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161B1 - 철도차량의 탈선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탈선 감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4161B1 KR101944161B1 KR1020160158012A KR20160158012A KR101944161B1 KR 101944161 B1 KR101944161 B1 KR 101944161B1 KR 1020160158012 A KR1020160158012 A KR 1020160158012A KR 20160158012 A KR20160158012 A KR 20160158012A KR 101944161 B1 KR101944161 B1 KR 1019441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block
- punch
- post
- clamp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5 post-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13/00—Other auxiliaries or accessories for railw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50—Other 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8—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air- or spacecraft, railway rolling stock or sea-go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탈선 여부를 정확하게 검출토록 하여 열차의 제동을 포함한 각 운영과 관련한 각부 구성의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철도차량의 탈선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대차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양측벽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저면에서 상측으로 상기 관통홀과 교차하여 관통하는 펀치홀이 형성된 다이블록과, 중심 부위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가설되고, 양단은 제어부에 연결되는 감지선과, 상기 다이블록 또는 고정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다이블록의 하면과 회전각도를 두고 대면하며 상면에 상기 펀치홀에 대응하는 펀치가 구비된 펀치블록 및 상기 펀치블록에 고정되어 양측 레일 상부에 걸쳐지게 설치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의 탈선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대차 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돌출한 형상을 이루는 포스트와, 상기 다이블록은 포스트가 관통하는 제 1 조립홀을 더 형성한 것으로 구성하고, 상기 포스트의 하단을 통해 체결되어 상기 제 1 조립홀의 하부 주연을 받쳐 지지하는 제 1 클램프 및 상기 펀치블록은 상기 포스트가 관통하는 제 2 조립홀을 더 형성한 것으로 구성하고, 상기 포스트의 하단을 통해 체결되어 상기 제 2 조립홀의 하부 주연을 받쳐 지지하는 제 2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탈선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철도차량의 탈선 여부를 정확하게 검출토록 하여 열차의 제동을 포함한 각 운영과 관련한 각부 구성의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철도차량의 탈선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도차량은 일반 차량에 비해 많은 승객 또는 화물을 이송할 수 있어, 교통 및 물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운송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철도차량의 운행에 있어서, 사고의 예방을 위한 관리는 많은 인명피해 및 물적 피해를 줄이거나 방지하기 위한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관리항목의 하나이다.
또한, 철도차량은 동력차에 복수의 종동차가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어 사고 예방뿐 아니라 사고 발생 이후에도 나머지 종동차에 대한 제동을 포함하여 각부 구성의 신속한 조치를 필요로 한다.
여기서, 탈선 감지장치는 동력차 또는 종동차의 탈선 사고 여부를 감지하여 그 이후의 조치를 신속하게 처리토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때 탈선 감지장치에 의한 탈선 여부의 확인은 그 신속성은 물론 정확도가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13831호("열차 장애물 감지시스템과 열차 탈선 감지시스템 및 이들을구비한 시스템";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특징적인 구성은, 철도차량의 탈선 과정에서 레일에 의해 밀려 회전하는 레버와 이 레버의 회동 여부를 감지하는 on/off 스위치 형태의 감지센서 또는 레버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량을 전기신호로 전환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충격 감지센서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감지센서는 레버의 동작 범위 내인 대차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고, 이러한 설치 부위는 기화한 구리스(grease) 내지 흙먼지 등의 이물질의 영향을 받는 곳이고, 이러한 이물질은 감지센서의 오작동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선행기술의 레버는 레일의 높이 이하에 있음에 따라 자갈 등의 영향을 받아 손상 내지 파손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으로부터 자갈을 포함한 각종 이물질에 의한 오작동 가능성을 낮추고, 철도차량의 탈선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신속한 사후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의 탈선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차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양측벽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저면에서 상측으로 상기 관통홀과 교차하여 관통하는 펀치홀이 형성된 다이블록과, 중심 부위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가설되고, 양단은 제어부에 연결되는 감지선과, 상기 다이블록 또는 고정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다이블록의 하면과 회전각도를 두고 대면하며 상면에 상기 펀치홀에 대응하는 펀치가 구비된 펀치블록 및 상기 펀치블록에 고정되어 양측 레일 상부에 걸쳐지게 설치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의 탈선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대차 