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176B1 - 가스 터빈, 컴바인드 사이클 플랜트, 가스 터빈의 기동 방법 - Google Patents

가스 터빈, 컴바인드 사이클 플랜트, 가스 터빈의 기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176B1
KR101946176B1 KR1020177006341A KR20177006341A KR101946176B1 KR 101946176 B1 KR101946176 B1 KR 101946176B1 KR 1020177006341 A KR1020177006341 A KR 1020177006341A KR 20177006341 A KR20177006341 A KR 20177006341A KR 101946176 B1 KR101946176 B1 KR 101946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opening degree
gas turbine
turbine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6791A (ko
Inventor
마사카즈 이노우에
마사유키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6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6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00Controlling gas-turbine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 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16Control of working fluid flow
    • F02C9/18Control of working fluid flow by bleeding, bypassing or acting on variable working fluid interconnections between turbines or compressors or their s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25/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other groups
    • F01D25/08Cooling; Heating; Heat-insulation
    • F01D25/12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1/00Preventing or minimising internal leakage of working-fluid, e.g. between stages
    • F01D11/08Preventing or minimising internal leakage of working-fluid, e.g. between stages for sealing space between rotor blade tips and stator
    • F01D11/14Adjusting or regulating tip-clearance, i.e. distance between rotor-blade tips and stator casing
    • F01D11/20Actively adjusting tip-clearance
    • F01D11/24Actively adjusting tip-clearance by selectively cooling-heating stator or rotor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9/00Starting of machines or engines; Regulating, controlling, or safety means in connection therewi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01K23/06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01K23/08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with working fluid of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01K23/06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01K23/1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with exhaust fluid of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3/0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 F02C3/04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bustion products as the working fluid having a turbine driving a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6/00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 F02C6/18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using the waste heat of gas-turbine plants outside the plants themselves, e.g. gas-turbine power heat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12Cooling of plants
    • F02C7/16Cooling of plants characterised by cooling medium
    • F02C7/18Cooling of plants characterised by cooling medium the medium being gaseous,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12Cooling of plants
    • F02C7/16Cooling of plants characterised by cooling medium
    • F02C7/18Cooling of plants characterised by cooling medium the medium being gaseous, e.g. air
    • F02C7/185Cooling means for reducing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air or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 F02C7/28Arrangement of 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D2220/72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 steam turb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20Heat transfer, e.g. cooling
    • F05D2260/213Heat transfer, e.g. cooling by the provision of a heat exchanger within the cooling circu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가스 터빈 및 컴바인드 사이클 플랜트, 가스 터빈의 기동 방법에 있어서, 압축기(21)에서 추기한 압축 공기를 열 교환하여 냉각된 압축 공기를 터빈(23)에 따른 로터계 냉각 계통에 공급하는 공기 냉각기(31)와, 공기 냉각기(31)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를 바이패스하는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34)과,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34)에 설치되는 전동 밸브(35)와, 가스 터빈(20)의 기동 중에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 이하로 하고, 가스 터빈(20)의 부하 상승 후에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보다 크게 하도록 전동 밸브(35)를 개폐 제어하는 제어부(101)를 설치함으로써, 터빈 차실 측과 운동 날개의 클리어런스를 적정량으로 하여 안전성의 확보 및 성능의 향상을 도모한다.

Description

가스 터빈, 컴바인드 사이클 플랜트, 가스 터빈의 기동 방법{GAS TURBINE, COMBINED CYCLE PLANT, AND ACTIVATION METHOD OF GAS TURBIN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압축한 고온 고압의 공기에 대하여, 연료를 공급하여 연소하고, 발생한 연소 가스를 터빈에 공급하여 회전 동력을 얻는 가스 터빈, 이 가스 터빈이 적용되는 컴바인드 사이클 플랜트, 이 가스 터빈의 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터빈은 압축기와 연소기와 터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압축기는 공기 취입구에서 취입된 공기를 압축함으로써 고온 고압의 압축 공기로 한다. 연소기는 이 압축 공기에 대하여 연료를 공급하여 연소시킴으로써 고온 고압의 연소 가스를 얻는다. 터빈은 이 연소 가스에 의해 구동하고, 동일 축 상에 연결된 발전기를 구동한다.
이 가스 터빈에 따른 터빈은 차실 내에 여러 개의 고정 날개와 운동 날개가 연소 가스의 유동 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설되어 구성되어 있고, 연소기에서 생성된 연소 가스가 여러 개의 고정 날개와 운동 날개를 통과함으로써 로터를 구동 회전하고, 이 로터에 연결된 발전기를 구동한다.
한편, 가스 터빈에서, 압축기에서 압축한 압축 공기는 일부가 추기되어 터빈 차실이나 고정 날개를 냉각한다. 또한, 이 압축 공기는 일부가 외부로 인도되어 공기 냉각기에 의해 냉각되고 나서 터빈 디스크나 운동 날개를 냉각한다. 이 경우, 공기 냉각기는 압축 공기를 예를 들어, 배열 회수 보일러로부터의 급수(냉각수)에 의해 냉각하고 있다. 터빈에서, 운동 날개의 선단과 터빈 차실의 내주면 사이는 양자의 간섭이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틈새(클리어런스)를 작게 하여 연소 가스의 틈새 흐름을 억제하여, 가스 터빈의 성능이 저하하지 않는 구조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스 터빈으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컴바인드 사이클 발전 설비는 절탄기(節炭器)에서 가열된 물과 압축기에서 추출된 압축 공기를 열 교환하여 냉각 공기를 생성하는 추출 공기 냉각기와, 추출 공기 냉각기를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계통과, 바이패스 관을 흐르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조절 밸브를 설치하고, 플랜트의 급격한 부하 변화가 일어났을 경우, 공기 온도를 공기량에 의해 제어하는 것이다.
