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514B1 - 파킹 상태 해제용 커넥팅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파킹 상태 해제용 커넥팅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514B1
KR101947514B1 KR1020170152248A KR20170152248A KR101947514B1 KR 101947514 B1 KR101947514 B1 KR 101947514B1 KR 1020170152248 A KR1020170152248 A KR 1020170152248A KR 20170152248 A KR20170152248 A KR 20170152248A KR 101947514 B1 KR101947514 B1 KR 101947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ble
cover member
cable unit
connection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철
주인섭
임정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Priority to KR1020170152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5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4Locking or disabling mechanisms
    • F16H63/3416Parking lock mechanisms or brakes in the transmission
    • F16H63/3491Emergency release or engagement of parking locks or brakes

Abstract

본 발명은 파킹 상태 해제용 커넥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힘점과 작용점 사이(수동조작 장치와 트랜스미션 사이)를 동력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케이블 유닛과 제2케이블 유닛을 별도의 연결도구 없이 신속하게 결속 및 분리시켜 줄 수 있게 됨으로써, 부품의 조립 및 분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양산성 및 사후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Description

파킹 상태 해제용 커넥팅 어셈블리{Connecting assembly for parking state release}
본 발명은 파킹 상태 해제용 커넥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 간 조립성이 우수하여 제품의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반복적인 사용을 원활하게 하며, 부품의 교체 및 사후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파킹 상태 해제용 커넥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서 사용자가 변속레버를 조작하게 되면 그 변속레버와 트랜스미션 간의 동력전달이 케이블을 통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변속상태의 전환이 이루어지게 되고, 그 변속된 상태에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에 기초하여 엔진 등 차량의 주행 및 정차에 필요한 부품들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예컨대, 실내에서 사용자가 정차 후 변속레버를 파킹 상태로 전환시킨 다음 엔진을 끄게 되면, 그 파킹상태에 기초한 전기적인 신호가 엔진에 전달되어 있음에 따라, 파킹 모드가 유지되는 상태에서는 차량의 움직임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변속시키는 행위를 자동 조작 행위라 칭하고, 시동이 안 걸린(고장 혹은 배터리 방전으로 인한) 상태에서 변속시키는 행위를 수동 조작 행위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수동 조작 행위는, 예컨대 고장 혹은 배터리 방전 시에 파킹 상태(P)의 변속상태를 전원 공급 없이 수동으로 'N' 상태로 조작시켜 줄 때 요구된다.
이러한 수동 조작 행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1723866호에 개시된 수동조작 장치와, 상기 수동조작 장치에 동력적으로 연결되는 제1케이블과, 일측은 상기 제1케이블에 연결되고 타측은 트랜스미션 측에 연결되는 제2케이블과 같은 구성이 마련될 것이 요구된다.
특히, 파킹 상태 해제를 위한 해제력이 가해지는 수동조작 장치(힘점)와 그 해제력이 전달되어 작용되는 트랜스미션(작용점)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케이블과 제2케이블 간의 연결 작업이 반드시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하면, 상기 제1케이블과 제2케이블 간의 연결 작업이 특정 도구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연결 및 분리 효율이 떨어져 제품의 양산성 및 사후관리 효율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도 부품의 조립 및 분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양산성 및 사후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파킹 상태 해제용 커넥팅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랫동안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파킹 상태 해제용 커넥팅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파킹 상태 해제용 커넥팅 어셈블리는, 자동차 파킹 상태를 비상 해제시키기 위하여 힘점과 작용점 사이를 동력적으로 연결시키는 한 쌍의 케이블 유닛의 커넥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케이블 유닛들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일방향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아우터와, 상기 제1아우터 내부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케이블 유닛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엔드가 마련되어 있는 제1인너와, 상기 다른 하나의 케이블 유닛을 록킹시키는 록킹위치와 그 케이블 유닛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아우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제1케이블 유닛; 및 제2아우터와, 상기 제2아우터 내부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케이블 유닛의 연결엔드와 선택적으로 결속되는 니플엔드를 구비하는 제2인너와, 상기 제2아우터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그 제2아우터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니플엔드와 연결엔드 간의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아우터에 결속되고, 그 결속 상태에서 상기 제1케이블 유닛의 록킹부재에 의해 록킹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제2케이블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케이블 