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626B1 - 반죽물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반죽물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626B1
KR101947626B1 KR1020170171605A KR20170171605A KR101947626B1 KR 101947626 B1 KR101947626 B1 KR 101947626B1 KR 1020170171605 A KR1020170171605 A KR 1020170171605A KR 20170171605 A KR20170171605 A KR 20170171605A KR 101947626 B1 KR101947626 B1 KR 101947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member
case
inlet
discharg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갑
박시화
박성민
김여름
Original Assignee
최종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갑 filed Critical 최종갑
Priority to KR1020170171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4Discharg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9Receptacles, e.g. provided with means for carrying or guiding fluids, e.g. coo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죽물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반죽물 공급 장치는, 분말과 액체가 혼합 교반되어 점성을 갖는 반죽물을 복수 개의 출구로 분기하여 배출시키는 반죽물 공급 장치에 있어서, 분말과 액체가 혼합 교반되어 점성을 갖는 반죽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11)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유입된 반죽물이 일시적으로 머무는 체류공간(12)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체류하는 반죽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일차배출구(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반죽물로 하여금 일차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가압수단(20)이 구비된 챔버(10)와; 상부에 상기 챔버(10)의 일차배출구와 연통되어 일차배출구(13)로부터 배출되는 반죽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케이스입구(3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단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부(32)가 구비되며, 내측 상부에 걸림턱(34)이 형성되어 있고, 테이퍼부(32)의 단부에는 케이스입구(31)로부터 배출된 반죽물이 배출되는 이차배출구(33)가 형성되어 있는 배출케이스(30)와; 외주면이 상기 배출케이스(30) 내주면과 이격된 이격공간부(41)를 형성한 채 상기 배출케이스(30)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는 단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보조테이퍼부(42)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보조테이퍼부(42)는 상기 테이퍼부(32)보다 경사각이 크게 이루어져 상기 테이퍼부(32)와 보조테이퍼부(42) 사이의 거리은 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도록 이루어져 이격공간부(41)에서 단부측으로 이동하는 반죽물의 압력에 의해 상향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측 외주면에는 반죽물의 상향 이동을 방지하는 압력전달부(43)가 형성되어 있는 이동부재(40)와; 상기 배출케이스(30)의 걸림턱(34)과 이동부재(40)의 압력전달부(43) 사이에 설치되어 반죽물의 압력이 해소될 때 상기 이동부재(40)을 하향 이동시키는 스프링(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어느 정도의 점성과 흐름성을 갖는 반죽물이 노즐에서 배출되는 출구의 틈이 점차 작게 형성되어 반죽물 이송이 정지될 때 출구의 틈새가 용이하게 막혀 흘러내리는 반죽물 양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반죽물 이송이 재개될 때는 노즐 출구가 확실하게 개방되어 반죽물 배출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특허문헌 1, 2와 같이 내부에 이동하는 이동부재가 설치되되, 출구를 개방시키기 위한 이동부재의 이동이 특허문헌 1과 같이 이동 방향의 반대편에서 일직선상으로 가해지는 반죽물의 직접 압력 방식도 아니고, 캠의 견인에 의해 이루어지는 특허문헌 2와 같은 방식도 아니라, 점차 좁아지는 통로를 통과하는 반죽물의 압력에 의해 밀려 들어올려지는 방식이 되도록 함으로써 배출케이스 내부에서의 반죽물의 교반이 활발히 이루어져 배출케이스 내부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여 내부에 장기간 체류하는 반죽물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반죽물 공급 장치{Dough supply apparayus}
본 발명은 반죽물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말과 액체가 혼합 교반되어 점성을 갖는 반죽물을 노즐을 통해 배출시킴에 있어서 공급이 정지된 상태에서 노즐 단부로부터 반죽물이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반죽물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화된 제빵 공정에는 밀가루, 물 등을 혼합 및 교반하여 어느 정도의 흐름성, 점성을 갖는 반죽물을 제조한 후, 반죽물을 관 내부를 통과시킨 후 상부틀과 하부틀로 이루어진 개폐식 금형의 하부틀 위에 노즐을 통해 배출한 후, 상부틀을 회동시켜 하부틀 상부를 덮은 다음 가열 공정을 거쳐 제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공정에서 어느 정도의 점성과 흐름성을 갖는 반죽물을 가열틀로 공급하기 위한 반죽물 공급 장치에 대한 기술을 살펴보면, "제빵기의 내용물 정량공급장치"(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1990-0000073호, 특허문헌 1)가 공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기존에 수동식으로 이루어지던 반죽물 공급을 일정량씩 자동으로 빵틀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특허문헌 1에는 반죽물이 배출되는 노즐의 구성이 공개되어 있다.
