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494B1 - 광섬유 커넥터 - Google Patents

광섬유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494B1
KR101947494B1 KR1020147033698A KR20147033698A KR101947494B1 KR 101947494 B1 KR101947494 B1 KR 101947494B1 KR 1020147033698 A KR1020147033698 A KR 1020147033698A KR 20147033698 A KR20147033698 A KR 20147033698A KR 101947494 B1 KR101947494 B1 KR 101947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ackbone
cable connector
optical fib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3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0769A (ko
Inventor
유리 엠. 갈레고스
필립 제이. 어윈
제리 에이. 윌트저
그레고리 엘. 쿠펠
Original Assignee
팬듀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팬듀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팬듀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10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8Protection from over-extension or over-compre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6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haracterised by form or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75Protection from bending or twis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8Tools, e.g. handheld; Tuning wrenches; Jigs used with connectors, e.g. for extracting, removing or inserting in a panel, for engaging or coupling conne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mponents within the connector, for applying clips to hold two connectors together or for crimp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섬유 커넥터 및 광섬유 커넥터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광섬유 커넥터는 커넥터가 리셉터클과 짝 연결되는 동안 광섬유 위에 가해지는 응력을 줄이게끔 도움을 주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커넥터는 폴리머 코팅 광섬유 상에서 끝을 이룬다. 본 발명의 그 외의 다른 실시예들은 광섬유 커넥터가 섬유 상에서 끝을 이루는 과정을 단순화하고 이에 상응하는 리셉터클로부터 광섬유 커넥터를 결합해제하는 과정을 단순화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커넥터는 페룰 홀더, 백본, 상기 백본과 페룰 홀더 사이에 있는 스프링, 상기 백본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 마이크로-튜브, 상기 백본 위에 배열된 크림프 슬리브,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광섬유 커넥터{FIBER OPTIC CONNECTOR}
통신 산업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광섬유의 인기는 시간이 흐르면서 꾸준히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고속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이용하고 전자기 간섭을 방지하는 기능은 광섬유 통신을 특정 상황에서 특히 바람직하게 만든다. 그 밖의 유선 네트워크와 비슷하게, 광섬유 네트워크는 그 사이에서 광신호가 흐를 수 있게 하는 서로 짝을 이룬 플러그 및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하지만, 플러그 및 리셉터클 사이의 연결성 구현이 상대적으로 쉬운 다수의 구리선 네트워크와는 다르게, 광섬유 네트워크는 섬유 케이블과 광 센싱 또는 광 발산 장치 간의 또는 섬유 케이블의 결합 섹션들 사이의 정확한 이음 지점들을 필요로 한다. 게다가, 특정 종류의 섬유는 플러그 및 리셉터클의 짝 연결(mating) 동안 견뎌내야 하는 응력 하에 배열되는 경우 쉽게 파손되거나 균열이 형성된다. 이러한 문제 및 이와 비슷한 문제점들은 사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점점 더 증가하며 설치자는 주파수가 매우 큰 광섬유 케이블을 연결하고 연결해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따라서, 개선된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광섬유 커넥터 및 광섬유 커넥터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커넥터와 리셉터클을 짝 연결하는 동안 광섬유에 가해지는 응력을 줄이게끔 도움을 주도록 설계된 광섬유 커넥터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EIA/TIA-604-10에서 FOCIS 10(광섬유 커넥터 상호짝연결 표준)로 표준화된 LC 스타일의 광섬유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폴리머 코팅 섬유(PCF)(또한, 하드 클래드 실리카(HCS) 섬유로 알려져 있음) 끝단에 장착되는(terminate)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PCF(예를 들어, 플라스틱 광섬유)와는 상이한 섬유 끝단에 장착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페룰 홀더, 백본, 상기 백본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페룰 홀더의 적어도 일부분 사이에 배열된 스프링, 상기 백본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 마이크로-튜브, 립을 가진 크림프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크림프 슬리브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백본 위에 배열되는 광섬유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커넥터는 내부에 공동(cavity)을 가진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페룰 홀더는 제1 하우징의 공동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공동과 상부 섹션을 포함하며, 백본은 제2 하우징의 공동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2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배열되고, 페룰 홀더와 백본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에 대해 일체형의 가로방향 움직임(united lateral movement)을 가진다.
본 발명의 상기 특징, 형태 및 이점들과 그 밖의 특징, 형태 및 이점들은 밑에 기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 그리고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폴리머 코팅 광섬유의 한 예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커넥터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2의 광섬유 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등축도이다.
도 3b는 리셉터클 내에 장착된 도 2의 광섬유 커넥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광섬유 커넥터와 함께 사용되는 것과 같은 제2 하우징의 등축도이다.
도 5는 도 2의 조립된 광섬유 커넥터를 도시한 등축도이다.
도 6은 도 2의 광섬유 커넥터와 함께 사용되는 것과 같은 제1 하우징, 백본, 및 마이크로-튜브를 도시한 등축도이다.
도 7은 도 2의 광섬유 커넥터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등축도이다.