유닛의 제1아우터는, 상기 제1인너를 상대이동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제1본체부와, 상기 제1인너의 연결엔드와 인접한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제1본체부에 결합되되 그 연결엔드가 노출되게 하고, 상기 록킹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케이블 유닛의 제2아우터는, 상기 제2인너를 상대이동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제2본체부와, 상기 제2인너의 니플엔드와 인접한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제2본체부에 결합되되 그 니플엔드가 노출되게 하고, 상기 커버부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케이블 유닛의 커버부재는, 상기 제1캡부에 접근된 상태에서 제1캡부의 마주하는 선단 측을 끼워맞춤 방식으로 수용시킬 수 있게 하는 끼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재의 끼움부는, 가장 큰 외경을 가짐으로써 다른 외주면과 단차를 형성시키는 외주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커버부재의 제1캡부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여 그 커버부재와 제1캡부 간의 결속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록킹위치에서 상기 커버부재의 임의탈거가 방지되도록 상기 끼움부의 외주면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는, 탄성변형에 의해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것으로, 상기 커버부재의 외주면에 접촉되면서 상호 이격되고 상기 커버부재와의 결속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탄성복원됨으로써 상기 커버부재의 임의탈거를 방지되게 하는 한 쌍의 걸림리브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캡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힘점에서 가해진 해제력이 상기 연결엔드 및 니플엔드를 통해 상기 작용점에 전달되게 한 이후, 그 힘점에서 상기 해제력이 제거된 경우 그 연결엔드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엔드를 탄성 가압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파킹 상태 해제용 커넥팅 어셈블리는, 힘점과 작용점 사이(수동조작 장치와 트랜스미션 사이)를 동력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케이블 유닛과 제2케이블 유닛을 별도의 연결도구 없이 신속하게 결속 및 분리시켜 줄 수 있게 됨으로써, 부품의 조립 및 분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양산성 및 사후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제1케이블 유닛을 제2케이블 유닛 측으로 탄성 가압시키는 탄성체가 마련된 실시예에 의하면, 힘점에서 가해진 해제력이 연결엔드 및 니플엔드를 통해 작용점에 전달되게 한 이후, 그 힘점에서 상기 해제력이 제거된 경우 그 연결엔드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 번 사용한 본 실시예의 재사용시 그 연결엔드와 니플엔드 간의 결합위치 설정이 용이하고, 오랫동안 사용에 의해 느슨해진 케이블의 장력에 탄성력을 가함에 따라, 결국 제품의 반복적인 사용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게 하는 장점이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킹 상태 해제용 커넥팅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상태를 측면에서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킹 상태 해제용 커넥팅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킹 상태 해제용 커넥팅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상태를 측면에서 보인 동작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킹 상태 해제용 커넥팅 어셈블리는, 자동차 파킹 상태를 비상 해제시키기 위하여 힘점과 작용점 사이를 동력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케이블 유닛(10)과 제2케이블 유닛(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케이블 유닛(10)은, 비상 상황에서 수동으로 파킹 상태를 해제 하기 위한 수동 조작 장치(30)(힘점)와 변속 상태를 결정하는 트랜스미션(작용점)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2케이블 유닛(20)은 상기 제1케이블 유닛(10)이 연결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연결된다.
상기 제1케이블 유닛(10)은,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된 제1아우터(12)와 제1인너(14)와 록킹부재(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아우터(12)는, 일방향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가운데가 비어 있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인너(14)는, 상기 제1아우터(12) 내부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케이블 유닛(20)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엔드(1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록킹부재(18)는, 상기 제1케이블 유닛(10)과 제2케이블 유닛(20)이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그 연결상태가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케이블 유닛(20)을 제1케이블 유닛(10)에 대해 록킹시키는 록킹위치(도 5 참조)와, 상기 제2케이블 유닛(20)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해제위치(도 4 참조)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아우터(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록킹부재(18)와 상기 제1아우터(12) 간의 결합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록킹부재(18)와 제1아우터(12)를 힌지핀과 같은 구성으로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그 힌지핀과 같은 별도의 결합도구가 요구되나, 본 실시예는 상기 제1아우터(12)의 일부위에 핀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두고, 상기 록킹부재(18)에 상기 핀부가 삽입되는 홈부(16a)를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별도의 도구 없이도 상호 끼움 방식에 의해서도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었다.
