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245B1 - 센싱장치 및 광학센싱모듈 - Google Patents

센싱장치 및 광학센싱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245B1
KR101947245B1 KR1020160183700A KR20160183700A KR101947245B1 KR 101947245 B1 KR101947245 B1 KR 101947245B1 KR 1020160183700 A KR1020160183700 A KR 1020160183700A KR 20160183700 A KR20160183700 A KR 20160183700A KR 101947245 B1 KR101947245 B1 KR 101947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opening
light source
sensing device
optical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0527A (ko
Inventor
잉-후이 청
Original Assignee
소닉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닉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소닉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80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8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f hand-held scan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propagating acoustic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95Testing the sensing arrangement, e.g. testing if a magnetic card reader, bar code reader, RFID interrogator or smart card reader functions proper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Image Input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Photo Coupler, Interrupter, Optical-To-Optical Conversion Device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Abstract

센싱장치에 있어서, 광학센싱모듈 및 부가기능모듈을 포함하고, 광학센싱모듈은 제1 베이스, 광원 및 광학센싱기를 포함하며, 제1 베이스는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광원은 제1 개구부에 배치되며, 광학센싱기는 제2 개구부에 배치되고, 제1 베이스의 외측에는 제1 고정구조가 구비되며; 부가기능모듈은 제2 베이스 및 기능성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제2 베이스는 제3 개구부 및 제2 고정구조를 구비하고, 기능성엘리먼트는 제3 개구부에 배치되며,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는 제1 고정구조 및 제2 고정구조에 의해 서로 고정되게 설치된다.

Description

센싱장치 및 광학센싱모듈{SENSING DEVICE AND OPTICAL SENSING MODULE}
본 개시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센싱장치 및 그 센싱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학식별기술에 사용되는 센싱장치 및 그 광학센싱모듈에 관한 것이다.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현재의 독해서적들은 도면과 음성이 종종 결합된 것으로, 독자들로 하여금 독해서적에 흥미를 갖도록 하는데 예를 들면, 음성파일이 저장된 CD 또는 MP음3 재생장치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런 방식들은 서적을 읽을 때 이와 관련된 음성파일을 사용자가 별도로 검색해야 하므로, 오히려 독해함에 있어서의 불편함을 초래한다. 따라서, 광학 리딩펜이 출시되었는데, 이는 광학식별(optical identify)기술을 이용한 것으로, 광학 리딩펜을 서적 상의 문자나 그림에 갖다 대면, 그 위의 광학식별코드를 판독하여, 다시 음성 발생장치를 거쳐 음성을 생성하여 독해학습 효과를 향상시킨다.
통상적으로, 광학 리딩펜은 광원 및 광학센싱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광원은 광선을 제공하여 광선이 서적의 페이지 상에 도달하여, 광학 센싱기가 페이지 상의 광학 식별코드를 감지하도록 한다. 일부 광학 리딩펜은 펜심 및 펜심과 대응되는 펜대와 같은 부가적인 기능성엘리먼트를 더 설치하여, 광학 리딩펜이 독해 외에도 기록 또는 리딩펜의 이동궤적 또는 위치를 추적하여 필기 또는 터치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하지만, 현재의 광학 리딩펜에 대한 설계를 보면, 펜심 및 그에 대응되는 펜심을 기존의 광원 및 광학센싱기와 함께 동일한 베이스에 설치한 것으로, 이는 해당 베이스의 몰드제작 난이도를 비교적 어렵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해당 베이스의 어느 한 부분에 대한 설계가 변경되면 전체 베이스에 대한 몰드를 다시 제작해야 하는 것으로 재가공이 불편하다. 이 외, 광학 리딩펜의 이와 같은 부재가,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베이스 상에 장착하게 되면, 광학 리딩펜이 더이상 펜심을 통한 필기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설령 펜심 및 그에 대응되는 펜대를 제거하더라도, 베이스 상에 형성된 상기 펜대와 펜심을 장착하기 위한 개구부가 여전히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광학 리딩펜의 부피를 이와 상응되게 줄일 수 없다.