도 8은 도 2의 광섬유 커넥터의 조립 동안 크림프 슬리브를 고정시키는 방법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크림핑 이전과 이후의 도 2의 광섬유 커넥터의 크림프 영역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커넥터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광섬유 커넥터와 함께 사용되는 것과 같은 제2 하우징을 도시한 등축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조립된 광섬유 커넥터를 도시한 등축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커넥터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광섬유 커넥터와 함께 사용되는 것과 같은 제2 하우징을 도시한 등축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조립된 광섬유 커넥터를 도시한 등축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림프 영역을 상세하게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커넥터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광섬유 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등축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광섬유 커넥터와 함께 사용되는 것과 같은 제2 하우징을 도시한 등축도이다.
도 20은 도 17의 조립된 광섬유 커넥터를 도시한 등축도이다.
도 1을 보면, 폴리머 코팅 섬유(PCF)가, 통상, 약 50μm 또는 약 62.5μm의 직경을 가진 실리카 코어(100); 실리카 코어(100)를 덮는 실리카 클래딩(110), 여기서, 실리카 클래딩(110)은 약 200μm의 외측 직경을 가지며; 실리카 클래딩(110)을 덮는 플루오르화 폴리머 코팅(120), 여기서, 플루오르화 폴리머 코팅(120)은 약 230μm의 외측 직경을 가지고; 및 플루오르화 폴리머 코팅(120)을 덮는 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TFE) 버퍼(130)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ETFE 버퍼(130)는 약 500μm의 외측 직경을 가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PCF는, 약 200μm의 직경을 가진 실리카 코어(100); 실리카 코어(100)를 덮는 플루오르화 폴리머 코팅(120), 여기서, 플루오르화 폴리머 코팅(120)은 약 230μm의 외측 직경을 가지고; 및 플루오르화 폴리머 코팅(120)을 덮는 ETFE 버퍼(130)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ETFE 버퍼(130)는 약 500μm의 외측 직경을 가진다. 실리카 코어(100)는 등급형 인덱스(graded index) 또는 스텝형 인덱스(stepped index)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이, 용어 "섬유(fiber)"는 코어, 클래딩, 및 코팅 중 임의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가 도 2-9에 예시된다. 도 2 및 3a를 보면, 커넥터(1)는 제1 하우징(2), 페룰(3), 홀더 플랜지(4b)를 가진 페룰 홀더(4), 스프링(5), 백본(6), 마이크로-튜브(7), 립(8a)을 가진 크림프 슬리브(8), 제2 하우징(14), 및 부트(9)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2)은 리테이닝 벽(2a), 캐치(들)(2d), 커넥터 래치(2b), 탭(2c), 및 램프(2f)를 포함한다. 제2 하우징(14)은 윈도(들)(14b), 보스(14c), 및 팔로어(14a)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된 실시예에서, 커넥터(1)는 푸시-풀 그립 커넥터로 간주될 수도 있다.
커넥터(1)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보면, 스프링(5)은 제1 하우징(2)의 리테이닝 벽(2a)과 페룰 홀더 플랜지(4b) 사이에서 제1 하우징(2)의 내부 공동 내에 배열된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페룰 홀더(4)와 페룰(3)은 스프링-장착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페룰(3)이 페룰 홀더(4) 내에 압력-끼워맞춤(press-fit)되기 때문이다. 페룰 홀더(4)도 백본(6) 내에 압력-끼워맞춤된다. 그 외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페룰(3)을 페룰 홀더(4)에 고정시키거나 페룰 홀더(4)를 백본(6)에 고정시키기 위한 그 밖의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백본(6)의 적어도 일부분이 리테이닝 벽(2a)의 한 측면과 접하며 페룰-홀더 플랜지(4b)의 적어도 일부분이 리테이닝 벽(2a)의 맞은편 측면으로부터 스프링(5)에 의해 밀려지기(repelled) 때문에, 페룰 홀더(4)는 제1 하우징(2) 내에 유지된다(retained). 백본(6)은 마이크로-튜브(7)를 고정한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튜브는 전성 금속(malleable metal), 가령, 알루미늄으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그 외의 다른 실시예들은 섬유에 현저한 손상을 입히지 않고도 섬유(10a)의 충분한 마찰 보유력(frictional retention)을 제공할 수 있는 그 외의 다른 전성 재료(들)로 제작된 마이크로-튜브(7)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전성 재료(들)의 예에는 납과 주석이 포함되는데, 이들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조립된 커넥터(1)가 작동 위치로 래칭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 하우징(2)은, 도 3b에 예시된 것과 같이, 밀려서 트랜시버/어댑터의 리셉터클(17) 내로 전진된다. 이는 부트(9) 및/또는 제2 하우징(14) 위에서 (Y-축을 따라 리셉터클(17)을 향해) 전진 푸싱 힘을 제공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 전진 푸싱 힘은 제2 하우징(14)의 내측면(14d)(도 4 참조)이 제1 하우징(2)의 뒷면(2g)(도 3a 및 6 참조)과 접촉하게끔 하여, 제1 하우징(2)이 푸싱 힘과 대체로 동일한 방향으로 밀려질 수 있도록 한다. 커넥터가 리셉터클 내에 장착되고 나면, 제1 하우징(2)은 트랜시버/어댑터의 로크(17a)에 대해 래칭되는 래치-후크(들)(2h)에 의해 제자리에 보유된다. 또한, 이에 따라, 커넥터 래치(2b)의 말단부를 제2 하우징(14)의 상부 부분에 있는 구멍을 통해 돌출되게 함으로써, 제2 하우징(14)이 제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그 외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2 하우징(14)은 그 외의 다른 공지된 수단 또는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수단에 의해 제 자리에 보유될 수도 있다. 커넥터(1)를 작동 위치로부터 결합해제시키기(disengaged) 위하여, 제2 하우징(14) 및/또는 부트(9)는 대체로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끌어 당겨지며(도 2의 화살표(A) 참조), 이에 따라, 팔로어(14a)가 램프(2f)와 접촉하여 커넥터 래치(2b)를 대체로 하부 방향으로(도 2의 화살표(B) 참조) 편향시킬 때까지 제2 하우징(14)과 제1 하우징(2) 사이에 상대 운동이 수행된다. 제2 하우징(14)은 윈도(들)(14b)이 제1 하우징(2) 위에 위치된 캐치(들)(2d)을 포획하게 함으로써 제1 하우징(2)과 접촉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제2 하우징(14)은 보스(14c)를 포함한다. 보스(14c)는 부트(9)가 그 위에서 끼워맞춤되게 하여 제2 하우징 및 부트가 둘 다 단일 유닛으로서 이동될 수 있게 한다(도 4 참조).