일본 특허 제4488631호 공보
그런데, 가스 터빈의 기동 시, 터빈의 운동 날개는 고속 회전함과 동시에, 연소 가스의 영향을 빠르게 받으므로, 선단부가 지름 방향에 따른 외측으로 신장한다. 한편, 터빈 차실은 열 용량이 크기 때문에 지름 방향에 따른 외측으로의 신장량이 적다. 그 때문에, 터빈의 운동 날개의 선단과 터빈 차실의 내주면의 클리어런스가 작아지게 된다. 이 경우, 가스 터빈의 기동 시에 맞추어 터빈의 운동 날개의 선단과 터빈 차실의 내주면의 클리어런스를 설정하면, 가스 터빈의 정상(定常) 운전 시에, 이 클리어런스가 필요 이상으로 커지게 되고, 터빈에 의한 구동력의 회수 효율이 저하하고, 가스 터빈 자체의 성능이 저하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때, 공기 냉각기에 따른 바이패스 계통의 조절 밸브를 제어 밸브로 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구동원이 상실하거나 제어 신호가 상실하거나 하면, 개도(開度)를 유지할 수 없고, 전개(全開)한 경우에는 냉각 공기 온도가 상승하여 접촉의 위험이 있고, 또한 전폐(全閉)한 경우에는 냉각 공기 온도가 저하하여 클리어런스가 넓어져 성능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터빈 차실 측과 운동 날개의 틈새를 적정량으로 하여 안전성의 확보 및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가스 터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스 터빈은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가 압축한 압축 공기와 연료를 혼합하여 연소하는 연소기와, 상기 연소기가 생성한 연소 가스에 의해 회전 동력을 얻는 터빈과, 상기 압축기에서 추기한 압축 공기를 열 교환하여 냉각시킨 압축 공기를 상기 터빈에 따른 로터계 냉각 계통에 공급하는 공기 냉각기와, 상기 공기 냉각기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를 바이패스하는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과, 상기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에 설치되는 제1 밸브와, 가스 터빈의 기동 중에 상기 제1 밸브의 밸브 개도를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저 레벨 개도 이하로 하고, 상기 가스 터빈의 부하 상승 후에 상기 제1 밸브의 밸브 개도를 상기 저 레벨 개도보다 크게 하도록 상기 제1 밸브를 개폐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스 터빈의 기동 중, 제1 밸브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 이하로 하면,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을 통하는 압축 공기량이 감소하는 한편, 공기 냉각기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량이 증가한다. 그 때문에, 터빈에 따른 로터계 냉각 계통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온도가 저하하고, 연소 가스에 의한 로터계의 열 팽창을 억제하고, 운동 날개와 터빈 차실 측의 틈새(클리어런스)를 적정량으로 하고, 운동 날개의 선단과 터빈 차실의 내주면의 접촉 위험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부하 상승 후, 제1 밸브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보다 크게 함으로써,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을 통하는 압축 공기량이 증가하는 한편, 공기 냉각기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량이 감소한다. 그 때문에, 터빈에 따른 로터계 냉각 계통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온도가 저하하는 정도가 기동 중에 비해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상기 틈새가 좁아지고,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 터빈에서는, 상기 제1 밸브의 밸브 개도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1 밸브의 밸브 개도가 상기 저 레벨 개도 이하라고 검출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터빈의 기동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가스 터빈의 기동 전에 제1 밸브의 밸브 개도가 저 레벨 개도 이하라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가스 터빈의 기동을 공기 냉각기에 도입하는 압축 공기량이 적은 상태에서 실시하여, 로터계가 충분히 냉각되지 않음으로써, 운동 날개의 선단과 터빈 차실의 내주면이 접촉할 위험에 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 터빈에서는, 상기 제1 밸브는 밸브 개도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나 밸브 구동원의 차단 시에 그때의 밸브 개도를 유지 가능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제1 밸브를 제어 신호나 밸브 구동원의 차단 시에 그때의 밸브 개도를 유지 가능한 밸브로 함으로써, 제어 계통이나 전원 계통이 상실해도 제1 밸브는 현재의 개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공기 냉각기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량이 변동하는 일이 없고, 로터계를 적정하게 냉각하여 운동 날개와 터빈 차실 측의 틈새(클리어런스)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 터빈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터빈에 따른 회전계와 정지계(靜止系)의 클리어런스가 작아지는 이상 상태 시에, 상기 제1 밸브의 밸브 개도를 상기 저 레벨 개도 이하까지 닫힘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어떠한 원인으로 회전계와 정지계의 클리어런스가 작아지는 이상 상태가 발생하면, 제1 밸브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 이하까지 닫힘 제어하기 때문에, 공기 냉각기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량이 증가하고, 로터계 냉각 계통에 공급하는 압축 공기의 온도가 저하한다. 그러면 연소 가스에 의한 로터계의 열 팽창을 억제하고, 운동 날개와 터빈 차실 측의 틈새(클리어런스)를 확대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 터빈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터빈에 따른 회전계와 정지계의 클리어런스가 작아지도록 운전을 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밸브의 밸브 개도를 상기 저 레벨 개도 이하까지 닫힘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부하 변동 등에 따라, 가스 터빈에 따른 회전계와 정지계의 클리어런스가 작아지도록 운전을 하면, 제1 밸브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 이하까지 닫힘 제어하기 때문에, 공기 냉각기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량이 증가하고, 로터계 냉각 계통에 공급하는 압축 공기의 온도가 저하한다. 그러면 연소 가스에 의한 로터계의 열 팽창을 억제하고, 운동 날개와 터빈 차실 측의 틈새(클리어런스)를 확대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 터빈에서는 상기 소정의 저 레벨 개도 이하로 한 상기 제1 밸브의 개도가 미세 열림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만일 제1 밸브의 저 레벨 개도 이하의 밸브 개도를 완전히 닫힘 제어하면,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에 따른 압축 공기의 흐름이 정체하고, 온도 저하에 의해 드레인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제1 밸브의 저 레벨 개도 이하의 밸브 개도를 미세 열림 상태로 함으로써,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을 미소한 압축 공기가 흐르게 되어, 드레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컴바인드 사이클 플랜트는 상기 가스 터빈과, 상기 가스 터빈에서 배출된 배기 가스의 배열에 의해 증기를 생성하는 배열 회수 보일러와, 상기 배열 회수 보일러에 의해 생성된 증기에 의해 구동하는 증기 터빈과, 상기 증기 터빈에서 배출된 증기를 응축시켜 물을 생성하는 복수기(復水器)와, 상기 복수기에서 절탄기를 경유하여 얻어지는 급수를 상기 공기 냉각기에 송출하여 압축 공기와 열 교환하는 급수 라인과, 상기 절탄기에 도입되는 급수를 바이패스하는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과, 상기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에 설치되는 제2 밸브를 가지는 컴바인드 사이클 플랜트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터빈의 기동 중에, 상기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으로의 압축 공기의 바이패스량을 줄이기 위해, 상기 제1 밸브의 밸브 개도를 상기 저 레벨 개도 이하로 하도록 상기 제1 밸브를 닫힘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으로의 급수의 바이패스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2 밸브의 밸브 개도를 열림 제어하고, 상기 가스 터빈의 부하 상승 후에, 상기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으로의 압축 공기의 바이패스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밸브의 밸브 개도를 상기 저 레벨 개도보다도 크게 하도록 상기 제1 밸브를 열림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으로의 급수의 바이패스량을 줄이기 위해 상기 제2 밸브의 밸브 개도를 닫힘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스 터빈의 기동 중,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으로의 압축 공기의 바이패스량을 줄이기 위해 제1 밸브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 이하로 함과 동시에,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으로의 급수의 바이패스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2 밸브의 밸브 개도를 열림 제어한다. 즉, 가스 터빈의 기동 중에,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을 통하는 압축 공기량이 감소하면 공기 냉각기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량이 증가한다. 또한,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을 통하는 급수량이 증가하면 절탄기에 도입되는 급수량이 감소한다. 그 때문에, 공기 냉각기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량이 증가하고, 이 압축 공기를 냉각하는 급수의 온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터빈에 따른 로터계 냉각 계통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온도를 저하할 수 있다. 