도면을 살펴보면 원료가 공급되는 관에서 반죽물이 공급되는 압력이 발생하게 되면 압력에 의해 체크볼(1)이 전진하고, 공급 압력이 해제되면 스프링(2)의 복원력에 의해 체크볼(1)이 후진하여 노즐의 출구가 아닌 입구측을 막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방식은 특허문헌 1 이전의 기술과 비교할 때, 필요시에만 내용물이 일정량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반죽물이 체크볼과 스프링을 통과하게 되는 바, 작동 진행중이 아닐 경우 노즐 내부의 반죽물이 경화되면서 체크볼과 스프링 주변에 달라붙게 되어 체크볼과 스프링의 작동이 원할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스프링이 부식되는 문제점, 노즐 내부의 반죽물이 변질되는 문제점 등의 문제로 인해 비위생적인 제조 환경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노즐은 단부가 하향되게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때 체크볼이 노즐 입구를 차단한다 하더라도 노즐 내부에 있던 반죽물은 중력에 의해 노즐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원치 않는 반죽물의 흘러내림이 발생하여 빵틀 내외부에 묻게 되어 비위생적 환경 및 원료 낭비를 발생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제빵기의 밀가루 반죽 자동 투입장치"(한국 등록특허고보 제10-1048936호, 특허문헌 2)에는 노즐 내부에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부재를 설치하는 한편, 이동부재를 캠 작동에 의해 승강시키도록 한 구성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2에는 노즐 단부의 개방은 이동부재를 캠이 상향 이동시킬 때 이루어지게 되고, 반대로 캠 작동에 의해 반대 상황이 되면 스프링 본원력에 의해 노즐 입구가 차단되게 된다.
특허문헌 2의 경우 특허문헌 1에 비해 노즐의 출구 단속이 훨씬 용이하기 때문에 점성이 있는 반죽물의 정량 배출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2의 경우 이동부재의 상승은 캠의 견인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동부재의 하강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데, 노즐 내부 공간은 단면적이 노즐 하단부 측이 크고, 사각지대가 발생하기 때문에 노즐 내부에서 체류하는 반죽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노즐 내부로 공급되는 반죽물의 압력은 정량 배출을 위해 반죽물이 흘러갈 정도의 압력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데, 반죽물 연결관이 연결되는 부분 위쪽 공간의 반죽물이 경화되어 굳어버리는 경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부재가 하강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가 되어 반죽물이 노즐 단부로 계속 흘러나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KR 20-1990-0000073 (1990.01.07) KR 10-1048936 (2011.07.06)
본 발명의 반죽물 공급 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어느 정도의 점성과 흐름성을 갖는 반죽물이 노즐에서 배출되는 출구의 틈이 점차 작게 형성되어 반죽물 이송이 정지될 때 출구의 틈새가 용이하게 막혀 흘러내리는 반죽물 양을 최소화시시키려는 것이다.
