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042B1 -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 - Google Patents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4042B1 KR101944042B1 KR1020170168286A KR20170168286A KR101944042B1 KR 101944042 B1 KR101944042 B1 KR 101944042B1 KR 1020170168286 A KR1020170168286 A KR 1020170168286A KR 20170168286 A KR20170168286 A KR 20170168286A KR 101944042 B1 KR101944042 B1 KR 1019440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le
- main body
- charging cable
- powder
- fixing pa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3—Attach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는, 충전케이블의 접속단자와, 이와 전기적으로 체결되는 전자기기본체 간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상기 접속단자 쪽의 상기 충전케이블을 둘러싸듯이 구비되는 케이블고정부; 및 상기 케이블고정부에서 링형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전자기기본체를 둘러싸듯이 탄성변형되며 상기 충전케이블과 상기 전자기기본체 간을 결속시키는 본체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케이블에 고정지지되는 케이블고정부와, 케이블고정부에서 링형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전자기기본체에 고정지지되는 본체고정부로 구성되는 결속밴드가 단순하고 사용하기 편한 최적화된 구조로 구현됨에 따라 전자기기본체와 충전케이블 간의 견고한 결속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전자기기본체로부터 충전케이블의 분리가 방지되어 전자기기본체의 충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케이블과 이와 전기적으로 체결되는 충전기, 휴대단말기 등과 같은 전자기기본체 사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충전케이블의 접속단자와 전자기기본체 간의 분리를 방지하게 되는 결속밴드에 관한 것이다.
반복적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를 활용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특히, 스마트폰 등은, 그 편의성으로 인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될 정도로 필수불가결한 것으로 인식 및 취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2차 전지가 탑재되는 휴대용 전자기기는 다양한 용도와 목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된 후, 필수적으로 외부 전원콘센트에 접속된 충전기와 충전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반복적인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충전케이블은,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충전기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접속단자가 케이블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케이블의 일단부에 USB형태의 접속단자가, 타단부에 5핀 또는 특수형태의 젠더가 구비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와 충전기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충전케이블은, 휴대용 전자기기 및 충전기와 단순히 끼움결합으로 손쉬운 접속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상의 편의가 있기는 하나, 별도의 락킹수단 없어 케이블에 대하여 소정의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접속단자가 휴대용 전자기기 및 충전기로부터 쉽게 분리 내지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충전케이블의 문제에 대한 인식은, 지속적으로 있었지만, 현재까지 이에 대한 뚜렷한 해결책이 될만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고 있으며, 단지 관련기술로서, 110V, 220V의 플러그가 케이스 일측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플러그 고정장치(등록번호: 10-0239629)에 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이미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충전케이블이 휴대용 전자기기 및 충전기로부터 쉽게 분리 내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구체적인 장치에 대한 요구에 대응하는 고민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기, 휴대단말기 등과 같은 전자기기본체로부터 충전케이블의 접속단자가 분리 내지 이탈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한편, 충전케이블의 접속단자와 전자기기본체 간의 접속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에 탑재된 2차 전지의 충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충전케이블의 접속단자와, 이와 전기적으로 체결되는 전자기기본체 간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상기 접속단자 쪽의 상기 충전케이블을 둘러싸듯이 구비되는 케이블고정부; 및 상기 케이블고정부에서 링형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전자기기본체를 둘러싸듯이 탄성변형되며 상기 충전케이블과 상기 전자기기본체 간을 결속시키는 본체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케이블고정부는, 탄성소재의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져 탄성변형되며 상기 충전케이블에 의해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케이블에 고정지지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고정부는, 상기 충전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할된 제1 분체 및 제2 분체로 구성되는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 분체 간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도록 이루어진 체결부를 통해 상기 충전케이블에 고정지지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고정부는, 상기 제1,2 분체 간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충전케이블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축으로 상기 제1,2 분체를 서로 상대회동시키는 접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분체 