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돌출한 형상을 이루는 포스트와, 상기 다이블록은 포스트가 관통하는 제 1 조립홀을 더 형성한 것으로 구성하고, 상기 포스트의 하단을 통해 체결되어 상기 제 1 조립홀의 하부 주연을 받쳐 지지하는 제 1 클램프 및 상기 펀치블록은 상기 포스트가 관통하는 제 2 조립홀을 더 형성한 것으로 구성하고, 상기 포스트의 하단을 통해 체결되어 상기 제 2 조립홀의 하부 주연을 받쳐 지지하는 제 2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래킷과 상기 다이블록 사이에는 이들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기 위한 한 종 이상의 스페이스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스트는 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는 상기 포스트에 대응하여 나사 결합하는 너트로 구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홀은 내벽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절연관을 더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관통홀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감지선이 관통홀 또는 상기 절연관 내에서 탄력적으로 팽팽하게 있도록 해당 부위의 상기 감지선을 잡아 당기는 인장부가 각각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장부는 상기 감지선의 측부를 압착 고정하는 밴딩부재와; 상기 감지선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밴딩부재와 슬라이딩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이들 사이의 간격을 좁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관통홀 주연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딩 위치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래킷과 상기 다이블록 사이에는 이들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기 위한 한 종 이상의 스페이스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스트는 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는 상기 포스트에 대응하여 나사 결합하는 너트로 구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통홀은 내벽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절연관을 더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관통홀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감지선이 관통홀 또는 상기 절연관 내에서 탄력적으로 팽팽하게 있도록 해당 부위의 상기 감지선을 잡아 당기는 인장부가 각각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장부는 상기 감지선의 측부를 압착 고정하는 밴딩부재와; 상기 감지선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밴딩부재와 슬라이딩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이들 사이의 간격을 좁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관통홀 주연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딩 위치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위의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탈선시에 샤프트와 연결된 펀치블록이 회동하여 펀치로 하여금 다이블록에 가설된 감지선을 절단함에 따라 제어부의 탈선 여부 확인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후속 조치의 시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단에 의해 양측으로 분리되는 감지선은 상호 벌어지는 방향으로의 탄성 작용을 받음에 따라 절연재 또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 다이블록을 통한 전기적 통전 가능성을 확실하게 배제함으로써 탈선 여부의 확인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탈선 감지장치 구성 및 이들 구성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취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관통홀을 중심으로 하여 탈선 간지장치 구성 및 이들 구성의 배치관계와 결합관게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도 2의 화살표 Ⅲ-Ⅲ 선을 기준으로 한 각부 구성 및 이들 구성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관통홀을 중심으로 하여 탈선 간지장치 구성 및 이들 구성의 배치관계와 결합관게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도 2의 화살표 Ⅲ-Ⅲ 선을 기준으로 한 각부 구성 및 이들 구성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기로 하겠으며,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탈선 감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차 프레임(B)의 하부에 고정부(10)가 마련되고, 이 고정부(10)의 하부에는 감지선(50)을 가설하는 다이블록(22)과 이 다이블록(22)의 밑면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대면하며, 배치된 감지선(50)에 대응하는 펀치(42)를 구비한 펀치블록(34)이 설치되며, 펀치블록(34)에는 양측 레일(R)에 걸쳐지는 샤프트(48)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 중 고정부(10)는,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차 프레임(B)의 하부에 볼트체결 또는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브래킷(12)이 고정되고, 이 브래킷(12)에는 수직하게 하측으로 연장 돌출한 형상의 포스트(14)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이러한 포스트(14)에는 상술한 다이블록(22)과 펀치블록(34)을 설치하기 위한 제 1, 2 클램프(16, 18)가 구비되며,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한 포스트(14)와 제 1, 2 클램프(16, 18)는 그 일 예로서 각각 볼트와 너트로 구성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포스트(14)에 대응 설치되는 다이블록(22)은, 일정 두께의 블록 형상으로 중심 부위에 포스트(14)가 관통 가능한 제 1 조립홀(24)을 형성하고 있으며, 제 1 조립홀(24)에 포스트(14)를 끼우는 형식으로 다이블록(22)을 위치시킨 후 그 하부로부터 제 1 클램프(16)를 이용하여 다이블록(22)의 하강 위치를 제한하게 한다.