광학센싱모듈의 베이스를 용이하게 제작 및 재가공할 수 있고, 광학센싱모듈과 부가된 기능성엘리먼트를 매칭 사용 시, 보다 높은 유연성을 구비하는 센싱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베이스를 용이하게 제작 및 재가공할 수 있고, 광학센싱모듈과 부가된 기능성엘리먼트를 매칭 사용 시, 보다 높은 유연성을 구비하는 광학센싱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광학센싱모듈 및 부가기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센싱모듈은 제1 베이스, 광원 및 광학센싱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는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광원은 상기 제1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학센싱기는 상기 제2 개구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베이스의 외측에는 제1 고정구조가 구비되며; 상기 부가기능모듈은 제2 베이스 및 기능성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이스는 제3 개구부 및 제2 고정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기능성엘리먼트는 상기 제3 개구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베이스와 상기 제2 베이스는 상기 제1 고정구조 및 제2 고정구조에 의해 서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센싱장치가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능성엘리먼트는 펜심인 것으로, 상기 펜심은 상기 제3 개구부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센싱장치가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고정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돌기을 구비하며, 상기 끼움홈은 끼움돌기와 끼움 결합하는 센싱장치가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상기 외측을 덮는 센싱장치가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능성엘리먼트의 일 구간은 상기 제3 개구부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베이스는 상기 구간을 차폐하는 센싱장치가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고정구조는 두 개의 위치제한부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엘리먼트는 상기 두 개의 위치제한부 사이에서 위치가 제한 되는 센싱장치가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광원은 광선을 물품에 제공하고, 상기 광학센싱기는 상기 광선에 의해 상기 물품 상의 식별코드를 감지하는 센싱장치가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광원은 출광방향을 따라 상기 광선을 물품의 표면에 제공하고, 상기 출광방향은 상기 물품의 상기 표면과 평행되는 센싱장치가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베이스, 광원 및 광학센싱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는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베이스의 외측에는 제1 고정구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베이스는 기능성 엘리먼트가 배치된 제2 베이스와 상기 제1 고정구조에 의해 서로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광원은 상기 제1 개구부에 배치되며; 상기 광학센싱기는 상기 제2 개구부에 배치되는 광학센싱모듈이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고정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을 구비하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제2 베이스와 끼움결합되는 광학센싱모듈이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베이스는 상기 제1 베이스의 상기 외측을 덮는 광학센싱모듈이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고정구조는 두 개의 위치제한부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엘리먼트는 상기 두 개의 위치제한부 사이에서 위치가 제한 되는 광학센싱모듈이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광원은 광선을 물품에 제공하며, 상기 광학센싱기는 상기 광선에 의해 물품 상의 식별코드를 감지하는 광학센싱모듈이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광원은 출광방향에 따라 상기 광선을 물품의 표면에 제공하고, 상기 출광방향은 상기 물품의 상기 표면과 평행되는 광학센싱모듈이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베이스, 광원 및 광학센싱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는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베이스의 외측에는 제1 