및 제2 분체의 결합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결합돌기와,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탈착가능하게 끼움결합하는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분체 및 제2 분체의 결합면에 서로 인력이 작용하는 한 쌍의 자석을 각각 대응되게 배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결합된 상태의 상기 제1,2 분체의 외곽을 둘러싸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분체 및 제2 분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벨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1,2 분체의 결합면을 따라 구비된 지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케이블고정부 및 상기 본체고정부는, 탄성소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사출성형되거나, 각각 탄성소재를 사용하여 별개로 제작된 후 상호 끼움결합을 통해 일체를 이루게 되고, 상기 본체고정부가 상기 전자기기본체와 접촉하게 되는 내측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다수의 접촉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고정부 및 상기 본체고정부가 연결되는 영역에는, 상기 케이블고정부에 대하여 상기 본체고정부가 상대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케이블고정부의 양측에 관통형성된 회전안내공과, 상기 회전안내공으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외측으로 확장형성된 확장체가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안내공에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본체고정부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회전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케이블에 고정지지되는 케이블고정부와, 케이블고정부에서 링형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전자기기본체에 고정지지되는 본체고정부로 구성되는 결속밴드가 단순하고 사용하기 편한 최적화된 구조로 구현됨에 따라 전자기기본체와 충전케이블 간의 견고한 결속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전자기기본체로부터 충전케이블의 분리가 방지되어 전자기기본체의 충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중 단선의 우려가 큰 접속단자 쪽 충전케이블에 케이블고정부가 견고히 고정지지됨에 따라 충전케이블의 사용에 따른 단선이나 파손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다양한 전자기기본체에 사용한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의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의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의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의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을 다양한 전자기기본체에 사용한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의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의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의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의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다양한 전자기기본체에 사용한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의 사시도 및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의 사시도 및 분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의 사시도 및 분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의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앞쪽), 후(배,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100)는, 이미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충전케이블(10)이 충전기 및 휴대용 전자기기 등과 같은 전자기기본체(20)로부터 쉽게 분리 내지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이다.
여기서 충전케이블(10)은, 상술한 전자기기본체(20)들 간에 전원의 제공이 이격된 거리에서 상호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전기전도성 와이어를 절연체로 피복한 케이블과, 케이블의 양단부에 대하여 외측으로 확장된 형상으로 결합되는 다양한 규격의 접속단자(12)로 구성된다.
이때, 접속단자(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형태의 접속단자(12)일 수 있고, 이와 달리 5핀 또는 특수형태의 접속단자(12)일 수 있다.
그리고 충전기(20a)는, 전원콘센트로부터 제공되는 외부 상용전원을 소정의 전압과 전류로 변환한 후 이를 접속 상태에 있는 충전케이블(10)로 송출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휴대용 전자기기란, 충전케이블(10)과의 접속에 의해 반복적으로 충전되는 2차 전지가 내장되어 다양한 용도와 목적으로 사용되는 휴대기기로서, 일례로 휴대 가능한 스피커(20b),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20c) 또는 충전용 보조배터리 등일 수 있다.(도 2 참조)
위와 같은 종래 충전케이블(10)의 접속단자(12)와 전자기기본체(20) 간의 분리 내지 이탈을 근본적이고도 구체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100)는, 기본적으로 케이블고정부(110) 및 본체고정부(1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추가적으로 체결부(130), 접철부(140) 및 회전부(150)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구성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블고정부(110)는, 접속단자(12) 쪽의 충전케이블(10)을 둘러싸듯이 구비되어 본 발명에 따른 결속밴드(100)가 충전케이블(10)에 고정지지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양단부에 확장된 형태의 접속단자(12)를 갖는 충전케이블(10)에 대하여 소정의 견인력(잡아당기는 힘)이 작용되도록 하는 것이라면, 그 구조나 형상 또는 재질 등은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고정부(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며 충전케이블(10)에 의해 관통된 상태에서 충전케이블(10)에 대한 고정 및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탄성소재의 관체형상으로 제작하게 된다.