또, 반죽물 이송이 재개될 때는 노즐 출구가 확실하게 개방되어 반죽물 배출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특허문헌 1, 2와 같이 내부에 이동하는 이동부재가 설치되되, 출구를 개방시키기 위한 이동부재의 이동이 특허문헌 1과 같이 이동 방향의 반대편에서 일직선상으로 가해지는 반죽물의 직접 압력 방식도 아니고, 캠의 견인에 의해 이루어지는 특허문헌 2와 같은 방식도 아니라, 점차 좁아지는 통로를 통과하는 반죽물의 압력에 의해 밀려 들어올려지는 방식이 되도록 함으로써 배출케이스 내부에서의 반죽물의 교반이 활발히 이루어져 배출케이스 내부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여 내부에 장기간 체류하는 반죽물을 최소화시키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반죽물 공급 장치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분말과 액체가 혼합 교반되어 점성을 갖는 반죽물을 복수 개의 출구로 분기하여 배출시키는 반죽물 공급 장치에 있어서, 분말과 액체가 혼합 교반되어 점성을 갖는 반죽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11)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유입된 반죽물이 일시적으로 머무는 체류공간(12)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체류하는 반죽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일차배출구(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반죽물로 하여금 일차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가압수단(20)이 구비된 챔버(10)와; 상부에 상기 챔버(10)의 일차배출구와 연통되어 일차배출구(13)로부터 배출되는 반죽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케이스입구(3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단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부(32)가 구비되며, 내측 상부에 걸림턱(34)이 형성되어 있고, 테이퍼부(32)의 단부에는 케이스입구(31)로부터 배출된 반죽물이 배출되는 이차배출구(33)가 형성되어 있는 배출케이스(30)와; 외주면이 상기 배출케이스(30) 내주면과 이격된 이격공간부(41)를 형성한 채 상기 배출케이스(30)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는 단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보조테이퍼부(42)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보조테이퍼부(42)는 상기 테이퍼부(32)보다 경사각이 크게 이루어져 상기 테이퍼부(32)와 보조테이퍼부(42) 사이의 거리은 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도록 이루어져 이격공간부(41)에서 단부측으로 이동하는 반죽물의 압력에 의해 상향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측 외주면에는 반죽물의 상향 이동을 방지하는 압력전달부(43)가 형성되어 있는 이동부재(40)와; 상기 배출케이스(30)의 걸림턱(34)과 이동부재(40)의 압력전달부(43) 사이에 설치되어 반죽물의 압력이 해소될 때 상기 이동부재(40)을 하향 이동시키는 스프링(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부가 상기 챔버(10)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하부는 상기 배출케이스(30)의 케이스입구(31)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되, 하단 외주면은 원뿔 형상, 스크류 형상, 분기된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변형부(61)로 이루어진 주입조절수단(6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챔버(10)는 유입구(11)에서 가까운 측에서 먼 측으로 갈수록 체류공간(12)이 점차 작아지는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40)는 상부에 개구부(44)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이 막혀 있는 관 형태를 취하되, 상기 압력전달부(43)의 하부 외주면에는 개구부(44)로부터 유입된 반죽물이 이격공간부(41)로 배출되는 측면배출구(44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배출케이스(30)는, 상부가 상기 챔버(10)의 일차배출구(13)와 결합되어 있는 연결관(35)과; 상부가 상기 연결관(35)과 체결되고, 상기 연결관(46) 내부와 연통되는 하부관체부(36a)가 중앙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둘레에는 하향돌출된 채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36b)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36)와 하부관체부(26a) 사이의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압력조절홀(36c)이 형성되어 있는 마개(36)와; 상부 외주면이 상기 마개부(36)의 결합부(36b)와 나사결합되고, 하부 내주면에 상기 테이퍼부(32)가 형성되어 있고, 테이퍼부(32)의 단부에 이차배출구(33)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37);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40)는 