위에 기술된 실시예에서, 하우징(2)은 탭(2c)을 가진 커넥터 래치(2b)를 포함하는데(도 2 참조), 이로 인해 리셉터클로부터 연결해제되기 위해 래치가 눌려질 수 있는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커넥터 래치(2b)가 응력 한계(stress limit)를 초과하여 편향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의 커넥터를 사용하는 강도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PCF 케이블을 말단처리(terminate)하기 위해, 부트(9), 제2 하우징(14), 및 크림프 슬리브는 PCF 케이블의 탈피되거나 혹은 탈피되어야 하는 부분을 지나 미끄러진다(slid). 그 뒤, 탈피된 섬유(10a)는 마이크로-튜브(7), 백본(6), 페룰 홀더(4), 및 페룰(3)을 통해 제1 하우징(2) 안으로 삽입된다(도 6 및 7 참조). 탈피된 섬유(10a)는 섬유 케이블(10)의 탈피되지 않은 부분이 백본(6)과 근접하게 위치되거나 백본과 접할 때까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뒤, 크림프 슬리브(8)는 섬유 케이블(10)의 탈피되지 않은 부분과 백본(6) 위에 위치되며, 크림핑 공구(16)를 통해 크림핑되어, 공정 동안 제1 하우징(2)을 섬유 케이블(10)에 고정시킨다(도 8 참조). 한 실시예에서, 크림핑 공구(16)의 조(jaw)는 크림프 슬리브(8)를 크림핑하도록 사용될 때 6각형 크림프를 형성하는 반-6각형 공동을 포함한다. 이는, 6각형 크림프가 예를 들어 2-지점 상부 및 바닥 크림프와 비교했을 때 백본(6)의 주변 위에서 보다 균일한 크림핑 힘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릿(6a)은 크림핑 동안 백본(6)이 수축될 수 있게 하여 수축된 위치에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수축되면 마이크로-튜브(7)가 접혀져서(collapse) 섬유(10a) 위에 클램핑된다. 섬유의 플루오르화 폴리머 코팅이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튜브(7)의 알루미늄보다 더 단단하기 때문에, 섬유(10a)는 파열에 저항된다. 다시, 도 2를 보면, 크림프 슬리브(8)가 크림핑될 때, 립(8a)은 수축되어 자체적으로 섬유 케이블(10)의 재킷(10b)에 고정될 것이다(anchor). 이는 섬유(10a)에 현저한 변형(strain)이 가해지지 않고도 섬유 케이블(10)에서 커넥터(1)로 (또는 그 반대로) 힘을 전달하는 것을 보조한다. 마지막으로, 제2 하우징(14)과 부트(9)는 크림프 슬리브(8) 위에 장착되어, 제2 하우징(14)이 제1 하우징(2)에 스냅고정되게 한다. 부트(9)의 길이에 따라, 섬유 케이블(10)의 굽힘 반경을 다양한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커넥터가 섬유 케이블(10)과 탈피된 섬유(10a) 위에 장착되고 나면, 커넥터의 페룰(3)로부터 연장되는 초과 섬유(excess fiber)는 분리될 수 있다(cleaved). 섬유(10a)는 섬유에 인장력을 제공하고 스코어링(scoring) 함으로써 페룰(3)의 단부면에 가까이 근접한 곳에서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커넥터(1)의 디자인은 섬유(10a)에 과도한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커넥터(1)가 리셉터클과 짝 연결될 때(mated), 페룰(3)의 끝단(tip)은, 일반적으로, 광 센싱 또는 광 발산 장치 및 2개의 섬유 케이블 또는 하나의 섬유 케이블의 서로 인접한 섹션들을 형성하는 페룰-수용-표면과 접한다. 상기 인접 섹션들 사이가 정밀하게 이어질 수(junction)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섬유(10a)의 분리된 부분과 페룰(3)의 끝단에 대해 통상 일정 압력이 제공된다. 상기 압력은 섬유(10a)의 경로를 따라 응력으로 변환될 수 있어서, 잠재적으로 균열이 형성되거나 및/또는 뒤틀릴 수 있게 되어, 섬유 성능이 감소되거나 섬유가 파손된다. 지금 기술된 실시예의 커넥터에서, 페룰(3)이 다수의 견고한 구성요소(특히, 페룰 홀더(4), 백본(6), 및 크림프 슬리브(8))에 의해 케이블(10)의 케이블 재킷(10b)에 연결되기 때문에, 페룰(3)의 끝단에 가해지는 압력은 보통 케이블 재킷(10b)으로 전달된다. 게다가, 마이크로-튜브(7)는 커넥터(1)의 나머지 내부 구성요소들과 섬유(10a)의 움직임(movement)과 동기화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섬유(10a)에 직접적인 압력과 응력이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게다가, 커넥터(1)의 내부 구성요소들이 내부 하우징(2 및 14), 및 부트(9)에 대해 통상 일정 크기의 일체형의 가로방향 움직임(united lateral movement)을 가지기 때문에, 커넥터(1)와 이에 상응하는 리셉터클과 짝 연결되는 동안 부트(9) 또는 제2 하우징(14)에 가해지는 전진 푸싱 힘은 내부 구성요소들로 완전히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섬유(10a)에 과도하게 압력이 가해지고 변형이 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추가로 도움을 줄 수 있다.