즉, 케이블고정부(110)를 신축성이 우수한 실리콘,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의 탄성소재를 사용하여 대략 지름이 3mm 내지 5mm인 중공(111)을 갖는 관체형상으로 제작하게 되면, 중공(111)의 지름보다 큰 충전케이블(10)의 접속단자(12)라도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된 중공(111)을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중공(111)을 관통한 접속단자(12)는 외력의 제거로 탄성수축된 중공(111)에 의해 걸리게 됨에 따라 케이블고정부(110)는 충전케이블(1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며 지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중 단선의 우려가 큰 접속단자(12) 쪽 충전케이블(10)에 케이블고정부(110)가 견고히 고정지지됨으로 인해 부가적으로 충전케이블(10)의 사용에 따른 단선이나 파손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본체고정부(120)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전자기기본체(20)를 둘러싸듯이 탄성변형되며 충전케이블(10)과 전자기기본체(20) 간을 결속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케이블고정부(110)에서 링형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체고정부(120)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되며 전자기기본체(20)를 둘러싸듯이 위치한 후 전자기기본체(20)를 충전케이블(10) 쪽으로 견인하는 탄성수축력을 발휘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라면 충분하므로, 그 크기, 두께, 길이 등의 형상이나 구조는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고정부(12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고정부(110)의 대향된 양측에서 각각 연장형성되어 링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때, 전자기기본체(20)와 접촉하게 되는 내측면(121)은, 전자기기본체(20)와의 견고한 고정 및 지지를 위해 5mm 내지 15mm의 폭을 갖는 납작한 판재형태로 제작하게 된다.
이러한 본체고정부(120)는, 신축성이 우수한 실리콘,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의 탄성소재를 사용하여 케이블고정부(110)와 함께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실시예에 따른 결속밴드(100)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본체고정부(120) 및 케이블고정부(110)의 사출성형에 사용되는 용융수지에 야광이나 형광성분을 첨가하게 되면, 야간이나 어두운 곳에서도 결속밴드(100)를 통해 충전케이블(10)이나 전자기기본체(20)의 위치를 손쉽게 식별 및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체고정부(120)는 그 전체 길이를 각각 달리하는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는 고정지지될 전자기기본체(20)의 둘레 크기에 따른 선택적인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위와 같이 신축성 있는 실리콘 등을 소재로 하여 일체로 사출성형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속밴드(1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충전케이블(10)과 전자기기본체(20) 간을 결속시키는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케이블고정부(110)에 외력을 가하여 중공(111)을 탄성변형시킨 후,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111)의 크기보다 큰 충전케이블(10)의 접속단자(12)가 중공(111)을 관통하도록 한 다음, 접속단자(12) 쪽의 충전케이블(10)에 케이블고정부(110)가 고정지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도 2(b)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20a), 스피커(20b) 또는 휴대단말기(20c)와 충전케이블(10)의 접속단자(12)가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될 수 있게 상호 간을 연결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본체고정부(120)에 외력을 가하여 본체고정부(120)를 탄성변형시킨 후, 본체고정부(120)가 각각 충전기(20a), 스피커(20b) 또는 휴대단말기(20c)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위치시켜 전자기기본체(20)에 대한 본체고정부(120)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위와 같은 충전케이블(10)과 전자기기본체(20) 간의 결속과정을 통해, 본체고정부(120)의 탄성수축력은, 중공(111)보다 큰 크기의 접속단자(12)에 걸려 충전케이블(10)에 고정지지된 케이블고정부(110)에 대하여 작용하게 됨에 따라 충전케이블(10)과 전자기기본체(20)는 견고하게 결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전자기기본체(20)로부터 충전케이블(10)의 분리가 방지되므로, 전자기기본체(20)의 충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접속단자(12) 쪽 충전케이블(10)에 케이블고정부(110)가 견고히 고정지지됨으로 인해 충전케이블(10)의 사용에 따른 단선이나 파손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고정부(110) 및 본체고정부(120)에 대한 기술적 내용은 이하에서 설명할 다양한 변형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거나 적절한 변형 등을 통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변형예 및 제2 변형예에 따른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고정부(110), 본체고정부(120), 접철부(140) 및 체결부(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2 변형예에 따른 본체고정부(120)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고정부(120)와 동일한 기능과 구조 및 재질로 이루어진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케이블고정부(110), 접철부(140) 및 체결부(130)에 대한 설명을 구체적으로 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변형예에 따른 케이블고정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111)에 위치하게 되는 충전케이블(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할된 제1 분체(110a) 및 제2 분체(110b)로 구성된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실시예와 구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변형예에 따른 케이블고정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111)에 위치하게 되는 충전케이블(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축으로 상술한 제1,2 분체(110a,110b)가 서로 상대회동할 수 있도록 제1,2 분체(110a,110b) 간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접철부(140)를 더 포함하게 되는 점에서 실시예 및 제1 변형예와 구별된다.
