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4027B1 - 영상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027B1
KR102314027B1 KR1020140154520A KR20140154520A KR102314027B1 KR 102314027 B1 KR102314027 B1 KR 102314027B1 KR 1020140154520 A KR1020140154520 A KR 1020140154520A KR 20140154520 A KR20140154520 A KR 20140154520A KR 102314027 B1 KR102314027 B1 KR 102314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distal end
image
endoscop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4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4375A (ko
Inventor
남세광
경기욱
박봉제
박선택
윤성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4/608,261 priority Critical patent/US10232133B2/en
Publication of KR20150114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61B1/00174Optica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viewing angles
    • A61B1/00181Optica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viewing angles for multiple fixed viewing an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61B1/00188Optical arrangements with focusing or zooming features
    • A61B1/0019Optical arrangements with focusing or zooming features characterised by variabl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02B3/14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of variable focal leng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에 관한 것으로서, 이미지를 촬영하는 말단부; 상기 말단부를 제어하고 상기 말단부에 의해 입력된 상기 이미지를 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말단부를 상기 제어부와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말단부는, 초점이 가변하는 렌즈장치가 적어도 하나 이상 외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장치는, 다시점 다초점 능동가변렌즈를 구비하여 단시간에 다양한 시점의 이미지를 다수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내시경으로 사용되는 경우 내시경의 말단부에 다시점 다초점 능동가변렌즈를 구비함으로써 내시경의 말단부를 움직일 필요가 없어 내시경의 말단부와 제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굵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장치는, 내시경으로 사용되는 경우 내시경의 렌즈를 여러 군데 향하도록 할 필요 없이 단 시간에 다양한 시점의 이미지를 다수 얻을 수 있어, 피검자의 체내 체류시간이 효과적으로 단축되고 이로 인해 피검자의 거북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상촬영장치{Apparatus for Imaging}
본 발명은 영상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영상촬영장치 또는 내시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형상 재구성이 가능한 능동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내시경이란, 내장장기나 체강내부를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의료기구이며, 연결부의 끝부분에 달린 카메라가 장기 내부를 들어갔다 나오면서 영상을 기록함으로써 의사가 체강내부를 보며 질병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도움을 주는 장치이다.
초기의 내시경의 개발이래로 1960년대부터는 광섬유라는 신소재의 개발에 힘입어 내시경의 획기적인 진보와 함께 기구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이때부터 연성 광학내시경을 개발하여 내시경이 굽어진 상태에서도 직접 장기의 내벽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고, 또한, 카메라 없이 광섬유를 통한 영상 전송으로 효과적인 내시경의 시술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내시경은 국민들이 내시경 검사를 위장관암의 조기 진단을 위한 필수적 검사로 인식하기 시작하였고, 의식하 진정내시경검사의 보급으로 내시경 검사를 덜 고통스럽게 생각할 수 있게 되었으며, 국가 암검진 사업의 추진 등에 근거한 대외적인 여건과 과학의 발전으로 물리적, 해부학적인 제약을 뛰어넘는 내시경의 발달에 근거한 대내적인 여건으로 그 시술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증가되는 내시경의 시술로 문제점이 많이 대두되고 있으며, 그 중 피검자에 대한 문제점이 다수 상기되고 있다.
