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781B1 - 단층 촬영이 가능한 검이경 - Google Patents

단층 촬영이 가능한 검이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781B1
KR101947781B1 KR1020160115306A KR20160115306A KR101947781B1 KR 101947781 B1 KR101947781 B1 KR 101947781B1 KR 1020160115306 A KR1020160115306 A KR 1020160115306A KR 20160115306 A KR20160115306 A KR 20160115306A KR 101947781 B1 KR101947781 B1 KR 101947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conduit
housing
tomograph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7976A (ko
Inventor
송경애
한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주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주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주인테크
Priority to KR1020160115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781B1/ko
Priority to PCT/KR2017/009827 priority patent/WO2018048222A1/ko
Publication of KR20180027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2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ears, i.e. o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3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tomography, i.e. reconstruction of 3D images from 2D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이경에 있어서, 다수의 관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바(bar) 형태의 하우징; 상기 관로 중 어느 하나의 제1관로 선단에 설치되어 환부 표면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상기 관로 중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제2관로에 설치되어 전방을 조명하는 광원부; 상기 관로 중 또 다른 하나의 제3관로 선단에 설치되어 환부의 단층을 촬영하는 단층 촬영부; 상기 영상 촬영부와 단층 촬영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출력부; 및 상기 하우징과 영상 출력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영상 촬영부와 단층 촬영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가 상기 영상 출력부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부;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환부의 표면과 단층(OCT, Optical Coherent Tomography) 촬영이 가능하므로 중이염과 같은 귀 질병에 대한 진찰 및 진단의 정확도를 향상과 더불어 치료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층 촬영이 가능한 검이경{Otoscope capable tomography}
본 발명은 검이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환부의 표면과 단층 촬영이 가능하여 육안 내지는 검이경으로 볼 수 없었던 고막 내 단층 촬영이 가능하므로 중이에 대한 정확한 진찰 및 진단이 가능한 단층 촬영이 가능한 검이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검이경('이경'이라고도 함)은 귀 내부를 검진하는데 쓰이는 장치로서, 특히 외이도를 통해 고막를 관찰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검이경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91455호 휴대용 검이경(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을 통해 등록된 바 있다.
선행기술은 상측에 영상 출력부(120)가 구비되고, 하측에 파지부(130)가 형성되는 몸체(110); 상기 영상 출력부(120)의 반대측에 돌출 형성되며, 신체 내부로 삽입되어 신체 내부의 영상을 획득하여 상기 영상 출력부(120)로 획득된 영상을 전송하여 출력시키는 영상 전송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영상 출력부(120)는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 화면(121), 상기 영상 출력 화면(121)에 출력되는 영상을 제어하는 영상 출력 화면 제어반(121a), 상기 영상 전송부(140)를 통해 전달되는 영상을 입력받아 센싱하는 CMOS 센서(122), 상기 CMOS 센서(122)와 연결되어 센싱된 영상을 출력 가능한 데이터로 처리 및 변환하여 상기 영상 출력 화면 제어반(121a) 및 상기 영상 출력 화면(121)으로 전달하는 CMOS 센서 제어반(122a)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검이경(100)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전송부(140)는 외부관 및 내부관으로 이루어지는 이중관 구조로 형성된 영상 전송부 몸체(141), 상기 영상 전송부 몸체(141)의 외부관 내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몸체(110)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111)과 연결용 광 파이버(optical fiber, 112)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조명(111)으로부터 발산된 빛을 전달받고, 타측이 상기 영상 전송부(140)의 끝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연결용 광 파이버(112)을 통해 전달받은 빛을 상기 영상 전송부(140)의 끝단 측으로 전달하여 빛을 비추는 조명용 광 파이버(142), 상기 영상 전송부 몸체(141)의 내부관 내에 구비되어 상기 영상 전송부(140)의 끝단에서 입수되는 상을 전달하는 상 전달 시스템(143)을 필수 요소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조명 방식 및 영상 획득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경제적으로 관측 영상의 선명도를 크게 높이며, 또한 발열 방지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여 휴대성 및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함으로써 충분한 조명의 밝기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 및 효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영상 습득을 위한 구조(영상 전송부의 렌즈 배열 구조)가 복잡하고 형상이 정형화될 수밖에 없으며, 특히, 영상정보가 고막의 표면적 정보만이 입수되므로, 정확한 진단이 용이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전송부 구조의 복잡성과 더불어, 이를 필수요소로 하고 있기 때문에, 부피가 비대하여 파지가 용이하지 