이에 더하여 상술한 브래킷(12)과 다이블록(22) 사이에는, 대차 프레임(B)에 대한 다이블록(22)의 위치 설정 및 설치 상태의 안정화를 위하여 통상의 스페이서블록(20)을 개재한 후 상술한 포스트(14)에 제 1 클램프(16)의 나사 결합을 통한 압착 고정으로 다이블록(22)이 설치된다.
한편, 다이블록(22)의 측벽에는 일측에서 상대측으로 관통하는 관통홀(26)이 형성되고, 다이블록(22)의 표면 중심 부위에는 상술한 관통홀(26)에 수직 대응하는 위치에서 관통홀(26)과 연통하게 교차하는 형상의 홈 또는 펀치홀(28)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관통홀(26)에는 다이블록(2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하는 감지선(50)이 가설되고, 이 감지선(50)의 양단 부위는 제어부(도시 안됨)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어부는 감지선(50)을 통한 전원이 인가됨을 통해 해당 감지선(50) 설치된 대차가 탈선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반대로 감지선(50)을 통한 전원 인가가 차단될 경우 해당 감지선(50)이 설치된 대차가 탈선한 것으로 판단하여 연속 연결되는 다른 대차들의 제동을 실시토록 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된다.
그리고, 다이블록(22)의 일단 부위에는, 수평 방향으로 힌지핀(32)을 가설하기 위한 제 1 힌지고리(30)가 형성되고, 이 제 1 힌지고리(30)와 힌지핀(32)에는 상술한 펀치블록(34)의 일단 부위에 형성된 제 2 힌지고리(36)를 통해 힌지 연결된다.
이때, 상술한 감지선(50)은 다이블록(22)의 설치되는 힌지핀(32)과 같은 방향으로 상호 나란하도록 가설토록 함이 바람직하고, 또 감지선(50)이 가설되는 관통홀(26)의 위치는 힌지핀(32)이 가설되는 부위로부터 충분히 이격된 위치 즉, 다이블록(22)의 타단 부위에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지선(50)은 상술한 펀치홀(28) 부위를 수직하게 경유하며, 이에 대응하는 펀치블록(34)의 상면에는,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펀치홀(28)에 대응 삽입이 가능하고, 펀치홀(28) 내에서 노출되어 놓이는 감지선(50)의 측부를 겨냥하는 형태로 펀치(42)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펀치(42)는, 감지선(50)에 근접 대응하는 선단 부위에 감지선(50)을 절단하기 용이하도록 첨예한 형상의 커터(44)를 구비하고, 이 커터(44)의 하측 부위에 해당하는 펀치(42) 부위는 절단되는 감지선(50)의 양단 부위 사이에 접촉에 따른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세라믹 또는 합성수지 등의 불연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절단되는 감지선(50) 사이의 통전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구성으로는, 감지선(50)의 절단된 단부가 접촉 가능한 관통홀(26) 내벽 즉, 다이블록(22)을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홀(26) 내벽이 합성수지 재질 등의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 절연관(52)을 더 구비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 3a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홀(26)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감지선(50)이 관통홀(26) 또는 절연관(52) 내에서 탄력적으로 팽팽하게 있도록 해당 부위의 감지선(50)을 잡아당기는 인장부(54)를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인장부(54)의 구성은, 감지선(50)의 측부를 압착 고정하는 밴딩부재(56)와 감지선(5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부재(58)와 밴딩부재(56)와 슬라이딩부재(58)에 각각 연결되어 이들 사이의 간격을 좁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탄성부재(60) 및 관통홀(26) 주연에 구비되어 슬라이딩부재(58)의 슬라이딩 위치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62)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인장부(54) 구성에 있어서, 슬라이딩부재(58)와 지지부재(62) 상호 간의 연결 관계는, 도 3a와 도 3b에 