상기 제2케이블 유닛(20)은, 상기 제1아우터(12)와 구조가 유사한 제2아우터(22), 상기 제1인너(14)와 유사한 제2인너(24) 및 상기 록킹부재(18)와 상호 작용을 하는 커버부재(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인너(24)는, 상기 제2아우터(22) 내부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케이블 유닛(10)의 연결엔드(16)와 선택적으로 결속되는 니플엔드(26)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부재(28)는, 상기 제2아우터(22)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그 제2아우터(22)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니플엔드(26)와 연결엔드(16)는 별도의 기구에 의하지 않고, 상호 도킹에 의해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엔드(16)에 홈부(16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니플엔드(26)가 상기 홈부(16a)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인 경우에는, 별도의 연결도구 없이도 결속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부재(28)는, 상기 니플엔드(26)와 연결엔드(16) 간의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아우터(12)에 결속되고, 그 결속 상태에서 상기 제1케이블 유닛(10)의 록킹부재(18)에 의해 선택적으로 록킹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서로 마주하는 제1케이블 유닛(10)과 제2케이블 유닛(20)을 별도의 도구 없이 상호 끼움방식에 의해서 결속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즉, 도 3과 같이, 커버부재(28)가 니플 엔드에 대해 후퇴됨으로써 그 니플 엔드가 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케이블 유닛(10)의 연결엔드(16)와 제2케이블 유닛(20)의 니플엔드(26)를 상호 도킹에 의해 결속시킨 이후, 도 4와 같이, 커버부재(28)를 제1케이블 유닛(10)의 제1아우터(12) 측으로 접근시켜 그 제1아우터(12)와 결속되게 하여 아무런 도구 없이 끼움 방식으로 신속한 가결속을 수행한 다음, 도 5와 같이, 록킹부재(18)를 커버부재(28) 측으로 접근시켜 그 커버부재(28)와 결속되게 하여 커버부재(28)의 록킹부재(18)에 대한 임의탈거를 방지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킹 상태 해제용 커넥팅 어셈블리는,힘점과 작용점 사이를 동력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케이블 유닛(10)과 제2케이블 유닛(20)을 별도의 연결도구 없이 신속하게 결속 및 분리시켜 줄 수 있게 됨으로써, 부품의 조립 및 분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양산성 및 사후관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제1케이블 유닛(10)의 제1아우터(12)는, 제1본체부(12a)와 제1캡부(1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케이블 유닛(20)의 제2아우터(22)는, 제2본체부(22a)와 제2캡부(2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캡부(12b)는 제1본체부(12a)와는 별개로 제작된 후 그 제1본체부(12a)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캡부(22b)도 제1캡부(12b)와 마찬가지로 제2본체부(22a)와 별개도 제작된 후 그 제2본체부(22a)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본체부(12a)는,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부분으로, 상기 제1인너(14)를 상대이동 가능하게 지지시키고, 상기 제1캡부(12b)는, 상기 제1인너(14)의 연결엔드(16)와 인접한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제1본체부(12a)에 결합되되 그 연결엔드(16)가 노출되게 하고, 상기 록킹부재(18)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본체부(22a)는, 상기 제2인너(24)를 상대이동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부분이고, 상기 제2캡부(22b)는, 상기 제2인너(24)의 니플엔드(26)와 인접한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제2본체부(22a)에 결합되되 그 니플엔드(26)가 노출되게 하고, 상기 커버부재(28)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제1아우터(12)를 형성시키는 부분들 중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한 부분(록킹부재(18)와 결합을 위한 구성이 마련되어야 하는 부분)을 간소한 부분과 이원화시키고, 상기 제2아우터(22)를 형성시키는 부분들 중 구조가 복잡한 부분(커버부재와 결합을 위한 구성이 마련되어야 하는 부분)을 간소한 부분과 이원화시킴으로써, 제품의 성형성을 우수하게 하여 결국 제품 양산성 향상 및 제조원가 절감을 기대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제1캡부(12b)와 제2캡부(22b)로 인해 구조적 안정성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케이블 유닛(20)의 커버부재(28)는, 상기 제1캡부(12b)에 접근된 상태에서 제1캡부(12b)의 마주하는 선단 측을 끼워맞춤 방식으로 수용시킬 수 있게 하는 끼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제1케이블 유닛(10)과 제2케이블 유닛(20)의 상호 연결부에 가해지는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응력에 대한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커버부재(28)의 끼움부는, 상기 제1캡부(12b)와 끼움결합을 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족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부재(28)와 록킹부재(18) 간의 결속력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가장 큰 외경을 가짐으로써 다른 외주면(28a)과 단차를 형성시키고 상기 록킹부재(18)의 걸림부와 걸림 작용을 하는 외주면(28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록킹부재(18)는,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커버부재(28)의 제1캡부(12b)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여 그 커버부재(28)와 제1캡부(12b) 간의 결속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록킹위치에서 상기 커버부재(28)의 임의탈거가 방지되도록 상기 끼움부의 외주면(28a)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부는,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부재(18)의 커버부재(28)에 대한 결속시에 별도의 도구 없이 자체의 구조에 기인하여 결속이 가능하도록, 탄성변형에 의해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구조를 가진다.