고정구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베이스는 상기 제 1 기판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제1 고정구조에 의해 서로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광원은 상기 제1 개구부에 배치되며; 상기 광학센싱기는 상기 제2 개구부에 배치되는 광학센싱모듈이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고정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을 구비하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하우징과 끼움결합하는 광학센싱모듈이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베이스의 상기 외측을 덮는 광학센싱모듈이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광원은 광선을 물품에 제공하고, 상기 광학센싱기는 상기 광선에 의해 상기 물품 상의 식별코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센싱모듈이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광원은 출광방향에 따라 상기 광원을 물품의 표면에 제공하고, 상기 출광방향은 상기 물품의 상기 표면과 평행되는 광학센싱모듈이 제공된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센싱장치에 있어서, 광원 및 광학센싱기는 제1 베이스에 장착되고, 기능성엘리먼트는 제2 베이스에 장착되며,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는 제1 고정구조 및 제2 고정구조에 의해 서로 고정되게 설치되거나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기능성엘리먼트와 광원 및 광학센싱기는 서로 다른 베이스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의 베이스의 구조를 비교적 단순하게 하여, 몰드제작 난이도를 낮추고, 또한 제1 베이스 또는 제2 베이스의 설계에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단지 제1 베이스 또는 제2 베이스에 대한 몰드만 다시 제작하면 되는 것으로, 모든 베이스에 대한 재가공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재가공이 비교적 편리하다. 이 외, 센싱장치가 부가된 기능성엘리먼트를 통해 제공되는 대응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제2 베이스 및 상기 제2 베이스 상에 장착되는 기능성엘리먼트를 제1 베이스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센싱장치의 부피를 효과적으로 줄이고, 광학센싱모듈과 부가된 기능성엘리먼트를 매칭하여 사용하는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특징과 장점을 보다 명료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이하 실시예 및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센싱장치를 도시하는 입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센싱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센싱장치가 광학 식별을 실행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센싱장치를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5는 다른 일 실시예의 센싱장치가 광학 식별을 실행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센싱장치를 도시하는 입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센싱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센싱장치(100)는 광학센싱모듈(110)을 포함하고, 광학센싱모듈(110)은 제1 베이스(112), 광원(114) 및 광학센싱기(116)를 포함하며, 제1 베이스(112)는 제1 개구부(112a) 및 제2 개구부(112b)를 포함하며, 광원(114)은, 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광원인 것으로 제1 개구부(112a) 내에 배치되고, 광학센싱기(116)는 제2 개구부(112b) 내에 배치된다.
도 3은 도 1의 센싱장치가 광학식별을 실행하는 것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센싱장치(100)는, 예를 들어 광학 리딩펜이고, 광원(114)은 도 3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광선(L)을 제공하고, 광선(L)은 제1 개구부(112a)의 축방향(D1)을 따라 제1 베이스(112) 외부에 전달되어 물품(50)의 표면(52)(예를 들어 사용자가 읽는 서적의 페이지)까지 도달되며, 표면(52)에서 반사되는 광선(L')은 광학센싱기(116)에 전송되어 영상을 형성함으로써, 광학센싱기(116)가 상기 광선을 통해 물품(50)의 표면(52) 상의 식별코드를 감지하도록 한다. 또한, 센싱장치(100)는 기타 관련 장치(예를 들어 스피커)를 통해 식별코드의 영상을 처리 및 판단하여 생성한 반응을 전송한다. 