못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기에 하중에 대한 부담이 더하여 진료시 불편함을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검이경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부피의 최소화는 물론, 고막의 표면적 정보와 더불어 단층 촬영이 가능한 검이경에 대한 연구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1191455 B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부의 표면과 단층(OCT, Optical Coherent Tomography) 촬영이 가능하므로 중이염과 같은 귀 질병에 대한 진찰 및 진단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단층 촬영이 가능한 검이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세전자제어 기술을 통해 마이크로 내지는 밀리미터 크기로 제작된 일렉트로써멀 스캐너(electrothermal scanner)를 통해 환부에 대한 단층 촬영이 이루어지므로, 영상기기의 최소화는 물론, 특히, 직경의 최소화가 가능하여 휴대는 물론, 사용상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단층 촬영이 가능한 검이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품의 모듈로 이루어진 영상 촬영부 및 단층 촬영부가 환부와 접촉 내지는 근접하는 영상기기 선단에 배치되므로, 렌즈를 이용한 광학구조를 배제시켜 제품의 간소화는 물론,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제품의 경쟁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단층 촬영이 가능한 검이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검이경에 있어서, 다수의 관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고막에 인접된 영역까지 삽입이 가능한 바(bar) 형태의 하우징; 상기 관로 중 어느 하나의 제1관로 선단에 설치되어 환부 표면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상기 관로 중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제2관로에 설치되어 전방을 조명하는 광원부; 상기 관로 중 또 다른 하나의 제3관로 선단에 설치되어 환부의 단층을 촬영하는 단층 촬영부; 상기 영상 촬영부와 단층 촬영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출력부; 및 상기 하우징과 영상 출력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영상 촬영부와 단층 촬영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가 상기 영상 출력부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부;를 개시한다.
상기 단층 촬영부는, 상기 제3관로 선단에 설치된 렌즈; 및 상기 렌즈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렌즈를 통해 전방 피검사체의 단층을 촬영하는 스캐너;를 포함하며, 상기 스캐너는, 미세전자제어기술을 통해 마이크로 내지는 밀리미터 크기로 제작된 일렉트로써멀 스캐너(electrothermal scanner)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영상 촬영부와 단층 촬영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상기 영상 출력부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어부와 하우징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어부와 영상 출력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은 회전에 따른 직선운동 전환 메커니즘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은, 고막과 인접하게 접근하는 선단과 말단이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거나, 말단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환부의 표면과 단층(OCT, Optical Coherent Tomography) 촬영이 가능하므로 중이염과 같은 귀 질병에 대한 진찰 및 진단의 정확도를 향상과 더불어 치료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전자제어 기술을 통해 마이크로 내지는 밀리미터 크기로 제작된 일렉트로써멀 스캐너(electrothermal scanner)를 통해 환부에 대한 단층 촬영이 이루어지므로, 영상기기의 최소화는 물론, 특히, 직경의 최소화가 가능하여 휴대는 물론, 사용상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품의 모듈로 이루어진 영상 촬영부 및 단층 촬영부가 환부와 접촉 내지는 근접하는 영상기기 선단에 배치되므로, 렌즈를 이용한 광학구조를 배제시켜 제품의 간소화는 물론,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제품의 경쟁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렉트로써멀 스캐너의 도입에 따라서 소형화가 가능하며, 따라서 하우징의 고막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함으로써, 보다 근접한 위치에서 고막의 질환을 진단할 수 있음은 물론, 고막 내측에 대한 단층 촬영이 보다 더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검이경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스캔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되는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검이경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관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하우징의 정면도, 도 3은 영상 촬영부와 단층 촬영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검이경(100)은 외이도를 통해 고막에 근접하게 접근하여 고막 표면과 단층 정보를 수집하는 영상수단이 설치된 하우징(110), 영상수단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영상 출력부(160) 및 상기 하우징(110)과 영상 출력부 사이에 마련되어 영상수단을 통해 수집된 정보가 영상 출력부(16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10)은 다수의 관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바(bar) 형태를 가지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관로에 영상 촬영을 위한 영상수단(영상 촬영부(120), 단층 촬영부(130))과 광원부(140)가 설치된다.
관로는 영상 촬영부(120)가 설치되는 제1관로(111), 광원부(140)가 설치되는 제2관로(113) 및 단층 촬영부(130)가 설치되는 제3관로(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영상 촬영부(120)는 제1관로(111) 선단에 설치되며, 고막의 표면을 촬영시 근접촬영이 가능토록 하였으며, 특히, 영상 촬영부(120)는 제1관로(111) 선단에 설치되어 별도의 광학구조(예를 들어 : 종래의 렌즈 배열 구조)를 배제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구성의 간소화가 가능토록 하였다.