예컨대, 상기 걸림부는, 상기 커버부재(28)의 외주면(28a)에 접촉되면서 상호 이격되고 상기 커버부재(28)와의 결속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탄성복원됨으로써 상기 커버부재(28)의 임의탈거를 방지되게 하는 한 쌍의 걸림리브(18a)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 제1캡부(12b)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엔드(16)를 제1아우터(12)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탄성 가압시키는 탄성체(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탄성체(40)는, 상기 힘점에서 가해진 해제력이 상기 연결엔드(16) 및 니플엔드(26)를 통해 상기 작용점에 전달되게 한 이후, 그 힘점에서 상기 해제력이 제거된 경우 그 연결엔드(16)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 번 사용한 본 실시예의 재사용시 그 연결엔드(16)와 니플엔드(26) 간의 결합위치 설정이 용이하고, 오랫동안 사용에 의해 느슨해진 케이블의 장력에 탄성력을 가함에 따라, 제품의 반복적인 사용을 원활하게 이룰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제1케이블 유닛 12:제1아우터
12a:제1본체부 12b:제1캡부
14:제1인너 16:연결엔드
16a:홈부 18:록킹부재
18a:걸림리브 20:제2케이블 유닛
22:제2아우터 22a:제2본체부
22b:제2캡부 24:제2인너
26:니플엔드 28:커버부재
28a:외주면 30:수동 조작 장치
40:탄성체

Claims (3)

  1. 자동차 파킹 상태를 비상 해제시키기 위하여 힘점과 작용점 사이를 동력적으로 연결시키는 한 쌍의 케이블 유닛의 커넥팅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케이블 유닛들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일방향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아우터와, 상기 제1아우터 내부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다른 하나의 케이블 유닛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엔드가 마련되어 있는 제1인너와, 상기 다른 하나의 케이블 유닛을 록킹시키는 록킹위치와 그 케이블 유닛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아우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제1케이블 유닛; 및
    제2아우터와, 상기 제2아우터 내부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케이블 유닛의 연결엔드와 선택적으로 결속되는 니플엔드를 구비하는 제2인너와, 상기 제2아우터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그 제2아우터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니플엔드와 연결엔드 간의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아우터에 결속되고, 그 결속 상태에서 상기 제1케이블 유닛의 록킹부재에 의해 록킹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제2케이블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상태 해제용 커넥팅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블 유닛의 제1아우터는, 상기 제1인너를 상대이동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제1본체부와, 상기 제1인너의 연결엔드와 인접한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제1본체부에 결합되되 그 연결엔드가 노출되게 하고, 상기 록킹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케이블 유닛의 제2아우터는, 상기 제2인너를 상대이동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제2본체부와, 상기 제2인너의 니플엔드와 인접한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제2본체부에 결합되되 그 니플엔드가 노출되게 하고, 상기 커버부재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케이블 유닛의 커버부재는, 상기 제1캡부에 접근된 상태에서 제1캡부의 마주하는 선단 측을 끼워맞춤 방식으로 수용시킬 수 있게 하고, 가장 큰 외경을 가짐으로써 다른 외주면과 단차를 형성시키는 외주면을 가지는 끼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해제위치에서 상기 커버부재의 제1캡부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여 그 커버부재와 제1캡부 간의 결속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록킹위치에서 상기 커버부재의 임의탈거가 방지되도록 상기 끼움부의 외주면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부는, 탄성변형에 의해 상호 접근 및 이격되는 것으로, 상기 커버부재의 외주면에 접촉되면서 상호 이격되고 상기 커버부재와의 결속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탄성복원됨으로써 상기 커버부재의 임의탈거를 방지되게 하는 한 쌍의 걸림리브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상태 해제용 커넥팅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캡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힘점에서 가해진 해제력이 상기 연결엔드 및 니플엔드를 통해 상기 작용점에 전달되게 한 이후, 그 힘점에서 상기 해제력이 제거된 경우 그 연결엔드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엔드를 탄성 가압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킹 상태 해제용 커넥팅 어셈블리.