상부 외주면에 상기 압력전달부(43)가 상하로 이격된 채 다수 형성되어 상하로 인접한 압력전달부(43)의 사이에 외부패킹설치홈(43a)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중앙에 개구부(4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44)에 마개(36)의 하부관체부(36a)가 끼워지되, 개구부(44) 내벽면에 내부패킹설치홈(44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패킹설치홈(43a) 및 내부패킹설치홈(44b)에는 원형 링 형태의 패킹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어느 정도의 점성과 흐름성을 갖는 반죽물이 노즐에서 배출되는 출구의 틈이 점차 작게 형성되어 반죽물 이송이 정지될 때 출구의 틈새가 용이하게 막혀 흘러내리는 반죽물 양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반죽물 이송이 재개될 때는 노즐 출구가 확실하게 개방되어 반죽물 배출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특허문헌 1, 2와 같이 내부에 이동하는 이동부재가 설치되되, 출구를 개방시키기 위한 이동부재의 이동이 특허문헌 1과 같이 이동 방향의 반대편에서 일직선상으로 가해지는 반죽물의 직접 압력 방식도 아니고, 캠의 견인에 의해 이루어지는 특허문헌 2와 같은 방식도 아니라, 점차 좁아지는 통로를 통과하는 반죽물의 압력에 의해 밀려 들어올려지는 방식이 되도록 함으로써 배출케이스 내부에서의 반죽물의 교반이 활발히 이루어져 배출케이스 내부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여 내부에 장기간 체류하는 반죽물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반죽물 공급 장치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죽물 공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배출케이스와 이동부재가 도 2와 달리 이루어진 예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반죽물 공급 장치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5는 도 4의 구성에 따른 배출케이스 및 이동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주입조절수단의 여러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챔버 내부 공간 면적에 변화를 준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본 발명은 밀가루 등과 같은 분말과, 물 등과 같은 액체가 혼합 교반되어 어느 정도의 흐름성과 점성을 갖는 반죽물을 제조한 상태에서 이 반죽물을 빵틀 등과 같은 복수 개의 출구측으로 정량 배출하도록 하는 반죽물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반죽물 공급 장치는 크게 챔버(10), 가압수단(20), 배출케이스(30), 이동부재(40) 및 스프링(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반죽물 공급 장치의 주요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챔버(10)는 도 2 등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반죽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11)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반죽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밀가루와 같은 분말과 물과 같은 액체가 혼합되어 어느 정도의 점성 및 흐름성을 갖는 상태이다.
챔버(10)에는 유입구(11)로부터 유입된 반죽물이 일시적으로 머무는 공간인 체류공간(12)이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챔버(10)에는 체류공간(12)에 머물던 반죽물이 배출되는 다수 개의 일차배출구(13)가 타측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가압수단(20)은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반죽물로 하여금 일차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도록 가압하는 것으로, 도 2에는 챔버(11)의 일측에 구비된 가압실(11a)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진 하도록 이루어진 가압판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가압판에는 미도시된 유압 실린더 등과 같은 구동장치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입구(11) 측에 연결되는 배관에는 미도시된 개폐 조절 밸드가 설치되어 가압판이 후진하는 동안에는 반죽물이 유입구(1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압수단의 또다른 예로 가압 펌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오소인 배출케이스(3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에 상기 챔버(10)의 일차배출구(13)와 연통되어 일차배출구(13)로부터 배출되는 반죽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케이스입구(31)가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하부에는 단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부(32)가 구비되어 있다.