기타 실시예에서, 센싱장치(100)는 기타 종류의 광학식별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센싱장치(100)는 부가기능 모듈(12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부가기능 모듈(120)은, 예를 들어 필기기능을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가기능 모듈(120)은 제2 베이스(122) 및 기능성 엘리먼트(124)를 포함하며, 제2 베이스(122)는 제3 개구부(122a)(도 2에 도시)를 구비하고, 기능성 엘리먼트(124)는, 예를 들어 펜심인 것으로 제3 개구부(122a)를 관통하게 설치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필기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부가기능 모듈(120)은, 예를 들어 관체(126)(예를 들어 펜대)에 의해 기능성 엘리먼트(124)의 일부 구간을 수용할 수 있으며, 관체(126)는, 예를 들어 일체형으로 제2 베이스(12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센싱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센싱모듈(110)의 제1 베이스(112)와 부가기능모듈(120)의 제2 베이스(122)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구조가 아니라, 서로 결합되거나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구체적으로, 제1 베이스(112)의 외측(112c)에는 제1 고정구조(112d)가 구비되고, 제2 베이스(122)에는 이와 대응되는 제2 고정구조(122b)가 구비된다. 제1 베이스(112)와 제2 베이스(122)는 각각 제1 고정구조(112d) 및 제2 고정구조(122b)에 의해 서로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술한 배치방식에 따라, 기능성 엘리먼트(124)와 기존의 광원(114) 및 광학 센싱기(116)를 각각 서로 다른 베이스(제1 베이스(112) 및 제2 베이스(122))에 장착함으로써, 각각의 베이스의 구조를 비교적 단순하게 하여, 몰드제작 난이도를 낮추고, 또한 제1 베이스(112) 또는 제2 베이스(122)의 설계에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단지 제1 베이스(112) 또는 제2 베이스(122)에 대한 몰드만 다시 제작하면 되는 것으로, 모든 베이스에 대한 재가공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재가공이 비교적 편리하다. 이 외, 센싱장치(100)가 부가된 기능성엘리먼트(124)를 통해 제공되는 대응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제2 베이스(122) 및 상기 제2 베이스(122) 상에 장착되는 기능성엘리먼트(124)를 제1 베이스(112)로부터 직접 분리할 수 있어, 센싱장치(100)의 부피를 효과적으로 줄이고, 광학센싱모듈(110)과 부가된 기능성엘리먼트(124)을 매칭하여 사용하는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이하, 제1 고정구조(112d) 및 제2 고정구조(122b)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제1 고정구조(112d)는 두 개의 위치제한부(R)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위치제한부(R)과 제1 베이스(112)의 외측(112c) 사이에는 두 개의 끼움홈(S)이 형성된다. 이와 대응되게, 제2 고정구조(122b)는 두 개의 끼움돌기(P)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끼움돌기(P)은 조립방향(D)을 따라 두 개의 끼움홈(S)에 각각 걸리도록 함으로써, 제1 고정구조(112c)와 제2 고정구조(122b)가 각각의 끼움홈(S) 및 그에 대응되는 끼움돌기(P)에 의해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끼움 결합되도록 하며, 기능성엘리먼트(124)는 두 개의 위치제한부(R) 사이에서 위치가 제한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122)는 커버부(122c)를 더 포함하고, 커버부(122c)는 제1 베이스(112)의 외측(112c)을 덮도록 형성되고, 기능성엘리먼트(124)는 제3 개구부(122a) 외부의 구간(124a)(도 4에 도시)에 위치되어, 제2 베이스(122)의 커버부(122c)에 의해 차폐되고 위치가 제한됨으로써, 전반적인 구조를 보다 완벽하고 견고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고정구조(112d) 및 제2 고정구조(122b)는 또한 후크, 래치 등 기타 적절한 구조에 의해 서로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광학센싱모듈(110) 및 부가기능모듈(120)은 또한 하우징(미도시)에 의해 수용되어, 이로써 센싱장치(100)가 보다 좋은 외관 및 그립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센싱장치(100)는 제2 베이스(122) 및 기능성엘리먼트(124)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제1 베이스(112)의 제1 고정구조(112d)는 상기 하우징 내의 대응되는 구조와 서로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고, 제1 베이스(112)가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1 베이스(112)의 외측(112c)을 덮도록 하며, 여기에서 예를 들어 제1 고정구조(112d)의 끼움홈(S)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 끼움 결합된다. 