그 결과, 연소 가스에 의한 로터계의 열 팽창을 억제하고, 운동 날개와 터빈 차실 측의 틈새(클리어런스)를 적정량으로 하여 운동 날개의 선단과 터빈 차실의 내주면의 접촉 위험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부하 상승 후에,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으로의 압축 공기의 바이패스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1 밸브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보다도 크게함과 동시에,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으로의 급수의 바이패스량을 줄이기 위해 제2 밸브의 밸브 개도를 닫힘 제어한다. 즉, 가스 터빈의 부하 상승 후에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을 통하는 압축 공기량이 증가하면 공기 냉각기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량이 감소한다. 또한,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을 통하는 급수량이 감소하면 절탄기에 도입되는 급수량이 증가한다. 그 때문에, 터빈에 따른 로터계 냉각 계통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온도가 저하하는 정도가 기동 중에 비해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상기 틈새가 좁아지고,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스 터빈의 기동 방법은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가 압축한 압축 공기와 연료를 혼합하여 연소하는 연소기와, 상기 연소기가 생성한 연소 가스에 의해 회전 동력을 얻는 터빈과, 상기 압축기에서 추기한 압축 공기를 열 교환하여 냉각시킨 압축 공기를 상기 터빈에 따른 로터계 냉각 계통에 공급하는 공기 냉각기와, 상기 공기 냉각기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를 바이패스하는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과, 상기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에 설치되는 제1 밸브를 가지는 가스 터빈에 있어서, 가스 터빈의 기동 중에 상기 제1 밸브의 밸브 개도를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저 레벨 개도 이하로 하고, 상기 가스 터빈의 부하 상승 후에 상기 제1 밸브의 밸브 개도를 상기 저 레벨 개도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가스 터빈의 기동 중, 제1 밸브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 이하로 하면,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을 통하는 압축 공기량이 감소하는 한편, 공기 냉각기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량이 증가한다. 그 때문에, 터빈에 따른 로터계 냉각 계통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온도가 저하하고, 연소 가스에 의한 로터계의 열 팽창을 억제하고, 운동 날개와 터빈 차실 측의 틈새(클리어런스)를 적정량으로 하고, 운동 날개의 선단과 터빈 차실의 내주면의 접촉 위험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부하 상승 후, 제1 밸브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보다 크게 함으로써,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을 통하는 압축 공기량이 증가하는 한편, 공기 냉각기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량이 감소한다. 그 때문에, 터빈에 따른 로터계 냉각 계통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온도가 저하하는 정도가 기동 중에 비해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상기 틈새가 좁아지고,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 터빈, 컴바인드 사이클 플랜트, 가스 터빈의 기동 방법에 의하면, 가스 터빈의 기동 중, 제1 밸브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 이하로 하므로, 공기 냉각기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량이 증가하고, 터빈에 따른 로터계 냉각 계통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온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연소 가스에 의한 로터계의 열 팽창을 억제하고, 운동 날개와 터빈 차실 측의 틈새(클리어런스)를 적정량으로 하여, 운동 날개의 선단과 터빈 차실의 내주면의 접촉 위험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터빈에 따른 로터계 냉각 계통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온도가 저하하는 정도가 기동 중에 비해 작아지고, 틈새가 좁아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가스 터빈 컴바인드 사이클 플랜트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공기 냉각기에 대한 압축 공기의 공급 라인 및 급수의 공급 라인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가스 터빈의 기동 시에 따른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가스 터빈, 컴바인드 사이클 플랜트, 가스 터빈의 기동 방법의 호적한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또한 실시형태가 여러 개인 경우에는 각 실시형태를 조합하여 구성하는 것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가스 터빈 컴바인드 사이클 플랜트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 터빈 컴바인드 사이클 플랜트(11)는 가스 터빈부(12)와 증기 터빈부(13)로 구성되어 있다. 가스 터빈부(12)는 가스 터빈(20)을 가지고 있다. 이 가스 터빈(20)은 압축기(21), 연소기(22), 터빈(23)을 가지고 있고, 압축기(21)와 터빈(23)은 회전축(로터)(24)에 의해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압축기(21)는 공기 취입 라인(25)에서 취입한 공기를 압축한다. 연소기(22)는 압축기(21)에서 압축 공기 공급 라인(26)을 통하여 공급된 압축 공기와 연소 가스 공급 라인(27)에서 공급된 연료 가스를 혼합하여 연소한다. 터빈(23)은 연소기(22)에서 연소 가스 공급 라인(28)을 통하여 공급된 연소 가스에 의해 회전한다. 발전기(29)는 압축기(21) 및 터빈(23)과 동일 축 상에 설치되어 있고, 터빈(23)이 회전함으로써 발전할 수 있다.
또한, 가스 터빈부(12)는 압축기(21)에서 추출하여 얻어진 압축 공기를 냉각하여 터빈(23)에 따른 로터계(회전계) 냉각 계통에 공급하는 공기 냉각기(31)를 가지고 있다. 즉, 압축기(21)에서 압축 공기를 추출하는 추기 라인(32)이 설치됨과 동시에, 추기하여 얻어진 압축 공기를 냉각하여 터빈(23)에 따른 로터계 냉각 계통에 공급하는 냉각 공기 공급 라인(33)이 설치되어 있다. 공기 냉각기(31)는 추기 라인(32)과 냉각 공기 공급 라인(33) 사이에 설치되어, 압축기(21)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냉각한다. 또한, 공기 냉각기(31)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를 바이패스하는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34)이 설치되고, 이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34)에 전동 밸브(제1 밸브)(3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34)은 공기 냉각기(31)를 바이패스하도록 추기 라인(32)과 냉각 공기 공급 라인(33)을 접속하고 있고, 압축기(21)에서 추기 라인(32)을 통하여 추출한 압축 공기에 대하여 아무런 부하를 주지 않고 현재의 압력, 온도, 유량 등을 유지한 채로 냉각 공기 공급 라인(33)에 흐르게 하는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가스 터빈부(12)는 압축기(21)의 추기실(抽氣室)에서 추출하여 얻어진 압축 공기를 터빈(23)에 따른 터빈 차실(정지계)의 냉각 계통에 공급하는 공기 냉각 통로를 가지고 있다.
증기 터빈부(13)는 배열 회수 보일러(40)를 가지고 있다. 이 배열 회수 보일러(40)는 가스 터빈(20)에서 배 가스 배출 라인(30)을 개재하여 배출된 배기 가스의 배열에 의해 증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고압 유닛(41)과 저압 유닛(51)을 가지고 있다. 이 배열 회수 보일러(40)는 내부에서 가스 터빈(20)으로부터의 배기 가스가 상방으로 이송됨으로써, 고압 유닛(41), 저압 유닛(51)의 순서로 열 회수를 실시하여 증기를 발생시킨다.
고압 유닛(41)은 고압 절탄기(42), 고압 드럼(43), 고압 증발기(44), 고압 과열기(45)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고압 절탄기(42)에서 가열된 급수는 제1 고압 급수 라인(46)에 의해 고압 드럼(43)에 보내지고, 제2 고압 급수 라인(47)의 고압 드럼 강수관(47a) 및 고압 드럼 상승관(47b)을 개재하여 고압 증발기(44)에서 가열되어 고압 증기를 발생하고, 발생한 고압 증기는 고압 포화 증기관(48)을 개재하여 고압 과열기(45)에 보내져, 이곳에서 과열된다. 그리고, 제1 고압 급수 라인(46)에 유량 조절 밸브(49)가 설치되어 있다.
저압 유닛(51)은 저압 절탄기(52), 저압 드럼(53), 저압 증발기(54), 저압 과열기(55)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저압 절탄기(52)에서 가열된 급수는 제1 저압 급수 라인(56)에 의해 저압 드럼(53)에 보내지고, 제2 저압 급수 라인(57)의 저압 드럼 강수관(57a) 및 저압 드럼 상승관(57b)을 개재하여 저압 증발기(54)에서 가열되어 저압 증기를 발생하고, 발생한 저압 증기는 저압 포화 증기관(58)을 개재하여 저압 과열기(55)에 보내져, 이곳에서 과열된다.
제1 고압 급수 라인(46)은 제1 저압 급수 라인(56)의 급수를 급수 펌프(60)에 의해 고압 절탄기(42)에 보내는 급수 라인(59)을 포함하고 있다. 즉, 급수 라인(59)은 제1 저압 급수 라인(56)과 고압 절탄기(42) 사이에 설치되고, 급수 펌프(60)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저압 절탄기(52)의 급수의 일부가 급수 펌프(60)에 의해 급수 라인(59)을 개재하여 고압 절탄기(42)에 보내진다. 급수 라인(59)에 따른 급수 펌프(60)보다 하류 측에서 분기하여 공기 냉각기(31)에 도달하는 제1 냉각수 공급 라인(61)이 설치됨과 동시에, 공기 냉각기(31)에서 제1 고압 급수 라인(46)에 따른 유량 조절 밸브(49)보다 상류 측에 도달하는 제2 냉각수 공급 라인(6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냉각수 공급 라인(62)에 온도 조절 밸브(6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증기 터빈부(13)는 증기 터빈(70)을 가지고 있다. 증기 터빈(70)은 배열 회수 보일러(40)에 의해 생성된 증기에 의해 구동하는 것이고, 고압 터빈(71)과 저압 터빈(72)을 가지고 있다. 고압 터빈(71)과 저압 터빈(72)은 동일 축 상에 배치되고, 발전기(73)가 연결되어 있다. 고압 과열기(45)의 고압 증기는 고압 증기 공급 통로(74)에 의해 고압 터빈(71)에 공급되고, 저압 과열기(55)의 저압 증기는 저압 증기 공급 통로(75)에 의해 저압 터빈(72)에 공급된다. 그리고, 고압 터빈(71)에서 배출된 고압 증기는 고압 증기 배출 통로(76)에 의해 저압 증기 공급 통로(75)에 공급되고, 저압 터빈(72)에서 배출된 저압 증기는 저압 증기 배출 통로(77)에 의해 복수기(78)에 공급된다.