뒤틀림 및/또는 균열이 형성될 수 있게 하는 과도한 응력을 방지하는 것은 커넥터(1)가 PCF와 함께 사용되는 실시예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PCF는 일반적으로 모든-실리카 섬유보다 더 경질이며, 응력 하에 놓일 때에는 보다 더 쉽게 파손될 수 있다.
도 10-12는 본 발명의 커넥터(2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2 하우징(14)의 푸시-풀 그립은 스내그-방지 그립(13)으로 교체된다. 부트(9)는 부트를 보스(13c) 위에 밂으로써 제2 하우징(13)에 결부된다. 이는 제2 하우징(13) 및 제1 하우징(2)과 함께 부트(9)를 이동시켜, 잠재적으로, 제2 하우징(13) 또는 부트(9) 위에서 밂으로써 장착하기 용이하게 하는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3)은 제2 하우징(13)의 윈도(들)(13b) 내에 끼워맞춤되는 캐치(들)(2d)과 함께 제1 하우징(2)에 고정된다. 제2 하우징(13)의 스내그-방지 그립은 커넥터 래치(2b)가 장애물, 가령, 커넥터 래치(2b) 위와 레버(13a) 위에 있는 케이블들을 편향시킴으로써(deflecting) 취급 동안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넥터(20)는 리셉터클 내에서 작동 위치로 래칭될 수 있으며 앞에서 기술된 실시예와 비슷한 방식으로 상기 작동 위치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다. 하지만, 커넥터(20)가 결합해제될 때, 레버(13a)는 커넥터 래치(2b)의 패드(2e) 위에서 하부 방향으로 밀려질 때까지 가압된다(depressed)(도 10 및 12에서 화살표(C) 참조).
도 13-15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커넥터(30)는 푸시-풀 그립 또는 스내그-방지 그립이 아니라 제2 하우징(15)에 대한 슬라이더(slider)를 사용한다. 제2 하우징(15)은 보스(15c)를 사용하여 부트(9)를 고정한다. 제2 하우징(15)은 제2 하우징(15)의 윈도(들)(15b) 내로 끼워맞춤되는 캐치(들)(2d)에 의해 제1 하우징(2)에 고정된다. 커넥터(30)는 리셉터클 내에서 작동 위치로 래칭될 수 있으며 앞에서 기술된 실시예와 비슷한 방식으로 상기 작동 위치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다. 커넥터(30)를 결합해제하기 위하여, 커넥터 래치(2b)의 패드(2e)는 가압된다(도 13의 화살표(D) 참조).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들은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아라미드사(10c)로 구성된 PCF 케이블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아라미드사(10c)는 백본(6)과 크림프 슬리브(8) 사이에서 연장되며, 앞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크림프 슬리브(8)에 의해 고정된다. 아라미드사(10c)를 커넥터의 백본(6)에 고정시키면, 섬유(10a)에 현저한 변형을 가하지 않고도 섬유 케이블(10) 위에 놓인 힘을 커넥터(1)로 전달하기 위한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또는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17-20에 예시된다. 도 17 및 18을 보면, 커넥터(40)는 제1 하우징(2), 페룰(3), 홀더 플랜지(4b)를 가진 페룰 홀더(4), 스프링(5), 백본(6), 마이크로-튜브(7), 가이딩 특징부(18a)를 가진 크림프 슬리브(18), 제2 하우징(19), 및 부트(9)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2)은 리테이닝 벽(2a), 캐치(들)(2d), 커넥터 래치(2b), 및 램프(2f)를 포함한다. 제2 하우징(19)은 윈도(들)(19b), 리테이닝 돌출부(19d)가 있는 보스(19c), 및 팔로어(19a)를 포함한다. 추후에 설명되는 것과 같이, 상기 기술된 실시예에서, 커넥터(40)는 푸시-풀 그립 커넥터 또는 수동식 결합해제 커넥터로 간주될 수도 있다.