피검자에 대한 문제점은 첫째, 말단부가 들어가는 연결부의 선의 굵기가 굵어서 오는 거북감과 같은 문제점, 둘째, 말단부가 검사자의 조작에 따라 휘면서 체강 내부 벽을 자극시키는데 따른 고통과 같은 문제점, 셋째, 세척 및 소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내시경이 체내로 유입되는 것에 따른 이차 감염의 문제점, 넷째, 관찰을 위한 카메라의 시야가 좁아 체강 내부를 전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는 체강 내부의 체류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데 이에 따라 환자가 느끼는 고통이 지속적으로 유지된다는 문제점 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수많은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특허등록공보 제7545430호(2005.05.26) 유럽특허등록공보 제1816491호(2007.08.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시점 및 다초점이며 능동적으로 가변하는 렌즈를 구비하여 이미지를 촬영시 단시간에 다양한 시점의 이미지를 다수 얻을 수 있기 위한 영상촬영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시경의 말단부에 다시점 다초점 능동가변렌즈를 구비함으로써, 내시경의 말단부가 구부러져 움직일 필요 없어 내시경의 말단부와 제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얇게 하기 위한 영상촬영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영상촬영장치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말단부; 상기 말단부를 제어하고 상기 말단부에 의해 입력된 상기 이미지를 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말단부를 상기 제어부와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말단부는, 초점이 가변하는 렌즈장치가 적어도 하나 이상 외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말단부는, 상기 연결부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렌즈장치는, 상기 제어부에서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곡률이 증감되는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렌즈는, 상기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정도에 비례하여 양 끝단으로 인장 또는 압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렌즈는, 양 끝단이 상기 말단부의 외면과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말단부는, 상기 이미지를 밝히기 위한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원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장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말단부는, 임의의 공간을 팽창시키기 위한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주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스주입구는, 상기 말단부를 관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말단부는,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렌즈장치는, 상기 이미지를 촬영하는 렌즈; 상기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지지대; 및 상기 렌즈가 촬영한 상기 이미지를 추출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렌즈 지지대는, 상기 말단부의 외면에 구비되고, 상기 렌즈와 상기 이미지 센서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렌즈는, 상기 제어부에서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곡률이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렌즈는, 상기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정도에 비례하여 양 끝단으로 인장 또는 압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말단부에 의해 획득한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정보들을 이용하여 3D로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장치는, 다시점 다초점 능동가변렌즈를 구비하여 단시간에 다양한 시점의 이미지를 다수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내시경으로 사용되는 경우 내시경의 말단부에 다시점 다초점 능동가변렌즈를 구비함으로써 내시경의 말단부를 움직일 필요가 없어 내시경의 말단부와 제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굵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장치는, 내시경으로 사용되는 경우 내시경의 렌즈를 여러 군데 향하도록 할 필요 없이 단 시간에 다양한 시점의 이미지를 다수 얻을 수 있어, 피검자의 체내 체류시간이 효과적으로 단축되고 이로 인해 피검자의 거북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 말단부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 렌즈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 말단부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 렌즈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촬영장치(1)는, 말단부(100), 연결부(200),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1)는, 내부 영상촬영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내시경(도시하지 않음)에 적용될 수 있다.
말단부(100)는, 여러 물체(도시하지 않음)를 관찰하며 이미지를 촬영한다. 이미지는 외부(도시하지 않음)의 여러 물체에 대한 영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여러 물체의 내부 형상(예를 들어 인체 장기(도시하지 않음)의 내벽)을 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단부(100)는, 베이스(110)로 이루어지며, 초점이 가변하는 렌즈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고, 여러 물체를 제대로 관찰하기 위해서 여러 물체를 밝히기 위한 광원(1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임의의 공간을 팽창시키기 위한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 주입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말단부(100)의 외면과 내면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말단부(100)가 포함하는 여러 장치(도시하지 않음)들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장치(도시하지 않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장치(120)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렌즈(121), 렌즈(121)가 촬영한 이미지를 추출하는 이미지 센서(122) 및 렌즈(121)를 지지하는 렌즈 지지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121)는, 후술할 제어부(300)에서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곡률이 증감할 수 있으며,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정도에 비례하여 양 끝단으로 인장 또는 압축될 수 있다.