복수기(78)는 회수된 증기를 해수(海水)에 의해 냉각하여 복수로 하는 것이다. 이 복수기(78)는 생성한 복수를 복수 공급 라인(81)에 의해 저압 절탄기(52)에 보낸다. 복수 공급 라인(81)에 그랜드 콘덴서(8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 공급 라인(81)에서 저압 절탄기(52)에 도입되는 복수(급수)를 바이패스하는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83)이 설치되고, 이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83)에 바이패스 조절 밸브(제2 밸브)(8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냉각수 공급 라인(62)에 따른 온도 조절 밸브(63)보다 상류 측에서 분기하여 복수기(78)에 도달하는 급수 회수 라인(85)이 설치되고, 급수 회수 라인(85)에 공기 냉각기(31)에 공급하는 냉각수 유량을 확보하기 위한 유량 조정 밸브(86)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스 터빈 컴바인드 사이클 플랜트(11)에서, 터빈(23)에 따른 운동 날개의 선단과 터빈 차실 측과의 클리어런스는 운동 날개나 터빈 차실 등의 열 팽창을 고려한 클리어런스 양이 되어 있고, 터빈(23)에 의한 구동력의 회수 효율이 저하, 억지로는 가스 터빈(20) 자체의 성능 저하의 관점에서 터빈(23)에 따른 운동 날개의 선단과 터빈 차실 측과의 클리어런스를 가능한 한 작은 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가스 터빈(20)의 기동 시, 터빈(23)의 운동 날개는 고속 회전함과 동시에, 연소 가스의 영향을 빠르게 받으므로, 선단부가 지름 방향에 따른 외측으로 신장한다. 한편, 터빈 차실은 열 용량이 크기 때문에 지름 방향에 따른 외측으로의 신장량이 운동 날개보다도 적다. 그 때문에, 터빈(23)의 운동 날개의 선단과 터빈 차실의 내주면의 클리어런스가 작아지게 되고, 간섭의 위험성이 높아진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 밸브(35)를 개폐 제어 가능한 제어부(101)를 설치하고, 이 제어부(101)는 가스 터빈(20)의 기동 중에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저 레벨 개도 이하로 하고, 가스 터빈(20)의 부하 상승 후에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보다 크게 한다.
즉, 복수기(78)는 복수 공급 라인(81)을 개재하여 저압 절탄기(52)에 연결되고, 저압 절탄기(52)는 급수 펌프(60)를 가지는 급수 라인(59)을 개재하여 고압 절탄기(42)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 공급 라인(81)에서 저압 절탄기(52)를 바이패스하여 급수 라인(59)에 연결하는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83)이 설치되고,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83)에 바이패스 조절 밸브(84)가 설치되어 있다. 고압 절탄기(42)는 유량 조절 밸브(49)를 가지는 제1 고압 급수 라인(46)을 개재하여 고압 드럼(43)에 연결되고, 급수 라인(59)에 따른 고압 절탄기(42)보다 상류 측에 압력 조정 밸브(9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급수 라인(59)에서 분기하는 제1 냉각수 공급 라인(61)은 공기 냉각기(31)에 연결되고, 제1 냉각수 공급 라인(61)에 냉각수 차단 밸브로서의 메인 밸브(92)와 서브 밸브(93)가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공기 냉각기(31)로부터의 제2 냉각수 공급 라인(62)은 제1 고압 급수 라인(46)에 따른 고압 절탄기(42)보다 하류 측이고, 또한 유량 조절 밸브(49)보다 하류 측에 연결되며, 온도 조절 밸브(6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냉각수 공급 라인(61)에 따른 메인 밸브(92) 및 서브 밸브(93)보다 상류 측에 제1 온도 센서(111)가 설치되고, 제2 냉각수 공급 라인(62)에 따른 온도 조절 밸브(63)보다 상류 측에 제2 온도 센서(11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제2 온도 센서(111), (112)는 측정한 급수(복수)의 온도를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한편, 압축기(21)에서 추기한 압축 공기를 공기 냉각기(31)에 공급하는 추기 라인(32)이 설치됨과 동시에, 공기 냉각기(31)에서 냉각한 압축 공기를 터빈(23)에 따른 로터계 냉각 계통에 공급하는 냉각 공기 공급 라인(3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추기 라인(32)에서 공기 냉각기(31)를 바이패스하여 냉각 공기 공급 라인(33)에 도달하는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34)이 설치되고,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34)에 전동 밸브(3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냉각 공기 공급 라인(33)에 따른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34)의 연결부보다 하류 측에 제3 온도 센서(113)가 설치되어 있다. 제3 온도 센서(113)는 측정한 압축 공기(냉각 공기)의 온도를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여기서, 전동 밸브(35)는 제어부(101)에서 밸브 개도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가 차단되거나 밸브 구동원(도시하지 않은 전력 장치)으로부터의 전력이 차단되거나 했을 때, 그때의 밸브 개도를 유지 가능한 밸브이다. 즉, 전동 밸브(35)는 도시하지 않지만, 전기 모터의 구동 회전력을 감속기로 감속하여 밸브체에 전달함으로써, 이 밸브체를 이동하여 그 개도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서, 제어 신호나 공급 전력이 차단되어도 개방 측이나 폐지(閉止) 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현재 위치에서 정지하여 밸브 개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전동 밸브(35)는 그 밸브 개도를 검출하는 개도 센서(검출부)(121)가 설치되어 있다. 개도 센서(121)는 검출한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제어부(101)에 출력한다. 그리고, 개도 센서(121)는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가 저 레벨 개도 이하라고 검출했을 때, 제어부(101)는 가스 터빈(20)의 기동을 개시한다.
또한, 제어부(101)는 가스 터빈(20)에 따른 회전계와 정지계의 클리어런스가 작아지는 이상 상태 시에,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 이하까지 닫힘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1)는 가스 터빈(20)에 따른 회전계와 정지계의 클리어런스가 작아지도록 운전을 하는 경우에,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 이하까지 닫힘 제어한다. 여기서, 저 레벨 개도 이하로 한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란 미세 열림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0도(전폐)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01)는 가스 터빈(20)의 기동 중,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34)으로의 압축 공기의 바이패스량을 줄이기 위해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 이하로 하도록 전동 밸브(35)를 닫힘 제어함과 동시에,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83)으로의 급수의 바이패스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바이패스 조절 밸브(84)의 밸브 개도를 열림 제어한다. 한편, 가스 터빈(20)의 부하 상승 후에,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34)으로의 압축 공기의 바이패스량을 증가하기 위해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보다도 크게 하도록 전동 밸브(35)를 열림 제어함과 동시에,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83)으로의 급수의 바이패스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바이패스 조절 밸브(84)의 밸브 개도를 닫힘 제어한다.
여기서, 가스 터빈(20)의 기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t1에서 가스 터빈(20)이 기동하면 로터(24)의 회전수가 상승하고, 시간t2에서 로터(24)의 회전수가 정격 회전수에 도달하여 일정한 값으로 유지된다. 그 사이에, 압축기(21)는 공기 취입 라인(25)에서 공기를 취입하고, 복수의 고정 날개 및 운동 날개를 통과하여 공기가 압축됨으로써 고온 고압의 압축 공기를 생성한다. 연소기(22)는 로터(24)의 회전수가 정격 회전수에 도달하기 전에 점화되고, 압축 공기에 연료를 공급하여 연소함으로써 고온 고압의 연소 가스를 생성한다. 터빈(23)은 연소 가스가 복수의 고정 날개 및 운동 날개를 통과함으로써 로터(24)를 구동 회전한다. 그 때문에, 가스 터빈(20)은 그 후 부하(출력)가 상승하고, 정격 부하(정격 출력)에 도달하여 일정한 값으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가스 터빈(20)의 기동 시, 터빈(23)의 운동 날개는 고속 회전함으로써 지름 방향에 따른 외측으로 변위(신장)하고, 그 후, 고온 고압의 연소 가스에서 열을 받음으로써 한층 더 외측으로 변위(신장)한다. 한편, 터빈 차실 측의 날개환도 고온 고압의 연소 가스에서 열을 받음으로써 외측으로 변위(신장)한다. 이때, 압축기(21)에서 추출하여 얻어진 압축 공기가 공기 냉각기(31)에 의해 냉각되고, 터빈(23)의 로터(24)나 운동 날개에 공급됨으로써 냉각된다. 또한 압축기(21)의 추기실에서 추출하여 얻어진 압축 공기가 터빈(23)에 따른 터빈 차실에 공급됨으로써 냉각된다.