페룰(3), 페룰 홀더(4), 백본(6), 및 마이크로-튜브(7)는 고정되고 앞에서 기술된 도 2의 실시예와 비슷한 방식으로 제1 하우징(2) 내에서 전방으로 편향된다(biased forward). 하지만, 상기 실시예에서, 크림프 슬리브(18)는 크림프 슬리브(18) 내에서 내부 방향으로 위치된 가이딩 특징부(18a)를 포함한다. 가이딩 특징부(18a)는 가이딩 특징부의 중앙에 구멍을 가진 원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크림프 슬리브(18)가 백본(6) 위에 위치될 때, 가이딩 특징부(18a)는 커넥터(40) 조립 동안 상기 탈피된 섬유(10a)를 마이크로-튜브(7) 내로 안내하도록 도움을 준다. 이렇게 안내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가이딩 특징부(18a)는 마이크로-튜브(7)에 위치되거나 속은 마이크로-튜브 가까이 위치될 수 있다.
가이딩 특징부(18a)가 크림프 슬리브(18) 내에 위치되는데 관한 하나 이상의 잠재적인 이점은, 광섬유 케이블(10)과 커넥터(40)의 최종 조립 동안, 크림프 슬리브(18)는 백본 상에 유지되므로, 최종 조립 전에 분리되어야 하는 구성요소들의 개수가 감소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커넥터(40)를 제작할 때, 크림프 슬리브(18)는 백본(6) 위에서 (비-크림핑 상태로) 마찰력에 의해 위치 유지될 수 있어서, 크림프 슬리브(18)가 제1 하우징(2), 페룰(3), 페룰 홀더(4), 스프링(5), 백본(6), 및 마이크로-튜브(7)를 포함하는 커넥터(40)의 이미 조립된 전방 부분에 상대적으로 고정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형상은, 최종 사용자가 크림프 슬리브(18)를 제작자-장착 위치에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잠재적으로 조립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게 한다.
가이딩 특징부(18a)가 크림프 슬리브(18) 내에 위치되는데 관한 또 다른 잠재적인 이점은, 탈피된 섬유(10a)가 마이크로-튜브(7) 내로 보다 정밀하게 안내된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얇은 섬유(10a)가 마이크로-튜브(7)의 작은 구멍 안으로 나사고정되어(threading) 장착 시간이 늘어나거나 및/또는 섬유(10a)에 발생되는 손상에 대한 어려움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8을 보면, 크림프 슬리브(18)는 크림프 슬리브의 외측 표면 위에 식별 마크(18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 마크는 가이딩 특징부(18a)의 내측 위치를 식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커넥터(40)의 제작 동안 참조할 수 있다.
크림프 슬리브(18)는 앞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의 립(8a)(도 2 참조)을 제거할 수 있다. 케이블(10) 내에 고정하는 대신, 크림프 슬리브(18)의 후방 부분(18c)은 재킷(10b)의 한 부분에 수축력(compressive force)을 제공할 수 있는데, 여기서, 수축력의 크기는 크림프 슬리브(18)에 대해 광섬유 케이블(10)의 마찰 구속력(frictional restraint)을 제공하여 최종 사용을 위해 케이블(10)을 커넥터(40)에 고정하기에 충분하다.
크림프 슬리브(18)가 백본(6) 위에 고정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크림프 슬리브(18)의 크림핑은 도 6-7에서 기술되고 도시된 크림핑과 비슷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실시예의 크림프 슬리브(18)가 가이딩 특징부(18a)를 포함하기 때문에, 탈피된 섬유(10a)는 섬유 케이블(10)의 탈피되지 않은 부분이 가이딩 특징부(18a)에 근접하게 위치되거나 또는 가이딩 특징부에 접할 때까지 제1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실시예에서, 가이딩 특징부(18)는 충분한 전성을 가진 재료로 제작되어, 크림핑 시에, 가이딩 특징부(18a)의 원뿔형 프로파일 및 크림프 슬리브(18)의 수축에 의해, 섬유(10a)가 현저하게 손상되지 않고도 가이딩 특징부(18)가 섬유(10a) 주위에서 변형될 수 있게 된다.
한 실시예에서, 크림프 슬리브(18)는 크림프 슬리브의 길이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크림핑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크림프 슬리브(18)는 케이블 버퍼(10b)와 백본(6) 위에 배열된 섹션 위에서만 크림핑된다(도 17은 크림프 슬리브(18)가 비-크림핑된 상태에 있는 커넥터(40)를 예시하는 것을 유의하라).