이때, 접철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분체(110a,110b)의 결합면(112a,112b) 중 어느 한쪽에서 일부영역만이 접합되어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2 분체(110a,110b)의 결합면(112a,112b)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된 힌지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케이블고정부(110)의 분할구조나 접철식 회동구조는, 실시예와 같이 케이블고정부(110)의 탄성변형과 탄성수축에 의해 충전케이블(10)에 케이블고정부(110)가 고정되도록 한 것과 구별되는 것으로, 제1,2 분체(110a,110b) 간의 분리와 결합을 통해 케이블고정부(110)가 충전케이블(10)에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체결부(130)는, 위와 같이 분할 또는 접철식 회동구조인 제1,2 분체(110a,110b) 간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제1,2 분체(110a,110b) 간을 필요에 따라 결합시키거나 결합해제시킬 수 있는 체결수단이라면 그 방식이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제1,2 변형예에 따른 체결부(13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체(110a) 및 제2 분체(110b)의 결합면(112a,112b)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결합돌기(132a)와,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결합돌기(132a)와 탈착가능하게 끼움결합하는 결합홈(132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13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분체(110a,110b)의 결합면(112a,112b)에 서로 인력이 작용하는 한 쌍의 자석(134a,134b)을 각각 대응되게 배치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1,2 변형예에 따른 체결부(130)는, 도 4(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상태의 제1,2 분체(110a,110b)의 외곽을 둘러싸 고정할 수 있도록, 제1 분체(110a) 및 제2 분체(11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된 벨크로테이프(13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체결부(130)는, 도 4(a)에서처럼 결합된 상태의 제1,2 분체(110a,110b)의 외곽 일부만을 둘러싸는 좁은 형태의 벨크로테이프(136)로 구현될 수 있고, 나아가 이러한 좁은 형태의 벨크로테이프(136)가 2개 이상 이격배치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체결부(130)는, 보다 견고한 결합력의 형성을 위해, 도 4(b)에서처럼 결합된 상태의 제1,2 분체(110a,110b)의 결합면(112a,112b)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제1,2 분체(110a,110b)의 결합부위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넓은 형태의 벨크로테이프(136)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위와 같은 벨크로테이프(136)는 똑딱이형 단추 등으로 교체 내지 대체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130)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분체(110a,110b)의 결합면(112a,112b)을 따라 구비된 지퍼(138)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결합돌기(132a) 및 결합홈(132b)으로 이루어지거나, 자석(134a,134b), 벨크로테이프(136) 또는 지퍼(138) 등으로 구현된 체결부(130)로 인해 사용자는 중공(111)을 형성하게 되는 제1 분체(110a) 및 제2 분체(110b) 사이에 충전케이블(10)을 위치시킨 후 케이블고정부(110)가 충전케이블(10)에 고정지지되도록 제1,2 분체(110a,110b)를 간편하고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 따른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고정부(110) 및 본체고정부(1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의 케이블고정부(110) 및 본체고정부(120)는, 각각 별개로 제작된 후 상호 끼움결합을 통해 일체를 이루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의 본체고정부(120)는, 전자기기본체(20)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속밴드(100)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길이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 별개로 제작된 관체형상의 케이블고정부(110)가 끼워지도록 일측에 링형상의 삽입부(12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고정부(110)는, 상술한 삽입부(124)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오목하게 형성된 이탈방지홈(114)이 본체고정부(120) 및 케이블고정부(110) 간의 끼움결합시 삽입부(124)가 위치하게 될 케이블고정부(110)의 일측 외주면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삽입부(124)와 이탈방지홈(114) 간의 보다 견고한 결합력의 형성을 위해 삽입부(124)의 내측에는 이탈방지홈(114)에 대응한 위치에서 링형태로 돌출형성된 내측돌기(124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제3 변형예에 따른 결속밴드(100)의 구조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본체고정부(120)를 탈착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보다 증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변형예에 따른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고정부(110) 및 본체고정부(120)가 연결되는 영역에 케이블고정부(110)에 대하여 본체고정부(120)가 상대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부(15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회전부(150)는, 전자기기본체(20)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하여 본체고정부(120)가 자유롭게 가변되며 전자기기본체(2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안내공(152) 및 회전결합부(15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안내공(152)은, 케이블고정부(110)의 양측에 관통형성된 구성요소이고, 본체고정부(12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회전결합부(154)는 회전안내공(152)에 끼움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그 단부에는 외측으로 확장형성되어 회전안내공(152)으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하는 확장체(154a)가 구비된다.