표현되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62)에 대하여 슬라이딩부재(58)가 나사 결합관계로 감지선(50)에 대한 슬라이딩 위치 변경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로부터 인장부(54)의 작동 예를 살펴보면, 상술한 밴딩부재(56)로 하여금감지선(50)의 측부를 압착 고정한 상태에서 슬라이딩부재(58)와 함께 대응하는 일측의 관통홀(26) 내에 깊숙이 삽입한 상태에서 관통홀(26)의 상대측에 있는 감지선(50)을 통상의 방법으로 고정하고, 이어서 일측의 슬라이딩부재(58)를 지지부재(62)로부터 지지를 받도록 함과 동시에 슬라이딩 인축시키게 되면, 관통홀(26) 내의 감지선(50)은 밴딩부재(56)가 탄성부재(60)를 통해 슬라이딩부재(58) 방향으로 이끌림에 따라 관통홀(26) 내에서 팽팽하게 인장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인장 상태는, 후술하겠으나 펀치(42)에 의한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한편, 상술한 펀치블록(34)은, 다이블록(22)과의 힌지 연결관계와 더불어 그 표면 부위에 상술한 포스트(14)의 단부가 관통하는 제 2 조립홀(38)을 형성하고 있으며, 제 2 조립홀(38)에 포스트(14)를 끼우는 형식으로 펀치블록(34)을 위치시키고, 이어서 포스트(14)의 하측 부위를 통해 제 2 클램프(18)로 그 하부를 받쳐 지지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다이블록(22)과 펀치블록(34) 사이에는, 이들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탄성부재(46)가 개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펀치블록(34)의 무분별한 회동으로부터 펀치(42)에 의한 감지선(50)의 절단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술한 제 2 클램프(18)는 제 1 탄성부재(46)의 탄성력에 대응하여 펀치블록(34)의 회동을 지지함에 따라 다이블록(22)과 펀치블록(34)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펀치블록(34)의 측부 또는 하부에는,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측의 레일(R)에 대향하여 간격을 두고 걸쳐지는 형상의 샤프트(48)가 고정된다.
이러한 샤프트(48)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레일(R)에 대응하여 걸쳐지게 구성할 수 있고, 이때에는 상술한 고정부(10)와 다이블록(22)과 펀치블록(34) 및 샤프트(48)를 포함한 각 구성이 양측 레일(R)에 각각 대응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술한 샤프트(48)가 하측의 양측 레일(R) 상부에 걸쳐지기 충분한 길이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술한 고정부(10)와 다이블록(22) 및 펀치블록(34)을 포함한 각 구성이 하나의 샤프트(48) 양단에서 각각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펀치블록(34)에 있는 미설명 부호(40)는, 펀치블록(34)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리브 형태의 돌출부이다.
그리고, 상술한 고정부(10)의 구성은, 대차 프레임(B)에 대하여 다이블록(22)이 설정 위치에 있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의 브래킷(12), 포스트(14) 및 제 1, 2 클램프(16, 18) 구성 이외에 다양한 형태의 것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구성으로부터 그 작동 관계를 살펴보면, 한편, 상술한 구성으로부터 그 작동 관계를 살펴보면, 철도차량이 정상적으로 운영될 때에는, 펀치(42)를 포함한 펀치블록(34)이 다이블록(22)의 지지를 받아 이들 사이의 간격을 탄력적으로 유지토록 하는 제 1 탄성부재(46)에 의해 감지선(50)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이를 감지하는 제어부는 감지선(50)을 통한 전원의 인가로 인하여 안정적인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반면, 차륜이 레일(R)을 벗어나는 탈선이 발생하면, 상술한 샤프트(48)는 그 위상이 낮아짐에 의해 레일(R)의 상부에 걸쳐져 제 1 탄성부재(46)에 반하여 눌려짐에 따라 펀치블록(34)에 구비된 커터(44)를 포함한 펀치(42)가 펀치블록(34)의 회동에 의해 상대적으로 승강하여 대응 위치에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는 감지선(50)을 절단하게 된다.