상기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2)은 제2 하우징(19) 내의 상부 개구를 통해 돌출되는 돌출형 결합해제 탭(2g)을 포함한다. 결합해제 탭(2g)은 최종 사용자가 결합해제 탭(2g)을 하부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커넥터 래치(2b)가 상응하는 리셉터클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을 만큼 제2 하우징(19) 위로 충분히 높이 돌출되어야 한다. 하지만, 상기 실시예의 커넥터(40)는 푸시-다운 타입의 결합해제에만 제한되지 않고 제2 하우징(19) 및/또는 부트(9) 위에서 끌어당김으로써 작동 위치로부터 결합해제될 수 있다. 이것은 제2 하우징(19)을 대체로 후방 방향(도 17의 화살표(A) 방향 참조)으로 끌어당김으로써 구현될 수 있는데, 그에 따라 팔로어(19a)가 램프(2f)와 접촉하여, 커넥터 래치(2b)가 대체로 하부 방향(도 17의 화살표(B) 방향 참조)으로 편향될 때까지 제2 하우징(19)과 제1 하우징(2) 사이에는 상대 운동이 구현된다. 제2 하우징(19)은 윈도(들)(19b)이 제1 하우징(2) 위에 위치된 캐치(들)(2d)을 포획하게 함으로써 제1 하우징(2)과 접촉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기술된 실시예의 제2 하우징(19)은 또한 리테이닝 돌출부(19d)를 가진 보스(19c)를 포함한다. 보스(19c)는 부트(9)가 그 위에서 타이트하게 끼워맞춤되게 하여 제2 하우징 및 부트가 둘 다 단일 유닛으로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리테이닝 돌출부(19d)는 부트(9)를 부트(9)의 내측 벽들 내에 고정시킴으로써 보스(19c)에 고정시키는데 보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기술된 실시예의 제2 하우징(19)은 또한 커넥터(40)를 듀플렉스 클립(도시되지 않음)에 결부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는 리세스형 부분(19e)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들)의 측면에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실시예(들)은 비-제한적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대안예, 변경예, 및 균등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기 및 방법들을 구현하는 다수의 대안의 방식들이 있다는 것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하기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모든 대안예, 변경예, 및 균등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1)

  1.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로서:
    페룰 홀더;
    백본;
    상기 백본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페룰 홀더의 적어도 일부분 사이에 배열된 스프링;
    상기 백본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 마이크로-튜브;
    립을 가진 크림프 슬리브로서, 상기 크림프 슬리브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백본 위에 배열되는 상기 크림프 슬리브;
    내부에 제1 하우징 공동을 가진 제1 하우징으로서,
    상기 페룰 홀더는 제1 하우징 공동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상기 제1 하우징; 및
    내부에 제2 하우징 공동을 가진 제2 하우징으로서, 상부 섹션을 추가로 포함하는 상기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백본은 상기 제2 하우징 공동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분 위에 배열되고; 및
    상기 페룰 홀더와 백본은 상기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에 대해 일체형의 가로방향 움직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 홀더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 페룰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은 상기 페룰 홀더 내에 압력-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섬유를 포함하는 광섬유 케이블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섬유는 상기 마이크로-튜브, 상기 백본, 상기 페룰 홀더, 및 상기 페룰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폴리머 코팅 광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부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 홀더는 상기 백본 내에 압력-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튜브는 전성 재료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성 재료는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 홀더는 홀더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은 리테이닝 벽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닝 벽은 상기 백본과 상기 홀더 플랜지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홀더 플랜지와 상기 리테이닝 벽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립은 광섬유 케이블의 재킷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 홀더, 상기 백본, 상기 크림프 슬리브, 및 상기 광섬유 케이블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에 대해 일체형의 가로방향 움직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케이블은 아라미드를 포함하며, 상기 아라미드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백본의 적어도 일부분과 크림프 슬리브의 적어도 일부분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상기 상부 섹션은 푸시-풀 그립 형태, 스내그-방지 그립 형태, 및 슬라이더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해 가로방향 움직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본은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캐치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치를 수용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윈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윈도에 의해 포획되게 함으로써 접촉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림프 슬리브는 6각형 크림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19.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로서:
    제1 외측 표면과 제1 내측 표면을 가진 제1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1 내측 표면은 제1 공동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내측 표면은 리테이닝 벽을 추가로 가지는 상기 제1 하우징;
    제2 외측 표면과 제2 내측 표면을 가진 제2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2 내측 표면은 제2 공동을 형성하는 상기 제2 하우징;
    페룰 홀더 플랜지를 가진 페룰 홀더로서, 상기 제1 공동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상기 페룰 홀더;
    상기 리테이닝 벽과 상기 페룰 홀더 플랜지 사이에 배열된 스프링;
    상기 페룰 홀더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 페룰;
    상기 제1 공동과 상기 제2 공동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 백본으로서, 압력을 받을 때 상기 백본의 일부분 이상이 변형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가진 상기 백본;
    상기 백본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 마이크로-튜브; 및
    상기 백본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 크림프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크림프 슬리브는 광섬유 케이블의 섬유를 상기 마이크로-튜브 내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딩 특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 부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부트를 상기 제2 하우징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닝 돌출 어댑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은 상기 페룰 홀더 내에 압력-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 표면은 커넥터 래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래치는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팔로어를 포함하는데, 상기 팔로어는 상기 램프를 통해 상기 커넥터 래치를 편향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25. 제19항에 있어서, 섬유를 포함하는 광섬유 케이블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섬유는 상기 마이크로-튜브, 상기 백본, 상기 페룰 홀더, 및 상기 페룰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 홀더, 상기 백본, 상기 크림프 슬리브, 및 상기 광섬유 케이블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에 대해 일체형의 가로방향 움직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특징부는 원뿔 형태의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원뿔 형태의 구조물은 중앙에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 특징부는 상기 크림프 슬리브가 크림핑될 때 상기 광섬유 케이블의 섬유 주위에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29.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 홀더는 상기 백본 내에 압력-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3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튜브는 전성 재료로 제작되며, 상기 전성 재료는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3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캐치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치를 수용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윈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캐치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윈도에 의해 포획되게 함으로써 접촉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케이블 커넥터.