단, 터빈(23)에 따른 로터(24)나 운동 날개는 터빈 차실 측의 날개환에 비해, 고온 고압의 연소 가스에서 많은 열을 받음으로 외측으로의 변위량이 크다. 그 때문에, 운동 날개의 선단과 날개환의 내주면의 클리어런스가 일시적으로 크게 감소하는 핀치 포인트(최소 간격)가 발생한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운동 날개의 선단과 날개환의 내주면의 클리어런스S2(점선)는 로터(24)의 회전수가 정격 회전수에 도달 전인 과도기에 크게 감소하고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스 터빈(20)의 기동 중에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저 레벨 개도 이하로 하고, 가스 터빈(20)의 부하 상승 후에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보다 크게 한다. 또한, 전동 밸브(35)에 따른 저 레벨 개도 이하의 개도는 미세 열림 상태(개도 A)인데, 0도(전폐)로 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101)는 가스 터빈(20)의 기동 중에 바이패스 조절 밸브(84)를 열림 제어하고, 가스 터빈(20)의 부하 상승 후에 바이패스 조절 밸브(84)의 밸브 개도를 닫힘 제어한다.
즉, 시간t1에서 가스 터빈(20)이 기동하면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개도수 %)로 하고, 바이패스 조절 밸브(84)의 밸브 개도를 사전에 설정된 소정 개도(예를 들어, 개도 50%)로 한다.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가 저 레벨 개도가 되면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34)을 통하는 압축 공기량이 감소하고, 공기 냉각기(31)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량이 증가한다. 또한, 바이패스 조절 밸브(84)의 밸브 개도가 소정 개도까지 커지면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83)을 통하는 급수량이 증가하고, 저압 절탄기(52)에 도입되는 급수량이 감소한다.
그렇게 되면, 공기 냉각기(31)는 압축기(21)에서 추기 라인(32)을 통하여 도입되는 압축 공기량이 증가하는 한편, 복수기(78)에서 제1 냉각수 공급 라인(61)을 통하여 도입되는 급수의 온도가 저하한다. 그 때문에, 공기 냉각기(31)에서 압축기(21)에서 도입되는 다량의 압축 공기가 복수기(78)에서 도입되는 저온의 급수에 의해 냉각된다. 다시 말해, 기동 중은 냉각 공기 공급 라인(33)에 송출하는 냉각용 압축 공기를 냉각하는 정도를 높이고 있다.
예를 들어, 복수기(78)로부터의 급수(복수)가 40℃일 때, 저압 절탄기(52)를 통과한 급수와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83)을 통과한 급수가 혼합하여 50℃의 급수가 된다. 그리고, 50℃의 급수가 급수 펌프(60)에 의해 제1 냉각수 공급 라인(61)을 통하여 공기 냉각기(31)에 도입된다. 한편, 압축기(21)에서 추기한 압축 공기의 온도가 400℃이다. 그 때문에, 공기 냉각기(31)는 400℃의 압축 공기를 50℃의 급수에 의해 냉각한다. 그 결과, 400℃의 압축 공기는 200℃까지 냉각되고 나서 터빈(23)의 냉각 계통에 공급되고, 50℃의 급수는 300℃까지 온도 상승한다. 여기서, 제어부(101)는 각 온도 센서(111), (112), (113)가 검출한 급수 및 압축 공기의 온도를 감시하고 있고, 공기 냉각기(31)에서 냉각 공기 공급 라인(33)을 통하여 터빈(23)의 냉각 계통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온도가 제1 목표 온도(예를 들어, 200℃)가 되도록 전동 밸브(35)와 바이패스 조절 밸브(84)를 개폐 제어한다.
그 결과, 공기 냉각기(31)는 더욱 저온인 압축 공기를 터빈(23)의 냉각 계통에 공급함으로써, 터빈(23)의 로터(24)나 운동 날개를 효율 좋게 냉각한다. 그렇게 하면, 연소 가스에 의한 로터(24)나 운동 날개의 변위(신장)가 억제되고, 운동 날개의 선단과 터빈 차실의 클리어런스를 적정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동 중은 터빈(23)의 로터(24)나 운동 날개를 냉각하는 정도를 높임으로써, 이들의 신장을 크게 억제하고, 정지계와의 접촉 위험을 확실히 방지한다.
그 다음, 가스 터빈(20)이 정격 회전수에 도달하면 터빈 차실 측의 날개환도 고온 고압의 연소 가스에서 많은 열을 받게 되어 외측으로의 변위량이 커진다. 그 때문에, 운동 날개의 선단과 날개환의 내주면의 클리어런스가 점차 커지게 된다. 그래서, 시간t2에서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보다 크게(예를 들어, 개도 10%) 함과 동시에, 바이패스 조절 밸브(84)의 밸브 개도를 사전에 설정된 소정 개도(예를 들어, 개도 0%)로 닫힘 제어한다.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가 커지면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34)을 통하는 압축 공기량이 증가하고, 공기 냉각기(31)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량이 감소한다. 또한, 바이패스 조절 밸브(84)의 밸브 개도가 작아지면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83)을 통하는 급수량이 감소하고, 저압 절탄기(52)에 도입되는 급수량이 증가한다.
그렇게 되면, 공기 냉각기(31)는 압축기(21)에서 추기 라인(32)을 통하여 도입되는 압축 공기량이 감소하는 한편, 저압 절탄기(52)에서 제1 냉각수 공급 라인(61)을 통하여 도입되는 급수의 온도가 상승한다. 그 때문에, 공기 냉각기(31)에서 압축기(21)에서 도입되는 적정량의 압축 공기가 복수기(78)에서 도입되는 급수에 의해 냉각된다.
예를 들어, 복수기(78)로부터의 급수(복수)가 40℃일 때, 그 급수는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83)을 통과하는 일 없이 모두 저압 절탄기(52)를 통과하고, 통과 후의 급수 온도가 50℃가 된다. 그리고, 150℃의 급수가 급수 펌프(60)에 의해 제1 냉각수 공급 라인(61)을 통하여 공기 냉각기(31)에 도입된다. 한편, 압축기(21)에서 추기한 압축 공기의 온도가 500℃이다. 그 때문에, 공기 냉각기(31)는 500℃의 압축 공기를 150℃의 급수에 의해 냉각하고, 공기 냉각기(31)에서 냉각된 저온의 압축 공기와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34)을 통과한 고온의 공기가 혼합한다. 그 결과, 500℃의 압축 공기는 250℃까지 냉각되고 나서 터빈(23)의 냉각 계통에 공급되고, 150℃의 급수는 350℃까지 온도 상승한다. 여기서, 제어부(101)는 각 온도 센서(111), (112), (113)가 검출한 급수 및 압축 공기의 온도를 감시하고 있고, 공기 냉각기(31)에서 냉각 공기 공급 라인(33)을 통하여 터빈(23)의 냉각 계통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온도가 제2 목표 온도(예를 들어, 250℃)가 되도록 온도 조절 밸브(63)를 개폐 제어한다.
그 결과, 공기 냉각기(31)는 적온의 압축 공기를 터빈(23)의 냉각 계통에 공급함으로써, 터빈(23)의 로터(24)나 운동 날개를 효율 좋게 냉각한다. 그렇게 하면, 연소 가스에 의한 로터(24)나 운동 날개의 변위(신장)가 억제되고, 운동 날개의 선단과 터빈 차실 측의 클리어런스를 적정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부하 상승 후는 터빈(23)의 로터(24)나 운동 날개를 냉각하는 정도를 낮춤으로써, 그들의 팽창을 기동 중보다도 억제하고, 정지계와의 클리어런스를 좁게 하여 성능을 높인다.