아울러, 내측 상부에 걸림턱(34)이 형성되어 있고, 테이퍼부(32)의 단부에는 케이스입구(31)로부터 배출된 반죽물이 배출되는 이차배출구(33)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3의 배출케이스(30) 예에 따르면 케이스입구(31)는 배출케이스(3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도 4의 예에 따르면 케이스입구(31)는 배출케이스(30)의 상부에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2, 3의 걸림턱(34)은 배출케이스(30) 천정면의 저부에 해당하여 형성되고, 도 4의 예에 따르면 걸림턱(34)은 케이스입구(31)의 하부에 내경이 확경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이동부재(4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주면이 상기 배출케이스(30) 내주면과 이격된 이격공간부(41)를 형성한 채 상기 배출케이스(30)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더불어 이동부재(40)의 하부에는 단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보조테이퍼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보조테이퍼부(42)는 상기 테이퍼부(32)보다 경사각이 크게 이루어져 상기 테이퍼부(32)와 보조테이퍼부(42) 사이의 거리는 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은 외부의 기계적인 구성을 통해 이동부재(40)를 상향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이격공간부(41) 내부에서 단부측 즉, 테이퍼부(32)와 보조테이퍼부(42) 사이의 공간을 통해 이차배출구(33)로 이동하는 반죽물의 압력에 의해 밀려 상향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를 위해 이동부재(40)의 상측 외주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물의 상향 이동을 방지하고, 이동부재(40)가 상향 이동하기 위한 반력을 제공하기 위한 압력전달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도 2와는 다른 형태의 이동부재(40)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이동부재는 압력전달부(43)의 상측 부분이 배출케이스(30)의 상부로 돌출되어 관통된 부분의 배출케이스(30) 벽면이 이동부재(40)의 이동시 일종의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한 구성인 반면, 도 3의 방식은 압력전달부(43)의 상측 부분이 돌출되어 있지 아니하며, 배출케이스(30) 상단의 홀은 이동부재(40)의 상향 또는 하향 이동시 이동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압력 조절 홀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스프링(50)은 도 2,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케이스(30)의 걸림턱(34)과 이동부재(40)의 압력전달부(43) 사이에 설치되어 반죽물의 압력이 해소될 때 상기 이동부재(40)의 압력전달부(43)를 아래쪽으로 밀어 이동부재(40)를 하향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동부재(40)가 하향 이동하게 되면 이동부재(40)의 보조테이퍼부(42)가 배출케이스(30)의 테이퍼부(32)와 맞닿으면서 반죽물이 배출되는 것을 막아주게 된다.
한편, 도 4에는 전술한 챔버(10)의 구체적인 예와, 도 2, 3과 다른 형태의 배출케이스(30) 및 이동부재(4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형태는 도 2, 3과 달리 케이스입구(31)는 배출케이스(30)의 상부에 형성되며, 그 상부에 바로 챔버(10)가 연결되기 때문에 반죽물의 이동 경로상의 굴곡이 최소화되어 가압수단(20)의 가압에 의한 압력이 반죽물에 원할하게 전달된 채 케이스입구(31)로 반죽물이 유입되게 된다.
도 4에서 이동부재(40)는 도 2,3의 실시예와 달리 상부에 개구부(44)가 형성되어 있는 관 형태를 취하여 개구부(44)를 통해 반죽물이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더불어, 이동부재(40)의 하단은 막혀 있는 대신, 압력전달부(43)의 하부 외주면에 측면배출구(44a)가 형성되어 있어, 개구부(44)로부터 유입된 반죽물이 압력전달부(43) 아래쪽에서 측면배출구(44a)를 통해 배출된다.
이러한 구성은 반죽물 이동의 직진성을 최대한 확보하면서 배출케이스(30)의 단부측에서 테이퍼부(32)와 보조테이퍼부(42)의 사이로 반죽물이 이동하는 힘에 의해 자연스럽게 이동부재(40)가 밀려 이동하여 2차배출구(33)가 충분한 넓이로 개방되어 반죽물의 배출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개방 방식은 종래의 특허문헌들에 제시되어 있지 아니한 특이한 작동 방식이라 할 것이다.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배출케이스(30) 및 이동부재(40)의 보다 구체적인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보면 배출케이스(30)는 상부가 상기 챔버(10)의 일차배출구(13)와 결합되어 있는 연결관(35)과, 마개(36) 및 본체(37)로 구성되어 있다.