이때, 감지선(50)과 연결된 제어부는 감지선(50)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됨을 통해 탈선 여부를 확인하고, 그 후속 조치를 자동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차륜의 마모에 의해 샤프트(48)가 레일(R)에 근접 내지 접촉할 경우에는, 상술한 스페이서블록(20)을 단계적으로 교체 및 고정하는 관계로 샤프트(48)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10: 고정부 12: 브래킷
14: 포스트 16: 제 1 클램프
18: 제 2 클램프 20: 스페이서블록
22: 다이블록 24: 제 1 조립홀
26: 관통홀 28: 펀치홀
30: 제 1 힌지고리 32: 힌지핀
34: 펀치블록 36: 제 2 힌지고리
38: 제 2 조립홀 40: 돌출부
42: 펀치 44: 커터
46: 제 1 탄성부재 48: 샤프트
50: 감지선 52: 절연관
54: 인장부 56: 밴딩부재
58: 슬라이딩부재 60: 제 2 탄성부재
62: 지지부재
14: 포스트 16: 제 1 클램프
18: 제 2 클램프 20: 스페이서블록
22: 다이블록 24: 제 1 조립홀
26: 관통홀 28: 펀치홀
30: 제 1 힌지고리 32: 힌지핀
34: 펀치블록 36: 제 2 힌지고리
38: 제 2 조립홀 40: 돌출부
42: 펀치 44: 커터
46: 제 1 탄성부재 48: 샤프트
50: 감지선 52: 절연관
54: 인장부 56: 밴딩부재
58: 슬라이딩부재 60: 제 2 탄성부재
62: 지지부재
Claims (9)
- 삭제
- 대차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양측벽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저면에서 상측으로 상기 관통홀과 교차하여 관통하는 펀치홀이 형성된 다이블록과, 중심 부위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가설되고, 양단은 제어부에 연결되는 감지선과, 상기 다이블록 또는 고정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기 다이블록의 하면과 회전각도를 두고 대면하며 상면에 상기 펀치홀에 대응하는 펀치가 구비된 펀치블록 및 상기 펀치블록에 고정되어 양측 레일 상부에 걸쳐지게 설치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의 탈선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대차 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브래킷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돌출한 형상을 이루는 포스트와, 상기 다이블록은 포스트가 관통하는 제 1 조립홀을 더 형성한 것으로 구성하고, 상기 포스트의 하단을 통해 체결되어 상기 제 1 조립홀의 하부 주연을 받쳐 지지하는 제 1 클램프 및 상기 펀치블록은 상기 포스트가 관통하는 제 2 조립홀을 더 형성한 것으로 구성하고, 상기 포스트의 하단을 통해 체결되어 상기 제 2 조립홀의 하부 주연을 받쳐 지지하는 제 2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탈선 감지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과 상기 다이블록 사이에는 이들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기 위한 한 종 이상의 스페이스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탈선 감지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볼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는 상기 포스트에 대응하여 나사 결합하는 너트로 구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탈선 감지장치. - 삭제
- 삭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내벽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절연관을 더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관통홀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감지선이 관통홀 또는 상기 절연관 내에서 탄력적으로 팽팽하게 있도록 해당 부위의 상기 감지선을 잡아 당기는 인장부가 각각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탈선 감지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부는 상기 감지선의 측부를 압착 고정하는 밴딩부재와;
상기 감지선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밴딩부재와 슬라이딩부재에 각각 연결되어 이들 사이의 간격을 좁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관통홀 주연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딩 위치를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탈선 감지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8012A KR101944161B1 (ko) | 2016-11-25 | 2016-11-25 | 철도차량의 탈선 감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8012A KR101944161B1 (ko) | 2016-11-25 | 2016-11-25 | 철도차량의 탈선 감지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9605A KR20180059605A (ko) | 2018-06-05 |
KR101944161B1 true KR101944161B1 (ko) | 2019-04-18 |
Family