KR1020147033698A 2012-05-15 2013-05-14 광섬유 커넥터 KR1019474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47292P 2012-05-15 2012-05-15
US61/647,292 2012-05-15
US13/892,755 2013-05-13
US13/892,755 US8899845B2 (en) 2012-05-15 2013-05-13 Fiber optic connector
PCT/US2013/040861 WO2013173273A1 (en) 2012-05-15 2013-05-14 Fiber optic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769A KR20150010769A (ko) 2015-01-28
KR101947494B1 true KR101947494B1 (ko) 2019-02-13

Family

ID=48808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698A KR101947494B1 (ko) 2012-05-15 2013-05-14 광섬유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99845B2 (ko)
EP (1) EP2850476B1 (ko)
JP (1) JP6028091B2 (ko)
KR (1) KR101947494B1 (ko)
CN (1) CN104395800B (ko)
WO (1) WO20131732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52857B1 (en) * 2012-05-22 2020-10-21 CommScope Technologies LLC Ruggedized fiber optic connector
CN103576246B (zh) * 2012-08-03 2015-06-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纤连接器
US11300730B2 (en) * 2013-07-30 2022-04-12 The Boeing Company Plastic and glass optical fiber bus network having plural line replaceable units transmitting to a mixing rod
US10564357B2 (en) * 2013-07-30 2020-02-18 The Boeing Company Plastic optical fiber bus network using tapered mixing rods
US10222557B2 (en) * 2014-09-29 2019-03-05 Us Conec, Ltd. Spring push with integral trigger
US9739955B2 (en) 2015-05-07 2017-08-22 Alliance Fiber Optic Products, Inc. Push-pull type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BR112018068243A2 (pt) 2016-03-10 2019-02-19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conectores de fibras óticas à base de virola com equilíbrio da retração da virola
US9778419B1 (en) 2016-06-23 2017-10-03 The Boeing Company Fiber optical system with fiber end face area relationships
KR101925965B1 (ko) 2016-07-14 2019-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및 이를 관리하는 관리 기기
US10725248B2 (en) * 2017-01-30 2020-07-28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Fiber optic receptacle with integrated device therein incorporating a behind-the-wall fiber optic receptacle
US10871619B2 (en) * 2017-01-30 2020-12-22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Cassette assembly for a plural of fiber optic receptacles
US10185100B2 (en) * 2017-01-30 2019-01-22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Modular connector and adapter assembly using a removable anchor device
TWM548279U (zh) * 2017-03-03 2017-09-01 光聖科技(寧波)有限公司 高密度光纖接頭
US9941631B1 (en) 2017-06-29 2018-04-10 Seikoh Giken Co., Ltd. Plug and cable with plug
US11409054B2 (en) * 2018-05-11 2022-08-09 Us Conec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uniboot fiber optic connectors
JP7084266B2 (ja) * 2018-09-20 2022-06-14 三和電気工業株式会社 Lc用ユニブーツプラグコネクタ
EP3887881A4 (en) * 2018-11-30 2022-09-07 Corning Optical Fiber Cable (Chengdu) Co., Ltd. FIBER OPTIC CABLE ASSEMBLIES AND FORMING METHOD THEREOF
CN112099153A (zh) * 2019-06-17 2020-12-18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连接器模组
CN110165483A (zh) * 2019-06-18 2019-08-23 浙江人和光伏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用连接器
US11409056B2 (en) * 2020-03-27 2022-08-09 Afl Ig Llc Optical fiber connectors and methods of connecting optical fibers
US11573381B2 (en) 2020-03-27 2023-02-07 Afl Telecommunications Llc Optical fiber connectors and methods of connecting optical fibe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0487A (ja) * 2002-03-14 2003-09-25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素線のチャッキング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光コネクタ
JP2008520005A (ja) * 2004-11-10 2008-06-12 コーニング ケーブル システム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現場取付け光ファイバ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0112A (ja) * 1983-03-02 1984-09-10 Fujitsu Ltd 光コネクタの光フアイバ固定構造
US5101463A (en) 1991-05-03 1992-03-3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ush-pull optical fiber connector
US6017153A (en) 1998-05-29 2000-01-25 Lucent Technologies, Inc. Optical fiber connector with auxiliary spring
US6630209B2 (en) * 1998-09-30 2003-10-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temperature range adjusted coated optical fibers
US6174190B1 (en) 1999-10-26 2001-01-16 Keith Frank Tharp Connector having a slide rail latch release
EP1128487B1 (de) 2000-02-21 2003-05-14 Reichle & De-Massari AG Codierbarer Knickschutz und Codierungsmittel
US6322386B1 (en) 2000-09-12 2001-11-27 The Jpm Company Connector boot with integral latch release