마개(3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상기 연결관(35)과 체결되고, 상기 연결관(46) 내부와 연통되는 하부관체부(36a)가 중앙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 마개(36)의 둘레에는 둘레에는 하향돌출된 채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36b)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결합부(36)와 하부관체부(26a) 사이의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압력조절홀(36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37)는 상부 외주면이 상기 마개부(36)의 결합부(36b)와 나사결합되고, 하부 내주면에 상기 테이퍼부(32)가 형성되어 있고, 테이퍼부(32)의 단부에 이차배출구(3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출케이스(30)의 구성은 분해가 용이하여 내부 공간 및 내부의 이동부재(40) 세척이 용이하게 하는 바, 위생적인 제조 환경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압력조절홀(36c)을 통해 압력 조절이 용이해져 이동부재(40)의 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이동부재(40)는 상부 중앙에 개구부(4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44)에 마개(36)의 하부관체부(36a)가 끼워지는데, 이동부재(40)의 상부 외주면에 상기 압력전달부(43)가 상하로 이격된 채 다수 형성되어 상하로 인접한 압력전달부(43)의 사이에 외부패킹설치홈(43a)이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44) 내벽면에 내부패킹설치홈(44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패킹설치홈(43a) 및 내부패킹설치홈(44b)에는 미도시된 원형 링 형태의 패킹이 설치됨으로써 압력전달부(43) 상부 공간의 스프링(50)의 오염을 방지하고, 압력 전달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된 패킹설치홈들을 상하로 다수 형성하고, 그 중간 어느 한 층에는 베어링을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는 이동부재(40)의 회전을 유도하여 스프링(50)의 복원력에 따른 이동부재(40)의 하향 이동이 보다 원할하게 이루어고, 상향 이동 역시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챔버(10)에는 다수 개의 배출케이스(30)가 분기되어 연결되어 있는데, 반죽물이 유입되는 입구의 위치에 따라 각 배출케이스(30)의 내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이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 밖에 각종 설치 후 작동 상태에 따라 각 배출케이스(30)의 내부마다 반죽물에 가해지는 압력이 달라질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각 배출케이스(30)의 케이스입구(31)마다 입구 면적을 조절하는 주입조절수단(6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는 이러한 개념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서 주입조절수단(60)은 상부가 상기 챔버(10)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하부는 상기 배출케이스(30)의 케이스입구(31) 내주면에 나사결합된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부 외주면에 변형부(61)가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의 변형부(61)는 원추형의 형상을 취하는데, 나사결합의 정도에 따라 케이스입구(31)의 면적이 각 배출케이스(30)마다 달리 세팅될 수 있다.
도 6에는 이러한 주입조절수단(60)의 변형부(61)의 여러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A)는 하단이 원추형인 예이며, (B)는 스크류형, (C)는 분기형으로 이루어진 예이다.
변형부(61)는 도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때, 스크류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출구 홀에 조정 스크류가 들어가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단순히 개구부의 면적만을 조절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압력 조절을 보다 정교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관점에 더하여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챔버(10)는 유입구(11)에서 가까운 측에서 먼 측으로 갈수록 체류공간(12)이 점차 작아지는 형상을 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반죽물의 정량 분배에 용이하며, 이 경우 주입조절수단(60)과 함께 적용되는 경우 반죽물의 정량 분배를 정교하게 하고, 압력 조절을 섬세하게 하여 사용 중의 각종 변화로부터 이동부재(40)의 이동을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해준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의 반죽물 공급 장치는 특허문헌 1, 2와 같이 내부에 이동하는 이동부재가 설치되되, 출구를 개방시키기 위한 이동부재의 이동이 특허문헌 1과 같이 이동 방향의 반대편에서 일직선상으로 가해지는 반죽물의 직접 압력 방식도 아니고, 캠의 견인에 의해 이루어지는 특허문헌 2와 같은 방식도 아니라, 점차 좁아지는 통로를 통과하는 반죽물의 압력에 의해 밀려 들어올려지는 방식이 되도록 함으로써 배출케이스 내부에서의 반죽물의 교반이 활발히 이루어져 배출케이스 내부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여 내부에 장기간 체류하는 반죽물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어느 정도의 점성과 흐름성을 갖는 반죽물이 노즐에서 배출되는 출구의 틈이 점차 작게 형성되어 반죽물 이송이 정지될 때 출구의 틈새가 용이하게 막혀 흘러내리는 반죽물 양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반죽물 이송이 재개될 때는 노즐 출구가 확실하게 개방되어 반죽물 배출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반죽물 공급 장치는 점성을 갖는 반죽물을 공정 중에 공급하는 다양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며, 그 중에서 제빵이나 제과 원료인 반죽물을 오븐이나 틀에 공급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10 : 챔버 11 : 유입구