렌즈(121)는, 양 끝단으로 인장 또는 압축되어 렌즈(121)의 곡률이 변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서 렌즈(121)의 초점이 변화된다. 따라서, 렌즈(121)는,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하지 않더라도 렌즈(121)의 곡률 변화로 인한 초점 변경으로 원거리 또는 단거리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렌즈(121)는, 전기적 신호에 의한 곡률의 변화가 능동적으로 이루어져 자동적으로 초점을 맞출 수 있으며, 능동 모핑 렌즈(morphing lens)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렌즈(121)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양 끝단으로 인장됨으로써 팽창시 렌즈(121a)가 되어 초점이 변화될 수 있고, 전기적 신호에 의해 양 끝단으로 압축됨으로써 압축시 렌즈(121b)가 되어 초점이 변화될 수 있으며, 전기적 신호가 없는 경우 평상시 렌즈(121c)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렌즈(121)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렌즈(121)를 인장 또는 압축하여 원하는 초점을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렌즈(121)는, 양 끝단이 말단부(100)의 외면(바람직하게는 베이스(110))과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렌즈(121)는, 말단부(110)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어 다시점으로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미지 센서(122)는, 렌즈(121)가 촬영한 이미지를 전기적 영상신호로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신호를 제어부(3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22)는, 렌즈(121)에 의해 얻은 영상을 고해상도의 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22)는, 렌즈(121)에 의해 얻은 다시점 다초점의 영상을 단시간에 얻어 고해상도의 이미지로 추출할 수 있으므로, 추출된 여러 개의 이미지를 조합함으로써 외부의 물체에 대한 이미지를 3D 영상화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22)는, 고체이미지센서일 수 있으며, 금속산화물반도체(MOS) 또는 전하결합소자(CCD)일 수 있다. 물론 이미지 센서(122)는, 인간의 눈으로는 볼 수 없는 자외선 영역 등의 불가시상을 가시상으로 변환할 수도 있다.
렌즈 지지대(123)는, 말단부(100)의 외면에 구비되어 말단부(100)에 렌즈(121) 및 이미지 센서(122)를 지지할 수 있다. 렌즈 지지대(123)는, 렌즈(121)의 양 끝단을 지지할 수 있으며, 렌즈(121)와의 사이에 이미지 센서(122)를 구비할 수 있다.
렌즈 지지대(123)는, 말단부(100)의 외면에 구비되기 위해서 플렉시블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말단부(100)의 외면을 둘러쌀 수 있고, 모듈형으로 형성되어 다수 개 연결함으로써 말단부(100)의 외면을 둘러쌀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장치(120)는, 말단부(100)의 외면에 둘러싸도록 구성되어 다시점의 이미지를 단시간에 얻을 수 있으며, 전기적 신호로 인해 렌즈(121)의 곡률을 변화시켜 다초점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렌즈 장치(120)는 다시점 다초점의 이미지를 단시간에 얻을 수 있어, 영상촬영장치(1)의 움직임없이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미지를 얻기 위해 외부 물체를 스캔하는 시간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1)가 내시경으로 이용되는 경우, 영상촬영장치(1)의 움직임없이 이미지를 얻을 수 있어 피검자의 내부 자극으로 인한 고통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단시간에 관측물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어 피검자의 내부로 내시경이 들어감으로써 느끼는 이물감의 지속시간을 줄일 수있는 효과가 있다. 즉, 피검자의 내부에서 내시경이 움직이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어, 피검자의 고통을 줄이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광원(130)은, 적어도 하나 이상 말단부(1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렌즈 장치(12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광원(130)으로는 백색 광원 또는 형광 광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광원(130)은, 백색 광원으로 구성되어 외부의 이미지를 밝혀 렌즈(121)가 효과적으로 이미지를 촬영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형광 광원으로 구성되어 임의의 파장의 푸른 빛을 외부 이미지의 표면에 비추어 발산되는 빛의 파장을 증폭해 영상화함으로써 백색 광원만으로 찾을 수 없는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가스주입구(140)는, 말단부(100)를 관통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말단부(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부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스 주입구(140)는 사용되는 가스는 일 예로 공기일 수 있다.