ID=62635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8012A KR101944161B1 (ko) | 2016-11-25 | 2016-11-25 | 철도차량의 탈선 감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416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9295B1 (ko) * | 2018-01-02 | 2019-11-27 | 주식회사 고려차량 | 열차 탈선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열차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1104B1 (ko) | 2008-06-10 | 2011-04-25 | 김용래 |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KR101293720B1 (ko) * | 2013-05-02 | 2013-08-06 | 박순섭 | 지중전선용 배전관 연결 차단장치 |
US20150175177A1 (en) | 2011-05-30 | 2015-06-25 | Hillmar Industries Limited | Spring caging mechanism for a coil spring rail brake |
KR101600750B1 (ko) | 2015-06-12 | 2016-03-07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인장재의 긴장완화 보완용 앵커장치 |
JP6014672B2 (ja) * | 2012-07-20 | 2016-10-25 | 川崎重工業株式会社 | 鉄道車両の脱線検知装置及び鉄道車両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4672B2 (ja) * | 1983-11-22 | 1994-02-23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形成装置 |
KR100913831B1 (ko) | 2007-08-30 | 2009-08-26 | 샬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열차 장애물 감지시스템과 열차 탈선 감지시스템 및 이들을구비한 시스템 |
-
2016
- 2016-11-25 KR KR1020160158012A patent/KR10194416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1104B1 (ko) | 2008-06-10 | 2011-04-25 | 김용래 | 토목건축용 드레인보드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US20150175177A1 (en) | 2011-05-30 | 2015-06-25 | Hillmar Industries Limited | Spring caging mechanism for a coil spring rail brake |
JP6014672B2 (ja) * | 2012-07-20 | 2016-10-25 | 川崎重工業株式会社 | 鉄道車両の脱線検知装置及び鉄道車両 |
KR101293720B1 (ko) * | 2013-05-02 | 2013-08-06 | 박순섭 | 지중전선용 배전관 연결 차단장치 |
KR101600750B1 (ko) | 2015-06-12 | 2016-03-07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인장재의 긴장완화 보완용 앵커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9605A (ko) | 2018-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78467B2 (en) | Door threshold for access to the interior of a railway vehicle | |
EP2911970B1 (en) | People mover | |
KR101944161B1 (ko) | 철도차량의 탈선 감지장치 | |
CA2317074C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bjects dragging beneath a train | |
US20180170401A1 (en) | Platform Screen Door with Built-In Raised Sill | |
KR102013389B1 (ko) | 탈선방지를 위한 레일구조 | |
PE20070026A1 (es) | Metodo y dispositivo para la comprobacion del estado de apriete de sujeciones de vias ferroviarias | |
KR102070048B1 (ko) | 철도 건널목의 보판 | |
KR101588228B1 (ko) | 철도차량의 탈선 방지 장치 | |
KR101520407B1 (ko) | 보수가 용이한 철도 탈선 방지를 위한 레일 가드 고정 구조 및 그 고정방법 | |
KR101518454B1 (ko) | 지하철 승강장의 안전발판 | |
KR20140000963U (ko) | 레일체결장치 | |
KR102088570B1 (ko) | 철로 상에서의 열차 탈선방지를 위한 자동제어장치 | |
KR101917739B1 (ko) | 철도레일의 변위측정장치 | |
JP2007182303A (ja) | エレベータの故障検出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の改修方法 | |
JP2009114787A (ja) | レール規格変更用締結装置 | |
KR101358044B1 (ko) |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 | |
KR20120127126A (ko) | 철도 침목용 발리스 고정장치 | |
JP6208996B2 (ja) | レール転倒防止機能付きレール締結装置 | |
US20190382036A1 (en) | Underfloor device of railway vehicle | |
KR20160084948A (ko) | 탈선복구용 유압실린더 지지대 | |
JP4338273B2 (ja) | 道床沈下検知方法、道床沈下検知器及び道床沈下監視装置 | |
KR101546716B1 (ko) | 철도차량 탈선 복구장비 및 그 방법 | |
JP5932559B2 (ja) | 無道床軌道用脱線防止ガード | |
KR20170075480A (ko) | 철도용 레일 지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