11a : 가압실 12 : 체류공간
13 : 일차배출구 20 : 가압수단
30 : 배출케이스 31 : 케이스입구
32 : 테이퍼부 33 : 이차배출구
34 : 걸림턱 35 : 연결관
36 : 마개 36a : 하부관체부
36b : 결합부 36c : 압력조절홀
37 : 본체 40 : 이동부재
41 : 이격공간부 42 : 보조테이퍼부
43 : 압력전달부 43a : 외부패킹설치홈
44 : 개구부 44a : 측면배출구
44b : 내부패킹설치홈 50 : 스프링
60 : 주입조절수단 61 : 변형부

Claims (5)

  1. 분말과 액체가 혼합 교반되어 점성을 갖는 반죽물을 복수 개의 출구로 분기하여 배출시키는 반죽물 공급 장치에 있어서,
    분말과 액체가 혼합 교반되어 점성을 갖는 반죽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11)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고, 유입된 반죽물이 일시적으로 머무는 체류공간(12)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체류하는 반죽물이 배출되는 복수의 일차배출구(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반죽물로 하여금 일차배출구(13)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가압수단(20)이 구비된 챔버(10)와;
    상부에 상기 챔버(10)의 일차배출구와 연통되어 일차배출구(13)로부터 배출되는 반죽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케이스입구(3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단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부(32)가 구비되며, 내측 상부에 걸림턱(34)이 형성되어 있고, 테이퍼부(32)의 단부에는 케이스입구(31)로부터 배출된 반죽물이 배출되는 이차배출구(33)가 형성되어 있는 배출케이스(30)와;
    외주면이 상기 배출케이스(30) 내주면과 이격된 이격공간부(41)를 형성한 채 상기 배출케이스(30)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는 단부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감소하는 보조테이퍼부(42)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보조테이퍼부(42)는 상기 테이퍼부(32)보다 경사각이 크게 이루어져 상기 테이퍼부(32)와 보조테이퍼부(42) 사이의 거리은 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도록 이루어져 이격공간부(41)에서 단부측으로 이동하는 반죽물의 압력에 의해 상향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측 외주면에는 반죽물의 상향 이동을 방지하는 압력전달부(43)가 형성되어 있는 이동부재(40)와;
    상기 배출케이스(30)의 걸림턱(34)과 이동부재(40)의 압력전달부(43) 사이에 설치되어 반죽물의 압력이 해소될 때 상기 이동부재(40)을 하향 이동시키는 스프링(50);을 포함하여 구성된,
    반죽물 공급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부가 상기 챔버(10)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하부는 상기 배출케이스(30)의 케이스입구(31) 내주면에 나사결합되되, 하단 외주면은 원뿔 형상, 스크류 형상, 분기된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변형부(61)로 이루어진 주입조절수단(6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공급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0)는 유입구(11)에서 가까운 측에서 먼 측으로 갈수록 체류공간(12)이 점차 작아지는 형상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공급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40)는 상부에 개구부(44)가 형성되어 있고, 하단이 막혀 있는 관 형태를 취하되, 상기 압력전달부(43)의 하부 외주면에는 개구부(44)로부터 유입된 반죽물이 이격공간부(41)로 배출되는 측면배출구(44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공급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케이스(30)는,
    상부가 상기 챔버(10)의 일차배출구(13)와 결합되어 있는 연결관(35)과;
    상부가 상기 연결관(35)과 체결되고, 상기 연결관(46) 내부와 연통되는 하부관체부(36a)가 중앙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둘레에는 하향돌출된 채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36b)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36)와 하부관체부(26a) 사이의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압력조절홀(36c)이 형성되어 있는 마개(36)와;
    상부 외주면이 상기 마개부(36)의 결합부(36b)와 나사결합되고, 하부 내주면에 상기 테이퍼부(32)가 형성되어 있고, 테이퍼부(32)의 단부에 이차배출구(33)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37);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40)는 상부 외주면에 상기 압력전달부(43)가 상하로 이격된 채 다수 형성되어 상하로 인접한 압력전달부(43)의 사이에 외부패킹설치홈(43a)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중앙에 개구부(4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44)에 마개(36)의 하부관체부(36a)가 끼워지되, 개구부(44) 내벽면에 내부패킹설치홈(44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패킹설치홈(43a) 및 내부패킹설치홈(44b)에는 원형 링 형태의 패킹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죽물 공급 장치.