단, 제1 베이스(112)와 상기 하우징에 대한 결합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광원(114)은 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 엘리먼트이고, 출광방향(A)을 따라 광선(L)을 제공한다. 광원(114)의 출광방향(A)은 물품(50)의 표면(52)에 평행되지 않는 것으로, 광선(L)이 직접 물품(50)의 표면(52)에 전달되도록 한다. 단, 광원의 출광방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통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5는 다른 일 실시예의 센싱장치가 광학 식별을 실행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이다. 본 발명의 센싱장치(200)에서, 광학센싱모듈(210), 제1 베이스(212), 제1 개구부(212a), 제2 개구부(212b), 광학센싱기(216), 부가기능모듈(220), 제2 베이스(미도시), 기능성엘리먼트(224), 관체(226)에 대한 배치 및 작용방식은, 도 1 내지 도 4의 광학센싱모듈(110), 제1 베이스(112), 제1 개구부(112a), 제2 개구부(112b), 광학센싱기(116), 부가기능모듈(120), 제2 베이스(122), 기능성엘리먼트(124), 관체(126)에 대한 배치 및 작용방식과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센싱장치(200)에 따르면, 광원(214)의 출광방향(A')이 물품(50)의 표면(52)에 평행하도록 광원(214)이 측방향으로 출광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원(214)이 측방향으로 출광되도록 설계하면, 물품(50)의 표면(52)에까지 조사(照射)되는 광선(L)의 광도(光度)를 적절하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물품(50)이 액정 디스플레이 판넬인 경우, 액정 디스플레이 판넬의 표면(52) 아래의 구조는 광선(L)의 조사가 예기치 못하게 광학센싱기(216)에 의해 감지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인 것으로, 광학센싱기(216)가 표면(52) 상의 식별코드를 정확히 감지하도록 보장한다. 추가설명이 필요한 것은, 만약 물품(50)이 액정 디스플레이 판넬이라면, 그 표면(52) 상에, 예를 들면 상기 식별코드를 갖는 투명박막을 부착하여 센싱장치(200)가 광학 식별을 하도록 하고, 기능성엘리먼트(224)는, 예를 들면 필기기능을 구비하지 않는 것으로, 단지 광학센싱모듈(210)과 표면(52) 사이의 구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외, 상기 투명박막의 반사율이 다소 높은 상황 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광원(214)이 측방향으로 출광되도록 설계하여 물품(50)의 표면에까지 도달하는 광선(L)의 광도를 줄임으로써, 상기 투명박막에서 반사되는 광선(L')이 지나치게 강함으로 인하여, 광학센싱기(216)의 정상적인 작동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212)의 제1 개구부(212a)에서의 구조는,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품(50)의 표면(52)에서 연장되어, 제1 개구부(212a) 내의 광원(214)이 물품(50)의 표면(52)에 비교적 근접되도록 하고, 제1 베이스(212)는 제1 개구부(212a)의 위치에서 출광구 (212b)를 구비함으로써, 광원(214)에서 출광된 광선(L)이 출광구(212d)를 통과하여 표면(52)까지 순조롭게 전달되도록 한다. 기타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212)의 제1 개구부(212a)의 위치에서의 구조는 가타 적절한 형상 및 사이즈로 설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본 발명의 센싱장치에서, 광원 및 광학센싱기는 제1 베이스에 장착되고, 기능성엘리먼트는 제2 베이스에 장착되며, 제1 베이스와 제2 베이스는 제1 고정구조 및 제2 고정구조에 의해 서로 고정되게 설치되거나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기능성 엘리먼트와 기존의 광원 및 광학 센싱기를 각각 서로 다른 베이스에 장착함으로써, 각각의 베이스의 구조를 비교적 단순하게 하여, 몰드제작 난이도를 낮추고, 또한 제1 베이스 또는 제2 베이스의 설계에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단지 제1 베이스 또는 제2 베이스에 대한 몰드만 다시 제작하면 되는 것으로, 모든 베이스에 대한 재가공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재가공이 비교적 편리하다. 이 외, 센싱장치가 부가된 기능성엘리먼트를 통해 상응되는 기능을 제공받지 않아도 되는 경우, 제2 베이스 및 상기 제2 베이스 상에 장착되는 기능성엘리먼트를 제1 베이스로부터 직접 제거 가능한 것으로, 센싱장치의 부피를 효과적으로 줄이고, 광학센싱모듈과 부가된 기능성엘리먼트를 매칭하여 사용하는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베이스 및 기능성엘리먼트를 장착할 필요가 없는 경우, 제1 베이스의 제1 고정구조를 센싱장치의 하우징과 서로 고정되게 설치되도록 바꿀 수 있는 것으로, 제1 베이스의 제1 고정구조의 범용성을 향상시킨다. 이 외, 광원을 측방향으로 출광되도록 설계하여 광학센싱모듈의 출광강도를 적절하게 줄임으로써, 광원의 지나친 출광강도로 인해 광학센싱기의 정상적인 작동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어느 정도의 변형과 수식을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기준으로 한다.