여기서, 압축 공기 및 급수의 온도 변화, 터빈(23)의 회전계와 정지계의 클리어런스의 변화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스 터빈(20)의 기동 시, 공기 냉각기(31)에 도입되는 급수의 온도T1은 예를 들어, 50℃이고 가스 터빈(20)이 정격 회전수에 도달 후는 150도까지 상승한다. 또한, 가스 터빈(20)의 기동 시, 공기 냉각기(31)에서 배출되는 급수의 온도T2는 예를 들어, 300℃이고 가스 터빈(20)이 정격 회전수에 도달 후는 350℃까지 상승한다. 또한, 가스 터빈(20)의 기동 시, 공기 냉각기(31)에서 냉각된 후에 터빈(23)에 보내지는 압축 공기의 온도T3은 예를 들어, 200℃이고 가스 터빈(20)이 정격 회전수에 도달 후는 250℃까지 상승한다.
그 때문에, 터빈(23)의 회전계와 정지계의 클리어런스S1은 터빈(23)의 회전수가 상승하는 과도기에서 얼마간 감소하지만, 거의 일정한 값으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클리어런스S1이 거의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클리어런스S1보다 작은 클리어런스S3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가스 터빈(20)의 부하가 상승한 후의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예를 들어, 개도 10%으로부터 크게 하고, 목표로 하는 압축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터빈(23)의 회전계와 정지계의 클리어런스S2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스 터빈(20)에서 터빈(23)의 회전계와 정지계의 클리어런스가 작아지는 이상 상태 시에,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 이하까지 닫힘 제어한다. 이상 상태 시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때이다. 즉, 터빈(23)의 정지계에 공급되어 있는 냉각 공기의 온도가 저하하거나 냉각 공기의 양이 증가하거나 할 때이다. 또한, 공기 냉각기(31)에 공급되어 있는 급수의 온도가 상승하거나 급수의 양이 저하하거나 할 때이다. 또한, 압축기(21)에서 추기한 압축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거나 압축 공기의 양이 저하하거나 할 때이다. 이와 같은 때, 터빈(23)의 회전계와 정지계의 클리어런스가 작아지므로,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 이하까지 닫힘 제어하고, 공기 냉각기(31)에서 냉각하는 압축 공기의 양을 증가시키고, 터빈(23)에 공급하는 압축 공기의 온도를 저하시킨다.
또한, 가스 터빈(20)에서 터빈(23)의 회전계와 정지계의 클리어런스가 작아지도록 운전을 하는 경우에,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 이하까지 닫힘 제어한다. 예를 들어, 가스 터빈 부하를 필요 이상으로 올리는 과도 시, 회전계의 온도가 상승하여 클리어런스가 작아진다. 이와 같은 때,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 이하까지 닫힘 제어하고, 공기 냉각기(31)에서 냉각하는 압축 공기의 양을 증가시키고, 터빈(23)에 공급하는 압축 공기의 온도를 저하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가스 터빈에서는, 압축기(21)와 연소기(22)와 터빈(23)을 설치함과 동시에, 압축기(21)에서 추기한 압축 공기를 열 교환하여 냉각된 압축 공기를 터빈(23)에 따른 로터계 냉각 계통에 공급하는 공기 냉각기(31)와, 공기 냉각기(31)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를 바이패스하는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34)과,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34)에 설치되는 전동 밸브(35)와, 가스 터빈(20)의 기동 중에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 이하로 하고, 가스 터빈(20)의 부하 상승 후에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보다 크게 하도록 전동 밸브(35)를 개폐 제어하는 제어부(101)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가스 터빈(20)의 기동 중,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 이하로 하면,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34)을 통하는 압축 공기량이 감소하는 한편, 공기 냉각기(31)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량이 증가한다. 그 때문에, 터빈(23)에 따른 로터계 냉각 계통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온도가 저하하고, 연소 가스에 의한 로터계의 열 팽창을 억제하고, 운동 날개와 터빈 차실 측의 클리어런스를 적정량으로 하고, 운동 날개의 선단과 터빈 차실의 내주면의 접촉 위험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부하 상승 후,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보다 크게 함으로써,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34)을 통하는 압축 공기량이 증가하는 한편, 공기 냉각기(31)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량이 감소한다. 그 때문에, 터빈에 따른 로터계 냉각 계통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온도가 저하하는 정도가 기동 중에 비해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상기 틈새가 좁아지고,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가스 터빈에서는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검출하는 개도 센서(121)를 설치하고, 개도 센서(121)는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가 저 레벨 개도 이하라고 검출했을 때, 제어부(101)는 가스 터빈(20)의 기동을 개시한다. 따라서, 가스 터빈(20)의 기동 전에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가 저 레벨 개도 이하라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가스 터빈(20)의 기동을 공기 냉각기(31)에 도입하는 압축 공기량이 적은 상태에서 실시하여, 로터계가 충분히 냉각되지 않음으로써, 운동 날개의 선단과 터빈 차실의 내주면이 접촉하는 위험에 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가스 터빈에서는, 전동 밸브(35)는 밸브 개도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나 밸브 구동원의 차단 시에 그때의 밸브 개도를 유지 가능한 밸브이다. 따라서, 제어 계통이나 전원 계통이 상실해도 전동 밸브(35)는 현재의 개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공기 냉각기(31)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량이 변동하는 일이 없고, 로터계를 적정하게 냉각하여 운동 날개와 터빈 차실 측의 클리어런스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가스 터빈에서는, 제어부(101)는 가스 터빈(20)에 따른 회전계와 정지계의 클리어런스가 작아지는 이상 상태 시에,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 이하까지 닫힘 제어한다. 따라서, 어떠한 원인으로 회전계와 정지계의 클리어런스가 작아지는 이상 상태가 발생하면,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 이하까지 닫힘 제어하기 때문에, 공기 냉각기(31)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량이 증가하고, 로터계 냉각 계통에 공급하는 압축 공기의 온도가 저하한다. 그러면 연소 가스에 의한 로터계의 열 팽창을 억제하고, 운동 날개와 터빈 차실 측의 클리어런스를 확대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가스 터빈에서는, 제어부(101)는 가스 터빈(20)에 따른 회전계와 정지계의 클리어런스가 작아지는 운전을 하는 경우에,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 이하까지 닫힘 제어한다. 따라서, 부하 변동 등에 따라, 가스 터빈(20)에 따른 회전계와 정지계의 클리어런스가 작아지게 되는 운전을 하면,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 이하까지 닫힘 제어하기 때문에, 공기 냉각기(31)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량이 증가하고, 로터계 냉각 계통에 공급하는 압축 공기의 온도가 저하한다. 그러면 연소 가스에 의한 로터계의 열 팽창을 억제하고, 운동 날개와 터빈 차실 측의 틈새(클리어런스)를 확대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가스 터빈에서는 전동 밸브(35)의 저 레벨 개도 이하의 밸브 개도를 미세 열림 상태로 하고 있다. 만일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완전히 닫힘 제어하면,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34)에 따른 압축 공기의 흐름이 정체하고, 온도 저하에 의해 드레인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저 레벨 개도 이하의 밸브 개도를 미세 열림 상태로 함으로써,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34)을 미소한 압축 공기가 흐르게 되어, 드레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가스 터빈 컴바인드 사이클 플랜트에서는, 가스 터빈(20)과 배열 회수 보일러(40)와 증기 터빈(70)과 복수기(78)와 공기 냉각기(31)를 설치함과 동시에, 저압 절탄기(52)에 도입되는 급수를 바이패스하는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83)과,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83)에 설치되는 바이패스 조절 밸브(84)를 설치하고, 제어부(101)는 가스 터빈(20)의 기동 중에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34)으로의 압축 공기의 바이패스량을 줄이기 위해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 이하로 하도록 전동 밸브(35)를 닫힘 제어함과 동시에,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83)으로의 급수의 바이패스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바이패스 조절 밸브(84)의 밸브 개도를 열림 제어하고, 가스 터빈(20)의 부하 상승 후에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34)으로의 압축 공기의 바이패스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보다도 크게 하도록 전동 밸브(35)를 열림 제어함과 동시에,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83)으로의 급수의 바이패스량을 줄이기 위해 바이패스 조절 밸브(84)의 밸브 개도를 닫힘 제어한다.