KR1020170171605A 2017-12-13 2017-12-13 반죽물 공급 장치 KR101947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605A KR101947626B1 (ko) 2017-12-13 2017-12-13 반죽물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605A KR101947626B1 (ko) 2017-12-13 2017-12-13 반죽물 공급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279A Division KR20190070895A (ko) 2019-01-17 2019-01-17 반죽물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626B1 true KR101947626B1 (ko) 2019-02-14

Family

ID=65366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605A KR101947626B1 (ko) 2017-12-13 2017-12-13 반죽물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6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298A (ko) * 2019-11-05 2021-05-13 조규선 식품제조 장비의 2중 관식 다중토출 노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352Y1 (ko) 1999-12-23 2000-06-15 이한형 식품 압출장치
JP2001507932A (ja) 1996-12-13 2001-06-19 フランツ・ハース・ヴァッフェルマシイネン−インドウストリ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食用の小さなワッフルロール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7932A (ja) 1996-12-13 2001-06-19 フランツ・ハース・ヴァッフェルマシイネン−インドウストリ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食用の小さなワッフルロール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0186352Y1 (ko) 1999-12-23 2000-06-15 이한형 식품 압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298A (ko) * 2019-11-05 2021-05-13 조규선 식품제조 장비의 2중 관식 다중토출 노즐 장치
KR102291264B1 (ko) * 2019-11-05 2021-08-20 조규선 식품제조 장비의 2중 관식 다중토출 노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19595B1 (en) Nozzle for filling a container with at least two viscous materials
JP6626364B2 (ja) 固体粒子を含有する液体材料の吐出装置および吐出方法並びに塗布装置
US10674743B2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and dispensing of food products such as ice cream and the like
KR101947626B1 (ko) 반죽물 공급 장치
EP0850838A1 (en) Valve with controlled-action obturator for the metered delivery of fluids in automatic machines for filling containers and the like
US8083395B2 (en) Device and method for admixing liquids into flowable bulk material
US20190107215A1 (en) Diverter valve for conveying a material and method for cleaning thereof
EP3075460A1 (en) Fluid ejection apparatus
KR20190070895A (ko) 반죽물 공급 장치
JP2017534487A (ja) 移行型断面形状を有する供給ミキサー用の排出ゲートアダプタ
US6269978B1 (en) Dispensing and dosing machine for dyestuffs
US200502797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mixing assembly
US20100047382A1 (en) Defoaming Device and Forming Device With The Same
CN104664575B (zh) 用于流质或半流质食品的活塞式分配器单元
DE60212360T2 (de) Vorrichtung zur dosierten abgabe von flüssigen oder gelförmigen medien
JP2020089362A (ja) 非漏洩食品充填材デポジターシステム
DE102004056455B4 (de) Zufuhrvorrichtung für Fluide
EP3838390A1 (en) Mixing unit and method for mixing a liquid product
EP0770549B1 (en) Dosing nozzle assembly and process for dosing liquid
AU2005232932A1 (en) Material dispensing device with a rotary seal
KR101770236B1 (ko) 미립식품과 점액성 액체의 혼합장치
EP1550391B9 (en) Machine for preparing thick liquid food products
EP2337455B1 (en) Automatic apparatus for depositing sauce onto pizza bases or foodstuffs
CN218019274U (zh) 一种精准的混凝土配料装置
GB2129324A (en) Mixing and feeding plastics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