50: 물품 52: 표면
100, 200: 센싱장치 110, 210: 광학센싱모듈
112, 212: 제1 베이스 112a, 212a: 제1 개구부
112b, 212b: 제2 개구부 112c: 외측
112d: 제1 고정구조 114, 214: 광원
116, 216: 광학센싱기 120, 220: 부가기능모듈
122: 제2 베이스 122a: 제3 개구부
122b: 제2 고정구조 122c: 커버부
124, 224: 기능성엘리먼트 124a: 구간
126, 226: 관체 212d: 출광구
A, A': 출광방향 D: 조립방향
L, L': 광선 P: 끼움돌기
R: 위치제한부 S: 끼움홈

Claims (19)

  1. 광학센싱모듈 및 부가기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센싱모듈은 제1 베이스, 광원 및 광학센싱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는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광원은 상기 제1 개구부에 배치되고, 상기 광학센싱기는 상기 제2 개구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베이스의 외측에는 제1 고정구조가 구비되며;
    상기 부가기능모듈은 제2 베이스 및 기능성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이스는 제3 개구부 및 제2 고정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기능성엘리먼트는 상기 제3 개구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베이스와 상기 제2 베이스는 상기 제1 고정구조 및 제2 고정구조에 의해 서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센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엘리먼트는 펜심인 것으로, 상기 펜심은 상기 제3 개구부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센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돌기을 구비하며, 상기 끼움홈은 끼움돌기와 끼움 결합하는 센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는 상기 제1 베이스의 상기 외측을 덮는 센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엘리먼트의 일 구간은 상기 제3 개구부의 외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베이스는 상기 구간을 차폐하는 센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구조는 두 개의 위치제한부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엘리먼트는 상기 두 개의 위치제한부 사이에서 위치가 제한 되는 센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광선을 물품에 제공하고, 상기 광학센싱기는 상기 광선에 의해 상기 물품 상의 식별코드를 감지하는 센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출광방향을 따라 광선을 물품의 표면에 제공하고, 상기 출광방향은 상기 물품의 상기 표면과 평행하지 않은 센싱장치.
  9. 제1 베이스, 광원 및 광학센싱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는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베이스의 외측에는 제1 고정구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베이스는 기능성 엘리먼트가 배치된 제2 베이스와 상기 제1 고정구조에 의해 서로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광원은 상기 제1 개구부에 배치되며;
    상기 광학센싱기는 상기 제2 개구부에 배치되는 광학센싱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을 구비하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제2 베이스와 끼움결합되는 광학센싱모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는 상기 제1 베이스의 상기 외측을 덮는 광학센싱모듈.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구조는 두 개의 위치제한부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엘리먼트는 상기 두 개의 위치제한부 사이에서 위치가 제한 되는 광학센싱모듈.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광선을 물품에 제공하며, 상기 광학센싱기는 상기 광선에 의해 물품 상의 식별코드를 감지하는 광학센싱모듈.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출광방향에 따라 광선을 물품의 표면에 제공하고, 상기 출광방향은 상기 물품의 상기 표면과 평행하지 않은 광학센싱모듈.
  15. 제1 베이스, 광원 및 광학센싱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는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베이스의 외측에는 제1 고정구조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베이스는 상기 제 1 베이스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제1 고정구조를 상기 하우징의 대응하는 구조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서로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광원은 상기 제1 개구부에 배치되며;
    상기 광학센싱기는 상기 제2 개구부에 배치되는 광학센싱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구조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홈을 구비하고, 상기 끼움홈은 상기 하우징과 끼움결합하는 광학센싱모듈.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베이스의 상기 외측을 덮는 광학센싱모듈.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광선을 물품에 제공하고, 상기 광학센싱기는 상기 광선에 의해 상기 물품 상의 식별코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센싱모듈.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출광방향에 따라 광선을 물품의 표면에 제공하고, 상기 출광방향은 상기 물품의 상기 표면과 평행하지 않은 광학센싱모듈.