이러한, 영상 촬영부(120)는 CCD 및 CMOS 센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이미지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 소형화가 용이한 CMOS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센서는 대략 1mm 내외의 CMOS 센서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단층 촬영부(130)는 제3관로(115) 선단에 설치되어 고막과 근접한 위치에서 고막의 단층을 촬영을 수행한다.
이러한 단층 촬영부(130)는 렌즈(131)와 렌즈(131)를 통해 고막의 단층 촬영을 수행하는 스캐너(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캐너(133)는 미세전자제어기술(MEMS)을 통해 마이크로 내지는 밀리미터 크기(예를 들어, 1mm 내지 2mm 이하)로 제작된 일렉트로써멀 스캐너(electrothermal scanner)로서, 제품(하우징(110)) 부피의 최소화는 물론, 특히, 직경(예를 들어, 3mm 내지 4mm 이하)의 최소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고막으로의 접근성이 용이하며, 근접된 영역에서 고막의 단층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침습행위를 수행할 필요없이도 고막의 안쪽 질환을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스캐너(133)가 멤스 공정을 통해 제작되므로 정밀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함은 물론, 스캐너(133)가 적용된 제품(검이경)에 대한 제조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캐너(133)는 하나의 입력 신호로 2차원 구동을 구현할 수 있는 2차원 광학 스캐너로서, 공진주파수 분리를 통해 축간의 크로스토크(X축 방향 움직임과 Y축 방향의 움직임 간의 간섭)없이 품질이 향상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캐너(133)를 통한 고품질의 단층 촬영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중이염 등과 같은 귀 질환에 대한 진단과 치료의 효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광원부(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관로(113)에 설치되며, 단부에 또는 유연성 재질의 광파이버를 통해 광원이 하우징(110) 선단으로부터 전방을 조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통상적인 방식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하우징(110)은 선단에 영상 촬영부(120)와 단층 촬영부(130)가 배치되어, 고막 표면과 단층에 대한 근접 촬영이 가능토록 하였으며, 따라서 별도의 광학구조가 요구되지 아니하므로 구조의 단순화가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110) 선단에 영상 촬영부(120)와 단층 촬영부(130)가 배치되고 후단에 광학 및 고형 구조물이 존재하지 아니하므로, 하우징(110)을 유연성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하우징(110)이 유연성 구조일 경우, 외부 충격에 대응력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굴곡에 유연하게 대처하여 그로 인한 파손 내지는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영상 촬영부(120)의 소형화와 더불어, 단층 촬영부(130)가 멤스 공정에 의해 제작되므로, 직경의 최소화가 가능하여, 성인은 물론, 소아의 외이도를 통해 고막으로의 접근이 용이하여 특히, 소아 귀 질병에 대한 명확한 진단이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110)은 사용의 편의를 위해 선단과 말단의 직경이 동일하거나, 말단으로 갈수록 기설정된 형태로 확장되는 구조일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 손아귀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영상 출력부(160)는 영상 촬영부(120)와 단층 촬영부(130)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이때, 디스플레이 영상은 영상 촬영부(120)와 단층 촬영부(130)가 기성정된 분할 공간에 함께 표시되거나,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화면만을 표사한다.
이러한 영상 출력부(160)는 전용 모니터이거나, 스마트폰 내지 태블릿 등의 출력장치 것이며, 하우징과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부(150)는 기설정된 형태로 하우징(110)과 영상 출력부(160)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며, 양단 사이에는 제어부(151)가 마련된다.
제어부(151)는 영상 촬영부(120)와 단층 촬영부(130)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광학계 필터 내지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처리 등을 수행하여, 영상 출력부(160)로 하여금 수집된 정보에 대한 원활한 재생이 가능케 하였다.