따라서, 가스 터빈(20)의 기동 중, 공기 냉각기(31)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량이 증가하고, 이 압축 공기를 냉각하는 급수의 온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터빈(23)에 따른 로터계 냉각 계통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온도를 저하할 수 있다. 그 결과, 연소 가스에 의한 로터계의 열 팽창을 억제하고, 운동 날개와 터빈 차실 측의 클리어런스를 적정량으로 하여 운동 날개의 선단과 터빈 차실의 내주면의 접촉 위험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부하 상승 후에,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34)으로의 압축 공기의 바이패스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보다도 크게 함과 동시에,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83)으로의 급수의 바이패스량을 줄이기 위해 바이패스 조정 밸브(84)의 밸브 개도를 닫힘 제어한다. 즉, 가스 터빈(20)의 부하 상승 후에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34)을 통하는 압축 공기량이 증가하면 공기 냉각기(31)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량이 감소한다. 또한,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83)을 통하는 급수량이 감소하면 저압 절탄기(52)에 도입되는 급수량이 증가한다. 그 때문에, 터빈에 따른 로터계 냉각 계통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온도가 저하하는 정도가 기동 중에 비해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상기 틈새가 좁아지고,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가스 터빈의 기동 방법에서는 가스 터빈(20)의 기동 중에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소정의 저 레벨 개도 이하로 하고, 가스 터빈(20)의 부하 상승 후에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보다 크게 한다. 따라서, 가스 터빈(20)의 기동 중은 터빈(23)에 따른 로터계 냉각 계통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온도가 더욱 저하하고, 연소 가스에 의한 로터계의 열 팽창을 억제하고, 가스 터빈(20)의 부하 상승 후는 운동 날개와 터빈 차실 측의 틈새(클리어런스)를 적정량으로 하고, 운동 날개의 선단과 터빈 차실의 내주면의 접촉 위험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부하 상승 후에,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34)으로의 압축 공기의 바이패스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전동 밸브(35)의 밸브 개도를 저 레벨 개도보다도 크게 함과 동시에,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83)으로의 급수의 바이패스량을 줄이기 위해 바이패스 조정 밸브(84)의 밸브 개도를 닫힘 제어한다. 즉, 가스 터빈(20)의 부하 상승 후에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34)을 통하는 압축 공기량이 증가하면 공기 냉각기(31)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량이 감소한다. 또한,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83)을 통하는 급수량이 감소하면 저압 절탄기(52)에 도입되는 급수량이 증가한다. 그 때문에, 터빈에 따른 로터계 냉각 계통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온도가 저하하는 정도가 기동 중에 비해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상기 틈새가 좁아지고,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가스 터빈을 컴바인드 사이클 플랜트에 적용하여 설명하였는데, 이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열 회수 보일러가 없는 심플 사이클에 적용해도 된다.
11 가스 터빈 컴바인드 사이클 플랜트
12 가스 터빈부
13 증기 터빈부
20 가스 터빈
21 압축기
22 연소기
23 터빈
31 공기 냉각기
34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
35 전동 밸브(제1 밸브)
40 배열 회수 보일러
41 고압 유닛
42 고압 절탄기
51 저압 유닛
52 저압 절탄기
70 증기 터빈
71 고압 터빈
72 저압 터빈
78 복수기
83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
84 바이패스 조절 밸브(제2 밸브)
101 제어부
111 제1 온도 센서
112 제2 온도 센서
113 제3 온도 센서
121 개도 센서(검출부)

Claims (8)

  1.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가 압축한 압축 공기와 연료를 혼합하여 연소하는 연소기와,
    상기 연소기가 생성한 연소 가스에 의해 회전 동력을 얻는 터빈과,
    상기 압축기에서 추기한 압축 공기를 열 교환하여 냉각시킨 압축 공기를 상기 터빈에 따른 로터계 냉각 계통에 공급하는 공기 냉각기와,
    상기 공기 냉각기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를 바이패스하는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과,
    상기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에 설치되는 제1 밸브와,
    가스 터빈의 기동 중에 상기 제1 밸브의 밸브 개도를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저 레벨 개도 이하로 하고, 상기 가스 터빈의 부하 상승 후에 상기 제1 밸브의 밸브 개도를 상기 저 레벨 개도보다 크게 하도록 상기 제1 밸브를 개폐 제어하는 제어부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의 밸브 개도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1 밸브의 밸브 개도가 상기 저 레벨 개도 이하라고 검출했을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터빈의 기동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는 밸브 개도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나 밸브 구동원의 차단 시에 그때의 밸브 개도를 유지 가능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터빈에 따른 회전계와 정지계(靜止系)의 클리어런스가 작아지는 이상 상태 시에, 상기 제1 밸브의 밸브 개도를 상기 저 레벨 개도 이하까지 닫힘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터빈에 따른 회전계와 정지계의 클리어런스가 작아지도록 운전을 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밸브의 밸브 개도를 상기 저 레벨 개도 이하까지 닫힘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저 레벨 개도 이하로 한 상기 제1 밸브의 개도가 미세 열림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스 터빈과,
    상기 가스 터빈에서 배출된 배기 가스의 배열에 의해 증기를 생성하는 배열 회수 보일러와,
    상기 배열 회수 보일러에 의해 생성된 증기에 의해 구동하는 증기 터빈과,
    상기 증기 터빈에서 배출된 증기를 응축시켜 물을 생성하는 복수기와,
    상기 복수기에서 절탄기를 경유하여 얻어지는 급수를 상기 공기 냉각기에 송출하여 압축 공기와 열 교환하는 급수 라인과,
    상기 절탄기에 도입되는 급수를 바이패스하는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과,
    상기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에 설치되는 제2 밸브
    를 가지는 컴바인드 사이클 플랜트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터빈의 기동 중에, 상기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으로의 압축 공기의 바이패스량을 줄이기 위해, 상기 제1 밸브의 밸브 개도를 상기 저 레벨 개도 이하로 하도록 상기 제1 밸브를 닫힘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으로의 급수의 바이패스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2 밸브의 밸브 개도를 열림 제어하고,
    상기 가스 터빈의 부하 상승 후에, 상기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으로의 압축 공기의 바이패스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밸브의 밸브 개도를 상기 저 레벨 개도보다도 크게 하도록 상기 제1 밸브를 열림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절탄기 바이패스 라인으로의 급수의 바이패스량을 줄이기 위해 상기 제2 밸브의 밸브 개도를 닫힘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바인드 사이클 플랜트.
  8.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가 압축한 압축 공기와 연료를 혼합하여 연소하는 연소기와,
    상기 연소기가 생성한 연소 가스에 의해 회전 동력을 얻는 터빈과,
    상기 압축기에서 추기한 압축 공기를 열 교환하여 냉각시킨 압축 공기를 상기 터빈에 따른 로터계 냉각 계통에 공급하는 공기 냉각기와,
    상기 공기 냉각기에 도입되는 압축 공기를 바이패스하는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과,
    상기 공기 냉각기 바이패스 라인에 설치되는 제1 밸브
    를 가지는 가스 터빈의 기동 방법에 있어서,
    가스 터빈의 기동 중에 상기 제1 밸브의 밸브 개도를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저 레벨 개도 이하로 하고, 상기 가스 터빈의 부하 상승 후에 상기 제1 밸브의 밸브 개도를 상기 저 레벨 개도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터빈의 기동 방법.