US6565262B2 (en) * 2000-12-14 2003-05-20 Corning Cable Systems Llc Trigger mechanism, optical cable connector including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an optical cable connector
US6550979B1 (en) 2001-10-19 2003-04-22 Corning Cable Systems Llc Floating connector subassembly and connector including same
US6604867B2 (en) 2001-10-23 2003-08-12 Panduit Corp. Fiber optic connector
US7063554B2 (en) 2003-01-09 2006-06-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dular connector anti-snag retrofit
US20060115219A1 (en) 2004-11-29 2006-06-01 Mudd Ronald L Optical fiber connector
JP2008524659A (ja) * 2004-12-20 2008-07-1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割出済光ファイバコネクタ
JP3996168B2 (ja) 2005-02-28 2007-10-2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コネクタ用ブーツ及びコネクタ組立体
US7329049B2 (en) * 2005-12-27 2008-02-12 Corning Cable Systems Llc Splice connector for verifying an acceptable splice termination
DE102006012762A1 (de) 2006-03-17 2007-09-27 Moeller Gmbh Steckverbinderanordnung für ein elektrisches oder optisches Kabel
JP2007279528A (ja) * 2006-04-10 2007-10-25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コネクタ及び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JP4832183B2 (ja) 2006-06-27 2011-12-07 富士通株式会社 モジュラープラグ
WO2009131993A1 (en) * 2008-04-21 2009-10-29 Adc Telecommunications, Inc. Hardened fiber optic connector with connector body joined to cylindrical cable by unitary housing
WO2009132168A2 (en) 2008-04-25 2009-10-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eld terminable lc format optical connector with splice element
US7510335B1 (en) 2008-06-09 2009-03-31 Hong Fu Jin Precision Industry (Shenzhen) Co., Ltd. Optical connector
US9195010B2 (en) * 2009-02-05 2015-11-2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Optical connector apparatus
JP5427445B2 (ja) * 2009-03-23 2014-02-26 株式会社フジクラ コネクタ付き光伝送体、光コネクタ、光コネクタの組立方法
US20100284656A1 (en) 2009-05-07 2010-11-11 Ofs Fitel, Llc Short profile optical connector
US8025514B1 (en) 2010-04-23 2011-09-27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Shroud to prevent manipulation of a release mechanism of a plug
US8038456B1 (en) 2010-04-23 2011-10-18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Tamper prevention system having a shroud to partially cover a release mechanism
JP2012013913A (ja) 2010-06-30 2012-01-19 Suncall Corp 光コネクタ
CN104246565B (zh) * 2012-02-20 2017-04-12 Adc电信公司 光纤连接器,光纤连接器和光缆组件,和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0487A (ja) * 2002-03-14 2003-09-25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素線のチャッキング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光コネクタ
JP2008520005A (ja) * 2004-11-10 2008-06-12 コーニング ケーブル システム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現場取付け光ファイバ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28091B2 (ja) 2016-11-16
US8899845B2 (en) 2014-12-02
US20140205245A1 (en) 2014-07-24
EP2850476B1 (en) 2019-07-10
WO2013173273A1 (en) 2013-11-21
CN104395800A (zh) 2015-03-04
KR20150010769A (ko) 2015-01-28
JP2015516600A (ja) 2015-06-11
EP2850476A1 (en) 2015-03-25
CN104395800B (zh)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494B1 (ko) 광섬유 커넥터
US10795095B2 (en) MPO optical fiber connector with a backpost having protrusions to align a crimp ring
US9971103B2 (en) Fiber optic connector with slider assembly for push-pull latching
KR101973354B1 (ko) 광섬유 정렬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광섬유 연결 시스템
RU2591232C2 (ru) Оптоволокон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US10371899B2 (en) Fiber optic connector
US9482826B2 (en) Connector body for making crimp-less fiber optic cable connections
US20120106897A1 (en) Fiber optic connector employing optical fiber guide member
JP5400155B2 (ja) 光コネクタおよび光コネクタ用フェルール
US11966088B2 (en) Optical fiber connectors
JP4191168B2 (ja) メカニカル接続型光コネクタ
US10071497B2 (en) Compressive wedge cleaving of optical fibers
US20210003788A1 (en) Fiber optic connector having a comrpessible body and complimentary receptacle along with methods of making
US20200264381A1 (en) Mechanical splice assembly for splicing opposing optical fibers within a fiber optic connector and method of performing the same
CN117043652A (zh) 可推式mpo连接器
CN112955797A (zh) 具有用于利用缆线护套将连接器从插座释放的夹式推/拉舌片的lc型连接器
US20230168441A1 (en) Unjacketed fiber optic cable assembly, and cable assembly including connector with travel limited ferrule
EP3206066B1 (en) Preconnectorized optical cable assembly
JP2008262245A (ja) 光コネクタ組立工具
CN111399132A (zh) Sc型蝶形引入缆连接器
CA3133649A1 (en) Fiber optic connectors with funnel-shaped boots and methods of insta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