또한, 제어부(151)는 광원부(140)의 광량을 조절하거나, 영상 출력부로 전송되는 영상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컨트롤러(미도시)가 더 존재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검이경 110 : 하우징
111 : 제1관로 113 : 제2관로
115 : 제3관로 120 : 영상 촬영부
130 : 단층 촬영부 131 : 렌즈
133 : 스캐너 140 : 광원부
150 : 인터페이스 155 : 제어부
160 : 영상 출력부

Claims (5)

  1. 검이경에 있어서,
    다수의 관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고막에 인접된 영역까지 삽입이 가능한 바(bar) 형태의 하우징;
    상기 관로 중 어느 하나의 제1관로 선단에 설치되어 환부 표면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
    상기 관로 중 적어도 다른 하나의 제2관로에 설치되어 전방을 조명하는 광원부;
    상기 관로 중 또 다른 하나의 제3관로 선단에 설치되어 환부의 단층을 촬영하는 단층 촬영부;
    상기 영상 촬영부와 단층 촬영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출력부; 및
    상기 하우징과 영상 출력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영상 촬영부와 단층 촬영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가 상기 영상 출력부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단층 촬영부는,
    상기 제3관로 선단에 설치된 렌즈; 및
    상기 렌즈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렌즈를 통해 전방 피검사체의 단층을 촬영하는 스캐너;를 포함하며,
    상기 스캐너는, 미세전자제어기술을 통해 마이크로 내지는 밀리미터 크기로 제작된 일렉트로써멀 스캐너(electrothermal scanner)인 것이고,
    상기 영상 촬영부와 단층 촬영부는 단품의 모듈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이 가능한 검이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영상 촬영부와 단층 촬영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상기 영상 출력부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어부와 하우징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어부와 영상 출력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이 가능한 검이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회전에 따른 직선운동 전환 메커니즘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이 가능한 검이경.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고막과 인접하게 접근하는 선단과 말단이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거나, 말단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이 가능한 검이경.

KR1020160115306A 2016-09-07 2016-09-07 단층 촬영이 가능한 검이경 KR101947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306A KR101947781B1 (ko) 2016-09-07 2016-09-07 단층 촬영이 가능한 검이경
PCT/KR2017/009827 WO2018048222A1 (ko) 2016-09-07 2017-09-07 단층 촬영이 가능한 검이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306A KR101947781B1 (ko) 2016-09-07 2016-09-07 단층 촬영이 가능한 검이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976A KR20180027976A (ko) 2018-03-15
KR101947781B1 true KR101947781B1 (ko) 2019-02-14

Family

ID=61561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306A KR101947781B1 (ko) 2016-09-07 2016-09-07 단층 촬영이 가능한 검이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47781B1 (ko)
WO (1) WO201804822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5865A (ja) * 2003-08-21 2005-03-17 Sumitomo Bakelite Co Ltd 内視鏡用注射針
US20090225324A1 (en) * 2008-01-17 2009-09-10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endoscopic high-spee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7269A (ko) * 2009-04-24 2010-11-03 김선미 휴대형 전자 검이경
KR101191455B1 (ko) * 2011-01-28 2012-10-16 주식회사 스몰랩 휴대용 검이경
KR101223283B1 (ko) * 2011-03-08 2013-01-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단 및 디스플레이 일체형 광 단층 촬영 검이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5865A (ja) * 2003-08-21 2005-03-17 Sumitomo Bakelite Co Ltd 内視鏡用注射針
US20090225324A1 (en) * 2008-01-17 2009-09-10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endoscopic high-spee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48222A1 (ko) 2018-03-15
KR20180027976A (ko)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80869B2 (ja) 立体視内視鏡
US20170325669A1 (en) Dynamic field of view endoscope
US20080200757A1 (en) Vivo imaging device with a small cross sectional area and methods for construction thereof
US20090082626A1 (en) Endoscope and endoscope system
AU2006233956A1 (en) Device to be introduced into subject, system for acquiring information on inside of subject, and method of producing device to be introduced into subject
JP2016510236A (ja) 耳検査装置及び被験体の耳の状態を決定する方法
EP3162279A1 (en) Optical design of a light field otoscope
JP2004508868A5 (ko)
US20160227994A1 (en) Intravaginal Imaging Device, System and Method
JPWO2018079329A1 (ja) 内視鏡システムおよび内視鏡
JP2001286436A (ja) 内視鏡
US10232133B2 (en) Apparatus for imaging
TW201919537A (zh) 內視鏡系統
WO2005120330A1 (ja) 硬性電子内視鏡
KR101947781B1 (ko) 단층 촬영이 가능한 검이경
US10729309B2 (en) Endoscope system
US11806112B2 (en) Method, system, software, and device for remote, miniaturized, and three-dimensional imaging and analysis of human lesions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thereof
JP6153675B2 (ja) 立体内視鏡装置
US20200129044A1 (en) Medical observation apparatus and medical observation system
KR102314027B1 (ko) 영상촬영장치
US10898069B1 (en) Optical apparatus
JP6072373B2 (ja) 内視鏡システム
JP2019050508A (ja) 立体視撮像装置および立体視内視鏡
JPH08122665A (ja) 立体視内視鏡
JP5648456B2 (ja) プロ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