KR1020170152248A 2017-11-15 2017-11-15 파킹 상태 해제용 커넥팅 어셈블리 KR101947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248A KR101947514B1 (ko) 2017-11-15 2017-11-15 파킹 상태 해제용 커넥팅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248A KR101947514B1 (ko) 2017-11-15 2017-11-15 파킹 상태 해제용 커넥팅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514B1 true KR101947514B1 (ko) 2019-02-13

Family

ID=65366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248A KR101947514B1 (ko) 2017-11-15 2017-11-15 파킹 상태 해제용 커넥팅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5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7235A (ja) 2001-03-01 2002-09-11 Tokai Rika Co Ltd パーキングロック解除装置
JP2003148609A (ja) 2001-11-15 2003-05-21 Kia Motors Corp 自動変速車両用トランスミッションギヤシフトケーブル
KR101075191B1 (ko) 2010-05-28 2011-10-19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KR101383151B1 (ko) 2013-04-11 2014-04-08 경창산업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주차모드 수동 해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7235A (ja) 2001-03-01 2002-09-11 Tokai Rika Co Ltd パーキングロック解除装置
JP2003148609A (ja) 2001-11-15 2003-05-21 Kia Motors Corp 自動変速車両用トランスミッションギヤシフトケーブル
KR101075191B1 (ko) 2010-05-28 2011-10-19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KR101383151B1 (ko) 2013-04-11 2014-04-08 경창산업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주차모드 수동 해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1254603B2 (en) Connection structure of operation rod
KR101534930B1 (ko) 자동변속기 차량용 변속레버 조립체 및 이의 조립방법
EP2905146B1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irless tire and rim and fastening members thereof
CN104455073A (zh) 电磁离合器装置
US9285823B2 (en) Shifting structure
KR20170020772A (ko) 유압 실린더, 그 제조 방법 및 상기 실린더를 포함하는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
KR101947514B1 (ko) 파킹 상태 해제용 커넥팅 어셈블리
KR101723866B1 (ko) 자동차 변속상태 수동조작 장치
TWI569989B (zh) Easy to switch the left and right drive state ratchet hub
WO2012108120A1 (ja) クリップ及び結合構造
KR20200118649A (ko) 자동차의 충전용 도어의 비상해제 장치
KR101325495B1 (ko)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
EP3396224B1 (en) Lock mechanism for tubular body
JP2009090754A (ja) スイッチボディの取付構造
JP2017516042A (ja) 保持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保持装置に配置するためのピン
US8596428B2 (en) Equalizer device for parking brake
JP3194124U (ja)
JP2008068748A (ja) アシストグリップ
KR100628625B1 (ko) 자동변속차량의 수동모드 겸용 노브의 스냅스위치 구조
US20190219096A1 (en) Ball joint device
KR20160064648A (ko) 착탈식 요크 부시를 갖춘 푸시 로드 조립체
KR100506606B1 (ko) 회전운동 제어장치
JP5725564B2 (ja) 連結継手及びセグメント
WO2023189396A1 (ja) 電動ブレーキ装置
CN112874625B (zh) 车辆转向系统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