한편, 전자기기본체(20)와 접촉하게 되는 본체고정부(120)의 내측면(121)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다수의 접촉돌기(122)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실시예나 다른 변형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와 같은 제4 변형예에 따른 결속밴드(100)의 구조로 인해, 사용자는 다양한 형상의 전자기기본체(20)에 본체고정부(120)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전자기기본체(2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제작된 본체고정부(12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충전케이블 12: 접속단자
20: 전자기기본체 20a,20b,20c: 충전기, 스피커, 휴대단말기
100: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
110: 케이블고정부 111: 중공
110a,110b: 제1 분체, 제2 분체 112a,112b: 결합면
114: 이탈방지홈 120: 본체고정부
121: 내측면 122: 접촉돌기
124: 삽입부 130: 체결부
132a,132b: 결합돌기, 결합홈 134a,134b: 자석
136: 벨크로테이프 138: 지퍼
140: 접철부 150: 회전부
152: 회전안내공 154: 회전결합부
154a: 확장체
20: 전자기기본체 20a,20b,20c: 충전기, 스피커, 휴대단말기
100: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
110: 케이블고정부 111: 중공
110a,110b: 제1 분체, 제2 분체 112a,112b: 결합면
114: 이탈방지홈 120: 본체고정부
121: 내측면 122: 접촉돌기
124: 삽입부 130: 체결부
132a,132b: 결합돌기, 결합홈 134a,134b: 자석
136: 벨크로테이프 138: 지퍼
140: 접철부 150: 회전부
152: 회전안내공 154: 회전결합부
154a: 확장체
Claims (10)
- 충전케이블의 접속단자와, 이와 전기적으로 체결되는 전자기기본체 간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상기 접속단자 쪽의 상기 충전케이블을 둘러싸듯이 구비되는 케이블고정부; 및 상기 케이블고정부에서 링형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전자기기본체를 둘러싸듯이 탄성변형되며 상기 충전케이블과 상기 전자기기본체 간을 결속시키는 본체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고정부가 상기 전자기기본체와 접촉하게 되는 내측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다수의 접촉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고정부 및 상기 본체고정부가 연결되는 영역에는,
상기 충전케이블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축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고정부가 상기 케이블고정부에 대하여 상대회전케 하는 회전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케이블고정부의 양측에 관통형성된 회전안내공과, 상기 회전안내공으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외측으로 확장형성된 확장체가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안내공에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본체고정부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회전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 - 충전케이블의 접속단자와, 이와 전기적으로 체결되는 전자기기본체 간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상기 접속단자 쪽의 상기 충전케이블을 둘러싸듯이 구비되는 케이블고정부; 및 상기 케이블고정부에서 링형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전자기기본체를 둘러싸듯이 탄성변형되며 상기 충전케이블과 상기 전자기기본체 간을 결속시키는 본체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고정부는, 탄성소재의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져 탄성변형되며 상기 충전케이블에 의해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케이블에 고정지지되고,
상기 케이블고정부 및 상기 본체고정부는, 각각 별개로 제작된 후 상호 끼움결합을 통해 일체를 이루되,
상기 본체고정부는, 상기 전자기기본체의 크기에 따른 사용자의 선택적인 사용을 위해 다양한 길이로 제작되고, 상기 케이블고정부가 끼워지도록 일측에 링형상의 삽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고정부는, 상기 삽입부로부터의 이탈방지를 위해 상기 본체고정부와의 끼움결합시 상기 삽입부가 위치하게 될 일측 외주면 둘레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된 이탈방지홈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부의 내측에는, 상기 이탈방지홈에 대응한 위치에서 링형태로 톨출형성된 내측돌기가 더 형성되어 상기 이탈방지홈과의 견고한 결합력을 형성하며 상기 충전케이블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상기 케이블고정부에 대한 상기 본체고정부의 상대회전을 안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고정부는,
상기 충전케이블의 길이방향을 따라 분할된 제1 분체 및 제2 분체로 구성되는 관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 분체 간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도록 이루어진 체결부를 통해 상기 충전케이블에 고정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고정부는,