KR1020177006341A 2014-10-03 2015-09-15 가스 터빈, 컴바인드 사이클 플랜트, 가스 터빈의 기동 방법 KR1019461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04692 2014-10-03
JP2014204692A JP6368611B2 (ja) 2014-10-03 2014-10-03 ガスタービン、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プラント、ガスタービンの起動方法
PCT/JP2015/076169 WO2016052177A1 (ja) 2014-10-03 2015-09-15 ガスタービン、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プラント、ガスタービンの起動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6791A KR20170036791A (ko) 2017-04-03
KR101946176B1 true KR101946176B1 (ko) 2019-02-08

Family

ID=55630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341A KR101946176B1 (ko) 2014-10-03 2015-09-15 가스 터빈, 컴바인드 사이클 플랜트, 가스 터빈의 기동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55543B2 (ko)
JP (1) JP6368611B2 (ko)
KR (1) KR101946176B1 (ko)
CN (1) CN106795778B (ko)
DE (1) DE112015004548B4 (ko)
WO (1) WO20160521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3994B2 (en) * 2014-04-08 2018-05-08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rance control utilizing fuel heating
US10767561B2 (en) 2014-10-10 2020-09-08 Stellar Energy America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the ambient air at the inlet of gas combustion turbine generators
CN108474268B8 (zh) * 2015-12-22 2021-01-19 西门子能源美国公司 联合循环动力装置中的烟囱能量控制
JP6700776B2 (ja) * 2015-12-24 2020-05-27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冷却系統、これを備えるガスタービン設備、ガスタービン冷却系統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10731501B2 (en) * 2016-04-22 2020-08-04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utilizing a motor assist and an enhanced compressor
US10920609B2 (en) 2017-04-25 2021-02-16 Safran Aircraft Engines Turbine engine turbine assembly
FR3065484B1 (fr) * 2017-04-25 2019-07-05 Safran Aircraft Engines Ensemble de turbine de turbomachine
KR102023003B1 (ko) * 2017-10-16 2019-11-04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압력차 발전을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
US11225915B2 (en) * 2017-11-16 2022-01-18 General Electric Company Engine core speed reducing method and system
US11131218B2 (en) * 2018-03-16 2021-09-28 Uop Llc Processes for adjusting at least one process condition of a chemical processing unit with a turbine
JP7120839B2 (ja) * 2018-08-01 2022-08-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蒸気タービンプラント、及びその起動方法
CN109812299B (zh) * 2019-01-17 2022-07-05 杭州汽轮动力集团有限公司 一种燃气轮机透平转子冷却调节方法及冷却气体系统
JP7093319B2 (ja) * 2019-02-21 2022-06-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汽力プラントの復水給水系統及び汽力プラント復水給水系統の運転方法
JP7349266B2 (ja) * 2019-05-31 2023-09-2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プラント
GB2584712A (en) * 2019-06-13 2020-12-16 Rolls Royce Plc A forced air conv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a turbomachine
WO2022054777A1 (ja) 2020-09-08 2022-03-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のクリアランス制御システム
US11719156B2 (en) 2021-03-30 2023-08-08 Doosan Enerbility Co., Ltd.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feedwater fuel preheating arrangement
KR102434627B1 (ko) * 2021-03-30 2022-08-19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복합 발전 시스템 및 복합 발전 시스템의 구동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8807A (ja) * 2006-08-08 2008-02-21 Hitachi Ltd ガスタービン及びトランジションピース
JP4488631B2 (ja) * 2001-01-18 2010-06-23 株式会社東芝 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発電設備およびその運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8881A (en) * 1967-01-10 1968-08-27 United Aircraft Corp Compressor bleed device
JPS634800A (ja) 1986-06-24 1988-01-09 Sony Corp 空気流型スピ−カ装置
JPH1150809A (ja) 1997-08-01 1999-02-23 Mitsubishi Heavy Ind Ltd 回転体の伸び量調整装置
JP3977909B2 (ja) * 1997-11-26 2007-09-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回収式蒸気冷却ガスタービン
JP3750519B2 (ja) 2000-12-01 2006-03-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コンバインドプラント及びその運転方法
JP3716188B2 (ja) * 2001-04-10 2005-11-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コンバインドプラント
EP1293655A1 (en) 2001-09-13 2003-03-19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Gas turbine, driving method thereof and gas turbine combined electric power generation plant
JP2003120328A (ja) * 2001-10-10 2003-04-23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およびその運転方法、並びにガスタービン複合発電プラント
JP4004800B2 (ja) 2002-01-10 2007-11-07 株式会社東芝 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発電システム
US7293953B2 (en) 2005-11-15 2007-11-13 General Electric Company Integrated turbine sealing air and active clear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JP2008002363A (ja) * 2006-06-23 2008-01-10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及びその冷却方法
US7823390B2 (en) * 2007-02-27 2010-11-02 General Electric Company Mixer for cooling and sealing air system of turbomachinery
CN102112703B (zh) 2009-01-20 2014-07-23 三菱重工业株式会社 燃气轮机设备
JP5221443B2 (ja) * 2009-05-08 2013-06-26 株式会社東芝 一軸型複合サイクル発電プラントの起動方法および一軸型複合サイクル発電プラント
JP2012184734A (ja) * 2011-03-07 2012-09-27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及びガスタービン冷却方法
EP2574732A2 (en) 2011-09-29 2013-04-03 Hitachi Ltd. Gas turbine
JP2013199925A (ja) * 2012-02-21 2013-10-03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設備
US8365514B1 (en) * 2012-02-27 2013-02-05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Hybrid turbofan engine
JP2014084824A (ja) * 2012-10-25 2014-05-12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運転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れを備えたガスタービン
US9562475B2 (en) * 2012-12-19 2017-02-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ane carrier temperature control system in a gas turbine eng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8631B2 (ja) * 2001-01-18 2010-06-23 株式会社東芝 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発電設備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08038807A (ja) * 2006-08-08 2008-02-21 Hitachi Ltd ガスタービン及びトランジションピ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68611B2 (ja) 2018-08-01
DE112015004548T5 (de) 2017-07-06
US10655543B2 (en) 2020-05-19
US20170284307A1 (en) 2017-10-05
DE112015004548B4 (de) 2022-05-19
CN106795778A (zh) 2017-05-31
WO2016052177A1 (ja) 2016-04-07
JP2016075177A (ja) 2016-05-12
KR20170036791A (ko) 2017-04-03
CN106795778B (zh) 2018-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176B1 (ko) 가스 터빈, 컴바인드 사이클 플랜트, 가스 터빈의 기동 방법
KR101823802B1 (ko) 가스터빈, 가스터빈 제어장치 및 가스터빈의 운전방법
ES2376342T3 (es) Sistema y método de control de la posición de la puerta de entrada de una unidad de potencia auxiliar.
US9228501B2 (en) Bleed valve override schedule on off-load transients
JP5787857B2 (ja) ガスタービン冷却系統の制御方法、この方法を実行する制御装置、これを備えているガスタービン設備
KR101813430B1 (ko) 복합 발전 플랜트,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장치
EP3118435B1 (en) Power augmentation system for a gas turbine using compressed air storage
EP1390611A1 (en) Method of operating a gas turbine
US20130167551A1 (en) Turbine to operate at part-load
JP5694112B2 (ja) 一軸型複合サイクル発電プラント及びその運転方法
CN107614837B (zh) 联合循环成套设备、其控制装置及启动方法
KR102227712B1 (ko) 증기 터빈 플랜트
JPH11229898A (ja) ガスタービンの起動制御装置
CN106121747A (zh) 用于在关机期间控制燃气涡轮机的温度的方法
JP5650674B2 (ja) ガスタービンの間隙制御装置、間隙制御方法及び間隙制御装置を備えたガスタービン
JP7178883B2 (ja) 二軸式ガスタービン
JP6590650B2 (ja) 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プラント及びその制御装置、運転方法
JP2004278338A (ja) 蒸気タービンプラントおよび蒸気タービンのプレウォーミング方法
AU2022244770A1 (en) Gas turbin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WO2021118398A1 (ru) Турбодетандерная 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