KR1020160183700A 2015-12-30 2016-12-30 센싱장치 및 광학센싱모듈 KR101947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4144353A TWI595425B (zh) 2015-12-30 2015-12-30 感測裝置及光學感測模組
TW104144353 2015-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527A KR20170080527A (ko) 2017-07-10
KR101947245B1 true KR101947245B1 (ko) 2019-02-12

Family

ID=5858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700A KR101947245B1 (ko) 2015-12-30 2016-12-30 센싱장치 및 광학센싱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429854B2 (ko)
KR (1) KR101947245B1 (ko)
CN (2) CN206584378U (ko)
DE (1) DE202016107477U1 (ko)
TW (1) TWI5954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7940A (zh) * 2017-12-27 2019-07-05 田雪松 图像采集装置
EP3896629A1 (de) 2020-04-15 2021-10-20 Bayer Aktiengesellschaft Verfolgung von pflanzlichen und/oder tierischen erzeugniss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584B1 (ko) * 2003-12-15 2011-12-29 아노토 아베 광학 시스템, 분석 시스템 및 전자 펜용 모듈형 유닛
JP7117981B2 (ja) * 2018-11-27 2022-08-15 日本山村硝子株式会社 合成樹脂製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26891A1 (de) * 1991-08-14 1993-02-18 Gema Volstatic Ag Elektrostatische pulver-spruehbeschichtungsanlage fuer automobil-karosserien
JPH0887049A (ja) * 1994-09-19 1996-04-02 Canon Inc カメラ
JP2008508621A (ja) * 2004-08-03 2008-03-21 シルバーブルック リサーチ ピーティワイ リミテッド ウォークアップ印刷
JP2012208926A (ja) * 2011-03-15 2012-10-25 Nikon Corp 検出装置、入力装置、プロジェクタ、及び電子機器
US20130020351A1 (en) * 2011-07-21 2013-01-24 Gojo Industries, Inc. Dispenser with optical keying system
CN202230452U (zh) * 2011-09-30 2012-05-23 郑国书 光学式输入装置的防尘结构
US20150199072A1 (en) * 2014-01-10 2015-07-16 Shenzhen Wave Multimedia Co., Ltd Infra-red touch-detection and touch-recognition device
CN204576854U (zh) * 2015-04-10 2015-08-19 李靖 一种基于二维码的语言学习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584B1 (ko) * 2003-12-15 2011-12-29 아노토 아베 광학 시스템, 분석 시스템 및 전자 펜용 모듈형 유닛
JP7117981B2 (ja) * 2018-11-27 2022-08-15 日本山村硝子株式会社 合成樹脂製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527A (ko) 2017-07-10
CN107025454A (zh) 2017-08-08
TW201723922A (zh) 2017-07-01
DE202016107477U1 (de) 2017-03-31
TWI595425B (zh) 2017-08-11
CN107025454B (zh) 2021-02-23
JP2017126982A (ja) 2017-07-20
CN206584378U (zh) 2017-10-24
JP6429854B2 (ja) 201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4677B1 (ko) 전자 디바이스에서의 멀티-컴포넌트 비전 시스템을 위한 브래킷 조립체
KR102288997B1 (ko) 자가 정렬 브래킷 조립체에 의해 홀딩되는 비전 시스템 조립체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
US8223487B2 (en) Electronic device
WO2014062721A1 (en) Track pad acoustic features related to a portable computer
KR101947245B1 (ko) 센싱장치 및 광학센싱모듈
EP1405168B1 (en) Electronic pen, mounting part therefor and method of making the pen
US11082593B2 (en) Optical image sensing module
US20010022882A1 (en) Fingerprint recognition device and fingerprint reading window construction
CN102375621B (zh) 光学导航设备
JP6170392B2 (ja) 電子機器
CN107077620A (zh) 光学指纹成像系统及光学组件
JP6895611B2 (ja) 電子機器
CN108256367B (zh) 用于dpm扫描仪的照明器
US10216969B2 (en) Illuminator for directly providing dark field and bright field illumination
CN110032950B (zh) 一种基座及传感模组
KR101310827B1 (ko) 압력감응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전자칠판
WO2019009258A1 (ja) 光学的情報読取装置
JP2004102588A (ja) ペン型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KR20230108235A (ko) 핸드헬드 전자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