-26 2019-10-18 深圳大学 一种运动力激励荧光装置及方法
US11479886B2 (en) 2020-05-21 2022-10-25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Color-changing fabric and applications
US11708649B2 (en) 2020-05-21 2023-07-25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Color-changing fabric having printed patter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5459A (ja) * 2004-05-12 2005-11-24 Mitsubishi Chemicals Corp 機能性粒子添着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82580A (ja) * 2006-04-18 2007-11-01 Toray Monofilament Co Ltd 蓄光釣り糸
JP2010236117A (ja) * 2009-03-31 2010-10-21 Unitika Ltd 発光性繊維構造体
KR20150066656A (ko) * 2013-12-06 2015-06-17 주식회사 루멘스 황 형광체, 발광 소자 패키지, 백라이트 유닛 및 황 형광체 제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3388B2 (ja) * 1992-01-22 2000-09-04 竹本油脂株式会社 合成繊維用処理剤
WO2009149391A1 (en) 2008-06-05 2009-12-10 Performance Indicator Llc Photoluminescent fibers, compositions and fabrics made therefrom
KR101727658B1 (ko) * 2014-06-10 2017-04-1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기계적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CN107208322A (zh) * 2015-02-13 2017-09-26 东丽株式会社 芯鞘复合纤维和缺口纤维以及这些纤维的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5459A (ja) * 2004-05-12 2005-11-24 Mitsubishi Chemicals Corp 機能性粒子添着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82580A (ja) * 2006-04-18 2007-11-01 Toray Monofilament Co Ltd 蓄光釣り糸
JP2010236117A (ja) * 2009-03-31 2010-10-21 Unitika Ltd 発光性繊維構造体
KR20150066656A (ko) * 2013-12-06 2015-06-17 주식회사 루멘스 황 형광체, 발광 소자 패키지, 백라이트 유닛 및 황 형광체 제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78237A1 (en) 2019-03-14
US11225732B2 (en)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918B1 (ko) 기계적 발광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EP2103418B1 (en) Self-repairing structure
US6897087B2 (en) Method for producing organic EL display
KR100671641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3682145B (zh) 有机发光显示面板
TW381408B (en) Electrolumiscent light source
CN106206994A (zh) 一种显示面板及制备方法
CN105185922A (zh) 一种封装结构及封装方法、oled装置
KR101501525B1 (ko) 색 조절이 가능한 기계적 발광 복합필름 및 이의 색 조절방법
JP2006036887A (ja) 異方性の応力発光体を含有する応力発光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40125907A (ko) 기계적 발광 복합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369781A (zh) 封装结构和有机发光显示装置
CN104937737A (zh) 包括光提取亚结构的oled以及包括它的显示设备
CN104466030A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的制造方法
CN105514294A (zh) 一种量子点电致发光器件及其空穴传输方法和显示装置
JP6950429B2 (ja) 蛍光体保護フィルム、波長変換シート及び発光ユニット
CN103098254A (zh) 用于有机发光二极管的水分吸收填充材料、其制备方法和包含其的有机发光二极管
KR101727658B1 (ko) 기계적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95384B1 (ko) 패시베이션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구비한 폴더블 디스플레이
KR101428110B1 (ko) 발광 장치용 공동 유리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56542B1 (ko) 기계발광용 대전발광물질 고분자 복합 소재 제작 방법 및 그 복합 소재
CN105118849A (zh) 一种触控式有机发光显示面板
KR102598400B1 (ko) 로프의 제조방법
KR101064424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용 봉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666790B1 (ko) 기계발광 및 전기발광이 동시에 가능한 유무기 복합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