말단부(100)는, 후술할 연결부(200)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1)는, 말단부(100)를 구부리며 촬영할 필요가 없어 연결부(200)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말단부(100)가 차지하는 공간이 절약되어 영상촬영장치(1)를 더욱 소형화 시키는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말단부(100)는,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1)는, 말단부(100)의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말단부(100)가 위치한 공간의 사방으로 렌즈장치(120)가 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렌즈장치(120)가 다시점을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연결부(200)는, 말단부(100)와 제어부(300)를 연결한다. 연결부(200)는, 말단부(100)와 제어부(300)를 연결하는 연결라인(210)과 가스 주입구(140)를 연결하는 가스관(2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는, 가스관(220)이외에도, 말단부(100)에 구비되는 여러 장치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라인(도시하지 않음), 말단부(100)에 구비되는 여러 장치들이 수집하는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하기 위한 정보 송수신 라인(도시하지 않음), 말단부(100)에 구비되는 여러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라인(도시하지 않음; 예를 들어 렌즈 장치(120)의 렌즈(121)를 능동적으로 움직이기 위해 필요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라인, 광원(130)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적 제어 라인 등)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1)는, 렌즈장치(120)가 다시점 다초점으로 구성되므로, 말단부(100)의 방향을 바꾸기 위한 연결부(200)의 벤딩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고 렌즈(121)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소형화할 수 있어, 연결부(200)의 굵기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피검자(도시하지 않음)가 내시경이 체내로 삽입되면서 느끼는 거북감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1)가 내시경으로 이용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내시경이 구비되는 연결부의 구성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1)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일반적인 영상촬영장치의 연결부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어부(300)는, 말단부(100)를 제어하고 말단부(100)에 의해 입력된 이미지를 처리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말단부(100)가 포함하고 있는 다양한 장치들(예를 들어 렌즈 장치(120), 광원(130), 가스 주입구(140)와 같은 장치가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말단부(100)가 장착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말한다.)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301), 다양한 장치들이 획득하는 다양한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302), 다양한 장치들을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장치(30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장치(302)는, 말단부(100)에 구비된 다양한 장치들로부터 2D의 정보들(예를 들어 2D의 이미지 정보 또는 말단부(100)에서 측정물까지의 거리 정보 등)을 송신 받을 수 있고, 송신 받은 2D의 정보들을 3D 합성 알고리즘에 의하여 3D로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말단부(100)에 구비된 다양한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2D의 정보들은 3D 합성 알고리즘에 의하여 일부가 제외되어 3D로 합성되거나, 부분적으로 선택되어 3D로 합성될 수 있다.
3D 합성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일반적인 3D 합성에 대한 내용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처리 장치(302)에 의해 3D로 합성된 데이터는 영상촬영장치(1)가 체강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검시자(도시하지 않음)에게 보여질 수 있으며, 영상촬영장치(1)를 체강에서 토출해 낸 상태에서도 검시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제어부(300)는, 말단부(100)를 움직이기 위한 장치(도시하지 않음; 예를 들어 말단부(100)를 구부리기 위한 돌림쇠 등)를 생략할 수 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1)의 소형화를 극대화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장치(1)의 제어부(300)는, 일반적인 영상촬영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장치(1)는, 다시점 다초점 능동가변렌즈(121)를 구비하여 단시간에 다양한 시점의 이미지를 다수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내시경(도시하지 않음)으로 사용되는 경우 말단부(100)에 다시점 다초점 능동가변렌즈(121)를 구비함으로써, 내시경의 말단부(100)를 움직일 필요가 없어 내시경의 말단부(100)와 제어부(300)를 연결하는 연결부(200)의 굵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촬영장치(1)는, 내시경으로 사용되는 경우 내시경의 렌즈를 여러 군데 향하도록 할 필요 없이 단시간에 다양한 시점의 이미지를 다수 얻을 수 있어, 피검자의 체내 체류시간이 효과적으로 단축되고 이로 인해 피검자의 거북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영상촬영장치 100: 말단부
110: 베이스 120: 렌즈장치
121: 렌즈 121a: 팽창시 랜즈
121b: 압축시 렌즈 121c: 평상시 렌즈
122: 이미지 센서 123: 렌즈 지지대
130: 광원 140: 가스주입구
200: 연결부 210: 연결라인
220: 가스관 300: 제어부
301: 제어 장치 302: 처리 장치
303: 전력 장치

Claims (15)

  1. 이미지를 촬영하는 말단부;
    상기 말단부를 제어하고 상기 말단부에 의해 입력된 상기 이미지를 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말단부를 상기 제어부와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말단부는,
    초점이 가변하는 렌즈장치가 적어도 하나 이상 외면을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의 굵기는 상기 말단부의 굵기보다 작고,
    상기 렌즈장치는 상기 제어부에서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곡률이 증감하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의 양 끝단은 상기 말단부의 외면과 연결되고, 상기 렌즈의 양 끝단은 상기 렌즈의 곡률의 증감에도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는,
    상기 연결부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정도에 비례하여 양 끝단으로 인장 또는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는,
    상기 이미지를 밝히기 위한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장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는,
    임의의 공간을 팽창시키기 위한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주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주입구는,
    상기 말단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부는,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장치는,
    상기 이미지를 촬영하는 렌즈;
    상기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지지대; 및
    상기 렌즈가 촬영한 상기 이미지를 추출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지지대는,
    상기 말단부의 외면에 구비되고, 상기 렌즈와 상기 이미지 센서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제어부에서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곡률이 증가 또는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전기적 신호가 입력되는 정도에 비례하여 양 끝단으로 인장 또는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말단부에 의해 획득한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정보들을 이용하여 3D로 영상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장치.