상기 제1,2 분체 간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충전케이블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축으로 상기 제1,2 분체를 서로 상대회동시키는 접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분체 및 제2 분체의 결합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결합돌기와,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탈착가능하게 끼움결합하는 결합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분체 및 제2 분체의 결합면에 서로 인력이 작용하는 한 쌍의 자석을 각각 대응되게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 -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결합된 상태의 상기 제1,2 분체의 외곽을 둘러싸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분체 및 제2 분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벨크로테이프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1,2 분체의 결합면을 따라 구비된 지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8286A KR101944042B1 (ko) | 2017-12-08 | 2017-12-08 |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8286A KR101944042B1 (ko) | 2017-12-08 | 2017-12-08 |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44042B1 true KR101944042B1 (ko) | 2019-01-30 |
Family
ID=6527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8286A KR101944042B1 (ko) | 2017-12-08 | 2017-12-08 |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4042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7547Y1 (ko) * | 1989-07-21 | 1991-09-27 | 대우전자 주식회사 | 플러그 이탈 방지용 밴드 |
KR100239629B1 (ko) | 1996-10-30 | 2000-01-15 | 윤종용 | 플러그 고정장치 |
JP2006228535A (ja) * | 2005-02-16 | 2006-08-31 | Fujitsu Ltd | Ac電源コード固定装置 |
KR101028733B1 (ko) * | 2011-01-26 | 2011-04-14 | 조영봉 | 와이어 결속장치 |
KR20130005406U (ko) * | 2012-03-06 | 2013-09-16 | 김기범 | 케이블커넥터용 보호구 |
-
2017
- 2017-12-08 KR KR1020170168286A patent/KR10194404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7547Y1 (ko) * | 1989-07-21 | 1991-09-27 | 대우전자 주식회사 | 플러그 이탈 방지용 밴드 |
KR100239629B1 (ko) | 1996-10-30 | 2000-01-15 | 윤종용 | 플러그 고정장치 |
JP2006228535A (ja) * | 2005-02-16 | 2006-08-31 | Fujitsu Ltd | Ac電源コード固定装置 |
KR101028733B1 (ko) * | 2011-01-26 | 2011-04-14 | 조영봉 | 와이어 결속장치 |
KR20130005406U (ko) * | 2012-03-06 | 2013-09-16 | 김기범 | 케이블커넥터용 보호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18285B2 (en) | Device with multi-directional inductive charger for charg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US10333249B1 (en) | Electronic connector with magnetic element and data transmission line using same | |
US9142913B2 (en) | Magnetically connected universal computer power adapter | |
US7500882B2 (en) | Releasable connector system | |
JP2020502730A (ja) | 磁性コネクタ、及び知的加熱に用いられる服飾と防護器具 | |
US11495912B2 (en) | Charging connector for oral health devices | |
US9028261B2 (en) | Snap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circumferential groove and prong interconnection | |
CN107863666B (zh) | 可调车载充电器及车载设备 | |
WO2001063702A1 (fr) | Element de connexion de cable d'alimentation | |
US6191553B1 (en) | Portable charger with a separate base and mount with a belt clip attachment | |
JP2012059533A (ja) | 円筒形電池を内蔵可能な携帯式電源装置 | |
US7458814B2 (en) | Twist-check socket and electronic articles equipped with the same | |
US20090229083A1 (en) | Headset Clip System | |
KR101944042B1 (ko) | 충전케이블의 분리방지용 결속밴드 | |
CN108886270B (zh) | 非接触供电装置和非接触电力传输装置 | |
KR200486181Y1 (ko) | 전기 플러그 조립체 | |
KR101982173B1 (ko) | 착탈식 다국적 충전기를 갖는 유무선 보조배터리 | |
CN210607857U (zh) | 一种通讯连接器 | |
CN109687542B (zh) | 蓝牙耳机的充电装置 | |
CN217115051U (zh) | 公端连接件、母端连接件及连接件组合 | |
KR200484572Y1 (ko) |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된 콘센트용 접지단자 | |
CN219046539U (zh) | 蓝牙耳机、耳机设备及电子设备 | |
CA2704721C (en) | Improved charging interface for rechargeable devices | |
TWM453256U (zh) | 連接器組合 | |
CN210607844U (zh) | 一种排针组件及转接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