KR1020140154520A 2014-03-28 2014-11-07 영상촬영장치 KR102314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608,261 US10232133B2 (en) 2014-03-28 2015-01-29 Apparatus for imag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36567 2014-03-28
KR1020140036567 2014-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375A KR20150114375A (ko) 2015-10-12
KR102314027B1 true KR102314027B1 (ko) 2021-10-20

Family

ID=54347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520A KR102314027B1 (ko) 2014-03-28 2014-11-07 영상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0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103B1 (ko) * 2017-12-05 2019-09-04 한국광기술원 초점가변렌즈를 이용한 자동초점이 가능하고, 광원의 주파수 변조가 가능한 형광영상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3440A (ja) * 2011-03-31 2012-11-08 Fujifilm Corp 電子内視鏡
JP2013180120A (ja) * 2012-03-02 2013-09-12 Olympus Corp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45430B2 (en) 2003-11-25 2009-06-09 Panasonic Corporation Moving mechanism, and compact camera, goniometer and fiberscope using the moving mechanism
EP1816491A1 (en) 2006-02-01 2007-08-08 Varioptic Electrowett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3440A (ja) * 2011-03-31 2012-11-08 Fujifilm Corp 電子内視鏡
JP2013180120A (ja) * 2012-03-02 2013-09-12 Olympus Corp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375A (ko) 201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00096B2 (ja) 内視鏡及び内視鏡システム
US20190246875A1 (en) Endoscope system and endoscope
KR100796415B1 (ko) 내시경 시스템 및 내시경
KR100556232B1 (ko) 이격조절이 가능한 양안구조 복강경
CN110913744B (zh) 手术系统、控制方法、手术装置和程序
KR20140108066A (ko) 내시경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232133B2 (en) Apparatus for imaging
JP7294776B2 (ja) 内視鏡プロセッサ、表示設定方法、表示設定プログラム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WO2005087080A1 (ja) 内視鏡システム、内視鏡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6915615B2 (ja) 撮像素子、撮像装置、電子機器
TW201919537A (zh) 內視鏡系統
US10729309B2 (en) Endoscope system
JP5895295B2 (ja) 電子内視鏡、内視鏡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内視鏡装置
CN110996749B (zh) 3d视频内窥镜
JP2004305525A (ja) 内視鏡付き腹壁吊り上げ装置
KR102314027B1 (ko) 영상촬영장치
KR101071676B1 (ko) 다면 내시경과 다면 내시경의 영상 표시 시스템
JP6863787B2 (ja) 内視鏡システム
JP2006136743A (ja) 内視鏡システム、及び内視鏡装置
KR102097445B1 (ko) 캡슐 내시경 장치 및 상기 장치의 동작 방법
JP2018506317A (ja) 複数センサの運動を同期させる複数ビュー素子内視鏡システム
JP6663692B2 (ja) 画像処理装置、内視鏡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7036923B2 (ja) 撮像システム、処理装置および内視鏡
KR20170022575A (ko) 내시경 장치
KR101947781B1 (ko) 단층 촬영이 가능한 검이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